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02933B1 -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933B1
KR102402933B1 KR1020220000128A KR20220000128A KR102402933B1 KR 102402933 B1 KR102402933 B1 KR 102402933B1 KR 1020220000128 A KR1020220000128 A KR 1020220000128A KR 20220000128 A KR20220000128 A KR 20220000128A KR 102402933 B1 KR102402933 B1 KR 102402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formulation
auxiliary thickener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다예
한희상
오홍석
김정원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0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9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및 양이온 컨디셔닝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HAIR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SPHINGOMONAS FERMENT EXTRACT}
본 발명은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점증제로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양이온 컨디셔닝제를 함께 포함하여도 상 분리 또는 석출 현상 없이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 및 유지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모발은 자외선 노출, 먼지, 바람 등과 같은 주위 환경과의 접촉 및 파마, 드라이, 염색, 빗질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오염되고 손상되고 있다. 손상된 모발은 엉김이 심하고 관리가 어려우며 윤기 및 부드러움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정 시 또는 세정 후 모발의 윤기와 촉감을 향상시키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세정제 또는 화장품이 등장하였다. 특히 샴푸에 컨디셔닝제를 포함시켜 모발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제품들이 개발되었다.
통상적으로, 샴푸에 포함되는 컨디셔닝제는 컨디셔닝 효과가 뛰어난 양이온성 구아,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47 등과 같은 양이온성 폴리머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이온성 폴리머는 조성물 내에 음이온 성분이 포함될 경우, 음이온 성분과의 결합에 의하여 석출 및 분리 현상이 발생하는 등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않으며, 피부에 자극을 주고 사용감 또한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 및 유지되며 세정 시 우수한 사용감 및 모발의 부드러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및 양이온 컨디셔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대비 상기 양이온 컨디셔닝제의 중량비는 0.05 내지 1.5 : 0.01 내지 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 컨디셔닝제는, 양이온성 구아(Cationic Guar), 폴리쿼터늄(Polyquaternium), 폴리쿼터늄-7(Polyquaternium-7),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폴리쿼터늄-47(Polyquaternium-47), 셀룰로오스(Cellulose), 아크릴 에스테르(Acrylic Ester), 메타크릴 에스테르(Methacrylic Ester),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폴리아미노 아미드 유도체(Polyamino Amide Derivative) 및 양이온성 단백질(Cationic Prote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 컨디셔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보조 점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2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대비 상기 보조 점증제의 중량비는 1 : 0.13 내지 8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점증제는, 제 1 보조 점증제 및 제 2 보조 점증제로 구성되는 이종의 보조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 점증제 대비 상기 제 2 보조 점증제의 중량비는 1 : 1 내지 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 점증제는, 트라이하이드록시스테아린(Trihydroxystearin), 카보머(Carbomer),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Beheneth-25 Methacrylate C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잔탄검(Xanthan Gum), 데하이드로잔탄검(Dehydroxanthan Gum), 피이지-150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스테아레이트(PEG-150 Pentaerythrityl Tetrastearate) 및 피이지-120메틸글루코스디올리에이트(PEG-120 Methyl Glucose Diole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보조 점증제는, C12-22 지방산 알코올(C12-22 Fatty Alcoho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보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및 폴리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Glycerin), 메칠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솔비톨(Sorbit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및 글리세레스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양이온 컨디셔닝제를 포함하여도 제형의 석출 또는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제형을 안정적으로 형성 및 유지할 수 있으며,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 시 및 세정 후 모발에 부드러움, 유연함, 윤기 등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해 제조한 모발 세정제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해 제조한 모발 세정제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해 제조한 모발 세정제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4에 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해 제조한 모발 세정제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5에 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해 제조한 모발 세정제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 6에 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해 제조한 모발 세정제의 사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및 양이온 컨디셔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은 점도를 안정적으로 조절하면서 세정제 조성물의 제형을 안정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음이온 성분의 점증제와 양이온 컨디셔닝제를 함께 포함할 경우, 두 성분의 결합에 의하여 석출 또는 상 분리의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은 음이온임에도 불구하고, 양이온 컨디셔닝제를 사용해도 석출이나 분리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석출 또는 상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세정 시에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여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이 0.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제형의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이 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양이온 컨디셔닝제는 세정 및 건조 후 모발에 매끄러움, 부드러움 및 유연함 등의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이온 컨디셔닝제는 양이온성 구아(Cationic Guar), 폴리쿼터늄(Polyquaternium), 폴리쿼터늄-7(Polyquaternium-7),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폴리쿼터늄-47(Polyquaternium-47), 셀룰로오스(Cellulose), 아크릴 에스테르(Acrylic Ester), 메타크릴 에스테르(Methacrylic Ester),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폴리아미노 아미드 유도체(Polyamino Amide Derivative) 및 양이온성 단백질(Cationic Prote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양이온 컨디셔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양이온 컨디셔닝제가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세정 또는 건조 후 컨디셔닝 효과가 부족할 수 있고, 양이온 컨디셔닝제가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제형 안정성이 떨어져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대비 양이온 컨디셔닝제의 중량비는 0.05 내지 1.5 : 0.01 내지 5일 수 있다.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대비 양이온 컨디셔닝제의 중량비가 1.5 : 0.01 미만인 경우, 점도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발림성이 저하되고,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대비 양이온 컨디셔닝제의 중량비가 0.05 : 5을 초과할 경우, 제형의 석출 또는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보조 점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점증제는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과 함께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며, 저온 또는 고온에서도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제형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2 내지 4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보조 점증제가 0.2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점도가 충분하게 형성되지 않고, 보조 점증제가 4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저온 또는 고온에서 제형의 상 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대비 보조 점증제의 중량비는 1 : 0.13 내지 80일 수 있다.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대비 보조 점증제의 중량비가 1 : 0.13 미만인 경우,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않아 사용성이 저하되고,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대비 보조 점증제의 중량비가 1 : 80을 초과할 경우, 40℃ 이상의 고온에서 제형의 상 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보조 점증제는 제 1 보조 점증제 또는 제 2 보조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 1 보조 점증제와 제 2 보조 점증제로 구성되는 이종의 보조 점증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보조 점증제 및 제 2 보조 점증제를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 점도가 보다 안정적으로 조절되어, 제형의 석출 또는 상 분리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발림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보조 점증제 대비 제 2 보조 점증제의 중량비는 1 : 1 내지 2일 수 있다. 제 1 보조 점증제 대비 제 2 보조 점증제의 중량비가 1 : 1 미만인 경우, 사용감이 떨어지고, 제 1 보조 점증제 대비 제 2 보조 점증제의 중량비가 1 : 2를 초과할 경우, 고온에서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1 보조 점증제는 트라이하이드록시스테아린(Trihydroxystearin), 카보머(Carbomer),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Beheneth-25 Methacrylate C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잔탄검(Xanthan Gum), 데하이드로잔탄검(Dehydroxanthan Gum), 피이지-150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스테아레이트(PEG-150 Pentaerythrityl Tetrastearate) 및 피이지-120메틸글루코스디올리에이트(PEG-120 Methyl Glucose Diole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라이하이드록시스테아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1 보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제 1 보조 점증제가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제형의 상 분리가 발생할 수 있고, 제 1 보조 점증제가 1.5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점도가 높아 각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고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2 보조 점증제는 C12-22 지방산 알코올(C12-22 Fatty Alcoho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2 보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제 2 보조 점증제가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점도가 일정 값을 유지하기 어려워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고, 제 2 보조 점증제가 2.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및 폴리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세정력이 우수하여 모발의 오염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 세정력 면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가 있고 세정 시 모발에 균일하게 거품이 생성되며 모발에 생성된 거품을 효율적으로 헹굴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설페이트계 화합물,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Ammonium Laureth Sulfate),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소듐코코설페이트(Sodium Coco Sulfate), 타우레이트계 화합물, 소듐메틸코코일타우레이트(Sodium Methyl Cocoyl Taurate), 소듐라우로일타우레이트(Sodium Lauroyl Taurate), 소듐메틸스테아로일타우레이트(Sodium Methyl Stearoyl Taurate), 글루타메이트계 화합물,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Sodium Cocoyl Glutamate),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Sodium Lauroyl Glutamate), 소듐코코일알라니네이트(Sodium Cocoyl Alaninate),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Sodium Cocoyl Isethionate), 사코시네이트계 화합물, 소듐라우로일사코시네이트(Sodium Lauroyl Sarcosinate), 소듐미리스토일사코시네이트(Sodium Myristoyl Sarcosinate), 설포석시네이트계 화합물,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및 디소듐라우릴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yl Sulfosucci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세정력이 떨어질 수 있고,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9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모발의 손상과 자극성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베타인계 화합물, 라우릴베타인(Lauryl Betaine),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Lauramidopropyl Betaine), 코코-베타인(Coco-Betaine), 다이소듐코코암포다이아세테이트(Disodium Cocoamphodiacetate),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Sodium Cocoamphoacetate), 설테인계 화합물,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Lauryl Hydroxysultaine) 및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모발의 거품을 헹구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9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기포력이 낮아져 세정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글루코사이드계 화합물,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Coconut Fatty Acid Monoethanolamide, 코카마이드엠이에이(Cocamide MEA),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Cocamide Methyl MEA), 라우라마이드엠이에이(Lauramide MEA),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 및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GM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세정력이 떨어질 수 있고,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9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세정 후 모발에 세정제가 잔류하는 문제가 있다.
폴리올은 조성물에 대한 점증제의 혼합에 도움을 주어 제형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계면활성제와 함께 거품 유지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폴리올은 글리세린(Glycerin), 메칠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솔비톨(Sorbit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및 글리세레스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올이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투명성 및 거품력이 저하될 수 있고, 폴리올이 9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않거나 세정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pH 조절제, 컨디셔닝제, 향료, 산화방지제, 중화제, 기능성 첨가제, 안정화제, 비타민, 보습제, 방부제, 단백질 및 기타 첨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험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과 양이온 컨디셔닝제의 비율에 따른 효과
(1)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표 1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4는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과 양이온 컨디셔닝제의 비율을 변화시킨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Figure 112022043021109-pat00007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8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하면서 A상을 제조하였다. A상에 3종의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용매를 혼합하여 20분 동안 균일하게 교반한 B상을 제조하였다. B상에 트라이하이드록시스테아린 및 세틸알코올을 첨가한 후 10분 동안 교반하며, 폴리쿼터늄-10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냉각시켜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2) 제형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8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모발 세정제를 제조하고,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모발 세정제를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샘플을 육안으로 관찰해 제형의 석출 또는 상 분리 현상의 발생이 없이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는지 여부 및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샘플에 대하여 저온(5℃), 상온, 고온(40℃)에서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8은 모발 세정제의 제형의 석출 또는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대비 양이온 컨디셔닝제의 비율이 작은 비교예 1의 경우, 사용감이 현저하게 떨어져 모발 세정제로서의 작용을 할 수 없었다.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대비 양이온 컨디셔닝제의 비율이 큰 비교예 2 내지 4의 경우,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제형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없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발 세정제를 도 1에 나타내었다.
(3)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사용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정 효과 및 컨디셔닝 효과 항목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세정 효과의 경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을 3g씩 취하여, 인모 스트링에 거품을 낸 후 세정의 정도를 세정 효과 평가 항목에 평가하였다. 컨디셔닝 효과의 경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을 3g씩 취하여, 인모 스트링에 거품을 낸 후 물로 헹굴 때의 모발에 대하여 빗질 등을 통한 부드러운 정도를 젖은 모발의 부드러움 평가 항목에 평가하였다. 또한, 헹굼 및 건조 후의 모발에 대하여 빗질 등을 통한 부드러운 정도를 건조 후 모발의 부드러움 평가 항목에 평가하였다. 평가 척도로서 5단계로 평가하고, 점수는 5점 만점으로 단계에 따라 1점 단위로 부여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 세정 효과, 젖은 모발의 부드러움 및 건조 후 모발의 부드러움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우수한 사용감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세정 효과와 컨디셔닝 효과의 점수가 낮아 사용감이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제형 세정 효과 컨디셔닝 효과
젖은 모발 부드러움 건조 후 모발 부드러움
실시예 1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5 3 4
실시예 2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4 4 3
실시예 3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5 3 4
실시예 4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3 4 4
실시예 5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4 5 5
실시예 6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5 4 4
실시예 7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5 4 3
실시예 8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5 5 3
비교예 1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 발생 2 1 1
비교예 2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 발생 1 3 1
비교예 3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 발생 1 2 2
비교예 4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 발생 1 2 1
<평가항목>
- 세정 효과: 모발이 잘 세정될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 젖은 모발 부드러움: 헹굼 중인 모발이 부드러울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 건조 후 부드러움: 헹굼 및 건조 후 모발이 부드러울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실험예 2: 점증제로서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에 따른 효과 확인
(1) 비교예 5 내지 8의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내지 8은 실시예 3에서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대신하여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점증제 성분을 첨가한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표 3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Figure 112022043021109-pat00008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와 동일하다.
(2) 제형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5 내지 8에 따른 제형안정성을 실험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실험 결과, 실시예 3은 모발 세정제의 제형의 석출 또는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었다. 한편,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대신하여 그 외의 점증제를 사용한 비교예 5 내지 8은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제형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없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발 세정제를 도 2에 나타내었다.
(3)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5 내지 8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사용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정 효과 및 컨디셔닝 효과 항목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실험 결과, 실시예 3의 경우, 세정 효과, 젖은 모발의 부드러움 및 건조 후 모발의 부드러움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우수한 사용감을 갖는 반면, 비교예 5 내지 8의 경우,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세정 효과와 컨디셔닝 효과의 점수가 낮아 사용감이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제형 세정 효과 컨디셔닝 효과
젖은 모발 부드러움 건조 후 모발 부드러움
실시예 3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5 3 4
비교예 5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 발생 3 1 1
비교예 6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 발생 2 1 1
비교예 7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 발생 2 2 2
비교예 8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 발생 3 2 2
<평가항목>
- 세정 효과: 모발이 잘 세정될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 젖은 모발 부드러움: 헹굼 중인 모발이 부드러울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 건조 후 부드러움: 헹굼 및 건조 후 모발이 부드러울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실험예 3: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과 보조 점증제의 비율에 따른 효과 확인
(1) 실시예 9 내지 11 및 비교예 9 내지 11의 제조
하기 표 5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5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9 내지 11, 비교예 10 및 11은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과 보조 점증제의 비율을 변화시킨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고, 비교예 9는 보조 점증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표 5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Figure 112022043021109-pat00009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와 동일하다.
(2) 제형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9 내지 11 및 비교예 9 내지 11에 따른 제형안정성을 실험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실험 결과, 실시예 9 내지 11은 모발 세정제의 제형의 석출 또는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보조 점증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9 및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대비 보조 점증제의 비율이 큰 비교예 11의 경우, 제형은 형성되었으나 고온(40℃)에서 제형의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는 등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았다. 또한,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대비 보조 점증제의 비율이 작은 비교예 10의 경우,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제형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없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발 세정제를 도 3에 나타내었다.
(3)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9 내지 11 및 비교예 9 내지 11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사용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정 효과 및 컨디셔닝 효과 항목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실험 결과, 실시예 9 내지 11의 경우, 세정 효과, 젖은 모발의 부드러움 및 건조 후 모발의 부드러움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우수한 사용감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9 내지 11의 경우, 세정 효과와 컨디셔닝 효과의 점수가 낮아 사용감이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제형 세정 효과 컨디셔닝 효과
젖은 모발 부드러움 건조 후 모발 부드러움
실시예 9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4 3 5
실시예 10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4 5 4
실시예 11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3 5 4
비교예 9 고온(40℃)에서 상 분리 현상 발생 2 2 1
비교예 10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 발생 3 1 2
비교예 11 고온(40℃)에서 상 분리 현상 발생 1 3 2
<평가항목>
- 세정 효과: 모발이 잘 세정될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 젖은 모발 부드러움: 헹굼 중인 모발이 부드러울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 건조 후 부드러움: 헹굼 및 건조 후 모발이 부드러울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실험예 4: 보조 점증제의 함량에 따른 효과 확인
(1) 실시예 12, 13 및 비교예 12, 13의 제조
하기 표 7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7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12, 13, 비교예 12 및 13은 보조 점증제의 함량을 변화시킨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표 7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Figure 112022043021109-pat00010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와 동일하다.
(2) 제형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2, 13 및 비교예 12, 13에 따른 제형안정성을 실험하여,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실험 결과, 실시예 12 및 13은 모발 세정제의 제형의 석출 또는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보조 점증제의 함량이 작은 비교예 12의 경우,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제형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없었고, 보조 점증제의 함량이 큰 비교예 13의 경우, 제형은 형성되었으나 고온(40℃)에서 제형의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는 등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았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발 세정제를 도 4에 나타내었다.
(3)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2, 13 및 비교예 12, 13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사용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정 효과 및 컨디셔닝 효과 항목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실험 결과, 실시예 12 및 13의 경우, 세정 효과, 젖은 모발의 부드러움 및 건조 후 모발의 부드러움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우수한 사용감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2 및 13의 경우, 세정 효과와 컨디셔닝 효과의 점수가 낮아 사용감이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제형 세정 효과 컨디셔닝 효과
젖은 모발 부드러움 건조 후 모발 부드러움
실시예 12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5 4 3
실시예 13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3 4 4
비교예 12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 발생 1 1 3
비교예 13 고온(40℃)에서 상 분리 현상 발생 3 1 1
<평가항목>
- 세정 효과: 모발이 잘 세정될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 젖은 모발 부드러움: 헹굼 중인 모발이 부드러울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 건조 후 부드러움: 헹굼 및 건조 후 모발이 부드러울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실험예 5: 제 1 보조 점증제와 제 2 보조 점증제의 비율에 따른 효과 확인
(1) 실시예 14 내지 16 및 비교예 14 내지 17의 제조
하기 표 9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9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14 내지 16은 제 1 보조 점증제와 제 2 보조 점증제의 비율을 변화시킨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고, 비교예 14 및 15는 이종의 보조 점증제 중 하나를 생략한 경우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며, 비교예 16 및 17은 제 1 보조 점증제와 제 2 보조 점증제의 비율을 변화시킨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표 9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Figure 112022043021109-pat00011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와 동일하다.
(2) 제형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4 내지 16 및 비교예 14 내지 17에 따른 제형안정성을 실험하여,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실험 결과, 실시예 14 내지 16은 모발 세정제의 제형의 석출 또는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종의 보조 점증제 중 하나의 보조 점증제를 생략한 비교예 14 및 15, 그리고 제 1 보조 점증제 대비 제 2 보조 점증제의 비율이 작은 비교예 16의 경우,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제형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없었다. 또한, 제 1 보조 점증제 대비 제 2 보조 점증제의 비율이 큰 비교예 17의 경우, 제형은 형성되었으나 고온(40℃)에서 제형의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는 등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았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발 세정제를 도 5에 나타내었다.
(3)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4 내지 16 및 비교예 14 내지 17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사용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정 효과 및 컨디셔닝 효과 항목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실험 결과, 실시예 14 내지 16의 경우, 세정 효과, 젖은 모발의 부드러움 및 건조 후 모발의 부드러움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우수한 사용감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4 내지 17의 경우, 세정 효과와 컨디셔닝 효과의 점수가 낮아 사용감이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제형 세정 효과 컨디셔닝 효과
젖은 모발 부드러움 건조 후 모발 부드러움
실시예 14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4 5 3
실시예 15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5 4 4
실시예 16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3 5 4
비교예 14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 발생 2 2 1
비교예 15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 발생 2 3 1
비교예 16 제형의 석출 및 상 분리 현상 발생 1 1 3
비교예 16 고온(40℃)에서 상 분리 현상 발생 3 1 1
<평가항목>
- 세정 효과: 모발이 잘 세정될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 젖은 모발 부드러움: 헹굼 중인 모발이 부드러울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 건조 후 부드러움: 헹굼 및 건조 후 모발이 부드러울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실험예 6: 양이온 컨디셔닝제의 성분에 따른 효과 확인
(1) 실시예 17 내지 24의 제조
하기 표 11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11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17 내지 24은 실시예 1 내지 8의 조성물에서 각각의 양이온 컨디셔닝제의 성분을 변화시킨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Figure 112022043021109-pat00012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와 동일하다.
(2) 제형안정성 및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7 내지 24에 따른 제형안정성을 실험하고, 세정 효과 및 컨디셔닝 효과 항목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실험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실험 결과, 실시예 17 내지 24는 모발 세정제의 제형의 석출 또는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발 세정제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7 내지 24는 세정 효과, 젖은 모발의 부드러움 및 건조 후 모발의 부드러움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우수한 사용감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제형 세정 효과 컨디셔닝 효과
젖은 모발 부드러움 건조 후 모발 부드러움
실시예 17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5 3 4
실시예 18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4 3 4
실시예 19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5 3 4
실시예 20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4 4 4
실시예 21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3 5 5
실시예 22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5 3 3
실시예 23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5 3 4
실시예 24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됨 5 4 4
<평가항목>
- 세정 효과: 모발이 잘 세정될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 젖은 모발 부드러움: 헹굼 중인 모발이 부드러울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 건조 후 부드러움: 헹굼 및 건조 후 모발이 부드러울수록 높은 점수로 기재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8)

  1.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양이온 컨디셔닝제; 및
    제 1 보조 점증제 및 제 2 보조 점증제로 구성되는 이종의 보조 점증제를 포함하고,
    상기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양이온 컨디셔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제 1 보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제 2 보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대비 상기 양이온 컨디셔닝제의 중량비는 0.05 내지 1.5 : 0.01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컨디셔닝제는, 양이온성 구아(Cationic Guar), 폴리쿼터늄(Polyquaternium), 폴리쿼터늄-7(Polyquaternium-7),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폴리쿼터늄-47(Polyquaternium-47), 셀룰로오스(Cellulose), 아크릴 에스테르(Acrylic Ester), 메타크릴 에스테르(Methacrylic Ester),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폴리아미노 아미드 유도체(Polyamino Amide Derivative) 및 양이온성 단백질(Cationic Prote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2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 대비 상기 보조 점증제의 중량비는 1 : 0.13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점증제 대비 상기 제 2 보조 점증제의 중량비는 1 : 1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점증제는, 트라이하이드록시스테아린(Trihydroxystearin), 카보머(Carbomer),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Beheneth-25 Methacrylate C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잔탄검(Xanthan Gum), 데하이드로잔탄검(Dehydroxanthan Gum), 피이지-150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스테아레이트(PEG-150 Pentaerythrityl Tetrastearate) 및 피이지-120메틸글루코스디올리에이트(PEG-120 Methyl Glucose Diole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조 점증제는, C12-22 지방산 알코올(C12-22 Fatty Alcoh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및 폴리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Glycerin), 메칠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솔비톨(Sorbit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및 글리세레스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KR1020220000128A 2022-01-03 2022-01-03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Active KR102402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128A KR102402933B1 (ko) 2022-01-03 2022-01-03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128A KR102402933B1 (ko) 2022-01-03 2022-01-03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933B1 true KR102402933B1 (ko) 2022-05-30

Family

ID=8180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128A Active KR102402933B1 (ko) 2022-01-03 2022-01-03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9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8201B2 (en) * 1997-05-30 2002-02-19 Kibun Food Chemifa Co., Ltd.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comprising sphingoglycolipid
KR20060014909A (ko) * 2004-08-12 2006-02-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8201B2 (en) * 1997-05-30 2002-02-19 Kibun Food Chemifa Co., Ltd.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comprising sphingoglycolipid
KR20060014909A (ko) * 2004-08-12 2006-02-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994B1 (ko) 샴푸 조성물
US8148309B2 (en) Acrylic polymer base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 having high transparency, and method of making
JP5748681B2 (ja) 透明液状洗浄料
JPH07504927A (ja) 改良されたマイルドな石鹸‐合成洗剤固形物
JP3545372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CN107603789B (zh) 一种调理型固态洗发皂
JP2014234350A (ja) 毛髪洗浄剤組成物
JPH04108724A (ja) 洗浄剤組成物
JP2011084484A (ja) 洗浄剤組成物
JPH09202898A (ja) 身体洗浄剤組成物
JP5837434B2 (ja) 液状洗浄料
DE112004000731B4 (de) Reinigungszusammensetzung
US6432896B1 (en)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n amphoteric surfactant system
KR102402933B1 (ko) 스핑고모나스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JP5837435B2 (ja) 毛髪用液状洗浄料
CN114042004A (zh) 一种用于洗护发产品的珠光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H0759714B2 (ja) 低刺激性洗浄剤組成物
EP3320890B1 (en) Hair shampoo composition
JP2017078037A (ja) 毛髪洗浄組成物、褪色抑制剤、及びそれらを用いた毛髪の褪色を抑制する方法
JP2021046363A (ja) 毛髪洗浄剤組成物
JPH07278587A (ja) 洗浄剤組成物
KR100469653B1 (ko) 모발 컨디셔닝 고형 세정 조성물
JPH0474112A (ja) 毛髪用シャンプー組成物
WO2024162371A1 (ja) 毛髪洗浄用組成物
JPH0232008A (ja) 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