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12965B1 -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965B1
KR102412965B1 KR1020140194323A KR20140194323A KR102412965B1 KR 102412965 B1 KR102412965 B1 KR 102412965B1 KR 1020140194323 A KR1020140194323 A KR 1020140194323A KR 20140194323 A KR20140194323 A KR 20140194323A KR 102412965 B1 KR102412965 B1 KR 10241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imensional
material layer
conductive
nanomateria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102A (ko
Inventor
이민현
신현진
이재호
김해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965B1/ko
Priority to US14/728,583 priority patent/US9922825B2/en
Priority to JP2015215581A priority patent/JP6727790B2/ja
Priority to CN201510765524.4A priority patent/CN105742358B/zh
Publication of KR2016008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102A/ko
Priority to US15/817,979 priority patent/US1046093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9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68Chalcogenide semiconducting materials not being oxides, e.g. ternary compoun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40FETs having zero-dimensional [0D], one-dimensional [1D] or two-dimensional [2D] charge carrier gas channels
    • H10D30/47FETs having zero-dimensional [0D], one-dimensional [1D] or two-dimensional [2D] charge carrier gas channels having 2D charge carrier gas channels, e.g. nanoribbon FETs or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HEM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8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 H01L21/0228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printing, e.g. ink-jet pri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87Structure
    • H01L21/0259Micro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3Liquid deposition
    • H01L21/02628Liquid deposition using solu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15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s or heterojunction gate electrodes, e.g. HEM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 H10D30/03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of thin-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4Thin-film transistors [TFT] characterised by the active materials
    • H10D30/6741Group IV materials, e.g. germanium or silicon carbi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4Thin-film transistors [TFT] characterised by the active materials
    • H10D30/6741Group IV materials, e.g. germanium or silicon carbide
    • H10D30/6743Silicon
    • H10D30/6744Monocrystalline silic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4Thin-film transistors [TFT] characterised by the active materials
    • H10D30/675Group III-V materials, Group II-VI materials, Group IV-VI materials, selenium or telluriu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57Thin-film transistors [TFT]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e.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hape or doping profi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17Shapes of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18Nanostructure semiconductor bod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17Shapes of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18Nanostructur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19Nanowire, nanosheet or nanotub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21Nanowire, nanosheet or nanotube semiconductor bodies oriented parallel to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7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electrodes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channel regions
    • H10D62/213Channel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10D62/221Channel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ETs
    • H10D62/235Channel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ETs of IGF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8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10D62/881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being a two-dimensional material
    • H10D62/882Graph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6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s
    • H10D64/64Electrodes comprising a Schottky barrier to a semiconduc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6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s
    • H10D64/64Electrodes comprising a Schottky barrier to a semiconductor
    • H10D64/647Schottky drain or source electrodes for IGF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8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05Nanosized electrodes, e.g. nanowire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Abstract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소자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과, 이 제1 및 제2 전극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2차원 물질층은 그 각각이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된 복수의 2차원 나노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Electronic device having two dimensional material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nic device using inkjet printing}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래핀은 탄소원자들이 2차원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물질로서, 원자 크기 수준의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그래핀은 실리콘(Si)에 비해 높은 전기 이동도 및 우수한 열특성을 가지며,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표면적이 넓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래핀은 밴드갭(band gap)이 0eV 이기 때문에 그래핀을 이용하여 제작된 트랜지스터는 낮은 on/off 전류비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높은 대기 전류(standby current)가 발생됨으로써 트랜지스터 소자의 동작 효율이 나빠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그래핀을 개질하는 방법에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그래핀 개질 방법은 on/off 전류비를 높일 수는 있으나 on 전류 밀도나 이동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공정 비용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그 각각이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된 복수의 2차원 나노물질(2D nano material)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2D material layer);을 포함하는 전자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2차원 나노물질은 반도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2차원 물질층은 도전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물질은 예를 들면, 그래핀(graphene), 도전성 입자, 도전성 나노튜브 및 도전성 나노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전성 입자는 예를 들면, Ag, Au, Pt, Cu 및 플러렌(fuller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나노튜브는 CNTs(carbon nanotubes)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성 나노와이어는 예를 들면 Ag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원 물질층에서 상기 2차원 나노물질들의 함량은 50 vol%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2차원 물질층은 도핑물질(dopan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차원 나노물질은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2차원 물질층은 채널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2차원 물질층에 마련되는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에 마련되는 게이트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2차원 물질층 사이에 쇼트키 접합(Schottky junction)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차원 나노물질들 사이에 p-n 접합(p-n junction)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차원 나노물질들 각각은 단층 또는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차원 나노물질을 구성하는 층들 각각은 수nm 이하의 두께 및 수십nm ~ 수백nm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차원 물질층은 수nm ~ 수백nm의 두께 및 수백nm ~ 수백㎛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2차원 나노물질은 TM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Phosphorene (Black Phosphorus), Germanane 및 Silic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MD는 MoS2, MoSe2, MoTe2, WS2, WSe2, WTe2, TaS2, TaSe2, TiS2, TiSe2, HfS2, HfSe2, SnS2, SnSe2, GeS2, GeSe2, GaS2, GaSe2, Bi2S3, Bi2Se3 및 Bi2Te3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2차원 물질층은 기판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은 유연한(flexibl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반도체 특성을 가지며 그 각각이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된 복수의 2차원 나노물질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을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하여 기판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원 물질층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2차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에 용매 및 상기 2차원 나노물질들을 포함하는 잉크를 토출시켜 잉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잉크 패턴을 건조시켜 상기 2차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Water, Acetone,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Cyclohexanone, Cyclohexane, Chlorobenzene, Chloroform, Formamide, N-methyl formamide, N-methyl pyrrolidinone, N-vinyl pyrrolidinone, Dimethylsulphoxide, Benzonitrile, Cyclohecyl-pyrrolidinone, N-dodecyl pyrrolidone, Benzyl Benzoate, Benzyl ether Bromobenzene, Dimethylacetamide 및 Dimethylformamide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에 대한 상기 2차원 나노물질들의 혼합비율은 1㎍/mL ~ 100mg/mL 이 될 수 있다.
상기 잉크는 도전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물질은 그래핀, 도전성 입자, 도전성 나노튜브 및 도전성 나노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는 도핑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차원 나노물질은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잉크젯 프린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그래핀, Ag 입자, Au 입자, Pt 입자, Cu 입자, CNTs(carbon nanotubes) 및 Ag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원 물질층에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은 잉크젯 프린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잉크젯 프린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2차원 나노물질들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을 채널층으로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 소자 등과 같은 전자 소자의 동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2차원 물질층은 다이오드 소자, 센서 소자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소자에도 응용될 수 있다. 2차원 물질층을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하게 되면 전자 소자를 대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더구나, 전자소자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모두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전자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2차원 물질층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2차원 물질층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물질층의 형성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Ⅱ-Ⅱ'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물질층이 기판이나 다른 층 에 존재한다고 설명될 때, 그 물질층은 기판이나 다른 층에 직접 접하면서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다른 제3의 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아래의 실시예에서 각 층을 이루는 물질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외에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전자소자의 일 예로서 언더 게이트(under-gate) 구조의 트랜지스터 소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소자(100)는 게이트 전극(120), 게이트 절연층(130), 2차원 물질층(140) 및 제1 및 제2 전극(151,152)을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120)은 기판(110)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10)으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의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판(110)으로는 플라스틱 기판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의 기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판(110)의 상면에는 기판(110)과 게이트 전극(120) 사이의 절연을 위해 절연층(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절연층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기판(110)이 절연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기판(110)의 상면에 절연층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전극(120)은 그래핀(graphene), CNTs(carbon nanotubes) 또는 Ag, Au, Pt, Cu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외에도 게이트 전극(120)은 다른 다양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30)은 게이트 전극(120)을 덮도록 기판(110)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게이트 절연층(130)은 다양한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절연층(130)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질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절연성 폴리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게이트 절연층(1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층(130)에는 2차원 물질층(14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2차원 물질층(140)은 채널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물질층(140)은 게이트 전극(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2차원 물질층(140)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물질층(140)은 복수의 2차원 나노물질(2D nano material,141) 각각이 그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2차원 나노물질(141)이라 함은 2차원 형태의 결정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나노 사이즈의 물질을 의미한다.
2차원 나노물질들(141) 각각은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원 나노물질들(141) 각각은 수십 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2차원 나노물질(141)을 구성하는 층들 각각은 대략 수 nm 이하의 두께의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원 나노물질(141)을 구성하는 층들 각각은 2n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2차원 나노물질(141)을 구성하는 층들 각각은 수십nm ~ 수백nm 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나노물질(141)은 사각형, 오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원 나노물질들(141) 각각이 서로 그 일부가 중첩됨으로써 2차원 물질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물질층(14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된 2차원 물질층(140)은 그 두께는 대략 수nm ~ 수백n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그 사이즈는 대략 수백nm ~ 수백㎛ 정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2차원 물질층(140)을 형성하게 되면, 대면적의 2차원 물질층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2차원 물질층(140)은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2차원 나노물질들(141)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2차원 나노물질(141)은 TM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Phosphorene (Black Phosphorus), Germanane 및 Silic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TMD는 예를 들면, MoS2, MoSe2, MoTe2, WS2, WSe2, WTe2, TaS2, TaSe2, TiS2, TiSe2, HfS2, HfSe2, SnS2, SnSe2, GeS2, GeSe2, GaS2, GaSe2, Bi2S3, Bi2Se3 및 Bi2Te3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2차원 나노물질들(141)로 구성된 2차원 물질층(140)은 그래핀에 비해 이동도는 낮지만, 밴드갭이 0eV 보다 큰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2차원 물질층(140)을 트랜지스터 소자(100)의 채널층으로 사용하게 되면 on/off 전류비를 100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소자(100)의 동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2차원 물질층(140)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 전극(151,152)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전극(151,152)은 2차원 물질층(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게이트 절연층(130)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151,152)은 각각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alternatively), 제1 및 제2 전극(151,152)은 각각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이 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전극(151,152)은 게이트 전극(120)과 마찬가지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전극(151,152)은 그래핀, CNTs 또는 Ag, Au, Pt, Cu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151,152)과 게이트 전극(120)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2차원 물질층(140)이 2차원 나노물질들(141)로만 구성된 경우가 설명되었으나, 2차원 물질층(140)은 2차원 나노물질들(141) 외에 다른 물질이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2차원 물질층(140)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2차원 물질층(140')은 복수의 2차원 나노물질(141)과 도전성 물질(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2차원 나노물질들(141)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성 물질(142)은 2차원 나노물질들(141)에 부착되어 2차원 나노물질들(141) 사이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2차원 물질층(140)에 포함된 도전성 물질(142)에 의해 전자 소자(100)의 on 전류가 증가될 수 있다.
2차원 물질층(140) 내에 포함되는 도전성 물질(142)은 예를 들면, 그래핀(graphene), 도전성 입자, 도전성 나노튜브 및 도전성 나노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 입자는 예를 들면, Ag, Au, Pt, Cu 및 플러렌(fuller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나노튜브는 예를 들면, CNTs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 나노와이어는 예를 들면, Ag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차원 나노물질들(141)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140)이나 또는 2차원 나노물질들(141)과 도전성 물질(142)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140')에는 도핑물질(dopant)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도핑물질은 특정 전하들만 통과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2차원 물질층(140)에 포함된 도핑 물질에 의해 전자소자(100)의 Off 전류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도핑 물질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2차원 물질층(140)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잉크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2차원 물질층(140)을 구성하는 2차원 나노물질들(141) 자체가 미리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트랜지스터 소자(100)의 채널층으로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2차원 나노물질들(141)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140)을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 소자(100)의 동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2차원 물질층(140)을 후 D하는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하게 되면 트랜지스터 소자(100)를 대면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2차원 물질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물질층의 형성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기판(250) 위에 잉크젯 프린팅 장치(200)를 마련한다. 여기서, 잉크젯 프린팅 장치(200)는 2차원 물질층(도 5d의 240)의 형성을 위한 잉크(230)가 채워진 잉크챔버(220)와, 이 잉크(230)를 기판(250)에 토출(eject)시키는 잉크젯 헤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잉크젯 프린팅 장치(200)는 예를 들면, 열구동(thermal) 잉크젯 방식이나 또는 압전구동(piezoelectric) 잉크젯 방식에 의해 잉크(230)를 토출시킬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차원 물질층(240)의 형성을 위한 잉크(230)는 복수의 2차원 나노물질들(241)을 소정 용매(243)에 혼합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용매(243)는 예를 들면, Water, Acetone,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Cyclohexanone, Cyclohexane, Chlorobenzene, Chloroform, Formamide, N-methyl formamide, N-methyl pyrrolidinone, N-vinyl pyrrolidinone, Dimethylsulphoxide, Benzonitrile, Cyclohecyl-pyrrolidinone, N-dodecyl pyrrolidone, Benzyl Benzoate, Benzyl ether Bromobenzene, Dimethylacetamide 및 Dimethylformamide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용매(243)에 2차원 나노물질들(241)이 혼합됨으로써 2차원 물질층(240)의 형성을 위한 잉크(230)가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용매(243)에 대한 2차원 나노물질들(241)의 혼합비율은 대략 1㎍/mL ~ 100mg/mL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차원 나노물질(241)은 전술한 바와 같이, 2차원 형태의 결정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나노 사이즈의 물질을 말한다. 2차원 나노물질(241)은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나노물질(241)을 구성하는 층들 각각은 대략 수 nm 이하의 두께의 가질 수 있으며, 수십nm ~ 수백nm 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2차원 나노물질(241)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원 나노물질(241)은 TM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Phosphorene (Black Phosphorus), Germanane 및 Silic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TMD는 예를 들면, MoS2, MoSe2, MoTe2, WS2, WSe2, WTe2, TaS2, TaSe2, TiS2, TiSe2, HfS2, HfSe2, SnS2, SnSe2, GeS2, GeSe2, GaS2, GaSe2, Bi2S3, Bi2Se3 및 Bi2Te3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차원 나노물질들(241)은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2차원 나노물질(241)은 소정의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미리 불순물로 도핑된 2차원 나노물질들(241)이 용매(243) 내에 혼합됨으로써 잉크(230)가 제작될 수 있다.
2차원 물질층(240)의 형성을 위한 잉크(230)에는 도전성 물질(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전성 물질은 예를 들면, 그래핀, 도전성 입자, 도전성 나노튜브 및 도전성 나노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 입자는 예를 들면, Ag, Au, Pt, Cu 및 플러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나노튜브는 예를 들면, CNTs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 나노와이어는 예를 들면, Ag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차원 물질층(240)의 형성을 위한 잉크(230)에는 도핑 물질(dopant)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즉, 2차원 나노물질들(241)이 도핑되지 않는(undoped)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용매(243) 내에 도핑 물질이 더 혼합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잉크젯 프린팅 장치(200)를 이용하여 잉크(230)를 기판(250)의 소정 위치에 토출시킨다. 이 과정에서 잉크젯 헤드(210)는 소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잉크(230)는 잉크젯 헤드(210)로부터 액적(droplet,211)의 형태로 토출되어 기판(250)에 잉크패턴(23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5c를 참조하면, 잉크젯 프린팅 공정이 완료되면 기판(250)에는 2차원 나노물질들(241) 및 용매(243)을 포함하는 잉크패턴(230')이 소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잉크패턴(230')을 건조시켜 용매(243)를 제거하게 되면 기판(250)에는 2차원 나노물질들(241)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24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잉크패턴(230')은 자연 건조 또는 소정의 가열을 통해 건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2차원 나노물질들(241) 각각이 그 적어도 일부가 중첩됨으로써 2차원 물질층(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물질층(240)은 그 두께는 대략 수nm ~ 수백n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그 사이즈는 대략 수백nm ~ 수백㎛ 정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2차원 물질층(240)의 형성을 위한 잉크(230) 내에 도핑 물질이 더 포함되거나 또는 잉크(230) 내에 미리 소정의 불순물로 도핑된 2차원 나노물질들(241)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된 2차원 물질층(240)은 소정의 도전형(conductive type)을 가지는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원 물질층(240)은 p형 반도체 물질 또는 n형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2차원 물질층(240)의 형성을 위한 잉크(230) 내에는 도전성 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전성 물질은 예를 들면, 그래핀, 도전성 입자, 도전성 나노튜브 및 도전성 나노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2차원 물질층(240)에서 도전성 물질은 2차원 나노물질들(241) 사이의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d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자소자(즉, 트랜지스터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먼저 기판(310)을 준비한 다음, 이 기판(310)에 게이트 전극(320)을 형성한다. 여기서, 기판(310)으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의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판(310)으로는 플라스틱 기판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의 기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기판(310)의 상면에는 기판(310)과 게이트 전극(320) 사이의 절연을 위해 절연층(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절연층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기판(310)이 절연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기판(310)의 상면에 절연층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게이트 전극(320)은 기판(310)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게이트 전극(320)의 형성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 전극(320)은 도전성 물질이 포함된 잉크를 잉크젯 프린팅 장치에 의해 기판(310)의 상면에 인쇄한 다음, 이를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잉크에 포함되는 도전성 물질은 예를 들면, 그래핀, Ag 입자, Au 입자, Pt 입자, Cu 입자, CNTs 및 Ag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게이트 전극(320)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 외에 다른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b를 참조하면, 기판(310)에 게이트 전극(320)을 덮도록 게이트 절연층(330)을 형성한다. 여기서, 게이트 절연층(330)은 고유전체(high-k dielectric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절연층(330)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질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절연성 폴리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게이트 절연층(330)의 형성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절연물이 포함된 잉크를 잉크젯 프린팅 장치에 의해 게이트 전극(320)을 덮도록 기판(310)에 인쇄한 다음, 이를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절연층(330)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 외에 다른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6c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층(330)에 2차원 물질층(340)을 형성한다. 2차원 물질층(340)은 게이트 전극(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물질층(340)은 채널층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2차원 나노물질들(341)이 서로 중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물질층(3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2차원 물질층(340)은 소정 용매에 2차원 나노물질들(341)이 혼합된 잉크를 잉크젯 프린팅 장치에 의해 게이트 절연층(330)의 상면에 인쇄한 다음, 이를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용매는 예를 들면, Water, Acetone,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Cyclohexanone, Cyclohexane, Chlorobenzene, Chloroform, Formamide, N-methyl formamide, N-methyl pyrrolidinone, N-vinyl pyrrolidinone, Dimethylsulphoxide, Benzonitrile, Cyclohecyl-pyrrolidinone, N-dodecyl pyrrolidone, Benzyl Benzoate, Benzyl ether Bromobenzene, Dimethylacetamide 및 Dimethylformamide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차원 나노물질(341)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원 나노물질(341)은 TM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Phosphorene (Black Phosphorus), Germanane 및 Silic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TMD는 예를 들면, MoS2, MoSe2, MoTe2, WS2, WSe2, WTe2, TaS2, TaSe2, TiS2, TiSe2, HfS2, HfSe2, SnS2, SnSe2, GeS2, GeSe2, GaS2, GaSe2, Bi2S3, Bi2Se3 및 Bi2Te3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차원 나노물질들(341)은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2차원 나노물질(341)은 소정의 도핑물질로 도핑되어 있을 수도 있다.
2차원 나노물질들(341) 각각은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원 나노물질들(341) 각각은 수십 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2차원 나노물질(341)을 구성하는 층들 각각은 대략 수 nm 이하의 두께의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원 나노물질(341)을 구성하는 층들 각각은 2n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2차원 나노물질(341)을 구성하는 층들 각각은 수십nm ~ 수백nm 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나노물질(341)은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잉크의 용매에 대한 2차원 나노물질들(341)의 혼합비율은 대략 1㎍/mL ~ 100mg/mL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잉크를 잉크젯 프린팅 장치에 의해 게이트 절연층(330)의 상면에 소정 형태로 인쇄한 다음, 이를 건조시킴으로써 2차원 물질층(34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2차원 물질층(340)은 2차원 나노물질들(341) 각각이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된 2차원 물질층(340)은 그 두께는 대략 수nm ~ 수백n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그 사이즈는 대략 수백nm ~ 수백㎛ 정도가 될 수 있다.
잉크의 용매에 도전성 물질(미도시)이 더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 물질은 예를 들면, 그래핀, 도전성 입자, 도전성 나노튜브 및 도전성 나노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 입자는 예를 들면, Ag, Au, Pt, Cu 및 플러렌(fuller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도전성 나노튜브는 예를 들면, CNTs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전성 나노와이어는 예를 들면, Ag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2차원 나노물질들(341)과 도전성 물질(미도시)이 포함된 잉크를 이용하여 2차원 물질층(34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2차원 나노물질들(341) 사이를 도전성 물질이 연결함으로써 2차원 물질층(340)의 도전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 소자(100)의 on 전류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잉크의 용매에 도핑 물질(미도시)이 더 혼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매에 도핑 물질이 더 포함되거나 또는 2차원 나노물질들(341)이 미리 도핑된 경우에는 2차원 물질층(340)은 소정의 도전형(conductive type)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원 물질층(340)은 p형 반도체 물질 또는 n형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원 물질층(340)이 소정의 불순물로 도핑됨으로써 전자소자의 Off 전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2차원 물질층(340)의 양측에 제1 및 제2 전극(351,352)을 형성함으로써. 전자소자를 완성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전극(351,352)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전극(351,352)이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351,352)의 형성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전극(351,352)은 도전성 물질이 포함된 잉크를 잉크젯 프린팅 장치에 의해 2차원 물질층(340) 및 게이트 절연층(330)의 상면에 소정 형태로 인쇄한 다음, 이를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잉크에 포함되는 도전성 물질은 예를 들면, 그래핀, Ag 입자, Au 입자, Pt 입자, Cu 입자, CNTs 및 Ag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전극(351,352)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 외에 다른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전자소자들은 복수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소자들 사이에는 예를 들면, fluorinated graphene 또는 graphene oxide 등과 같은 저유전체(low-k dielectric material)를 포함하는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절연층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자소자를 구성하는 게이트 전극(320), 게이트 절연층(330), 2차원 물질층(340) 및 제1 및 제2 전극(351,352)을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전자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잉크젯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면 2차원 물질층(340)을 큰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자소자를 대면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Ⅱ-Ⅱ'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는 전자소자의 일 예로서 탑 게이트(top-gate) 구조의 트랜지스터 소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자소자(400)는 기판(410)에 마련되는 2차원 물질층(440), 게이트 절연층(430), 게이트 전극(420) 및 제1 및 제2 전극(451,452)을 포함한다. 기판(410)으로는 반도체 기판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의 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기판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의 기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판(410)의 상면에는 기판(410)과 2차원 물질층(440) 사이의 절연을 위해 절연층(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절연층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기판(410)이 절연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기판(410)의 상면에 절연층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기판(410)에는 채널층의 역할을 수행하는 2차원 물질층(440)이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2차원 물질층(440)은 복수의 2차원 나노물질(441) 각각이 그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2차원 나노물질(441)은 2차원 형태의 결정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나노 사이즈의 물질을 의미한다.
2차원 나노물질들(441) 각각은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원 나노물질들(441) 각각은 수십 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2차원 나노물질(441)을 구성하는 층들 각각은 대략 수 nm 이하의 두께의 가질 수 있으며, 수십nm ~ 수백nm 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나노물질(441)은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물질층(4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된 2차원 물질층(440)은 그 두께는 대략 수nm ~ 수백n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그 사이즈는 대략 수백nm ~ 수백㎛ 정도가 될 수 있다.
2차원 물질층(440)은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2차원 나노물질들(441)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2차원 나노물질(441)은 TM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Phosphorene (Black Phosphorus), Germanane 및 Silic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TMD는 예를 들면, MoS2, MoSe2, MoTe2, WS2, WSe2, WTe2, TaS2, TaSe2, TiS2, TiSe2, HfS2, HfSe2, SnS2, SnSe2, GeS2, GeSe2, GaS2, GaSe2, Bi2S3, Bi2Se3 및 Bi2Te3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2차원 물질층(440)을 트랜지스터 소자(400)의 채널층으로 사용하게 되면 on/off 전류비를 100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소자(400)의 동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2차원 물질층(440)은 2차원 나노물질들(441) 외에 다른 물질이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차원 물질층(440)은 복수의 2차원 나노물질(441)과 도전성 물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차원 나노물질들(441)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도전성 물질은 2차원 나노물질들(441)에 부착되어 2차원 나노물질들(441) 사이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2차원 물질층(440) 내에 포함되는 도전성 물질은 예를 들면, 그래핀, 도전성 입자, 도전성 나노튜브 및 도전성 나노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 입자는 예를 들면, Ag, Au, Pt, Cu 및 플러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나노튜브는 예를 들면, CNTs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 나노와이어는 예를 들면, Ag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2차원 나노물질들(441)을 포함하거나 또는 2차원 나노물질들(441) 및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440)에는 도핑물질(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도핑 물질은 2차원 물질층(440)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잉크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2차원 물질층(440)을 구성하는 2차원 나노물질들(441)이 불순물로 미리 도핑되어 있을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층(430)은 2차원 물질층(440)을 덮도록 기판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게이트 절연층(430)은 다양한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절연층(430)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질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절연성 폴리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 절연층(430)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이나 다른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430)에는 게이트 전극(42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게이트 전극(420)은 2차원 물질층(44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전극(42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전극(420)은 그래핀, CNTs 또는 Ag, Au, Pt, Cu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430)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이나 다른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420)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 전극(451,452)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전극(451,452)은 2차원 물질층(440)의 양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게이트 절연층(430)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451,452)은 각각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alternatively), 제1 및 제2 전극(451,452)은 각각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451,452)은 게이트 전극(420)과 마찬가지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451,452)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이나 다른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는 쇼트키 접합(schottky junction)을 형성하는 다이오드 소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소자(500)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551,552)과, 제1 및 제2 전극(551,552)을 연결하는 2차원 물질층(5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전극(541,542)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541,542)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이나 다른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2차원 물질층(540)은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2차원 나노물질들(미도시)이 각각 적어도 일부가 중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2차원 물질층(5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물질층(540)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전술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2차원 물질층(540)은 예를 들면, 그래핀, 도전성 입자, 도전성 나노튜브, 도전성 나노와이어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2차원 물질층(540)은 소정의 도핑 물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핑 물질은 2차원 물질층(540)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잉크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2차원 물질층(540)을 구성하는 2차원 나노물질들 자체가 불순물로 미리 도핑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2차원 물질층(540)은 반도체 특성을 가지므로 금속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전극(551,552)과 쇼트키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551)과 2차원 물질층(540)이 접하는 경계(540a) 및 제2 전극(552)과 2차원 물질층(540)이 접하는 경계(540b)에는 쇼트키 접합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는 p-n 접합(p-n junction)을 형성하는 다이오드 소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소자(600)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651,652)과, 제1 및 제2 전극(651,652)을 연결하는 2차원 물질층(6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전극(651,652)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651,652)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이나 다른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2차원 물질층(640)은 제1 도전형(conductive type) 물질층(641)과 제2 도전형 물질층(64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전형 물질층(641)은 제1 전극(651)과 제2 도전형 물질층(64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제2 도전형 물질층(642)은 제2 전극(652)과 제1 도전형 물질층(641)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도전형 물질층(641,642)은 그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도전형 물질층(641,642)은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물질층(641)은 2차원 나노물질들(미도시)과 제1 도전형 도핑물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차원 나노물질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전형 도핑물질은 p형 불순물 또는 n형 불순물이 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물질층(641)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도전형 도핑물질은 2차원 나노물질들과 함께 잉크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2차원 나노물질들이 미리 제1 도전형 도핑물질로 도핑된 다음, 잉크에 혼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도전형 물질층(641)은 2차원 나노물질들(미도시)과 제2 도전형 도핑물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2차원 나노물질들은 각각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도전형 도핑물질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도전형 도핑물질이 p형 분순물인 경우에는 제2 도전형 도핑물질은 n형 불순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전형 도핑물질이 n형 분순물인 경우에는 제2 도전형 도핑물질은 p형 불순물이 될 수 있다. 제2 도전형 물질층(642)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 도전형 도핑물질은 2차원 나노물질들과 함께 잉크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2차원 나노물질들이 미리 제2 도전형 도핑물질로 도핑된 다음, 잉크에 혼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2차원 물질층(640)을 구성하는 제1 도전형 물질층(641)과 제2 도전형 물질층(642)의 경계에는 p-n 접합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는 특정 가스를 검출하는 센서 소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소자(700)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751,752)과, 제1 및 제2 전극(751,752)을 연결하는 2차원 물질층(7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전극(751,752)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751,752)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이나 다른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2차원 물질층(740)은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2차원 나노물질들(미도시)이 각각 적어도 일부가 중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2차원 물질층(7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물질층(740)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전술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2차원 나노물질들로 구성된 2차원 물질층(740)은 예를 들면, 수소나 산소 등과 같은 특정 가스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가스 흡착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센서 소자에서, 특정 가스가 2차원 물질층(740)에 흡착되면 제1 및 제2 전극(751,752)을 통해 특정 가스의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2차원 나노물질들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을 채널층으로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 소자 등과 같은 전자 소자의 동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2차원 물질층은 다이오드 소자, 센서 소자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소자에도 응용될 수 있다. 2차원 물질층을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하게 되면 전자 소자를 대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더구나, 전자소자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모두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전자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100,300,400,500,600,700.. 전자 소자
110,250,310,410.. 기판
120,320,420.. 게이트 전극
130,330,430.. 게이트 절연층
140,140',240,340,440,540,640,740.. 2차원 물질층
141,241,341,441.. 2차원 나노물질
142.. 도전성 물질
151,351,451,551,651,751.. 제1 전극
152,352,452,552,652,752.. 제2 전극
200.. 잉크젯 프린팅 장치
210.. 잉크젯 헤드
220.. 잉크챔버
230.. 2차원 물질층의 형성을 위한 잉크
230'.. 잉크패턴
242.. 용매
641.. 제1 도전형 물질층
642.. 제2 도전형 물질층

Claims (33)

  1.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그 각각이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된 복수의 2차원 나노물질(2D nano material)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2D material layer);을 포함하고,
    상기 2차원 나노물질은 반도체 특성을 가지며,
    상기 2차원 나노물질은 Phosphorene, Germanane 및 Silic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물질층은 도전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전자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물질은 그래핀(graphene), 도전성 입자, 도전성 나노튜브 및 도전성 나노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입자는 Ag, Au, Pt, Cu 및 플러렌(fuller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나노튜브는 CNTs(carbon nanotubes)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나노와이어는 Ag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물질층에서 상기 2차원 나노물질들의 함량은 50 vol% 이상인 전자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물질층은 도핑물질(dopant)을 더 포함하는 전자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나노물질은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는 전자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물질층은 채널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물질층에 마련되는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에 마련되는 게이트 전극을 더 포함하는 전자소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2차원 물질층 사이에 쇼트키 접합(Schottky junction)이 형성되는 전자소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나노물질들 사이에 p-n 접합(p-n junction)이 형성되는 전자소자.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나노물질들 각각은 단층 또는 복층 구조를 가지는 전자소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나노물질을 구성하는 층들 각각은 수nm 이하의 두께 및 수십nm ~ 수백nm의 사이즈를 가지는 전자소자.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물질층은 수nm ~ 수백nm의 두께 및 수백nm ~ 수백㎛의 사이즈를 가지는 전자소자.
  18. 삭제
  19. 삭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2차원 물질층은 기판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은 유연한(flexible) 재질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21. 반도체 특성을 가지며 그 각각이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된 복수의 2차원 나노물질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을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하여 기판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원 물질층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원 나노물질은 반도체 특성을 가지며,
    상기 2차원 나노물질은 Phosphorene, Germanane 및 Silic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에 용매 및 상기 2차원 나노물질들을 포함하는 잉크를 토출시켜 잉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잉크 패턴을 건조시켜 상기 2차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Water, Acetone,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Cyclohexanone, Cyclohexane, Chlorobenzene, Chloroform, Formamide, N-methyl formamide, N-methyl pyrrolidinone, N-vinyl pyrrolidinone, Dimethylsulphoxide, Benzonitrile, Cyclohecyl-pyrrolidinone, N-dodecyl pyrrolidone, Benzyl Benzoate, Benzyl ether Bromobenzene, Dimethylacetamide 및 Dimethylformamide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에 대한 상기 2차원 나노물질들의 혼합비율은 1㎍/mL ~ 100mg/mL 인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도전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물질은 그래핀, 도전성 입자, 도전성 나노튜브 및 도전성 나노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도핑물질을 더 포함하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나노물질은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잉크젯 프린팅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그래핀, Ag 입자, Au 입자, Pt 입자, Cu 입자, CNTs(carbon nanotubes) 및 Ag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3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물질층에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층은 잉크젯 프린팅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잉크젯 프린팅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KR1020140194323A 2014-12-30 2014-12-30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Active KR10241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323A KR102412965B1 (ko) 2014-12-30 2014-12-30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US14/728,583 US9922825B2 (en) 2014-12-30 2015-06-02 Electronics device having two-dimensional (2D) material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nic device by inkjet printing
JP2015215581A JP6727790B2 (ja) 2014-12-30 2015-11-02 二次元物質層を含む電子素子、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ティングを利用した電子素子の製造方法
CN201510765524.4A CN105742358B (zh) 2014-12-30 2015-11-11 电子器件及其制造方法
US15/817,979 US10460935B2 (en) 2014-12-30 2017-11-20 Electronic device having two-dimensional (2D) material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nic device by inkjet prin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323A KR102412965B1 (ko) 2014-12-30 2014-12-30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102A KR20160081102A (ko) 2016-07-08
KR102412965B1 true KR102412965B1 (ko) 2022-06-24

Family

ID=5616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323A Active KR102412965B1 (ko) 2014-12-30 2014-12-30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922825B2 (ko)
JP (1) JP6727790B2 (ko)
KR (1) KR102412965B1 (ko)
CN (1) CN1057423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965B1 (ko) * 2014-12-30 2022-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CN104576758A (zh) * 2015-01-22 2015-04-29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
US10269791B2 (en) * 2015-03-16 2019-04-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Field-effect transistors having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channe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0217819B2 (en) * 2015-05-20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metal-2 dimensional material-semiconductor contact
US20170117417A1 (en) * 2015-07-13 2017-04-2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Integration of air-sensitive two-dimensional materials on arbitrary substrates for the manufacturing of electronic devices
US20170045473A1 (en) * 2015-08-11 2017-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Gas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65353B1 (ko) 2015-12-02 2022-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US10648959B2 (en) * 2016-05-05 2020-05-12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Black phosphorus gas sensor
KR101792953B1 (ko) 2016-07-01 2017-11-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2차원 반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US9991122B2 (en) * 2016-08-31 2018-06-0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s including two-dimensional material structures
CN106293253B (zh) * 2016-09-23 2019-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传感器及其制作方法和触控传感器单元
US9704965B1 (en) * 2016-09-27 2017-07-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with self-aligned carbon nanotube gate
CN106449918B (zh) * 2016-11-10 2019-02-01 同济大学 半导体异质结构光电子器件的逻辑应用方法
CN108336142B (zh) * 2017-01-20 2020-09-25 清华大学 薄膜晶体管
CN108336151B (zh) * 2017-01-20 2020-12-04 清华大学 肖特基二极管、肖特基二极管阵列及肖特基二极管的制备方法
CN108336128B (zh) 2017-01-20 2020-12-04 清华大学 薄膜晶体管
CN108336091B (zh) * 2017-01-20 2021-01-05 清华大学 薄膜晶体管
CN106784009B (zh) * 2017-01-22 2019-06-25 温州大学 基于pet柔性衬底的背栅黑磷场效应晶体管及制备方法
CN108423637B (zh) 2017-02-15 2022-11-2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光电转换材料以及使用该光电转换材料的太阳能电池
US10269564B2 (en) * 2017-03-17 2019-04-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layered etching and repairing of damaged portions
CN107424911B (zh) * 2017-04-25 2020-07-31 郑州轻工业学院 具有垂直结构的SnSe2/MoSe2新型异质结的制备方法及其场效应性能改性方法
US10263107B2 (en) * 2017-05-01 2019-04-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train gated transistors and method
WO2018217682A1 (en) 2017-05-23 2018-11-29 Alpha Assembly Solutions Inc. Graphene enhanced and engineered materials for membrane touch switch and other flexible electronic structures
US10263080B2 (en) 2017-05-24 2019-04-16 Qualcomm Incorporated Transistor with fluorinated graphene spacer
US10354955B2 (en) * 2017-06-19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Graphene as interlayer dielectric
US10418490B2 (en) * 2017-07-04 2019-09-1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9078861A1 (en) * 2017-10-19 2019-04-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ABLE AMMONIUM CHALCOGENOMETALLATE FLUIDS
US10658470B2 (en) * 2017-11-14 2020-05-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Device with doped phosphorene and method for doping phosphorene
KR101960809B1 (ko) * 2018-01-12 2019-03-2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단전자 펌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CN110970308B (zh) * 2018-09-30 2023-07-21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薄膜晶体管及其异质结有源层的制作方法
KR102739120B1 (ko) * 2018-10-25 2024-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리신 전자 소자
KR102118608B1 (ko) * 2018-10-26 2020-06-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차원 나노물질과 더블레이어절연층 수직구조 기반 스위칭 소자
US10811601B2 (en) * 2019-01-22 2020-10-20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s using insulator-metal phase change materials and method for fabrication
US11158807B2 (en) * 2019-10-18 2021-10-2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94332A (ko) 2020-01-21 2021-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2d 채널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KR102805278B1 (ko) 2020-03-31 2025-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물질기반 배선 도전층 콘택구조, 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2031987B2 (en) * 2020-04-17 2024-07-09 Akhan Semiconduc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istor pathogen detector
KR102418527B1 (ko) * 2020-08-11 2022-07-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레인이 가해진 2차원 물질 제조 방법
KR102581497B1 (ko) * 2021-04-12 2023-09-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성 2차원 물질 기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CN115966582A (zh) * 2021-05-31 2023-04-14 南京大学 单片异质集成的microLED显示芯片及其制备方法
KR102753693B1 (ko) * 2022-06-17 2025-01-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2차원 물질 분산액을 이용하여 잉크젯 프린팅된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60052B1 (ko) * 2022-07-12 202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EP4585934A1 (en) * 2022-09-05 2025-07-16 Otowa Electric Co. Ltd. Sensor device capable of measuring electric field intensity and method for measuring electric field intensit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2735A (ja) * 2009-08-24 2013-01-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単一またはいくつかの層のグラフェン・ベースの光検出デバイス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2013512311A (ja) * 2009-11-25 2013-04-11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結晶性銅カルコゲニドナノ粒子の水性製造方法、そのように製造されたナノ粒子、ならびにこれらのナノ粒子を組み込んだインクおよびコーテッド基板
US20140042390A1 (en) * 2011-02-16 2014-02-13 The Regents Of University Of California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carbon nanostructures and nano-scale electroactive materials
WO2014100723A1 (en) * 2012-12-21 2014-06-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ertically stacked heterostructures including graphene
JP2014120712A (ja) * 2012-12-19 2014-06-30 Ricoh Co Ltd 金属酸化物膜形成用塗布液、金属酸化物膜、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及び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3944B2 (ja) * 2004-01-20 2010-03-31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トランジスタとその製造方法
US20070153362A1 (en) * 2004-12-27 2007-07-05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abric having nanostructured thin-film networks
US8574681B2 (en) * 2007-05-14 2013-11-05 Northwestern University Ceramic composite thin films
US20110104700A1 (en) * 2008-05-30 2011-05-05 Halloran Philip F Molecular signature for fibrosis and atrophy
JP5453045B2 (ja) * 2008-11-26 2014-03-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グラフェン層が成長された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光集積回路装置
KR20130098884A (ko) * 2010-05-05 2013-09-05 내셔널 유니버시티 오브 싱가포르 그래핀의 정공 도핑
IT1401734B1 (it) * 2010-06-29 2013-08-02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elettronico comprendente uno strato di interfaccia di connessione basato su nanotubi, e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GB2483288A (en) * 2010-09-03 2012-03-07 Trinity College Dublin Exfoliation process for forming semiconducting nanoflakes
US9054616B2 (en) 2010-09-03 2015-06-09 Thrane & Thrane A/S Assembly comprising a movable and brakable/dampable part and a method for braking a movable part
WO2012093360A1 (en) * 2011-01-04 2012-07-12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Semiconductor device
CN103493203B (zh) * 2011-03-22 2016-12-28 曼彻斯特大学 晶体管器件以及用于制造晶体管器件的材料
US10723112B2 (en) * 2011-05-23 2020-07-28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Method of transferring thin film
KR101285475B1 (ko) 2011-06-01 2013-07-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n 접합 Zn0 LED 및 그 제조방법
US10761043B2 (en) * 2011-07-22 2020-09-01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Graphene-based nanopore and nanostructure devices and methods for macromolecular analysis
US10175195B2 (en) * 2011-07-27 2019-01-0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Nanopore sensors for biomolecular characterization
KR101280119B1 (ko) 2011-09-26 2013-06-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그래핀 시트의 패턴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로의 응용
KR101335683B1 (ko) 2011-10-06 2013-12-03 한국전기연구원 2차원 나노소재에 의해 전도성이 향상된 1차원 전도성 나노소재기반 전도성 필름
US8642432B2 (en) * 2011-12-01 2014-0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dopant for carbon nanotubes and graphene
US9299932B2 (en) * 2011-12-28 2016-03-29 Sony Corporation Solid-state assembly of layers and an electric device comprising such assembly
US8564027B2 (en) * 2012-01-27 2013-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ano-devices formed with suspended graphene membrane
US8790814B2 (en) * 2012-02-16 2014-07-29 Nanotek Instruments, Inc. Inorganic nano sheet-enabled lithium-exchanging surface-mediated cells
KR101634338B1 (ko) * 2012-04-26 2016-06-28 광주과학기술원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TWI441947B (zh) * 2012-07-20 2014-06-21 Academia Sinica 電化學石墨烯及包含其之電極複合材料與鋰電池
KR101391306B1 (ko) 2012-07-27 2014-05-02 이엘케이 주식회사 인쇄법을 적용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터치 스크린 패널
US8735271B2 (en) * 2012-08-24 2014-05-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ate tunable tunnel diode
GB201218952D0 (en) * 2012-10-22 2012-12-05 Cambridge Entpr Ltd Functional inks based on layered materials and printed layered materials
KR101919426B1 (ko) * 2013-01-08 2018-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핀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2310B1 (ko) 2013-02-18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소재 적층 플렉서블 광센서
US9379232B2 (en) 2013-02-18 2016-06-28 Quantum Devices, Llc Magneto-electric voltage controlled spin transistors
US9899480B2 (en) * 2013-03-15 2018-02-20 University Of Notre Dame Du Lac Single transistor random access memory using ion storage in two-dimensional crystals
US9063063B2 (en) * 2013-03-15 2015-06-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Low-dimensional material chemical vapor sensors
ITVI20130077A1 (it) * 2013-03-20 2014-09-21 St Microelectronics Srl Un materiale riempitivo a base di grafene con una elevata conducibilita' termica per il collegamento di chips in dispositivi a microstruttura
US10809222B2 (en) * 2013-04-25 2020-10-20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Opioid detection based on high quality graphene transistor arrays and a synthetic mu receptor
US9449873B2 (en) * 2013-06-19 2016-09-20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for processing a carrier and an electronic component
US9472686B2 (en) * 2013-08-02 2016-10-18 Northwestern University Gate-tunable P-N heterojunction diode, and fabric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same
WO2015031461A1 (en) * 2013-08-28 2015-03-0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eed for metal dichalcogenide growth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IN2013CH04799A (ko) * 2013-10-24 2015-05-08 Empire Technology Dev Llc
US10267763B2 (en) * 2013-12-04 2019-04-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Graphene nanoelectronic heterodyne sensor for rapid and sensitive vapor detection
US10099938B2 (en) * 2013-12-12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ly conductive thin films
US9548394B2 (en) * 2014-04-22 2017-01-17 Uchicago Argonne, Llc All 2D, high mobility, flexible, transparent thin film transistor
KR102245295B1 (ko) * 2014-10-08 202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리신 물질층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US10269981B2 (en) * 2014-11-17 2019-04-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ulti-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s using 2D-material
US9859513B2 (en) * 2014-11-25 2018-01-02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Integrated multi-terminal devices consisting of carbon nanotube, few-layer graphene nanogaps and few-layer graphene nanoribbons having crystallographically controlled interfaces
KR102308620B1 (ko) 2014-11-27 2021-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12965B1 (ko) * 2014-12-30 2022-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US9515257B2 (en) * 2015-02-20 2016-12-06 Northwestern University Gate-tunable atomically-thin memristor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and applications of same
US9793214B1 (en) * 2017-02-21 2017-10-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eterostructure interconnects for high frequency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2735A (ja) * 2009-08-24 2013-01-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単一またはいくつかの層のグラフェン・ベースの光検出デバイス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2013512311A (ja) * 2009-11-25 2013-04-11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結晶性銅カルコゲニドナノ粒子の水性製造方法、そのように製造されたナノ粒子、ならびにこれらのナノ粒子を組み込んだインクおよびコーテッド基板
US20140042390A1 (en) * 2011-02-16 2014-02-13 The Regents Of University Of California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carbon nanostructures and nano-scale electroactive materials
JP2014120712A (ja) * 2012-12-19 2014-06-30 Ricoh Co Ltd 金属酸化物膜形成用塗布液、金属酸化物膜、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及び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WO2014100723A1 (en) * 2012-12-21 2014-06-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ertically stacked heterostructures including graph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102A (ko) 2016-07-08
US20180090317A1 (en) 2018-03-29
CN105742358B (zh) 2021-02-05
JP6727790B2 (ja) 2020-07-22
CN105742358A (zh) 2016-07-06
US9922825B2 (en) 2018-03-20
US10460935B2 (en) 2019-10-29
US20160190244A1 (en) 2016-06-30
JP2016127267A (ja)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2965B1 (ko)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KR102216543B1 (ko) 그래핀-금속 접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그래핀-금속 접합 구조체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US9269775B2 (en) Tunneling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946789B2 (en) Semiconductor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emiconductor device
KR101156620B1 (ko) 그라핀 채널층을 가지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KR101813173B1 (ko) 반도체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반도체소자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813179B1 (ko) 복층의 게이트 절연층을 구비한 그래핀 전자 소자
US9064777B2 (en) Graphene switching device having tunable barrier
KR101878734B1 (ko) 그래핀 층상 구조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투명전극과 트랜지스터
KR102059131B1 (ko) 그래핀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30277644A1 (en) Graphene switching device including tunable barrier
US9048310B2 (en) Graphene switching device having tunable barrier
KR20160137298A (ko) 금속-이차원 물질-반도체의 접합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US20140287575A1 (en) Spatial orientation of the carbon nanotubes in electrophoretic deposition process
KR20130035621A (ko) 압전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광전자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464365B1 (ko) 광 캐비티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Hwang et al. Gate-dependent asymmetric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pentacene barristors with graphene electrodes
Kim et al. crystals MDPI
JP2018127377A (ja) グラフェンナノリボン、グラフェンナノリボン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EP2790238A1 (en)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for production
Jeon et al. Dipole-containing encapsulation on WSe2/MoS2 nanoflake pn diode with glass substrate toward an ideal performance
Pourfath et al. High performance carbon nanotube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the potential for tera level integ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6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