KR102416468B1 - Safety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Safety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6468B1 KR102416468B1 KR1020190144073A KR20190144073A KR102416468B1 KR 102416468 B1 KR102416468 B1 KR 102416468B1 KR 1020190144073 A KR1020190144073 A KR 1020190144073A KR 20190144073 A KR20190144073 A KR 20190144073A KR 102416468 B1 KR102416468 B1 KR 1024164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er
- safety
- radar
- management system
- management ser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 G01S13/536—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unmodulated waves,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wav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86—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larm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설 현장에서 작업을 위해 동작하는 중장비, 상기 중장비의 동작범위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침범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더, 및 상기 작업자의 침범 여부에 따라 해당 작업자에게 경보 알림 및 해당 작업자의 안전수칙 불이행 횟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해당 작업자의 안전교육 수행 여부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anagement system, a heavy equipment operating for work at a construction site, a radar for detecting whether a worker has invaded based on the operating range of the heavy equipment, and an alert to the worker according to whether the operator has invaded There is provided a safe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notification and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whether the worker performs safety education by counting the number of non-compliance with the safety rules of the work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 유발 작업자에 대한 안전교육을 관리할 수 있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advance and managing safety education for accident-causing workers.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는 중장비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며 작업자는 중장비의 운전실에서 전방 관측을 통해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중장비 운전 중 발생하는 인명 사고는 대부분 중장비의 후방에서 발생한다. In general, construction sites use heavy equipment to perform work, and since workers perform work through front observation from the cab of the heavy equipment, most human accidents occurring during heavy equipment operation occur at the rear of the heavy equipment.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중장비 차체 후방에 카메라를 부착하고,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운전실 내에 표시해 줌으로써 운전자가 후방의 상황을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safety accident, recently, a camera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of heavy equipment,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s displayed in the cab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the situation behind.
그러나 이와 같이 단순히 후방 감시 카메라만 설치한 경우에는 중장비 자체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운전 중 후방 상황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지 않고 차체 주변에 존재하는 사각지대로 인하여 좀 더 효율적인 방안이 요구된다.However, when only the rear monitoring camera is installed in this way, it is not easy to check the rear situation while driving because the heavy equipment itself is relatively large, and a more efficient method is required due to the blind spot existing around the vehicle body.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322201호의 건설용 중장비 접근 감시 시스템은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PIR(Pyroelectric Infrared Ray)센서와, 물체로부터 반송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의 접근 거리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를 구비하는 복수의 센서유닛;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인체 또는 물체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접근 거리를 산출하여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의 제어에 의해 인체의 접근시에 차체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용 스피커; 및 중장비의 운전실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에서 검출된 인체 또는 물체의 접근 상황을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In this regard, the heavy equipment approach monitoring system for construction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322201 includes a PIR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that detects the approach of a human body, and an ultrasonic sensor that detects the approach distance of an object using ultrasonic waves returned from the object. a plurality of sensor units provided; a main control unit that processes a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unit to determine whether a human body or an object approaches, calculates an approach distance, and performs corresponding control; an alarm speaker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when a human body approaches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and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cab of the heavy equipment and outputting a human body or object approach detected by the main control unit on a scree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작업장의 분진과 기상상황 등 외부 요인에 따라 공사 현장에서 감시의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중장비 주변의 작업자의 존재 유무를 정확히 감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workers around heavy equipment because the accuracy of monitoring at the construction site is lowered depending on external factors such as dust and weather conditions in the workplace.
다시 말하면 각종 공사용 장비 또는 공구를 휴대하거나 작업용 자재 등을 지참하거나 운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작업자의 활동 특성을 고려할 때, 영상 판독 또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 센싱을 통해 작업자를 감지하는 것은 극히 어려운 것이다.In other word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detect a worker through image reading or infrared or ultrasonic sensing when considering the activity characteristics of workers who carry various construction equipment or tools, or bring or transport work materials.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레이더를 이용하여 외부 환경에 따른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중장비 주변의 작업자를 감시 및 위험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and informing a worker of a dangerous situation around heavy equipment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using radar.
또한, 본 발명은 안전수칙을 계속적으로 이행하지 않는 작업자에 대한 안전교육 수행 일정을 관리할 수 있는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manage a schedule for performing safety training for workers who do not continuously follow safety rules.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건설 현장에서 작업을 위해 동작하는 중장비; 상기 중장비의 동작범위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침범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더; 및 상기 레이더에서 제공되는 상기 작업자의 침범 여부에 따라 해당 작업자에게 경보 알림 및 해당 작업자의 안전수칙 불이행 횟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해당 작업자의 안전교육 수행 여부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eavy equipment operating for work at a construction site; a radar for detecting whether a worker has invaded based on the operating range of the heavy equipment; and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whether the worker performs safety education by counting the number of alarm notifications to the worker and the number of non-compliance with the safety rules of the worker provided by the rada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중장비의 기종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범위를 상기 레이더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nagement server provides the radar with the operating rang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heavy equipmen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는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ar is a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는 상기 동작범위에 예정된 웨이브 신호를 송신하고 반사되는 상기 웨이브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웨이브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에서 출력된 데이터와 인체 특성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출력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결과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ar includes: a wave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wave signal in the operating range and receiving the reflected wave signal; a dat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data output from the transceiver with the human body characteristic data; and a result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data comparison unit to the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에게 착용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비교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로 알림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알림부; 및 상기 알림신호를 수신받은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해당 작업자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해당 작업자의 안전수칙 불이행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안전교육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worn by the worker,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notif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ison unit; and a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the corresponding worke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worker receiving the notification signal,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non-compliance with the safety rules of the corresponding worker, and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the safety educ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불이행 횟수가 예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상기 안전교육을 수행하는 담당자에게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umber of non-compliance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nagement server reports it to a person in charge of performing the safety education.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외부 환경과 산관없이 중장비 주변에 접근하는 작업자에 대한 명확한 감시가 가능함으로써 해당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 및 인명사고를 미연에 예방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nd personal accidents for the workers in advance by enabling clear monitoring of workers approaching heavy equipment irrespectiv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ndustry.
본 발명은 계속적으로 안전수칙을 불이행하는 작업자를 선별하여 해당 작업자에 대한 안전교육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자에 대한 안전교육 시간을 체계적으로 관리 및 그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ystematically managing safety training time for workers and minimizing costs accordingly by selecting workers who continuously fail to comply with safety rules and adjusting the intensity of safety training for the worker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 는 도 1 의 레이더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은 도 1 의 관리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radar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of FIG.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identification number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dentification number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안전 관리 시스템은 건설 현장에서 작업을 위해 동작하는 중장비(100), 중장비(100)의 동작범위(R)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침범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더(200), 및 레이더(200)에서 제공되는 작업자의 침범 여부에 따라 해당 작업자에게 경보 알림 및 해당 작업자의 안전수칙 불이행 횟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해당 작업자의 안전교육 수행 여부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s a
우선, 중장비(100)는 건설 현장에서 공사 작업을 위해 동작하는 모든 기계 장비를 의미하며 여기서는 굴착기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First, the
참고로, 굴착기는 몸체 하부에 장착된 무한궤도 바퀴를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 가능하고, 몸체에 구성된 붐을 이용하여 몸체의 회전이 가능하며, 전방에 장착된 암을 이용하여 암의 일단에 연결된 버킷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굴착기는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버킷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건설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설명하겠지만, 굴착기의 이동 및 버킷의 이동을 비롯한 굴착기의 동작범위(R)는 관리서버(300)에 저장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의 소스 정보로 사용된다.For reference, the excavator can be moved to a desired place by using the caterpillar wheel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the body can be rotated using the boom configured in the body,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rm using the arm mounted in the front. It is possible to move the bucket to the desired position. In this way, the excavator moves to a desired place and performs work at the construction site by moving the bucket to the desired pos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operation range (R) of the excavator, including the movement of the excavator and the movement of the bucket, is stored in the
다음으로, 레이더(200)는 중장비(100)의 일측에 탑재되며, 중장비(100)의 동작범위(R)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침범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Next, the
여기서, 레이더(200)는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레이더인 것을 일례로 하였으며, FMCW 레이더는 FMCW 신호를 중장비(100) 주변의 물체에 조사하고 반사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도 2 는 도 1 의 레이더(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도 2 를 참조하면, 레이더(200)는 웨이브 송수신부(210), 데이터 비교부(220), 데이터 저장부(230), 및 결과 송신부(2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우선, 웨이브 송수신부(210)는 중장비(100)의 동작범위(R)에 FMCW 신호를 송신하고 물체에 반사되는 FMCW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웨이브 송수신부(210)는 구동부와 연결되며 구동부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회전하여 동작범위(R)에 대한 FMCW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다.First, the
다음으로, 데이터 비교부(220)는 웨이브 송수신부(21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인체 특성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구성이며, 여기서 인체 특성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230)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의미한다.Next, the
데이터 저장부(230)에 기 저장된 인체 특성 데이터는 인간의 형상, 동작 등과 같이 인간의 기본 특성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사람의 머리, 몸통, 팔다리 같은 인간의 형상과 보행, 작업 등과 같은 인간의 동작 등이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된다.The human body characteristic data pre-stored in the
따라서, 데이터 비교부(220)는 웨이브 송수신부(21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된 인체 특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중장비(100)의 동작범위(R)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침범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마지막으로, 결과 송신부(240)는 데이터 비교부(220)에서 비교한 결과에 대응하는 출력신호(S)를 관리서버(30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Finally, the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마지막으로 관리서버(300)는 레이더(200)에서 제공되는 중장비(100)의 동작범위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침범 여부에 따라 해당 작업자에게 경보 알림 및 해당 작업자의 안전수칙 불이행 횟수를 카운팅하여 해당 작업자의 안전교육 수행 여부를 관리하기 위한 구성이다.Referring back to FIG. 1 , finally, the
도 3 은 도 1 의 관리서버(3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관리서버(300)는 알림부(310)와 처리부(320)를 포함한다.2 and 3 , the
우선, 알림부(310)는 레이더(200)의 결과 송신부(240)의 출력신호(S)에 응답하여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리기 위한 알림신호(A)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알림신호(A)는 중장비(100)의 일측에 설치된 사이렌(도시되지 않음)에 전달되어 동작범위(R) 내에 침범한 작업자에게 위험을 인지시켜 주는 것이 가능하며, 작업자에게 착용되어 있는 단말기(D)로 전달하여 직접적으로 작업자에게 위험을 인지시켜 주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는 알림부(310)에서 송신되는 알림신호(A)가 작업자에게 착용되어 있는 단말기(D)로 전달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다.First, the
다음으로, 처리부(320)는 알림부(310)에서 알림신호(A)가 출력되었다는 정보와 알림신호(A)를 수신받은 단말기(D)로부터 해당 작업자 정보(I)를 수신받아 해당 작업자의 안전수칙 불이행 횟수를 카운팅하고 이에 따라 안전교육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구성이다.Next, the
즉, 처리부(320)는 해당 작업자가 계속적으로 중장비(100)의 동작범위(R)에 침범하는 경우 단말기(D)로부터 전달된 작업자 정보(I)를 통해 해당 작업자의 안전수칙 불이행 횟수를 카운팅하고 안전수칙 불이행 횟수가 예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이에 따라 안전교육을 수행하도록 관리자에게 이를 보고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한편, 관리서버(300)는 중장비(100)의 기종에 따라 중장비(100) 각각에 대한 스펙으로 정의된 동작범위(R)를 레이더(2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스펙으로 정의된 동작범위(R)는 예컨대, 도 1 에 도시된 굴착기의 이동 및 버킷의 이동 등이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레이더(200)는 이렇게 제공된 동작범위(R)에 대응하는 만큼 웨이브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이더(200)는 FMCW 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송수신 및 구동에 대한 동작 효율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ation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중장비 200 : 레이더
300 : 관리서버 R : 동작범위100: heavy equipment 200: radar
300: management server R: operating range
Claims (6)
상기 중장비의 동작범위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침범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더; 및
상기 레이더에서 제공되는 상기 작업자의 침범 여부에 따라 해당 작업자에게 경보 알림 및 해당 작업자의 안전수칙 불이행 횟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해당 작업자의 안전교육 수행 여부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중장비의 기종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범위를 상기 레이더에 제공하여 상기 레이더의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Heavy machinery operating for work on a construction site;
a radar for detecting whether an operator has invaded based on the operating range of the heavy equipment; and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whether the worker performs safety education b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worker is notified of an alarm and the worker's safety rule non-compliance is provided according to whether the worker is infringed or not provided by the radar;
The management server provides the radar with the operating rang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heavy equipment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radar.
safety management system.
상기 레이더는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radar is a safe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MCW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상기 레이더는
상기 동작범위에 예정된 웨이브 신호를 송신하고 반사되는 상기 웨이브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웨이브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에서 출력된 데이터와 인체 특성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출력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결과 송신부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radar is
a wave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wave signal in the operating range and receiving the reflected wave signal;
a dat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data output from the transceiver with the human body characteristic data; and
and a resul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data comparator to the management server
safety management system.
상기 작업자에게 착용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비교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로 알림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알림부; 및
상기 알림신호를 수신받은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해당 작업자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해당 작업자의 안전수칙 불이행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안전교육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부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worn by the worker,
The management server
a notif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and
Comprising a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the worke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worker who has received the notification signal,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non-compliance with the safety rules of the worker, and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the safety educa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불이행 횟수가 예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상기 안전교육을 수행하는 담당자에게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anagement server, when the number of non-compliance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reports it to the person in charge of performing the safety educ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4073A KR102416468B1 (en) | 2019-11-12 | 2019-11-12 | Safety managemen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4073A KR102416468B1 (en) | 2019-11-12 | 2019-11-12 | Safety management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7855A KR20210057855A (en) | 2021-05-24 |
KR102416468B1 true KR102416468B1 (en) | 2022-07-05 |
Family
ID=7615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4073A Active KR102416468B1 (en) | 2019-11-12 | 2019-11-12 | Safety management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646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1575B1 (en) * | 2021-12-29 | 2022-04-28 | 주식회사 쉐카이나 |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vision Camera |
KR20250009642A (en) | 2023-07-11 | 2025-01-20 | 주식회사 에이비에이치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orker training ser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1209B1 (en) * | 2016-03-17 | 2016-11-01 |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ers of a tunnel under constructio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13993A (en) * | 2011-04-06 | 2012-10-16 | 지앤씨테크(주) | Safety system of tunnel |
KR101322201B1 (en) | 2013-03-28 | 2013-10-28 | (주)영신디엔씨 | Approach monitoring system for heavy equipment of construction |
KR20190101244A (en) * | 2018-02-22 | 2019-08-30 | 이철희 | Safety system for heavy machinery |
-
2019
- 2019-11-12 KR KR1020190144073A patent/KR1024164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1209B1 (en) * | 2016-03-17 | 2016-11-01 |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ers of a tunnel under constru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7855A (en) | 2021-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80205B2 (en) | Proximit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using proximity detection | |
KR101322201B1 (en) | Approach monitoring system for heavy equipment of construction | |
US8922431B2 (en) | Apparatus, a system and a method for collission avoidance | |
US9695982B2 (en) |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the risk of a moving machine colliding with personnel or an object | |
EP3826948B1 (en) | Pedestrian-vehicle safety systems for loading docks | |
JP2008179940A (en) | Work machine ambient monitoring device | |
KR20190101244A (en) | Safety system for heavy machinery | |
KR20170055370A (en) | Security System by distance using Active RFID | |
JP2008097592A (en) | Work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 |
KR102416468B1 (en) | Safety management system | |
AU2010351500A1 (en) | Object proximity warning system and method | |
JP2020125171A (en) | Work vehicle safety system | |
US9080723B2 (en) | Personnel classification and response system | |
KR20230122959A (en) | Dangerous situstion monitoring apparatus and mehtod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s | |
KR102301427B1 (en) |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through predition of object action patterns | |
KR102791584B1 (en) | Heavy equipment proximity safety management and vibration system for worker protection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 |
RU2778626C1 (en) |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the method for this system's operation | |
TWI704268B (en) | Machine warning system | |
KR20220073038A (en) | An integrated alarm system based on radar sensor | |
WO2025118015A1 (en) | Overhead powerline detection | |
Vishal et al. | Application of Ultrasound Sensor in Construction Safety: Study of Struck-By Hazard | |
JP2021051561A (en) | Site management system | |
ZA201102321B (en) | An apparatus, a system and a method for collison avoid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