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962B1 - Manufacturing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coil manufacture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coil manufactured by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8962B1 KR102408962B1 KR1020220007074A KR20220007074A KR102408962B1 KR 102408962 B1 KR102408962 B1 KR 102408962B1 KR 1020220007074 A KR1020220007074 A KR 1020220007074A KR 20220007074 A KR20220007074 A KR 20220007074A KR 102408962 B1 KR102408962 B1 KR 1024089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pattern
- odd
- film
- coil patter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V 필름을 활용해 바이 파일러 코일을 구성하는 평행한 두 코일 패턴을 정교하게 합지함으로써 코일 가닥 간 간격의 최소화와 코일의 집적화를 구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더미의 고정바에 의해 코일이 고정된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의 일면에 각각 UV 필름을 부착하여 합지하는 단계; (c) UV 필름이 부착된 코일 패턴에서 고정 바를 제거하는 단계; (d) 일면에 UV 필름이 부착된 이븐 코일 패턴과 일면에 UV 필름이 부착된 오드 코일 패턴의 상호 타면을 마주한 상태로 결합시켜 결합된 코일을 바이 파일러 형태로 만드는 단계; 및 (e) 결합된 오드 코일 패턴과 이븐 코일 패턴에서 양측의 UV 필름을 제거하고 결합된 패턴의 일면에 커버레이를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that can minimize the gap between coil strands and realize coil integration by precisely laminating two parallel coil patterns constituting a bifilar coil using a UV film, (a ) forming an even coil pattern and an odd coil pattern in which a coil is fixed by a fixing bar of a dummy; (b) attaching a UV film to one surface of the even coil pattern and the odd coil pattern, respectively, and laminating; (c) removing the fixing bar from the coil pattern to which the UV film is attached; (d) making the combined coil into a bifilar form by combining the other surfaces of the even coil pattern having a UV film attached to one surface and the odd coil pattern having a UV film attached to one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e) removing the UV films on both sides from the combined odd coil pattern and even coil pattern and attaching a coverlay to one surface of the combined patter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선 충전 코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V 필름을 활용해 바이 파일러 코일을 구성하는 평행한 두 코일 패턴을 정교하게 합지함으로써 코일 가닥 간 간격의 최소화와 코일의 집적화를 구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선 충전 코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and a wireless charging coil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UV film to elaborately laminating two parallel coil patterns constituting a bifilar coil. It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minimization of the spacing between strands and integration of the coil, and a wireless charging coil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기기에게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무선 전력 송수신 기술은 휴대 단말의 배터리 충전뿐만 아니라, 가정용 전자제품에 대한 전력 공급, 전기자동차나 지하철에 대한 전력 공급 등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rest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technology for wirelessly supplying power to electronic devices is increasing. This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technology can be variously applied not only to charging a battery of a portable terminal, but also to supplying power to home electronic products, and supplying power to electric vehicles or subways.
무선 전력 송수신 기술은 자기 유도 또는 자기 공진의 원리를 이용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게 자기 유도 또는 자기 공진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한다. 여기서,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안테나는 금속 기판, 금속 기판 상에 배치된 연자성 시트 및 연자성 시트 상에 배치된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technology uses the principle of magnetic induction or magnetic resonanc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ly transmits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using the principle of magnetic induction or magnetic resonance. Here, the antenna of the wireless power transceiver may include a metal substrate, a soft magnetic sheet disposed on the metal substrate, and a coil disposed on the soft magnetic sheet.
최근에는 전력 송수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인접한 두 개의 평행한 코일 가닥으로 코일을 구성하는 바이 파일러 코일이 전력 송수신용 코일로 채택되고 있다. 이 같은 바이 파일러 코일은 최소한으로 얇게 코일 가닥을 제작하고 가닥 간 간격을 좁게 최소화하여 배치하는 것이 전력 송수신 효율에서 가장 중요하다. Recently, in order to increase power transmission/reception efficiency, a bi-pillar coil comprising two parallel coil strands adjacent to each other has been adopted as a power transmission/reception coil. For such a bifilar coil, making the coil strands as thin as possible and arranging the coil strands with a narrow gap between the strands is the most important for power transmission/reception efficiency.
종래에는 전력 송수신용의 바이 파일러 코일을 제작하기 위해 코일이 배치되는 필름에 별도의 접착제를 개재한 상태로 코일을 접착시키는 방식을 사용해 왔다. 이 같은 종래의 코일 제조 방식은 자체로 얇고 병렬 관계의 인접 가닥과 서로 미세한 간격을 가지게 되는 코일이 필름에 용이하게 정착될 수 있게 하는데는 적당하지만, 얇아진 코일 가닥과 가닥 간 미세 간격이 정확히 유지되도록 공정 중에 다루기가 어려워 그 집적화와 세밀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manufacture a bifilar coil for power transmission/reception, a method of adhering the coil to a film on which the coil is disposed with a separate adhesive interposed therebetween has been used. Such a conventional coil manufacturing method is suitable for allowing a coil having a thin, parallel relationship and a fine distance from each other to be easily fixed to the film, bu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thin coil strand and the fine distance between the strands accurately. It was difficult to handle during the process, so there was a limit to its integration and miniaturiz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UV 필름을 활용해 바이 파일러 코일을 구성하는 평행한 두 코일 패턴을 정교하게 합지함으로써 코일 가닥 간 간격의 최소화와 코일의 집적화를 구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선 충전 코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coil strands and to integrate the coils by precisely laminating two parallel coil patterns constituting the bifilar coil using a UV film.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that can be implemented and a wireless charging coil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a) 더미의 고정바에 의해 코일이 고정된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의 일면에 각각 UV 필름을 부착하여 합지하는 단계; (c) UV 필름이 부착된 코일 패턴에서 고정 바를 제거하는 단계; (d) 일면에 UV 필름이 부착된 이븐 코일 패턴과 일면에 UV 필름이 부착된 오드 코일 패턴의 상호 타면을 마주한 상태로 결합시켜 결합된 코일을 바이 파일러 형태로 만드는 단계; 및 (e) 결합된 오드 코일 패턴과 이븐 코일 패턴에서 양측의 UV 필름을 제거하고 결합된 패턴의 일면에 커버레이를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a) forming an even coil pattern and an odd coil pattern in which a coil is fixed by a fixing bar of a dummy; (b) attaching a UV film to one surface of the even coil pattern and the odd coil pattern, respectively, and laminating; (c) removing the fixing bar from the coil pattern to which the UV film is attached; (d) making the combined coil into a bifilar form by combining the other surfaces of the even coil pattern having a UV film attached to one surface and the odd coil pattern having a UV film attached to one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e) removing the UV films on both sides from the combined odd coil pattern and even coil pattern and attaching a coverlay to one surface of the combined pattern; 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comprising a.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은 평판형 코일을 포함하며, 이 코일의 권선되는 코일 가닥과 코일 가닥의 사이에는 이격된 이격 공간이 존재하며, 이븐 코일의 권선 간 이격 공간에는 오드 코일의 코일 가닥이 위치되고 오드 코일의 권선 간 이격 공간에는 이븐 코일의 코일 가닥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step (a), the even coil pattern and the odd coil pattern include a flat coil, and a spaced space exists between the coil strands wound in the coil and the coil strands, and the even coi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trands of the Odd coil are positioned in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windings and the coil strands of the Even coil are positioned in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windings of the Odd coil.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의 UV 필름의 초기 점착력은 1,800gf/25mm±10%이고, UV 조사에 따라 경화된 후기 점착력은 20gf/25mm±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initial adhesive strength of the UV film in step (b) is 1,800 gf/25mm±10%, and the late adhesive strength cured by UV irradiation is 20gf/25mm±20%.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고정 바는 프레싱 공정에 의해 타발되어 제거되며, 이븐 코일과 오드 코일은 코일과 더미에 함께 부착되어 합지된 UV 필름에 의해 패턴 평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step (c), the fixing bar is punched out and removed by a pressing process, and the even coil and the odd coil are attached to the coil and the dummy and maintained in the pattern plane by the laminated UV film. do it with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에서,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의 결합시 일측에서 코일 영역을 가압하여 한 평면 상에서 이븐 코일의 권선 간 이격 공간에는 오드 코일의 코일 가닥이 위치되고 오드 코일의 권선 간 이격 공간에는 이븐 코일의 코일 가닥이 위치되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step (d), when the even coil pattern and the odd coil pattern are combined, the coil region is pressed from one side to place the coil strands of the odd coil in the space between the windings of the even coil on one plane,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trands of the even coil are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windings.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는, (e-1) 결합된 오드 코일 패턴과 이븐 코일 패턴의 일면에 UV를 조사하여 일측 외면에 부착된 UV 필름을 경화시켜 제거하는 단계; (e-2) UV 필름이 제거된 코일의 상측에 커버를 내장한 커버레이를 배치하고, 고온압착에 의해 커버레이를 UV 필름이 제거된 코일의 상측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e-3) 결합된 오드 코일 패턴과 이븐 코일 패턴의 타면에 UV를 조사하여 타측 외면에 UV 필름을 경화시켜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tep (e) comprises the steps of: (e-1) curing and removing the UV film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by irradiating UV to one surface of the combined odd coil pattern and the even coil pattern; (e-2) disposing a coverlay having a built-in cover on the upper side of the coil from which the UV film is removed, and fixing the coverlay to the upper side of the coil from which the UV film is removed by high-temperature compression; and (e-3) curing and removing the UV film on the other outer surface by irradiating UV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ombined odd coil pattern and the even coil patter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 이후에, (f) 결합된 오드 코일 패턴과 이븐 코일 패턴에서 결합된 코일을 지지하는 커버만을 남기고 커버레이를 제거하며, 또한 결합된 코일의 외곽에 남은 더미를 제거하여 제품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fter step (e), (f) removes the coverlay leaving only the cover supporting the combined coil in the combined odd coil pattern and the even coil pattern, and also removes the dummy remaining on the outside of the combined coil removing and commercializ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특징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서, 코일 가닥이 다수회 권회되는 이븐 코일과 오드 코일로 구성되며, 상기 이븐 코일의 권선 간 이격 공간에는 오드 코일의 코일 가닥이 위치되고 오드 코일의 권선 간 이격 공간에는 이븐 코일의 코일 가닥이 위치되며, 이븐 코일과 오드 코일의 코일 가닥은 서로 밀접하게 위치되되 접촉하지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코일을 제공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features, it is composed of an even coil and an odd coil in which a coil strand is wound a plurality of times, The coil strands of the Odd coil ar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windings, and the coil strands of the Odd coil ar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windings of the Odd coil, and the even coil and the coil strands of the Odd coil are closely located but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wireless charging coil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UV 필름을 활용해 바이 파일러 코일을 구성하는 평행한 두 코일 패턴을 정교하게 합지함으로써 코일 가닥 간 간격의 최소화와 코일의 집적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UV film to precisely laminate two parallel coil patterns constituting a bifilar coi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coil strands and realize the integration of the co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코일의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패턴에 대한 UV 필름의 부착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바 제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의 결합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 필름의 탈거 및 커버레이 고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패턴에 대한 커버레이 부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작업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품화된 무선 충전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rocess flow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ven coil pattern and an odd coil pattern of a wireless charging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ttaching a UV film to a coil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bar remova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mbining an even coil pattern and an odd coil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mbining an even coil pattern and an odd coil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moving the UV film and fixing the cover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ttaching a coverlay to a coil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st-work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reless charging coil commercializ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1 is a process flow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은 이븐(Even) 코일 패턴(100)과 오드(Odd) 코일 패턴(200)을 먼저 형성하고 이들에 각각 UV 필름(130, 230)을 부착한 상태에서 결합시킨 후 결합된 패턴에서 외측의 UV 필름(130, 230)을 제거함으로써 바이 파일러 형태의 무선 충전 코일을 구성하게 된다.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ven
이하에서 설명 및 도시되는 코일 패턴의 구체적인 형태는 예시에 불과하며, 도시된 형태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코일 패턴의 어떠한 형태도 가능함을 말해둔다. The specific form of the coil pattern described and shown below is merely an example, and it is said that any form of a coil pattern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in addition to the form shown.
먼저 제 1 공정(S10)으로, 이븐 코일 패턴(100)과 오드 코일 패턴(200)을 형성하게 된다. First, in the first process ( S10 ), the even
도 2의 (a)에는 이븐 코일 패턴(1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의 (a)에는 오드 코일 패턴(200)이 도시되어 있다. The even
상기 이븐 코일 패턴(100)과 오드 코일 패턴(200)은 평판형 코일로서, 코일 가닥이 다수회 권회되어 이븐 코일(110)과 오드 코일(210)이 형성되는 동일한 형태를 가지게 되며,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의 모양을 가지게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코일 가닥이 권선될 수 있다. The even
또한 상기 이븐 코일(110)과 오드 코일(210)에서 권선되는 코일 가닥과 코일 가닥의 사이에는 이격된 이격 공간이 존재하며, 이븐 코일(110)의 권선 간 이격 공간에는 오드 코일(210)의 코일 가닥이 위치되고 오드 코일(210)의 권선 간 이격 공간에는 이븐 코일(110)의 코일 가닥이 위치됨으로써 바이 파일러 형태의 무선 충전 코일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븐 코일(110)과 오드 코일(210)의 코일 가닥은 서로 밀접하게 위치되되 접촉하지는 않는다. In addition, a spaced apart space exists between the coil strands wound in the even
여기에서 이븐 코일 패턴(100)과 오드 코일 패턴(200)은 금속 시트를 재료로 하며 에칭(Etching) 공정이나 프레스(Press)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븐 코일(110)과 오드 코일(210)의 권선된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이븐 코일(110)과 오드 코일(210)이 외부 더미(120, 220)에 연결된 고정 바(130, 230)와 연결됨으로써 지지된다. 이 같은 금속 시트는 무선 전력 전송에 적합한 다양한 물질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가령,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Here, the
다음으로 제 2 공정(S20)으로, 이븐 코일 패턴(100)과 오드 코일 패턴(200)의 일면에 각각 UV 필름(140, 240)을 부착하게 된다. Next, in the second process (S20),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패턴에 대한 UV 필름의 부착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ttaching a UV film to a coil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일면이 상부로 노출되게 코일 패턴(100, 200)을 필름 부착 지그(300)에 위치시킨 후(도 3의 (a) 참조), 노출된 코일 패턴(100, 200)의 일면에 UV 필름(140, 240)을 배치하고(도 3의 (b) 참조), 이 코일 패턴(100, 200)에 UV 필름(140, 240)을 부착하여 합지하게 된다(도 3의 (c) 참조). Referring to FIG. 3 , after positioning the
상기 UV 필름(140, 240)은 자외선(Ultraviolet, UV)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고분자 필름 형태의 접착제이다. 이 같은 UV 필름(140, 240)은 UV 조사 전에 높은 접착력을 발휘해야 하고 UV 조사 후에는 그 접착력이 현저히 감소해야 하는 성질을 가져야 하며 박리 후에는 코일 패턴(100, 200)에 대해 점착제의 전이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UV 필름(140, 240)의 초기 점착력은 1,800gf/25mm±10%일 수 있으며, 코일 패턴(100, 200)의 정밀도나 평면적에 따라 원단 두께, 점착력, 점착 두께의 변경 또한 가능하다. UV 조사기(500)의 UV 조사 이후 이 UV 필름(140, 240)의 후기 점착력은 20gf/25mm±20%일 수 있다.The initial adhesive strength of the
이 UV 필름(140, 240)은 초기 점착력에 의해 코일 패턴(100, 200)의 권선된 형태를 유지시키게 되며, 후공정인 고정 바(130, 230)의 제거시 코일 패턴(100, 200)의 형상을 유지시키게 될 것이다. The
따라서 상기 UV 필름(140, 240)은 코일 패턴(100, 200)의 전체면에 부착시키기 보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이븐 코일(110)과 오드 코일(210)을 중심으로 근접되는 더미(120, 220)의 일부 영역까지만 부착시키는 것이 공정상 효율적일 것이다. Therefore, rather than attaching the
다음으로 제 3 공정(S30)으로, UV 필름(140, 240)이 부착된 코일 패턴(100, 200)을 프레스 금형으로 가압하여 고정 바(130, 230)를 제거하게 된다. Next, in the third process (S30), the fixin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바 제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bar remova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싱 공정에 의해 코일 패턴(100, 200)에서 고정 바(130, 230)만을 타발하여 제거(점선 참조)하게 되며, 이 같은 고정 바(130, 230) 제거 공정에 의해 이븐 코일(110)이나 오드 코일(210)은 더미(120, 220)와 직접적인 연결 관계가 사라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UV 필름(140, 240)에 의해 상기 코일 패턴(100, 200)과 더미(120, 220)의 평면 구조가 유지되게 될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 only the fixing
다음으로 제 4 공정(S40)으로, 일면에 UV 필름(140)이 부착된 이븐 코일 패턴(100)과 일면에 UV 필름(240)이 부착된 오드 코일 패턴(200)의 타면을 마주한 상태로 결합시키게 된다. Next, in the fourth process (S40),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의 결합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mbining an even coil pattern and an odd coil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일면에 UV 필름(240)이 부착된 오드 코일 패턴(200)을 UV 필름(240)이 하부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일면에 UV 필름(140)이 부착된 이븐 코일 패턴(100)을 UV 필름(140)이 상부로 향하게 하여 오드 코일 패턴(200) 상에 배치하고(도 5의 (a) 참조), 패턴 결합 지그(500)에 위치시킨 후 하방으로 가압하여(도 5의 (b) 참조), 오드 코일 패턴(200)과 이븐 코일 패턴(100)을 결합시키게 된다(도 5의 (c) 참조). Referring to FIG. 5 , an
여기에서 오드 코일 패턴(200)과 이븐 코일 패턴(100)의 상하 배치 구조는 상술한 설명의 역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Here, the vertica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mbining an even coil pattern and an odd coil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에는 UV 필름(140)이 부착된 이븐 코일 패턴(100)이 도시되어 있으며, UV 필름(140)이 상부로 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6 (a) shows the
또한 도 6의 (b)에는 UV 필름(240)이 부착된 오드 코일 패턴(200)이 도시되어 있으며, UV 필름(240)이 하부로 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Also, in (b) of FIG. 6 , the
그리고 도 6의 (c)와 같이 두 패턴을 겹치고,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결합 지그(500)로 눌러 압착함으로써 오드 코일 패턴(200)과 이븐 코일 패턴(10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븐 코일(110)의 권선 간 이격 공간에는 오드 코일(210)의 코일 가닥이 위치되고 오드 코일(210)의 권선 간 이격 공간에는 이븐 코일(110)의 코일 가닥이 위치됨으로써 바이 파일러 형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And by overlapping the two patterns as shown in (c) of FIG. 6, and pressing and pressing with a
다음으로 제 5 공정(S50)으로, 결합된 오드 코일 패턴(200)과 이븐 코일 패턴(100)에서 양측의 UV 필름(140, 240)을 제거하고, 결합된 오드 코일 패턴(200)과 이븐 코일 패턴(100)의 일면에 커버레이(300)를 부착하게 된다. Next, in a fifth process (S50), the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 필름의 탈거 및 커버레이 고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moving the UV film and fixing the cover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오드 코일 패턴(200)과 이븐 코일 패턴(100)의 일면에 UV 조사기(600)로 UV를 조사하여 이븐 코일 패턴(100)의 외면에 부착된 UV 필름(140)을 경화시키게 된다. First, as shown in (a) of Figure 7a, by irradiating UV on one surface of the combined
이 같은 UV 필름(140)의 경화에 의해 초기 점착력(1,800gf/25mm±10%)에 비해 약화된 후기 점착력(20gf/25mm±20%)을 가지는 UV 필름(140)과 이에 연결된 더미(120)는 제거되게 된다(도 7a의 (b) 참조). The
이후 도 7a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 필름(140)이 제거된 코일(110, 210)의 상측에 커버(210)를 내장한 커버레이(300)를 배치하고, 핫 프레스(700)로 가압해 커버레이(300)를 UV 필름(140)이 제거된 코일(110, 210)의 상측에 고정시키게 된다(도 7a의 (d) 참조). Thereafter, as shown in (c) of FIG. 7A , a
도 8을 참조하면, 커버레이(300)는 코일(110, 2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210)를 내장한 상태(도 8의 (a) 참조)로, 코일(110, 210)의 위치에 커버(210)가 위치되게 고온압착에 의해 고정된다(도 8의 (b) 참조). Referring to FIG. 8 , the
그리고 이번에는 결합된 오드 코일 패턴(200)과 이븐 코일 패턴(100)의 타면에 UV 조사기(600)로 UV를 조사하여 오드 코일 패턴(200)의 외면에 부착된 UV 필름(240)을 경화시키게 된다(도 7b의 (e) 참조). And this time, the
이 같은 UV 필름(240)의 경화에 의해 초기 점착력(1,800gf/25mm±10%)에 비해 약화된 후기 점착력(20gf/25mm±20%)을 가지는 UV 필름(240)은 제거되게 된다(도 7b의 (f) 참조). By curing the
도 7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UV 필름의 탈거 및 커버레이 고정 과정은 오드 이븐 코일 패턴(100)의 외면에 부착된 UV 필름(140)을 먼저 제거하고 여기에 커버레이(300)를 배치하며 이후 오드 코일 패턴(200)의 외면에 부착된 UV 필름(240)을 제거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의 역으로 오드 코일 패턴(200)의 외면에 부착된 UV 필름(240)을 먼저 제거하고 여기에 커버레이(300)를 배치하며 이후 이븐 코일 패턴(100)의 외면에 부착된 UV 필름(140)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UV film and fixing the coverlay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다음으로 제 6 공정(S60)으로, 결합된 오드 코일 패턴(200)과 이븐 코일 패턴(100)에서 결합된 코일(110, 210)을 지지하는 커버(310)만을 남기고 커버레이(300)를 제거하며 또한 결합된 코일(110, 210)의 외곽에 남은 더미(220 또는 120)를 제거하여 제품화하는 후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Next, in the sixth process (S60), the
이 같은 후공정은 커버레이(300) 제거 공정과 더미(220 또는 120) 제거 공정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되게 된다. Such a post-process is sequentially performed as a
도 9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레이(300) 제거 공정에서는 결합된 코일(110, 210)을 지지하는 커버(310)를 남겨두고 이 커버(310)를 제공하는 커버레이(300)는 제거하게 된다. 또한 도 9의 (b)를 참조하면, 결합된 코일(110, 210)을 지지하는 커버(310)가 있는 상태에서 외곽에 남은 더미(220 또는 120)를 모두 제거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ure 9 (a), in the
이에 따라 제품화된 무선 충전 코일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Accordingly, a commercialized wireless charging coil is shown in FIG. 10 .
제품화된 무선 충전 코일의 배면에는 커버(310)가 배치되게 되며, 정면에는 이 커버(310) 상에 바이 파일러 형태로 결합된 코일(110, 210)이 배치되게 된다. The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이븐 코일 패턴 110 : 이븐 코일
120 : 더미 130 : 고정바
140 : UV 필름 200 : 오드 코일 패턴
210 : 오드 코일 220 : 더미
230 : 고정바 240 : UV 필름
300 : 커버레이 310 : 커버
400 : 필름 부착 지그 500 : 패턴 결합 지그
600 : UV 조사기 700 : 핫 프레스100: even coil pattern 110: even coil
120: dummy 130: fixed bar
140: UV film 200: odd coil pattern
210: odd coil 220: dummy
230: fixed bar 240: UV film
300: coverlay 310: cover
400: film attaching jig 500: pattern combining jig
600: UV irradiator 700: hot press
Claims (8)
(b) 상기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의 일면에 각각 UV 필름을 부착하여 합지하는 단계;
(c) 각각 UV 필름이 부착된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에서 고정 바를 제거하는 단계;
(d) 일면에 UV 필름이 부착된 이븐 코일 패턴과 일면에 UV 필름이 부착된 오드 코일 패턴의 상호 타면을 마주한 상태로 결합시켜 결합된 코일을 바이 파일러 형태로 만드는 단계; 및
(e) 결합된 오드 코일 패턴과 이븐 코일 패턴에서 양측의 UV 필름을 제거하고 결합된 패턴의 일면에 커버레이를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
(a) forming an even coil pattern and an odd coil pattern in which a coil is fixed by a fixing bar of a dummy;
(b) attaching a UV film to one surface of the even coil pattern and the odd coil pattern, respectively, and laminating;
(c) removing the fixing bar from the even coil pattern and the odd coil pattern to which the UV film is attached, respectively;
(d) making the combined coil into a bifilar shape by combining the other surfaces of the even coil pattern having a UV film attached to one surface and the odd coil pattern having a UV film attached to one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e) removing the UV films on both sides from the combined odd coil pattern and even coil pattern and attaching a coverlay to one surface of the combined patter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comprising a.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은 평판형 코일을 포함하며, 이 코일의 권선되는 코일 가닥과 코일 가닥의 사이에는 이격된 이격 공간이 존재하며, 이븐 코일의 권선 간 이격 공간에는 오드 코일의 코일 가닥이 위치되고 오드 코일의 권선 간 이격 공간에는 이븐 코일의 코일 가닥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a),
The even coil pattern and the odd coil pattern include a flat coil, and a spaced space exists between the coil strands wound and the coil strand of the coil, and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windings of the even coil includes the coil strands of the odd coil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trands of the even coil are positioned in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windings of the Odd coil.
상기 (b) 단계의 UV 필름의 초기 점착력은 1,800gf/25mm±10%이고, UV 조사에 따라 경화된 후기 점착력은 20gf/25mm±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nitial adhesive force of the UV film of step (b) is 1,800 gf/25mm±10%, and the late adhesive force cured by UV irradiation is 20gf/25mm±20%.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고정 바는 프레싱 공정에 의해 타발되어 제거되며, 이븐 코일과 오드 코일은 코일과 더미에 함께 부착되어 합지된 UV 필름에 의해 패턴 평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c),
The fixing bar is punched out and removed by a pressing process, and the even coil and the odd coil are attached to the coil and the dummy and are maintained in a pattern plane by the laminated UV film.
상기 (d) 단계에서,
이븐 코일 패턴과 오드 코일 패턴의 결합시 일측에서 코일 영역을 가압하여 한 평면 상에서 이븐 코일의 권선 간 이격 공간에는 오드 코일의 코일 가닥이 위치되고 오드 코일의 권선 간 이격 공간에는 이븐 코일의 코일 가닥이 위치되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d),
When the even coil pattern and the odd coil pattern are combined, the coil area is pressed from one side so that the coil strands of the odd coil ar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windings of the even coil on one plane, and the coil strands of the even coil ar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windings of the odd coil on one plan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be positioned.
상기 (e) 단계는,
(e-1) 결합된 오드 코일 패턴과 이븐 코일 패턴의 일면에 UV를 조사하여 일측 외면에 부착된 UV 필름을 경화시켜 제거하는 단계;
(e-2) UV 필름이 제거된 코일의 상측에 커버를 내장한 커버레이를 배치하고, 고온압착에 의해 커버레이를 UV 필름이 제거된 코일의 상측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e-3) 결합된 오드 코일 패턴과 이븐 코일 패턴의 타면에 UV를 조사하여 타측 외면에 UV 필름을 경화시켜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tep (e) is,
(e-1) curing and removing the UV film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by irradiating UV on one surface of the combined Odd coil pattern and the even coil pattern;
(e-2) disposing a coverlay having a built-in cover on the upper side of the coil from which the UV film is removed, and fixing the coverlay to the upper side of the coil from which the UV film is removed by high-temperature compression; and
(e-3) curing and removing the UV film on the other outer surface by irradiating UV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ombined odd coil pattern and the even coil patter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comprising a.
상기 (e) 단계 이후에,
(f) 결합된 오드 코일 패턴과 이븐 코일 패턴에서 결합된 코일을 지지하는 커버만을 남기고 커버레이를 제거하며, 또한 결합된 코일의 외곽에 남은 더미를 제거하여 제품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코일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step (e),
(f) removing the coverlay leaving only the cover supporting the coils coupled in the combined odd coil pattern and the even coil pattern, and also removing the dummy remaining on the outside of the combined coil to commercializ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coi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7074A KR102408962B1 (en) | 2022-01-18 | 2022-01-18 | Manufacturing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coil manufactured by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7074A KR102408962B1 (en) | 2022-01-18 | 2022-01-18 | Manufacturing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coil manufactured by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8962B1 true KR102408962B1 (en) | 2022-06-22 |
Family
ID=8221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7074A Active KR102408962B1 (en) | 2022-01-18 | 2022-01-18 | Manufacturing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coil manufactured by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896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9425A (en) * | 2013-11-25 | 2016-07-27 | 에이.케이 스탬핑 컴퍼니, 인크. | Wireless charging coil |
KR20200101440A (en) * | 2013-11-25 | 2020-08-27 | 에이.케이 스탬핑 컴퍼니, 인크. | Wireless charging coil |
-
2022
- 2022-01-18 KR KR1020220007074A patent/KR10240896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9425A (en) * | 2013-11-25 | 2016-07-27 | 에이.케이 스탬핑 컴퍼니, 인크. | Wireless charging coil |
KR20200101440A (en) * | 2013-11-25 | 2020-08-27 | 에이.케이 스탬핑 컴퍼니, 인크. | Wireless charging coil |
JP2021508949A (en) * | 2013-11-25 | 2021-03-11 | エイ・ケイ・スタンピング・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K. Stamping Company, Inc. | Wireless charging coi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04740B2 (en) |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346253B1 (en) | Magnetic materia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uble-sided adhesive spacer, and, antenn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EP2744119A1 (en) |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30017598A (en) | Coi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7731486A (en) | Coil block | |
WO2018123699A1 (en) | High-frequency module | |
KR101971090B1 (en) | Receiving antennas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KR102408962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coil and wireless charging coil manufactured by the same | |
EP1555718A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magnetic core, magnetic core, electromagnetic transducer, clock and electronic device | |
JP2001291627A (en) | Iron core manufacturing method and iron core manufacturing apparatus suitable for the method | |
KR101912268B1 (en) | Magnetic sheet for wireless charg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JP3932933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magnetic element | |
JP5412594B1 (en) | Antenna module, antenna module precur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ntenna module | |
KR102029726B1 (en) |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
KR20170125658A (en) | Inductor and produc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182842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ase of mobile device with antenna | |
KR20180017409A (en) | Inductor | |
KR20180101786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antenna module using one time hot press | |
KR101157598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ase of mobile device with antenna | |
KR101547981B1 (en) |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KR102407614B1 (en) | Antenna Module Using Loop Antenna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007195B1 (en) | Receiving antennas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JP2011181020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contactless ic card | |
JP2011070704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ic card, and ic c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1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