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03932B1 -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932B1
KR102403932B1 KR1020200070513A KR20200070513A KR102403932B1 KR 102403932 B1 KR102403932 B1 KR 102403932B1 KR 1020200070513 A KR1020200070513 A KR 1020200070513A KR 20200070513 A KR20200070513 A KR 20200070513A KR 102403932 B1 KR102403932 B1 KR 102403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gistics
sensor
image information
barc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3450A (ko
Inventor
윤형윤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0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9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3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9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 바코드를 이용하여 포장이 어려운 물류관리 대상물의 개별 관리나 생산 제조 공정 과정에서부터 물류관리 대상물의 개별관리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Logistic Management System Using Virtual Barcode}
본 발명은, 물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가상 바코드를 생성하고, 가상 바코드를 포함한 물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물류 정보로 물류관리를 하는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이다.
소비자의 개성과 취향을 고려한 맞춤형 주문제작 상품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주문제작을 맡긴 소비자는 제품의 제작 진행 정도 및 진행 과정을 확인하여, 자신의 설계대로 제조되는지를 알고 싶어 한다. 이러한 소비자의 니즈에 따라서 제조 과정부터 물류관리가 가능한 효율적인 물류관리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초고속 인터넷 통신망 발달과 높은 인터넷 보급률 덕분에 간편하고 빠르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물류센터에서 대량 생산하는 제품의 효과적인 물류관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물류관리는, 바코드를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제조 및 공정 과정을 모두 마친 완제품을 포장하고, 그 포장지에 인쇄된 바코드를 통하여 물류관리를 하였다. 관리자는 바코드리더로 포장지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하고, 인식한 결과로 제품을 분류하고 관리할 수 있었다. 바코드를 활용한 물류관리의 편리함 덕분에, 바코드는 전 세계 대부분의 유통 시스템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바코드의 활용은 데이터 입력을 간소화하고 대량의 정보 처리에도 정확하기 때문에 인건비와 관리유지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바코드의 원리를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바코드 시스템은 크게 바코드, 정보를 읽어내는 스캐너(리더), 디코더 및 컴퓨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바코드는 모스부호를 위아래로 늘린 선형 패턴 형식이다. 바코드의 맨 앞부분은 국가정보, 이어서 제조공장 정보, 뒷부분은 제품정보에 대한 숫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숫자들이 2진법 숫자로 표현된다. 스캐너는 레이저 빛을 방출하는 광원과 반사된 빛을 검출하는 빛 검출기로 구성된다. 바코드 레이저 스캐너의 가느다란 광원 띠에서 빛을 방출하여 선형 바코드를 쏘면 바코드의 검은 선은 빛을 흡수하고, 흰색 선은 빛을 반사한다. 빛 검출기는 이 바코드 반사에 따른 온/오프 신호를 읽어내어, 곧 디지털 신호인 ‘0’과 ‘1’의 2진법 숫자로 전환한다. 이는 디코더에 의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고 컴퓨터는 이를 인식해 내 바코드에 적혀진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바코드를 활용하여 대량의 물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바코드를 활용한 물류관리는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첫 번째, 제조 및 공정 과정 중에 있는 제품은 바코드를 이용하여 관리하기가 어렵다. 종래에는 주로 제품을 완성한 후 완제품을 포장한 포장체에 바코드가 인쇄되어 관리를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제조 및 공정 과정에서 각 제품에 대한 관리가 어렵다. 만약 제조 과정 중에 있는 제품에 직접적으로 인쇄한 바코드를 부착한다면, 제조 및 공정 과정에 의해 바코드가 부착된 제품의 표면이 잘려나가거나, 인쇄한 바코드가 여러 공정을 거치며 떨어질 수 있다.
두 번째는, 포장이 어려운 제품은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가 불가능하다. 첫 번째 문제점과 같이, 바코드는 주로 제품을 포장한 포장체에 인쇄되는데, 구조가 일정하지 않거나 특수한 재질의 제품 또는 크기가 매우 큰 제품 등은 포장이 어렵다. 특히, 대형 화물의 경우 바코드로 물류관리를 할 수 없어, 관리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하나하나 관리해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들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코드를 활용한 각 제품의 효율적인 물류관리가 불가능하다. 또한, 식품의 경우 바코드 리더에서 방출하는 빛에 의해 식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바코드 리더로 바코드를 스캔하기 위해서, 수작업이 필요했다. 제품마다 형태가 달라 바코드가 부착되어있는 위치가 모두 다를 수 있으며, 바코드가 부착된 위치가 일정하더라도 제품에 인쇄된 바코드가 바코드 리더를 향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스캔할 수 없어 수작업으로 일일이 바코드를 스캔하거나,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도록 제품에 인쇄된 바코드가 바코드 리더를 향하게 배열을 맞추어야 했다. 또한, 바코드의 인쇄상태 및 바코드 리더기의 성능에 따라 업무에 차질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물류시스템 설계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제조 과정부터 물류관리가 가능해야 하며, 포장이 어려운 제품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물류관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해서, 제품을 포장한 포장체에 바코드를 인쇄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제품의 영상에 가상으로 바코드를 부여한 새로운 개념의 물류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물류관리 시스템은 생산성 향상을 위해 확장성 및 호환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시스템 도입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제성을 고려해야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192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각 제조 및 공정 과정 마다 각 제품을 촬영한 영상에 가상 바코드를 부여하고, 제품을 완성한 후 제품을 포장한 포장체에 가상으로 부여된 바코드를 연동하여 인쇄함으로써 제조 과정부터 효율적인 물류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상물(10)의 물류를 관리하는 물류관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10)의 이미지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센서부(110) 및 외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상물(10)에 대한 입력 정보,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상물(10)의 이미지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10)의 물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기(120)을 포함하고, 상기 물류 정보는 상기 대상물(10)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상물(1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 정보는, 가상 바코드(50)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바코드(50)는 대상물(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바코드(50)는 상기 대상물(10)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물류 정보는, 상기 가상 바코드(50)와 상기 대상물(10)의 이미지가 합성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21)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상기 대상물(10)의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1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센서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고, 상기 센서의 위치 및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센서 자세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대상물(10)의 이동 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대상물(1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위치 표시 발생자(126) 및 소정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표시 발생자(126)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125);를 포함하고, 제어기(120)는,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수신한 대상물(10)의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10)의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센서부(110)의 위치 센서(125)의 출력에 기초한 상기 대상물(10)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된 상기 대상물(10)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위치 오차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 오차를 저장하고,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상기 대상물(10)의 이미지 정보가 주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된 위치 오차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수신된 상기 대상물(10)의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표시 발생자(126)는 RFID 송신기이고, 상기 위치 센서(125)는 RFID 수신기인 것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물류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어기(120)에서 생성한 물류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복수의 화상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표시 수단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대상물(10)의 이동 경로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기(120)는 물류 이송 장치, 로봇, 및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물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인쇄된 바코드가 아닌 가상 바코드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물류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따라, 형태가 일정하지 않거나 특수한 재질의 제품도 포장지가 아닌 제품 자체에 바코드를 부여할 수 있기에, 거의 모든 제품 및 화물에 대한 개별 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대형 화물의 경우 인쇄된 바코드를 활용할 수 없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불편함을 크게 해소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제품의 포장 전 제조 생산 공정 단계부터 영상에 합성된 가상 바코드를 활용한 각 제품의 개별 물류관리가 가능하므로 지속적으로 각 제품의 상태 및 파손 등을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주문 생산의 제품일 경우 제품의 제조 과정을 추적하고 제조 과정에서 각 단계마다 촬영된 영상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제조 과정에서 제품을 촬영한 영상과 가상 바코드를 활용하여 물류관리를 하므로 바코드의 인쇄 상태에 따라 업무에 차질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더불어, 물류 단계에서 관리자가 제품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바코드를 리드하거나 제품이 바코드 리더를 향하도록 배열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제품을 인식하고 물류관리를 하므로 물류관리 시스템에서 수작업을 줄이고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a, 3b는 실시예에 따른 위치 센서와 위치 표시 발생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4b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또한 도 3a, 3b는 실시예에 따른 위치 센서와 위치 표시 발생자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a, 4b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기본 구성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 바코드를 이용하여 포장이 어려운 물류관리 대상물의 개별 관리나 생산 제조 공정 과정에서부터 물류관리 대상물의 개별관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대상물을 관리하는 물류관리 시스템(100)은 도 1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센서부(120) 및 제어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의 이미지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한다. 이미지 정보는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영상일 수 있으며 대상물의 제조 과정 또는 공정 단계마다 촬영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위치 표시 발생자 및 위치 센서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4] 센서부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제어기(12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상물에 대한 입력 정보,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상물의 이미지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의 물류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물류 정보는 상기 대상물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상물의 식별 정보란, 대상물들을 개별관리하기 위해 대상물에게 부여한 순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류센터에는 수많은 물류관리 대상물들이 존재한다. 그 중 적어도 일부는, 형태가 모두 동일하거나, 크기가 매우 작거나, 수량이 매우 많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기 위하여 각 대상물에게 식별 정보를 부여하는 방식 등으로 개별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물류관리 시스템(100)은, 물류 대상 제품의 제품명에 따른 제품의 크기, 형상, 색깔 및 정면, 측면, 후면, 배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기억장치(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기억장치(130)에는 물품명에 따른 제품의 크기, 형상, 색상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기억장치(130)는 상기 제어기(120)가 생성한 물류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물류 정보는 공정 단계 마다 생성될 수 있으며, 이들이 누적되어 데이터 기억장치(130)에 저장된다. 도 2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관리 시스템(100)을 도시하였다. 도 2와 같이 대상물(10)이 컨베이어(150) 위에서 이동하고, 센서부(120)의 카메라(111) 및 위치센서(125)는 각각 대상물(10)의 이미지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의 모니터(141)는 제어기(120)로부터 전송받은 물류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효율적인 물류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2] 가상 바코드에 대한 설명
효율적인 물류 관리를 위해, 본 발명의 물류관리 시스템(100)은 가상 바코드(50)을 활용한다. 이하에서는, 가상 바코드(5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일반적으로 바코드는 포장지 등에 인쇄되고, 바코드 리더에 의해 스캔되어 물류관리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상 바코드란, 광 조사 수단에 의해서 조사되거나, 모니터에 출력되는 형태이거나, 컴퓨터가 인식하는 기계어 등의 인쇄되지 않은 바코드를 일컫는다. 따라서 포장지가 없더라도 제품 자체에 바코드를 매칭하여 관리하므로, 기존 인쇄된 바코드를 사용한 물류관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태가 일정하지 않거나 특수한 재질의 제품도 포장지가 아닌 제품 자체에 바코드를 매칭하기에, 포장이 어려운 제품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제품 및 화물에 대한 개별 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대형 화물의 경우 인쇄된 바코드를 활용할 수 없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불편함을 크게 해소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상기 물류 정보는, 이러한 가상 바코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바코드(50)는 대상물(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바코드(50)는 상기 대상물(10)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물류 정보는, 상기 가상 바코드(50)와 상기 대상물(10)의 이미지가 합성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가상 바코드(50)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3] 가상 바코드 생성 방법에서 설명하겠다.
[3] 가상 바코드 생성 방법
다음으로는 가상 바코드 생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바코드는 기본적으로 국가별 식별코드, 업체별 고유코드 및 상품 코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기(120)는, 제품의 정보를 입력 및 편집할 수 있는 바코드 생성 툴을 제공하며, 상기 바코드 생성 툴을 통해 입력받은 대상물에 대한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바코드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물에 대한 입력정보는 단말기 등으로부터 입력받은 제품명, 발송인, 수취인, 배송주소, 배송시작일 및 주문일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기억장치(130)는 물류관리 대상물에 대한 데이터가 대상물의 종류별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기(120)는 상기 데이터 기억장치(130)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대상물에 대한 입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물의 제품 정보 또는 제품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품 이미지 정보와 센서부(120)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상물의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대상물의 정합성을 판단하며,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대상물의 정합하는 경우, 상기 대상물에 대한 입력 정보, 상기 대상물의 위치 정보,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상물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바코드 생성부로부터 생성한 바코드를 기초하여 가상 바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물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120)는, 상기 데이터 기억장치(130)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와 상기 대상물의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의 분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상물의 분류 정보와 상기 대상물에 대한 입력 정보가 정합하는 지 판단하며, 상기 생성된 대상물의 분류 정보와 상기 입력 정보가 정합되는 경우, 상기 대상물에 대한 입력 정보와 상기 대상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바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물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 정보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 한 실시예로서 외부에 통보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대상물의 제품 정보와 상기 대상물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가상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되, 가상 바코드 이미지에 오류표시를 함께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오류표시는 가상 바코드 이미지와 함께 생성된 오류 문자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바코드의 색상을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
[4] 센서부에 대한 설명
다음은, 센서부(11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센서부(110)는 대상물(10)의 이미지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한다. 센서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1)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는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영상 등일 수 있으며 대상물의 제조 과정 또는 공정 단계마다 촬영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11) 중 적어도 일부는 대상물의 이동 수단 또는 컨베이어(150)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정보는 위치 표시 발생자(126) 및 위치 센서(125)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카메라(111)를 이용해서 획득한 복수의 상기 대상물의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20)와 물류관리 시스템(100)이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센서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고, 상기 센서의 위치 및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센서 자세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로서, 카메라의 일부와 결합되어 물류의 이동에 따라 카메라의 자세가 조절되어 물류를 트랙킹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대상물(10)의 이동 수단 또는 컨베이어(150)에 설치되고, 상기 대상물(1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위치 표시 발생자(126) 및 소정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표시 발생자(126)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20)는,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수신한 대상물(10)의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10)의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센서부(110)의 위치 센서(125)의 출력에 기초한 상기 대상물(10)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된 상기 대상물(10)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위치 오차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 오차를 저장하고,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상기 대상물(10)의 이미지 정보가 주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된 위치 오차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수신된 상기 대상물(10)의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것일 수 있다.
대상물의 위치 정보 보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센서부(110)의 위치 센서(125)의 출력에 기초한 상기 대상물(10)의 위치 정보를 Xs,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수신한 대상물(10)의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10)의 위치를 추정한 추정 위치 정보를 Xe, 양자간 오차를 E(=Xe-Xs)라 할 때, 카메라 등의 위치에 따라 상기 센서부(110)가 대상물(10)의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Xe가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 대상물의 이미지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 얻어진 오차 E를 이용하여, Xe를 추정할 수 있다. 즉, tj 시간에서 Xe의 추정치인 Xe_hat(tj) = Xs(tj) + E(ti), 여기서 ti<tj 이다.
상기 위치 표시 발생자(126)는 RFID 송신기일 수 있고, 상기 위치 센서(125)는 RFID 수신기일 수 있다. 위치 표시 발생자(126)와 위치 센서(125)는 전기적으로 송수신하여 대상물(10)의 위치를 센싱하고 그 출력을 제어기(120)로 송신한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위치 표시 발생자(126)는 돌출 부재이고, 상기 위치 센서(125)는 리미트 스위치, 접촉스위치 등일 수 있다. 돌출된 형태의 위치 표시 발생자(126)가 이동하며 위치 센서(125)와 접촉하면 위치 센서(125)는 신호를 제어기(120)로 송신한다. 즉, 대상물(10)의 위치정보는 지정된 위치에 구비된 위치 센서(125)를 지나갔는지의 유무에 따라 얻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대상물(10)의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 대상물(10) 자체에 또는 근처에 위치 센서(12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a, 3b를 참고하여 위치 센서(125)와 위치 표시 발생자(125)에 대해 이해 할 수 있다. 먼저 도 3a에서, 위치 표시 발생자(126)와 함께 대상물(10)이 컨베이어(150) 위에서 이동하면, 도 3b와 같이 고정된 위치의 위치 센서(125)와 근접했을 때 위치센서(125)는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반응한다. 바람직하게, 위치센서는 위치 표시 발생자(126)에서 대상물(10)의 식별번호를 읽고, 상기 대상물(10)의 위치를 제어기(120)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기(120)는 상기 대상물(10)이 컨베이어(15) 위에서 이동하면서 지나친 위치센서(125)가 전송한 위치가 누적되어 저장되고, 위치센서(125)의 전송 유무로 현재 대상물(10)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5]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설명
더욱이, 상기 물류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어기(120)에서 생성한 물류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복수의 화상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표시 수단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대상물(10)의 이동 경로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화상 표시 수단이란,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나 텍스트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모니터(141), 프로젝터 또는 LCD 전광판(142)일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류 정보는 모니터(141)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물류 정보는 대상물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대상물의 위치 정보와 대상물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가상 바코드가 합성된 것으로써, 모니터(14)를 통해 합성된 이미지가 출력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 전광판(142)이 물류 이동 수단 또는 컨베이어(150) 근처에 설치되어 식별정보를 나타내고, 이동 수단 또는 컨베이어(150)의 이동 속도와 LCD 전광판(142)의 속도를 동기화시켜 관리자가 손쉽게 육안으로 물류를 구별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6] 외부 장치와 송신 기능
한편 상기 물류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제어기(120)에서 생성한 물류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는, 로봇 또는 서버(200)일 수 있다. 주문제작의 경우, 고객의 의사에 따라 서버에 저장된 물류 정보를 공정 단계 별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대상물
50 : 가상 바코드
100 : 물류관리 시스템
110 : 센서부
111 : 카메라
120 : 제어기
125 : 위치 센서
126 : 위치 표시 발생자
130 : 데이터 기억장치
140 : 디스플레이부
141 : 모니터
142 : LCD 전광판
150 : 컨베이어
200 : 서버

Claims (11)

  1. 대상물의 물류를 관리하는 물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대상물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대상물의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대상물과 함께 이동되는 위치 표시 발생자와, 소정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 표시 발생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센서를 포함하며, 제조 및 공정 단계에 따라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각 대상물의 이미지 정보와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
    외부로부터 수신한 대상물에 대한 입력정보, 상기 센서부에 의한 이미지 정보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조 및 공정 단계에 따라, 각 대상물마다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바코드 이미지, 이미지 정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물류정보를 생성하는 제어기; 및
    대상물의 이동 경로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화상 표시 수단을 포함하여, 제조 및 공정 단계에 따라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각 대상물의 이동 속도와 동기화되어, 상기 제어기에서 생성한 물류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저장된 대상물 데이터와 상기 입력정보를 비교하여 대상물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대상물 이미지 정보와 상기 센서부에 의한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정합할 경우, 상기 물류정보를 생성하고,
    저장된 대상물 데이터와 상기 입력정보를 비교하여 대상물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대상물 이미지 정보와 상기 센서부에 의한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정합하지 않을 경우, 상기 물류정보에 오류 표시를 더 포함하여 생성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위치 센서로부터 얻는, 해당하는 대상물과 함께 이동되는 상기 위치 표시 발생자의 감지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된 위치 표시 발생자의 위치 정보와 생성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위치 오차를 산출하고, 산출한 위치 오차를 저장하며,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이미지 정보가 주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위치 표시 발생자의 위치 정보에 상기 저장한 위치 오차를 더하여 상기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고, 상기 센서의 위치 및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센서 자세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관리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표시 발생자는 RFID 송신기이고, 상기 위치 센서는 RFID 수신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물류 이송 장치, 로봇,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물류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관리 시스템.
KR1020200070513A 2020-06-10 2020-06-10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Active KR102403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513A KR102403932B1 (ko) 2020-06-10 2020-06-10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513A KR102403932B1 (ko) 2020-06-10 2020-06-10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450A KR20210153450A (ko) 2021-12-17
KR102403932B1 true KR102403932B1 (ko) 2022-06-02

Family

ID=7903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513A Active KR102403932B1 (ko) 2020-06-10 2020-06-10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12302B1 (ko) * 2022-11-29 2025-05-26 씨제이대한통운 (주) 물류 추적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8379A1 (en) * 2002-12-10 2004-06-10 Chih-Hung Chien Combined barcode management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052A (ko) * 2009-07-29 2011-02-09 유한테크노스 (주) 영상 정보를 이용한 물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06812A (ko) * 2017-07-11 2019-01-21 씨제이대한통운 (주) 물품 정렬 방법과 장치 및 그를 위한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KR20190101929A (ko) 2019-08-16 2019-09-02 주식회사 알지비솔루션 바코드인식과 영상촬영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무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물영상추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8379A1 (en) * 2002-12-10 2004-06-10 Chih-Hung Chien Combined barcode managemen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450A (ko)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4692B2 (en) Visual task feedback for workstations in materials handling facilities
CA3058895C (en) Improved conveyor belt assembly for identifying an asset sort location and methods of utilizing the same
US7114655B2 (en) EPC data manager
US7114654B2 (en) RFID encoder and verifier
US20160267620A1 (en) Digital watermarking applications
US8365788B2 (en) Label printer applicator system
US20070150219A1 (en) Method of validating and applying radio frequency tags to an object
US2024018559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a marking of a product
CN112567328B (zh) 用于序列化信息的打印方法和系统
KR102082259B1 (ko) 가맹점 식자재 배송 관리 시스템
US2014026663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of RFID Inlays
US10706239B1 (en) Integrated label printer and barcode read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403932B1 (ko) 가상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관리 시스템
CN110717347A (zh) 货物信息的获取方法及装置
JP2007217094A (ja) 物流管理方法、出荷管理システム、及び、商品照合方法
US11521005B2 (en) Containers, packages, production systems, and distribution systems
CN112417929A (zh) 一种物流对象识别方法、装置和系统
US9792581B1 (en) Dynamic marker responsive to emitted light
KR20060126501A (ko) 배달 가능 물품들을 라우팅 및 추적하는 시스템
US9792580B1 (en) Dynamic marker using disappearing ink
US201202674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beling goods
CN110781703A (zh) 用于生成发货信息的方法、移动设备和分析处理计算机
KR101216016B1 (ko) 유아이디를 이용한 데이터 패킷 검수 시스템 및 방법
CN112166407B (zh) 序列化信息的打印方法和系统
CN114219408A (zh) 基于图像识别与tof传感器的机器人仓库盘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