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272B1 - tongue nerve protector for removal of cod teeth in lower jaw position - Google Patents
tongue nerve protector for removal of cod teeth in lower jaw posi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3272B1 KR102413272B1 KR1020200092199A KR20200092199A KR102413272B1 KR 102413272 B1 KR102413272 B1 KR 102413272B1 KR 1020200092199 A KR1020200092199 A KR 1020200092199A KR 20200092199 A KR20200092199 A KR 20200092199A KR 102413272 B1 KR102413272 B1 KR 1024132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ar
- lingual
- nerve
- extraction
- mandibul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4357 third molar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10000002859 lingual nerv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10000004373 mandib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3823 hyoid bon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108010067654 nerveside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2105 tongue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06010044042 Tooth impacted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877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08000002925 dental car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83 inciso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050 maxill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465 Can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8389 Nerve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5157 Or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1252 Osteomye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0194 mouth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764 nerve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824 paresth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1245 periodon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178 buccal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64 cusp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693 gingiv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65 gingiv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45 la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65 lymph nod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00 mouth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41 palatine tons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169 periodo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악 제 3구치 발치 시 설신경 보호대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구강의 하악에 위치한 제2대구치와 제3대구치 사이로 삽입되는 유도대; 상기 유도대의 일측이 순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2대구치의 외면을 휘감아 유동되지 않게 하는 고정대; 상기 유도대의 타측은 제3대구치의 설측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며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대구치의 잇몸과 설신경이 분포된 설면 사이가 격리되게 하는 격리판; 을 포함하여서 되는 구성으로 제3대구치 발치 시 발치를 위한 고속회전드릴이 설측골을 뚫고 나오더라도 설신경측으로 접근하지 못하게 차단되므로 설신경을 완벽하게 분리 보호가능하기 때문에, 치과의사들은 설신경의 손상에서 자유롭게 발치를 시행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lingual nerve guard for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e band inser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molars located in the lower jaw of the oral cavity; a fixing bar with one side of the guide band extending toward the labial side and winding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olar to prevent it from flowing;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nd is extended and bent in the lingual direction of the third molar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separate the gum of the third molar and the lingual surface on which the lingual nerve is distributed; In the case of extraction of the third molar, the high-speed rotating drill for extraction is blocked from accessing the lingual nerve side even if it comes out through the lingual bone, so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eparate and protect the lingual nerve. can be implem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설신경의 해부학적 변이의 제한성을 이용하여 하악 제3대구치 부위의 설측골과 설신경의 분리를 쉽게 적용할 수 있고, 발치 시에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의치의 C클래스프 형태를 적용한 판상의 설신경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pply the separation of the lingual bone and lingual nerve in the mandibular third molar region by using the limited anatomical variation of the lingual nerve, and the C-clasp shape of the denture is applied so as not to obstruct the view during extraction. It is about the lingual nerve protector of
일반적으로 구강의 상악골과 하악골의 치조골에는 잇몸이 덮여 있는 상태에서 음식을 섭취하기 위한 치아가 자리하고 있으며, 치아 중에 가장 늦게 생기는 사랑니(이하 ‘제3대구치’라함)는 상악, 하악의 좌, 우 가장자리에 1개씩 총 4개가 되며, 사람에 따라 개수가 다르게 생겨난다. In general, teeth for ingestion of food are located in the alveolar bone of the maxilla and mandible in the oral cavity while the gums are covered. There are 4 in total, one on each edge, and the number varies depending on the person.
사랑니는 모든 치아가 자란 뒤 악골의 어금니 최후방 위치에서 생기기 때문에 모양도 형태도 각양각색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데, 어금니(제2대구치)와 같이 수직하게 자라나 제3어금니 역할을 하는 가하면, 옆으로 누운 상태로 불완전하게 생기는 것(매복사랑니)이 있다.Wisdom teeth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ppear in various shapes and forms because they occur at the rearmost position of the molars of the maxilla after all teeth have grown. There are those that occur incompletely as a condition (ambusted wisdom teeth).
이러한 사랑니들은 생성과정에서 다른 치아를 비집고 기울어져 나오거나 치아들을 밀어 치열의 불규칙하게 하는 영향을 끼쳐 치아와 잇몸 사이에 음식물이 들어가게 되면 음식 찌꺼기가 쉽게 제거되지 않아서 세균이 번식하여 잇몸이 부어 통증을 유발하게 될 뿐 아니라, 출혈도 발생되고, 충치와 풍치를 유발하게 되며, 인접 치아에 치주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편도선 및 림프절이 부어오르게 하는 불편을 초래하는 요인이 된다. During the process of formation, these wisdom teeth squeeze other teeth or push the teeth to make the teeth irregular. If food enters between the teeth and gums, the food residues are not easily removed, so bacteria can multiply and cause swelling of the gums. As well as causing bleeding, it can cause tooth decay and tooth decay, can cause periodontal disease in adjacent teeth, and cause discomfort that causes tonsils and lymph nodes to swell.
또한, 옆으로 누운 상태로 불완전하게 생기는 매복 사랑니는 옆으로 누워 잇몸을 뚫지 못한 상태로 인해 주변에 물혹이나 종양이 형성이 되고 신경을 압박해 감각이상이나 통증이 나타나 식사는 물론 안면이 부어오르는 신체적 불편함도 전해졌다. In addition, an impacted wisdom tooth that occurs incompletely when lying on the side is not able to penetrate the gum when lying on its side, so a lump or tumor is formed around it, and it compresses the nerve, causing paresthesia or pain, causing physical swelling of the face as well as eating. Discomfort was also reported.
때문에 불완전한 사랑니는 골수염, 우식증, 지치주위염, 치주염, 인접치손상 등 다양한 구강의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사랑니는 통상적으로 발치하게 되는데, 발치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게 되면 앞서 언급한 질환이 이어지게 된다. Therefore, an incomplete wisdom tooth can cause various oral diseases, such as osteomyelitis, caries, peridentitis, periodontitis, and damage to adjacent teeth, so wisdom teeth are usually extracted. .
이러한 질환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랑니 발치를 권장하였으며, 발치 방법으로는 노출된 사랑니를 단순히 뽑아내는 것과, 잇몸을 절개하여 조각내어 제거하는 수술방법이 제안되었다. Wisdom tooth extraction was recommended in order to solve these diseases, and as extraction methods, simply extracting the exposed wisdom tooth and surgical method of removing the exposed wisdom tooth by cutting the gum into pieces have been proposed.
매복된 제3대구치(사랑니)발치 수술의 경우, 주변에 발달한 많은 신경·조직의 손상과 출혈이 발생할 수 있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특히 설신경의 손상은 외상이나 종양 절제 또는 의인성으로 대부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an impacted third molar (wisdom tooth) extraction operation, damage and bleeding of many nerves and tissues developed around may occur, and various related complications may occur. Most of the time, it will happen due to anthropomorphism.
제3대구치 발치 시 설신경이 손상되는 기전은 대개 치아를 감싸고 있는 설측골을 뚫고 그 내측 구강점막에 포함되어 있는 설신경을 직접적으로 고속회전드릴로 손상시킴으로써 발생된다. The mechanism of damage to the lingual nerve during extraction of the third molar usually occurs by piercing the lingual bone surrounding the tooth and directly damaging the lingual nerve contained in the inner oral mucosa with a high-speed rotating drill.
설신경은 설점막, 구강저점막, 혀 전방의 2/3의 감각정보를 받아들이는데 설측 설신경이 손상되면 그 부위의 감각이상, 무감각, 미각손실, 타액분비 감소 등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며, 설신경 손상의 발생률은 제3대구치 발치 수술 시 0-10%로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며, 1년 이상 지속되는 영구적인 감각이상은 0.3-0.6%로 보고되어 있다.The lingual nerve receives sensory information from the lingual mucosa, the buccal mucosa, and the anterior 2/3 of the tongue. The incidence rate is reported to be 0-10% during third molar extraction surgery, and permanent paresthesia lasting more than 1 year is reported to be 0.3-0.6%.
이러한 제3대구치 발치 수술 시 설신경 손상은, 설측골은 설측 점막으로 덮여있고 내측이라 시야확보가 기본적으로 어려워 대부분의 치과의사들은 항상 막연한 두려움 속에 고속회전드릴을 사용하게 되나, 대체기구로 사용되는 골막기자나 프리어기자는 보조자가 지속적으로 기구를 잡고 있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this third molar extraction operation, the lingual nerve damage is fundamentally difficult to secure as the lingual bone is covered with the lingual mucosa and inside, so most dentists always use a high-speed rotating drill in vague fear. A reporter or a freelance reporter has a problem that an assistant must constantly hold the devic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치아발치용 드릴이 특허공개 10-2011-0013780호(이하 선 발명이라 함)로 제안 되어 공개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drill for tooth extraction has been proposed and published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s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378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ior invention).
이러한 선 발명의 구성은 치아 발치용 드릴에 있어서, 드릴몸체부;The configuration of this prior invention in the drill for tooth extraction, the drill body portion;
상기 치아를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상기 드릴몸체부의 일단에 일체로 제공되는 드릴날부, 및 상기 드릴몸체부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드릴날 부에 의한 상기 치아의 절삭 깊이를 표시하는 깊이표시부를 포함하고, 시 술자는 상기 깊이표시부를 통해 상기 드릴날부에 의한 상기 치아의 절삭 깊 이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A drill bit provided integrally with one end of the drill body to partially remove the tooth, and a depth display section form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ll body to display the cutting depth of the tooth by the drill bit, and , the operator is configured to visually check the cutting depth of the tooth by the drill bit through the depth display unit.
이러한 선 발명은 발치 전에 치아가 드릴에 의해 적절하게 분할될 수 있게 하되, 치아 내부로 삽입되는 드릴의 삽입 깊이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미리 결정된 위치 및 깊이로의 정확한 드릴 삽입이 가능하여 발치 전에 치아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분할될 수 있기 때문에 발치 시술을 위한 잇몸 절개 시술을 최소화할 수 있다.This prior invention enables the tooth to be properly divided by the drill before tooth extraction, and by allowing the user to directly check the insertion depth of the drill inserted into the tooth with the naked eye, accurate drill insertion in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depth is possible. Since the tooth can be divided into a size and shape that can be easily removed before tooth extrac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ision of the gums for tooth extraction.
더욱이, 선 발명에 따르면 시술중 시술자가 드릴의 삽입 깊이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드릴의 삽입 깊이가 과도함에 따른 주변 조직이 손상 및 과다 출혈이나 치유 지연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와 함께 삭제되는 치아 주변에 위치한 중요한 신경이나 조직을 보호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or can accurately check the insertion depth of the drill during the procedure, the surrounding tissue is damaged due to the excessive insertion depth of the drill, and side effects such as excessive bleeding or healing delay are minimized and the surrounding teeth are deleted. can protect important nerves or tissues located in
그러나, 선 발명에서 사랑니 발치 수술 시, 하악 내부는 깊은 공간이면서 좁고 어두워 시야확보가 잘 안되는 상황에서 진행되므로 고속 회전되는 드릴이 잇몸을 벗어나 설신경에 상해를 입히는 실수에 대한 예방을 전혀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performing wisdom tooth extraction surgery in the prior invention, the inside of the mandible is a deep space, narrow and dark,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a field of view. there was.
본 발명은 종래에 개발된 바가 없는, 설신경이 포함되어 있는 설측점막과 설측골을 분리시켜서 수술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완벽하게 설신경을 보호함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pletely protect the lingual nerve without obstructing the surgical field by separating the lingual mucosa and the lingual bone containing the lingual nerve, which has not been previously developed.
또한, 본 발명은 하악의 치조골에서 제 3대구치의 발치 시 의료진에게 효율적인 수술환경 제공과, 환자에게 안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fficient surgical environment to medical staff when the third molar is extracted from the alveolar bone of the mandible, and to provide safe medical services to the patient.
이러한 본 발명은 목적들이 달성되기 위해서는 사랑니 발치 수술 시 보조자가 기구를 잡지 않아도 안정된 고정을 이루도록 하악 제2대구치의 협측에 C클래스프 형태의 유지장치를 구성함이 요구되고, 하악 제3대구치의 설측면에는 설신경의 해부학적 변이 발생 가능 범위를 충분히 차단하는 크기로 된 사각 금속판 구성이 요구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quired to configure a C-clasp-shaped retainer on the buccal side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to achieve stable fixation without the assistant holding the instrument during wisdom tooth extraction surgery, and the installa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On the side, a rectangular metal plate with a size that sufficiently blocks the possible range of anatomical variation of the lingual nerve is required.
본 발명에 따르면 발치를 위한 고속 회전되는 드릴이 설측골을 뚫고 나오더라도 설신경측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악의 구강 공간이 차단되게 한 구성으로 인해 설신경을 완벽하게 분리 보호함이 가능하여 치과의사들은 설신경의 손상 염려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발치를 시행할 수 있음이 충분히 예상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eparate and protect the lingual nerve due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ral space of the mandible is blocked to prevent access to the lingual nerve side even when the high-speed rotating drill for tooth extraction comes out through the lingual bone. It is fully expected that extraction can be performed freely without worrying.
본 발명은 하악 제 3구치 발치 시 설신경 보호대가 소개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lingual nerve guard for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구강의 하악에 위치한 제2대구치와 제3대구치 사이로 삽입되는 유도대; 상기 유도대의 일측이 순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2대구치의 외면을 휘감아 유동되지 않게 하는 고정대; 상기 유도대의 타측은 제3대구치의 설측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며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대구치의 잇몸과 설신경이 분포된 설면 사이가 격리되게 하는 격리판; 을 포함하여서 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e band inser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molars located in the lower jaw of the oral cavity; a fixing bar with one side of the guide band extending toward the labial side and winding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olar to prevent it from flowing;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nd is extended and bent in the lingual direction of the third molar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separate the gum of the third molar and the lingual surface on which the lingual nerve is distribut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fficiently achieved by providing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3대구치와 제2대구치의 상단 사이의 골을 가로지르며 단면이 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제2대구치의 치경부 협면에 접촉되는 평면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it is preferable to have a plane that crosses the valley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third molar and the second molar and the cross section is in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and is in contact with the buccal surface of the cervical part of the second molar. .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유도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구부려 상기 제2대구치의 치관 하단을 휘감는 고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의 내면은 상기 제2대구치의 치관에 접촉되는 평면이고, 상기 고리부의 외면은 반구면으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the fixing unit is formed with a ring portion wrapp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crown of the second molar by b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guide ro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is the second molar It is a plane in contact with the crown of the r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as a hemispherical surface.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격리판은, 상기 유도대에서 절곡되는 스페이스대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3대구치의 잇몸 내측면에 위치하여 설면측의 설신경부위를 가로막되, 상기 격리판은 두께 1~1.5mm의 판을 세로 8~10mm, 가로 7~10mm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the separato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ace band bent by the guide band and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m of the third molar to block the lingual nerve region on the lingual side, the separator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 to 1.5 mm to be formed in an area of 8 to 10 mm in length and 7 to 10 mm in width.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유도대는, 상기 제2대구치의 치관의 원심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대구치의 치조골에서부터 3 ~ 5mm 되는 위치에 2.5 ~ 3.5mm 폭으로 치관의 원심면에 밀착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the guide band is in contact with the distal surface of the crown of the second molar, and at a position 3 to 5 mm from the alveolar bone of the second molar, the distal surface of the crown with a width of 2.5 to 3.5 mm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i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보호대는, 제3대구치 발치 시 설신경측으로 접근되는 공구가 차단되는 강도로 된 금속소재 또는 합금소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the guard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n alloy material having a strength that blocks the tool approaching the lingual nerve during extraction of the third molar.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유도대와 고정대는, 상기 유도대와 고정대의 내면으로 상기 제2대구치의 치관과 접촉되어 일시적 고정되는 점착층이 더 형성되게 구상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it is preferable to envision that the guide band and the fixture are further formed with an adhesive layer temporarily fixed in contact with the crown of the second mo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and the fixture.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격리판은 상기 제3대구치의 잇몸 내측면과 마주하여 표면에 수술도구가 미끄러지지 않는 거칠기의 논슬립면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논슬립면의 하단을 구부려 미끄러지는 수술도구가 걸리는 제어편이 더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the separator faces the inner surface of the gum of the third molar to form a non-slip surface of roughness on the surface that does not slip on the surgical tool, and bends the lower end of the non-slip surface to slid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control piece to which the surgical tool is hung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은 설신경이 포함되어 있는 설측점막과 설측골을 제2대구치 발치수술이 완료 될 때까지 가로막은 상태로 수술하게 되지만, 수술 시야가 방해되지 않은 상태가 되며 동시에 설신경측으로 고속회전되는 드릴의 접근이 완벽하게 차단되어 의료진에게 효율적인 수술환경 제공과, 환자의 신체가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gual mucosa and lingual bone, which contain the lingual nerve, ar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lingual mucosa and the lingual bone are blocked until the extraction of the second molar is completed, but the surgical field of view is not obstructed. This is completely blocked, providing an efficient operating environment to the medical staff, and has the advantage of protecting the patient's body.
또한, 본 발명은 하악의 치조골에서 제 3대구치의 발치 시 설신경 상해 걱정이 없게 하므로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안전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safe medical services are provided to both patients and medical staff because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nerve injury during extraction of the third molar from the alveolar bone of the mandible.
도 1은 하악의 사랑니에 대한 상태도로 (A)는 하악의 치아배열도 (B)는 매복사랑니의 측면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설신경 보호대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설신경 보호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설신경 보호대의 정면도.
도 5는 도3의 단면도로 (A)는 A-A선단면도이고, (B)는 B-B선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설신경 보호대를 장착한 상태도인데, (A)는 정상적 사랑니에 장착되는 상태, (B)는 매복사랑니에 장착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설신경 보호대를 매복사랑니에 장착한 평면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중 격리판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for a mandibular wisdom tooth (A) is a dental arrangement diagram of the mandible (B) is a side state diagram of an impacted wisdom tooth.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ngual nerve protec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plan view of the lingual nerve guar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front view of the lingual nerve protec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AA, (B) is a cross-sectional view BB,
6 is a state diagram of the lingual nerve pro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A) is a state mounted on a normal wisdom tooth, (B) is a state mounted on an impacted wisdom tooth
7 is a plan view of the lingual nerve pro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n impacted wisdom tooth;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eparator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 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 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matter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and examp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설신경 보호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lingual nerve guar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하악의 사랑니에 대한 상태도로 (a)는 하악의 치아배열도 (b)는 매복사랑니의 측면상태도인데, 구강의 하악(90)에 위치한 치아는, 잇몸(91) 중앙에 위치하여 섭취하는 음식물을 절단할 수 있는 앞니(101), 앞니(101)의 양 옆으로 섭취된 음식물을 찢어 조각내는 송곳니(102)가 위치하며, 송곳니(102)의 옆에는 섭취된 음식물을 부스고 으깨어 삼키기 좋게 하는 어금니(103)가 위치한다.1 is a state diagram for a wisdom tooth of the mandible (a) is a dental arrangement diagram of the mandible (b) is a side state diagram of an impacted wisdom tooth. The
이와 같은 치아(100)구조에서 사랑니라고 불리는 제3대구치는 (B)에 도시된 제2대구치(103a)처럼 수직방향으로 자라는 경우도 있지만, 사랑니가 잇몸(91) 속에서 옆으로 기울져 제2대구치(103a)의 측면에 닿는 상태로 자라는 경우기 있는데, 이 경우 음식물을 씹을 때마다 제3대구치(103b)에 의해 잇몸(91)에 통증이 생기고, 이는 결국 염증 유발로 인해 골수염, 우식증, 지치주염, 잇몸염, 인접치손상 등 다양한 구강의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잇몸을 절개하여 제거하는 수술이 요구된다.In this structure of the
이러한 제3대구치 발치 수술에는 고속회전드릴이 사용되므로 잇몸주위에 분포된 설신경이 다치지 않도록 세밀한 주의가 필요하고, 제3대구치의 상태가 (B)도면처럼 옆으로 된 경우에는 발치 수술이 간단하지 않아 수술 중에 설신경이 다치는 경우가 있어 설신경에 접근되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장치가 요구된다. Since a high-speed rotating drill is used for this 3rd molar extraction operation, careful attention is needed not to injure the lingual nerve distributed around the gums. Because the lingual nerve may be injured during surgery, a safety device to block access to the lingual nerve is required.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설신경 보호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설신경 보호대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설신경 보호대의 정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ngual nerve protec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plan view of the lingual nerve protec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lingual nerve protec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3대구치(103b) 발치 시 설신경을 보호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호대(200)는, 구강의 하악(90)에 위치한 제2대구치(103a)와 제3대구치(103b) 상단 사이에 형성된 골(105)에 설치되는 유도대(210)가 구비된다. The
상기 유도대(210)의 일단은, 순면(볼내측면)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2대구치(103a)의 외면 즉, 치관(104)의 치경부 협면에 휘감기도록 구부리는 고정대(230)가 일체로 구비되게 한다. One end of the
상기 유도대(210)의 타단은, 설면(혀측면)방향으로 연장하여 수직하방향으로 구부려서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 판상이 형성되게 하여 설신경이 분포된 상기 제3대구치(103b) 위치의 잇몸과 설면 사이의 공간을 격리하는 격리판(250)이 형성되게 한다.The other end of the
상기 격리판(250)이 상기 제3대구치 위치의 잇몸 내측에 위치하도록 함에 있어서는 상기 유도대(210)와 격리판(250)사이에 소정의 길이로 되며 수직하방향으로 구부리는 스페이스대(220)가 구비되게 한다.When the
이러한, 스페이스대(220)는 제2대구치(103a)와 제3대구치(103b)의 상단 골(105)에서 잇몸(91)측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스페이스대(220)에서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상기 격리판(250)은 사각판상의 면적으로 인해 구강 내에 분포된 설신경 특히 악골 최후방 위치의 잇몸과 혀의 측면에 분포된 설신경들을 가리게 된다. The
잇몸과 혀 사이의 공간에서 설신경들을 가리기 위해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격리판(250)은 제3대구치의 발치 수술 도중 수술도구가 제거되는 제3대구치(103b)를 벗어나 잇몸을 통해 설신경이 분포된 혀의 측면으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께가 1~1.5mm 되는 판(板)을 선택함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격리판(250)를 형성함에 있어 요구되는 소정의 면적은 세로 8~10mm, 가로 7~10mm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발치 중인 제3대구치(103b)를 벗어나 잇몸을 통해 설신경이 분포된 혀의 측면으로 진입되는 현상을 차단하기에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area required for forming the
상기 제3대구치(103b)의 발치 수술하는 수술도구는 고속 회전되는 드릴 및 컷팅툴이므로 이들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격리판(250)을 포함한 보호대(200)의 소재를 표면강도가 큰 금속소재 또는 합금소재를 선택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surgical tool for extraction of the
도 5(a)는 도 3의 a-a’선단면도이고, (b)는 b-b’선단면도인데, 본 발명의 보호대(200)를 사랑니 발치 시에 치아에 고정되게 하는 상기 유도대(21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즉, 유도대(210)는 상기 제3대구치(103b)의 상단과, 제2대구치(103a)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 골(105) 또는 골틈(107)을 가로지르는 상태에서 제2대구치(103a)의 치경부 협면에 접촉되는 것이어서 설치상태의 안정됨을 위하여 도 5(b)와 같이 단면이 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게 한다. 5 (a) is a sectional view of a-a' of FIG. 3, (b) is a sectional view of b-b', the guide band ( 210) shows a specific configuration. That is, the
이러한 사각 또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된 유도대(210)는 상기 제2대구치(103a)와 제3대구치(103b)의 상단 사이의 골(105) 또는 골틈(107)위치에서 제2대구치(103a)의 치경부 협면에 내측의 평면(232)이 접촉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The
또한, 유도대(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대(230)는 도 5(a)와 같이 제2대구치(103a)의 치관(104) 걸리는 상태를 이루어 보호대(200)가 제3대구치(103b)위치의 잇몸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안정적 고정을 위하여 제2대구치(103a) 치경부에 휘감길 수 있도록 구부린 고리부(230a)가 형성되게 하였는데, 입안에서의 감각적인 불편함이 없도록 외측면을 반구형으로 하며, 고리부(230a)의 내측면은 제2대구치(103a)의 치관(104)면과의 안정된 접촉이 유지되는 치경부의 만곡을 따르는 평면(232)으로 형성되게 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유도대(210)와 고정부(230a)는 제2대구치(103a)의 원심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치관(104)에 휘감기면서 걸어지는 구성으로 고정상태를 이루게 되나, 그 고정상태가 보호대(200)의 표면강도가 큰 금속소재 또는 합금소재의 가요성(可撓性) 만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The
그러나 경우에 따라 발치 수술 도중 제3대구치를 벗어난 수술도구가 잇몸을 통해 설신경이 분포된 혀의 측면으로 진입되려는 상황에서 차단력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유도대(210)와 고정대(230) 내측면의 평면(232)에 의료용 접착본드로 된 점착층(240)을 더 형성함으로 유도대9210)와 고정대(230)는 제2대구치(103a)의 치관(104) 외면을 포함한 치경부 협면에 휘감기며 접착되므로 보호대(200)는 제2대구치(103a)와 설면 사이의 구강공간의 격리상태는 안정되게 유지된다. However, in some cases, in order to maximize the blocking force in a situation in which the surgical tool outside the third molar is about to enter the side of the tongue where the lingual nerve is distributed through the gum during tooth extraction surgery, the pla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도 6는 본 발명의 사랑니 발치 시 설신경 보호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tongue nerve protector is installed at the wisdom tooth extraction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불필요한 제3대구치 발치 시 설신경을 보호하기 위해 제2대구치(103a)와 제3대구치(103b)의 잇몸과 설면 사이의 공간을 보호대(200)로 격리시키는 작업을 하게 된다. In order to protect the lingual nerves during the extraction of unnecessary third molars, the space between the gums and the lingual surfaces of the
먼저, 보호대(200)의 격리판(250)을 하악에 위치한 제2대구치(103a)와 제3대구치(103b)와 설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시킨 뒤, 유도대(210)를 제2대구치(103a)와 제3대구치(103b)사이에 형성된 골(105)의 공간을 가로지게 위치시키면 유도대(210)는 제2대구치(103a)의 상단과, 제3대구치(103b)의 상단 사이의 골(105) 또는 골틈(107)에 밀착되는 상태되고, 유도대(210)에 일체로 된 고정대(230)는 순면측에서 제2대구치(103a)의 원심면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며, 상기 고정대(230)의 구부러진 고리부(230a)는 제2대구치(103a)의 치경부 협면을 따라 걸어지는 상태에 의하여 보호대(200)는 잇몸과 설면 사이의 공간을 격리시키게 된다. First, the
상기와 같은 보호대(200) 설치상태에서 유도대(210)는 단면이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태이고, 고정대(230)의 고리부(230a)도 그 단면이 반구형태이므로 단면에 형성된 평면(232)이 제2대구치(103a)의 외면 즉 치관(104)면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게 되어 보호대(200)의 설치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특히, 유도대(210)가 제2대구치(103a)와 제3대구치(103b)사이의 골(105)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상태에서 유도대(210)의 평면(232)이 상기 제2대구치의 치관의 원심면에 에 접촉되되, 상기 제2대구치(103a)의 치조골에서부터 3 ~ 5mm 위치에 2.5 ~ 3.5mm 폭으로 치관의 원심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므로 보호대(200)의 격리판(250)이 사랑니 즉, 제3대구치(103b)에 걸리지 않고 잇몸(91)의 측면에서 설면측의 공간을 가로막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In particular,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table 210 is installed to cross the
또한, 고정대(230)의 구부러진 고리부(230a)는 접촉되는 제2대구치(103a)의 치경부 협면을 휘감게 되므로 좁은 공간에서의 접촉면적의 극대화를 이루어 보호대(200)의 설치에 대한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상기처럼 설치되는 보호대(200)의 고리부(230a)의 평면(230)과 유도대(210)의 평면(232)에는 점착층(232)을 더 형성할 수 있는 특징으로 제2대구치(103a)의 원심면 및 치관(104) 외면에 밀착되는 구조에 점착소재의 접착 특성이 더해져 보호대(200)의 설치는 매우 견고하게 유지된다. The
도 7은 본 발명의 설신경 보호대를 매복사랑니에 장착한 상태인데 (a) 평면 설치상태를 나타내고, (b)는 내측면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안면의 하악 구강 잇몸(91) 밖으로 자라지 못하고 옆으로 기울게 자라서 잇몸 속에서 제2대구치(103a)측면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면 전체적인 치아의 보호와 구강의 건강을 위협하므로 이 경우는 잇몸을 절개하고 제3대구치(103b)를 강제로 발치하는 수술을 하게 되는 바, 발치과정에서 힘이 많이 들어가고 고속 회전되는 공구가 부칙 된 수술 장비를 동원하므로 의료인의 숙련도가 더욱 요구되는 실정에서 보호대(200)를 잇몸(91)과 설면 사이 공간에 설치되게 한다. 7 is a state in which the lingual nerve pro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n impacted wisdom tooth. (a) shows a flat installation state, and (b) shows a medial surface installation state. If it grows obliquely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second molar (103a) in the gum, overall tooth protection and oral health are threatened. As a result, a lot of force is entered in the extraction process and a high-speed rotating tool mobilizes the attached surgical equipment, so the
특히, 제3대구치(103b)가 잇몸 안에 있으므로 유도대(210)를 도 6처럼 제2대구치(103a)와 제3대구치(103b)사이의 골(105)을 가로지르게 설치할 수 없는 상황에서 격리판(250)을 잇몸(91)과 설면 사이로 삽입한 상태에서 유도대(210)가 잇몸(91)을 가로지르게 한 상태로 제2대구치(103a)의 원심면에 접촉되게 설치하면서 고정대(230)의 고리부(230a)가 제2대구치(103a)의 치관(104)에 걸리게 하면 격리판(250)이 잇몸(91)의 측면에서 설면측의 공간을 가로막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즉, 유도대(210)가 하악 구강의 잇몸(91)에서 볼측면 측으로 제2대구치(103a)와 잇몸 사이를 가로 지르며 고리부(230a)가 치관(104)의 치경부에 걸어지고 동시에 고리부(230a)의 평면(232)에 형성된 점착층(240)이 치관(104)의 외면에 들러붙는 상태가 되므로, 안정도는 더욱 향상된다. That is, the
이러한 설치상태에서 구강 쪽으로 뻗은 유도대(210)의 스페이스대(220)에 연결된 격리판(250)을 하악의 구강 바닥방향으로 위치하게 하므로 설(舌)측의 잇몸 측면을 가리게 된다. In this installation state, since the
이때, 격리판(250)의 규격이 1~1.5mm 두께의 판을 세로 8~10mm, 가로 7~10mm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면적으로 잇몸과 설측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가로막는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standard of the
도 8은 본 발명 중 격리판에 대한 종단면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잇몸 내측면에 접촉되는 보호대(200)의 격리판(250)은 설측공간을 가로막고 있는 상태로 된다. 이는 의료진에 의한 사랑니 발치 수술 시 부주의 및 실수 등으로 수술도구(드릴)가 볼 측에서 잇몸을 통과하여 설측의 신경으로 접근될 때 수술도구의 선단 진입이 설측 공간을 가로막고 있는 격리판(250)에 의해 저지당하고 격리판 소재의 표면강도에 의해 차단되므로 의료사고와 환자의 피해를 예방하게 된다. 8 show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eparato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 the
발치 수술자리를 이탈한 수술도구를 가로막는 상기 격리판(250)은 표면강도에 의해 더 이상의 진입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수술도구 선단이 미끄러질 수도 있으므로 수술도구의 선단이 격리판(250)에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격리판(250)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함에 따른 요철 또는 요홈군이 구비되는 논슬립면(251)이 형성되게 하며, 격리판(250)의 최하단을 구부려 하악골 내면의 해부학적 구조를 따르고 삽입 시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제어편(253)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The
따라서, 수술도구가 격리판(250)의 논슬립면(251)에 접촉될 때 표면거칠기 또는 요홈군에 의해 미끌어지거나, 벗어나는 현상이 예방된다. 또한, 격리판(250)에 의해 진입이 저지(沮止) 당하는 수술도구의 선단이 격리판(250)표면에서 미끌어질 경우, 격리판(250)의 최하단을 구부려 형성한 제어편(253)에 최종적으로 걸려 수술자가 수술도구가 잘못된 위치에 도달되었음을 인지하여 멈추거나, 수술도구의 진입을 최후까지 차단하여 설신경이 다치는 안전사고를 차단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urgical tool is in contact with the
제3대구치(103b)의 발치수술이 완료되면 보호대(200)의 고리부(230a)를 제2대구치(103a)에서 벗겨내고, 제2대구치(103b)에 밀착된 유도대(210)를 떼어내어 분리시키면 격리판(250)은 잇몸(91)과 설면사이의 격리하고 았있던 위치에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extraction operation of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치아 101 : 앞니 102 : 송곳니
103 : 어금니 103a: 제2대구치 103b: 제3대구치
105 : 골 107 : 골틈 104 : 치관
200 : 보호대 210 : 유도대 220 : 스페이스대
230 : 고정대 232 : 평면 240 : 점착증
250 : 격리판 251 : 논슬립면 100: teeth 101: incisors 102: canine teeth
103: molar 103a:
105: bone 107: bone gap 104: crown
200: protector 210: induction band 220: space band
230: fixture 232: flat 240: adhesiveness
250: separator 251: non-slip surface
Claims (8)
상기 유도대의 일측이 순면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2대구치의 외면을 휘감아 유동되지 않게 하는 고정대;
상기 유도대의 타측은 제3대구치의 설측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며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대구치의 잇몸과 설신경이 분포된 설면 사이가 격리되게 하는 격리판; 을 포함하여서 되는, 하악 제 3대구치 발치 시 설신경 보호대.
a guide belt inser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molars located in the mandible of the oral cavity;
a fixing bar with one side of the guide band extending toward the labial side and winding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olar to prevent it from flowing;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and is extended and bent in the lingual direction of the third molar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separate the gum of the third molar and the lingual surface on which the lingual nerve is distributed; Including, the mandibular third molar extraction facility lingual nerve guard.
상기 유도대는,
상기 제3대구치와 제2대구치의 상단 사이의 골을 가로지르며 단면이 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제2대구치의 치경부 협면면에 접촉되는 평면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제 3대구치 발치 시 설신경 보호대.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band,
A lingual nerve guard during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characterized in that it crosses the bone between the third molar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molar and has a square or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is in contact with the buccal surface of the cervical region of the second molar.
상기 고정대는,
상기 유도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구부려 상기 제2대구치의 치관 하단을 휘감는 고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의 내면은 상기 제2대구치의 치관에 접촉되는 평면이고, 상기 고리부의 외면은 반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제 3대구치 발치 시 설신경 보호대.
According to claim 1,
The fixture,
A ring portion is formed tha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guide band and wraps around the lower end of the crown of the second molar by bending 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is a plane in contact with the crown of the second mola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is formed as a hemispherical surface, the mandibular third molar tooth extraction system nerve protector.
상기 격리판은,
상기 유도대에서 절곡되는 스페이스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3대구치가 발치되는 잇몸위치에서 설면측으로 진입되는 수술도구를 가로막는 면적으로 되며, 접촉되는 수술도구를 저지하기에 충분한 표면강도로 된 금속소재 또는 합금소재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제 3대구치 발치 시 설신경 보호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or is
A metal material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ace band bent from the guide band and has a surface strength sufficient to block the surgical tool in contact with the area that blocks the surgical tool from entering the lingual side from the gum position from which the third molar is extracted. O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 alloy material, the mandibular third molar extraction facility nerve guard.
상기 격리판은,
상기 제3대구치의 잇몸 내측면에 위치하여 설면측의 설신경부위를 가로막되, 상기 격리판은 두께 1~1.5mm의 판을 세로 8~10mm, 가로 7~10mm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제 3대구치 발치 시 설신경 보호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or is
It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ms of the third molar and blocks the lingual nerve area on the lingual side, wherein the separator is formed with a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 to 1.5 mm in an area of 8 to 10 mm in length and 7 to 10 mm in width. Lower jaw, lingual nerve guard for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상기 유도대는,
상기 제2대구치의 치관의 원심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2대구치의 치조골에서부터 3 ~ 5mm 되는 위치에 2.5 ~ 3.5mm 폭으로 치관의 원심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제 3대구치 발치 시 설신경 보호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band,
When the mandibular third molar is extract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ontact with the distal surface of the crown of the second mola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tal surface of the crown with a width of 2.5 to 3.5 mm at a position of 3 to 5 mm from the alveolar bone of the second molar. lingual nerve guard.
상기 유도대와 고정대는,
상기 유도대와 고정대의 내면으로 상기 제2대구치의 치관과 접촉되어 일시적 고정되는 점착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제 3대구치 발치 시 설신경 보호대.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bar and the fixing bar,
Mandibular third molar extraction facility nerve gu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band and the fixture further forms an adhesive layer that is temporarily fixed in contact with the crown of the second molar.
상기 격리판은
상기 제3대구치의 잇몸 내측면과 마주하여 표면에 수술도구가 미끄러지지 않는 거칠기의 논슬립면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논슬립면의 하단을 구부려 미끄러지는 수술도구가 걸리는 제어편이 더 구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제 3대구치 발치 시 설신경 보호대.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parator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non-slip surface of a roughness on which the surgical tool does not slip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m of the third molar, and a control piece on which a sliding surgical tool is hung by bending the lower end of the non-slip surface is further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 Lingual nerve guard for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2199A KR102413272B1 (en) | 2020-07-24 | 2020-07-24 | tongue nerve protector for removal of cod teeth in lower jaw posi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2199A KR102413272B1 (en) | 2020-07-24 | 2020-07-24 | tongue nerve protector for removal of cod teeth in lower jaw posi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3116A KR20220013116A (en) | 2022-02-04 |
KR102413272B1 true KR102413272B1 (en) | 2022-06-27 |
Family
ID=8026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2199A Active KR102413272B1 (en) | 2020-07-24 | 2020-07-24 | tongue nerve protector for removal of cod teeth in lower jaw posi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3272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18852A (en) | 1984-08-14 | 1988-01-12 | Galler Jeffrey M | Kit of armamentarium for restoring posterior teeth with interproximal decay |
US20040259055A1 (en) | 2003-06-21 | 2004-12-23 | Ronald Sherry | Cheek, Lip and Tongue Shield |
CN209091467U (en) | 2018-02-02 | 2019-07-12 | 黄昕 | Novel lower jaw impacted wisdom tooth drag hook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3780A (en) | 2009-08-03 | 2011-02-1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Tooth extraction drill |
-
2020
- 2020-07-24 KR KR1020200092199A patent/KR10241327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18852A (en) | 1984-08-14 | 1988-01-12 | Galler Jeffrey M | Kit of armamentarium for restoring posterior teeth with interproximal decay |
US20040259055A1 (en) | 2003-06-21 | 2004-12-23 | Ronald Sherry | Cheek, Lip and Tongue Shield |
CN209091467U (en) | 2018-02-02 | 2019-07-12 | 黄昕 | Novel lower jaw impacted wisdom tooth drag hoo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3116A (en) | 2022-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asakura et al. | Root resorption of upper permanent incisor caused by impacted canine: an analysis of 23 cases | |
Nayyar et al. | Fractured root tips during dental extractions and retained root fragments. A clinical dilemma? | |
Welbury et al. | Managing dental trauma in practice | |
Korbendau et al. | Clinical success in impacted third molar extraction | |
Zachrisson | Actual damage to teeth and periodontal tissues with mesiodistal enamel reduction (" stripping"). | |
Rud | Reevaluation of the lingual split-bone technique for removal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 |
KR102413272B1 (en) | tongue nerve protector for removal of cod teeth in lower jaw position | |
Niemiec | Extraction techniques | |
Watted et al. | Titanium button with chain by Watted for orthodontic trac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s | |
US20190038379A1 (en) | Dental retractor | |
Smith | Exodontics | |
Lommer et al. | Simple extraction of single-rooted teeth | |
KAUGER | Management of impactions | |
Vlaminck et al. | Tooth extraction techniques in horses, pet animals and man | |
Ito et al. | Incomplete fractures in intact bilateral maxillary first molars: a case report. | |
Easson | Tooth extraction | |
Gazit et al. | A mesially impacted mandibular second molar. Treatment considerations and outcome: a case report | |
Shivji et al. | Not your average dental swelling… | |
Al-Ogayel et al. | The prevalence of impacted third molars and their associated pathologies in adult patients | |
Easley | Equine intraoral cheek tooth extraction. | |
BESHKENADZE et al. | IMPACTED THIRD MOLARS–SEARCHING FOR SOLUTIONS: РЕТЕНЦИЯ ЗУБА МУДРОСТИ-В ПОИСКАХ РЕШЕНИЙ | |
Munerato et al. | The importance of methods imaging in the diagnosis of displacement to mandibular molar root fragment: case report | |
Goel et al. | General dentist venturing into the field of veterinary dentistry | |
Momeni et al. | Lower arch protection | |
Niemiec | Extraction Techniques and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