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09255B1 -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255B1
KR102409255B1 KR1020200121213A KR20200121213A KR102409255B1 KR 102409255 B1 KR102409255 B1 KR 102409255B1 KR 1020200121213 A KR1020200121213 A KR 1020200121213A KR 20200121213 A KR20200121213 A KR 20200121213A KR 102409255 B1 KR102409255 B1 KR 102409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region
compression
upward
compression member
upper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8876A (en
Inventor
박옥경
Original Assignee
박옥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옥경 filed Critical 박옥경
Priority to KR1020200121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255B1/en
Publication of KR20220038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8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25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웃하는 교각 상에 배치되며 하부재, 수직 부재, 상부재 및 경사 부재를 포함하는 트러스 구조물; 및 상기 상부재 상에 배치되며, 길이 방향에서 압축력을 인가받아 중심영역이 상부로 변형된 압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부재의 중심영역은 상부로 상향력을 인가하는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russ structure disposed on a neighboring pier and comprising a lower member, a vertical member, an upper member and an inclined member; and a compression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member, the central region of which is deformed upward by receiving a compressiv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ompression member applies upward force upward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start

Description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인도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보행자 또는 자전거 등의 경차량의 통행에 한정되는 다리로 보도 다리라고도 한다. 이러한 인도교는 기존의 교량이나 도로 등에서 차량의 이동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는 곳에 가설되어 사람의 보행용으로 설치되는 것이다.In general, a footbridge is a bridge that is limited to the passage of light vehicles such as pedestrians or bicycl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nd is also called a sidewalk bridge. Such footbridges are constructed for the main purpose of moving vehicles on existing bridges or roads, and are installed for human walking.

이러한 인도교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8828호의 신축되는 교량용 가설인도는 교량 연석의 바깥쪽 모서리에 연석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ㄱ"자로 설치되는 브라켓과, 각각의 브라켓 상부 면상에 교량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H빔과, 각각의 H빔 하부를 받치도록 브라켓의 측면상에 장착되는 거치판과, H빔들의 상부면상에 직각방향으로 다수열로 장착되는 각관과, 각관들의 상부면상에 직각방향으로 다수열로 장착되는 목판과, H빔들의 연장단에 장착되는 보행자난간과, 각관을 교량상판의 연결부위에 이격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하여 이 이격부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부를 포함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요소가 많아 시공에 따른 작업량 및 설치비용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such a footbridge, the temporary footing for a new-contracted bridge of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18828 includes a bracket in which a plurality of bridges are installed in a “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b at the outer edge of the curb, and each H-beam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so as to extend outwardly of the bridge, a mounting plate mounted on the side of the bracket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each H-beam, and a square tube mounted in multiple rows at right angl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beams And, a wooden board mounted in multiple rows in a right angle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pipe, a pedestrian railing mounted on the extension end of the H-beams, and a square pipe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bridge top plate to be spaced apart by a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spaced part Disclosed is that including an expansion joint to be installed. The prior art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many components,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work and installation cos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ay increase.

따라서 종래기술들은 구성요소가 많아 구조가 복잡하거나 중량이 크거나 또는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성에 대한 대비가 미흡하고, 설치를 위한 작업량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re are many components,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weight is large, or the preparation for elasticity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is insufficient, and the amount of work and cost for installation are increased.

본 발명은 압축 부재에 미리 압축력을 주어서 캠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상부재에 상향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structure capable of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a compressive member in advance to form a camber, and to apply an upward force to an upper member through this,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은 이웃하는 교각 상에 배치되며 하부재, 수직 부재, 상부재 및 경사 부재를 포함하는 트러스 구조물; 및 상기 하부재 상에 배치되며, 길이 방향에서 압축력을 인가받아 중심영역이 상부로 변형된 압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부재의 중심영역은 상부로 상향력을 인가할 수 있다.The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neighboring piers and includes a lower member, a vertical member, a truss structure including an upper member and a slope member; and a compression member disposed on the lower member, the central region of which is deformed upward by receiving compressiv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ompression member may apply upward force upward.

또한, 상기 압축 부재의 양 단부는 상기 교각 상부에서 상기 하부재에 고정된 트러스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compression member may have a truss structure fixed to the lower member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또한, 상기 압축 부재의 중심영역은 상기 상부재에 맞닿고, 상기 상부재는 상기 압축 부재에 맞닿는 중심영역이 단부영역보다 상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 central region of the compression memb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member, and a central region of the upper member in contact with the compression member may protrude higher than an end region of the upper member.

또한, 사용 하중을 인가 받으면, 상기 상부재의 중심영역과 단부영역은 평탄면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working load is applied, the central region and the end region of the upper member may form a flat surface.

또한, 상기 경사 부재의 너비는 상기 수직 부재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Also, a width of the inclined member may be smaller than a width of the vertical memb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이웃하는 교각 상에 하부재, 수직 부재 및 상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재 상에 압축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압축 부재의 중심영역이 상부로 변형되도록 압축력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재 및 상부재를 연결하도록 복수의 경사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rranging a lower member, a vertical member and an upper member on a neighboring pier; disposing a compression member on the lower member;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such that the central region of the compressing member is deformed upward; and disposing a plurality of inclined members to connect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또한, 상기 압축력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압축 부재의 중심영역은 상기 상부재에 맞닿아 상기 상부재에 상향력을 인가하고, 상기 상부재는 상기 압축 부재에 맞닿는 중심영역이 단부영역보다 상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applying the compressive force, the central region of the compression member abuts against the upper member to apply an upward force to the upper member, and in the upper member, the central region in contact with the compressive member is directed upwardly than the end region can protrude.

또한, 상기 압축력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중심영역이 상부로 변형된 이후, 상기 압축 부재의 양 단부는 상기 교각 상부에서 상기 하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applying the compressive force, after the central region is deformed upward, both ends of the compression member may be fixed to the lower member at the upper part of the pier.

또한, 상기 경사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경사 부재의 너비는 상기 수직 부재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Also, in the disposing of the inclined member, a width of the inclined member may be smaller than a width of the vertical memb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이웃하는 교각 상에 하부재 및 압축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압축 부재의 중심영역이 상부로 변형되도록 압축력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부재 상에 상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rranging a lower member and a compression member on a neighboring pier;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such that the central region of the compressing member is deformed upward; and disposing an upper member on the compression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부재에 미리 압축력을 주어서 캠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상부재에 상향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camber by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compressing member in advance, and to apply an upward force to the upper member through this.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사용하중이 가해진 이후의 교량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서 압축력 인가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ridge structure after a working load is applied;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front views for sequentially explain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compressive force application process in a construction method of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4 are front views for sequentially explain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for clarifying the solution to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ased 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ame in assign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For the components, even if they are on different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given, and it is noted in advance that the components of other drawings can be cited when necessary in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사용하중이 가해진 이후의 교량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ridge structure after a working load is applied to be.

우선,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은 하부재(110), 수직 부재(120), 상부재(130), 압축 부재(140) 및 경사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member 110 , a vertical member 120 , an upper member 130 , a compression member 140 and an inclined member 150 . may include

여기서, 하부재(110), 수직 부재(120), 상부재(130) 및 경사 부재(150)는 일반적인 트러스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교각(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lower member 110 , the vertical member 120 , the upper member 130 , and the inclined member 150 may be configured as a general truss structure, and may be disposed on the adjacent pier 10 .

하부재(110)는 이웃하는 교각(10)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빔과 빔을 잇는 가로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는 판상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The lower member 110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adjacent pier 10, and may be composed of a beam and a crossbeam connecting the beam, and in another example, may be composed of a plate shape.

한편, 하부재(110)는 I형강, 사각강관, 원형강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사각강관 또는 원형강관이 사용되는 경우에 그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나 합성수지 등의 충진재를 삽입시켜, 강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material 110 may be implemented by selecting any one of an I-beam steel, a square steel pipe, and a round steel pipe, and when a square steel pipe or a round steel pipe is used, a filler such as concrete or synthetic resin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 can increase the rigidity.

수직 부재(120)는 하부재(110)의 양 측단부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연결되며, 한 쌍의 로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member 120 is vertically connected from both side ends of the lower member 110 to the top, and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air of rods.

여기서, 수직 부재(120)는 하부재(110)와 상부재(130)의 양측단을 연결하며, 기 설정된 제1너비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vertical member 120 connects both ends of the lower member 110 and the upper member 130 , and may have a preset first width.

상부재(130)는 수직 부재(120)를 통해 수직 부재(1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member 130 may be installed on the vertical member 120 through the vertical member 120 .

상부재(130)는 실질적으로 보행자 또는 자전거 등의 경차량에 의해 사용 하중을 직접 받도록 기능할 수 있다.The upper member 130 may function to directly receive a load used by a light vehicle such as a pedestrian or a bicycle.

압축 부재(140)는 횡방향(길이 방향)에서 압축력을 인가 받아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캠버(camber)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상부재(130)에 상향력(F1)을 부여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member 140 may receive a compressive for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lengthwise direction) to form a convex camber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rough this, an upward force F1 may be applied to the upper member 130 .

압축 부재(140)는 I형강, 사각강관, 원형강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압축 부재(140)는 압축력을 인가 받은 후,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각강관 또는 원형강관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나 합성수지 등의 충진재를 삽입시킬 수 있다.The compression member 140 may be implemented by selecting any one of an I-beam steel, a square steel pipe, and a round steel pipe. In addition. After receiving the compressive force, the compression member 140 may insert a filler such as concrete or synthetic resin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quare steel pipe or the round steel pipe to increase rigidity.

여기서, 압축 부재(140)는 교각(10)의 상부에서 하부재(110)에 고정되는 단부영역(141)과 횡방향 압축력에 의해 상부로 돌출 변형되는 중심영역(142)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mpression member 140 may include an end region 141 fixed to the lower member 11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10 and a central region 142 that is protruded and deformed upward by a lateral compression force.

양측 단부영역(141)은 교각(10) 상에 위치하여, 교각(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재(110)를 관통하여 교각(10)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양측 단부영역(141)이 하부재(110) 및 교각(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Both end regions 141 may be positioned on the pier 10 and firmly fixed to the pier 10 . Here,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 regions 141 are fixed to the lower member 110 and the pier 10 through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that passes through the lower member 110 and is fastened to the pier 10 .

한편, 도 2에서는 압축 부재(140)가 한 쌍의 막대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압축 부재(140)는 단일 판상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compression member 140 is illustrated as having a pair of rod shapes in FIG. 2 , the compression member 140 may be formed in a single plate shape.

여기서, 압축 부재(140)의 중심영역(142)은 상부재(130)의 하면에 맞닿아, 상부재(130)에 상향력(F1)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재(130)의 중심영역(132)은 상부로 돌출된 캠버를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central region 142 of the compression member 140 may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130 to provide an upward force F1 to the upper member 130 . Through this, the central region 132 of the upper member 130 may form a camber protruding upward.

여기서, 상부재(130)는 수직 부재(120)를 통해 하부재(120)에 고정되는 단부영역(131)과 압축 부재(140)의 상향력(F1)에 의해 상부로 돌출 변형되는 중심영역(132)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pper member 130 has an end region 131 fixed to the lower member 120 through the vertical member 120 and a central region ( 132) may be included.

즉, 상부재(130)의 단부영역(131)의 상면 중 일부는 평탄면(1)을 이루고, 단부영역(131)으로부터 중심영역(132)까지 높이가 서서히 증가될 수 있다.That is,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region 131 of the upper member 130 forms the flat surface 1 , and the height may gradually increase from the end region 131 to the center region 132 .

여기서, 상부재(130)의 중심영역(132)의 캠버의 돌출 높이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camber of the central region 132 of the upper member 13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보행자 또는 자전거 등의 경차량의 이동 및 상부재(130)의 하중에 의한 사용 하중(F2)에 의해, 캠버를 형성한 중심영역(132)은 하부 방향으로 힘을 받아 내려 앉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초 설계한 바와 같이, 단부영역(131)과 중심영역(132)이 동일한 평탄면(도 1의 '1')을 이룰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3 , due to the movement of a light vehicle such as a pedestrian or a bicycle and the use load F2 caused by the load of the upper material 130 , the central region 132 , which forms the camber, exerts a force in the lower direction. As it was initially designed, the end area 131 and the center area 132 may form the same flat surface ('1' in FIG. 1).

여기서, 압축 부재(130)에 의한 상향력(F1)은 상부재(130)에 지속적으로 가해질 수 있고 사용 하중(F2)과 서로 상응할 수 있어, 상부재(130)는 평탄면을 형상한 후 하부 방향으로 역방향 캠버를 형성하지 않고, 평탄면을 유지할 수 있다.Here, the upward force F1 by the compression member 130 may b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upper member 130 and may correspond to the used load F2, so that the upper member 130 forms a flat surface after A flat surface can be maintained without forming a reverse camber in the downward direction.

경사 부재(150)는 하부재(110)와 상부재(130)를 연결할 수 있다.The inclined member 150 may connect the lower member 110 and the upper member 130 .

여기서, 수직하중을 수직 부재(120) 및 경사 부재(150)의 축력으로 지지하게 함으로써 휨모멘트와 전단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교량이 둔탁하지 아니하고 날렵한 형상을 가지게 하면서도 장스팬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Here, by supporting the vertical load by the axial force of the vertical member 120 and the inclined member 150, the bending moment and shear force are not generated, so that the bridge is not dull and has a sharp shape while maintaining a long span.

여기서, 상부재(130)와 경사 부재(150)의 연결 및 하부재(110)와 경사 부재(150)의 연결은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연결플레이트(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member 130 and the inclined member 150 and the lower member 110 and the inclined member 150 may be directly connected by welding or the like, but via a connection plate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connect

한편, 상부재(130)는 압축 부재(140)를 통해 상향력(F1)을 제공받고 있어, 하부재(110), 수직 부재(120), 상부재(130) 및 압축 부재(140)로 구성된 구조물은 구조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다. 따라서 경사 부재(150)는 필요이상으로 두꺼울 필요가 없어 제1너비보다 작은 제2너비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member 130 is provided with an upward force F1 through the compression member 140 , and is composed of the lower member 110 , the vertical member 120 , the upper member 130 , and the compression member 140 . The structure may be structurally stable. Accordingly, the inclined member 150 does not need to be thicker than necessary and may have a second width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이를 통해, 경사 부재(150)를 중량화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inclined member 150 may be weighted.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to 7 are front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상부재 및 하부재 배치 단계(S10), 압축 부재 배치 단계(S20), 압축력 인가 단계(S30) 및 경사 부재 배치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4 ,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member and a lower member arrangement step (S10), a compression member arrangement step (S20), a compressive force application step (S30), and an inclined member It may include an arrangement step (S40).

도 5를 참조하면, 상부재 및 하부재 배치 단계(S10)에서는 이웃하는 교각(10) 상에 하부재(110), 수직 부재(120) 및 상부재(130)를 설치하여, 교량 구조물의 뼈대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5 , in the upper member and lower member arrangement step S10 , the lower member 110 , the vertical member 120 and the upper member 130 are installed on the neighboring pier 10 , and the skeleton of the bridge structure to form

여기서, 하부재(110), 수직 부재(120) 및 상부재(130a)는 상술한 하부재(110), 수직 부재(120) 및 상부재(13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재(130a)는 압축 부재(140)의 상향력에 의해 변형되기 전의 형상이다.Here, the lower member 110 , the vertical member 120 and the upper member 130a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lower member 110 , the vertical member 120 and the upper member 130 ,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do. The upper member 130a has a shape before being deformed by the upward force of the compression member 140 .

이후, 도 6을 참조하면, 압축 부재 배치 단계(S20)에서는 하부재(110) 상에 압축 부재(140a)를 배치한다. 여기서, 압축 부재(140a)는 변형되기 전의 형상을 갖는 압축 부재(140)다.Thereafter, referring to FIG. 6 , the compression member 140a is disposed on the lower member 110 in the step of disposing the compression member ( S20 ). Here, the compression member 140a is the compression member 140 having a shape before being deformed.

한편, 압축 부재 배치 단계(S20)에서는 압축 부재(140a)의 양측 단부영역(141) 중 하나의 단부영역(141)을 교각(10) 상에서 하부재(110)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 부재(140a)의 고정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mpression member disposing step ( S20 ), one end area 141 of both end areas 141 of the compression member 140a may be fixed to the lower member 110 on the pier 10 . Here, the compression member 140a may be fixed through welding or a separate fastening member (not shown).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압축력 인가 단계(S30)에서는 횡방향에서 압축 부재(140a)에 압축력(F11, F12)을 인가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6 , in the compressing force application step S30 , compressive forces F11 and F12 may be applied to the compressive member 140a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여기서, 고정된 단부영역(141)은 교각(10) 상에서 하부재(110)에 고정됨에 따라 인가되는 압축력(F12)에 대응하여 압축력(F11)을 인가할 수 있다.Here, the fixed end region 141 may apply a compressive force F11 in response to the compressive force F12 applied as it is fixed to the lower member 110 on the pier 10 .

이를 통해, 압축 부재(140)의 중심영역(142)은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캠버를 형성할 수 있고, 상부 방향으로 상향력(F1)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central region 142 of the compression member 140 may form a camber of a convex shape in an upward direction, and may provide an upward force F1 in an upward direction.

이때, 압축 부재(140)의 중심영역(142)은 상부재(130a)의 중심영역(132)을 상부로 밀어 중심영역(132)에서 상부로 돌출된 캠버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entral region 142 of the compression member 140 may push the central region 132 of the upper member 130a upward to form a camber protruding upward from the central region 132 .

즉, 변형 전의 상부재(130a)는 압축 부재(140)의 상향력(F1)에 의해 중심영역(132)에서 캠버가 형성된 상부재(130)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That is, the shape of the upper member 130a before deformation may be changed to the upper member 130 having a camber in the central region 132 by the upward force F1 of the compression member 140 .

이후, 횡방향의 압축력(F11, F12)이 제거된 이후, 각각의 단부영역(141)은 교각(10) 상에서 하부재(1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단부영역(141)의 고정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reafter, after the compressive forces F11 and F1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removed, each end region 141 may be fixed to the lower member 110 on the pier 10 . Here, the end region 141 may be fixed through welding or a separate fastening member (not shown).

이후, 도 7을 참조하면, 경사 부재 배치 단계(S40)에서는 하부재(110)와 상부재(130)를 연결하도록 경사 부재(150)를 배치할 수 있다.Thereafter, referring to FIG. 7 , the inclined member 150 may be disposed to connect the lower member 110 and the upper member 130 in the step of disposing the inclined member ( S40 ).

여기서, 상부재(130)와 경사 부재(150)의 연결 및 하부재(110)와 경사 부재(150)의 연결은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연결플레이트(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member 130 and the inclined member 150 and the lower member 110 and the inclined member 150 may be directly connected by welding or the like, but via a connection plate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connect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압축 부재(140)는 별도의 긴장재(20)를 통해 압축력(F20)을 인가 받을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8 , the compression member 140 may receive a compressive force F20 through a separate tension member 20 .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서 압축력 인가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compressive force application process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형상이 변형되기 전의 압축 부재(140a)는 긴장재(20)가 고정 부재(30)를 통해 고정되어 있고, 압축력 인가 단계(S30)에서는 횡방향에서 긴장재(20)를 당겨, 압축 부재(140a)에 횡방향으로 압축력(F20)을 인가할 수 있다.8, in the compression member 140a before the shape is deformed, the tension member 20 is fixed through the fixing member 30, and in the compressive force application step (S30), the tension member 20 is pulled in the lateral direction, A compressive force F20 may be applied to the compressing member 140a in a transverse direction.

이때, 압축 부재(140)의 중심영역(142)은 상부재(130a)의 중심영역(132)을 상부로 밀어 중심영역(132)에서 상부로 돌출된 캠버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entral region 142 of the compression member 140 may push the central region 132 of the upper member 130a upward to form a camber protruding upward from the central region 132 .

즉, 변형 전의 상부재(130a)는 압축 부재(140)의 상향력(F1)에 의해 중심영역(132)에서 캠버가 형성된 상부재(130)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That is, the shape of the upper member 130a before deformation may be changed to the upper member 130 having a camber in the central region 132 by the upward force F1 of the compression member 140 .

이후, 횡방향의 압축력(F20)이 제거된 이후, 각각의 단부영역(141)은 교각(10) 상에서 하부재(1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단부영역(141)의 고정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reafter, after the compressive force F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removed, each end region 141 may be fixed to the lower member 110 on the pier 10 . Here, the end region 141 may be fixed through welding or a separate fastening member (not shown).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이다.9 is a front view show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은 하부재(210), 수직 부재(220), 상부재(미도시), 압축 부재(230) 및 경사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wer member 210 , a vertical member 220 , an upper member (not shown), a compression member 230 and an inclined member 250 . can

여기서, 하부재(210), 수직 부재(220), 압축 부재(230) 및 경사 부재(250)는 일반적인 아치형 교량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교각(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lower member 210 , the vertical member 220 , the compression member 230 , and the inclined member 250 may be configured as a general arcuate bridge structure, and may be disposed on the neighboring piers 10 .

하부재(210)는 이웃하는 교각(10)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판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member 210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adjacent pier 10, and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plate shape.

한편, 하부재(210)는 I형강, 사각강관, 원형강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사각강관 또는 원형강관이 사용되는 경우에 그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나 합성수지 등의 충진재를 삽입시켜, 강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material 210 may be implemented by selecting any one of an I-beam steel, a square steel pipe, and a round steel pipe, and when a square steel pipe or a round steel pipe is used, a filler such as concrete or synthetic resin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 can increase the rigidity.

수직 부재(220)는 하부재(210)의 양 측단부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연결되며, 한 쌍의 로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member 220 is vertically connected from both side ends of the lower member 210 to the top, and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air of rods.

여기서, 수직 부재(220)는 하부재(210)와 상부재(미도시)의 양측단을 연결하며, 기 설정된 제1너비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vertical member 220 connects both ends of the lower member 210 and the upper member (not shown), and may have a preset first width.

상부재(미도시)는 압축부재(230)의 형상에 따라 압축 부재(230) 상에 설치될 수 있다.An upper memb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compression member 23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mpression member 230 .

상부재(미도시)는 실질적으로 보행자 또는 자전거 등의 경차량에 의해 사용 하중을 직접 받도록 기능할 수 있다.The upper member (not shown) may function to substantially directly receive a working load by a light vehicle such as a pedestrian or a bicycle.

압축 부재(230)는 횡방향(길이 방향)에서 압축력을 인가 받아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캠버(camber)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상부재(미도시)에 상향력(F1)을 부여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member 230 may receive a compressive for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convex camber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rough this, an upward force F1 may be applied to the upper member (not shown).

압축 부재(230)는 I형강, 사각강관, 원형강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압축 부재(230)는 압축력을 인가 받은 후,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각강관 또는 원형강관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나 합성수지 등의 충진재를 삽입시킬 수 있다.The compression member 230 may be implemented by selecting any one of an I-beam steel, a square steel pipe, and a round steel pipe. In addition. After receiving the compressive force, the compression member 230 may insert a filler such as concrete or synthetic resin into the inner space of a square steel pipe or a round steel pipe to increase rigidity.

여기서, 압축 부재(230)는 교각(10)의 상부에서 하부재(210)에 고정되는 단부영역과 횡방향 압축력에 의해 상부로 돌출 변형되는 중심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mpression member 230 may include an end region fixed to the lower member 21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10 and a central region protrudingly deformed upward by a lateral compression force.

양측 단부영역은 교각(10) 상에 위치하여, 교각(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재(210)를 관통하여 교각(10)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양측 단부영역(241)이 하부재(210) 및 교각(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Both end regions are located on the pier 10 and can be firmly fixed to the pier 10 . Here,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 regions 241 are fixed to the lower member 210 and the pier 10 through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that penetrates through the lower member 210 and is fastened to the pier 10 .

즉, 상부재(미도시)의 단부영역(231)의 상면 중 일부는 평탄면(2)을 이루고, 단부영역(231)으로부터 중심영역(232)까지 높이가 서서히 증가될 수 있다.That is,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region 231 of the upper member (not shown) forms the flat surface 2 , and the height may gradually increase from the end region 231 to the center region 232 .

여기서, 압축 부재(230)의 중심영역의 캠버의 돌출 높이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camber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compression member 23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경사 부재(250)는 하부재(210)와 압축 부재(230)를 연결할 수 있다.The inclined member 250 may connect the lower member 210 and the compression member 230 .

여기서, 수직하중을 수직 부재(220) 및 경사 부재(250)의 축력으로 지지하게 함으로써 휨모멘트와 전단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교량이 둔탁하지 아니하고 날렵한 형상을 가지게 하면서도 장스팬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Here, by supporting the vertical load with the axial force of the vertical member 220 and the inclined member 250, the bending moment and shear force are not generated, so that the bridge is not dull and has a sharp shape while maintaining a long span.

여기서, 압축 부재(230)와 경사 부재(250)의 연결 및 하부재(210)와 경사 부재(250)의 연결은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연결플레이트(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pression member 230 and the inclined member 250 and the lower member 210 and the inclined member 250 may be directly connected by welding or the like, but via a connection plate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connect

한편, 압축 부재(230)는 상향력(F1)을 유지하고 있어, 하부재(210), 수직 부재(220), 상부재(미도시) 및 압축 부재(230)로 구성된 구조물은 구조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다. 따라서 경사 부재(250)는 필요이상으로 두꺼울 필요가 없어 제1너비보다 작은 제2너비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ion member 230 maintains the upward force F1, so that the structure consisting of the lower member 210, the vertical member 220, the upper member (not shown) and the compression member 230 is structurally stable. can Accordingly, the inclined member 250 does not need to be thicker than necessary and may have a second width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이를 통해, 경사 부재(250)를 중량화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inclined member 250 may be weighted.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4 .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 to 14 are front views for sequentially explain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우선,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하부재 및 압축 부재 배치 단계(S110), 압축력 인가 단계(S120) 및 상부재 배치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0 ,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member and a compressive member arrangement step (S110), a compressive force application step (S120) and an upper member arrangement step (S130). can do.

도 11을 참조하면, 하부재 및 압축 부재 배치 단계(S110)에서는 이웃하는 하부재(210) 상에 압축 부재(230)를 배치하여, 시공 준비를 진행한다. Referring to FIG. 11 , in the step of disposing the lower member and the compression member ( S110 ), the compression member 230 is disposed on the adjacent lower member 210 to proceed with construction preparation.

여기서, 하부재(210), 수직 부재(220) 및 상부재(미도시))는 상술한 하부재(210), 수직 부재(220) 및 상부재(미도시)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lower member 210, the vertical member 220 and the upper member (not shown))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lower member 210, the vertical member 220 and the upper member (not shown), so detailed below A description is omitted.

즉, 하부재 및 압축 부재 배치 단계(S110)에서는 하부재(210) 상에 압축 부재(230a)를 배치한다. 여기서, 압축 부재(230a)는 변형되기 전의 형상을 갖는 압축 부재(230)다.That is, in the step of disposing the lower member and the compression member ( S110 ), the compression member 230a is disposed on the lower member 210 . Here, the compression member 230a is the compression member 230 having a shape before being deformed.

한편, 하부재 및 압축 부재 배치 단계(S110)에서는 압축 부재(230a)의 양측 단부영역(241) 중 하나의 단부영역을 하부재(210) 상에 수직 부재(220)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 부재(230a)의 고정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in the step of disposing the lower material and the compression member ( S110 ), one end area among both end areas 241 of the compression member 230a may be fixed on the lower material 210 through the vertical member 220 . Here, the compression member 230a may be fixed through welding or a separate fastening member (not shown).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압축력 인가 단계(S120)에서는 횡방향에서 압축 부재(230a)에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12 , in the compressing force application step S120 , a compressive force may be applied to the compressive member 230a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압축 부재(230a)의 일측은 하부재(210) 상에 고정되고, 타측에 고정 부재(220) 및 압축력 인가부(50)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력 인가부(50)는 유압 실린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compression member 230a may be fixed on the lower material 210 , and the fixing member 220 and the compression force applying unit 50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Here, the compressive force applying unit 50 may be implemented as a hydraulic cylinder or the like.

다만, 본 발명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reto.

여기서, 고정된 일측 단부영역은 하부재(210)에 고정됨에 따라 압축력 인가부(50)에 의해 인가되는 압축력에 대응하여 일측에서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다.Here, as the fixed one end region is fixed to the lower material 210 , a compressive force may be applied from one side in response to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by the compressive force applying unit 50 .

이를 통해, 압축 부재(230)의 중심영역은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캠버를 형성할 수 있고, 상부 방향으로 상향력(F1)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central region of the compression member 230 may form a camber having a convex shape in an upward direction, and may provide an upward force F1 in an upward direction.

이후, 도 13을 참조하면, 횡방향의 압축력이 제거된 이후, 양측 단부영역은 하부재(2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단부영역(241)의 고정은 용접 또는 별도의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n, referring to FIG. 13 , after the compressive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is removed, both end regions may be fixed on the lower material 210 . Here, the end region 241 may be fixed through welding or a separate fastening member (not shown).

이후, 도 14를 참조하면, 상부재 배치 단계(S130)에서는 압축 부재(230) 상에 상부재(미도시)를 배치하고, 하부재(210)와 압축 부재(230)를 연결하도록 경사 부재(240)를 배치할 수 있다.Thereafter, referring to FIG. 14 , in the upper member disposing step S130 , an upper member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compression member 230 , and an inclined member ( 240) can be placed.

여기서, 압축 부재(230)와 경사 부재(240)의 연결 및 하부재(210)와 경사 부재(240)의 연결은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연결플레이트(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nection of the compression member 230 and the inclined member 240 and the connection of the lower member 210 and the inclined member 240 may be directly connected by a method such as welding, but via a connection plate (not shown) as a medium. It is preferable to connect

이를 통해, 도 9와 같은 교량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bridge structure shown in FIG. 9 can be completed.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shows and describe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written disclosure, and/or within the scope of skill or knowledge in the art. The written embodiment describes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the specific application field and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mbodiments.

110, 210: 하부재
120, 220: 수직 부재
130: 상부재
140, 230: 압축 부재
150, 240: 경사 부재
110, 210: lower material
120, 220: vertical member
130: upper material
140, 230: compression member
150, 240: inclined member

Claims (10)

이웃하는 교각 상에 배치되며 하부재, 수직 부재, 상부재 및 경사 부재를 포함하는 트러스 구조물; 및
상기 하부재 상에 배치되며, 길이 방향에서 압축력을 인가받아 중심영역이 상부로 변형된 압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부재의 중심영역은 상부로 상향력을 인가하고,
상기 상부재는 상기 수직 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재에 고정되는 단부영역과 상기 압축 부재의 상향력에 의해 상부로 돌출 변형되는 중심영역을 포함하고,
사용 하중을 인가 받으면, 상기 상부재의 중심영역과 단부영역은 평탄면을 이루는 교량 구조물.
a truss structure disposed on a neighboring pier and comprising a lower member, a vertical member, an upper member and an inclined member; and
It is disposed on the lower member, and includes a compression member whose central region is deformed upward by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entral region of the compression member applies an upward force upward,
The upper member includes an end region fixed to the lower member through the vertical member and a central region protrudingly deformed upward by the upward force of the compression member,
When a working load is applied, the central region and the end region of the upper member form a flat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의 양 단부는 상기 교각 상부에서 상기 하부재에 고정된 교량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Both ends of the compression member are fixed to the lower member i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부재의 너비는 상기 수직 부재의 너비보다 작은 교량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width of the inclined member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vertical member of the bridge structure.
이웃하는 교각 상에 하부재, 수직 부재 및 상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재 상에 압축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압축 부재의 중심영역이 상부로 변형되도록 압축력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재 및 상부재를 연결하도록 복수의 경사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력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압축 부재의 중심영역은 상기 상부재에 맞닿아 상기 상부재에 상향력을 인가하고,
상기 상부재는 상기 압축 부재에 맞닿는 중심영역이 단부영역보다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부재는 상기 수직 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재에 고정되는 단부영역과 상기 압축 부재의 상향력에 의해 상부로 돌출 변형되는 중심영역을 포함하고,
사용 하중을 인가 받으면, 상기 상부재의 중심영역과 단부영역은 평탄면을 이루는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disposing the lower member, the vertical member and the upper member on the neighboring piers;
disposing a compression member on the lower member;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so that the central region of the compressing member is deformed upwardly;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inclined members to connect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In the step of applying the compressive force,
The central region of the compression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member to apply an upward force to the upper member,
In the upper member, a central region in contact with the compression member protrudes upward than an end region,
The upper member includes an end region fixed to the lower member through the vertical member and a central region protrudingly deformed upward by the upward force of the compression member,
When a working load is applied, the central region and the end region of the upper member form a flat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경사 부재의 너비는 상기 수직 부재의 너비보다 작은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step of disposing the inclined member,
The width of the inclined member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vertical member construction method of the bridge structure.
이웃하는 교각 상에 하부재 및 압축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압축 부재의 중심영역이 상부로 변형되도록 압축력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부재 상에 상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재는 상기 압축 부재에 맞닿는 중심영역이 단부영역보다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부재는 상기 수직 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재에 고정되는 단부영역과 상기 압축 부재의 상향력에 의해 상부로 돌출 변형되는 중심영역을 포함하고,
사용 하중을 인가 받으면, 상기 상부재의 중심영역과 단부영역은 평탄면을 이루는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disposing a lower member and a compression member on the adjacent piers;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so that the central region of the compressing member is deformed upwardly; and
disposing a supernatant on the compression member;
In the upper member, a central region in contact with the compression member protrudes upward than an end region,
The upper member includes an end region fixed to the lower member through the vertical member and a central region protrudingly deformed upward by the upward force of the compression member,
When a working load is applied, the central region and the end region of the upper member form a flat surface.
KR1020200121213A 2020-09-21 2020-09-21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ctive KR1024092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213A KR102409255B1 (en) 2020-09-21 2020-09-21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213A KR102409255B1 (en) 2020-09-21 2020-09-21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76A KR20220038876A (en) 2022-03-29
KR102409255B1 true KR102409255B1 (en) 2022-06-14

Family

ID=8099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213A Active KR102409255B1 (en) 2020-09-21 2020-09-21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25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4952A (en) * 2007-03-02 2008-09-18 Daiwa House Ind Co Ltd Rigidity increasing structure of steel frame beam and its forming method
KR101272278B1 (en) * 2012-10-12 2013-06-10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Truss-arch type composite b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4952A (en) * 2007-03-02 2008-09-18 Daiwa House Ind Co Ltd Rigidity increasing structure of steel frame beam and its forming method
KR101272278B1 (en) * 2012-10-12 2013-06-10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Truss-arch type composite b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876A (en)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299B1 (en) Truss composite lower route bridge
KR101170631B1 (en) A cantilever type widening strutcure of road
KR102503929B1 (en) expandable footbridge with V type cantilever structure
KR102409255B1 (en)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068299B1 (en) St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Vehicle Traffic in Bridge Raises
KR100357332B1 (en) Method and its devices to strengthen a girder of bridge by external prestressing method using multiple anchorage system
KR101252766B1 (en) Support bridge for expanding road
JP5848716B2 (en) Floor slab replacement method
KR102057323B1 (en) Attached or mounted extended footbridge
KR101609760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a sidewalk enlargement installation
KR101043710B1 (en) How to form an angle portion on the Haro bridge and the Haro bridge
KR20090101633A (en) Structural beam and bridge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od using structural beam
WO2006065041A1 (en) Temporary bridge of a cable-stayed girder bridge type with a long span
JPH09235705A (en) Reinforcing structure of gerber bridge hinge and reinforcing method thereof
KR101635851B1 (en) Bridge for easily constructing long span
KR101168916B1 (en) The precast beam reinforcement device
CN113914224A (en) Installation method of cross-lane construction support
KR101109128B1 (en) Temporary Footbridge with Reinforced Installation Configuration
JP4365276B2 (en) Suspended floor bridge
JP3806681B2 (en) Road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material
KR20130083695A (en) Pedestrian bridge structure with cantilever improved rigidity
KR200406524Y1 (en) Provisional system
JP2021067078A (en) Bridge fall prevention structure
KR102438599B1 (en) Bridge Expansion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reof
JPH0364643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