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438B1 - Flag stick with anti-winding function - Google Patents
Flag stick with anti-winding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0438B1 KR102400438B1 KR1020200174040A KR20200174040A KR102400438B1 KR 102400438 B1 KR102400438 B1 KR 102400438B1 KR 1020200174040 A KR1020200174040 A KR 1020200174040A KR 20200174040 A KR20200174040 A KR 20200174040A KR 102400438 B1 KR102400438 B1 KR 1024004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fixture
- flag
- flagpole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김방지 기능을 갖는 국기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게양[揭揚]된 국기가 바람에 의해 휘날리는 상태에서 국기봉에 감겨서 말려있는 상태가 되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바람이 발생하더라도 국기가 펼쳐져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ional flag pole having an anti-winding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by improving the structure so that the hoisted national flag does not become rolled up by the wind in a state in which it is blown by the wind, even when wind occurs It's about the technology that made the flag stay open.
일반적으로 국기봉은 국가의 국경일이나 다양한 목적을 기념하는 행사에 있어서, 나라를 상징하는 국기를 게양[揭揚]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In general, the national flag pole corresponds to the composition for raising the national flag symbolizing the country in events commemorating national holidays or various purposes.
상기 국기봉에 설치되는 국기는 직물재질로 이루어져 바람이 통과하지 못하고 저항이 생겨 쉽게 변형될 수 있고, 대부분의 형상이 좌우 폭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쉽게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national flag installed on the flag stick is made of a fabric material, so wind does not pass through it and resistance is generated, so it can be easily deformed. It has no structure.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바람이 많이 불거나 바람의 방향이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국기가 국기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감겨있는 형태가 된다. 이렇게 감겨있는 형태가 되면, 외부에서 국기의 종류를 파악할 수 없게 되고 그로 인해 국기봉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국기가 감겨있는 국기봉은 미관을 해치고 국기의 위상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Due to this structural problem, if the wind blows a lot or the wind direction is irregular, the national flag will be in the form of being wound around the national flag pole. In this way, the type of national flag cannot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and thus the original role of the national flag stick cannot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national flag pole with the national flag wound has a problem in that it harms the aesthetics and impairs the status of the national flag.
따라서, 국기가 감겨있는 국기봉은 관리자가 직접 국기가 게양된 위치까지 올라가서 감긴부분을 펼치거나, 너무 높은곳의 경우 막대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바람이 계속 부는 경우, 감겨있는 국기를 펼치더라도 다시 감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for the flagpole on which the flag is wound, the manager directly climbs up to the position where the flag is hoisted and unfolds the wound part, or if it is too high, a tool such as a stick is used. However, if the wind continues to blow, there is a problem such as rewinding even if the wound flag is unfolded.
이러한 국기가 감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53328호(깃발 게양장치)에는 깃봉이 결합된 고정깃대 상단부에 파이프 형태로 슬라이브를 강제 끼움한 회전깃대가 삽입되고 회전깃대가 고정깃대 외주 둘레를 따라 원활히 회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을 지지하는 작용을 하는 스토퍼를 상기 고정깃대 하단부에 체결하는 공지의 깃발 게양장치에 있어서 고정깃대 상에서 삽입된 회전깃대의 상·하단부에 위치하여 회전깃대의 원활한 회동을 슬라이딩 지지하고 가이드링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조임장치와; 끼움고리가 형성된 상단 슬라이브와, 하단 슬라이브 일측으로 형성된 끼움링에 고무줄링에 의하여 탈착고리가 연결 결합된 형태의 탈착장치를 갖도록 형성된 회전깃대와; 상기 탈착고리와 가이드링에 깃발과 보조 상징물을 체결공을 통해 직접 탈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s a technology to solve the problem of winding the national flag,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53328 (flag hoisting device), a rotating flagpole with a pipe-shaped slide forcedly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fixed flagpole to which the flagpole is attached is inserted and rotated. In a known flag hoisting device that fastens a stopper that supports sliding so that the flagpole can rotate smooth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ed flagpole to the lower end of the fixed flagpole, a tightening device for slidingly supporting the smooth rotation of the rotary flagpol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ring; a rotary flagpole formed to have a detachable device in the form of an upper slide having a fitting ring formed thereon, and a detachable ring connected to the fitting r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lide by a rubber band ring; A technology configured to be used by directly attaching and detaching a flag and an auxiliary symbol to the detachable ring and the guide ring through a fastening hole is disclosed.
상기 선행기술은 깃대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국기(깃발)가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한 기술이지만, 국기가 설치되는 부분에 있어서, 상,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었더라도 바람의 영향으로 국기의 상부와 하부에 전달되는 힘의 편차로 인해 감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The prior art is a technique to prevent the national flag (flag) from being wound by being configured to rotate the flagpole, but since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are fixed in the part where the national flag is installed, the wind As a result, a winding phenomenon may occur due to the deviation of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la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국기의 상,하부가 설치되는 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하되, 회전되는 부분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바람의 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종래대비 감김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국기봉의 미관을 개선하고 관리자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감김방지 기능을 갖는 국기봉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national flag are installed to be rotatably installed, but the position of the rotated portion is not fixed and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wind direc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tional flag stick having an anti-winding function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warping phenomenon compared to the prior art by configuring it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flag stick and eliminate the hassle of the manager.
본 발명은 봉상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깃대와, 상기 깃대의 상부 특정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정대와, 상기 상부고정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국기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상부고리와, 상기 상부고정대의 설치위치부터 하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깃대상에 설치되는 하부고정대와, 상기 하부고정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국기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하부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고리는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agpole made of a rod-like shape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upper fixture fixedly installed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flagpole, an upper ring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fixture to connect the upper end of the national flag; A lower fixture installed on the flag objec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upper fixture in the lower direction, and a lower ring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fixture to connect the lower end of the national fla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a vertically movable form.
또한 상기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부고리와 하부고리의 상,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 사이에는 상부고리 및 하부고리가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fixtures, support jaws for limiting the upper and lower movements of the upper and lower rings are respectively formed, and between the support jaws, the upper and lower ring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ylindrical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또한 상기 상부고정대의 지지턱 간격은 상부고리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부고리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고정대의 지지턱 간격은 하부고리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하부고리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jaw interval of the upper fixture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ring, so that the upper ring does not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upport jaw interval of the lower fixture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ower r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ring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의 지지턱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고리와 하부고리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jaws of the upper and lower fixtures are configured in a detachable form, so that the upper and lower rings are easily coupled.
본 발명은 국기의 상부가 결합되는 상부고리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국기의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고리는 회전가능하면서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람이 불 때 감김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바람이 위로 불때 바람의 방향대로 하부고리가 위로 상승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저항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그로 인해 회전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ing to which the upper part of the national flag is coupled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lower ring 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national flag is coupled is rotatably coupled to enable vertical movement, thereby minimizing the winding phenomenon when the wind blows, In particular, when the wind blows upward, since the lower ring rotates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wind, little rotational resistance occurs,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rotational deviation.
도 1은 본 발명의 감김방지 기능을 갖는 국기봉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감김방지 기능을 갖는 국기봉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감김방지 기능을 갖는 국기봉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고정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고정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고정대 및 하부고정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상부고리 및 하부고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하부고리에 하부고리에 무게추를 더 형성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의 상부고정대의 또 다른 형태의 결합실시예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national flag stick having an anti-wind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ational flag stick having an anti-wind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national flag stick having an anti-wind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wer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and lower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8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ring and the lower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weight is further formed on the lower ring on the lower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1 are views showing a coupling embodiment of another form of the upper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감김방지 기능을 갖는 국기봉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깃대(100)와, 상기 깃대(100)의 상부 특정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정대(200)와, 상기 상부고정대(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국기(A)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상부고리(300)와, 상기 상부고정대(200)의 설치위치부터 하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깃대(100)상에 설치되는 하부고정대(400)와, 상기 하부고정대(4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국기(A)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하부고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고리(500)는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기술들은 대부분 회전기능만 부가하여 국기의 감김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그러나, 바람의 방향과 세기 또는 회전저항에 따라 상부와 하부의 회전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국기가 감기는 문제가 발생하였던 바, 본 발명을 통해 상부와 하부의 회전편차를 최소화하고 바람의 방향에 따라 국기의 고정위치를 유동적으로 변경되도록 구성하여 감김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Most of the prior art tried to obtain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winding of the flag by adding only a rotation function. However,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strength or rotational resistance of the wind, rotational deviation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may occur, which caused a problem in which the national flag is woun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deviation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s minimized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inding problem by configuring the fixed position of the flag to be flexibly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본 발명의 특징은 국기(A)가 고정되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가 이루어지되, 상부는 수직이동이 되지 않은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하부는 회전과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람의 영향에 따라 국기(A)가 회전하더라도 상황에 맞게 회전 또는 수직방향으로 자유이동이 가능하여 국기(A)가 깃대(100)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A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to which the national flag (A) is fixed are rotatably installed, respectively, the upper part is installed to be rotated without vertical movement, and the lower part is installed so that rotation and vertical movement are possible. Even if the flag (A) rotates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wind, it is possible to rotate or move fre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reby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the flag (A) being wound around the flagpole (100).
본 발명의 깃대(10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지름이 서로 다른 봉을 다 단으로 연결하여 인출 또는 인입하는 형태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이는 종래의 신축조절 구성과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그리고 깃대(100)의 상단부에는 최종적으로 헤드부재(110)가 끼워지게 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400)는 깃대(100)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400)의 간격은 국기(A)의 수직방향 크기에 맞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400)의 재질은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로 적용될 수 있으며, 결합방식은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400)의 내경이 깃대(100)의 외경과 거의 같게 하여 강제끼움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400)는 한번 설치하고나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며, 위치 역시 고정되어 있으나 필요시 분리제거 또는 바꿀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4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고리(300)와 하부고리(500)의 상,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턱(60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600) 사이에는 상부고리(300) 및 하부고리(500)가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700);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The
상기 상부고정대(200)의 지지턱(600) 간격은 상부고리(300)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부고리(30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고정대(400)의 지지턱(600) 간격은 하부고리(50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하부고리(500)가 지지턱(600) 간격 범위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부고정대(200)의 원통부(700)가 형성된 구간보다 하부고정대(400)의 원통부(700)가 형성된 구간을 더 길게 함으로써 하부고리(500)의 수직이동이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The
본 발명의 상부고리(300)와 하부고리(5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4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국기(A)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고리부(310)(510)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국기(A)와 결합되는 부분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도록 한다.The
아울러, 상기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400)의 지지턱(600)은 도 4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고리(300)와 하부고리(500)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이 좋다. 이때 탈부착 구조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凹凸]형태로 끼워서 결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물론, 지지턱(600)을 분리하지 않고, 상부고리(300)와 하부고리(500)를 " C " 형태로 구성하여 일측에서 벌어지는 형태로 끼울 수 있지만, 분리결합과정에서 상부고리(300)와 하부고리(5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턱(600)을 분리한 상태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without separating the
본 발명의 지지턱(600)은 상기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모두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하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부고정대(200)는의 상부에는 헤드부재(110)가 결합되기 때문에 상부고리(300)가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헤드부재(110)가 지지해줄 수 있고, 하부고정대(400)는 길게 형성된 원통부(700)를 통해 일시적으로 하부고리(500)가 상승한다 하더라도 중력에 의해 다시 하강하여 하부에 형성된 지지턱(600)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The supporting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400) 각각 일측에 수직으로 절개된 슬릿부(8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릿부(800)가 형성함에 따라 상구고정대와 하부고정대(400)의 깃대(100) 결합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결합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복원력에 의해 강한 압력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he
상기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400)의 내주면에는 강한 고정력을 위해 고무와 재질의 밀착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있거나 코팅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adhesion member (not shown) made of rubber and material is coupled or co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상부고리(300)와 하부고리(5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고리(300)와 하부고리(500)의 안쪽면이 전체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일부만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회전시 마찰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즉, 도 7과 같이 복수의 원호부(910)를 둘레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원호부(910)가 연결되는 부분에만 상부고정대(200) 또는 하부고정대(400)에 접촉되도록 하거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고리(300)와 하부고리(500)의 내측에 돌출부(920)를 형성하여 돌출부(920)만 접촉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7 to 8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기존의 회전식 국기봉의 경우, 바람이 위로 불때 회전하는 방향에 저항이 발생하여, 상부와 하부의 회전편차가 발생하여 감김현상이 발생했던 반면,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바람이 위로 불때 바람의 방향대로 하부고리(500)가 위로 상승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저항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그로 인해 회전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지게 된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otary flagpole, when the wind blows upward, resistance occur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causing a rotational devi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o cause a winding phenomenon. As the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서 하부고리(5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부고리에 형성된 고리부(510)의 반대편에 무게추(520)를 더 형성한 구성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무게추(520)를 형성하는 이유는, In addition, FIG.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바람에 의해 하부고리(500)가 일시적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바람이 사라진 경우, 하부고리(500)는 하부고정대(400)를 따라 수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고리부(510)에는 국기(A)가 결합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무게중심이 고리부(510) 측으로 편중되기 때문에, 하부고리(500)의 하강작용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고리부(510)의 반대편에 고리부(510)의 무게와 깃발의 하중을 감안하여 적당한 무게로 무게추(520)를 형성하여, 하강시 하부고리의 고리부(510) 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안정적인 하강을 유도할 수 있다. When the wind disappears while the
그리고 상부고리(300)는 상승 및 하강작용을 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상부고리 까지 무게추(520)를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And, since the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의 상부고정대(200)의 형상을 변경하여, 헤드부재(110)가 깃대(100)에 결합되지 않고 상부고정대(200)에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에 해당한다. 즉, 깃대(100)의 상단부에 상부고정대(200)가 결합되고, 상부고정대(200)의 상부에 헤드부재(110)가 결합되는 것이다. 10 to 11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도 10은 헤드부재(110)가 상부고정대(2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헤드부재(110)가 상부고정대(200)의 외측에 끼워지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헤드부재(110)가 상부고정대(2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헤드부재(110)가 상부고정대(200)의 내측에 끼워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10 shows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 국기 100 : 깃대
110 : 헤드부재 200 : 상부고정대
300 : 상부고리 310 : 고리부
400 : 하부고정대 500 : 하부고리
510 : 고리부 520 : 무게추
600 : 지지턱 700 : 원통부
800 : 슬릿부 910 : 원호부
920 : 돌출부A : National flag 100 : Flagpole
110: head member 200: upper fixture
300: upper ring 310: ring portion
400: lower fixture 500: lower ring
510: hook 520: weight
600: support jaw 700: cylindrical part
800: slit part 910: arc part
920: protrusion
Claims (4)
상기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4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부고리(300)와 하부고리(500)의 상,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턱(60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600) 사이에는 상부고리(300) 및 하부고리(500)가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700);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리(500)에 구비되는 고리부(510)의 반대편에는 무게추(52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대(200)의 지지턱(600) 간격은 상부고리(300)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부고리(30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고정대(400)의 지지턱(600) 간격은 하부고리(50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하부고리(500)가 지지턱(600) 간격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방지 기능을 갖는 국기봉
A flagpole 100 made of a rod shape and formed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upper fixture 200 fixedly installed at a specific upper position of the flagpole 100, and a national flag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fixture 200 The upper ring 300 to which the upper end of A) is connected, the lower fixture 400 installed on the flagpole 100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upper fixture 200, and the lower fixture ( 4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ring 500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national flag (A) is connecte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fixture 200 and the lower fixture 400 are provided with support jaws 600 for limiting up and down movement of the upper ring 300 and the lower ring 500, respectively, and the support jaws ( Between 600), the upper ring 300 and the lower ring 50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700; is formed,
A weight 52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ing portion 510 provided in the lower ring 500,
The support jaw 600 interval of the upper fixture 2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ring 300, so that the upper ring 300 does not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fixture 400 An anti-wind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of the supporting jaw 600 is forme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ower ring 500, and the lower ring 500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supporting jaw 600 interval. flag stick with
상기 상부고정대(200)와 하부고정대(400)의 지지턱(600)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고리(300)와 하부고리(500)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김방지 기능을 갖는 국기봉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jaw 600 of the upper fixture 200 and the lower fixture 400 is configured in a detachable form, so that the upper ring 300 and the lower ring 500 are easily coupled to each other. flag stick wit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4040A KR102400438B1 (en) | 2020-12-14 | 2020-12-14 | Flag stick with anti-winding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4040A KR102400438B1 (en) | 2020-12-14 | 2020-12-14 | Flag stick with anti-winding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0438B1 true KR102400438B1 (en) | 2022-05-20 |
Family
ID=8179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4040A Active KR102400438B1 (en) | 2020-12-14 | 2020-12-14 | Flag stick with anti-winding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043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9013A (en) * | 2000-07-10 | 2000-10-05 | 안성호 | A flagpole |
KR100337671B1 (en) * | 1999-09-14 | 2002-05-30 | 김성수 | Flag early hoisting flagpole |
KR101544355B1 (en) * | 2015-01-29 | 2015-08-13 | 축복국기게양대(주) | Flag pole |
KR20170062011A (en) * | 2015-11-27 | 2017-06-07 | 권오익 | The flag pole |
-
2020
- 2020-12-14 KR KR1020200174040A patent/KR1024004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7671B1 (en) * | 1999-09-14 | 2002-05-30 | 김성수 | Flag early hoisting flagpole |
KR20000059013A (en) * | 2000-07-10 | 2000-10-05 | 안성호 | A flagpole |
KR101544355B1 (en) * | 2015-01-29 | 2015-08-13 | 축복국기게양대(주) | Flag pole |
KR20170062011A (en) * | 2015-11-27 | 2017-06-07 | 권오익 | The flag po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092799A1 (en) | Flag pole mounted unfurling device and associated baton | |
KR102400438B1 (en) | Flag stick with anti-winding function | |
US6422622B1 (en) | Magnet installation and removal device | |
KR101049893B1 (en) | Street light with excellent wind resistance | |
CN115840237B (en) | Atmospheric laser radar | |
JP7044362B2 (en) | High-altitude mounting device for electrical equipment | |
US5400737A (en) | Flagstaff with hand salute figure | |
CN205123947U (en) | A news interview microphone supporting stand | |
JPH01224793A (en) | Flagpole | |
NL2036999B1 (en) | Reel forming method for rotation cable | |
CN207739964U (en) | One kind, which deters, hangs drilling water-separation pipe recycling activity-oriented room | |
JP3695694B2 (en) | Horizontal rail bottom rail lower limit position adjustment device | |
CN217013518U (en) | Decorative cross bar | |
KR200146750Y1 (en) | Banner Fixture for Clock Tower | |
KR200329452Y1 (en) | Flag winding prevention device of flag hoisted stand | |
JP7389435B2 (en) | Insulator replacement aid | |
CN209717579U (en) | A kind of bearing inner sleeve is dedicated to pull out covering device | |
JP3608734B2 (en) | Elevator lift stand fixing device | |
CN221623857U (en) | Scooter with height-adjustable seat | |
CN220174844U (en) | Assembled suspension joint | |
CN218881263U (en) | Steel construction curtain bearing structure | |
CN215722864U (en) | Luminosity-adjustable decorative ceiling lamp | |
CN113882655B (en) | Wall connecting device of bearing type outer frame | |
JPH0228550Y2 (en) | ||
CN110375274B (en) | Punching-free ceiling se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