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428B1 - Ion heating element - Google Patents
Ion heating el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4428B1 KR102404428B1 KR1020200054311A KR20200054311A KR102404428B1 KR 102404428 B1 KR102404428 B1 KR 102404428B1 KR 1020200054311 A KR1020200054311 A KR 1020200054311A KR 20200054311 A KR20200054311 A KR 20200054311A KR 102404428 B1 KR102404428 B1 KR 1024044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 support
- heating element
- support part
- flu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52 ionis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V—COLLECTION, PRODUCTION OR USE OF H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V40/00—Production or use of heat resulting from internal friction of moving fluids or from friction between fluids and moving bod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이온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를 이온화시켜 전기적 진동과 열 진동을 발생시켜 유체를 가열시키는 이온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는,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부가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유동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본체부 상부로 연장 입설되는 복수개의 금속봉과, 상기 본체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금속봉과 연결되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전원 공급시 진동하여 유체에 이온화에 따른 버블을 발생시켜 유체를 가열시키는 복수개의 금속진동판 및 상기 지지부 하부를 관통해나온 금속봉과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ion heating el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on heating element that ionizes a fluid to generate electrical vibration and thermal vibration to heat the fluid.
The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body in which an inlet to which a fluid is supplied is installed on one lower side, an outlet to which a fluid is discharged is installed on one upper side, and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fluid flows is formed. a part, a support part installed under the body part to support the body part, a plurality of metal rods exte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through the support part, installed inside the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metal rods, A plurality of metal diaphragm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eat the fluid by vibrating when power is supplied and generating bubbles according to ionization in the fluid, and a current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metal rod protrud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to supply current. .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은 이온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를 이온화시켜 전기적 진동과 열 진동을 발생시켜 유체를 가열시키는 이온발열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ion heating el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on heating element that ionizes a fluid to generate electrical vibration and thermal vibration to heat a fluid.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nclusion in this section is not an admission that it is prior art.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난방시스템은 보일러에 의한 가열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실내 바닥에 파이프를 설치하고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물이 파이프를 순환하면서 열이 공급되어 실내온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일러는 사용되는 에너지원에 따라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 전기보일러 등으로 구분되고, 난방방식에 따라 히터펌프식 또는 히터가열식 보일러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열효율을 증대시키거나 효율적 난방방식을 통해 난방비를 아낄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보일러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In general, a heating system used at home uses a heating method by a boiler, and a pipe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room, and heat is supplied while water heated by the boiler circulates through the pipe to raise the indoor temperature. These boilers are classified into oil boilers, gas boilers, electric boilers, etc. depending on the energy source used, and are divided into heater pump type or heater heating type boilers according to heating methods. In recent years, energy-saving boilers that can increase thermal efficiency or reduce heating costs through efficient heating methods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그 중에서 상기 히터가열식 보일러는 발열체가 가열의 대상이 되는 매체(대표적으로 물)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이다. 상기 발열체는 시이즈히터나 반도체소자의 일종인 PTC 등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시이즈히터는 스테인리스 등의 파이프 속에 절연체와 함께 열선을 봉입하여 만든 것으로 고열을 얻을 수 있으며 내구성이 커 전기보일러 등에서 물을 직접 가열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히터가열식 보일러의 발열체를 봉형상의 히터라고 하여 히터봉이라고 불리며, 히터봉 내부에 설치된 열선에 전류를 공급하여 발생하는 전기저항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게 되면서 물을 가열시키게 된다.Among them, the heater heating type boiler is a method in which a heating element directly heats a medium to be heated (typically water). The heating element includes a sheath heater or PTC, which is a type of semiconductor element, and the sheath heater is made by encapsulating a heating wire together with an insulator in a pipe such as stainless steel, so that high heat can be obtained and the durability is large, so water in an electric boiler, etc. It is often used for direct heating. The heating element of the heater-heating boiler as described above is called a rod-shaped heater, so it is called a heater rod, and by supplying current to a heating wire installed inside the heater rod, hea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electrical resistance generated, and water is heated.
그러나 상기와 같이 히터봉을 활용한 가열방식의 경우, 우선적으로 히터봉에 전류를 공급하여 히터봉 자체를 가열시킨 후에 히터봉이 물을 가열시키는 방식을 취하게 됨에 따라 직접 물을 가열시키는 방식보다 발열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경제적 손실이라는 결과를 가져온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heating method using the heater rod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rod itself is heated by supplying current to the heater rod first, and then the heater rod heats the wat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is lowered, which results in economic loss.
금속진동체를 통해 유체를 이온화시켜 전기적 진동과 열 진동을 발생시켜 유체를 가열시키는 이온발열체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n ion heating element that ionizes a fluid through a metal vibrating body to generate electrical and thermal vibrations to heat the flui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는,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부가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유동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본체부 상부로 연장 입설되는 복수개의 금속봉과, 상기 본체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금속봉과 연결되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전원 공급시 진동하여 유체에 이온화에 따른 버블을 발생시켜 유체를 가열시키는 복수개의 금속진동판 및 상기 지지부 하부를 관통해나온 금속봉과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를 포함한다.The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body in which an inlet to which a fluid is supplied is installed on one lower side, an outlet to which a fluid is discharged is installed on one upper side, and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fluid flows is formed. part, a support part installed under the body part to support the body part, a plurality of metal rods exte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through the support part, installed inside the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metal rods, It includes a plurality of metal vibrating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eating the fluid by vibrating when power is supplied to generate bubbles according to ionization in the fluid, and a current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metal rod protrud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to supply current. .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금속진동판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를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tal diaphrag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or polygonal truncated pyramid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 and the diameter narrowing toward the upper portion.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금속진동판의 하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관통하여 지나는 상기 금속봉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용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formed to protrude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etal diaphragm,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flange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etal rod passing through.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금속진동판은 짝수개로 이루어져 일렬로 배치되되, 상기 고정용플랜지는 180°의 간격으로 교차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lurality of metal diaphragms is made of an even number and arranged in a line, and the fixing flang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alternately arranged at intervals of 180°.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금속진동판은 짝수개로 이루어져 일렬로 배치되되, 상기 고정용플랜지는 120°의 간격으로 교차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lurality of metal diaphragm is made up of an even number and arranged in a line, and the fixing flang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alternately arranged at intervals of 120°.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온도센서 또는 접지용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or a grounding sensor that is installed extending upwardly from the support.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금속진동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금속봉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내에 밀착되게 수용되어 상기 금속봉의 진동을 차단하도록 잡아주는 진동방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connected to the metal rod a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metal diaphragm plate, and is accommod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portion, further comprising an anti-vibration pad holding the vibration of the metal rod to block the vibration. do it with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입부와 금속진동판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진동방지패드와, 상기 배출부와 금속진동판 사이에 설치되는 제2진동방지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anti-vibration pad installed between the inlet and the metal diaphragm, and a second anti-vibration pad installed between the outlet and the metal diaphragm.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진동방지패드 및 제2진동방지패드의 중앙에 개방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1진동방지패드의 제1개방홀은 제2진동방지패드의 제2개방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ope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anti-vibration pad and the second anti-vibration pad, and the first open hole of the first anti-vibration pad is the second of the second anti-vibration pa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pen hol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 외측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리부는 하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ncludes a leg portion extending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le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lower portion.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진동방지패드와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봉의 외측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는 하부를 향해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comprises a support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ortion of the metal rod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anti-vibration pad and th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support portion has a truncated cone shape whose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bottom. do.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 상하부에서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하부돌출지지부 및 상부돌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돌출지지부 및 상부돌출지지부의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출지지부는 본체부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하부돌출지지부와 나사결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upport part, and includes a lower protrusion support part and an upper protrusion support part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upport part, a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support part and the upper protrusion support part A screw thread is formed, and the upper protrusion support part is screwed to the body part,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ver part screwed with the lower protrusion support part.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 상하부에서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하부돌출지지부 및 상부돌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하부는 외측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상부돌출지지부에 인입 결합되며, 상기 하부돌출지지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하부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링과 지지부 및 본체부 외측부는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upport part, and includes a lower protrusion support part and an upper protrusion support part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upport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utside. It is coupled to the upper protrusion support part, and further comprises a lower ring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support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ring, the support part and the outer part of the body part are integrally coupled.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돌출지지부와 나사결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ver portion screwed with the lower projecting support portion.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지지부와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부 및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지지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관통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부금속봉과 연결되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부금속진동판과, 상기 상부지지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관통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부금속봉과 연결되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부금속진동판 및 상기 상부지지부 상부를 관통해나온 상부금속봉 및 상기 하부지지부 하부를 관통해나온 하부금속봉과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upport part is composed of a lower support part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an upper support part installed in the upper part, and a central support part installed in the center, and is installed through the lower support part toward the upper part. A plurality of lower metal diaphragm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ower metal rod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upper metal diaphragm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pper metal rods installed through and installed downward from the upper support par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urrent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upper metal rod protrud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metal rod protrud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to supply current.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의 측면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의 유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 및 상기 본체부 내부의 유체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main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ermometer for measuring the internal fluid temperatur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nternal fluid temperature of the main body.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히터봉을 이용한 발열방식이 아닌 금속진동체를 통해 유체를 이온화시켜 전기적 진동과 열 진동으로 유체를 가열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별도의 발열체 없이 유체를 가열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heat the fluid without a separate heating element by ionizing the fluid through a metal vibrating body instead of a heating method using a heater rod to heat the fluid by electrical vibration and thermal vibration. There are advantages.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체 자체가 가열됨에 따라 종래 히터봉 방식보다 발열효율이 높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the fluid itself is he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ating efficiency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heater rod method and energy can be saved.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금속진동판 사이에서 공진현상이 발생하여 유체가 이온화됨에 따라 입력 에너지보다 많은 열량을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greater amount of heat than input energy can be output as the fluid is ionized due to the resonance phenomenon occurring between the plurality of metal diaphragm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에 있어서, 금속진동판 사이에서 물 분자가 이온화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에 있어서, 금속진동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에 있어서, 내부 금속진동판에 대한 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water molecules are ionized between metal diaphragms in an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metal diaphragm in the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nal metal diaphragm in the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 of the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rawings,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in individual drawing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2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는,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부(11)가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13)가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유동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0)를 지지하는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를 관통하여 본체부(10) 상부로 연장 입설되는 복수개의 금속봉(21)과, 상기 본체부(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금속봉(21)과 연결되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전원 공급시 진동하여 유체에 이온화에 따른 버블을 발생시켜 유체를 가열시키는 복수개의 금속진동판(30)과, 상기 지지부(20) 하부를 관통해나온 금속봉(21)과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40)를 포함한다.In the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상기 본체부(1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는 물과 같은 유체가 유입,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유체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입부(11)가 설치되며, 이후 금속진동판(30)을 통해 가열된 유체가 본체부(10) 상부 일측에 형성된 배출부(13)를 통해 배출되면서 유체가 순환하게 된다. 상기 배출부(13)는 도 1에서 상측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10)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부(10)를 지지하는 지지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본체부(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를 하부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0)는 복수개의 금속봉(21)이 관통되는 개구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금속진동판(30)의 고정용플랜지(31)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Next, it may further include a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20)의 하부면 외측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다리부(80)를 포함하되, 상기 다리부(80)는 하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상기 지지부(20)를 관통하는 금속봉(21)에 의하여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없다는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20)의 하부면으로부터 지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다리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80)는 외측 둘레를 따라 3개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하부를 향해 직경이 커지도록 이루어져 이온발열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fact that it cannot be stably supported from the ground by the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에 있어서, 금속진동판 사이에서 물 분자가 이온화되는 상태도를 도시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water molecules are ionized between metal vibrating plates in an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금속봉(21)과 연결되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금속진동판(30)과, 상기 지지부(20) 하부를 관통해나온 금속봉(21)과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Next, a plurality of
상기 금속진동판(30)은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4개 또는 6개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봉(21)과 연결되어 본체부(10)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류공급부(40)는 +전극과 -전극으로 이루어져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하게 되며, 상기 금속봉(21)과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The
전류의 공급은 단상과 삼상이 가능하며, 단상의 경우 지지부(20)는 4개의 지지부(2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최소 4개의 금속진동판(30)을 기본구성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온도에 따라 2개씩 짝수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삼상의 경우 지지부(20)는 6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최소 6개의 금속진동판(30)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온도에 따라 9개나 12개, 15개 등으로 3개씩 증가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류공급부(40)와 연결된 금속봉(21)을 통해 금속진동판(30)으로 전류가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금속진동판(3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그 사이에서 물이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이온화되어 금속진동판(30) 사이를 1초에 수십회 이동하면서 물 분자간의 상호 마찰을 통해 열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금속진동판(30)의 원리는 전류가 공급되면서 내부에 공급되는 물이 빠르게 전기분해되면서 산소와 수소 기포로 고압 팽창되어 고열의 vortex cavitation(소용돌이 공동현상)이 발생하고 다시 재결합하여 물로 변하면서 전기적 진동과 열 진동이 발생하면서 초기 입력 에너지보다 더 많은 열량(약 140% 이상의 열량)이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금속진동판(30)을 사용하게 되면, 종래 히터봉이라는 매개체를 사용하여 가열시키는 방식 대비, 물 자체가 매개체가 되어 열이 발생되는 것이므로 발열 효율이 월등히 높으며, 가열장치 내부에 물이 없는 경우에도 물 자체가 매개체가 되므로 화재의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히터봉은 보일러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경화에 따른 파괴나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문제점 없이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supply of current can be single-phase and three-phase, and in the case of singl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금속진동판(30)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를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상기 금속진동판(3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온화과정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원리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되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물이 하부에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으며, 가열된 물이 상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e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에 있어서, 금속진동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metal diaphragm in the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진동판(30)은 바람직하게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하부가 개방된 다각뿔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뿔대 또는 사각뿔대나 그 이상의 다각뿔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에 따라 평판으로 형성되는 금속진동판에 비하여 같은 본체부(10)를 기준으로 큰 표면적을 얻을 수 있어 진동발생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버블이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의 경사면을 통해 가이드되면서 상부의 좁은 구멍을 통해 분출하게 되므로 펌프의 동력을 크게 요하지 않고 열의 신속한 확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금속진동판(30)의 하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관통하여 지나는 상기 금속봉(21)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용플랜지(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ixing flange is formed to protrude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금속진동판(30)은 짝수개로 이루어져 일렬로 배치되되, 상기 고정용플랜지(31)는 180°의 간격으로 교차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lurality of
상기 고정용플랜지(31)는 금속봉(21)과 금속진동판(30)을 상호 연결해주는 구성으로, 상기 금속진동판(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진동판(30)에 형성된 두 개의 고정용플랜지(31)가 금속봉(21)에 끼워지고 소정간격 이격되어 두 번째 금속진동판(30)이 금속봉(21)에 끼워지면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금속진동판(30) 구조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진동판(30)은 짝수개로 이루어져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고정용플랜지(31)가 180° 또는 120°의 간격으로 교차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금속진동판(30) 중에서 첫 번째 금속진동판(30)이 배치되고 그 다음의 금속진동판(30)은 첫 번째 금속진동판(30)의 고정용플랜지(31)와 서로 다른 위치,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금속진동판(30)이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전류공급부(40)는 두 개의 금속봉(21)에 연결되면 금속진동판(30) 전체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체를 가열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금속진동판(30)이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4개로 이루어진 이온발열체에 의하여 물을 가열시키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 fixing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금속진동판(30)은 짝수개로 이루어져 일렬로 배치되되, 상기 고정용플랜지(31)는 120°의 간격으로 교차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lurality of
또한, 상기 금속진동판(30)은 6개로 이루어지는 삼상 구조도 가능하며, 그에 따라 금속진동판(30)의 고정용플랜지(31)는 하부에서부터 120°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면서 첫번째와 네번째 금속진동판(30), 두번째와 다섯번째 금속진동판(30)은 동일한 금속봉(21)을 공유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봉(21)을 통해 전류가 공급되면 금속진동판(30) 전체에 전류가 가해지면서 물이 이온화되어 가열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금속진동판(30)의 개수는 4개 또는 6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8개 또는 12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에 따른 발열효율도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2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온도센서(50) 또는 접지용센서(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상기 온도센서(50)는 지지부(20)에 매립 설치되며 상부로 연장 형성되고, 본체부 내부에 공급된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접지용센서(60)는 본체부(10) 내부에서 금속봉(21)이나 금속진동판(20) 이외에서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장된 센서 최상단측에 온도 또는 접지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구성될 수 있다.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금속진동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금속봉(21)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10) 내에 밀착되게 수용되어 상기 금속봉(21)의 진동을 차단하도록 잡아주는 진동방지패드(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입부(11)와 금속진동판(30)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진동방지패드(71)와, 상기 배출부(13)와 금속진동판(30) 사이에 설치되는 제2진동방지패드(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상기 진동방지패드(70)는 금속진동판(30)에 전류가 공급되어 물이 이온화되어 전기적/열적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에 따른 소음발생이나 진동으로 인한 기기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20)로부터 금속진동판(30) 전체를 지지해주기 위한 진동방지패드(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방지패드(70)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11)와 금속진동판(30)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진동방지패드(71) 및 금속진동판(30)과 배출부(13) 사이에 설치되는 제2진동방지패드(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i-vibration pad 70 is supplied with a current to 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진동방지패드(71) 및 제2진동방지패드(73)의 중앙에 개방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1진동방지패드(71)의 제1개방홀(72)은 제2진동방지패드(73)의 제2개방홀(74)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ope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상기 제1개방홀(72)은 하부에 형성되는 유입부(11)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상부로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직경이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개방홀(73)은 금속진동판(30)에 의해 가열된 유체가 상부로 용이하게 전달되기 위하여 좁은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진동방지패드(73)와 지지부(20)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봉(21)의 외측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받침부(9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90)는 하부를 향해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상기 받침부(90)는 지지부(20)에 관통 설치되는 금속봉(21)이 진동 등으로부터 파손이나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금속진동판(30) 등이 지지부(2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봉(21) 외측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 형상은 하부를 향해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부(20)와 맞닿는 부분의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상기 받침부(90)는 고무와 같은 마찰력이 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20) 상하부에서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2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하부돌출지지부(201) 및 상부돌출지지부(203)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돌출지지부(201) 및 상부돌출지지부(203)의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출지지부(203)는 본체부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하부돌출지지부(201)와 나사결합되는 커버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상기 지지부(20)가 본체부(10)와 상호 결합되기 위하여, 지지부(20)의 상부에 형성되며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부돌출지지부(203)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내측면을 따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돌출지지부(201)는 상기 금속봉(21) 및 이와 연결되는 전류공급부(40)를 커버하기 위한 구성으로 커버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100) 또한 하부돌출지지부(201)와 나사결합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20) 상하부에서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2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하부돌출지지부(201) 및 상부돌출지지부(203)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 하부는 외측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상부돌출지지부(203)에 인입 결합되며, 상기 하부돌출지지부(201)의 외측면을 감싸는 하부링(202)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링(202)과 지지부(20) 및 본체부(10) 외측부는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이는 삼상(6개의 금속진동판을 갖는 구성)에서, 과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부(10)와 지지부(20) 및 하부링(202)이 수직방향을 따라 나사결합 등으로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본체부(10) 하부는 외측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어 지지부(20)와 평행한 면을 가지며, 상기 하부돌출지지부(201)의 외측면을 감싸는 하부링(202)을 더 포함하여 지지부(20)를 중심으로 상하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is is a three-phase (configuration with six metal diaphragms),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vibration, th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0)의 측면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의 유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110) 및 상기 본체부(10) 내부의 유체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상기 온도계(110)는 금속진동판(30)을 통해 가열된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원하는 온도까지 가열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제어부(120)를 통해 작동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The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지지부(23)와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부(25) 및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지지부(27)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지지부(23)로부터 상부를 향해 관통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부금속봉(24)과 연결되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부금속진동판(33)과, 상기 상부지지부(25)로부터 하부를 향해 관통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부금속봉(26)과 연결되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부금속진동판(35) 및 상기 상부지지부(25) 상부를 관통해나온 상부금속봉(26) 및 상기 하부지지부(23) 하부를 관통해나온 하부금속봉(24)과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이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열체가 상하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지지부(23)로부터 전류공급부(40)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으면 하부금속진동판(33)에서 유체를 가열하여 가열된 유체가 배출부(13)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으며, 같은 원리로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부(25)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부금속봉(26)과 연결되는 전류공급부(40)로부터 상부금속진동판(35)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유체를 가열하게 되면, 하부에 설치된 유입부(11)로부터 올라온 유체가 가열되어 상부 배출부(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는 상하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이온발열체 구성에 의하여 하나는 난방용, 하나는 온수용 등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is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on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vertically coupled, and when a current is supplied through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본체부
11 : 유입부
13 : 배출부
20 : 지지부
201 : 하부돌출지지부
202 : 하부링
203 : 상부돌출지지부
21 : 금속봉
23 : 하부지지부
24 : 하부금속봉
25 : 상부지지부
26 : 상부금속봉
27 : 중앙지지부
30 : 금속진동판
31 : 고정용플랜지
33 : 하부금속진동판
35 : 상부금속진동판
40 : 전류공급부
50 : 온도센서
60 : 접지용센서
70 : 진동방지패드
71 : 제1진동방지패드
72 : 제1개방홀
73 : 제2진동방지패드
74 : 제2개방홀
80 : 다리부
90 : 받침부
100 : 커버부
110 : 온도계
120 : 제어부10: body part
11: inlet
13: discharge part
20: support
201: lower protrusion support
202: lower ring
203: upper protrusion support part
21: metal rod
23: lower support
24: lower metal bar
25: upper support
26: upper metal bar
27: central support
30: metal diaphragm
31: Flange for fixing
33: lower metal diaphragm
35: upper metal diaphragm
40: current supply unit
50: temperature sensor
60: grounding sensor
70: anti-vibration pad
71: first anti-vibration pad
72: 1st open hall
73: second anti-vibration pad
74: 2nd open hall
80: leg
90: support
100: cover part
110: thermometer
120: control unit
Claims (16)
상기 본체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본체부 상부로 연장 입설되는 복수개의 금속봉;
상기 본체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금속봉과 연결되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전원 공급시 진동하여 유체에 이온화에 따른 버블을 발생시켜 유체를 가열시키는 복수개의 금속진동판; 및
상기 지지부 하부를 관통해나온 금속봉과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진동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금속봉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내에 밀착되게 수용되어 상기 금속봉의 진동을 차단하도록 잡아주는 진동방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a main body in which an inlet to which a fluid is supplie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an outlet to which the fluid is discharged is installed on one upper side, and a predetermined spac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is formed;
a support part installed under the body part to support the body part;
a plurality of metal rods exte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through the support part;
a plurality of metal vibrating plates installed inside the bod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metal rod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vibrates when power is supplied to generate bubbles according to ionization in the fluid to heat the fluid; and
Including; and a current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metal rod protrud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unit to supply a current;
The ion heating element further comprising an anti-vibration pad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metal rod a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metal diaphragm, and accommod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to block the vibration of the metal rod.
상기 금속진동판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를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According to claim 1,
The metal diaphragm is an ion heating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or polygonal truncated pyramid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 and the diameter narrowing toward the upper portion.
상기 금속진동판의 하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관통하여 지나는 상기 금속봉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용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According to claim 1,
The ion heating element is formed to protrude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etal diaphragm, and further comprises a fixing flange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etal rod passing through it.
상기 복수개의 금속진동판은 짝수개로 이루어져 일렬로 배치되되,
상기 고정용플랜지는 180°의 간격으로 교차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4.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metal diaphragms is made of an even number and arranged in a line,
The fixing flange is an ion heating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ross-arranged at an interval of 180 °.
상기 복수개의 금속진동판은 짝수개로 이루어져 일렬로 배치되되,
상기 고정용플랜지는 120°의 간격으로 교차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4.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metal diaphragms is made of an even number and arranged in a line,
The fixing flange is an ion heating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ross-arranged at intervals of 120 °.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온도센서 또는 접지용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According to claim 1,
Ion heating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or a grounding sensor installed extending upward from the support.
상기 진동방지패드는,
상기 유입부와 금속진동판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진동방지패드와,
상기 배출부와 금속진동판 사이에 설치되는 제2진동방지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According to claim 1,
The anti-vibration pad,
a first anti-vibration pad installed between the inlet and the metal diaphragm;
and a second anti-vibration pad installed between the discharge part and the metal diaphragm.
상기 제1진동방지패드 및 제2진동방지패드의 중앙에 개방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1진동방지패드의 제1개방홀은 제2진동방지패드의 제2개방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9. The method of claim 8,
An ope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anti-vibration pad and the second anti-vibration pad,
The first open hole of the first anti-vibration pad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open hole of the second anti-vibration pad Ion heating element.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 외측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리부는 하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According to claim 1,
Including a leg portion extending from the out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The ion heating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increases as the leg portion goes downward.
상기 제2진동방지패드와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봉의 외측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는 하부를 향해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10. The method of claim 9,
Including a support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ortion of the metal rod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anti-vibration pad and the support portion,
The ion heating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has a truncated cone shape that in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bottom.
상기 지지부 상하부에서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하부돌출지지부 및 상부돌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돌출지지부 및 상부돌출지지부의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출지지부는 본체부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하부돌출지지부와 나사결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5. The method of claim 4,
It is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upport part, and includes a lower protrusion support part and an upper protrusion support part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upport part,
A screw thread i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support part and the upper protrusion support part,
The upper projecting support portion is screwed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ion heating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ver portion screwed to the lower projecting support portion.
상기 지지부 상하부에서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하부돌출지지부 및 상부돌출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하부는 외측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상부돌출지지부에 인입 결합되며,
상기 하부돌출지지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하부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링과 지지부 및 본체부 외측부는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6. The method of claim 5,
It is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upport part, and includes a lower protrusion support part and an upper protrusion support part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upport par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rotrudes out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rotrusion support part,
Further comprising a lower ring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support,
The ion heating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ring,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main body are integrally coupled.
상기 하부돌출지지부와 나사결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14. The method of claim 13,
Ion heating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ver part screwed to the lower protrusion support part.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지지부와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부 및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지지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관통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부금속봉과 연결되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부금속진동판과,
상기 상부지지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관통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부금속봉과 연결되며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부금속진동판 및
상기 상부지지부 상부를 관통해나온 상부금속봉 및 상기 하부지지부 하부를 관통해나온 하부금속봉과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art consists of a lower support part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an upper support part installed in the upper part, and a central support part installed in the center,
A plurality of lower metal diaphragm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ower metal rods installed through the lower support portion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upper metal diaphragm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pper metal rods installed through the upper support portion downward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on heating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urrent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upper metal rod protrud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metal rod protrud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to supply current.
상기 본체부의 측면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의 유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 및
상기 본체부 내부의 유체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열체.According to claim 1,
a thermomet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body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inside; and
Ion heating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inside the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4311A KR102404428B1 (en) | 2020-05-07 | 2020-05-07 | Ion heating el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4311A KR102404428B1 (en) | 2020-05-07 | 2020-05-07 | Ion heating ele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6287A KR20210136287A (en) | 2021-11-17 |
KR102404428B1 true KR102404428B1 (en) | 2022-06-07 |
Family
ID=7870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4311A Active KR102404428B1 (en) | 2020-05-07 | 2020-05-07 | Ion heating ele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4428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503990A (en) * | 2013-12-05 | 2017-02-02 |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 Electrical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utomotive fluids and associated heating and / or air conditioning equipment |
KR101976285B1 (en) * | 2017-11-30 | 2019-08-28 | 김광백 | heating device for electrode boiler |
KR200491446Y1 (en) * | 2018-11-15 | 2020-04-14 | 갈란보일러 주식회사 | Heat generating apparatus for electric-ion boil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053U (en) * | 1992-06-15 | 1994-01-14 | ジェン デル エレクトリカル ヒーティ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 Electric heating device for electrode type water heater |
KR20130058095A (en) | 2011-11-25 | 2013-06-04 | 조근제 | Electric boiler for installing two-way heating pipes |
KR101807652B1 (en) * | 2016-03-18 | 2017-12-11 | 한명일 | Electrode Heater for Electric Boiler |
-
2020
- 2020-05-07 KR KR1020200054311A patent/KR10240442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503990A (en) * | 2013-12-05 | 2017-02-02 |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 Electrical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utomotive fluids and associated heating and / or air conditioning equipment |
KR101976285B1 (en) * | 2017-11-30 | 2019-08-28 | 김광백 | heating device for electrode boiler |
KR200491446Y1 (en) * | 2018-11-15 | 2020-04-14 | 갈란보일러 주식회사 | Heat generating apparatus for electric-ion boil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6287A (en) | 2021-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9425B1 (en) | Ion heating element | |
KR100827468B1 (en) |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Electric Boiler | |
KR100762950B1 (en) | Induction boiler | |
KR102404428B1 (en) | Ion heating element | |
KR20220028500A (en) | Polygonal ion heater | |
US9121602B2 (en) | Steam generator | |
KR101692350B1 (en) | electric boiler having heat exchanging tank | |
KR101016256B1 (en) | Current controlled electric electrode boiler | |
KR100957822B1 (en) | High frequency heating boiler | |
KR102483576B1 (en) | Ion heater for fluid heating | |
KR102229341B1 (en) | Hot water and steam combined system boiler using ionized water and magnetic field | |
KR102432880B1 (en) | Chamber haning a ion heater | |
KR102535622B1 (en) | Chamber with ion heating element | |
KR20240018123A (en) | Polygonal ion heater | |
KR102250020B1 (en) | Ion steam boiler Chamber | |
JP4977084B2 (en) | Electrode rod for electromagnetic heating and electromagnetic water heater using the same | |
KR20060118822A (en) | Electric water heater with screw tube | |
KR101418924B1 (en) | Induction Boiler | |
KR20220114987A (en) | Chamber with ion boiler heating element | |
US20140270723A1 (en) | Electro-acoustic resonance heater | |
KR19990054160A (en) | Fluid heating electric boiler using ion kinetic energy | |
KR102192008B1 (en) | Ion electrode boiler of open type | |
CN111936789B (en) | Electrolytic fast steam generator | |
KR20220141698A (en) | Plat-shaped ion heating element chamber | |
JP7278621B2 (en) | air he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