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05346B1 - 구강호흡 개선을 위한 저자극 테이프 - Google Patents

구강호흡 개선을 위한 저자극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346B1
KR102405346B1 KR1020210180067A KR20210180067A KR102405346B1 KR 102405346 B1 KR102405346 B1 KR 102405346B1 KR 1020210180067 A KR1020210180067 A KR 1020210180067A KR 20210180067 A KR20210180067 A KR 20210180067A KR 102405346 B1 KR102405346 B1 KR 102405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vertical
border
adhesive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주재형
Original Assignee
(주)이삼오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삼오구 filed Critical (주)이삼오구
Priority to KR1020210180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3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61F13/025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characterized by the adhesiv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61L15/58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89Plasters use for bracing or str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655Plasters adhesive
    • A61F2013/00659Plasters adhesive polymeric b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술 주변에 부착하여 구강호흡을 억제할 수 있는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호흡 개선용 테이프는 착용감이 편안한 형태를 가지고, 천연 성분 및 보습 성분을 포함하여 피부에 친화적이며, 떼어낼 때에도 자극이 적어 피부 손상 없이 구강호흡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바, 아이들도 거부감 없이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호흡 개선을 위한 저자극 테이프 {Low irritant tape for preventing mouth breathing}
본 발명은 입술 주변에 부착하여 구강호흡을 억제할 수 있는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호흡은 코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비강호흡과 입을 통해 공기를 호흡하는 구강호흡으로 구분된다. 비강호흡은 복식호흡을 하게 되고, 호흡량이 줄어들면서 산소섭취량이 늘어나게 되고, 수분 손실률을 낮춰주며, 비강의 섬모를 통해 공기중으로 유입되는 세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에, 구강호흡은 흉식호흡을 유발해 거북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수분손실이 높으며, 입안을 산성화시키기 때문에 충치발생률이 높아진다. 입으로 숨을 쉬면 코나 코 위쪽의 얼굴근육을 움직일 기회가 적어져 힘이 없어진 눈 주위 근육이 처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입으로 숨을 쉬면 계속 입이 열려 있어 아랫입술이 윗입술에 비해 두툼해지면서 입의 양쪽 끝이 쳐지게 된다. 아울러 입술을 계속 벌리고 있으면 뺨 근육도 노화돼 뺨이 아래로 처지고 나중에는 턱까지 처져 이중턱이 되기 쉽다. 따라서, 아이가 입 호흡을 하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겨 치료를 받지 않거나 지속적으로 입 호흡을 하도록 내버려 둔다면 우둔한 인상을 줄 수 있는 아데노이드 얼굴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치아가 고르게 발달하지 못해 부정교합이나 위 앞니가 심하게 앞으로 뻐드러지는 현상이 생기면서 얼굴형이 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입으로 호흡하면 세균이나 먼지가 체내에 그대로 들어오게 되고, 코로 호흡할 때는 가능한 습도와 체온 조절도 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입으로 숨을 쉬는 것이 습관화되면 입 냄새가 심해지고 입에 침이 말라 세균이 번식하면서 충치나 잇몸질환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또한, 입으로 호흡하는 사람은 코로 호흡하는 사람보다 기억력이 떨어질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 또한 발표된 바 있다.
이처럼 구강호흡은 많은 문제를 야기하는 바, 구강호흡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어 왔으며, 수면 중 개구방지를 위한 마스크 또는 고무줄 형태의 밴드 등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스크 또는 밴드는 실제 착용시 매우 답답하여 수면 중 장기간 착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입술에 직접적으로 부착하여 구강호흡을 방지하는 테이프 등도 출시된 바 있으나, 부착 및 제거 시에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고, 아이들이 사용하기에는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로서 착용감이 편안한 형태를 가지고, 천연 성분 및 보습 성분을 포함하여 피부에 친화적이며, 떼어낼 때에도 자극이 적어 피부 손상 없이 구강호흡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입술 주변에 부착하여 구강호흡을 억제할 수 있는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사용자의 안면에 부착되는 테이프부재(100); 상기 테이프부재(100)가 부착되는 베이스부재(20); 상기 테이프부재(100)의 배면에 도포되어 점성을 형성하는 점착제(30);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부재(100)는, 사용자의 입술 아래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부재(150); 상기 가로부재(150)의 좌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 1 세로부재(110); 상기 가로부재(150)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 2 세로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세로부재(110), 가로부재(150) 및 제 2 세로부재(120) 사이에 사용자의 입술이 위치되는 입술삽입공간(105)이 형성된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는 입술 주변에 부착하여 수면 시 입술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강호흡을 개선할 수 있는 테이프를 의미한다.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의 경우 입 주위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착하여 사용되는 바, 피부에 자극 없이 피부 표면에 부드럽게 부착되어야 하고, 제거 시에는 피부의 접착 면에 손상 없이 흔적을 남기지 않고 쉽게 떨어져야 한다. 따라서, 저자극성의 피부 친화적인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상기 점착제는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스쿠알렌(squalene), 아크릴 공중합체(acryl copolymer), 실리카(silica), 및 세라마이드(ceramide)를 포함하는 점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점착용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에틸 아세테이트 55 내지 65 중량부, 스쿠알렌 0.1 내지 3 중량부, 아크릴 공중합체 35 내지 45 중량부, 실리카 0.1 내지 1 중량부, 및 세라마이드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는 가열용융형 점착제를 높은 온도에서 용융시켜서 도포하는 핫멜트(hot-melt) 타입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핫멜트 타입 점착제는 무용제형으로 인체에 유해한 용매 등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점착제는 내부가 99-138℃로 가열된 교반기에 에틸 아세테이트 60 중량부, 스쿠알렌 1 중량부, 아크릴 공중합체 40 중량부, 실리카 0.5 중량부, 및 세라마이드 1 중량부를 첨가 및 교반한 후, 상기 점착용 조성물을 테이프부재에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를 통해 경화시킨 후 건조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아크릴 공중합체"는 UV 경화성 아크릴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aacrylate),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2-carboxyethyl acrylate) 및 비닐 아크릴레이트(vinyl acryla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2-Propenoic acid, butyl ester, polymer with 2-ethylhexyl 2-propenoate(Cas number 26760-85-0)의 아크릴 공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1 테이프, 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비교예 1 테이프, 세라마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비교예 2 테이프, 점착제로서 시중에 판매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비교예 3 테이프의 점착력 및 피부 자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예 1 및 실험예 2). 그 결과, 시중에 판매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한 비교예 3 테이프 및 점착제에 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테이프는 점착력이 얼굴 피부에 사용하기에는 상대적으로 강해 사용 시의 자극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의 경우, 입 주위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착하여 사용되는 바, 부착 시의 착용감에 테이프의 통기성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공기 투과성이 높은 테이프부재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테이프부재의 소재는 비스코스 레이온(viscose rayon) 이다. 상기 용어 "비스코스 레이온"은 재생 셀룰로오스로서, 나무로부터 섬유소를 추출한 목재 펄프를 처리하여 만든 비스코스액을 용고액에 넣어서 셀룰로오스로 재생한 섬유를 의미한다. 상기 비스코스 레이온은 유연성 및 흡습성이 좋고, 통기성이 뛰어나 본 발명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는, 비스코스 레이온을 포함하는 실시예 1 테이프와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작한 비교예 4 테이프의 통기성을 비교한 결과, 실시예 1 테이프의 통기성이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상기 연신방지부재(50)는 상기 테이프부재(100) 보다 연신률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신방지부재(50)는 상기 제 1 세로부재(110)에 배치되는 제 1 연신방지부재(51); 및 상기 제 2 세로부재(120)에 배치되는 제 2 연신방지부재(52);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호흡 개선용 테이프는 통기성이 커 사용감이 편안하고, 다양한 천연 및 보습 성분을 포함하여 피부에 친화적이며, 떼어낼 때에도 자극이 적어 피부 손상 없이 구강호흡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의 부착방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의 부착방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는 사용자의 안면에 부착되는 테이프부재(100)와, 상기 테이프부재(100)가 부착되는 베이스부재(20)와, 상기 테이프부재(100)의 배면에 도포되어 점성을 형성하는 점착제(3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재(20)는 테이프부재(100)의 사용 전까지 테이프부재(100)를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이프부재(100)가 분리된 후에는 버려진다.
상기 베이스부재(20)는 사용 전까지 상기 점착제(30)를 보호하고, 점착제(30)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베이스부재는 테이프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면 그 재질은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테이프부재(100)는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부재(100)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부재(150)와, 상기 가로부재(150)의 좌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 1 세로부재(110)와, 상기 가로부재(150)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 2 세로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부재(150), 제 1 세로부재(110) 및 제 2 세로부재(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부재(150)는 좌우로 길게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제 1 폭(D1)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세로부재(1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제 2 폭(D2)을 형성하며, 제 2 세로부재(12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제 3 폭(D3)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폭(D1), 제 2 폭(D2) 및 제 3 폭(D3)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부재(150)는 상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 1 어퍼보더(151)와, 사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 1 로어보더(15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어퍼보더(151) 및 제 1 로어보더(152)의 간격이 상기 제 1 폭(D1)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세로부재(110)는, 상기 제 1 어퍼보더(151)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어퍼보더(151)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 1 이너보더(111)와, 상기 제 1 로어보더(152)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로어보더(152)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 1 아우터보더(112)와, 상기 제 1 이너보더(111) 및 제 1 아우터보더(112)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1 세로어퍼보더(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이너보더(111) 및 제 1 아우터보더(112)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 2 폭(D2)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세로부재(120)는, 상기 제 1 어퍼보더(151)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어퍼보더(151)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 2 이너보더(121)와, 상기 제 1 로어보더(152)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로어보더(152)와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 2 아우터보더(122)와, 상기 제 2 이너보더(121) 및 제 2 아우터보더(122)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2 세로어퍼보더(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이너보더(121) 및 제 2 아우터보더(122)의 간격이 상기 제 3 폭(D3)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퍼보더(151) 및 제 1 이너보더(111)가 직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퍼보더(151) 및 제 2 이너보더(121)가 직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로어보더(152) 및 제 1 아우터보더(112)가 직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로어보더(152) 및 제 2 아우터보더(122)가 직교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로부재(150) 및 제 1 세로부재(110)가 직교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세로부재(110)가 상측으로 당겨질 때,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부재(150) 및 제 2 세로부재(120)가 직교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세로부재(120)가 상측으로 당겨질 때,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이너보더(111) 및 제 2 이너보더(121) 사이의 간격을 제 4 폭(D4)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 4 폭(D4)은 사용자의 입술 폭에 따라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4 폭(D4)이 사용자의 입술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연령 구간에 따라 유아, 아동, 청소년 또는 성인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인종에 따라 상기 제 4 폭(D4)의 길이가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 4 폭(D4)은 상기 제 2 폭(D2) 및 제 3 폭(D3)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어퍼보더(151), 제 1 이너보더(111) 및 제 2 이너보더(121)에 둘러싸인 공간을 입술삽입공간(105)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이너보더(111) 및 제 2 이너보더(121)의 길이를 세로높이(H)라 정의한다. 상기 세로높이(H)는 적어도 사용자의 아랫입술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의 부착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입술은 아랫입술(11) 및 윗입술(12)과, 상기 아랫입술(11) 및 윗입술(12)이 만나는 좌측입꼬리(13)와, 상기 아랫입술(11) 및 윗입술(12)이 만나는 우측입꼬리(14)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제 4 폭(D4)이 입술의 폭보다 긴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를 선택한다.
도 4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 1 어퍼보더(151)가 아랫입술(11)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킨 후, 가로부재(150)를 좌우 방향으로 길게 부착한다.
상기 가로부재(150)는 안면의 하순거근 또는 하순하강근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가로부재(150)의 부착 후, 상기 제 1 세로부재(110) 또는 제 2 세로부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안면에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세로부재(110) 및 제 2 세로부재(120)를 상측으로 당겨 동시에 부착한다. 상기 제 1 세로부재(110) 및 제 2 세로부재(120)를 동시에 부착할 경우, 안면의 좌우 불균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세로부재(110)를 부착할 때, 상기 제 1 세로어퍼보더(113)가 좌측 입꼬리(113) 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1 세로부재(110)를 상측으로 당겨 부착한다.
상기 제 1 세로어퍼보더(113)가 좌측 입꼬리(113) 보다 상측에 부착될 경우, 상기 제 1 세로어퍼보더(113)가 안면의 좌측 상순거근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세로부재(120)를 부착할 때, 상기 제 2 세로어퍼보더(123)가 우측 입꼬리(123) 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2 세로부재(120)를 상측으로 당겨 부착한다.
상기 제 2 세로어퍼보더(123)가 우측 입꼬리(114) 보다 상측에 부착될 경우, 상기 제 2 세로어퍼보더(123)가 안면의 우측 상순거근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 (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는 가로부재(150)가 하순거근 또는 하순하강근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세로부재(110) 및 제 2 세로부재(120)가 상순거근에 부착됨으로써, 하순거근 및 상순거근이 벌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면 시 입술이 벌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테이프부재(100)가 재질의 특성에 의해 늘어나는 것을 억제하는 연신방지부재(50)가 더 배치된다.
상기 연신방지부재(50)는 테이프부재(100) 보다 연신률이 낮은 재질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스펀레이스(spunlace) 부직포,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 또는 니들펀치(needle punch)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연신방지부재(50)는 상기 제 1 세로부재(110)에 배치되는 제 1 연신방지부재(51)와, 상기 제 2 세로부재(120)에 배치되는 제 2 연신방지부재(52)를 포함한다.
상기 연신방지부재(50)는 세로부재(110)(1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연신방지부재(50)는 테이프부재(100)이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연신방지부재(51)는 제 1 세로어퍼보더(113) 및 제 1 로어보더(152)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신방지부재(51)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너보더(111) 및 제 1 아우터보더(112) 사이에 배치된다.
부차적으로 상기 제 1 연신방지부재(51)가 제 1 세로어퍼보더(113) 및 제 1 로어보더(152)를 연결할 경우, 제 1 세로부재(110)가 안쪽으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신방지부재(52)는 제 2 세로어퍼보더(123) 및 제 1 로어보더(152)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신방지부재(52)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너보더(121) 및 제 2 아우터보더(12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연신방지부재(52)가 제 2 세로어퍼보더(123) 및 제 1 로어보더(152)를 연결할 경우, 제 2 세로부재(120)가 안쪽으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조예 1. 구강호흡 개선용 테이프의 제조
제조예 1-1. 실시예 1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의 제조
본 발명의 구강호흡 개선용 테이프에 포함되는 점착제는 자외선 경화형 핫멜트(hot-melt) 타입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내부가 99-138℃로 가열된 교반기에 에틸 아세테이트 60 중량부, 스쿠알렌 1 중량부, 아크릴 공중합체 40 중량부, 실리카 0.5 중량부, 및 세라마이드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점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점착용 조성물을 테이프부재인 비스코스 레이온(Cas number 68442-85-3)에 70-80μm 두께로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를 통해 경화시킨 후 건조하여 실시예 1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이하 실험은 각 테이프를 25mm x 110mm 크기로 절단하여 시험편으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1-2. 비교예 1 테이프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의 점착용 조성물 성분 중 실리카를 제외하여 점착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테이프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제조예 1-3. 비교예 2 테이프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의 점착용 조성물 성분 중 세라마이드를 제외하여 점착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테이프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제조예 1-4. 비교예 3 테이프의 제조
점착제로서 상기 제조예 1-1의 점착용 조성물이 아닌, 시중에 판매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한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1 테이프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3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제조예 1-5. 비교예 4 테이프의 제조
테이프부재로서 비스코스 레이온이 아닌, 일반 의료용 테이프로 주로 사용되는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를 이용한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1 테이프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4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4 테이프의 성분 및 재질을 정리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구성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점착제
(단위: 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60 60 60 시판 아크릴계 점착제 60
스쿠알렌 1 1 1 1
아크릴 공중합체 40 40 40 40
실리카 0.5 - 0.5 0.5
세라마이드 1 1 - 1
테이프부재 비스코스 레이온 스펀본드 부직포
실험예 1. 테이프의 점착력 평가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의 경우, 입 주위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착하여 사용되는 바, 피부에 자극 없이 피부 표면에 부드럽게 부착되어야 하고, 제거 시에는 피부의 접착 면에 손상 없이 흔적을 남기지 않고 쉽게 떨어져야 한다. 이에, 실시예 및 비교예 테이프의 점착력을 비교하여 구강호흡 개선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지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 산업규격 KS A 1107에 의거하여, 180˚ 박리 시험법(peel test)으로 300±30 mm/min의 속도로 각 테이프의 점착력을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점착력(kgf) 0.59 1.29 0.78 0.95 0.58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4 테이프는 점착력이 약 0.6으로 피부에 부드럽게 부착되고 떼어질 때에도 자극 없이 용이하게 제거되는 수준의 박리 강도인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시중에 판매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한 비교예 3 테이프 및 점착제에 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테이프의 경우 약 1 kgf 또는 그 이상으로 얼굴에 부착하기에는 다소 강한 부착력을 나타내는 바, 피부에서 박리시키는 경우 피부에 손상이 클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테이프의 피부 자극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테이프를 사용 시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성인남녀 20명을 대상으로 비교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테이프를 시험자의 팔에 부착하여 5분 동안 유지하고, 부착하고 있을 때의 사용감, 떼어낼 때의 통증감, 떼어낸 후의 자극감에 대하여 주관적으로 평가하였다. 평점은 9점 평점법을 사용하였으며, 선호도/만족감이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주도록 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사용감 7.8 7.0 6.3 7.2 5.9
통증감 7.6 5.2 5.8 6.1 7.6
자극감 8.2 5.8 5.4 6.0 7.9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테이프는 부착 시의 사용감, 제거 시의 통증감, 및 제거 후의 자극감 모든 항목에서 주관적인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에 반해, 점착제에 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테이프는 제거 시의 통증감이 크다는 평가를 받은 바, 상대적으로 강한 부착력을 나타낸 실험예 1의 결과와 상응하였다. 점착제에 세라마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 테이프는 제거 후의 자극감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바, 본 발명의 점착용 조성물에 포함된 세라마이드는 보습 효과를 나타내 떼어낸 후에 자극감이 비교적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테이프부재로서 비스코스 레이온이 아닌 스펀본드 부직포를 사용한 비교예 4 테이프의 경우, 부착 시의 촉감이 부드럽지 않아 착용감이 불편하며, 제거 시의 잔사가 발생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실험예 3. 테이프의 통기성 평가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의 경우, 입 주위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착하여 사용되는 바, 부착 시의 착용감에 통기성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발명 실시예 1 및 비교예 4 테이프의 공기 투과도를 평가하였다. 공기 투과도는 ASTM D737에 의거하여 시험편에 의해 생기는 압력차를 일정하게 했을 때 단위 면적의 시험편을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를 측정하는 Frazier형 공기 투과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4
통기성
(cc/cm2/sec)
10.6 7.3
그 결과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스코스 레이온을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 테이프가 스펀본드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조한 비교예 4 테이프보다 통기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구강호흡 개선용 테이프는 통기성이 커 사용감이 편안하고, 보습 성분을 포함하여 피부에 친화적이며, 떼어낼 때에도 자극이 적어 피부 손상 없이 구강호흡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 베이스부재 30 : 점착부재
100 : 테이프부재 110 : 제 1 세로부재
120 : 제 2 세로부재 150 : 가로부재

Claims (5)

  1. 사용자의 안면에 부착되는 테이프부재(100);
    상기 테이프부재(100)가 부착되는 베이스부재(20);
    상기 테이프부재(100)의 배면에 도포되어 점성을 형성하는 점착제(30);
    상기 테이프부재(100)의 재질 특성에 의해 늘어나는 것을 억제하는 연신방지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부재(100)는,
    사용자의 입술 아래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부재(150);
    상기 가로부재(150)의 좌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 1 세로부재(110);
    상기 가로부재(150)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 2 세로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세로부재(110), 가로부재(150) 및 제 2 세로부재(120) 사이에 사용자의 입술이 위치되는 입술삽입공간(105)이 형성되고,
    상기 연신방지부재(50)는 상기 테이프부재(100) 보다 연신률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신방지부재(50)는,
    상기 제 1 세로부재(110)에 배치되는 제 1 연신방지부재(51); 및
    상기 제 2 세로부재(120)에 배치되는 제 2 연신방지부재(52);를 포함하는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에틸 아세테이트, 스쿠알렌, 아크릴 공중합체, 실리카, 및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점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용 조성물은 에틸 아세테이트 55 내지 65 중량부, 스쿠알렌 0.1 내지 3 중량부, 아크릴 공중합체 35 내지 45 중량부, 실리카 0.1 내지 1 중량부, 및 세라마이드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부재는 비스코스 레이온(viscose rayon)인, 구강호흡 개선 테이프.
  5. 삭제
KR1020210180067A 2021-12-15 2021-12-15 구강호흡 개선을 위한 저자극 테이프 Active KR102405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067A KR102405346B1 (ko) 2021-12-15 2021-12-15 구강호흡 개선을 위한 저자극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067A KR102405346B1 (ko) 2021-12-15 2021-12-15 구강호흡 개선을 위한 저자극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346B1 true KR102405346B1 (ko) 2022-06-07

Family

ID=8198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067A Active KR102405346B1 (ko) 2021-12-15 2021-12-15 구강호흡 개선을 위한 저자극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90731A (ko) 2023-12-13 2025-06-20 씨제이에이치앤비 주식회사 코막힘 개선용 입벌림 교정 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474A (ja) * 2003-03-31 2004-10-28 Lion Corp 貼付剤
JP2005007104A (ja) * 2003-06-16 2005-01-13 Masakatsu Shikura 口呼吸防止帯
KR20150002217A (ko) * 2013-06-28 2015-01-0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마우스 고정밴드
US20160338870A1 (en) * 2014-01-24 2016-11-24 Graeme Francis Walton Anti-Snor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474A (ja) * 2003-03-31 2004-10-28 Lion Corp 貼付剤
JP2005007104A (ja) * 2003-06-16 2005-01-13 Masakatsu Shikura 口呼吸防止帯
KR20150002217A (ko) * 2013-06-28 2015-01-0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마우스 고정밴드
US20160338870A1 (en) * 2014-01-24 2016-11-24 Graeme Francis Walton Anti-Snor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90731A (ko) 2023-12-13 2025-06-20 씨제이에이치앤비 주식회사 코막힘 개선용 입벌림 교정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8525A1 (en) Smart mask for health care service
US20210386141A1 (en) Transparent flexible self-attaching face mask
KR102405346B1 (ko) 구강호흡 개선을 위한 저자극 테이프
KR20170059722A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AU2023254970B2 (en) Methods for using a face strip for treating breathing conditions
JPWO2020090011A1 (ja) 口腔・口周り保湿具
JP2019081984A (ja) 口腔・口周り保湿具
CN213074559U (zh) 一种防眼镜起雾的口罩
KR102487694B1 (ko)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CN213312779U (zh) 经鼻气管插管导管固定装置
CN210698449U (zh) 一种麻醉科用多通道口咽部通气装置
CN213374515U (zh) 新生儿无创呼吸机鼻塞固定头套
CN213312632U (zh) 一种新生儿无创呼吸机鼻塞固定装置
CN221843911U (zh) 一种安全型的防勒式医用口罩
CN221083961U (zh) 纤支镜检查面部防护装置
CN212067396U (zh) 一种新型婴幼儿重症监护抗菌氧气面罩
CN212756764U (zh) 一种新生儿用无创呼吸机导管弹力固定帽
CN213404963U (zh) 一种便于佩戴的口罩
CN213372773U (zh) 一种呼吸睡眠矫正器
CN222237915U (zh) 一种用于口腔治疗的一次性防喷溅洞巾
CN218010579U (zh) 一种无创呼吸机面罩固定带
CN212590510U (zh) 一种股静脉导管防护裤
CN201870793U (zh) 一种新型保湿唇颊型止鼾器
CN216602974U (zh) 一种鼻出血的固定贴
CN211882359U (zh) 一种防压伤的防疫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