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8836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836B1
KR102398836B1 KR1020160006125A KR20160006125A KR102398836B1 KR 102398836 B1 KR102398836 B1 KR 102398836B1 KR 1020160006125 A KR1020160006125 A KR 1020160006125A KR 20160006125 A KR20160006125 A KR 20160006125A KR 102398836 B1 KR102398836 B1 KR 102398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main body
magnet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6369A (ko
Inventor
김우진
김성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836B1/ko
Priority to EP16886580.6A priority patent/EP3407575B1/en
Priority to PCT/KR2016/002570 priority patent/WO2017126737A1/ko
Priority to US15/404,176 priority patent/US9930152B2/en
Publication of KR20170086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8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및 제2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바디를 연결하며 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폴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폴딩부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록들 및 상기 폴딩부의 폴딩 또는 언폴딩시, 자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복수의 블록들 각각에 장착되는 복수의 마그넷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접히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더 새롭고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단말기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새로운 형태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거나, 접히는 것이 가능한 단말기가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거나, 접히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가 주목받음에 따라, 단말기의 본체를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폴딩 및 언폴딩하는 메커니즘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휘어짐 또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의 특성을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바디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를 책처럼 펼치고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폴딩 및 언폴딩이 가능한 새로운 폼팩터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목적은, 바디의 폴딩된 상태와 언폴딩된 상태간 전환이 보다 용이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및 제2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바디를 연결하며 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폴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폴딩부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록들 및 상기 폴딩부의 폴딩 또는 언폴딩시, 자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복수의 블록들 각각에 장착되는 복수의 마그넷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들 각각은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폴딩부의 폴딩시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부분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은 상기 폴딩부의 언폴딩시 상기 제2부분들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인력을 부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부분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일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은 상기 복수의 블록들 내에서 상기 제2부분에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은, 상기 폴딩부의 폴딩시 상기 제1부분들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인력을 부가하도록 상기 제1부분들에 장착되는 제1 마그넷들 및 상기 폴딩부의 언폴딩시 상기 제2부분들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인력을 부가하도록 상기 제2부분들에 장착되는 제2마그넷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의 폴딩 여부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마그넷들은 전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상기 폴딩부가 폴딩되거나 언폴딩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및 제2마그넷들 중 어느 하나에는 전류가 흐르고, 다른 하나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중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중간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이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은,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이 배열된 일 방향과 평행한 다른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자세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은 전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상기 중간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에 전류가 흐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언폴딩된 제1상태와 폴딩된 제2상태 사이에서 상태 변경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하게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를 폴딩 또는 언폴딩하는 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본체와 함께 폴딩되어 복원력을 생성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1자력부재 및 상기 본체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와 자력을 생성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2자력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상태 사이에서 상태 변경시 상기 본체에 대한 위치가 변경되도록 자유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본체의 폴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일단과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폴딩영역을 이루는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블록들 각각은, 상기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및 제2부분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부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 시 서로에 대한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전환 시 서로에 대한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제1부분들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자력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단과 인접한 제1위치와 상기 제1위치보다 상기 본체의 일단과 먼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자력부재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리니어 모터에 장착되며, 상기 제2자력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기 설정된 각도로 유지하고자 하는 사용자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2자력부재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리니어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를 상기 제2상태로 변경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2자력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리니어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의 양단에는, 상기 본체가 상기 제2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인력을 부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자석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상태가 전환될 때 지속적으로 외력이 인가될 필요 없이,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한 초기 외력만 인가되면, 나머지 상태 전환은 폴딩부의 동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상태의 중간상태인 제3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단일의 평면을 형성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폴딩영역이 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본체의 상태 변경과 관련된 개념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복수의 마그넷들의 극성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3상태의 구현을 위한 보조 마그넷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본체의 상태 변경과 관련된 개념도이며,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양단이 모두 고정단으로 이루어진 탄성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15a 내지 도 15c는 상기 탄성부의 동작에 의한 본체의 상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전자기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휴대 전자기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휴대 전자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전자파 생성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휴대 전자기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휴대 전자기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전자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 전자기기(100)와 다른 휴대 전자기기(100) 사이, 또는 휴대 전자기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전자기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전자파 생성부(130)는 근거리에 위치한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로써, 직진성을 가지는 전자파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파 생성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하여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파를 생성한다. 즉, 전자파 생성부(130)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자파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파에는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기기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나, 보안을 위한 식별인자가 포함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전자기기 내 정보, 휴대 전자기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 전자기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휴대 전자기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휴대 전자기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전자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전자기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더블 디스플레이(benda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전자기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휴대 전자기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전자기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휴대 전자기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휴대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휴대 전자기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휴대 전자기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휴대 전자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휴대 전자기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휴대 전자기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휴대 전자기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휴대 전자기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휴대 전자기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1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1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 전자기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휴대 전자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 전자기기(100)와 다른 휴대 전자기기(100) 사이, 또는 휴대 전자기기(100)와 다른 휴대 전자기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휴대 전자기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휴대 전자기기(100) 주변에, 상기 휴대 전자기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휴대 전자기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휴대 전자기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 전자기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휴대 전자기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 전자기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자기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 전자기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휴대 전자기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휴대 전자기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휴대 전자기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휴대 전자기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휴대 전자기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휴대 전자기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휴대 전자기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휴대 전자기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휴대 전자기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휴대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휴대 전자기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휴대 전자기기 내 정보, 휴대 전자기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전자기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휴대 전자기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휴대 전자기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휴대 전자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휴대 전자기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로 다른 방식은 터치센서의 활성화 주기와 관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즉,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활성화 주기를 가지면서, 터치센서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터치센서가 기 설정된 특정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주기는, 0보다 큰 시간(time)에 대응되는 주기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터치센서가 항상 활성화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터치센서의 활성화 주기는 0 또는, 0에 매우 가까운 정도의 시간을 갖는 주기일 수 있다.
터치센서의 활성화 여부는, 터치센서의 전력 소모량을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의 전력 소모량이 0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터치센서는 비활성화된 상태에 해당하고, 상기 터치센서의 전력 소모량이 0을 기준으로 상기 기 설정된 기준 값 초과이면, 활성화된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active mode, 이하 '액티브 모드'로 호칭), 상기 터치센서는 계속하여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입력의 인가를 대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dose mode, 이하 '도즈 모드'로 호칭), 터치센서는 기 설정된 특정 주기마다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가 활성화되는 특정 주기가 짧을수록,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속도가 빨라지지만, 그에 따라 터치센서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이 커질 수 있다. 이와 달리, 터치센서가 활성화되는 주기가 길수록, 터치센서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작아지지만,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속도는 느려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주기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터치입력을 감지함에 있어 감지 속도가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을 정도로 빠르면서도, 전력 소모의 효율이 증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주기는 터치센서가 비활성화되어 있다가 1초에 20번(1Hz) 정도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 동안에는, 터치센서도 함께 활성화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센서의 활성화 주기(T)는 0이거나, 0에 매우 가까울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센서의 주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센서가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특정 주기보다 몇 배로 짧을 수 있다. 즉,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되어 있고, 터치센서가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도즈 모드(doze mode)에서, 터치센서에 의하여 기 설정된 터치입력(예를 들어, 소정의 영역을 기준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두드리는 제1 및 제2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도즈 모드(doze mode)를,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센서가 활성화되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주기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닫힘상태에 있는 경우, 도즈 모드를 실행하고,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액티브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터치입력)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21)는 휴대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 카메라(121a)와 후면에 형성되는 제2 카메라(121b)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미도시)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미도시)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또한, 전자파 생성부(미도시)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자파 생성부(미도시)는 제2카메라(121b)가 활성화되는 경우, 생성된 전자파를 방사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전자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전자기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휴대 전자기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제2 음향 출력부(152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휴대 전자기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전자기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사용자 인증 성공/실패,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휴대 전자기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휴대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휴대 전자기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전자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전자기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휴대 전자기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휴대 전자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휴대 전자기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 전자기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휴대 전자기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전자기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휴대 전자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휴대 전자기기의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휴대 전자기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휴대 전자기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휴대 전자기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휴대 전자기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면, 개시된 휴대 전자기기(100)는 바 형태의 휴대 전자기기의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휴대 전자기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휴대 전자기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휴대 전자기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휴대 전자기기의 바디는 휴대 전자기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는, 휴대 전자기기의 바디는 본체로 호칭될 수도 있다.
휴대 전자기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100)는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케이스(101)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1)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1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케이스(101)와 함께 구부러지거나 접어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101)는 플라스틱, 얇은 유리, 섬유 성분, 얇은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 직물, 실리콘과 같은 변형가능한 물질, 또는 이 물질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1)의 부분은 유전성 물질 또는 저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01) 또는 케이스(101)를 구성하는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휴대 전자기기의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휴대 전자기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에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가 리어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후면커버에는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휴대 전자기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휴대 전자기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휴대 전자기기(100)는 휴대 전자기기의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디스플레이부(151)와 프론트 케이스 사이,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와 후면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전자기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광 출력부(154), 제2 카메라(121), 마이크로폰(12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의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고, 휴대 전자기기의 바디의 후면에는 카메라(121),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후면 입력부(123a, 123b). 광 출력부(154)가 배치된 휴대 전자기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1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전자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전자기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또는 '벤더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적어도 일부가 접힘 가능하도록 플렉서블 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의미한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된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여러 층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변형되지 않는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변형된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일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변형된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 전자기기(100)는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하고,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외력이 아닌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 변형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1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케이스(101)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휴대 전자기기(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외부의 물리력에 대응하여 휘어지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진 방향, 휘어진 각도,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복귀 가속도에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기 표시된 스크린 이미지를 재정렬하거나, 분리하거나, 합성하거나, 곡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안쪽으로 휘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된 스크린 이미지가 서로 근접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바깥으로 휘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된 스크린 이미지가 서로 이격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케이스(101)와 함께 구부러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101)는 플라스틱, 얇은 유리, 섬유 성분, 얇은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 직물, 실리콘과 같은 변형가능한 물질, 또는 이 물질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1)의 부분은 유전성 물질 또는 저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01) 또는 케이스(101)를 구성하는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101)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후면 입력부(123a, 123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123a, 123b)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음향 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123a, 123b)는 휴대 전자기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후면 입력부(123a, 123b)는 케이스(101)의 좌측 및 우측 양단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후면 입력부(123a, 123b)는 케이스(101)가 구부러지지 않은 평평한 상태에서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후면에 위치하고, 케이스(101)의 좌측 및 우측 양단이 마주보도록 구부러지는 경우에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 및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휴대 전자기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a, 123b)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휴대기기 바디의 후면에는 후면 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 전자기기의 바디의 전면에 전면 카메라(121a)가 배치되는 경우, 후면 카메라(121b)는 전면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전면 카메라(121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전면에 배치되는 케이스의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전면 카메라(121a)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b)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카메라(121)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후면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후면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또한, 전자파 생성부(130)는 후면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자파 생성부(130)는 후면 카메라(121b)가 활성화되는 경우, 생성된 전자파를 방사한다.
휴대 전자기기의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휴대 전자기기의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휴대 전자기기의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 전자기기(1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 전자기기의 바디의 측면에는 인터페이스부(160, 도 1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휴대 전자기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휴대 전자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배터리(미도시)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책처럼 펼치고 접어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폼팩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구조와 함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형상변경과 관련한 이동 단말기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외형적 특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단일의 평면을 형성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폴딩영역이 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와 전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을 감지하는 센싱부(도 1 참조, 140, 또는 변형감지수단)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벤딩 또는 폴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폴딩(folding)은 단말기의 본체에서 일부분의 곡률 반경이 기준값보다 작게 유지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쉽게 말해 접혀진 상태에 해당한다. 폴딩의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은 서로 맞대어 접촉되거나 근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와 달리, 벤딩(bending)은 단말기의 본체에서 일부분의 곡률 반경이 상기 기준값보다 크게 유지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쉽게 말해 구부러진 상태에 해당한다.
또한, 폴딩과 벤딩은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각도보다 크게 구부러지면 폴딩으로 정의하고, 상기 소정의 각도와 같거나 상기 소정의 각도보다 작게 구부러지면 벤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각도보다 크게 구부러진 경우라도 곡률 반경이 상기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벤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단일의 평면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적어도 일부가 형상이 변경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형상이 변경된 상태는,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폴딩되어 접혀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특정영역이 평면인 제1상태(도 3a 참조)와 상기 특정영역이 곡면으로 접힌 제2상태(도 3b)에 각각 놓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상태에서 폴딩되는 상기 특정영역은 폴딩영역(230)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폴딩영역(230)에 의하여 구분되는 제1바디(210)과 제2바디(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상기 폴딩영역(230)은 제1바디(210)과 제2바디(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210)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일측에 배치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2바디(220)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타측에 배치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딩영역(230)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가장자리가 아니라 중앙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영역(23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 영역이 일정하게 변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본체는 언폴딩된 제1상태와 폴딩된 제2상태 사이에서 상태 변경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의 전체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될 수 있도록, 본체 전체가 플렉서블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본체는 일부 영역만이 플렉서블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체의 플렉서블한 부분을 폴딩영역(203)이라 지칭하고, 상기 본체의 폴딩영역(203)의 양 측에 배치된 부분을 각각 제1 및 제2바디(201, 202)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즉, 본체의 폴딩영역(203)은, 본체상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폴딩영역(230)이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본체의 제1 및 제2바디(201, 202)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제1 및 제2바디(210, 220)이 각각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본체에서 폴딩영역(203)만이 플렉서블하도록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본체는 상기 폴딩영역(203)에서는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것이 가능하나, 상기 제1바디(201)과 제2바디(202)은 플렉서블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와 함께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폴딩영역(203)을 기준으로 접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본체의 제1바디(201)은 상기 폴딩영역(203)을 축으로 제1 화살표 방향(300a)으로 회전하여 구부러지거나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바디(201)과 제2바디(202)은 서로 포개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폴더블 단말기가 구현된다. 이때, 본체의 일면상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도, 제1 및 제2바디(210, 220)이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폴딩영역(203)은 곡선궤적(l)을 따라 폴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곡선궤적은 원의 원주상의 일부분이 되거나, 타원의 원주상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에는 복수의 폴딩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기의 본체의 좌측 단 및 우측 단은 각각 접혀서 듀얼 폴더블 디스플레이(dual foldable display)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본체는 폴딩영역(203)을 기준으로 접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너비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각각 x, y 및 z 방향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폴딩영역의 폴딩과 관련한 제어 동작과, 구조 메커니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본체의 상태 변경과 관련된 개념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의 (a) 및 (c)는 본체가 제1 및 제2상태에 놓인 것을 각각 도시한다. 한편, 도 4의 (b)는 본체가 상기 제1 및 제2상태 사이의 중간 상태(이하, 제3상태라 지칭한다)에 놓인 것을 도시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3상태에서, 본체의 제1 및 제2바디가 둔각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형성하는 각은 0과 180도 사이의 임의의 각일 수 있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가 제1상태에 놓인 상태에서, 외력(f1)이 인가되면 본체의 폴딩영역이 언폴딩되며 상기 제3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의 (b) 및 도 4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가 제3상태에 놓인 상태에서는, 더 이상 외력이 인가되지 않아도 상기 본체에 장착된 폴딩부에 의하여 상기 제3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본체는, 폴딩된 제2상태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를 벗어나기 위한 소정의 외력(f1)이 인가되면, 자동적으로 제1상태에 놓이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폴딩부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폴딩부는, 복수의 블록들(203) 및 상기 복수의 블록들(203)에 장착되는 복수의 마그넷들(310)을 포함한다.
복수의 블록들(203)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인접한 블록들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복록들(203)은, 상기 블록들(203)을 관통하는 연결부에 장착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블록들은, 힌지 구조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힌지 구조는, 인접한 블록들 중 어느 하나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블록들(203)은, 상기 제1상태와 제2상태에서 서로에 대한 간격이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블록들(203)은, 제1상태에서는 서로에 대한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고, 제2상태에서는 서로에 대한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블록들(203) 각각은, 상기 본체의 두께 방향(z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및 제2부분들(203a, 203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부분들(203a, 203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부분들(203a, 203b)은 폴딩부의 폴딩시 각각 내측 및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부분 중 어느 하나(203a)는, 상기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시 서로에 대한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203b)는 상기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전환시 서로에 대한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블록들의 제1부분(203a)들은, 폴딩된 제2상태에서 서로가 접하여 소정의 곡선 궤적을 형성하도록, 측면이 경사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블록들의 제2부분들(203b)은, 언폴딩된 제1상태에서 서로가 접하여 평평해지도록, 측면이 상기 본체의 일면과 대체로 수직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및 제2부분들(203a, 203b) 각각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언폴딩된 제1상태에서는, 제2부분들(203b)이 서로 접하게 되고, 폴딩된 제2상태에서는 제1부분들(203a)이 서로 접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본체의 폴딩 및 언폴딩이 구현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폴딩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마그넷들(310)은, 복수의 블록들(203)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인력을 부가하도록 상기 복수의 블록들(203)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310)은, 상기 복수의 블록들 (203)내에서 상기 제2부분(203b)에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가 제2상태에 놓인 상태에서 약간만 펼쳐지더라도,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310)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2부분들의 간격이 좁혀지며, 본체가 전체적으로 언폴딩된 제1상태에 놓이게 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본체는,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310)의 인력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언폴딩된 제1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가 평평한 곳에 놓인 경우가 아닌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된 경우)에도, 상기 본체는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의 일면의 양단(204, 205)에는, 상기 본체가 제2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인력을 부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자석(204a, 204b)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자석 중 어느 하나(205a)는, 상기 본체의 제1바디(201)의 단부(205)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204a)는 상기 제2바디(202)의 단부(204)에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한 쌍의 자석(204a, 205a)은, 상기 본체가 폴딩된 제2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단부(205, 204)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본체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자석들(204a, 205a)의 인력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폴딩된 제2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5a 또는 5b를 참조하면, 본체의 제1 및 제2바디(201, 202)에도,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 중 가장 바깥쪽에 있는 마그넷들과 인력을 형성할 수 있는 마그넷들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310)은 서로가 마주보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쉴드(shield) 처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쉴드 처리를 위한 비자성 물질(410)은,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310)의 일부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쉴드 처리 되지 않은 부분(마그넷들이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보다 강한 자력이 집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은, 제1 및 제2마그넷들(320, 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마그넷들(320)은, 폴딩된 제2상태에서 제1부분들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인력을 부가하도록, 상기 제1부분들(203a)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마그넷들(330)은, 언폴딩된 제1상태에서 제2부분들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인력을 부가하도록 상기 제2부분들(203b)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상태에서는, 제2 마그넷들(330)의 인력에 의하여 폴딩 영역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제2 상태에서는, 제1 마그넷들(320)의 인력에 의하여 폴딩 영역이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이 영구 자석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들은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석은,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고, 전류를 끊으면 자기화되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자석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은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극성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이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경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본체의 상태(다시 말해, 폴딩부의 폴딩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 마그넷들(320, 330)이 번갈아가며 자기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본체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감지되면, 제1마그넷들(320)은, 상기 제1마그넷들(320)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도록, 전류가 흐르도록 이루어지고, 제2마그넷들(330)은, 상기 제2마그넷들(330) 사이에 자력이 형성되지 않도록,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본체가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감지되면, 제1마그넷들(320)은, 상기 제1마그넷들(320) 사이에 자력이 형성되지 않도록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이루어지며, 제2마그넷들(330)은 상기 제2마그넷들(330)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도록, 전류가 흐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면, 제1 및 제2상태가 전환될 때 지속적으로 외력이 인가될 필요 없이,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한 초기 외력만 인가되면, 나머지 상태 전환은 복수의 마그넷들의 동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블록들 자체가 복수의 마그넷들(340)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을 쉴드하는 비자성 물질(340a)은 상기 본체의 외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310)의 극성 배치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복수의 마그넷들의 극성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이 영구 자석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마그넷의 일부는 제1극성을 띠고, 다른 부분은 제2극성을 띨 수 있다.
도 8의 하단 좌측을 참조하면, 상기 마그넷(310)의 제1극성을 띤 부분(310a)과 제2극성을 띤 부분(310b)이 하나의 블록(203) 내에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마그넷(310)이 상기 블록상(203)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도 8의 하단 우측을 참조하면, 상기 마그넷(310)의 제1극성을 띤 부분(310a)과 제2극성을 띤 부분(310b)이 하나의 블록 내에서 본체의 너비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마그넷(310)이 상기 블록(203)상에 장착될 수 있다.
도 8의 하단 좌측 및 우측 모두의 경우에서, 제1블록 내에 배치된 마그넷의 제1극성을 띤 부분이 상기 제1블록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2블록 내에 배치된 마그넷의 제2극성을 띤 부분과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복수의 마그넷들에 의하여 언폴딩된 제1상태가 구현되는 것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상태의 중간상태인 제3상태의 구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핀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3상태의 구현을 위한 보조 마그넷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b는 본체가 제3상태를 놓인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상태는, 상기 본체가 기 설정된 각도로 접힌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3상태에서는, 상기 본체의 제1 및 제2바디(201, 202)이 폴딩 영역(203)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블록들(203)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본체의 제3상태에서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35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350)은, 복수의 마그넷들(310)이 배열된 본체의 일 방향과 평행한 다른 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310)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350)은 서로에 대하여 인력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350)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310)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350)이 장착된 블록들은, 제2상태에 놓여지지 않고 제3상태에 놓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마그넷들(350)은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전자석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가 폴딩된 제2상태에 놓여진 경우, 상기 보조 마그넷들(35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본체의 양단에 장착된 한 쌍의 자석(204a, 205a)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2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가 언폴딩된 제1상태에 놓여진 경우, 상기 보조 마그넷들(35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복수의 블록들에 장착된 복수의 마그넷들(310)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1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보조 마그넷들(340)이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센싱부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제3상태에 놓여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석이 동작됨으로써, 상기 제3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복수의 블록들에 장착된 복수의 마그넷들에 의하여, 본체의 상태 변환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폴딩부가 탄성부(410)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본체의 상태 변경과 관련된 개념도이며,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의 (a) 및 (c)는 본체가 제1 및 제2상태에 놓인 것을 각각 도시한다. 한편, 도 10의 (b)는 본체가 상기 제1 및 제2상태 사이의 중간 상태(이하, 제3상태라 지칭한다)에 놓인 것을 도시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3상태에서, 본체의 제1 및 제2바디가 둔각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형성하는 각은 0과 180도 사이의 임의의 각일 수 있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가 제1상태에 놓인 상태에서, 소정의 외력이 인가되면 본체의 폴딩영역이 언폴딩되며 상기 제3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의 (b) 및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가 제3상태에 놓인 상태에서는, 더 이상 외력이 인가되지 않아도 상기 본체에 장착된 폴딩부에 의하여 상기 제2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본체는, 언폴딩된 제1상태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를 벗어나기 위한 소정의 외력이 인가되면, 자동적으로 제2상태에 놓이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폴딩부는, 탄성부(410), 상기 탄성부(410)에 장착되는 제1자력부재(510) 및 상기 제1자력부재(510)와 자력을 생성하는 제2자력부재(52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410)는, 상기 본체와 함께 폴딩되어 복원력을 생성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410)는,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410)는, 상기 본체의 일면과 대체로 평행하게 상기 본체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411)과 타단(412)은 상기 본체의 제1 및 제2바디 중 어느 하나(201)와 다른 하나(20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부(410)의 타단(412)은, 상기 본체의 폴딩영역(203)을 기준으로 상기 일단(411)과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411)은, 상기 제1 및 제2상태 사이에서 상태 변경시, 본체에 대한 위치가 변경되도록 자유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410)의 타단(412)은, 상기 본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410)는, 폴딩영역(203)에서도, 복수의 블록들의 제1부분들(203a)를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의 상태에 따라 폴딩영역(203)내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부(410)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a) 및 (c)를 참조하면, 제2상태(도 10의 (c))에서 상기 폴딩영역(203)에 놓이는 탄성부(410)의 길이(r2)는, 제1상태(도 10의 (a))에서 상기 폴딩영역(203)에 놓이는 탄성부(410)의 길이(r1)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탄성부의 일단(411)과 상기 본체의 일단(205)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가 언폴딩된 제1상태에 놓여진 경우,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411)은 상기 본체의 일단(205)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제1거리(l1)에 놓일 수 있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가 폴딩된 제2상태에 놓여진 경우,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411)은 상기 본체의 일단(205)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거리(l3)에 놓일 수 있다.
나아가, 도 10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가 언폴딩된 제2상태에 놓인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예를 들어, 사용자가 임의로 가해주는 힘에 의하여), 제3상태에 놓이게 될 수 있다(도 10의 (a)->(b)).
상기 본체가 제3상태에 놓이게 된 후부터는, 폴딩부의 제1 및 제2자력부재들(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 510, 520)에 의하여, 상기 본체가 자동적으로 제1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도 10의 (b)->(c)).
한편, 상기 제3상태는, 상기 제1 및 제2자력부재(510, 520) 사이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 안에 놓이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폴딩부의 제1 및 제2자력부재들의 동작에 대하여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각각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c)에 대응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제1자력부재(510)는,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411)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2자력부재(520)는, 상기 본체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제1자력부재(510)와 자력을 생성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자력부재(520)는, 상기 본체의 일단(205)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가 제1상태에 놓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411)은 상기 본체의 일단(205)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제1거리(l1)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본체가 외력에 의하여 제1상태에서 제3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411)은 상기 본체의 일단(205)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l1)보다 가까운 제2거리(l2)에 놓이게 된다.
도 11b 및 도 11c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411)이 상기 본체의 일단(205)으로부터 제2거리(l2)에 놓이게 되면, 상기 제1자력부재(510)는 상기 제2자력부재(520)의 영향력 안에 놓이게 된다.
다시 말해, 이때부터는, 사용자가 별도로 인가하는 외력 없이도, 상기 제1 및 제2자력부재(510, 520)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411)이 본체의 일단(205)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이에 의하여, 본체는, 제3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되는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본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자석(204a, 205a)에 의한 인력이 본체의 제1 및 제2바디(201, 202)에 부가됨으로써, 상기 본체는 제2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도 11a 내지 도 11c를 통해 제1 및 제2상태간 전환이 가능한 본체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나, 상기 본체는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에 장착된 제2자력부재(520)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자력부재(520)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의 기 설정된 거리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12d를 참조하면, 상기 제2자력부재(520)는, 상기 본체에 구비된 리니어 모터(53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모터(530)는, 상기 본체상에서 상기 탄성부(4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니어 모터(530)는, 회전운동부(531)와 상기 회전운동부(531)에 연결되는 직선운동부(5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직선운동부(532)는, 회전운동부(531)의 회전 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의 일단(205)을 향해 전진하거나 후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직선운동부(532)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자력부재(520)는 상기 본체의 일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제어부는, 상기 회전운동부(5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직선운동부(532)의 이동 거리가 조절되도록, 상기 회전운동부(53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직선운동부(532)의 이동 거리가 조절되면, 상기 제2자력부재(520)의 이동 거리 역시 함께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도 12a를 참조하면, 본체가 언폴딩된 제1상태일 때, 상기 제2자력부재(520)는, 상기 본체의 일단(205)에 인접한 제1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제어부는, 본체를 기 설정된 각도로 유지하고자 하는 사용자 요청이 입력된 경우, 제2자력부재(520)가 상기 본체의 일단(205)의 반대편을 향하게(또는 상기 본체의 폴딩영역을 향하도록) 이동되어 상기 제1위치와 다른 제2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니어 모터(5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제1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본체의 일단과 먼 위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410)가, 상기 제1자력부재(510)가 상기 제2자력부재(520)와 상기 본체의 너비상의 동일 선(l)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본체는 기 설정된 각을 이루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본체의 제1 및 제2바디(201, 202)이 상기 폴딩영역(203)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각을 이루는 사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를 기 설정된 각도로 유지하고자 하는 사용자 요청은,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지는 터치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2b 및 도 12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본체를 제2상태로 변경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요청이 입력된 경우, 제2자력부재(520)가 상기 본체의 일단(205)을 향하게 이동되어 다시 제1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니어 모터(5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자력부재(510, 520) 사이에 형성된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2자력부재(520)가 이동될 때 상기 제1자력부재(510)가 장착된 탄성부(410)도 함께 본체의 일단(205)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본체는 제2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를 제2상태로 변경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요청이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지는 터치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제1 및 제2자력부재(510, 520) 사이에 인력이 형성되는 실시예들을 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자력부재(510, 520) 사이에 척력이 형성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살핀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자력부재(510, 520)는 소정의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상기 제2자력부재(520)를 교차하는 상기 본체의 너비상의 가상의 선(l)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자력부재(510)가 상기 본체의 일단(205)에 반대편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자력부재(510, 520) 사이에는, 상기 제1자력부재(510)를 최대한 멀리 이격시키기 위한, 척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본체는 언폴딩된 제1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가상의 선(l)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자력부재(510)가 상기 본체의 일단(205)과 같은 편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자력부재(510, 520) 사이에는, 상기 제1자력부재(510)가 제2자력부재(520)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격되도록 하는 척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본체는 폴딩된 제2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자유단과 고정단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탄성부(410)의 양단이 모두 고정단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양단이 모두 고정단으로 이루어진 탄성부(410)를 도시한 것이며, 도 15a 내지 도 15c는 상기 탄성부(410)의 동작에 의한 본체의 상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410)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410)의 양단 중 어느 하나(412)는 본체의 제1바디(201)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411)는 본체의 제2바디(202)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410)의 양단 중 어느 하나(411)에는 상기 탄성부(410)를 인장하거나 압축하기 위한 구동부(5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410)의 양단 중 다른 하나(412)는 상기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상기 구동부(50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부는,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을 상기 본체(또는 탄성부)의 길이방향(도 3a를 참조하면, x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재(미도시)와,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과 결합되는 리니어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면, 고정부재는,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부재(510) 및 상기 제1부재(510)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2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510)는, 상기 탄성부(410)의 이동 시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부재(510)와 상기 탄성부(410)가 각각 형성된 후 체결부에 의하여 체결된 것이 도시되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부재(510)와 탄성부(4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부재(510)는, 상기 탄성부(41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돌출부(511, 512, 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돌출부(511, 512, 513)는, 상기 제1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520)는, 상기 제1 내지 제3돌출부(511, 512, 513) 중 어느 하나가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홈(5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부재의 상기 홈(521)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부재(510)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3부재(53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부재(530)는, 상기 제1 내지 제3돌출부(511, 512, 51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부재의 홈(521)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부재(510)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a, 도 15b 및 도 15c에 각각 도시된 상태는, 도 10의 (c), 도 10의 (b) 및 도 10의 (a)에 각각 도시된 상태에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5a는 본체가 제2상태, 제3상태, 제1상태일때 탄성부(410)와 고정부재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a 및 도 15c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부재(510)의 제1돌출부(511)가 상기 제2부재의 홈(521)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에 의하여 탄성부(410)의 일단이 일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부재의 제3돌출부(513)가 상기 제2부재의 홈(521)에 걸릴 수 있다. 이때, 탄성부(410)는 탄성부(410)의 길이 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다. 즉, 구동부(500)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410)에 인가되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410) 및 상기 탄성부(410)에 연결된 본체는 언폴딩되며,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탄성부(410)의 일단이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도 15c->도 15a), 상기 탄성부(410)는 상기 탄성부(410)의 길이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즉,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410)에 인가되는 압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410) 및 상기 탄성부(410)에 연결된 본체는 폴딩되며,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상기 제2돌출부(512)는, 상기 제1 및 제3돌출부(511, 5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512)가 상기 제2부재의 홈(521)에 걸리게 되면, 상기 탄성부(410) 및 상기 탄성부(410)에 연결된 본체는 상기 제1 및 제2상태의 중간상태인 제3상태에 놓이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에 가해지는 인장력 또는 압축력에 의하여 상기 본체의 상태가 보다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8)

  1. 제1 및 제2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바디를 연결하며, 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폴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폴딩부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록들; 및
    상기 폴딩부의 폴딩 또는 언폴딩시, 자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각각에 장착되는 복수의 마그넷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중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중간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각각은,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폴딩부의 폴딩시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부분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은,
    상기 폴딩부의 언폴딩시 상기 제2부분들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인력을 부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부분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일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은,
    상기 복수의 블록들 내에서 상기 제2부분에 치우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은,
    상기 폴딩부의 폴딩시 상기 제1부분들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인력을 부가하도록, 상기 제1부분들에 장착되는 제1 마그넷들; 및
    상기 폴딩부의 언폴딩시 상기 제2부분들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인력을 부가하도록, 상기 제2부분들에 장착되는 제2마그넷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의 폴딩 여부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마그넷들은, 전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상기 폴딩부가 폴딩되거나 언폴딩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및 제2마그넷들 중 어느 하나에는 전류가 흐르고, 다른 하나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은,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이 배열된 일 방향과 평행한 다른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자세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은, 전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상기 중간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에 전류가 흐르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 마그넷들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마그넷들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언폴딩된 제1상태와 폴딩된 제2상태 사이에서 상태 변경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하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를 폴딩 또는 언폴딩하는 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딩부는,
    상기 본체와 함께 폴딩되어 복원력을 생성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1자력부재; 및
    상기 본체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제1자력부재와 자력을 생성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2자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자력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단과 인접한 제1위치와 상기 제1위치보다 상기 본체의 일단과 먼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상태 사이에서 상태 변경시 상기 본체에 대한 위치가 변경되도록 자유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본체의 폴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일단과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폴딩영역을 이루는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각각은,
    상기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및 제2부분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부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 시 서로에 대한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전환 시 서로에 대한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제1부분들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력부재는,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리니어 모터에 장착되며,
    상기 제2자력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기 설정된 각도로 유지하고자 하는 사용자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2자력부재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리니어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를 상기 제2상태로 변경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2자력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리니어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의 양단에는, 상기 본체가 상기 제2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인력을 부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자석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60006125A 2016-01-18 2016-01-18 이동 단말기 Active KR102398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125A KR102398836B1 (ko) 2016-01-18 2016-01-18 이동 단말기
EP16886580.6A EP3407575B1 (en) 2016-01-18 2016-03-15 Mobile terminal
PCT/KR2016/002570 WO2017126737A1 (ko) 2016-01-18 2016-03-15 이동 단말기
US15/404,176 US9930152B2 (en) 2016-01-18 2017-01-11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125A KR102398836B1 (ko) 2016-01-18 2016-01-18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369A KR20170086369A (ko) 2017-07-26
KR102398836B1 true KR102398836B1 (ko) 2022-05-17

Family

ID=59315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125A Active KR102398836B1 (ko) 2016-01-18 2016-01-18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30152B2 (ko)
EP (1) EP3407575B1 (ko)
KR (1) KR102398836B1 (ko)
WO (1) WO20171267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592A (ko) * 2018-04-03 2019-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1251B (zh) * 2016-07-08 2018-07-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屏支撑结构、柔性显示屏模组及移动终端
KR102292302B1 (ko) * 2017-04-10 2021-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62096B1 (ko) * 2017-05-29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8229941A1 (ja) * 2017-06-15 2018-12-2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834793B1 (ko) * 2017-07-28 2018-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75712B1 (ko) * 2017-11-07 2023-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
CN108039569B (zh) * 2017-11-30 2020-02-2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柔性电子设备
CN108039568B (zh) * 2017-11-30 2020-03-20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柔性电子设备
CN108039567B (zh) * 2017-11-30 2020-02-18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柔性电子设备
KR102430043B1 (ko) * 2017-12-04 2022-08-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9962B1 (ko) * 2018-05-04 2022-03-29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이동 단말기
ES2811548T3 (es) * 2018-05-04 2021-03-1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erminal móvil
CN108738258B (zh) * 2018-05-28 2019-11-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弯折的移动终端
KR102085236B1 (ko) * 2018-05-28 2020-03-05 (주) 프렉코 절첩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30255A (zh) * 2018-07-16 2020-01-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折叠的终端
CN109210071B (zh) * 2018-09-13 2020-09-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铰链机构
US10642318B1 (en) * 2018-09-14 2020-05-05 Apple Inc. Planar hinge assembly
US11353934B2 (en) * 2018-11-02 2022-06-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gnetic suspensions for displays
EP3750026B1 (en) * 2018-11-26 2024-01-03 Google LLC Flexible display with electromagnetic adjustment
KR102709191B1 (ko) * 2018-12-31 2024-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80299B1 (ko) 2019-01-17 2024-07-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760291B (zh) * 2019-01-31 2021-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弯折结构、弯折设备和弯折方法
CN110209240B (zh) * 2019-04-30 2021-02-02 郭凯 一种便携式可变显示面积的3c电子设备
KR102749454B1 (ko) * 2019-05-03 202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히든 댐퍼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0235711A1 (ko) * 2019-05-21 2020-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2087540B (zh) * 2019-06-14 2021-10-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折叠装置、显示屏模块及移动终端
KR102760562B1 (ko) * 2019-06-24 2025-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724684A (zh) * 2019-07-16 2020-09-2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可折式显示装置、展开其的方法以及闭合其的方法
WO2021011956A1 (en) * 2019-07-17 2021-01-21 Google Llc Hinge device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KR102296241B1 (ko) * 2019-07-17 2021-09-01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인폴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KR102657947B1 (ko) * 2019-10-18 202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진 구조를 가지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102754838B1 (ko) * 2019-10-29 2025-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731228B (zh) * 2019-10-29 2023-08-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折叠屏设备和折叠屏设备中的磁场检测方法
CN110701180B (zh) * 2019-11-18 2024-07-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折叠屏翻转状态锁定机构
CN113141423B (zh) * 2020-01-19 2023-03-2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113473328B (zh) * 2020-03-31 2024-07-30 歌尔股份有限公司 扬声器和电子设备
CN113539076B (zh) * 2020-04-20 2022-12-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折叠显示屏
KR20220007751A (ko) * 2020-07-09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4167049A4 (en) * 2020-07-16 2023-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ARRAY OF MAGNETS
USD999200S1 (en) 2020-07-22 2023-09-19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99199S1 (en) 2020-07-22 2023-09-19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99198S1 (en) 2020-07-22 2023-09-19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1001113S1 (en) 2020-07-22 2023-10-10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1003882S1 (en) 2020-09-24 2023-11-07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1001114S1 (en) 2020-09-24 2023-10-10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CN112419900B (zh) * 2020-11-27 2022-04-19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显示模组和显示装置
KR20220086347A (ko) * 2020-12-16 2022-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2882541A (zh) * 2021-02-09 2021-06-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结构、电子设备和折叠角度确定方法
KR20220142843A (ko) * 2021-04-15 2022-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3658508B (zh) * 2021-07-16 2023-0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17813567A (zh) 2021-08-10 2024-04-02 三星电子株式会社 可折叠电子装置
KR20230027555A (ko) * 2021-08-19 202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디지털 홀 센서를 이용한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3090946A1 (ko) * 2021-11-18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석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375793A4 (en) * 2021-11-18 2024-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MAGNETIC ARRANGEMENT
KR20230116130A (ko) * 2022-01-27 2023-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2181916B2 (en) 2022-10-13 2024-12-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push-to-open detection and power control
CN218826454U (zh) * 2022-10-25 2023-04-07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磁力调整组件及可折叠的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08B1 (ko) * 2006-10-12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20110043976A1 (en) * 2007-11-21 2011-02-24 Polymer Vis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With A Flexibl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71084B (en) * 2002-03-20 2007-01-11 Benq Corp Magnetic hinge
JP2006120396A (ja) * 2004-10-20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動接点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ネルスイッチが装着された電子機器
JP2010218102A (ja) * 2009-03-16 2010-09-30 Sony Corp 電子機器
KR101641229B1 (ko) * 2009-10-23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US8606340B2 (en) * 2010-11-22 2013-12-10 Blackberry Limited Multi-display mobile device
KR20120094676A (ko) * 2011-02-17 2012-08-27 박기한 절첩이 가능한 휴대폰용 액정표시장치
US9176535B2 (en) * 2011-06-0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KR20150013573A (ko) * 2012-04-24 2015-02-05 포터비전 메디컬 엘엘씨 모바일 영상 시스템 및 방법
KR101452871B1 (ko) *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38753B1 (ko) * 2013-11-22 2020-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장치
KR101604826B1 (ko) 2014-05-23 2016-03-21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08B1 (ko) * 2006-10-12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20110043976A1 (en) * 2007-11-21 2011-02-24 Polymer Vis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With A Flexible Displa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592A (ko) * 2018-04-03 2019-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11703913B2 (en) 2018-04-03 2023-07-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03912B2 (en) 2018-04-03 2023-07-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67096B1 (ko) 2018-04-03 2023-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07575A4 (en) 2019-08-28
EP3407575A1 (en) 2018-11-28
US20170208157A1 (en) 2017-07-20
KR20170086369A (ko) 2017-07-26
EP3407575B1 (en) 2020-09-30
US9930152B2 (en) 2018-03-27
WO2017126737A1 (ko)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8836B1 (ko) 이동 단말기
KR10268920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0217B1 (ko) 이동 단말기
US11140252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309411B1 (ko) 휴대 전자기기
KR102415655B1 (ko) 이동 단말기
KR10230929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2032B1 (ko) 이동 단말기
KR10243486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4966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17525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22015031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5281B1 (ko) 이동 단말기
KR102364083B1 (ko) 이동 단말기
KR101801192B1 (ko) 이동 단말기
KR102406557B1 (ko) 키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 시스템
KR20190001389A (ko) 전자장치
KR102642364B1 (ko) 이동 단말기
KR102398834B1 (ko) 이동단말기
KR102174643B1 (ko) 이동 단말기
KR2020005901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8920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954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795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5206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1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