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07080B1 -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080B1
KR102407080B1 KR1020150139635A KR20150139635A KR102407080B1 KR 102407080 B1 KR102407080 B1 KR 102407080B1 KR 1020150139635 A KR1020150139635 A KR 1020150139635A KR 20150139635 A KR20150139635 A KR 20150139635A KR 102407080 B1 KR102407080 B1 KR 102407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ffe
carrier
transmission signal
upl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472A (ko
Inventor
박창준
김일수
손영일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76,88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44376B2/en
Priority to CN201610409073.5A priority patent/CN106253916B/zh
Publication of KR20160146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0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83Transmitters with multiple parallel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상향링크 반송파 집적(uplink carrier aggregation)을 위한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반송파 송신 신호들에 대응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상향링크 송신부와, 상기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와, 상기 상향링크 송신부와 상기 RFFE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저장부와 상기 반송파들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디코더들을 포함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디코더는 상기 저장부의 정보를 액세스하여 상기 RFFE의 무선 송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ON}
아래의 실시 예들은 송신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멀티 미디어 서비스의 개발로, 고속의 통신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는 이전보다 많은 기능들을 포함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요구에 따라 고속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하드웨어의 복잡도가 감소된 전자 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고속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하드웨어의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상향링크 반송파 집적(uplink carrier aggregation)을 위한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반송파 송신 신호들에 대응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상향링크 송신부와, 상기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와, 상기 상향링크 송신부와 상기 RFFE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저장부와 상기 반송파들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디코더들을 포함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디코더는 상기 저장부의 정보를 액세스하여 상기 RFFE의 무선 송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의 동작 방법은, 상기 송신 장치에 포함된 상향링크 송신부가 상향링크 반송파 집적(uplink carrier aggregation)을 위한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반송파 송신 신호들에 대응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송신 장치에 포함된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가 상기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송신 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상향링크 송신부와 상기 RFFE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저장부와 상기 반송파들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디코더들을 포함하는 송신 제어부가 상기 상향링크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활성화하는 동작과, 상기 활성화된 디코더가 상기 저장부의 정보를 액세스하여 상기 RFFE의 무선 송신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은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의 상향링크 반송파 집적을 통해 고속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장치 내의 RFFE가 다중 MIPI(multi-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지원할 수 있어 RFFE의 점유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이뤄진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a는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한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송신 장치에서 상향링크 송신을 위한 복수의 단일(single) 송신 제어부들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의 기능적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다중(multiple) 송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의 기능적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RFFE의 기능적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송신 신호의 출력 절차를 도시한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지원 가능한 반송파 집적 조합의 제약을 피하기 위하여, 상향링크 반송파 집적(uplink 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송신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는 모든 주파수 밴드(frequency band)을 지원할 수 있도록 송신기(transmitter)와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신과 관련된 송신 장치의 구성요소(component)들은 송신 신호의 동기가 중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상향링크 반송파 집적을 지원하는 송신 장치는 구성 반송파(CC, component carrier)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반송파는 반송파 집적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반송파 각각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신호와 상기 송신 신호의 송신 제어 데이터의 동기를 위하여,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송신기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RFFE들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은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의 상향링크 반송파 집적을 통해 고속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장치 내의 RFFE가 다중-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지원할 수 있어 RFFE의 점유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도 1a는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송신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110은 다른 장치(예를 들면, 기지국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장치 110은 이동 통신 장치(mobile station), 통신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의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 148은 기지국(base station), 기지국(eNodeB), 또는 접근점(AP, access point)의 수신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가지는 전자 장치(예를 들면, mobile device)의 상향링크 송신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기지국의 장치 또는 AP의 상향링크 수신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송신 장치 110은 복수의 반송파(carrier)들 중 하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채널을 통해 상기 수신 장치 148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채널은 상기 하나의 반송파에 대응하는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송신 장치 110은 a MHz의 대역폭(band width)을 포함하는 반송파 120, 반송파 130, 반송파 140 중 하나의 반송파를 신호의 전송을 위해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장치 110은 상기 선택된 반송파 120을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 120에 대응하는 채널 145를 통해 상기 수신 장치 148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한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도시한다.
상기 반송파 집적은 복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반송파 집적은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들의 혼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송파 집적은 LTE 기술들, LTE 기술과 3G(3rd generation) 기술, LTE 기술 및 Wi-Fi 기술의 혼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송파 집적을 이용하는 장치는 신호의 전송을 위해 보다 많은 무선 자원(radio resource)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반송파 집적은 복수의 반송파(carrie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송파 집적을 구성하는 복수의 반송파 각각은 구성 반송파(CC, component carrier)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반송파 집적은 다양한 조합의 구성 반송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송파 집적은 같은 대역 내에서 연속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구성 반송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역은 고 대역(high band), 중간 대역(middle band), 저 대역(low band)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반송파 집적은 같은 대역 내에서 불연속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구성 반송파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반송파 집적은 서로 다른 대역 내에 위치되는 복수의 구성 반송파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은 상기와 같이 다양한 조합의 구성 반송파들을 이용하여 반송파 집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송신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150은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하여 또는 수신 장치(apparatus for receiving) 190과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 장치 190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장치 150은 이동국(mobile station),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송신 장치 150은 상향링크 반송파 집적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 190은 기지국(base station), 기지국(eNodeB),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접근점(AP, access point)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 190은 다른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장치 150은 복수의 반송파(carrier)들 중 일부 반송파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상기 수신 장치 190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각각은 상기 일부 반송파들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송신 장치 150은 복수의 반송파 중에서
Figure 112015096114933-pat00001
MHz의 대역폭(band width)을 포함하는 반송파 160,
Figure 112015096114933-pat00002
MHz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반송파 170, 및
Figure 112015096114933-pat00003
MHz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반송파 180을 신호의 전송을 위해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반송파 160, 상기 반송파 170 및 상기 반송파 180은 구성 반송파일 수 있다. 상기 대역폭
Figure 112015096114933-pat00004
,
Figure 112015096114933-pat00005
,
Figure 112015096114933-pat00006
,
Figure 112015096114933-pat00007
은 각각 서로 같은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각각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송신 장치 150은 상기 반송파 160, 상기 반송파 170 및 상기 반송파 180을 이용하여 상기 반송파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182, 채널 184, 채널 186을 통해 상기 수신 장치 190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채널 182, 상기 채널 184, 상기 채널 186은 통칭하여 집적된 데이터 파이프(aggregated data pipe) 188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상향링크 반송파 집적(uplink carrier aggregation) 기능을 수행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MIPI 표준안에 따라 상향링크 RF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들은 MIPI 규격에 따라 상향링크 RF 신호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장치는 크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하드웨어 관점에서, 상기 송신 장치는 다양한 제조사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서들은 상기 송신 장치 내의 다른 구성 요소(component)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IPI는 프로세서와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면, 카메라, 디스플레이, RFFE 등) 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위한 표준일 수 있다. 상기 송신 장치는 MIPI 규격에 따라, 프로세서와 RFFE 간의 직렬 인터페이스 통신(serial interface communication)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송신 장치에서 상향링크 송신을 위한 복수의 단일(single) 송신 제어부들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의 기능적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신 장치 200은 안테나 210,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의 세트(set)들 220-1 내지 220-n, 송신부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210은 1개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210이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은 서로 다른 대역의 신호 전송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테나 210은 고 대역(HB, high band) 안테나, 중간 대역(MB, middle band) 안테나, 또는 저 대역(LB, low band) 안테나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210은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기법에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RFFE의 세트들 220-1 내지 220-n은 송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 21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RFFE의 세트들 220-1 내지 220-n은 전송을 위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FE의 세트 220-1 내지 220-n은 상기 송신 신호의 대역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송신 신호를 필터링(filtering)할 수 있다. 상기 RFFE의 세트들 각각은 송신 신호와 상기 RFFE의 세트 간의 동기를 위하여 송신기에 대응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RFFE 세트 220-1는 상기 송신부 240에 포함된 송신기(transmitter) 250-1에 대응되고, RFFE 세트 220-n은 상기 송신부 240에 포함된 송신기 250-n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RFFE의 세트들 220-1 내지 220-n 각각은 RFFE(HB) 230, RFFE(MB) 232, 또는 RFFE(LB) 234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FE의 세트들 220-1 내지 220-n 각각에 포함된 각각의 RFFE는 송신 제어부 236-1 내지 236-n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FFE의 세트 220-1에 포함된 RFFE(HB) 230, RFFE(MB) 232, RFFE(LB) 234는 각각 상기 송신 제어부 23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FE(HB) 230은 상기 송신 신호가 고 대역 신호인 경우,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거나, 상기 송신 신호의 대역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RFFE(MB) 232는 상기 송신 신호가 중간 대역 신호인 경우,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거나, 상기 송신 신호의 대역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RFFE(LB) 234는 상기 송신 신호가 저 대역인 경우,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거나, 상기 송신 신호의 대역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 236-1 내지 236-n 각각은 각각 대응되는 RFFE들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송신과 관련된 구성 요소(component)들(예를 들면, RFFE 세트들 220-1 내지 220-n)은 송신 신호와의 동기가 중요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 236은 상기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제어 데이터를 상기 송신부 240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송신 신호와 상기 RFFE들을 동기화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신호와 상기 RFFE들의 동기화를 위하여, 상기 송신 제어부 236-1 내지 236-n 각각은 송신기 별로 구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송신 제어부 236-1 내지 236-n 각각은 RFFE 세트 별로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RFFE 세트 220-1의 상기 송신 제어부 236-1와 RFFE 세트 220-n의 상기 송신 제어부 236-n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들 236-1 내지 236-n 각각은 하나의 저장부와 하나의 디코더(decoder)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들 236-1 내지 236-n 각각은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규격에 의해 대응되는 RFFE의 RF 신호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RFFE들을 제어하는 레지스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RFFE들을 제어하는 정보는 상기 RFFE들 각각에 포함된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상기 RFFE들 각각에 포함된 필터 뱅크(filter bank)를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코더는 상기 송신부 240으로부터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코더는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디코더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RFFE들을 제어하는 레지스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코더는 상기 RFFE들을 제어하는 레지스터들에 기반하여 상기 RFFE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 240은 복수의 송신기들 250-1 내지 250-n을 포함할 수 있고, 모뎀(modem) 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뎀 260은 통신 시스템에 따른 변조 방식에 기반하여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뎀 260은 코드 분할 방식(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광대역 코드 분할 방식(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직교 방식(예를 들면,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비 직교 방식(예를 들면, FBMC: filter band multi-carrier) 등에 기반하여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뎀 260은 복수의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송신 신호 각각은 서로 다른 반송파(carrier)를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반송파는 주 반송파(primary carrier)와 적어도 하나의 부 반송파(secondary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송신 신호 각각은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채널은 상기 각각의 반송파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신호 각각은 통신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이득(gain) 또는 전송 전력(transmission power)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뎀 260은 복수의 송신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송신 제어 데이터 각각은 상기 복수의 송신 신호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송신 제어 데이터 각각은 상기 대응되는 송신 신호를 식별하는 식별자(ID,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송신 제어 데이터 각각은 상기 대응되는 송신 신호의 이득(gain)과 관련된 정보 또는 상기 대응되는 송신 신호의 대역(band)와 관련된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들 250-1 내지 250-n은 변조된 송신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으로 상향 변환할 수 있다. 반송파 집적을 위해, 상기 송신기들 250-1 내지 250-n 각각은 반송파 수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장치의 RFFE는 MIPI 표준에 따라 업링크 RF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업링크 RFFE의 RF 송신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송신 제어부는 MIPI signal을 처리하는 디코더(필요한 경우, core로 지칭될 수도 있음)와 register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 제어부는 Uplink CA의 수에 따라 대응되는 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2개의 반송파(primary component carrier와 하나의 secondary component carrier)를 사용하는 경우, 송신 장치는 두 개의 MIPI 신호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송신 제어부의 내부에서 두 개의 MIPI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송신 제어부는 송신 제어부 내의 Registers는 공유하고 외부 interface 관련된 core들을 캐리어의 수에 대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송신 장치는 기지국(예를들면 Primary cell과 secondary cell들)의 주파수를 고정할 경우, 지원 가능한 Carrier aggregation (CA) 조합에 제약이 생기므로 각 TX source는 모든 주파수 밴드를 지원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다. 송신 장치의 업링크 RFFE는 송신 신호와의 동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송신신호와 동기화된 MIPI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업링크 CA 조건에서는 각 송신부는 RFFE TX 당 MIPI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반송파 캐리어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MIPI를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components를 사용하여 외부 switch의 사용 없이 Uplink CA를 지원할 수 있도록 RFFE 및 송신 제어부를 구성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다중(multiple) 송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의 기능적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신 장치 300은 안테나 310,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의 세트 320, 송신부 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310은 1개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310이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각각은 서로 다른 대역의 신호 전송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테나 310은 고 대역(HB, high band) 안테나, 중간 대역(MB, middle band) 안테나, 또는 저 대역(LB, low band) 안테나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310은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기법에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RFFE의 세트 320은 송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 31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RFFE의 세트 320은 전송을 위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FE의 세트 320은 상기 송신 신호의 대역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송신 신호를 필터링(filtering)할 수 있다. 상기 RFFE의 세트 320은 복수의 송신기들(예를 들면, 송신기 350-1 내지 송신기 350-n)로부터 복수의 송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송신 신호들은 서로 다른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FE의 세트 320은 RFFE(HB) 330, RFFE(MB) 332, RFFE(LB) 334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FE의 세트 320에 포함된 RFFE는 각각 송신 제어부 3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RFFE의 세트 320은 RFFE(HB) 330, RFFE(MB) 332, RFFE(LB) 33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도시일 뿐, 상기 RFFE의 세트 320은 보다 많은 수의 RFFE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반송파 집적을 위해, 상기 RFFE의 세트 320은 구성 반송파(CC)의 수를 수용할 수 있는 개수의 RFF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FE(HB) 330은 상기 송신 신호가 고 대역 신호인 경우,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거나, 상기 송신 신호의 대역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RFFE(MB) 332는 상기 송신 신호가 중간 대역 신호인 경우,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거나, 상기 송신 신호의 대역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RFFE(LB) 334는 상기 송신 신호가 저 대역 신호인 경우,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거나, 상기 송신 신호의 대역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 336은 송신과 관련된 구성 요소(component)들(예를 들면, RFFE(HB) 330, RFFE(MB) 332, RFFE(LB) 334)과 송신 신호 간의 동기화를 위해 송신 제어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는 상기 RFFE의 세트 320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 336은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송신 제어부들 236-1 내지 송신 236-n과 달리, 상기 송신 제어부 336은 복수의 디코더들과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코더들 각각은 상기 송신부 340에 포함된 각각의 송신기들 350-1 내지 350-n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디코더들은 상기 송신기 350-1에 대응되는 디코더,
Figure 112015096114933-pat00008
, 상기 송신기 350-n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코더들은 상기 송신부 340으로부터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코더들은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코더들은 상기 저장부로부터 RFFE들(예를 들면, RFFE(HB) 330, RFFE(MB) 332, RFFE(LB) 334)을 제어하는 레지스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코더들은 상기 RFFE들을 제어하는 레지스터들에 기반하여 상기 RFFE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RFFE들을 제어하는 레지스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RFFE들을 제어하는 정보는 상기 RFFE들 각각에 포함된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상기 RFFE들 각각에 포함된 필터 뱅크(filter bank)를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 340은 복수의 송신기들 350-1 내지 350-n을 포함할 수 있고, 모뎀(modem) 3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뎀 360은 통신 시스템에 따른 변조 방식에 기반하여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뎀 360은 코드 분할 방식(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광대역 코드 분할 방식(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직교 방식(예를 들면,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비 직교 방식(예를 들면, FBMC: fiter bank multi-carrier) 등에 기반하여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뎀 360은 복수의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송신 신호 각각은 서로 다른 반송파(carrier)를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반송파는 주 반송파(primary carrier)와 적어도 하나의 부 반송파(secondary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송신 신호 각각은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채널은 상기 각각의 반송파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신호 각각은 통신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이득(gain) 또는 전송 전력(transmission power)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뎀 360은 복수의 송신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송신 제어 데이터 각각은 상기 복수의 송신 신호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송신 제어 데이터 각각은 상기 대응되는 송신 신호를 식별하는 식별자(ID,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송신 제어 데이터 각각은 상기 대응되는 송신 신호의 이득(gain)과 관련된 정보 또는 상기 대응되는 송신 신호의 대역(band)와 관련된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들 350-1 내지 350-n은 변조된 송신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으로 상향 변환할 수 있다. 반송파 집적을 위해, 상기 송신기들 350-1 내지 350-n 각각은 반송파 수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3의 예시에서, 상기 RFFE(HB) 330, 상기 RFFE(MB) 332, 상기 RFFE(LB) 334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은 상기 송신부 340으로부터 복수의 송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송신 신호 각각은 서로 다른 RFFE에 전송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송신 신호 각각은 같은 RFFE에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RFFE들은 상기 송신 제어부 336을 통해 상기 송신부 340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송신 신호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된 복수의 송신 제어 데이터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송신 제어 데이터 각각은 대응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한 RFFE에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 336은 도 2에 도시된 송신 제어부들 236-1 내지 236-n과 달리, 복수의 디코더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송신 장치 300은 도 2의 경우와 비교하여 적은 수의 RFFE들(예를 들면, RFFE의 세트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코더 각각은 수신된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RFFE들을 제어하는 레지스터들을 상기 저장부에 각각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코더들 각각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는 RFFE들을 제어하는 레지스터들을 상기 복수의 디코더들 각각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코더들 각각은 상기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RFFE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송신 장치 300 및 그의 동작 방법은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의 상향링크 반송파 집적을 통해 고속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 300은 상기 송신 장치 300 내의 RFFE의 점유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RFFE의 기능적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이러한 블록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RFFE(HD) 330, RFFE(MD) 332, RFFE(LD) 334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RFFE(HD) 330은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 410, 필터 뱅크(filter bank) 420, 송신 제어부 3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증폭기 410은 상기 RFFE(HD) 330에 수신된 송신 신호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가 수신 장치와 먼 거리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전력 증폭기 410은 상기 송신 신호의 이득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송신 장치가 수신 장치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전력 증폭기 410은 상기 송신 신호의 이득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 뱅크 420은 복수의 필터(filter)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뱅크 420은 상기 필터 뱅크 420에 포함된 복수의 필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RFFE(HD) 330에 수신된 송신 신호의 대역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신호가 B2 대역인 경우, 상기 필터 뱅크 420은 상기 B2 대역에 대응하는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의 대역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 336은 복수의 디코더들 430-1 내지 430-n과 저장부 4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 336에 송신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코더들 430-1 내지 430-n 중에서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코더가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 제어부 336에 제k 송신 제어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k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디코더 430-k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k 송신 제어 데이터에 상기 디코더 430-k가 대응되는지 여부는 상기 제k 송신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자(ID, identifier)를 통해 판정될 수 있다. 상기 디코더 430-k는 상기 제k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를 상기 저장부 440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레지스터는 송신 신호(또는 송신 신호를 수신한 RFFE)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지스터는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한 RFFE를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440은 상기 레지스터를 상기 디코더 430-k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코더 430-k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한 RFFE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코더 430-k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한 RFFE에 포함된 전력 증폭기를 제어하여 상기 송신 신호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디코더 430-k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한 RFFE에 포함된 필터 뱅크를 제어하여 상기 송신 신호의 대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제어부 336은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 336이 MIPI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 440은 하기의 표 1과 같은 레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5096114933-pat00009
상기 표 1에서, 0x0000 레지스터는 전력 증폭기의 대역과 활성화 여부, 그리고 모드를 정의하는 레지스터일 수 있고, 0x0001 레지스터는 전력 증폭기의 바이어스(bias)를 정의하는 레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 336은 RFFE가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440은 하기의 표 2와 같은 레지스터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5096114933-pat00010
상기 표 2에 도시된 레지스터들은 상기 RFFE의 구성요소(component)들의 고유 ID를 구분하기 위하여 정의되는 레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표 2에 도시된 레지스터들은 상기 RFFE에 수신된 송신 신호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440은 상기 표 1에 포함된 레지스터들의 집합과 상기 표 2에 포함된 레지스터들의 집합을 복수 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는, 상향링크 반송파 집적(uplink carrier aggregation)을 위한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반송파 송신 신호들에 대응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상향링크 송신부와, 상기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와, 상기 상향링크 송신부와 상기 RFFE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저장부와 상기 반송파들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디코더들을 포함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디코더는 상기 저장부의 정보를 액세스하여 상기 RFFE의 무선 송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제어부는, 각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들을 전송하기 위한 대역 선택 정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와, 상기 요소 반송파들에 각각 대응되며, 상기 상향링크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여 활성화되고, 상기 저장부에서 액세스되는 대역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RFFE의 필터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디코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FE는 반송파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전력 증폭기와, 적어도 2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뱅크와, 상기 대역 선택 정보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필터 뱅크에 대응되는 필터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대역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전력 증폭기의 이득(gain)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코더는 상기 대역 선택 정보 및 상기 이득 정보를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전력 증폭기에 각각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송신 제어 데이터는, 대응되는 송신 신호를 식별하는 식별자(ID,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대응되는 반송파 송신 신호의 이득(gain)과 관련된 정보 또는 상기 대응되는 반송파 송신 신호의 대역과 관련된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가 상기 반송파 송신 신호의 이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디코더를 활성화하고, 상기 송신 반송파 신호의 이득에 대응하는 상기 레지스터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FE에 포함된 전력 증폭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가 상기 반송파 송신 신호의 대역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디코더를 활성화하고, 상기 반송파 송신 신호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레지스터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FE에 포함된 필터 뱅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가 상기 반송파 송신 신호의 이득과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반송파 송신 신호의 이득에 대응하는 상기 레지스터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FE에 포함된 전력 증폭기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은, 주요 반송파(primary carrier) 송신 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부 반송파(secondary carrier) 송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제어부는,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규격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디코더들은 상기 MIPI 규격에 포함된 복수의 디코더들(필요한 경우, core로 지칭될 수 있음.)일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송신 신호의 출력 절차를 도시한다. 도 5는 2개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2개의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캐리어 집적의 예를 가정하고 있지만,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복수의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캐리어 집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절차는 도 3에 도시된 송신 장치 300에 포함된 송신기 RFFE의 세트 320, 송신부 340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부 340은 송신 신호 #1와, 송신 신호 #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 340은 상기 송신 신호 #1에 대응하는 송신 제어 데이터 #1, 상기 송신 신호 #2에 대응하는 송신 제어 데이터 #2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 340은 상기 송신 신호 #1을 RFFE #k에 전송하고,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 #1을 상기 송신 제어부 336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 340은 상기 송신 신호 #2를 RFFE #1에 전송하고,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 #2를 상기 송신 제어부 336 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 #1은 상기 송신부 340에 포함된 송신기 350-k에 대응하는 디코더 k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 #2는 상기 송신부 340에 포함된 송신기 350-1에 대응하는 디코더 1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디코더 k는 상기 송신부 340에 포함된 저장부 440에게 RFFE 제어 레지스터 #1을 요청할 수 있고, 상기 디코더 1은 상기 저장부 440에게 RFFE 제어 레지스터 #2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440은 상기 디코더 k와 상기 디코더 1의 요청에 대응하여 RFFE 제어 레지스터 #1과 #2를 디코더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코더 k는 상기 RFFE 제어 레지스터 #1에 기반하여 RFFE #k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코더 k는 상기 RFFE 제어 레지스터 #1에 기반하여 상기 RFFE #k에 포함된 전력 증폭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RFFE #k에 포함된 필터 뱅크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코더 1은 상기 RFFE 제어 레지스터 #2에 기반하여 RFFE #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코더 1은 상기 RFFE 제어 레지스터 #2에 기반하여 상기 RFFE #1에 포함된 전력 증폭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RFFE #1에 포함된 필터 뱅크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RFFE #k는 상기 디코더 k의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신호 #1의 이득을 결정하고, 대역을 선택하여 상기 송신 신호 #1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RFFE(LD) 334는 상기 디코더 1의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 신호 #2의 이득을 결정하고, 대역을 선택하여 상기 송신 신호 #2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의 동작 방법은, 상기 송신 장치에 포함된 상향링크 송신부가 상향링크 반송파 집적(uplink carrier aggregation)을 위한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반송파 송신 신호들에 대응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송신 장치에 포함된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가 상기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송신 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상향링크 송신부와 상기 RFFE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저장부와 상기 반송파들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디코더들을 포함하는 송신 제어부가 상기 상향링크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활성화하는 동작과, 상기 활성화된 디코더가 상기 저장부의 정보를 액세스하여 상기 RFFE의 무선 송신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각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들을 전송하기 위한 대역 선택 정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RFFE의 무선 송신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요소 반송파들에 각각 대응되며, 상기 상향링크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여 활성화되는 상기 디코더가 상기 저장부에서 액세스되는 대역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RFFE의 필터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FE는, 반송파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전력 증폭기와, 적어도 2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뱅크와, 상기 대역 선택 정보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필터 뱅크에 대응되는 필터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대역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증폭기의 이득(gain)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코더가 상기 대역 선택 정보 및 상기 이득 정보를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전력 증폭기에 각각 인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송신 제어 데이터는, 대응되는 송신 신호를 식별하는 식별자(ID,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대응되는 송신 신호의 이득(gain)과 관련된 정보 또는 상기 대응되는 송신 신호의 대역과 관련된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가 상기 RFFE의 무선 송신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가 상기 송신 신호의 이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디코더를 활성화하는 동작과, 상기 송신 신호의 이득에 대응하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반하여 상기 RFFE에 포함된 전력 증폭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제어부가 상기 RFFE의 무선 송신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가 상기 송신 신호의 대역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디코더를 활성화하는 동작과, 상기 송신 신호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반하여 상기 RFFE에 포함된 필터 뱅크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부가 상기 RFFE의 무선 송신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송신 제어 데이터가 상기 송신 신호의 이득과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송신 신호의 이득에 대응하는 상기 레지스터에 기반하여 상기 RFFE에 포함된 전력 증폭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은, 주요 반송파(primary carrier) 송신 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부 반송파(secondary carrier) 송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제어부는,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규격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디코더들은, 상기 MIPI 규격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core)들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송신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에 있어서,
    상향링크 반송파 집적(uplink carrier aggregation)을 위한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반송파 송신 신호들에 대응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상향링크 송신부와,
    상기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와,
    상기 상향링크 송신부와 상기 RFFE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저장부와 상기 반송파들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디코더들을 포함하는 송신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디코더는 상기 저장부의 정보를 액세스하여 상기 RFFE의 무선 송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각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들을 전송하기 위한 대역 선택 정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와,
    상기 요소 반송파들에 각각 대응되며, 상기 상향링크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여 활성화되고, 상기 저장부에서 액세스되는 대역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RFFE의 필터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디코더들을 포함하는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FE는,
    반송파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전력 증폭기와,
    적어도 2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뱅크와,
    상기 대역 선택 정보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필터 뱅크에 대응되는 필터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대역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전력 증폭기의 이득(gain)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코더는 상기 대역 선택 정보 및 상기 이득 정보를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전력 증폭기에 각각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송신 제어 데이터는,
    대응되는 송신 신호를 식별하는 식별자(ID, identifier)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되는 반송파 송신 신호의 이득(gain)과 관련된 정보 또는 상기 대응되는 반송파 송신 신호의 대역과 관련된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각각 포함하는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은,
    주요 반송파(primary carrier) 송신 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부 반송파(secondary carrier) 송신 신호를 포함하는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규격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디코더들은,
    상기 MIPI 규격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core)들인 장치.
  11. 송신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에 포함된 상향링크 송신부가 상향링크 반송파 집적(uplink carrier aggregation)을 위한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반송파 송신 신호들에 대응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송신 장치에 포함된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가 상기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을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송신 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상향링크 송신부와 상기 RFFE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저장부와 상기 반송파들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디코더들을 포함하는 송신 제어부가 상기 상향링크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활성화하는 동작과,
    상기 활성화된 디코더가 상기 저장부의 정보를 액세스하여 상기 RFFE의 무선 송신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각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들을 전송하기 위한 대역 선택 정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RFFE의 무선 송신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요소 반송파들에 각각 대응되며, 상기 상향링크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송신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여 활성화되는 상기 디코더가 상기 저장부에서 액세스되는 대역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RFFE의 필터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RFFE는,
    반송파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도록 구성된 전력 증폭기와,
    적어도 2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뱅크와,
    상기 대역 선택 정보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필터 뱅크에 대응되는 필터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대역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증폭기의 이득(gain)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코더가 상기 대역 선택 정보 및 상기 이득 정보를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전력 증폭기에 각각 인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송신 제어 데이터는,
    대응되는 송신 신호를 식별하는 식별자(ID, identifier)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되는 송신 신호의 이득(gain)과 관련된 정보 또는 상기 대응되는 송신 신호의 대역과 관련된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각각 포함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반송파 송신 신호들은,
    주요 반송파(primary carrier) 송신 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부 반송파(secondary carrier) 송신 신호를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규격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디코더들은,
    상기 MIPI 규격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core)들인 방법.
KR1020150139635A 2015-06-12 2015-10-05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407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76,887 US10044376B2 (en) 2015-06-12 2016-06-0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CN201610409073.5A CN106253916B (zh) 2015-06-12 2016-06-12 用于对发送进行控制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83396 2015-06-12
KR1020150083396 2015-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472A KR20160146472A (ko) 2016-12-21
KR102407080B1 true KR102407080B1 (ko) 2022-06-10

Family

ID=5773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635A Active KR102407080B1 (ko) 2015-06-12 2015-10-05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0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5025A1 (en) * 2011-10-24 2013-05-30 Skyworks Solutions, Inc. Dual mode power amplifier control interface with a two-mode general purpose input/output interface
US20140106693A1 (en) * 2012-10-11 2014-04-17 Rf Micro Devices, Inc. Power management configuration for tx mimo and ul carrier aggreg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5025A1 (en) * 2011-10-24 2013-05-30 Skyworks Solutions, Inc. Dual mode power amplifier control interface with a two-mode general purpose input/output interface
US20140106693A1 (en) * 2012-10-11 2014-04-17 Rf Micro Devices, Inc. Power management configuration for tx mimo and ul carrier aggre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472A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268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asymmetric beamforming training
US987654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via polarized antennas
US10103796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ly responding to wireless transmissions
US2021016886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based on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in one or more directions
US11006398B2 (en) Hybrid FDD/TDD wireless network
CN106253916B (zh) 用于对发送进行控制的设备和方法
US9660760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wireless transmission according to a physical layer scheme
KR20120038152A (ko)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송신 성능 최적화 방법 및 장치
US1022582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
US20180007607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short sector sweep (ssw) packet
US11228326B2 (en) Radio-frequency integrated chip configured to support carrier aggreg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65190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beamforming
KR20150132541A (ko) 프로토콜 적응 계층(pal)을 통해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1011718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non-data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LCP) protocol data unit (PPDU)
US20150173109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communicating via an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asp) session
CN109565524B (zh) 用信令通知信道带宽的带宽信息的装置、系统和方法
KR102407080B1 (ko)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4208299A1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07889221A (zh) 信息的调度方法、接收方法及相关装置
WO2024234729A1 (en) Pusch transmission
CN120074768A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WO2024197604A1 (zh) 一种基于帧结构的通信方法和通信装置
WO2025077858A1 (zh) 信息配置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7882302A (zh) 用于波束测量和报告的方法和装置
CN103973358A (zh) 一种毫米波通信信道合并的数据传输方法及设备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8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0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7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8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8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