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917B1 - Gap adjusting structure for hight adjusting apparatus of seat cusion - Google Patents
Gap adjusting structure for hight adjusting apparatus of seat cu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0917B1 KR102400917B1 KR1020170143341A KR20170143341A KR102400917B1 KR 102400917 B1 KR102400917 B1 KR 102400917B1 KR 1020170143341 A KR1020170143341 A KR 1020170143341A KR 20170143341 A KR20170143341 A KR 20170143341A KR 102400917 B1 KR102400917 B1 KR 1024009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ck gear
- gear
- pressing
- seat
- height adjus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050 lubric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F16H55/28—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고 높이 조정유닛과 연동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고 시트의 이동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랙기어,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랙기어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랙기어를 상기 피니언기어에 가압되어 백래쉬를 방지하도록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여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하고,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사이의 간격이 크고 작음에 무관하게 백래쉬 방지에 필요한 압력을 인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ar spacing adjusting structure of a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a pinion gear installed on a side frame of a seat and interlocking with a height adjusting unit, a rack meshed with the pinion gear and rotatably coupled to a moving rail of the seat It includes a gear and a stopper installed on the side frame to prevent backlash by pressing the rack gear against the pinion gear when the rack gear moves in one direction, so that assembly is possible, and between the rack gear and the pinion gear The pressure required to prevent backlash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large or small gap between th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에서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을 조절하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a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a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 gap existing between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in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is about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실내에 설치되는 시트(Seat)는 탑승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각종 부가기능을 구비하는 바, 일례로 탑승객의 체형이나 주변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착좌면을 형성하는 시트쿠션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고 당겨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과, 시트쿠션의 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높이조절(Height adjusting) 기능, 및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경사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등이 있다. In general, a seat installed in the vehicle interior of a vehicle is provided wit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for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A sliding function that can adjust the fixed position by pushing and pulling forward or backward, a height adjusting function that adjusts the height of the seat cush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variabl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back with respect to the seat cushion There is a reclining function and the like.
종래,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장치는 시트레일에 대해 시트쿠션을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시트쿠션에 대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바, 이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Conventionally,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seat cushion is configur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of the seat cushion by moving the seat cush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at rail, which is shown in FIGS. 1 and 2 .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차실내의 플로워패널에 고정레일(1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레일(10)에 대해 이동레일(12)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레일(12)의 전후방향 양단부에 각각 선회링크(14)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트의 사이드 프레임(16)의 전후방향 양단부에 상기 선회링크(14)의 타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1 and 2 , a fixed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16)의 외측에는 높이 조정유닛(18)이 설치되고, 상기 높이 조정유닛(18)의 피니언기어(20)에는 랙기어(22)가 치합되며, 상기 랙기어(22)의 회동단부는 상기 선회링크(14)와 함께 상기 이동레일(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In addition, a
이 경우, 상기 높이 조정유닛(18)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피니언기어(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공지의 구성으로, 세부적인 구성은 공개특허 제10-2012-0005084호 등에 자세히 공지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이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정유닛(18)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2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기어 사이의 치합에 의해 상기 랙기어(22)는 회전지점을 기준으로 경사각도를 달리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이동레일(12)에 대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16)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한편,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 사이의 치합부위와 대향하는 상기 랙기어(22)의 상단부에는 롤러(24)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24)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16)에 대해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 구조물(26)의 외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a
이 경우, 상기 롤러(24)는 소정의 압축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서 실린더 형상의 압축성 구조물에 해당하고, 상기 지지 구조물(26)은 리벳이나 스터드 볼트와 같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16)에 설치되는 고정형 구조물에 해당한다. In this case, the
종래의 경우,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 사이의 백래쉬가 설계값(예컨대 최대 0.25mm)으로 설정되면, 높이 조절장치가 작동할 때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 사이의 치결합에 의한 간헐적 접촉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한 소음의 정도는 백래쉬의 발생량과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백래쉬에 의한 소음의 발생은 상기 랙기어(22)와 상기 롤러(24) 사이의 오버랩(O)을 보다 크게 설정하여 백래쉬를 흡수함으로써 해소하게 된다. In the conventional case, when the backlash between the
그러나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사이의 백래쉬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랙기어(22)와 상기 롤러(24) 사이의 오버랩(O)을 크게 설정할 경우에는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사이의 면압이 과다하게 상승하게 되므로, 높이 조절장치의 조립시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롤러(24)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랙기어(22)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후 높이 조절장치를 작동할 때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 사이의 과도한 면압으로 인해 상기 높이 조정유닛(18)의 작동에 필요로 하는 조작력이 크게 요구되어 조작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overlap O between the
따라서 종래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에서 상기 롤러(24)를 사용하는 방식에서는,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 사이의 간격이 크면 백래쉬가 증가하고, 상기 피니언기어(20)와 상기 랙기어(22) 사이의 간격이 작으면 조립이 어렵고 조작에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보다 새로운 대처 방안의 강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using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조립 및 조작이 용이하면서도 백래쉬를 감소시키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operate while reducing backlash. has its purpose i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는, 시트의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고 높이 조정유닛과 연동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고 시트의 이동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랙기어,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랙기어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랙기어를 상기 피니언기어에 가압되어 백래쉬를 방지하도록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nion gear installed on the side frame of the seat and interlocking with the height adjusting unit, the pinion gear is meshed with the pinion gear and the movement of the seat and a rack gear rotatably coupled to the rail, and a stopper installed on the side frame to prevent backlash by pressing the rack gear to the pinion gear when the rack gear moves in one direction.
이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 리벳, 및 상기 지지 리벳과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과 접촉되며 상기 랙기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랙기어를 가압하도록 가압레일이 형성된 압력부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stopper may include a support rivet fixed to the side frame, and a pressure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rivet, contacting the rack gear, and having a pressing rail formed thereon to press the rack gear while sliding along the rack gear. It is possible.
이때, 상기 압력부재는 상기 지지 리벳이 삽입되고 상기 랙기어의 이동 시 상기 랙기어를 누르는 압력이 변하도록 리벳수용부가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pressure member may have a rivet receiving portion formed such that the support rivet is inserted and the pressure pressing the rack gear changes when the rack gear is moved.
또한, 상기 리벳수용부는 상기 지지 리벳의 상대이동에 따라 상기 랙기어를 누르는 압력이 변하도록 상기 가압레일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가압면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ivet receiving portion may include a pressing surface form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rail so as to change the pressure pressing the rack gear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support rivet.
한편,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압력부재 및 상기 지지 리벳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랙기어의 이동 시 상기 랙기어를 누르는 압력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상기 압력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형성된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stopper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pring provided between the pressure member and the support rivet and configur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ure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pressing the rack gear increases when the rack gear is moved. do.
한편, 상기 가압레일은 상기 랙기어와 면 접촉하도록 형성된 지지면부, 및 상기 랙기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면부의 양 측 단부에서 상기 피니언기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레일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 rail may include a support surface portion formed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rack gear, and rail guide portions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surfac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pinion gear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rack gear. do.
이때, 상기 지지면부는 마찰 손실을 방지하도록 윤활재가 도포되는 윤활홈이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upport surface portion is formed with a lubricating groove to which a lubricant is applied to prevent friction los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에 의하면,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사이의 간격이 크고 작음에 무관하게 백래쉬 방지에 필요한 압력을 인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essure required to prevent backlash can be applied irrespective of whether the gap between the rack gear and the pinion gear is large or small.
도 1은 종래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장치를 사이드 프레임의 외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장치를 사이드 프레임의 내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를 사이드 프레임의 내부에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를 사이드 프레임의 외부에서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도 3에서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및 스토퍼의 결합 부분을 확대한 정면도,
도 6은 도 5에서 지지 리벳 및 가압스프링을 노출시킨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에서 압력부재 및 가압스프링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의 압력부재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의 압력부재의 저면도,
도 10은 시트쿠션 상승 조작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의 작동 내용을 설명한 개념도,
도 11은 시트쿠션 하강 조작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의 작동 내용을 설명한 개념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at cushion height adjustment device from the outside of the side fram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conventional seat cushion from the inside of the side fram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inside of the side frame;
4 is a rear view showing the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outside of the side frame;
5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rack gear, the pinion gear, and the stopper in FIG. 3;
6 is a view in which the support rivet and the pressure spring are exposed in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member and the pressure spring are coupled in the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the pressure member of the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view of the pressure member of the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seat cushion raising operation;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seat cushion lowering oper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는, 피니언기어(100), 랙기어(200) 및 스토퍼(3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300)는 지지 리벳(310), 압력부재(320) 및 가압스프링(330)을 포함한다.3 to 6, the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때, 상기 피니언기어(100)는 시트의 사이드 프레임(1)에 설치된다(도 3 참조). 한편, 상기 피니언기어(100)는 높이 조정유닛(2)과 연동되도록 결합된다(도 4 참조). 즉, 상기 사이드 프레임(1)의 일측 면(내측 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00)가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1)의 타측 면(외측 면)에는 상기 높이 조정유닛(2)이 배치되며, 상기 높이 조정유닛(2)과 상기 피니언기어(100)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1)을 관통하여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피니언기어(100)에는 상기 랙기어(200)와 치합되도록 기어 이(투스)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Meanwhile, gear teeth (teeth) are formed in the
상기 랙기어(200)의 일 측 단부는 시트의 이동레일(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랙기어(200)의 일 측 단부는 상기 이동레일(3)과 축결합된다.One end of the
상기 랙기어(200)의 타 측은 상기 피니언기어(100) 및 상기 스토퍼(300) 사이에 끼워져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즉, 상기 랙기어(200)의 타 측에서 하측 면(차량의 바닥 방향)은 상기 피니언기어(100)와 치합되도록 기어 이가 형성되고, 상기 랙기어(200)의 타 측에서 상측 면(차량의 천장 방향)은 상기 스토퍼(300)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압력부재(320)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랙기어(200)는 상기 피니언기어(100)가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기어(100) 및 상기 스토퍼(300) 사이를 이동한다.The other side of th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리벳(310)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1)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가압스프링(330)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지지 리벳(31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압력부재(320)에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된다.5 and 6 , the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부재(320)는 상기 지지 리벳(310)과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200)와 접촉되도록 구비되되, 가압레일(321), 리벳수용부(323) 및 스프링수용홈(325)을 포함한다.6 to 9 , the
즉, 상기 가압레일(321)은 상기 압력부재(320)의 하측(차량의 바닥 방향) 면에 형성되고, 지지면부(321a), 레일가이드부(321b) 및 윤활홈(321c)을 포함한다.That is, the
상기 지지면부(321a)는 상기 랙기어(200)의 상측(차량의 천장 방향) 면과 면접촉되도록 평면 형태로 형성된다.The
상기 레일가이드부(321b)는 상기 지지면부(321a)의 양 측(차량의 양 측면 방향) 단부에서 상기 피니언기어(10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면부(321a)와 상기 레일가이드부(321b)로 형성된 홈에 상기 랙기어(200)의 상측(차량의 천장 방향) 면이 수용된다.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압레일(321)에는 상기 지지면부(321a)에서 상측(차량의 천장 방향)으로 윤활홈(321c)이 형성되고, 상기 윤활홈(321c)에는 윤활재가 도포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리벳수용부(323)는 상기 지지 리벳(310)이 수용되도록 홀 형태를 이루되, 가압면부(323a), 대경부(323b), 소경부(323c) 및 연결부(323d)를 포함한다. The
상기 가압면부(323a)는 상기 가압레일(321)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가압면부(323a)는 빗면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에서 상기 가압면부(323a)의 기울기는 15도 이상, 25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대경부(323b)는 상기 가압면부(323a)와 연결되고, 곡면을 가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대경부(323b)의 곡면은 상기 지지 리벳(310)의 반지름보다 큰 반지름(곡률 반지름)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large-
상기 소경부(323c)는 상기 가압면부(323a)와 연결되되, 상기 가압면부(323a)를 기준으로 상기 대경부(323b)의 반대 쪽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소경부(323c)는 상기 대경부(323b)의 반지름(곡률 반지름)보다 작고, 상기 지지 리벳(310)의 반지름과 같거나 작은 반지름(곡률 반지름)을 갖는다.The
상기 연결부(323d)는 상기 대경부(323b) 및 상기 소경부(323c)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323d)는 상기 가압면부(323a)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The connecting
그러므로, 상기 가압면부(323a)는 상기 대경부(323b)와 연결되는 부분에서부터 높이(상기 가압레일(321)을 기준으로 한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된다.Therefore, the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 리벳(310)은 상기 압력부재(320)가 상기 랙기어(200)와 함께 이동할 경우 상기 대경부(323b)와 상기 소경부(323c) 사이에서 상대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되, 상기 가압면부(323a)를 따라 상대이동하면서 상기 압력부재(320)를 상기 피니언기어(100) 방향으로 가압시킨다.As a result, when the
상기 스프링수용홈(325)는 상기 대경부(323b)에서 함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가압스프링(330)이 수용되도록 형성된다.The spring
상기 가압스프링(330)은 상기 지지 리벳(310) 및 상기 압력부재(320)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가압스프링(330)은 상기 압력부재(320)의 상기 스프링수용홈(325)에 일측 단부가 수용되고, 상기 지지 리벳(310)에 타측 단부가 접촉된다.The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gear gap adjusting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
도 10을 참조하면, 시트쿠션의 상승 조작 시, 상기 피니언기어(100)가 회전하면서 회전력(FR)을 상기 랙기어(200)에 전달하고, 상기 랙기어(200)는 시트가 상승하도록 병진운동한다. 즉, 상기 랙기어(200)가 이동하는 힘(FU)에 의하여 차량의 시트(도면 미기재)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랙기어(200)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압력부재(320)도 상기 랙기어(200)와의 마찰에 의하여 함께 이동한다. 그 결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상기 지지 리벳(310)은 상기 가압면부(323a)를 누르게되고, 상기 지지 리벳(310)이 상기 지지면부(323a)를 누르는 힘(FP) 중에서 상기 랙기어(200)와 수직한 방향의 성분은(Fy) 상기 압력부재(320)가 상기 랙기어(200)를 누르는 힘이 된다. 또한, 상기 지지 리벳(310)이 상기 지지면부(323a)를 누르는 힘(FP) 중에서 상기 랙기어(200)와 나란한 방향의 성분은(Fx) 상기 지지 리벳(310)이 상기 가압면부(323a)를 따라 이동하는 힘이 된다. 그러므로 시트쿠션의 상승 조작 시에는 상기 압력부재(320)가 상기 랙기어(200)를 누르는 힘이 점차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랙기어(200)와 상기 피니언기어(100) 사이의 간격(공간)이 점차 감소하면서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when the seat cushion is lifted, the
도 11을 참조하면, 시트쿠션의 하강 조작 시, 상기 피니언기어(100)가 회전(상승 조작 시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하면서 회전력(FR)을 상기 랙기어(200)에 전달하고, 상기 랙기어(200)는 시트가 하강하도록 병진운동한다. 즉, 상기 랙기어(200)가 이동하는 힘(FD)에 의하여 차량의 시트(도면 미기재)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랙기어(200)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압력부재(320)도 상기 랙기어(200)와의 마찰에 의하여 함께 이동한다. 그 결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상기 지지 리벳(310)은 상기 대경부(323b) 방향으로 상대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압스프링(330)이 순간적으로 압축되었다가 상기 압력부재(320)에 탄성력(FE)을 인가하여 상기 압력부재(320)를 상기 랙기어(20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 리벳(310)이 상기 지지면부(321a)를 누르도록 상대이동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쿠션의 하강 조작 시에도 상기 가압스프링(330)에 상기 압력부재(320)가 상기 랙기어(200)를 누르는 최소한의 힘을 유지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when the seat cushion is lowered,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벳수용부(323)에서 상기 대경부(323b)의 내주면 직경(곡률 반지름)을 상기 지지 리벳(310)의 반지름보다 크게 형성시켜 상기 지지 리벳(310)이 상기 압력부재(320)에 용이하게 조립되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radius of curvature)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압면부(323a)를 통하여 상기 압력부재(320)가 상기 랙기어(200)를 누르는 힘이 서서히 연속적으로 증가되므로, 상기 랙기어(200)와 상기 피니언기어(100) 사이의 간격이 크고 작음에 무관하게 백래쉬 방지에 필요한 압력을 인가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 시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조작력도 서서히 증가하므로 조작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rce by which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it is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e pers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 : 사이드 프레임
2 : 높이 조정유닛
3 : 이동레일
100 : 피니언기어
200 : 랙기어
300 : 스토퍼
310 : 지지 리벳
320 : 압력부재
321 : 가압레일
323 : 리벳수용부
323a : 가압면부
323b : 대경부
323c : 소경부
330 : 가압스프링1: side frame
2: height adjustment unit
3: moving rail
100: pinion gear
200: rack gear
300: stopper
310: support rivet
320: pressure member
321: pressurized rail
323: rivet receiving part
323a: pressurized surface part
323b : Daegyeongbu
323c: small diameter
330: pressure spring
Claims (7)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고, 시트의 이동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랙기어;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랙기어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랙기어를 상기 피니언기어에 가압시켜 백래쉬를 방지하도록 형성된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 리벳; 및
상기 지지 리벳과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과 접촉되며, 상기 랙기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랙기어를 가압하도록 가압레일이 형성된 압력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부재는,
상기 지지 리벳이 삽입되고, 상기 랙기어의 이동 시 상기 랙기어를 누르는 압력이 변하도록 리벳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벳수용부는,
상기 지지 리벳의 상대이동에 따라 상기 랙기어를 누르는 압력이 변하도록 상기 가압레일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가압면부;
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a pinion gear installed on the side frame of the seat,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height adjusting unit, and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height adjusting unit;
a rack gear meshed with the pinion gear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rail of the seat; and
a stopper installed on the side frame to prevent backlash by pressing the rack gear against the pinion gear when the rack gear moves in one direction;
including,
The stopper is
a support rivet fixed to the side frame; and
a pressure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rivet, in contact with the rack gear, and formed with a pressing rail to press the rack gear while sliding along the rack gear;
includes,
The pressure member is
The support rivet is inserted, and a rivet receiving part is formed so that the pressure pressing the rack gear changes when the rack gear is moved;
The rivet receiving part,
a pressing surface form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rail so as to change the pressure pressing the rack gear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support rivet;
Gear gap adjustment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ment device comprising a.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압력부재 및 상기 지지 리벳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랙기어의 이동 시 상기 랙기어를 누르는 압력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상기 압력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형성된 가압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is
a pressure spring provided between the pressure member and the support rivet and configur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ure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pressing the rack gear increases when the rack gear is moved;
Gear gap adjustment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고, 시트의 이동레일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랙기어;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랙기어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랙기어를 상기 피니언기어에 가압시켜 백래쉬를 방지하도록 형성된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 리벳; 및
상기 지지 리벳과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과 접촉되며, 상기 랙기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랙기어를 가압하도록 가압레일이 형성된 압력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레일은,
상기 랙기어와 면 접촉하도록 형성된 지지면부; 및
상기 랙기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면부의 양 측 단부에서 상기 피니언기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레일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a pinion gear installed on the side frame of the seat,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height adjusting unit, and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height adjusting unit;
a rack gear meshed with the pinion gear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rail of the seat; and
a stopper installed on the side frame to prevent backlash by pressing the rack gear against the pinion gear when the rack gear moves in one direction;
including,
The stopper is
a support rivet fixed to the side frame; and
a pressure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rivet, in contact with the rack gear, and formed with a pressing rail to press the rack gear while sliding along the rack gear;
includes,
The pressure rail is
a support surface portion formed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rack gear; and
a rail guide part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surface in a direction of the pinion gear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rack gear;
Gear gap adjustment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지지면부는,
마찰 손실을 방지하도록 윤활재가 도포되는 윤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기어 간격 조절구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 surface portion,
Gear gap adjustment structure of a seat cushion height adju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lubricating groove to which a lubricant is applied is formed to prevent friction los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3341A KR102400917B1 (en) | 2017-10-31 | 2017-10-31 | Gap adjusting structure for hight adjusting apparatus of seat cu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3341A KR102400917B1 (en) | 2017-10-31 | 2017-10-31 | Gap adjusting structure for hight adjusting apparatus of seat cus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8408A KR20190048408A (en) | 2019-05-09 |
KR102400917B1 true KR102400917B1 (en) | 2022-05-24 |
Family
ID=6654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3341A Active KR102400917B1 (en) | 2017-10-31 | 2017-10-31 | Gap adjusting structure for hight adjusting apparatus of seat cus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091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933381B (en) * | 2017-12-12 | 2023-09-15 | 湖北中航精机科技有限公司 | Seat height adjusting device and seat |
KR20210082659A (en) | 2019-12-26 | 2021-07-06 | 대일공업주식회사 | Apparatus for crimping pipe |
KR102252151B1 (en) | 2019-12-26 | 2021-05-14 | 대일공업주식회사 | Equipment for crimping pipe automatically |
DE102020111489B4 (en) * | 2020-01-23 | 2023-06-01 | Adient Us Llc | VEHICLE SEAT WITH A DRIVE DEVICE |
KR102356175B1 (en) * | 2020-03-31 | 2022-01-27 | 주식회사다스 | Seat Height Adjust Device for Automobile |
FR3121645B1 (en) * | 2021-04-13 | 2023-03-03 | Faurecia Sieges Dautomobile | Mechanism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vehicle seat cushion frame |
CN116588620A (en) * | 2022-02-07 | 2023-08-15 |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 Carrier transfer system, transfer system and carrier transfer metho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023988A1 (en) | 2000-08-30 | 2002-02-28 | Burkhard Becker | Height-adjustable underframe of a vehicle seat with two side parts |
KR101744530B1 (en) * | 2016-05-11 | 2017-06-29 | 주식회사다스 | Overlap setting structure for height adjustment apparatus of seat cushio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8247A (en) * | 2008-05-13 | 2009-11-18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Car steering gear |
KR101260399B1 (en) * | 2011-01-17 | 2013-05-07 | 남양공업주식회사 | Supporting structure for rack bar |
KR20150021662A (en) * | 2013-08-21 | 2015-03-03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Clearance setting device of steering gear for car |
KR101654187B1 (en) | 2014-11-13 | 2016-09-05 | 주식회사 톨트리디자인 | Water level control means, water suppl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water supply system |
KR102402990B1 (en) * | 2015-11-27 | 2022-05-27 | 주식회사 다스 |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seat of vehicle |
-
2017
- 2017-10-31 KR KR1020170143341A patent/KR10240091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023988A1 (en) | 2000-08-30 | 2002-02-28 | Burkhard Becker | Height-adjustable underframe of a vehicle seat with two side parts |
KR101744530B1 (en) * | 2016-05-11 | 2017-06-29 | 주식회사다스 | Overlap setting structure for height adjustment apparatus of seat cush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8408A (en) | 2019-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00917B1 (en) | Gap adjusting structure for hight adjusting apparatus of seat cusion | |
KR102402990B1 (en) |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seat of vehicle | |
CN104661870B (en) | Vehicle seat | |
EP2805645A1 (en) | Sofa | |
WO2014077389A1 (en) | Operating lever, seat device, and operating section structure | |
KR20130056200A (en) | Synchronizing device for a drawer slide mechanism | |
JP2013116312A (en) | Chair | |
KR102010339B1 (en) | Actuator | |
EP2805642A1 (en) | Angle-adjustable hinge | |
WO2018096916A1 (en) | Power seat slide device | |
CN111605459A (en) | A seat armrest assembly adjustment device | |
JP5465410B2 (en) | Angle adjustment bracket | |
KR102493503B1 (en) | The Height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Seat | |
JP6588025B2 (en) | Rotation motion control mechanism and seat | |
KR101600191B1 (en) | Seat rail for vehicle | |
KR102547391B1 (en) | Seat sliding apparatus for vehicle | |
CN210821920U (en) | Electric sliding rail | |
JP6441164B2 (en) | Solar radiation shielding device speed adjustment device | |
KR102236699B1 (en) | Seat sliding device for vehicle | |
JP7085407B2 (en) | Switchgear of switchgear and switchgear | |
JP5687781B2 (en) | Angle adjustment bracket | |
KR102527551B1 (en) | Seat Track Structure for Vehicle | |
KR20250073849A (en) | up-down driving apparatus having roller damper | |
KR20250073850A (en) | up-down driving apparatus having biaxial roller damper | |
JP2019202664A (en) | Lifte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0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