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05965B1 - Assembly apparatus for busbar frame - Google Patents

Assembly apparatus for busbar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965B1
KR102405965B1 KR1020210137223A KR20210137223A KR102405965B1 KR 102405965 B1 KR102405965 B1 KR 102405965B1 KR 1020210137223 A KR1020210137223 A KR 1020210137223A KR 20210137223 A KR20210137223 A KR 20210137223A KR 102405965 B1 KR102405965 B1 KR 102405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huck
bar frame
mounting plate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2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광룡
안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룡
Priority to KR1020210137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9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96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렬된 버스바 프레임을 배터리셀 모듈에 자동으로 조립시키기 위한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면커버 및 그 양측에 힌지결합된 측면커버를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을 배터리 셀적층체에 조립하기 위한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로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상면커버가 흡착되는 척장착플레이트; 상기 척장착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측면커버를 그립하여 회전에 따라 상기 상면커버에 대해 상기 측면커버를 일정 각도로 벌어지도록 하는 척유닛; 및 상기 척유닛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ssembling a bus bar frame for automatically assembling an aligned bus bar frame to a battery cell module, wherein a bus bar frame including a top cover and side covers hinged on both sides thereof is mounted on a battery cell stack. A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for assembling, comprising: a chuck mounting plate to which an upper surface cover of the bus bar frame is adsorbed; a chuck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uck mounting plate and configured to grip the side cover to open the side cover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top cover according to rotation; and a driving unit for apply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chuck unit.

Description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ASSEMBLY APPARATUS FOR BUSBAR FRAME}Bus bar frame assembly device {ASSEMBLY APPARATUS FOR BUSBAR FRAME}

본 발명은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렬된 버스바 프레임을 배터리셀 모듈에 자동으로 조립시키기 위한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bar frame assemb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s bar frame assembl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ssembling an aligned bus bar frame to a battery cell module.

근래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만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 전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중대형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고출력 대용량 배터리의 필요성으로 인해 복수 개의 배터리셀을 적층시킨 후 이를 전기적으로 직렬 및 병렬 연결한 배터리셀 모듈이 사용된다.In recent years, 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not only in small devices such a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but also in 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automobiles and power storage devices. In particular, when used in a medium or large-sized device, a battery cell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then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is used due to the need for a high-output, large-capacity battery.

배터리 모듈 내부에서 이차 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전극 리드가 상호 연결되고, 그러한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연결 부분이 용접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은 이차 전지들 간의 병렬 또는 직렬의 전기적 연결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전극 리드의 일단부는 각 배터리셀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촉 고정될 수 있다.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ary batteries in the battery module, electrode leads may be interconnected, and a connection portion may be welded to maintain such a connection state. The battery module may have a parallel or serie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secondary cells. For this, one end of an electrode lead may be contact-fixed to a bus bar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each battery cell by welding or the like.

그리고, 각 배터리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전극 리드를 버스바에 접합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배터리셀을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동일 극성의 전극 리드를 서로 연결 접합시키고,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극성의 전극 리드를 서로 연결 접합시킨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each battery cell is often configured by bonding electrode leads to a bus bar. At this time,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cells in parallel, the electrode leads of the same polarity are connected and bonded to each other, and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cells in series, the electrode leads of different polarit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배터리셀 모듈은 배터리셀 적층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버스바 프레임이나 플레이트 등이 서로 힌지 결합되게 하는 힌지 구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버스바 프레임은 배터리셀 적층체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와 상면커버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배터리셀 적층체의 측면을 덮는 측면커버로 구성된다. 다만, 현재까지는 배터리셀 적층체에 버스바 프레임을 조립하는 과정이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다. 버스바 프레임은 절연성 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자중에 의해 벤딩되거나, 상면커버와 측면커버가 힌지 결합되어 있어 배터리셀 적층체에 조립하기 전 정렬하는 과정이 어렵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cell module includes a hinge structure that allows the bus bar frame or plat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battery cell stack to be hinged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bus bar frame includes a top cover that covers the top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and a side cover that is hinged on both sides of the top cover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However, until now,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bus bar frame to the battery cell stack was performed manually. This is because the bus bar frame is made of an insulating resin material and is bent by its own weight, or because the top cover and the side cover are hinged, it is difficult to align them before assembling them into the battery cell stack.

따라서, 배터리셀 적층체에 조립하기 전 버스바 프레임을 정렬하거나 배터리셀에 조립하는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automate the task of aligning the busbar frame before assembling it to the battery cell stack or assembling it to the battery cell.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75478호(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20-0075478 (Bus bar frame including hinge structur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버스바 프레임을 배터리셀에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technology capable of automatically assembling a bus bar frame to a battery cell, which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는, 상면커버 및 그 양측에 힌지결합된 측면커버를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을 배터리 셀적층체에 조립하기 위한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로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상면커버가 흡착되는 척장착플레이트; 상기 척장착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측면커버를 그립하여 회전에 따라 상기 상면커버에 대해 상기 측면커버를 일정 각도로 벌어지도록 하는 척유닛; 및 상기 척유닛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A bus bar frame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us bar frame assembling apparatus for assembling a bus bar frame including a top cover and a side cover hinged to both sides thereof to a battery cell stack. , a chuck mounting plate to which the upper surface cover of the bus bar frame is adsorbed; a chuck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uck mounting plate and configured to grip the side cover to open the side cover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top cover according to rotation; and a driving unit for apply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chuck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척장착플레이트에는 상기 상면커버를 진공 흡착하는 진공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pad for vacuum adsorbing the upper surface cover is formed on the chuck mount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척장착플레이트에는 상기 척유닛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uck mou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chuck unit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척유닛은,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측면커버를 그립하거나 그립해제할 수 있는 그리퍼;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uck unit, the bracket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a gripper connected to the bracket and capable of gripping or releasing the grip on the side cov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상부브라켓; 상기 상부브라켓의 양측에 결합된 측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브라켓은 상기 척장착플레이트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the upper bracket; and side bracket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bracket, wherein the side bracket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uck mount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부브라켓과 상기 척장착플레이트는 척연결브라켓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bracket and the chuck mou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by a chuck connection bracke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척연결브라켓에는 상기 척유닛의 회전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댐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uck connection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a damper is formed to absorb an impact when the chuck unit is rot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리퍼에는 상기 측면커버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도록 그립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side cover is inser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리퍼를 고정시키는 이동부재;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척실린더; 상기 이동부재와 척실린더를 연결시켜 상기 척실린더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member for fixing the gripper; a chuck cylinder fixed to the bracket; It further includes; a guide member connecting the movable member and the chuck cylinder to guide the movable member to be slidab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chuck cylind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ov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실린더; 및 상기 구동실린더에 연결되어 전후진 가능하며, 일단이 상기 척유닛에 연결된 로드;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a driving cylinder; and a rod connected to the driving cylinder and capable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huck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실린더는 척장착플레이트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ylin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uck mount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드의 일단은 상기 척유닛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ro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uck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척장착플레이트에는 이동수단에 체결되거나 체결해제될 수 있는 이동수단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uck mou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means connecting portion that can be fastened to or released from the moving means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 프레임의 상면커버 및 측면커버가 일정한 축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셀적층체에 자동으로 조립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cover and the side cover of the bus bar frame can be automatically assembled into the cell stack while maintaining a state aligned in a constant axi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커버가 벌어진 상태로 정렬된 경우에도 척유닛의 그리퍼가 측면커버를 잡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측면커버의 정렬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ide cover is aligned in an open state, since the gripper of the chuck unit can hold and fix the side cover, the alignment state of the side cover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리퍼에는 측면커버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될 수 있는 그립홈이 형성되므로 측면커버가 그리퍼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추후 셀적층체의 전극리드가 버스바에 삽입될 때 버스바가 밀리거나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er has a grip groov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side cover, so that the side cover can be stably fixed by the gripper. Prevents sliding or slipp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가 형성되므로 척유닛의 회전에 따른 충격으로 척유닛이 파손되거나 버스바 프레임을 고정하는 작업 중에 측면커버가 뒤틀리는 문제가 방지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amper is formed, it is prevented that the chuck unit is damaged due to the impact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chuck unit or that the side cover is twisted during the operation of fixing the bus bar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적층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를 다른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를 이용하여 버스바 프레임을 정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정렬된 버스바 프레임을 셀적층체에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ell lami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us ba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of FIG. 3 viewed from another angle.
5 is a view showing a driving state of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s bar frame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aligning bus bar frames using the bus bar frame alig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an aligned bus bar frame to a cell laminate using the bus bar frame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a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적층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를 다른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ell st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bus ba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r frame assembling devic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s bar frame assembling device of FIG. 3 viewed from another angle, and FIG.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본 발명은 배터리의 버스바 프레임(10)을 셀적층체(1)에 자동으로 조립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조된 상태의 버스바 프레임(10)은 불안정 상태이므로 셀적층체(1)에 조립되기 전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100)에 의해 정렬 상태를 유지한 후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에 장착된 후 셀적층체(1)로 이동하여 조립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assembling the bus bar frame 10 of the battery to the cell stack 1 . Since the manufactured bus bar frame 10 is in an unstable state, it is mounted on the bus bar frame assembling device 200 after maintaining the alignment by the bus bar frame aligning device 100 before being assembled into the cell laminate 1 . After it is assembled, it moves to the cell laminate (1).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수직되는 관계에 있다. 예를 들어, 제1축 방향은 버스바 프레임(10)의 좁은 폭 방향이고, 제2축 방향은 버스바 프레임(10)의 넓은 폭 방향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axis direction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For example, the first axial direction is a narrow width direction of the bus bar frame 10 ,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is a wide width direction of the bus bar frame 10 .

도 1을 참조하면, 셀적층체(1)는 다수의 배터리 셀들의 집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셀은 전극 조립체, 전해질 및 외장재를 포함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일 수 있다. 외장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에는 전극리드(3)(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가 부착되어 외장재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차전지 셀들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좌우 방향으로 적층되어 셀적층체(1)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1 , a cell stack 1 may be an aggregate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Here, the battery cell may be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n electrode assembly, an electrolyte, and a casing. An electrode lead 3 (positive electrode lead and negative electrode lead) is attached to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and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As shown in FIG. 1 ,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re stack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to form a cell stack 1 .

도 2를 참조하면, 버스바 프레임(10)은 버스바(16) 및 터미널 단자 등을 고정시킬 수 있고, 절연성 소재(예를 들어, PC, ABS 등 수지 재질)로 형성된 프레임으로, 상면커버(12) 및 그 양측에 연결된 측면커버(14a, 14b)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커버(12)와 측면커버(14a, 14b)는 힌지(h)로 연결된다. 상면커버(12)는 셀적층체(1)의 상면을 덮는 부재이고, 측면커버(14a, 14b)는 셀적층체(1)의 측면(전극 리드가 형성된 면)을 덮는 부재이다.2, the bus bar frame 10 can fix the bus bar 16 and terminal terminals, etc., and is a fram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such as PC, ABS, etc.), and a top cover ( 12) and side covers 14a and 14b connected to both sides thereof. As shown in Figure 2, the top cover 12 and the side cover (14a, 14b) is connected by a hinge (h). The top cover 12 is a member that covers the top surface of the cell stack 1 , and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re members that cover the side surface (the surface on which the electrode leads are formed) of the cell stack 1 .

상면커버(12)에는 센싱부재가 미리 결정된 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센싱부재는 회로기판(미도시)과 케이블(13)을 포함한다.A sens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upper cover 12 along a predetermined path. The sensing member includes a circuit board (not shown) and a cable 13 .

회로기판(미도시)은 개별 배터리 셀들의 전압을 센싱하고, 각 배터리 셀들의 전압을 균일하게 제어하기 위한 BMS 프로세서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not shown) may include a BMS processor chip for sensing voltages of individual battery cells and uniformly controlling voltages of each battery cells.

케이블(13)은 측면커버(14a, 14b)의 버스바(16)들에 연결되고, 회로기판(미도시)에 접속되어 개별 배터리 셀들의 전압 정보를 BMS 프로세서 칩에 전달한다. 이러한 케이블(13)로는 공간 활용도 증가 및 도체 간 단락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FPC(Flexible Printed Circuit)가 사용되어 상면커버(12)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서 상면커버(12) 및 측면커버(14a, 14b)는 FPC가 용접되어 있으므로, 서로 분리되는 것이 어렵다.The cable 13 is connected to the bus bars 16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nd is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not shown) to transmit voltage information of individual battery cells to the BMS processor chip. As the cable 13 ,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is used to increase space utilization and prevent the risk of a short circuit between conductors, and may be attached to the top cover 12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p cover 12 and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re FPC welded,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m from each other.

측면커버(14a, 14b)의 바깥쪽 면에는 다수의 버스바(16)들이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버스바(16)들은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측면커버(14a, 14b)에 장착될 수 있다. 셀적층체(1)를 구성하는 개별 배터리 셀들은 전극 리드들이 측면커버(14a, 14b)에 미리 결정된 위치마다 형성되어 있는 슬롯 들을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us bars 16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The plurality of bus bars 16 may be mounted to the side covers 14a and 14b in a snap-fit manner. The individual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cell stack 1 may extend outward through slots in which electrode lead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side covers 14a and 14b.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커버(12)와 측면커버(14a, 14b)는 서로 힌지(h)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면커버(12)에 대해 측면커버(14a, 14b)가 회전하는 것이 자유롭다. 또한, 상면커버(12)는 재질의 특성상 플랙서블(flexible)하여 자중에 의해 벤딩되기 쉽다. 셀적층체(1)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데, 버스바 프레임(10)이 셀적층체(1)에 장착되어 조립되기 위해서는 셀적층체(1)의 형상에 따라 정렬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셀적층체(1)에 조립되기 전 자동으로 버스바 프레임(10)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인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100)가 필요하다.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100)의 구성 및 작동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op cover 12 and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re hinged to each other,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re free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top cover 12 . In addition, the upper cover 12 is flexible (flexible)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is easy to bend by its own weight. The cell stack 1 has a hexahedral shape as a whole. In order for the bus bar frame 10 to be mounted on the cell stack 1 and assembled, it needs to be alig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ell stack 1 . To this end, a bus bar frame aligning device 100, which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aligning the bus bar frame 10 before being assembled into the cell stack 1, is requir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bus bar frame align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한편,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는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구성이 서로 대칭되므로, 어느 일측의 구성 및 작동 과정을 통해 타측의 구성 및 작동 과정도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other hand, in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200, the components locat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other side can be fully understood through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one sid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는 척장착플레이트(201), 척유닛(210)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200 includes a chuck mounting plate 201 , a chuck unit 210 , and a driving unit.

척장착플레이트(201)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의 베이스가 되는 부재이다.The chuck mounting plate 201 is a member serving as a base of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200 .

척장착플레이트(201)의 하면에는 진공패드(202)가 장착된다. 진공패드(202)는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된다. 따라서, 진공펌프(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진공패드(202)의 흡착 능력이 발휘되거나 해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패드(202)는 척장착플레이트(201)의 하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으나, 진공패드(202)의 장착 위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A vacuum pad 202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uck mounting plate 201 . The vacuum pad 202 is connected to a vacuum pump (not shown). Accordingly,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vacuum pad 202 is exhibited or relea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not shown). As shown in FIG. 4 , a plurality of vacuum pads 20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uck mounting plate 201 , but there is no limit to the mounting position and number of the vacuum pads 202 .

척장착플레이트(201)의 양측에는 척연결브라켓(203)이 형성된다. 척연결브라켓(203)은 척장착플레이트(201)와 척유닛(210)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도 3에는 척연결브라켓(203)이 대략 'L'자 형태로 형성되나, 척장착플레이트(201)와 척유닛(210) 간 간섭이 방지된다면 척연결브라켓(203)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Chuck connection brackets 20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huck mounting plate 201 . The chuck connection bracket 203 is a member that connects the chuck mounting plate 201 and the chuck unit 210 . Although the chuck connection bracket 203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L' shape in FIG. 3 , if interference between the chuck mounting plate 201 and the chuck unit 210 is prevented, the shape of the chuck connection bracket 203 is not limited.

척장착플레이트(201)에는 댐퍼(204)가 형성된다. 댐퍼(204)는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댐퍼(204)는 척유닛(210)이 회전하다가 맞닿을 때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댐퍼(204)는 척유닛(2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도 수행한다.A damper 204 is formed on the chuck mounting plate 201 . The damper 204 may have an elastic material. The damper 204 is configured to absorb an impact when the chuck unit 210 abuts while rotating. The damper 204 also functions as a stopper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chuck unit 210 .

척장착플레이트(201)의 상면 양측 끝단 부근에는 스토퍼연결브라켓(205)이 형성된다. 스토퍼연결브라켓(205)에는 스토퍼(206)가 장착된다. 스토퍼(206)는 척유닛(210)의 회전을 일정 각도로 제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척유닛(210)의 회전스트로크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topper connection brackets 205 are formed near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huck mounting plate 201 . A stopper 206 is mounted on the stopper connection bracket 205 . The stopper 206 is configur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chuck unit 210 to a predetermined angle, and performs a function of setting a rotation stroke of the chuck unit 210 .

정리하면, 척유닛(210)은 일방향으로 회전 시 댐퍼(204)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스토퍼(206)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In summary, the rotation of the chuck unit 210 is limited by the damper 204 when rotating in one direction, and rotation is limited by the stopper 206 when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Specific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척장착플레이트(201)의 상면 양측에는 실린더연결브라켓(208)이 형성된다. 실린더연결브라켓(208)에는 후술할 구동실린더(22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Cylinder connection brackets 208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huck mounting plate 201 . A driving cylinder 220 to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ylinder connection bracket 208 .

척유닛(210)은 버스바 프레임(10)의 측면커버(14a, 14b)를 그립(grip)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그립해제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부브라켓(211), 측부브라켓(212), 척실린더(213) 및 그리퍼(216)를 포함한다.The chuck unit 210 is a member for gripping the side covers 14a and 14b of the bus bar frame 10 and rotating them at a predetermined angle or releasing the grips, and includes an upper bracket 211 and a side bracket 212 . ), a chuck cylinder 213 and a gripper 216 .

상부브라켓(211)의 양측에는 측부브라켓(212)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부브라켓(211)과 측부브라켓(212)은 일체로 형성되어 척유닛(210)의 외형을 이룬다. 측부브라켓(212)은 척연결브라켓(203)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브라켓(211) 및 측부브라켓(212)은 척회전축(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side brackets 212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bracket 211 to be fixed. The upper bracket 211 and the side bracket 212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chuck unit 210 . The side bracket 21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uck connection bracket 203 . Accordingly, the upper bracket 211 and the side bracket 212 may rotate about the chuck rotation axis X1.

다만,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척유닛(210)은 측부브라켓(212)이 댐퍼(204)에 닿으면서 회전이 제한되고,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척유닛(210)은 상부브라켓(211)이 스토퍼(206)에 닿으면서 회전이 제한된다.However, in the chuck unit 210 rotating in one direction, rotation is limited while the side bracket 212 contacts the damper 204, and in the chuck unit 210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the upper bracket 211 is the stopper 206 ) and the rotation is restricted.

상부브라켓(211)의 일측에는 로드연결브라켓(227)이 형성된다. 로드연결브라켓(227)에는 후술할 로드(224)(도 5 참조)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A rod connection bracket 22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bracket 211 . A rod 224 (see FIG. 5 ) to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d connection bracket 227 .

척실린더(213)는 그리퍼(216)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부브라켓(211)의 하면 중심 부근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척실린더(213)는 상부브라켓(211) 및 측부브라켓(212)과 함께 회전한다.The chuck cylinder 213 serves to help guide the movement of the gripper 216 , and is fixed near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racket 211 . Accordingly, the chuck cylinder 213 rotates together with the upper bracket 211 and the side bracket 212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실린더(213)는 가이드부재(215)를 통해 이동부재(214)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215)의 일단은 이동부재(214)에 고정되고, 타단은 척실린더(213)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214)는 가이드부재(215)의 안내를 받아 척실린더(213)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가이드부재(215)의 일단은 이동부재(214)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고, 타단은 척실린더(213)에 고정되어 있는 변형예로 가능하다.As shown in FIG. 4 , the chuck cylinder 213 is connected to the moving member 214 through the guide member 215 . At this time, one end of the guide member 215 is fixed to the moving member 214 ,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chuck cylinder 213 to move. Accordingly, the movable member 214 can be slidably moved toward or away from the chuck cylinder 213 under the guidance of the guide member 215 . 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guide member 215 is inserted into the movable member 214 to be movabl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chuck cylinder 213 as a modified example.

그리퍼(216)는 측면커버(14a, 14b)를 잡는 죠(jaw)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측면커버(14a, 14b)의 양측 끝단을 잡기위해 2개로 구성된다. 그리퍼(216)는 이동부재(214)에 고정되므로, 이동부재(214)의 이동에 따라 그리퍼(216)도 이동한다.The gripper 216 performs the function of a jaw to hold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nd is composed of two to hold both ends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Since the gripper 216 is fixed to the moving member 214 , the gripper 216 also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214 .

그리퍼(216)는 이동부재(214)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퍼(216)의 경사진 각도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gripper 216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oving member 214 . The inclined angle of the gripper 216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퍼(216)의 내측면에는 그립홈(217)이 형성된다. 그립홈(217)은 측면커버(14a, 14b)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돌기(도 8b의 'P' 참조)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가공된다. 다만, 측면커버(14a, 14b)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홈과 결합될 수 있도록 그리퍼(216)의 내측면에 돌기를 가공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A grip groove 217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er 216 . The grip groove 217 is machined in a form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protrusions (refer to 'P' in FIG. 8B ) formed at both ends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However, a modified example of processing the protrus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er 216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grooves formed on both ends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is also possible.

구동부는 척유닛(21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인가하는 것으로, 구동실린더(220) 및 로드(224)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appli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chuck unit 210 , and includes a driving cylinder 220 and a rod 224 .

구동실린더(220)는 실린더연결브라켓(208)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실린더(220)는 실린더회전축(X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The driving cylinder 2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ylinder connection bracket 208 . Accordingly, the driving cylinder 220 is rotatable about the cylinder rotation shaft (X2).

구동실린더(220)에는 로드(224)가 삽입되어 있다. 구동력이 인가되면 로드(224)는 구동실린더(220)에 의해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다. 로드(224)의 일단은 로드연결브라켓(227)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A rod 224 is inserted into the driving cylinder 220 . When the driving force is applied, the rod 224 may move forward and backward by the driving cylinder 220 . One end of the rod 22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d connection bracket 227 .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척유닛(21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본다.Hereinafter, an operation state of the chuck unit 21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척유닛(210)은 로드(224)의 후진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척유닛(210)은 스토퍼(206)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도 5의 좌측에 위치한 구동실린더(220)는 실린더회전축(X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때, 그리퍼(216)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경사진 자세를 취한다.The chuck unit 210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5 is rotated clockwise by the reversing of the rod 224 .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of the chuck unit 210 is limited by the stopper 206 . The driving cylinder 220 located on the left side of FIG. 5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cylinder rotation shaft X2. At this time, the gripper 216 takes an inclined postur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척유닛(210)의 상태에서 로드(224)가 전진하면 척유닛(210)이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로드(224)의 전진에 따라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척유닛(21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댐퍼(204)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구동실린더(220)는 실린더회전축(X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척유닛(210)과 함께 정지한다. 이때, 그리퍼(216)는 아래로 수직한 자세를 취한다.When the rod 224 advances in the state of the chuck unit 210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5 , the chuck unit 210 rotates. Specifically, as the rod 224 advances, the chuck unit 210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5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rotation is limited by the damper 204 . The driving cylinder 220 rotates clockwise about the cylinder rotation shaft X2 and stops together with the chuck unit 210 . At this time, the gripper 216 takes a vertical posture downward.

한편,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척유닛(210)은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척유닛(21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도 5의 양측에 도시된 로드(224)가 동시에 전진하면 척유닛(210)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5의 양측에 도시된 로드(224)가 동시에 후진하면 척유닛(210)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Meanwhile, the chuck unit 210 illustrated on the right side of FIG. 5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huck unit 210 illustrated on the left side of FIG. 5 . That is, when the rods 224 shown on both sides of FIG. 5 move forward at the same time, the chuck unit 210 rotates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and when the rods 224 shown on both sides of FIG. 5 move backward at the same time, the chuck unit 210 ) rotates away from each other.

한편, 구동부는 척유닛(210)을 동시에 회전시키거나, 순차로 회전시키도록 로드(224)를 이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driving unit may move the rod 224 to rotate the chuck unit 210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는 이동수단연결부(230)를 더 포함한다. 이동수단연결부(230)는 별도의 이동수단(미도시)과 체결되거나 체결해제될 수 있다. 척장착플레이트(201)와 이동수단연결부(230)는 연결부재(23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이동수단연결부(230)가 이동수단(미도시)에 체결되면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는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해 목적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oving means connecting part 230 . The moving means connecting part 230 may be engaged with or released from a separate moving means (not shown). The chuck mounting plate 201 and the moving means connecting part 2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232 and fixed. Accordingly, when the moving means connecting part 230 is fastened to the moving means (not shown),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200 can be moved to the target position by the moving means (not show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를 이용하여 버스바 프레임을 정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s bar frame alig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to 7D are a bus bar frame using the bus bar frame alig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sorting.

상술한 바와 같이,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는 버스바 프레임(10)이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100)에 의해 정렬된 후에 버스바 프레임(10)에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100)에 대해 살펴본다.As described above, the bus bar frame assembly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bus bar frame 10 after the bus bar frame 10 is aligned by the bus bar frame alignment device 100 . Accordingly, the bus bar frame align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100)는 버스바 프레임(10)을 셀적층체(1)에 조립하기 전 일정한 형태로 형성시켜 자동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정렬베이스(110), 제1축 정렬가이드(120), 제2축 정렬가이드(130) 및 제3축 정렬가이드(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bus bar frame aligning device 100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aligning the bus bar frame 10 by forming it in a predetermined shape before assembling the cell laminate 1 , and the alignment base 110 . , a first axis alignment guide 120 , a second axis alignment guide 130 , and a third axis alignment guide 140 .

한편, 본 발명에서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수직되는 관계에 있고(도 6 참조), 제3축 방향은 제2축 방향과 일정 각도(θ)를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축 방향은 버스바 프레임(10)의 좁은 폭 방향이고, 제2축 방향은 버스바 프레임(10)의 넓은 폭 방향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axis direction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refer to FIG. 6 ), and the third axis direction forms an angle θ with the second axis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axial direction is a narrow width direction of the bus bar frame 10 , and the second axial direction is a wide width direction of the bus bar frame 1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100)는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구성이 서로 대칭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bus bar frame alig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locat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도 6을 참조하면, 정렬베이스(110)는 상면커버(12)가 안착되는 베이스로,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하부베이스(101) 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렬베이스(110)는 중앙에 위치한 중앙부 정렬베이스(110c)와, 그 양측에 위치한 측부 정렬베이스(110a, 110b)로 구성된다. 정렬베이스(110)는 하부베이스(101)와 기둥부재(103)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정렬베이스(110)는 하부베이스(101)에 의해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6 , the alignment base 110 is a base on which the upper surface cover 12 is seated, and is formed on the lower base 101 that is maintained horizont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ignment base 110 is composed of a central alignment base 110c located in the center, and side alignment bases 110a and 110b located on both sides thereof. The alignment base 110 is connected to the lower base 101 and the column member 103 . Accordingly, the alignment base 110 is fixed by the lower base 101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 정렬베이스(110c)의 일측에는 제1축 정렬가이드(120)가 마련된다. 제1축 정렬가이드(120)는 정렬베이스(110)에 안착된 상면커버(12)를 제1축 방향으로 정렬시키는데 필요한 구성이다. 제1축 정렬가이드(120)는 제1축 슬라이더(122) 및 제1축 슬라이더가이드(12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 a first axis alignment guide 1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alignment base 110c. The first axis alignment guide 120 is a configuration necessary to align the upper surface cover 12 seated on the alignment base 110 in the first axis direction. The first axis alignment guide 120 includes a first axis slider 122 and a first axis slider guide 124 .

제1축 슬라이더(122)는 상면커버(12)의 일측을 가압하는 구성이다. 제1축 슬라이더(122)는 중앙부 정렬베이스(110c)의 상면 위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제1축 슬라이더(122)는 제1축 슬라이더연결부재(125)와 연결된다.The first shaft slider 122 is configured to press one side of the upper cover 12 . The first axis slider 122 is configured to protrude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alignment base 110c. The first axis slider 122 is connected to the first axis slider connecting member 125 .

제1축 슬라이더가이드(124)는 제1축 슬라이더(122)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중앙부 정렬베이스(110c)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1축 슬라이더가이드(124)는 제1축 슬라이더연결부재(125)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1축 슬라이더(122)는 제1축 슬라이더가이드(124)의 안내를 받아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The first-axis slider guide 124 guides the movement of the first-axis slider 122 and is formed under the central alignment base 110c. The first axis slider guide 124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first axis slider connecting member 125 . Accordingly, the first axis slider 122 is slidable in the first axis direction under the guidance of the first axis slider guide 124 .

중앙부 정렬베이스(110c)의 타측에는 제1축 기준가이드(128)가 고정된다. 제1축 기준가이드(128)는 정렬베이스(110)에 안착된 상면커버(12)를 제1축 방향으로 정렬시키는데 기준이 되는 구성이다.A first axis reference guide 128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alignment base 110c. The first axis reference guide 128 is a reference configuration for aligning the upper surface cover 12 seated on the alignment base 110 in the first axis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렬베이스(110a, 110b, 110c)는 3개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하부베이스(101)에 대해 기둥부재(10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정렬베이스(110a, 110b, 110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렬베이스(110a, 110b, 110c)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ignment bases 110a, 110b, and 110c are divided into three and are supported by the column member 103 with respect to the lower base 101 . However, the alignment bases 110a, 110b, and 110c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shape of the alignment bases 110a, 110b, and 110c is not limit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 기준가이드(128)는 중앙부 정렬베이스(110c)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축 기준가이드(128)와 제1축 정렬가이드(120)는 제1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 the first axis reference guide 128 protrudes upward from the central alignment base 110c and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The first axis reference guide 128 and the first axis alignment guide 120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first axis direction.

한편, 측부 정렬베이스(110a, 110b)에도 상면커버(12)가 안착된다. 측부 정렬베이스(110a, 110b)의 상면 양측에는 상면커버(12)가 안착되기 쉽도록 돌출부위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cover 12 is also seated on the side alignment bases (110a, 110b).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alignment bases 110a and 110b so that the upper surface cover 12 is easily seated.

제2축 정렬가이드(130)는 정렬베이스(110)의 하측에 위치하고 하부베이스(101) 상에 형성된다. 제2축 정렬가이드(130)는 상면커버(12)와 연결된 측면커버(14a, 14b)를 제2축 방향으로 정렬시키는데 필요한 구성이다. 제2축 정렬가이드(130)는 제2축 슬라이더(132), 제2축 슬라이더가이드(134) 및 가압부재를 포함한다.The second axis alignment guide 130 is located below the alignment base 110 and is formed on the lower base 101 . The second axis alignment guide 130 is a configuration necessary for aligning the side covers 14a and 14b connected to the upper cover 12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The second axis alignment guide 130 includes a second axis slider 132 , a second axis slider guide 134 , and a pressing member.

제2축 슬라이더(132)는 가압부재가 측면커버(14a, 14b)의 일측을 가압하도록 도와주는 구성이다. 제2축 슬라이더(132)는 제2축 슬라이더연결부재(135)와 연결된다. 제2축 슬라이더(132)는 후술할 가압부재와 고정되어 있다.The second shaft slider 132 is configured to help the pressing member press one side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The second axis slider 1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axis slider connecting member 135 . The second shaft slider 132 is fixed to a pressing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제2축 슬라이더가이드(134)는 제2축 슬라이더(132)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하부베이스(101의 상면에 고정된다. 제2축 슬라이더가이드(134)는 제2축 슬라이더연결부재(135)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2축 슬라이더(132)는 제2축 슬라이더가이드(134)의 안내를 받아 제2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The second axis slider guide 134 guides the movement of the second axis slider 132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ase 101. The second axis slider guide 134 includes the second axis slider connecting member 135. ) and slidably connected to the .

가압부재는 제2축 슬라이더(132)의 이동에 따라 측면커버(14a, 14b)와 맞닿으면서 측면커버(14a, 14b)를 가압하는 부재로서, 롤러(136)와 롤러지지부(138)를 포함한다(도 7a 참조).The pressing member is a member that presses the side covers 14a and 14b while in contact with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shaft slider 132, and includes a roller 136 and a roller support part 138. (see Fig. 7a).

롤러(136)는 측면커버(14a, 14b)를 가압할 때 측면커버(14a, 14b)를 자연스럽게 벌어지도록 유도하고, 측면커버(14a, 14b)와의 충격을 감소하기 위한 구성이다. 롤러(136)는 롤러지지부(138)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The roller 136 is configured to induce the side covers 14a and 14b to open naturally when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re pressed, and to reduce the impact with the side covers 14a and 14b. The roller 136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ller support 138 .

롤러지지부(138)의 양측에는 롤러(136)의 회전축이 연결될 수 있는 측면부재가 형성된다. 측면부재의 일측에는 경사부(137)가 형성되며, 롤러(136)는 경사부(137)의 경사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수직선을 기준으로 한 경사부(137)의 경사각은 상면커버(12)에 대한 측면커버(14a, 14b) 벌어진 각도와 동일하며,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경사각은 후술할 제3축 정렬브라켓(141)의 경사각(θ)과 동일하며, 대략 45도 정도이다.On both sides of the roller support 138 , side members to which the rotation shaft of the roller 136 can be connected are formed. An inclined portion 13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member, and the roller 136 is disposed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37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ation portion 137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is the same as the opening angle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with respect to the top cover 12, which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angle is the same as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third axis alignment bracket 141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approximately 45 degrees.

롤러지지부(138)의 측면부재와 연결된 후면부재는 제2축 슬라이더(132)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제2축 슬라이더(132)와 롤러지지부(138)는 함께 이동한다.The rear member connected to the side member of the roller support 138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second shaft slider 132 . Accordingly, the second shaft slider 132 and the roller support 138 move together.

한편, 가압부재는 측면커버(14a, 14b)를 가압하기만 한다면 그 구성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는 롤러(136) 대신 볼(ball)로 구성되거나, 경사부를 갖는 일체형 탄성부재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long as the pressing member presses the side covers 14a and 14b, there is no limitation in its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pressing member may be composed of a ball instead of the roller 136 or may have an integrated elastic member having an inclined portion.

제3축 정렬가이드(140)는 측면커버(14a, 14b)가 일정 각도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3축 방향으로 정렬하는 구성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축 정렬가이드(140)는 제3축 슬라이더(142), 제3축 슬라이더가이드(144) 및 제3축 정렬브라켓(141)을 포함한다.The third axis alignment guide 140 is configured to align the side covers 14a and 14b in the third axis direction so as to maintain a state open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 6 , the third axis alignment guide 140 includes a third axis slider 142 , a third axis slider guide 144 , and a third axis alignment bracket 141 .

제3축 슬라이더(142)는 측면커버(14a, 14b)의 일측 끝단을 가압하는 구성이다. 제3축 슬라이더(142)는 제3축 슬라이더연결부재(145)와 연결된다.The third axis slider 142 is configured to press one end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The third-axis slider 142 is connected to the third-axis slider connecting member 145 .

제3축 슬라이더가이드(144)는 제3축 슬라이더(142)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제3축 정렬브라켓(141)에 고정된다. 제3축 슬라이더가이드(144)는 제3축 슬라이더연결부재(145)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3축 슬라이더(142)는 제3축 슬라이더가이드(144)의 안내를 받아 제3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The third axis slider guide 144 guides the movement of the third axis slider 142 and is fixed to the third axis alignment bracket 141 . The third-axis slider guide 144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third-axis slider connecting member 145 . Accordingly, the third-axis slider 142 is slidable in the third-axis direction under the guidance of the third-axis slider guide 144 .

제3축 정렬브라켓(141)은 하부베이스(101)의 일측에 고정된다. 제3축 정렬브라켓(141)은 제3축 슬라이더가이드(144)가 안착되는 면과 수직면 사이에 일정한 경사각이 형성되는데 이를 제2각도(θ)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각도(θ)는 롤러지지부(138)에 형성된 경사부의 경사각과 동일하다.The third axis alignment bracket 141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base 101 . In the third axis alignment bracket 141,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is formed between the surface on which the third axis slider guide 144 is seated and the vertical surface, which is referred to as a second angle θ.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angle θ is the sam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portion formed on the roller support 138 .

한편, 제1 내지 제3축 슬라이더연결부재(125, 135, 145)의 끝단에는 구동 액츄에이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별도의 제어부(미도시) 신호에 의해 제1 내지 제3축 슬라이더(122, 132, 142)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nds of the first to third axis slider connecting members 125, 135, and 145 are connected to a driving actuator, and the first to third axis sliders 122, 132, 142) can be moved automatically.

이하,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를 이용하여 버스바 프레임을 정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aligning the bus bar frames using the bus bar frame alig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D .

버스바 프레임(10)은 상면커버(12)와 측면커버(14a, 14b)가 힌지(h) 결합되어 있어 측면커버(14a, 14b)가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므로 불안정한 상태(unstable state), 예를 들어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측면커버(14a, 14b)가 상면커버(12)에 대해 틀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버스바 프레임(10)을 셀적층체(1)에 조립하기 전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정렬할 필요가 있다.The bus bar frame 10 is in an unstable state because the upper cover 12 and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re hingedly coupled to the side covers 14a and 14b so that the side covers 14a and 14b can freely rotate. For example,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re twis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cover 12 around the hinge coupling poi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lign the bus bar frame 10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before assembling it to the cell laminate 1 .

도 7a는 버스바 프레임(10)이 정렬베이스(110)에 안착되기 전 상태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때, 제1축 내지 제3축 슬라이더(122, 132, 142)는 버스바 프레임(10)과 제1축 내지 제2축 정렬가이드(120, 130, 140) 간 간섭을 방지하도록 이동된 상태이다. 다만, 도 7a는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100)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므로 제1축 슬라이더(122)가 이동된 상태가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지 않다. 이후, 상면커버(12)가 정렬베이스(110)에 안착되도록 버스바 프레임(10)을 아래로 이동시킨다.7A is a side view of the bus bar frame 10 before being seated on the alignment base 110 . At this time, the first to third axis sliders 122 , 132 , and 142 are moved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bus bar frame 10 and the first to second axis alignment guides 120 , 130 and 140 . . However, since FIG. 7A is a view of the bus bar frame aligning apparatus 100 from the side,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axis slider 122 is moved is not clearly expressed. Thereafter, the bus bar frame 10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top cover 12 is seated on the alignment base 110 .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커버(12)가 정렬베이스(110)에 안착되면 측면커버(14a, 14b)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회전한다. 도 7b의 상태에서도 상면커버(12)와 측면커버(14a, 14b)는 정렬되지 않은 상태이다.7B, when the upper cover 12 is seated on the alignment base 110, the side covers 14a and 14b rotate downward by gravity. Even in the state of Figure 7b, the top cover 12 and the side covers 14a, 14b are not aligned.

도 7c는 도 7b의 상태에서 상면커버(12)가 제1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정렬베이스(110)에 안착된 상면커버(12)는 제1축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1축 슬라이더(122)가 슬라이딩 이동하다가 상면커버(12)를 가압한다. 정렬베이스(110)의 타측에 위치한 제1축 기준가이드(128)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면커버(12)는 제1축 기준가이드(128)와 제1축 슬라이더(122)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제1축 방향으로 정렬된다.FIG. 7c is a view viewed from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top cover 12 is aligned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7b. The top cover 12 seated on the alignment base 110 may not be aligned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axis slider 122 presses the upper cover 12 while sliding. Since the first axis reference guide 128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alignment base 110 is fixed, the upper surface cover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axis reference guide 128 and the first axis slider 122 to form the first aligned axially.

도 7d는 도 7c의 상태에서 측면커버(14a, 14b)가 제2축 및 제3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 슬라이더(132)는 가압부재가 측면커버(14a, 14b)를 가압하도록 양측(도 7d의 좌우측)으로 이동하다가 측면커버(14a, 14b)가 상면커버(12)에 대해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에서 작동을 멈춘다. 측면커버(14a, 14b)는 롤러(136)에 안착되면서 제2축 방향으로 정렬된다. 측면커버(14a, 14b)가 벌어진 각도를 제1각도(δ)라 한다. 제1각도(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각도(δ)는 대략 135도이다.FIG. 7D is a side view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ligned in the second and third axis directions in the state of FIG. 7C . As shown in FIG. 7D, the second shaft slider 132 moves to both sides (left and right in FIG. 7D) so that the pressing member presses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nd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re the top cover ( 12), stop the operation at a certain angle apart.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re aligned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while seated on the roller 136 . An angle at which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re opened is referred to as a first angle δ. The first angle δ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 designer's intention,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gle δ is approximately 135 degrees.

한편, 측면커버(14a, 14b)는 제1각도(δ)로 벌어진 상태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축 슬라이더(142)는 측면커버(14a, 14b)의 양측 끝단을 가압하도록 이동한다. 제3축 슬라이더(142)가 측면커버(14a, 14b)를 가압하게 되면 측면커버(14a, 14b)가 제1각도(δ)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3축 정렬이 완료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de cover (14a, 14b) needs to be fixed in a state open at a first angle (δ). 7D, the third axis slider 142 moves to press both ends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When the third axis slider 142 presses the side covers 14a and 14b, the third axis alignment so that the side covers 14a and 14b maintain the first angle δ is completed.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정렬된 버스바 프레임을 셀적층체에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8A to 8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an aligned bus bar frame to a cell stack by using the bus bar frame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D .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 프레임(10)은 제1축 내지 제3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는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해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100)의 상부까지 이동한 후 하강한다. 여기서,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는 척유닛(210)의 척회전축(X1)이 버스바 프레임(10)의 상면커버(12)와 측면커버(14a, 14b) 간 힌지결합점과 일치되는 지점까지 하강한다.As shown in FIG. 8A , the bus bar frame 10 is aligned in the first to third axis directions. In this state, the bus bar frame assembling apparatus 200 moves to the upper part of the bus bar frame aligning apparatus 100 by a moving means (not shown) and then descends. Here, in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200, the chuck rotation shaft X1 of the chuck unit 210 coincides with the hinge coupling point between the top cover 12 and the side covers 14a and 14b of the bus bar frame 10. descend to the point

이때,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의 상태를 살펴본다. 구동실린더(220)에 의해 로드(224)는 완전히 후진되어 있으며 양측에 위치한 척유닛(210)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그리퍼(216)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경사진 자세를 취하는데 이때의 각도는 제2 각도(θ)로 설정된다. 즉, 로드(224)가 완전히 후진되었을 때의 그리퍼(216) 각도는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100)에 의해 정렬된 측면커버(14a, 14b)의 각도와 같다. 한편, 2개의 그리퍼(216) 사이의 거리는 측면커버(14a, 14b)의 길이(L)보다 더 길도록 그리퍼(216)가 이동되어 있다(도 8b 참조).At this time, the state of the bus bar frame assembling apparatus 200 will be looked at. The rod 224 is completely retracted by the driving cylinder 220 and the chuck units 210 located on both sides are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he gripper 216 takes an inclined posture with a constant angle relative to the vertical line, and the angle at this time is set as the second angle θ. That is, the angle of the gripper 216 when the rod 224 is fully retracted is the same as the angle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ligned by the bus bar frame alignment device 100 . Meanwhile, the gripper 216 is mov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grippers 216 is longer than the length L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see FIG. 8b ).

도 8b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가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100)에 안착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에는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100)가 생략되어 있으나, 이는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버스바 프레임(10)은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100)에 장착된 상태임은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8B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bus bar frame assembling device 200 is seated on the bus bar frame aligning device 100 . Although the bus bar frame aligning device 100 is omitted in FIG. 8B , this is for facilitating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it is fully understood that the bus bar frame 10 is mounted on the bus bar frame aligning device 100 . can be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가 안착된 후 진공펌프(미도시)가 작동하면 상면커버(12)는 진공패드(202)에 흡착된다.When the vacuum pump (not shown) operates after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200 is seated, the upper cover 12 is adsorbed to the vacuum pad 202 .

측면커버(14a, 14b)의 양측에 위치한 2개의 그리퍼(216)는 측면커버(14a, 14b)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면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그리퍼(216)가 측면커버(14a, 14b)에 밀착되면 그리퍼(216)에 형성된 그립홈(217) 내로 측면커버(14a, 14b)에 형성된 돌기(P)가 삽입된다. 이렇게 그리퍼(216)가 측면커버(14a, 14b)의 양측과 돌기결합되는 이유는, 추후 셀적층체(1)의 전극리드(3)가 버스바(16)에 삽입될 때 버스바(16)가 밀리거나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two grippers 216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while taking an inclined posture at the same angle as the side covers 14a and 14b. Thereafter, when the gripper 21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covers 14a and 14b, the protrusions P formed on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re inserted into the grip grooves 217 formed in the gripper 216 . The reason why the gripper 216 is protruding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is that when the electrode leads 3 of the cell stack 1 are inserted into the bus bars 16 later, the bus bars 16 This is to prevent slipping or slipping.

정리하면, 버스바 프레임(10)의 상면커버(12)는 진공패드(202)에 의해 흡착 고정되고, 측면커버(14a, 14b)는 척유닛(210)에 의해 고정된다.In summary, the upper cover 12 of the bus bar frame 10 is adsorbed and fixed by the vacuum pad 202 , and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re fixed by the chuck unit 210 .

한편,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가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100)에 안착되어도 버스바 프레임(10)의 정렬 상태는 유지된다.Meanwhile, even when the bus bar frame assembly device 200 is seated on the bus bar frame alignment device 100 , the alignment state of the bus bar frame 10 is maintained.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 프레임(10)의 상면커버(12) 및 측면커버(14a, 14b)가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에 의해 고정되면,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해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는 상승한 후 목적 위치까지 이동한다. 여기서 목적 위치는 셀적층체(1)가 있는 위치이다.As shown in FIG. 8C , when the top cover 12 and the side covers 14a and 14b of the bus bar frame 10 are fixed by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200, by moving means (not shown)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200 moves to a target position after ascending. Here, the target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cell laminate 1 is located.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적층체(1)는 배터리모듈베이스(300) 상에 놓여있고, 고정판(31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동수단(미도시)은 버스바 프레임(10)이 셀적층체(1)에 조립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를 이동시킨다.As shown in FIG. 8D , the cell stack 1 is placed on the battery module base 300 and is fixed by a fixing plate 310 . A moving means (not shown) moves the bus bar frame assembling apparatus 200 to a position where the bus bar frame 10 can be assembled to the cell stack 1 .

이후, 진공펌프(미도시)의 작동이 해제되면 진공패드(202)에 흡착된 상면커버(12)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로부터 구속되지 않으면서 셀적층체(1)의 상면을 덮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not shown) is released, the upper surface cover 12 adsorbed to the vacuum pad 202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cell stack 1 without being constrained from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200 . do.

이후, 구동실린더(220)에 의한 로드(224)의 전진으로 그리퍼(216)에 고정된 측면커버(14a, 14b)는 척유닛(210)과 함께 회전한다. 이때, 양측에 위치한 척유닛(210)의 회전방향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척유닛(210)은 회전하다가 댐퍼(204)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척유닛(210)의 회전이 멈추면 그리퍼(216)에 고정된 측면커버(14a, 14b)는 아래로 향하게 된다. 측면커버(14a, 14b)가 회전하면서 버스바(16)에는 전극리드(3a, 3b)가 삽입된다. 도 8d에는 우측에 위치한 척유닛(210)이 아래로 회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양측에 위치한 척유닛(210)은 순차적으로 회전하거나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Thereafter, as the rod 224 moves forward by the driving cylinder 220 , the side covers 14a and 14b fixed to the gripper 216 rotate together with the chuck unit 210 . At this time,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chuck units 210 located on both sides are directions toward each other. While the chuck unit 210 rotates, the rotation is limited by the damper 204 . When the rotation of the chuck unit 210 is stopped, the side covers 14a and 14b fixed to the gripper 216 face downward. The electrode leads 3a and 3b are inserted into the bus bar 16 while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re rotated. 8D shows a state in which the chuck unit 210 located on the right side is rotated downward. However, the chuck units 210 located on both sides may rotate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이후, 측면커버(14a, 14b)의 양측에 위치한 그리퍼(216)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측면커버(14a, 14b)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로부터 구속이 해제되어 셀적층체(1)의 측면을 덮게 된다.Thereafter, the grippers 216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ide covers 14a and 14b move away from each other. Then, the side covers 14a and 14b are released from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200 to cover the side surfaces of the cell laminate 1 .

이후, 버스바 프레임(10)과 분리된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200)는 버스바 정렬장치(100)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Thereafter, the bus bar frame assembling apparatus 200 separated from the bus bar frame 10 may move back to the bus bar aligning apparatus 100 .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버스바 프레임 정렬장치 200 :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
201 : 척장착플레이트 202 : 진공패드
203 : 척연결브라켓 204 : 댐퍼
205 : 스토퍼연결브라켓 206 : 스토퍼
208 : 실린더연결브라켓 210 : 척유닛
211 : 상부브라켓 212 : 측부브라켓
213 : 척실린더 214 : 이동부재
215 : 가이드부재 216 : 그리퍼
217 : 그립홈 220 : 구동실린더
224 : 로드 227 : 로드연결브라켓
230 : 이동수단연결부 232 : 연결부재
100: bus bar frame alignment device 200: bus bar frame assembly device
201: chuck mounting plate 202: vacuum pad
203: chuck connection bracket 204: damper
205: stopper connection bracket 206: stopper
208: cylinder connection bracket 210: chuck unit
211: upper bracket 212: side bracket
213: chuck cylinder 214: movable member
215: guide member 216: gripper
217: grip groove 220: drive cylinder
224: rod 227: rod connection bracket
230: moving means connecting part 232: connecting member

Claims (14)

상면커버 및 그 양측에 힌지결합된 측면커버를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을 배터리 셀적층체에 조립하기 위한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로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상면커버가 흡착되는 척장착플레이트;
상기 척장착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측면커버를 그립하여 회전에 따라 상기 상면커버에 대해 상기 측면커버를 일정 각도로 벌어지도록 하는 척유닛; 및
상기 척유닛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척장착플레이트에는 상기 척유닛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
A bus bar frame assembly device for assembling a bus bar frame including a top cover and a side cover hinged to both sides thereof to a battery cell stack,
a chuck mounting plate to which the upper cover of the bus bar frame is adsorbed;
a chuck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uck mounting plate and configured to grip the side cover to open the side cover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top cover according to rotation; and
Including; a driving unit for apply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chuck unit;
The chuck mou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er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chuck unit is formed,
Busbar frame assembl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장착플레이트에는 상기 상면커버를 진공 흡착하는 진공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vacuum pad for vacuum adsorbing the upper surface cover is formed on the chuck mounting pla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유닛은,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측면커버를 그립하거나 그립해제할 수 있는 그리퍼;를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huck unit is
a bracket rotat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and a gripper connected to the bracket and capable of gripping or releasing the side cov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척장착플레이트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racket is
and a side bracket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uck mounting pl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브라켓과 상기 척장착플레이트는 척연결브라켓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bracket and the chuck mounting plate are connected by a chuck connection bracke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척연결브라켓에는 상기 척유닛의 회전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댐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uck connection bracket is formed with a damper to absorb an impact when the chuck unit rotat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에는 상기 측면커버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도록 그립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us bar frame assemb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er is formed with a grip groove so that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side cover is inser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를 고정시키는 이동부재;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척실린더;
상기 이동부재와 척실린더를 연결시켜 상기 척실린더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moving member for fixing the gripper;
a chuck cylinder fixed to the bracket;
and a guide member connecting the movable member and the chuck cylinder to guide the movable member to be slidab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chuck cylind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er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ov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실린더; 및
상기 구동실린더에 연결되어 전후진 가능하며, 일단이 상기 척유닛에 연결된 로드;를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driving cylinder; and
and a rod connected to the driving cylinder and capable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huck uni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실린더는 척장착플레이트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rive cylinder is a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uck mounting plat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단은 상기 척유닛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One end of the ro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uck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장착플레이트에는 이동수단에 체결되거나 체결해제될 수 있는 이동수단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us bar frame assemb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uck mounting plate is formed with a moving means connecting portion that can be fastened to or released from the moving means.
KR1020210137223A 2021-10-15 2021-10-15 Assembly apparatus for busbar frame Active KR1024059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223A KR102405965B1 (en) 2021-10-15 2021-10-15 Assembly apparatus for busbar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223A KR102405965B1 (en) 2021-10-15 2021-10-15 Assembly apparatus for busbar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965B1 true KR102405965B1 (en) 2022-06-08

Family

ID=8198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223A Active KR102405965B1 (en) 2021-10-15 2021-10-15 Assembly apparatus for busbar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96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406A (en)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having a bus bar frame with improved assembly
KR20200075478A (en)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Bus bar Frame Comprising Hinge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20200123703A (en) * 2019-04-22 2020-10-30 (주)휴민텍 Picker for lead welder
KR20200123706A (en) * 2019-04-22 2020-10-30 (주)휴민텍 Apparatus for assembling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406A (en)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having a bus bar frame with improved assembly
KR20200075478A (en)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Bus bar Frame Comprising Hinge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20200123703A (en) * 2019-04-22 2020-10-30 (주)휴민텍 Picker for lead welder
KR20200123706A (en) * 2019-04-22 2020-10-30 (주)휴민텍 Apparatus for assembling battery p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0710B2 (en) Pressurization jig for pressurizing busbar an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same
KR101220981B1 (en) Stacking device for electrode plate of secondary battery
CN109713351B (en) Insulating film packaging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US20200020915A1 (en) Bus bar assembly for electrode lead bonding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CN111354969B (en) Pressing jig apparatus an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7500304B2 (en) Packing apparatus for an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2317265B1 (en) Robot Having Robot Arm
KR102288406B1 (en) Laser Welding Device Having Screen Block For Laser Beam
KR20170047539A (en) Battery pack
JP7609088B2 (en) jig
CN113199190A (en) Jig and assembling equipment
KR102405965B1 (en) Assembly apparatus for busbar frame
KR102363196B1 (en) Gripper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of pouch type battery,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of pouch type battery having same
KR100388649B1 (en) Lamination apparatus for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of lithium secondary cell
KR102434263B1 (en) Apparatus for aligning busbar frame
CN219666676U (en) Pressure maintaining mechanism
KR101543063B1 (en) Jig for welding column type battery cell
KR20220055180A (en) Jig device
KR102522612B1 (en) Automated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cell pouch on frame
CN219408301U (en) Battery core transfer device
CN222859899U (en) Rubberizing equipment and battery production line
CN220753505U (en) Film coating and rubberizing device
CN215999247U (en) Positioning fixture
JP2021026823A (en) Charging/discharging device connection mechanism
CN217147669U (en) Elastic clamping jaw and electronic component conve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