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758B1 -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5758B1 KR102405758B1 KR1020210160791A KR20210160791A KR102405758B1 KR 102405758 B1 KR102405758 B1 KR 102405758B1 KR 1020210160791 A KR1020210160791 A KR 1020210160791A KR 20210160791 A KR20210160791 A KR 20210160791A KR 102405758 B1 KR102405758 B1 KR 1024057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genetic
- generation
- representative
- individu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9396 hybridiz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06010058467 Lung neoplasm malignant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1000005202 lung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20816 lung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5718 Stomach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7758 gastr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1549 stomach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93 micro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582 Pisum sativ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713 Pis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5 allogene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90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349 chromosom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54766 genetic haplotyp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602 germ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4 group of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74 mater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75 pater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evolutionary bioinformatics, e.g. phylogenetic tree construction or analysi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unctional genomics or proteomics, e.g. genotype-phenotype associ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biostatistics; ICT specially adapted for bioinformatics-related machine learning or data mining, e.g. knowledge discovery or pattern find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eth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ys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일례로, 동종 집단 내 개체에 대하여 미리 선정된 유전자형의 출현 빈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출현 빈도수에 따라 상기 동종 집단 별 집단 대표 개체를 선정하는 집단 대표 개체 선정부; 및 상기 집단 대표 개체 간의 반복적 교잡을 통해 세대 별로 상기 집단 대표 개체의 잡종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잡종 데이터와 검사 대상 개체 간의 유전적 유사도에 따라 검사 대상 개체에 대한 유전적 집단 구성을 판별하는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부를 포함하는 단 및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를 이용한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체들 간의 유전적 유사도 측정을 통해 불순 개체 및 동종 집단을 판별한 동종 집단 분류부의 실행 결과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전자형 출현빈도수 측정을 통해 집단 대표 유전체 생성하는 집단 대표 개체 유전체 생성부의 실행 결과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종 데이터 생성부가 멘델의 유전법칙에 기초하여 집단 대표 개체의 유전체 간 교잡을 통해 새로운 잡종을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세대가 거듭될 때 이전 세대 대표 개체들이 다음 세대에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되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세대까지의 분석을 통해 유전적 집단구성의 비율 및 3세대의 집단구성 판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kita' 및 'Chow-Chow' 잡종에 대한 패턴 분석을 통해 집단구성을 확인하기 위한 예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단 및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를 이용한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방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00: 집단 대표 개체 선정부
110: 유전체 데이터 수집부
120: 동종 집단 분류부
130: 집단 대표 개체 유전체 생성부
200: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부
210: 잡종 데이터 생성부
220: 검사 대상 개체 품종 판별부
S1000: 집단 및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를 이용한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방법
S100: 집단 대표 개체 선정 단계
S110: 유전체 데이터 수집 단계
S120: 동종 집단 분류 단계
S130: 집단 대표 개체 유전체 생성 단계
S200: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단계
S210: 잡종 데이터 생성 단계
S220: 검사 대상 개체 품종 판별 단계
Claims (20)
- 동종 집단 내 개체에 대하여 미리 선정된 유전자형의 출현 빈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출현 빈도수에 따라 상기 동종 집단 별 집단 대표 개체를 선정하는 집단 대표 개체 선정부; 및
상기 집단 대표 개체 간의 반복적 교잡을 통해 세대 별로 상기 집단 대표 개체의 잡종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잡종 데이터와 검사 대상 개체 간의 유전적 유사도에 따라 검사 대상 개체에 대한 유전적 집단 구성을 판별하는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단 대표 개체 선정부는,
집단 별로 유전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유전체 데이터 수집부;
상기 유전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집단 간의 유전적 유사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동종 집단으로 군집화하여 분류하는 동종 집단 분류부; 및
상기 동종 집단 내 개체들 간의 동일 유전적 위치마다 미리 선정된 유전자형의 출현 빈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출현 빈도수에 따라 상기 동종 집단 별 집단 대표 개체를 선정하여 선정된 상기 집단 대표 개체에 대한 유전체를 생성하는 집단 대표 개체 유전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종 집단 분류부는,
동종 집단으로 군집화되지 않은 개체들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집단 대표 개체 유전체 생성부는,
상기 출현 빈도수가 가장 많은 개체를 상기 집단 대표 개체로 선정하되, 동률의 유전자형을 갖는 둘 이상의 개체들에 대하여 무작위 방식으로 상기 집단 대표 개체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집단 대표 개체 유전체 생성부는,
상기 출현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빈도수 이하인 경우 해당 개체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집단 대표 개체 유전체 생성부는,
동일 세대 내에서 상기 집단 대표 개체 간의 유전적 유사도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인 경우 해당 집단 대표 개체를 하나의 공통 집단 대표 개체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부는,
상기 집단 대표 개체 간의 반복적 교잡을 통해 세대 별로 상기 집단 대표 개체의 잡종 데이터를 생성하는 잡종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잡종 데이터와 검사 대상 개체 간의 유전적 유사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검사 대상 개체의 품종을 판별하는 검사 대상 개체 품종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잡종 데이터 생성부는,
1세대, 2세대, 3세대 및 그 이상의 세대 별 집단 대표 개체 간 반복적 교잡 시 조합을 하기의 수식(Equation, #Representator)에 따라 결정하고,
상기 Equation은 이전 세대를 고려하지 않은 m세대가 갖는 집단 대표 개체의 총 수이고,
상기 #Representator는 각 세대에서 사용하는 집단 대표 개체의 총 수이고,
상기 Equation과 #Representator의 N은 집단의 수이고,
상기 Equation의 n은 밝혀내고자 하는 집단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 개체 품종 판별부는,
상기 잡종 데이터 중 상기 검사 대상 개체와 유전적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잡종 데이터에 해당하는 집단 대표 개체의 유전적 집단구성을 상기 검사 대상 개체의 유전적 집단구성인 것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 개체 품종 판별부는,
검사 대상 개체와 유전적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집단 대표 개체를 정렬하고, 정렬된 집단 대표 개체 별 유전적 유사도를 백분율로 환산하고, 환산된 백분율 값을 각 집단 대표 개체가 전체 집단 대표 개체 중에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눈 후, 나눈 값을 양의 정수의 근사치로 추정하여 특정 세대가 아닌 다음 세대의 검사 대상 개체에 대한 유전적 집단구성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 동종 집단 내 개체에 대하여 미리 선정된 유전자형의 출현 빈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출현 빈도수에 따라 상기 동종 집단 별 집단 대표 개체를 선정하는 집단 대표 개체 선정 단계; 및
상기 집단 대표 개체 간의 반복적 교잡을 통해 세대 별로 상기 집단 대표 개체의 잡종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잡종 데이터와 검사 대상 개체 간의 유전적 유사도에 따라 검사 대상 개체에 대한 유전적 집단 구성을 판별하는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집단 대표 개체 선정 단계는,
집단 별로 유전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유전체 데이터 수집 단계;
상기 유전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집단 간의 유전적 유사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동종 집단으로 군집화하여 분류하는 동종 집단 분류 단계; 및
상기 동종 집단 내 개체들 간의 동일 유전적 위치마다 미리 선정된 유전자형의 출현 빈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출현 빈도수에 따라 상기 동종 집단 별 집단 대표 개체를 선정하여 선정된 상기 집단 대표 개체에 대한 유전체를 생성하는 집단 대표 개체 유전체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방법.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종 집단 분류 단계는,
동종 집단으로 군집화되지 않은 개체들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방법.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집단 대표 개체 유전체 생성 단계는,
상기 출현 빈도수가 가장 많은 개체를 상기 집단 대표 개체로 선정하되, 동률의 유전자형을 갖는 둘 이상의 개체들에 대하여 무작위 방식으로 상기 집단 대표 개체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방법.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집단 대표 개체 유전체 생성 단계는,
상기 출현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빈도수 이하인 경우 해당 개체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방법.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집단 대표 개체 유전체 생성 단계는,
동일 세대 내에서 상기 집단 대표 개체 간의 유전적 유사도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유사도 이상인 경우 해당 집단 대표 개체를 하나의 공통 집단 대표 개체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단계는,
상기 집단 대표 개체 간의 반복적 교잡을 통해 세대 별로 상기 집단 대표 개체의 잡종 데이터를 생성하는 잡종 데이터 생성 단계; 및
상기 잡종 데이터와 검사 대상 개체 간의 유전적 유사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검사 대상 개체의 품종을 판별하는 검사 대상 개체 품종 판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방법.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잡종 데이터 생성 단계는,
1세대, 2세대, 3세대 및 그 이상의 세대 별 집단 대표 개체 간 반복적 교잡 시 조합을 하기의 수식(Equation, #Representator)에 따라 결정하고,
상기 Equation은 이전 세대를 고려하지 않은 m세대가 갖는 집단 대표 개체의 총 수이고,
상기 #Representator는 각 세대에서 사용하는 집단 대표 개체의 총 수이고,
상기 Equation과 #Representator의 N은 집단의 수이고,
상기 Equation의 n은 밝혀내고자 하는 집단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방법.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 개체 품종 판별 단계는,
상기 잡종 데이터 중 상기 검사 대상 개체와 유전적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잡종 데이터에 해당하는 집단 대표 개체의 유전적 집단구성을 상기 검사 대상 개체의 유전적 집단구성인 것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방법.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 개체 품종 판별 단계는,
검사 대상 개체와 유전적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집단 대표 개체를 정렬하고, 정렬된 집단 대표 개체 별 유전적 유사도를 백분율로 환산하고, 환산된 백분율 값을 각 집단 대표 개체가 전체 집단 대표 개체 중에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눈 후, 나눈 값을 양의 정수의 근사치로 추정하여 특정 세대가 아닌 다음 세대의 검사 대상 개체에 대한 유전적 집단구성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0791A KR102405758B1 (ko) | 2021-11-19 | 2021-11-19 |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및 방법 |
PCT/KR2022/018119 WO2023090861A1 (ko) | 2021-11-19 | 2022-11-16 |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및 방법 |
US18/024,969 US20240282464A1 (en) | 2021-11-19 | 2022-11-16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g gemetic population composition using hybrid specific reference genetic data generation for population, breed, disease groups, and species and analysis for determinig genetic compon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0791A KR102405758B1 (ko) | 2021-11-19 | 2021-11-19 |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5758B1 true KR102405758B1 (ko) | 2022-06-08 |
Family
ID=8198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0791A Active KR102405758B1 (ko) | 2021-11-19 | 2021-11-19 |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82464A1 (ko) |
KR (1) | KR102405758B1 (ko) |
WO (1) | WO202309086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90861A1 (ko) * | 2021-11-19 | 2023-05-25 |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및 방법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255768A1 (en) | 2006-01-18 | 2008-10-16 | Martin Lucas | Methods of determining relative genetic likelihoods of an individual matching a population |
US8620594B2 (en) | 2009-10-20 | 2013-12-31 | Genepeeks, Inc.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virtual progeny genome |
US20170004256A1 (en) | 2014-03-24 | 2017-01-05 | Kabushiki Kaisha Toshiba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nerating reference genome data, generating difference genome data, and recovering data |
US20170017757A1 (en) | 2012-08-28 | 2017-01-19 | Inova Health System | Ancestral-specific reference genome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
US20170199959A1 (en) | 2016-01-13 | 2017-07-13 | Seven Bridges Genomics Inc. | Genetic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
WO2017210542A1 (en) | 2016-06-03 | 2017-12-07 | The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 Cross-genera target genome capture and analysis |
EP3588506A1 (en) | 2018-06-29 | 2020-01-01 | Molecular Health GmbH | Systems and methods for genomic and genetic analysis |
KR102138165B1 (ko) | 2020-01-02 | 2020-07-27 |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 국가, 민족, 및 인종별 표준게놈지도를 이용한 정체성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
KR20210089073A (ko) | 2020-01-07 | 2021-07-15 |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 유전자 정보에 기반한 품종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9646B1 (ko) * | 2019-12-31 | 2020-07-30 |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 동물의 품종 별 표준게놈지도를 이용한 유전적 품종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10129977A (ko) * | 2020-04-21 | 2021-10-29 |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 개체 개별 표준게놈지도의 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2405758B1 (ko) * | 2021-11-19 | 2022-06-08 |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및 방법 |
-
2021
- 2021-11-19 KR KR1020210160791A patent/KR102405758B1/ko active Active
-
2022
- 2022-11-16 US US18/024,969 patent/US20240282464A1/en active Pending
- 2022-11-16 WO PCT/KR2022/018119 patent/WO202309086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255768A1 (en) | 2006-01-18 | 2008-10-16 | Martin Lucas | Methods of determining relative genetic likelihoods of an individual matching a population |
US8620594B2 (en) | 2009-10-20 | 2013-12-31 | Genepeeks, Inc.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virtual progeny genome |
US20170017757A1 (en) | 2012-08-28 | 2017-01-19 | Inova Health System | Ancestral-specific reference genome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
US20170004256A1 (en) | 2014-03-24 | 2017-01-05 | Kabushiki Kaisha Toshiba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nerating reference genome data, generating difference genome data, and recovering data |
US20170199959A1 (en) | 2016-01-13 | 2017-07-13 | Seven Bridges Genomics Inc. | Genetic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
WO2017210542A1 (en) | 2016-06-03 | 2017-12-07 | The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 Cross-genera target genome capture and analysis |
EP3588506A1 (en) | 2018-06-29 | 2020-01-01 | Molecular Health GmbH | Systems and methods for genomic and genetic analysis |
KR102138165B1 (ko) | 2020-01-02 | 2020-07-27 |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 국가, 민족, 및 인종별 표준게놈지도를 이용한 정체성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
KR20210089073A (ko) | 2020-01-07 | 2021-07-15 |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 유전자 정보에 기반한 품종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J. Harmoineh 외, BMC Genomics (2021) 22:473., 2020.10.30. * |
W. Kriangwanich 외, PeerJ8:e10215, 2020.10.30.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90861A1 (ko) * | 2021-11-19 | 2023-05-25 |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282464A1 (en) | 2024-08-22 |
WO2023090861A1 (ko) | 2023-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1261447B2 (en)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dicting unobserved phenotypes (PUP) | |
Juma et al. | Identification of an elite core panel as a key breeding resource to accelerate the rate of genetic improvement for irrigated rice | |
KR102206211B1 (ko) | 문치가자미 친자 식별용 유전자 마커 및 이를 이용한 친자 확인방법 | |
KR102697335B1 (ko) | 품종 식별이 가능한 유전마커 선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품종 식별방법 | |
Tan et al. | Genetic relationships and evolution of old Chinese garden roses based on SSRs and chromosome diversity | |
CN108875307A (zh) | 一种基于孕妇外周血中胎儿游离dna的亲子鉴定方法 | |
CN109207606A (zh) | 用于亲权鉴定的ssr位点的筛选方法和应用 | |
KR102405758B1 (ko) | 집단과 질병군, 품종 등의 혼합체 또는 잡종의 특이적 표준게놈 데이터 생성과 유전적 집단 구성 판별 시스템 및 방법 | |
Fan et al.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1 K sika deer (Cervus nippon) SNP Chip | |
CN107871060B (zh) | 基于dna标记的犬类品系鉴定方法 | |
CN114959067A (zh) | 一种鉴定确山黑猪种质资源的特异分子身份证及其应用 | |
CN110692512A (zh) | 一种基于作物基因组大小快速预测杂种优势的方法 | |
KR101539737B1 (ko) | 유전체 정보와 분자마커를 이용한 여교잡 선발의 효율성 증진 기술 | |
CN112514790B (zh) | 水稻分子导航育种方法及应用 | |
Daïnou et al. | DNA taxonomy in the timber genus Milicia: evidence of unidirectional introgression in the West African contact zone | |
CN112011629A (zh) | 晋汾白猪全基因组高密度snp芯片检测试剂盒及其应用 | |
CN105052729B (zh) | 一种基于受选择位点指数评估动植物品种育种潜力的方法 | |
CN108416189B (zh) | 一种基于分子标记技术的农作物品种杂种优势模式鉴定方法 | |
CN117095745A (zh) | 用于检测孕妇血浆游离dna中胎儿非整倍体和拷贝数变异的方法和装置及应用 | |
KR101911307B1 (ko) | 유전자 단위에서 단상형을 구분하는 태그-snp 선발 및 활용 기술 | |
US20140136121A1 (en) | Method for assembling sequenced segments | |
US20030170638A1 (en) | Methods to determine genetic risk through analysis of very large families | |
Anisuzzaman et al. | Molecular diversity of rice (Oryza sativa L.) genotypes in Malaysia based on SSR markers | |
Dinelli et al. | Characterization of Italian populations of Lolium spp. resistant and susceptible to diclofop by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 |
Kiersztyn et al. | Analysis of the Homozygosity of Microsatellite Markers by Using Fuzzy Se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1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