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453B1 - Filter cleaning device with enhanced cleaning efficiency - Google Patents
Filter cleaning device with enhanced cleaning efficienc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1453B1 KR102401453B1 KR1020210171944A KR20210171944A KR102401453B1 KR 102401453 B1 KR102401453 B1 KR 102401453B1 KR 1020210171944 A KR1020210171944 A KR 1020210171944A KR 20210171944 A KR20210171944 A KR 20210171944A KR 102401453 B1 KR102401453 B1 KR 1024014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cleaning
- washing
- pressure water
- supply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관로의 일측에 구성되는 스트레이너의 필터를 상수관로에서 출입시키지 않고도 세척이 이루어짐으로써, 필터에 대한 세척의 용이성과 함께 세척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의 편리성 등을 향상시키는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washing device with enhanced washing efficiency, and more particularly, by washing the filter of the strainer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in and out of the water supply pipe, the washing is performed with the ease of washing the filter. It relates to a filter cleaning device with enhanced cleaning efficiency that shortens time and improves work convenience.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하천이나 댐의 물을 정수장에서 응집, 침전, 여과, 소독과정의 표준정수처리 또는 표준정수처리에 오존 산화와 활성탄 흡착처리를 추가하는 고도정수처리 단계를 정수한 후 배관을 통해 가정으로 공급되고 있다.In general, tap water is purified from the standard water purification process of coagulation, sedimentation, filtration, and disinfection process of river or dam water at a water purification plant, or advanced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step of adding ozone oxidation an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reatment to standard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nd then through the pipe. supplied to the home.
그러나, 배관 내에 존재하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은 배관 내의 물 흐름방향 및 유속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배관에서 떨어져 나와 가정이나 저수조에 도달하여 적수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scale existing in the pipe come off the pipe according to a sudden change in the flow direction and flow rate of the water in the pipe, and reach the house or the water tank to cause the adversarial water.
또한, 취수장, 정수장이나 배수지에서의 각종 날벌레의 유입으로 염소소독에도 사멸되지 않는 살아 움직이는 유충이나 사멸된 사체가 가정집에 공급된 실제 사례가 발생하였다.Also, due to the inflow of various flying insects from the water intake, water purification plant, or drainage basin, live larvae or dead carcasses that are not destroyed even by chlorine disinfection have been supplied to households.
이에, 배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타공망으로 이루어진 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83870호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스테이너를 교환이나 세척하기 위해서는 볼트 결합되어진 결합구를 몸체에서 분리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신속하게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a strainer made of a perforated network is installed and used in ord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pipe. As an example, it can be seen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383870, which is bolted to replace or wash the strainer. Since it has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the operation is cumberso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not performed quickly.
즉, 소형의 밸브에서는 결합구의 분리가 어렵지 않게 되지만, 대형의 밸브에서는 결합구의 무게 등으로 작업이 지연되어 신속하게 교환이나 세척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That is, in the case of a small valve, it is not difficult to separate the coupler, but in a large valve, the work is delayed due to the weight of the coupler, so that the work such as exchange or washing cannot be performed quickly.
다른 일례의 특허 제10-2226300호(2021.03.11. 공고)의 필터 제수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 상에 설치되도록 좌,우측에 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의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연통된 게이트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밸브바디와, 상기 게이트홈에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에 결합되어 유체상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 조립체를 포함한다.In another example, the filter drain valve of Patent No. 10-2226300 (published on March 11, 2021) has flange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be installed on a pipeline through which a fluid flows,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lange, and the It includes a valve body in which a gate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gate coupled to the gate groove to ascend and descend, and a sieve assembly coupled to the gat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또한, 상기 거름망 조립체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망사체와, 상기 망사체의 외주면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링체와, 상기 지지링체에 지지되어진 망사체가 안착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결합돌기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진 거름망 플레이트와, 상기 거름망 플레이트에 결합되어진 망사체를 고정하도록 하는 거름망 커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ieve mesh assembly includes a mesh body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 support ring body suppor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sh body from both sides, and a mesh body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body are seated, and at least two coupling protrus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ncludes a sieve plate formed above and a sieve cover for fixing the mesh body coupled to the sieve plate.
이에 따라, 밸브 디스크에 필터체를 배치하여 밸브의 열림 또는 닫힘 만으로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수돗물이나 정수과정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이나 유충을 거르고, 이를 신속하고 손쉽게 교환이나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관리의 편의를 도모하였다.Accordingly, by arranging the filter body on the valve disk to facilitate detachment only by opening or closing the valve, i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or larvae that may exist in the tap water or water purification process, and allows it to be exchanged or washed quickly and easily. Convenience was made.
그러나, 종래의 관로에 설치된 필터를 세척하는 구조는 상기 관로에서 필터를 빼내어, 외부로 필터가 노출되도록 하고, 이렇게 노출된 필터에 세척수를 분출시켜 필터가 세척되도록 하는데, 상기 관로에서 필터를 빼내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작업의 번잡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for washing the filter installed in the conduit, the filter is removed from the conduit, the filter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washing water is jetted to the exposed filter to wash the filter, and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filter from the condui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complexity of the work to be performed.
또한, 관로에서 필터를 빼내어 외부로 노출시켰을 때 상기 필터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작업공간이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filter is removed from the pipe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working space in which the filter is exposed to the outside must be secured.
또한, 관로에서 필터를 출입시켜야 하는 작용에 의해 상기 관로와 필터사이에 수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패킹 구조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의 출입에 대한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특수 패킹을 필수적으로 채용하여야 한다는 제조 단가의 상승과, 구조의 복잡성에 의한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by the action of having the filter in and out of the pipeline, not only the basic packing structure for maintaining watertightness between the pipeline and the filter, but also a separate special packing for securing watertightness for the inlet and out of the filter is essenti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nit cost is increased and the assembling property is deteriorated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수관로의 일측에 구성되는 스트레이너의 필터를 상수관로에서 출입시키지 않고도 세척이 이루어짐으로써, 필터에 대한 세척의 용이성과 함께 세척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의 편리성 등을 향상시키는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s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wash the filter of the strainer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from the water pipe, so that the washing is performed without leaving the water pipe, so that the filter is easy to clean and the washing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er cleaning device with enhanced cleaning efficiency that shortens and improves work convenie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수관로의 일측에 필터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가 구성되고; 상기 상수관로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필터를 상기 상수관로에서 출입시키기지 않고, 제자리에 위치한 필터에 고압수를 분출시켜 상기 필터에 대한 세척작업이 구성되도록 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trainer comprising a filter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is configured; A washing unit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to eject high-pressure water to the filter positioned in place without taking the filter in and out of the water supply pipe to configure the washing operation for the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
본 발명에 있어서, 세척부는, 상기 상수관로의 일측에 구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관통되게 구성되어 고압수를 통해 필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척공과; 상기 세척공에 체결되어 고압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고압호스; 및 상기 세척공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세척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고압수의 세척범위를 확장시키도록 하는 확장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unit comprises: a housing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at least one cleaning hole configured to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filter can be cleaned through high-pressure water; a high-pressure hose coupled to the cleaning hole to supply high-pressure water; and an extension pipe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cleaning hole to expand the cleaning range of the high-pressure water as it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leaning hole.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상기 세척공을 다수로 구성하고; 상기 다수의 세척공을 관통되게 구성되어, 한 곳에서 고압수를 주입시키면 다수의 세척공 각각에서 고압수가 분출되도록 지지하는 진입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comprises a plurality of cleaning hole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ntry hol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cleaning holes, and supporting the high-pressure water to be ejec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cleaning holes when high-pressure water is injected at one pla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수관로에는, 세척부를 통해 필터의 세척작업이 수행되고, 필터의 세척에 의해 생성된 오염고압수를 수집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ipe,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filter is performed through the washing unit, to collect the contaminated high-pressure water generated by the washing of the filt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집부는, 스트레이너의 주변에 일정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오염공압수가 수집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홈과; 상기 함몰홈에 수집된 오염고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출공; 및 상기 배출공에 구성되어, 상기 배출공의 임의 개방을 단속하는 전동 또는 수동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ing unit, the recessed groove is formed to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around the strainer to form a space so that the contaminated pneumatic water is collected;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high-pressure water collected in the recessed groove to the outside; and an electric or manual valve configured in the discharge hole to control any opening of the discharge hole.
본 발명에 있어서, 고압수는, 상수관로의 일측에 구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구성되어 상기 플랜지를 개폐시켜 상기 상수관로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배수를 제어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플랜지를 통해 배수되는 유체에 압력을 가하여 고압수가 형성되도록 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서 제공되는 공압수를 세척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pressure water, a flange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a valve configured on the flange to open and close the flange to control drainage of the fluid mov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 pump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valve to apply pressure to the fluid drained through the flange to form high-pressure water; and a nozzle for providing the pneumatic water provided from the pump to the washing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수관로의 일측에 구성되는 스트레이너의 필터를 상수관로에서 출입시키지 않고도 세척이 이루어짐으로써, 필터에 대한 세척의 용이성과 함께 세척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의 편리성 등을 향상시키는 세척효율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hing is performed without removing the filter of the strainer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from the water supply pipe, thereby reducing the washing time with the ease of washing the filter, and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work. It has the effect of enhancing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III"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세척공의 구성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세척공들의 위치별에 대한 구성관계를 보인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집부의 구성관계를 보인 일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세척부의 구성관계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세척부의 구성관계를 보인 측단면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cleaning device with enhanced cleaning efficienc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lter cleaning device with enhanced cleaning efficienc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II” of FIG. 2 .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eaning ho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for each position of the cleaning ho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sh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 예><First embodiment>
제1실시 예의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는 상수관로(1)의 일측에 구성되는 스트레이너(2)의 필터(3)를 상수관로(1)에서 출입시키지 않고도 세척이 이루어짐으로써, 필터에 대한 세척의 용이성과 함께 세척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의 편리성 등을 향상시겨 세척효율성을 강화한다.The filter washing device with enhanced washing efficiency of the first embodiment washes the
상기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10), 및 수집부(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7 , the filter washing device with enhanced washing efficiency includes a
상기 세척부(10)는 스트레이너(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에 구성되는 필터(3)를 세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세척부(10)에 사용되는 고압수는 상수관로(1)를 따라 이동되는 유체 즉, 상수를 바이패스시켜 사용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압수는 별도의 장비를 구축시켜 필터(3)를 세척할 수도 있다.The
상기 세척부(10)는 하우징(110)과, 세척공(120) 및 확장관(130)을 포함한다.The
상기 하우징(110)은 상수관로(1)의 일측 즉, 스트레이너(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세척공(120)의 형성이 원활해지도록 함과 함께, 상수관로(1)에 작용하는 압력에 대한 대응하여 상기 세척공(120)으로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은 생략 가능하다.The
상기 하우징(110)은 상수관로(1)의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시킬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상수관로(1)의 내부로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반대의 방향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필터(3)의 후방에서 고압수가 분출되어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에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필터(3)의 후방이란, 유체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반대의 위치되는 부분이고, 이와 대응되어 필터(3)의 전방이란, 상수관로(1)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직접 맞닿는 위치이다.In addition, the
세척공(120)은 상기 하우징(110)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고압수가 필터(3)의 후방에 분출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상기 세척공(120)은 상기 하우징(110)과 상수관로(1)의 내부에 관통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세척공(120)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구성되어, 분출되는 고압수의 세척범위들이 상호 중첩되도록 하여 필터(3)의 후방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세척공(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세척공(120)을 통해 분출되는 고압수가 필터(3)에 광범위하게 작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the
예컨대, 상기 세척공(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세척공(120a)(120b)(120c)와 같이 3개소가 구성되고, 상기 세척공(120)은 도 5의 (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세척공(120a)(120b)(120c)의 경사각(a1)(a2)(a3)을 상호 달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필터(3)에 고압수가 광범위하게 작용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세척공(120)의 경사각(a)은 상수관로(1) 또는 필터(3)의 크기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형성하거나 모두 동일한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고압수가 필터(3)에 광범위하게 작용할 수 있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또한, 상기 세척공(120)에는 세척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세척공(120)으로 유체가 누출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세척공(120)에 체결되는 마감캡(122)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상기 마감캡(122)은 상기 세척공(120)에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세척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세척공(120)으로 유체의 누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수관로(1)의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마감캡(122)은 상수관로(1)의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The
또한, 상기 마감캡(122)을 생략하고, 상기 세척공(120)에 체결되어, 상기 세척공(122)으로 고압수가 제공되도록 하는 고압호스 즉, 노즐(38)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확장관(130)은 상기 세척공(120)의 끝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세척공(120)을 통해 분출되는 고압수의 분출범위를 확장시킴으로써, 필터(3)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상기 확장관(130)은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공(120)의 끝단부에 상기 세척공(120)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도록 일정각도 확장되는 확장각(β)으로 형성된다. 상기 확장각(β)은 30° ~ 60°로 형성된다.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2 , the
한편, 세척부(10)로 제공되는 고압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3)의 전방 측에 구성되되, 상수관로(1)의 일측에 구성되는 플랜지(32)와, 상기 플랜지(3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플랜지(32)를 개폐시키도록 제어하는 밸브(34)와, 상기 밸브(34)를 통해 유출되는 유체에 압력을 가하는 펌프(36), 및 상기 펌프(36)를 통해 제공되는 고압의 유체를 상기 세척부(10)로 제공하도록 지지하는 노즐(38)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high-pressure water provided to the
또한, 상기 플랜지(32)는 필터(2)의 세척작업을 수행할 때 상수관로(1)에 구성된 버터플라이밸브를 폐쇄시키게 되고, 이때 버터플라이밸브의 전방에 구성됨에 따라 상수를 항시 제공받을 수 있는 위치에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상기 고압수는, 상수관로(1)의 일측에 구성된 버터플라이밸브 등을 폐쇄시켜도 상수관로(1) 내부의 유체를 플랜지(32)와 밸브(34)를 거쳐 펌프(36)의 펌핑으로 압력을 받은 유체가 노즐(38)을 통해 분출되게 된다.Accordingly, the high-pressure water pumps the fluid inside the
수집부(20)는 스트레이너(2)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고압수를 통해 세척작업이 수행된 필터(3)에서 탈락된 이물질, 예컨대, 벌레, 찌꺼기 등을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상기 수집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2)가 구성된 부분의 상수관로(1)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고압수를 통해 필터(3)의 세척이 이루어진 오염고압수가 수집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함몰홈(21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 the collecting
또한, 상기 수집부(20)에는 상기 함몰홈(210)에 수집된 오염고압수가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배출공(22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llecting
또한, 상기 배출공(220)에는 세척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 상기 배출공(220)을 폐쇄시켜 상수관로(1)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임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캡(23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수집부(20)에는 함몰홈(210)에 수집된 오염고압수가 신속하고, 잔량이 스트레이너(2)의 주변에 잔존하지 않도록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2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수집부(20)에는 상기 캡(230) 및 흡입펌프(240)를 생략하고, 배출공(220)에 설치되는 전동 또는 수동밸브를 구성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를 통한 세척공정은, 먼저, 상수관로(1)의 일측에 구성된 버터플라이밸브 등을 폐쇄시켜 상기 상수관로(1)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가 스트레이너(2)로 진입됨이 차단된다.In the washing process through the filter washing device with enhanced washing efficienc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butterfly valve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이어서, 세척공(120)에 노즐(38)의 일단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수관로(1)의 일측에 구성된 플랜지(32)에 구성된 밸브(34)를 개방시킨 후 펌프(36)를 가동시킴으로써, 상기 펌프(36)의 작용으로 압력을 받은 유체 즉, 고압수가 상기 노즐(38)을 통해 세척공(120)으로 분출된다.Then, since one end of the
또한, 상기 세척공(120)의 하단부는 확장관(13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세척공(120)을 통해 분출되는 고압수가 상기 확장관(130)의 구조에 의해 분출과 함께 확장이 이루어져 필터(3)의 광범위한 세척작업이 수행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아울러, 고압수를 통해 필터(3)의 세척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필터(3)의 세척작업에 의해 생성되는 오염고압수가 상수관로(1)의 하단부에 형성된 함몰홈(210)으로 수집된다.In addition, when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또한, 상기 함몰홈(210)의 일측에 배출공(220)이 형성됨으로써, 배출공(220)을 통해 오염고압수가 배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개방된 배출공(220)에 밸브를 연결시켜 상기 함몰홈(210)에 수집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염고압수의 배출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valve to the
<제2실시 예><Second embodiment>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실시 예의 세척부(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다수의 세척공(120)이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세척공(120)을 관통되게 구성되어, 한 곳에서 고압수를 주입시키면 다수의 세척공(120) 각각으로 고압수가 분출되도록 하는 진입공(140)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8 , in the
즉, 제1실시 예의 세척공(120)은 다수로 구성되어, 노즐(38)을 다수의 세척공(120) 각각으로 삽입시켜 필터(3)를 세척하거나 또는 다수의 노즐(38) 각각을 다수의 세척공(120) 각각에 삽입시켜 필터(3)의 세척작업을 수행하는 것이고, 제2실시 예의 세척공(120)은 다수로 구성되되, 상기 다수의 세척공(120)을 관통되는 하나의 진입공(140)이 형성되어 하나의 노즐(38)을 상기 진입공(140)에 삽입시켜 상기 노즐(38)에서 분출되는 고압수가 다수의 세척공(120) 각각에서 분출됨에 따라 필터(3)의 세척작업이 수행된다.That is, th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filter washing device with enhanced washing efficienc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세척부 110: 하우징
120: 세척공 122: 마감캡
130: 확장관 140: 진입공
20: 수집부 210: 함몰홈
220: 배출공 230: 캡
240: 흡입펌프10: cleaning unit 110: housing
120: cleaning hole 122: closing cap
130: expansion tube 140: entry hole
20: collection unit 210: recessed groove
220: discharge hole 230: cap
240: suction pump
Claims (6)
상기 상수관로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필터를 상기 상수관로에서 출입시키기지 않고, 제자리에 위치한 필터에 고압수를 분출시켜 상기 필터에 대한 세척작업이 구성되도록 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상수관로의 일측에 구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관통되게 구성되어 고압수를 통해 필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척공; 및
상기 세척공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세척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고압수의 세척범위를 확장시키도록 하는 확장관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공은 제1 내지 제3세척공의 경사각을 상호 달리하도록 형성하여 고압수가 광범위하게 작용하도록 하고,
상기 확장관의 확장각은 30° ~ 60°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
A strainer including a filter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A washing unit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to eject high-pressure water to the filter positioned in place without taking the filter in and out of the water supply pipe to configure the washing operation for the filter; and
The washing unit,
a housing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at least one cleaning hole configured to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filter is cleaned through high-pressure water; and
It is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washing hole and includes an extension pipe that expands the washing range of the high-pressure water as it is formed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shing hole,
The cleaning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to third cleaning hol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high-pressure water works in a wide range,
The filter cleaning device with enhanced cleaning efficiency,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angle of the extension tube is formed in a range of 30° to 60°.
상기 세척공을 다수로 구성하고;
상기 다수의 세척공을 관통되게 구성되어, 한 곳에서 고압수를 주입시키면 다수의 세척공 각각에서 고압수가 분출되도록 지지하는 진입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cleaning holes;
an entry hol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cleaning holes and supporting the high-pressure water to be ejec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cleaning holes when high-pressure water is injected at one place;
Filter cleaning device with enhanced cleaning efficienc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상수관로에는, 세척부를 통해 필터의 세척작업이 수행되고, 필터의 세척에 의해 생성된 오염고압수를 수집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수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upply pipe includes: a collecting unit for cleaning the filter through the washing unit, collecting the contaminated high-pressure water generated by the washing of the filter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Filter cleaning device with enhanced cleaning efficienc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스트레이너의 주변에 일정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오염공압수가 수집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홈; 및
상기 함몰홈에 수집된 오염고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공에 구성되어, 상기 배출공의 개방을 통해 오염고압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전동 또는 수동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효율성을 강화한 필터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llection unit,
a recessed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around the strainer to form a space so that the contaminated pneumatic water is collected; and
and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high-pressure water collected in the recessed groove to the outside;
an electric or manual valve configured in the discharge hole to drain the contaminated high-pressure water through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hole;
Filter cleaning device with enhanced cleaning efficienc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1944A KR102401453B1 (en) | 2021-12-03 | 2021-12-03 | Filter cleaning device with enhanced cleaning efficienc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1944A KR102401453B1 (en) | 2021-12-03 | 2021-12-03 | Filter cleaning device with enhanced cleaning efficienc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1453B1 true KR102401453B1 (en) | 2022-05-24 |
Family
ID=8180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1944A Active KR102401453B1 (en) | 2021-12-03 | 2021-12-03 | Filter cleaning device with enhanced cleaning efficienc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145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6337B1 (en) * | 2023-05-25 | 2023-08-14 |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 Automatic automatic back-washing fine filtering apparatus |
KR102597781B1 (en) * | 2023-05-24 | 2023-11-03 | 주식회사 지승개발 | small organism blocking device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34394A (en) * | 1999-05-27 | 2000-12-05 | Kyoshin Sekkei:Kk | Cleaning nozzle and wafer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nozzle |
JP2003080193A (en) * | 2001-09-12 | 2003-03-18 |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 Strainer for washing piping and cleaning method therefor |
KR200383870Y1 (en) | 2005-02-16 | 2005-05-10 | 주식회사 삼진정밀 | Resilient seated sluice valve strainer |
KR20090008485U (en) * | 2008-02-19 | 2009-08-24 | 김동훈 | Fountain Filtration System |
KR101172318B1 (en) * | 2012-03-21 | 2012-08-14 | 고장훈 | Butterfly valve easy to wash of inner of body and surface of disk |
KR20140038652A (en) * | 2012-09-21 | 2014-03-31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Semi-auto filter system for removing residue in pipe |
JP2014064979A (en) * | 2012-09-25 | 2014-04-17 | Sugino Machine Ltd | Cavitation nozzle |
KR102226300B1 (en) | 2020-11-12 | 2021-03-11 | 주식회사 현대밸브 | Filter gate valve |
-
2021
- 2021-12-03 KR KR1020210171944A patent/KR10240145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34394A (en) * | 1999-05-27 | 2000-12-05 | Kyoshin Sekkei:Kk | Cleaning nozzle and wafer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nozzle |
JP2003080193A (en) * | 2001-09-12 | 2003-03-18 |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 Strainer for washing piping and cleaning method therefor |
KR200383870Y1 (en) | 2005-02-16 | 2005-05-10 | 주식회사 삼진정밀 | Resilient seated sluice valve strainer |
KR20090008485U (en) * | 2008-02-19 | 2009-08-24 | 김동훈 | Fountain Filtration System |
KR101172318B1 (en) * | 2012-03-21 | 2012-08-14 | 고장훈 | Butterfly valve easy to wash of inner of body and surface of disk |
KR20140038652A (en) * | 2012-09-21 | 2014-03-31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Semi-auto filter system for removing residue in pipe |
JP2014064979A (en) * | 2012-09-25 | 2014-04-17 | Sugino Machine Ltd | Cavitation nozzle |
KR102226300B1 (en) | 2020-11-12 | 2021-03-11 | 주식회사 현대밸브 | Filter gate valv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7781B1 (en) * | 2023-05-24 | 2023-11-03 | 주식회사 지승개발 | small organism blocking device |
KR102566337B1 (en) * | 2023-05-25 | 2023-08-14 |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 Automatic automatic back-washing fine filter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56213A (en) | Embedded spin-clean cartridge-type water filters | |
KR102401453B1 (en) | Filter cleaning device with enhanced cleaning efficiency | |
CN211215693U (en) | Automatic backwashing filter for filtering seawater | |
US8038879B2 (en) | Fluid strainer assembly | |
CN106267964A (en) | The preposition water filter of back flush type | |
KR102356048B1 (en) | Flushing gate filters | |
US9816282B2 (en) | Self cleaning swimming pool filter | |
WO2018233567A1 (en) | Cleaning method for drainage device of washing machine, drainage device and washing machine | |
US11911718B2 (en) | Self cleaning filter system and method | |
CN112023481A (en) | Leading filter of drinking water | |
CN217659734U (en) | A sediment basket structure and cleaning machine for cleaning machine | |
CA2997288A1 (en) | Self cleaning filter | |
JP4740247B2 (en) | dishwasher | |
KR20100000395A (en) | Auto screen washing type's filtering apparatus using fluis pressure | |
KR20120114791A (en) | Self cleaning strainer | |
KR102625168B1 (en) | Sealed filtration ball valve equipped with a truncated cone-shaped filter net that allows filter cleaning and flow control without pressure loss | |
CN214634624U (en) | Filter of full self-cleaning blowdown | |
CN201006362Y (en) | Brush Backwash Filter | |
KR102616060B1 (en) | Uninterrupted water automatic backwash small biological filtration device | |
CN220723718U (en) | Sewage treatment device with anti-pollution film | |
CN219984137U (en) | Water purifying equipment with self-cleaning filter element | |
KR102610136B1 (en) | Cleaning device for filter assembly for removing larvae in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743136B1 (en) | managing apparatus for strainer | |
US20100102010A1 (en) | Vortex generator for a fluid filter | |
KR101535713B1 (en) | A percolater filter clean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2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