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7523B1 - Actuator assembly - Google Patents

Actua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523B1
KR102397523B1 KR1020200126470A KR20200126470A KR102397523B1 KR 102397523 B1 KR102397523 B1 KR 102397523B1 KR 1020200126470 A KR1020200126470 A KR 1020200126470A KR 20200126470 A KR20200126470 A KR 20200126470A KR 102397523 B1 KR102397523 B1 KR 102397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housing
gear
pin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43264A (en
Inventor
황선영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6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523B1/en
Publication of KR2022004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2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52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구조적으로 단순하며 원가가 절감된 액츄에이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액츄에이터 조립체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 전동기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체, 동력 전달체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로킹 기어부와, 로킹 기어부에 의해 가동되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변동되는 핀부와, 핀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로킹 핀,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핀부가 가동됨에 따라 돌출부와 접촉하거나 돌출부로부터 이격되는 스위치, 및 하우징 외에 배치되며, 동력 전달체에 체결되어 동력 전달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비상 레버를 포함한다.There is provided an actuator assembly that is structurally simple and has a reduced cost. The actuator assembly i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the housing and includes an electric motor for generating rotational force, a power transmission body coupled to the electric motor and gea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 locking gear unit gear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body to receive rotational force, and the locking gear unit movable by the locking gear unit A locking pin including a pin part having a variable length protruding from the housing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pin part, a switch disposed in the housing and contacting or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part as the pin part is operated, and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 it is fastened to the power transmission body and includes an emergency lever capable of rotating the power transmission body.

Description

액츄에이터 조립체{ACTUATOR ASSEMBLY}Actuator assembly {ACTUATOR ASSEMBLY}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충전 플러그 로킹용 액츄에이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uator assembl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uator assembly for locking a charging plug.

전기 자동차는 전기 에너지로 바퀴를 회전시켜 주행하는 것으로, 주행에 필요한 동력원으로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차량의 저면에 다수로 장착될 수 있고, 다수의 배터리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주행에 필요한 적정 전압을 만들 수 있다.An electric vehicle is driven by rotating wheels with electric energy, and a battery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driving. A plurality of such batteries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vehicle, and a plurality of batteries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to create an appropriate voltage required for driving.

한편, 이러한 배터리는 방전 또는 충전 전압의 소모로 인하여 충전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배터리와 연결되도록 장착되는 충전 소켓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충전 소켓은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충전 플러그를 통해 충전기와 접속되어 고부하의 충전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battery may need to be charged due to discharging or consumption of the charging voltage. For example, the vehicle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socket mounted to be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this charging socket may be connected to a charger through a charging plug installed outside the vehicle to receive a high-load charging current.

그러나, 충전 소켓 및 충전 플러그에는 별도의 고정 장치가 없어 단순히 충전 소켓에 충전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충전 플러그가 충전 소켓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충전 플러그를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 조립체가 제안되었다.However, since the charging socket and the charging plug do not have a separate fixing device, charging may be performed while the charging plug is simply inserted into the charging socket, which causes the charging plug to be easily detached from the charging socket. To prevent this problem, an actuator assembly capable of fixing and releasing a charging plug has been propos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적으로 단순하며 원가가 절감된 액츄에이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ally simple and cost-reduced actuator assembl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 전동기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체, 동력 전달체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로킹 기어부와, 로킹 기어부에 의해 가동되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변동되는 핀부와, 핀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로킹 핀,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핀부가 가동됨에 따라 돌출부와 접촉하거나 돌출부로부터 이격되는 스위치, 및 하우징 외에 배치되며, 동력 전달체에 체결되어 동력 전달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비상 레버를 포함한다.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housing, disposed in the housing, an electric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 power transmission body coupled to the electric motor and a gear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a power transmission body and a gear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A locking pin including a receiving locking gear part, a pin part having a variable length to protrude from the housing by being actuated by the locking gear part, and a locking pin including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pin part, which i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part as the pin part is moved or a switch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and an emergency lever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and fastened to the power transmission body to rotate the power transmission body.

몇몇 실시예에서, 동력 전달체는 전동기와 기어 결합되는 기어부와, 기어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축을 형성하는 축부를 포함하고, 축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을 포함하고, 비상 레버는 축부에 체결되어 축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ower transmission body includes a gear portion coupled to the electric motor and gear, and a shaft portion extending from the gear portion in a first direction to form a rotation shaft, and the shaft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plan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 the emergency lever is fastened to the shaft to rotate the shaft.

몇몇 실시예에서, 비상 레버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을 관통하며 축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체결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체결부는 축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emergency lever includes a fastening part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housing, and fastened to the shaft, and a rotating part rotating around the fastening part, and the fastening part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haft is inserted.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축부의 단면은 반원형이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삽입 홈의 단면은 반원형이다.In some embodiments, a cross-section of the shaft por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is semicircular, and a cross-s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is semicircular.

몇몇 실시예에서, 스위치는 돌출부와 접촉하여 온 신호를 출력하고,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switch contacts the protrusion to output an on signal, and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to output an off signal.

몇몇 실시예에서, 스위치와 접속되는 제1 스위치 단자 및 제2 스위치 단자와, 제1 스위치 단자 및 제2 스위치 단자를 연결하며 스위치와 병렬 연결되는 저항체를 더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st switch terminal and a second switch terminal connected to the switch, and a resistor connecting the first switch terminal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witch.

몇몇 실시예에서, 동력 전달체는, 전동기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전동기 기어부와, 전동기 기어부와 기어 결합되는 제1 동력 전달부와, 제1 동력 전달부 및 로킹 핀과 기어 결합되며, 비상 레버와 체결되는 제2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power transmission body includes a motor gear unit fixed to the electric motor and rotating, a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geared to the electric motor gear unit, a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and a locking pin, and an emergency lever;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to be fastened.

몇몇 실시예에서, 전동기 기어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1 동력 전달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동력 전달부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로킹 핀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가동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ic motor gear unit rotates about a rotation shaf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rotates about a rotation shaft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It rotates about a rotation shaf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locking pin is mov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intersecting the second direc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 핀의 구동은 스위치 및 스위치와 접촉하는 로킹 핀에 의해 인식되므로, 구조적으로 단순하며 원가가 절감된 액츄에이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actuation of the locking pin is recognized by the switch and the locking pin in contact with the switch, so that a structurally simple and low-cost actuator assembly can be provided.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비상 레버는 단면이 반원형(또는 D형)인 축부에 체결되므로, 체결성이 강화된 액츄에이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in some embodiments, since the emergency lever is fastened to a shaft portion having a semi-circular (or D-shaped) cross-section, an actuator assembly with enhanced fastening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츄에이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의 비상 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ctuator assembly of FIG. 1 .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ergency lever of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6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7 and 8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9 and 10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to” or “coupled to” with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or intervening another component. including all cases. On the other hand,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to” or “directly coupled to” with another component, it indicates that another component is not interposed therebetween.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on” or “on” another component, it includes all cases in which an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in the middle as well as directly above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above” another component, it indicates that other components are not interposed therebetwee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components and other components. The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n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 .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츄에이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의 비상 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ctuator assembly of FIG. 1 .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ergency lever of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6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는 하우징(100), 캡(200), 전동기(400), 동력 전달체(410, 420, 430), 로킹 핀(450), 스위치(500) 및 비상 레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 the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s a housing 100, a cap 200, an electric motor 400, a power transmission body 410, 420, 430, a locking pin 450, a switch ( 500) and an emergency lever 300 may be included.

하우징(100)은 수용 공간(100S)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수용 공간(100S)은 후술되는 전동기(400), 동력 전달체(410, 420, 430), 로킹 핀(450) 및 스위치(50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수용 공간(100S) 내에 배치된 전동기(400), 동력 전달체(410, 420, 430), 로킹 핀(450) 및 스위치(500)를 둘러싸 보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베이스부(110), 연결부(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100S.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of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electric motor 400 , the power transmission bodies 410 , 420 , 430 , the locking pin 450 , and the switch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 housing 100 may surround and protect the electric motor 400 , the power transmission bodies 410 , 420 , 430 , the locking pin 450 , and the switch 500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In some embodiments,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base part 110 , a connection part 120 , and a fixing part 130 .

베이스부(110)는 수용 공간(100S)을 정의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예를 들어, 한쪽이 막힌 사각통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base part 110 may define an accommodation space 100S. The base 110 may be, for example,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with one side block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연결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가 장착되는 차량 등에 하우징(100)을 연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각각의 단자들(610, 620, 630, 640)은 연결부(120) 내에 배치되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 외부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미도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예를 들어, 원통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nection part 120 may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art 110 . The connection part 120 may be used to connect the housing 100 to a vehicle in which the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s mounted. For example, each of the terminals 610 , 620 , 630 , and 64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within the connection part 12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disposed outside the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etc. . The connection part 120 may be, for example,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고정부(130)는 베이스부(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가 장착되는 차량 등에 하우징(100)을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30)는 나사 등에 의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가 장착되는 충전 소켓(미도시) 등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130 may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art 110 . The fixing unit 130 may be used to fix the housing 100 to a vehicle in which the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s mounted. For example, the fixing part 130 may be fixed to a charging socket (not shown) in which the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s mounted by screws or the like.

캡(200)은 하우징(10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캡(200)은 수용 공간(100S) 내에 배치된 전동기(400), 동력 전달체(410, 420, 430), 로킹 핀(450) 및 스위치(500)를 덮어 보호할 수 있다.The cap 200 ma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 The cap 200 may cover and protect the electric motor 400 , the power transmission bodies 410 , 420 , 430 , the locking pin 450 , and the switch 500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몇몇 실시예에서, 캡(200)은 하우징(100)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베이스부(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체결 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캡(200)은 하우징(100)의 체결 돌기(115)와 체결되는 체결 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체결 돌기(115) 및 체결 홈(210)의 형상, 배치 및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some embodiments, the cap 200 may be fastened to the housing 100 . For example,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fastening protrusion 115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base part 110 . The cap 200 may include a fastening groove 210 tha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115 of the housing 100 . The shape, arrangement, number, etc.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15 and the fastening groove 210 shown in FIG. 1 are merely exemplary,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00)과 캡(200) 사이에 제1 개스킷(1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스킷(150)은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상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스킷(150)은 하우징(100)과 캡(200)을 보다 긴밀하게 체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스킷(150)은 방수 기능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러버(rubber) 또는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gasket 1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100 and the cap 200 . The first gasket 150 may be formed, for exampl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 The first gasket 150 may be used to more closely connect the housing 100 and the cap 200 . For example, the first gasket 150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waterproof function, for example, rubber or silicon (Si),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전동기(400)는 하우징(100)의 수용 공간(100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동기(40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수용 공간(100S) 내에는 전동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동기 단자(610) 및 제2 전동기 단자(6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동기 단자(610) 및 제2 전동기 단자(620)는 하우징(100)의 연결부(120) 내로 연장되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동기(400)는 제1 전동기 단자(610) 및 제2 전동기 단자(6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The electric motor 400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of the housing 100 . The electric motor 400 may generate rotational force by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a first motor terminal 610 and a second motor terminal 6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400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of the housing 100 . The first motor terminal 610 and the second motor terminal 620 may extend into the connection part 120 of the housing 1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electric motor 4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electric motor terminal 610 and the second electric motor terminal 620 .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전동기 단자(610)와 제2 전동기 단자(620) 사이에 제1 저항체(65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저항체(652)는 제1 전동기 단자(610)와 제2 전동기 단자(620)를 연결할 수 있고, 전동기(400)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저항체(652)는 전동기(400)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resistor 65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tor terminal 610 and the second motor terminal 620 . The first resistor 652 may connect the first motor terminal 610 and the second motor terminal 620 , and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motor 400 . Accordingly, the first resistor 652 may be used to adjust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400 .

동력 전달체(410, 420, 430)는 하우징(100)의 수용 공간(100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동력 전달체(410, 420, 430)는 전동기(400) 및 후술되는 로킹 핀(450)과 기어 결합되어 상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체(410, 420, 430)는 후술되는 비상 레버(300)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동력 전달체(410, 420, 430)는 전동기 기어부(410), 제1 동력 전달부(420) 및 제2 동력 전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bodies 410 , 420 , and 430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of the housing 100 . The power transmission bodies 410 , 420 , and 430 may be gear-coupled to the electric motor 400 and a locking pin 450 to be described late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body (410, 420, 430) may be coupled to the emergency lever 30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bodies 410 , 420 , and 430 may include an electric motor gear unit 410 , a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420 ,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430 .

전동기 기어부(410)는 전동기(400)에 고정될 수 있다. 전동기 기어부(410)는 전동기(400)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기 기어부(410)는 전동기(400)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동기(400)의 회전축 및 전동기 기어부(41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motor gear unit 410 may be fixed to the motor 400 . The motor gear unit 410 may be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tor 400 . For example, the motor gear unit 410 may be fix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400 to rotate. In some embodiments, the rotation shaft of the electric motor 400 and the electric motor gear unit 410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

제1 동력 전달부(420)는 전동기 기어부(410)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력 전달부(420)는 전동기 기어부(410)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동력 전달부(420)는 후술되는 제2 동력 전달부(430)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420 may be gear-coupled to the motor gear unit 410 . For example,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420 may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gear unit 410 . Als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420 may be gear-coupled to a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430 to be described late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예시적으로, 제1 동력 전달부(420)는 제1 축부(422), 제1 기어부(424) 및 제2 기어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부(422)는 제1 동력 전달부(420)의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어부(424)는 제1 축부(422)에 고정되며 전동기(400)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부(424)는 전동기 기어부(410)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제2 기어부(426)는 제1 축부(422)에 고정되며 후술되는 제2 동력 전달부(430)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어부(426)는 제1 기어부(42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동력 전달부(420)는 제1 기어부(424)를 통해 전동기 기어부(4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제2 기어부(426)를 통해 제2 동력 전달부(43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420 may include a first shaft unit 422 , a first gear unit 424 , and a second gear unit 426 . The first shaft part 422 may form a rotation shaft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part 420 . The first gear unit 424 may be fixed to the first shaft unit 422 and be gear-coupled to the electric motor 400 . For example, the first gear unit 424 may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gear unit 410 . The second gear unit 426 is fixed to the first shaft unit 422 and may be gear-coupled to a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430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gear unit 426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gear unit 424 . Accordingly,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420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electric motor gear unit 410 through the first gear unit 424 ,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430 through the second gear unit 426 . can transmit rotational force.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동력 전달부(420)는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부(422)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420 may form a rotation shaf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Y)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X). For example, the first shaft portion 422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Y).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기어부(424)의 직경은 전동기 기어부(41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기어부(424)는 전동기 기어부(410)의 회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기어부(426)의 직경은 제1 기어부(424)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diameter of the first gear unit 424 may be greater than a diameter of the motor gear unit 410 . In this case, the first gear unit 424 may reduce the rotation of the motor gear unit 410 . In some embodiments, a diameter of the second gear portion 426 may be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first gear portion 424 .

제2 동력 전달부(430)는 제1 동력 전달부(420)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동력 전달부(430)는 제1 동력 전달부(420)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동력 전달부(430)는 후술되는 로킹 핀(450)과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430 may be gear-coupled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420 . For example,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430 may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420 . Als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430 may be gear-coupled with a locking pin 450 to be described late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예시적으로, 제2 동력 전달부(430)는 제2 축부(432), 제3 기어부(434) 및 제4 기어부(4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축부(432)는 제2 동력 전달부(430)의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어부(434)는 제2 축부(432)에 고정되며 제1 동력 전달부(420)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기어부(434)는 제2 기어부(426)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제4 기어부(436)는 제2 축부(432)에 고정되며 후술되는 로킹 핀(450)과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제4 기어부(436)는 제3 기어부(43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동력 전달부(430)는 제3 기어부(434)를 통해 제1 동력 전달부(4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제4 기어부(436)를 통해 로킹 핀(45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430 may include a second shaft unit 432 , a third gear unit 434 , and a fourth gear unit 436 . The second shaft part 432 may form a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part 430 . The third gear unit 434 may be fixed to the second shaft unit 432 and may be gear-coupled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420 . For example, the third gear unit 434 may rotate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unit 426 . The fourth gear part 436 is fixed to the second shaft part 432 and may be gear-coupled to a locking pin 450 to be described later. The fourth gear unit 436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gear unit 434 . Accordingly,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430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420 through the third gear unit 434 , and to the locking pin 450 through the fourth gear unit 436 . It can transmit rotational force.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동력 전달부(430)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축부(432)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430 may form a rotation shaf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Y). For example, the second shaft portion 432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Y).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기어부(434)의 직경은 제2 기어부(426)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3 기어부(434)는 제2 기어부(426)의 회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 기어부(436)의 직경은 제3 기어부(434)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diameter of the third gear portion 434 may be greater than a diameter of the second gear portion 426 . In this case, the third gear unit 434 may reduce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unit 426 . In some embodiments, a diameter of the fourth gear unit 436 may be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third gear unit 434 .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축부(432)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축부(432)는 제3 기어부(434)로부터 제2 방향(Y)으로 돌출되는 제1 부분(432a) 및 제1 부분(432a)으로부터 제2 방향(Y)으로 돌출되는 제2 부분(43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제2 축부(432)의 제2 부분(432b)의 단면은 반원형(또는 D형)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shaft portion 432 may include at least one plan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second shaft portion 432 includes a first portion 432a protruding from the third gear portion 434 in the second direction (Y) and a second portion from the first portion 432a. A second portion 432b protruding in the direction Y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portion 432b of the second shaft portion 432 intersecting the second direction Y may be semicircular (or D-shaped).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제2 축부(432)의 제1 부분(432a)의 단면적은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제2 축부(432)의 제2 부분(432b)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제2 축부(432)의 제1 부분(432a)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portion 432a of the second shaft portion 432 that intersects the second direction Y is the second portion of the second shaft portion 432 that intersects the second direction Y ( 432b) may be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For example, a cross-section of the first portion 432a of the second shaft portion 432 crossing the second direction Y may be circular.

로킹 핀(450)은 하우징(100)의 수용 공간(100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로킹 핀(450)은 동력 전달체(410, 420, 430)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로킹 핀(450)은 동력 전달체(410, 420, 430)에 의해 가동될 수 있다. 로킹 핀(45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되는 로킹 핀(450)의 길이는 로킹 핀(450)이 가동됨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 핀(450)은 핀부(452), 로킹 기어부(454), 레일부(456) 및 돌출부(458)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pin 450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of the housing 100 . The locking pin 450 may be gear-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s 410 , 420 , and 430 . The locking pin 450 may be operated by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s 410 , 420 , and 430 . At least a portion of the locking pin 450 may protrude from the housing 100 . The length of the locking pin 450 protruding from the housing 100 may be changed as the locking pin 450 is operated. In some embodiments, the locking pin 450 may include a pin portion 452 , a locking gear portion 454 , a rail portion 456 , and a protrusion 458 .

핀부(452)는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핀부(452)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핀부(452)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제3 방향(Z)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The pin portion 452 may extend in one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in portion 452 may protrude from the housing 100 . In some embodiments, the pin portion 452 may extend in a third direction Z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direction Y to protrude from the housing 100 .

로킹 기어부(454)는 핀부(452)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 기어부(454)는 핀부(45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로킹 기어부(454)는 동력 전달체(410, 420, 430)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기어부(454)는 제2 동력 전달부(430)의 제4 기어부(436)에 맞물릴 수 있다. 회전력을 전달받은 로킹 기어부(454)는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핀부(452)는 로킹 기어부(454)에 의해 가동되어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부(452)는 로킹 기어부(454)에 의해 제3 방향(Z)을 따라 가동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7 내지 도 10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한다.The locking gear part 454 may be fixed to the pin part 452 . In some embodiments, the locking gear portion 45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n portion 452 . The locking gear unit 454 may be gear-coupl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bodies 410 , 420 , and 430 to receive rotational force. For example, the locking gear unit 454 may be engaged with the fourth gear unit 436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430 . The locking gear unit 454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may reciprocate linearly. The pin portion 452 is moved by the locking gear portion 454 so that the length of the pin portion 452 protruding from the housing 100 may be changed. For example, the pin part 452 may be moved along the third direction Z by the locking gear part 454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

레일부(456)는 핀부(452)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일부(456)는 핀부(45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456)는 하우징(100)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레일부(456)를 수용하는 레일홈을 포함할 수 있고, 레일부(456)는 하우징(100)의 레일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부(456)는 하우징(100)에 체결되어 직선 왕복 운동하는 핀부(452)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rail part 456 may be fixed to the pin part 452 . In some embodiments, the rail portion 456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n portion 452 . The rail part 456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100 . For example,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rail groove accommodating the rail part 456 , and the rail part 456 may be disposed in the rail groove of the housing 100 . The rail part 456 may guide the pin part 452 that is fastened to the housing 100 and reciprocates linearly.

돌출부(458)는 핀부(452)에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458)는 핀부(45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 기어부(454)는 핀부(45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로킹 기어부(454)에 의해 핀부(452)가 가동됨에 따라, 돌출부(458)는 후술되는 스위치(500)와 접촉하거나 스위치(5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돌출부(458)는 핀부(452)를 기준으로 로킹 기어부(454)와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것만이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돌출부(458)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otrusion 458 may be fixed to the pin portion 452 . The protrusion 458 may protrude from a side surface of the pin portion 452 . In some embodiments, the locking gear portion 45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n portion 452 . As the pin part 452 is moved by the locking gear part 454 , the protrusion part 458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witch 500 to be described later o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witch 500 . Although the protrusion 458 is only shown to be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locking gear part 454 with respect to the pin part 452,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458 may vary as needed. Of course.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00)과 로킹 핀(450) 사이에 제2 개스킷(144)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개스킷(144)은 예를 들어, 핀부(45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스킷(144)은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되는 로킹 핀(450)을 보다 긴밀하게 유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스킷(144)은 방수 기능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러버(rubber) 또는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some embodiments, a second gasket 14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100 and the locking pin 450 . The second gasket 144 may be formed, for exampl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n portion 452 . The second gasket 144 may be used to more closely hold the housing 100 and the locking pin 450 protruding from the housing 100 . For example, the second gasket 144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waterproof function, for example, rubber or silicon (Si), but is not limited thereto.

스위치(500)는 하우징(100)의 수용 공간(100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로킹 핀(450)이 가동됨에 따라, 스위치(500)는 온(on) 신호 또는 오프(off)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 핀(450)의 돌출부(458)와 접촉하여 온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로킹 핀(450)의 돌출부(458)로부터 이격되어 오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5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로킹 핀(450)의 위치가 인식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위치(500)는 로킹 핀(450)의 돌출부(458)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나, 전기적으로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The switch 500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of the housing 100 . As the locking pin 450 is operated, the switch 500 may output an on signal or an off signal. For example, an on signal may be output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458 of the locking pin 450 , and an off signal may be output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458 of the locking pin 450 .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in 450 may be recognized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500 . In some embodiments, the switch 500 may be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protrusion 458 of the locking pin 450 , but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하우징(100)의 수용 공간(100S) 내에는 스위치(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단자(630) 및 제2 스위치 단자(6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단자(630) 및 제2 스위치 단자(640)는 하우징(100)의 연결부(120) 내로 연장되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500)는 제1 스위치 단자(630) 및 제2 스위치 단자(640)를 통해 외부로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 first switch terminal 630 and a second switch terminal 6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500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0S of the housing 100 . The first switch terminal 630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640 may extend into the connection part 120 of the housing 1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switch 500 may output an on signal or an off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switch terminal 630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640 .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 단자(630)와 제2 스위치 단자(640) 사이에 제2 저항체(654a, 654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저항체(654a, 654b)는 제1 스위치 단자(630)와 제2 스위치 단자(640)를 연결할 수 있고, 스위치(500)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저항체(654a, 654b)는 스위치(500)에 인가되는 저항을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second resistors 654a and 654b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witch terminal 630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640 . The second resistors 654a and 654b may connect the first switch terminal 630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640 , and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witch 500 . Accordingly, the second resistors 654a and 654b may be used to adjust the resistance applied to the switch 500 .

비상 레버(300)는 하우징(100) 외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비상 레버(30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비상 레버(300)는 동력 전달체(410, 420, 430)에 체결되어 동력 전달체(410, 420, 4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비상 레버(300)는 비상 시에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충전 플러그(미도시)를 고정 및 해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기(400)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등의 비상 시에, 사용자는 비상 레버(300)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체(410, 420, 430)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킹 핀(450)을 가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비상 레버(300)는 체결부(310), 회동부(320) 및 걸림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lever 300 may be disposed other than the housing 100 . That is, the emergency lever 300 may be exposed from the housing 100 . The emergency lever 300 may be fastened to the power transmission bodies 410 , 420 , and 430 to rotate the power transmission bodies 410 , 420 , 430 . The emergency lever 300 may be used to fix and release a charging plug (not shown) installed outside the vehicle in an emergency. For example, in an emergency, such as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ctric motor 400 or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user uses the emergency lever 300 to rotate the power transmission body 410 , 420 , 430 by rotating the locking pin (450) can be activated. For example, the emergency lever 300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310 , a rotating part 320 , and a locking part 330 .

체결부(310)는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동력 전달체(410, 420, 430)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31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제2 동력 전달부(430)의 제2 축부(432)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부(310)는 삽입 홈(310S)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축부(432)는 체결부(310)의 삽입 홈(310S) 내에 삽입되어 체결부(310)와 체결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310 may pass through the housing 100 and be fastened to the power transmission bodies 410 , 420 , and 430 . 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310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be coupled to the second shaft part 432 of the second power transmitting part 43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fastening part 310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310S. The second shaft part 432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0S of the fastening part 310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310 .

몇몇 실시예에서, 체결부(310)의 삽입 홈(310S)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삽입 홈(310S)의 단면은 반원형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sertion groove 310S of the fastening part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plan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a cross-s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310S crossing the second direction Y may be semicircular.

회동부(320)는 체결부(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회동부(320)는 체결부(310)로부터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제1 방향(X) 및/또는 제3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동부(320)는 체결부(31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부(320)는 제2 축부(432)를 회전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회동부(320)는 체결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ng part 320 may be fixed to the fastening part 310 . As an example, the rotating part 320 may extend from the fastening part 310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direction (Y) (eg, the first direction (X) and/or the third direction (Z)). there is. The rotating unit 320 may rotate around the fastening unit 310 . For example, the rotation unit 320 may rotate the second shaft unit 432 to the rotation axis. In some embodiments, the rotating part 3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astening part 310 .

걸림부(330)는 회동부(32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걸림부(330)는 회동부(320)로부터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동부(320)와 마찬가지로, 걸림부(330)는 체결부(31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330)는 제2 축부(432)를 회전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걸림부(330)를 통해 비상 레버(300)를 회동시킴으로써 로킹 핀(450)을 가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330)에는 케이블(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비상 레버(30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걸림부(330)는 회동부(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art 330 may be fixed to the rotating part 320 . For example, the locking part 330 may extend from the rotating part 320 in the second direction (Y). Like the rotating unit 320 , the engaging unit 330 may rotate around the fastening unit 310 . For example, the locking part 330 may rotate the second shaft part 432 on a rotation axis. The user may operate the locking pin 450 by rotating the emergency lever 300 through the locking part 330 . For example, a cable (not shown)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in the locking part 330 , and the user may rotate the emergency lever 300 using the cable or the like. In some embodiments, the locking part 3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ing part 320 .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00)과 비상 레버(300) 사이에 제3 개스킷(142)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개스킷(142)은 예를 들어, 체결부(3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3 개스킷(142)은 하우징(100)과 비상 레버(300)를 보다 긴밀하게 체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개스킷(142)은 방수 기능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러버(rubber) 또는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some embodiments, a third gasket 14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100 and the emergency lever 300 . The third gasket 142 may be formed, for exampl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astening part 310 . The third gasket 142 may be used to more closely connect the housing 100 and the emergency lever 300 . For example, the third gasket 142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waterproof function, for example, rubber or silicon (Si),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

도 7 및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7 and 8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parts overlapping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에서, 로킹 핀(450)은 가동될 수 있다.7 and 8 , in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locking pin 450 may be movable.

예를 들어, 핀부(452)는 로킹 기어부(454)에 의해 제3 방향(Z)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되는 핀부(452)의 길이는 변동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7의 핀부(452)는 제3 방향(Z)을 따라 아래로 가동되어 도 8의 핀부(452)와 같이 하우징(100)으로부터 더 돌출될 수 있다. 즉, 도 7의 핀부(452)가 하우징(1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길이(D1)는 도 8의 핀부(452)가 하우징(1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길이(D2)로 변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in part 452 may linearly reciprocate along the third direction Z by the locking gear part 454 .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pin portion 452 protruding from the housing 100 may vary. Exemplarily, the pin portion 452 of FIG. 7 may be moved downward along the third direction Z to further protrude from the housing 100 like the pin portion 452 of FIG. 8 . That is, the first length D1 at which the pin part 452 of FIG. 7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is the second length D2 at which the pin part 452 of FIG. 8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 may be subject to change.

핀부(452)가 가동됨에 따라, 돌출부(458)는 스위치(500)와 접촉하거나 스위치(5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As the pin portion 452 is actuated, the protrusion 458 may contact the switch 500 o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witch 500 .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핀부(452)가 돌출되는 길이가 제1 길이(D1)일 때, 돌출부(458)는 스위치(500)와 접촉하여 스위치(500)를 물리적으로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500)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458)가 스위치(500)와 접촉할 때(즉, 온 신호가 출력될 때),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는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충전 플러그(미도시)를 해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when the length at which the pin part 452 protrudes is the first length D1 , the protrusion 45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witch 500 to physically press the switch 500 . there is. Accordingly, the signal on from the switch 500 may be output. In some embodiments, when the protrusion 458 makes contact with the switch 500 (ie, when an ON signal is output), the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ncludes a charging plug (not shown) install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can be turned off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핀부(452)가 돌출되는 길이가 제2 길이(D2)일 때, 돌출부(458)는 스위치(500)로부터 이격되어 스위치(500)를 물리적으로 누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500)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458)가 스위치(500)로부터 이격될 때(즉, 오프 신호가 출력될 때),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는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충전 플러그(미도시)를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 when the length at which the pin portion 452 protrudes is the second length D2 , the projection 458 is spaced apart from the switch 500 and may not physically press the switch 500 . . Accordingly, an off signal may be output from the switch 500 . In some embodiments, when the protrusion 458 is spaced apart from the switch 500 (ie, when an off signal is output), the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may include a charging plug (not shown) install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can be fixed

도 9 및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9 and 10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parts overlapping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에서, 비상 레버(300)는 로킹 핀(450)이 가동됨에 따라 회동할 수 있다.9 and 10 , in the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emergency lever 300 may rotate as the locking pin 450 is operated.

예를 들어, 비상 레버(300)는 제2 동력 전달부(430)에 체결될 수 있고, 제2 동력 전달부(430)에 의해 로킹 핀(450)이 가동됨과 함께 비상 레버(300)는 회동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로킹 핀(450)은 제3 방향(Z)을 따라 아래로 가동될 수 있고, 비상 레버(30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mergency lever 300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430 , and the emergency lever 300 rotates while the locking pin 450 is operated by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430 . can do. For example, the locking pin 450 may be moved downward along the third direction Z, and the emergency lever 300 may rotate clockwise.

몇몇 실시예에서, 핀부(452)가 돌출되는 최소 길이(예를 들어, D1)는 약 9 mm 내지 약 13 m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핀부(452)가 돌출되는 최대 길이(예를 들어, D2)는 약 16 mm 내지 약 20 m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핀부(452)가 돌출되는 최대 길이(예를 들어, D2)와 핀부(452)가 돌출되는 최소 길이(예를 들어, D1)의 차는 약 3 mm 내지 약 11 mm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inimum length (eg, D1 ) through which the pin portion 452 protrudes may be about 9 mm to about 13 mm. In some embodiments, the maximum length (eg, D2 ) through which the pin portion 452 protrudes may be about 16 mm to about 20 mm. In some embodim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length (eg, D2) through which the fin portion 452 protrudes and the minimum length (eg, D1) through which the fin portion 452 protrudes may be about 3 mm to about 11 mm. .

몇몇 실시예에서, 회동하는 비상 레버(300)의 최대 회전 각도(θ)는 약 105° 내지 약 110°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aximum rotation angle θ of the pivoting emergency lever 300 may be about 105° to about 110°.

상술한 것처럼,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에서, 로킹 핀(450)의 구동은 스위치(500) 및 스위치(500)와 접촉하는 로킹 핀(450)의 돌출부(458)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즉, 로킹 핀(450)의 구동은 로킹 핀(450)의 구동을 인식하기 위해 로킹 핀(450)에 구비되는 별도의 전기적 장치(예를 들어, 금속 부재 등) 없이도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적으로 단순하며 원가가 절감된 액츄에이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actuation of the locking pin 450 may be recognized by the switch 500 and the protrusion 458 of the locking pin 450 in contact with the switch 500 . That is, the driving of the locking pin 450 may be recognized without a separate electrical device (eg, a metal member, etc.) provided in the locking pin 450 to recognize the driving of the locking pin 450 . Accordingly, a structurally simple and cost-reduced actuator assembly can be provided.

또한, 상술한 것처럼,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조립체에서, 비상 레버(300)는 단면이 반원형인 제2 축부(43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성이 강화된 액츄에이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Also, as described above, in the actuator assembly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emergency lever 300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shaft portion 432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Accordingly, an actuator assembly with enhanced fastening properties can be provid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하우징 100S: 수용 공간
110: 베이스부 115: 체결 돌기
120: 연결부 130: 고정부
200: 캡 210: 체결 홈
300: 비상 레버 310: 체결부
320: 회동부 330: 걸림부
400: 전동기 410: 전동기 기어부
420: 제1 동력 전달부 422: 제1 축부
424: 제1 기어부 426: 제2 기어부
430: 제2 동력 전달부 432: 제2 축부
434: 제3 기어부 436: 제4 기어부
450: 로킹 핀 452: 핀부
454: 로킹 기어부 456: 레일부
458: 돌출부 500: 스위치
610: 제1 전동기 단자 620: 제1 전동기 단자
630: 제1 스위치 단자 640: 제2 스위치 단자
652: 제1 저항체 654a, 654b: 제2 저항체
100: housing 100S: accommodation space
110: base portion 115: fastening protrusion
120: connection part 130: fixed part
200: cap 210: fastening groove
300: emergency lever 310: fastening part
320: rotating part 330: engaging part
400: motor 410: motor gear unit
420: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422: first shaft unit
424: first gear unit 426: second gear unit
430: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432: second shaft unit
434: third gear unit 436: fourth gear unit
450: locking pin 452: pin portion
454: locking gear portion 456: rail portion
458: protrusion 500: switch
610: first motor terminal 620: first motor terminal
630: first switch terminal 640: second switch terminal
652: first resistor 654a, 654b: second resistor

Claims (9)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체;
상기 동력 전달체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는 로킹 기어부와, 상기 로킹 기어부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변동되는 핀부와, 상기 핀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로킹 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핀부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거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및
상기 하우징 외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 전달체에 체결되어 상기 동력 전달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비상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핀부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돌출부와 전기적으로 비연결되는 액츄에이터 조립체.
housing;
an electric motor disposed in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 power transmission body coupled to the electric motor and gea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A locking pin comprising: a locking gear part geared to the power transmission body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a pin part operated by the locking gear part to have a variable length protruding from the housing; and a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pin part ;
a switch disposed in the housing and outputting an on signal or an off signal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o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as the pin part is operated; and
an emergency lever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and fastened to the power transmission body to rotate the power transmission body;
The switch is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protrusion as the pin part is actuated, and the actuator assembly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protru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체는 상기 전동기와 기어 결합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축을 형성하는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 레버는 상기 축부에 체결되어 상기 축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transmission body includes a gear portion coupled to the electric motor and gear, and a shaft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gear portion to form a rotating shaft,
The shaft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plan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he emergency lever is fastened to the shaft portion and the actuator assembly is capable of rotating the shaft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레버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상기 축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축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mergency lever includes a fastening part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housing and fastened to the shaft, and a rotating part rotating around the fastening part,
The coupling part is an actuator assembly includ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haft part is insert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축부의 단면은 반원형이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삽입 홈의 단면은 반원형인 액츄에이터 조립체.
4. The method of claim 3,
A cross-section of the shaft por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is semicircular,
A cross s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is semicircul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여 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액츄에이터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witch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to output an on signal,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to output an off signa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온 동작 시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핀부의 제1 길이는, 상기 오프 동작 시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핀부의 제2 길이보다 짧은 액츄에이터 조립체.
6.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length of the pi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ousing during the on operation is shorter than a second length of the pi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ousing during the off oper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와 접속되는 제1 스위치 단자 및 제2 스위치 단자와,
상기 제1 스위치 단자 및 상기 제2 스위치 단자를 연결하며 상기 스위치와 병렬 연결되는 저항체를 더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switch terminal and a second switch terminal connected to the switch;
The actuator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resistor connecting the first switch terminal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witc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체는,
상기 전동기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전동기 기어부와,
상기 전동기 기어부와 기어 결합되는 제1 동력 전달부와,
상기 제1 동력 전달부 및 상기 로킹 핀과 기어 결합되며, 상기 비상 레버와 체결되는 제2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transmission body,
and a motor gear unit fixed to the motor and rotating;
a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geared to the electric motor gear unit;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geared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locking pin, and coupled to the emergency lev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 기어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로킹 핀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가동되는 액츄에이터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otor gear unit rotates about a rotation shaf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rotates about a rotational shaft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rotates about a rotational shaf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locking pin is movable along a thir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KR1020200126470A 2020-09-29 2020-09-29 Actuator assembly Active KR1023975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470A KR102397523B1 (en) 2020-09-29 2020-09-29 Actua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470A KR102397523B1 (en) 2020-09-29 2020-09-29 Actua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264A KR20220043264A (en) 2022-04-05
KR102397523B1 true KR102397523B1 (en) 2022-05-13

Family

ID=81182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470A Active KR102397523B1 (en) 2020-09-29 2020-09-29 Actua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5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0415B1 (en) * 2022-06-15 2024-09-26 주식회사 유라 Electric vehicle charging actuator
KR102710416B1 (en) * 2022-06-15 2024-09-26 주식회사 유라 Electric vehicle charging actuator
KR102710418B1 (en) * 2022-06-15 2024-09-26 주식회사 유라 Electric vehicle charging actuator
KR102785257B1 (en) * 2022-06-15 2025-03-21 주식회사 유라 Electric vehicle charging actuator
KR102710417B1 (en) * 2022-06-15 2024-09-26 주식회사 유라 Electric vehicle charging actu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9012A (en) 2011-03-18 2012-10-18 Tokai Rika Co Ltd Power feeding plug locking device
KR101879697B1 (en) 2017-04-07 2018-08-17 주식회사 인팩 Actuator for Plug Locking
KR101906175B1 (en) 2017-04-18 2018-10-12 주식회사 인팩 Locking apparatus for actuator with emergency release function
KR101950224B1 (en) * 2017-11-24 2019-02-22 주식회사 인팩 Rechargeable plug lock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404B1 (en) * 2015-12-18 2022-07-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ocking apparatus for charging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9012A (en) 2011-03-18 2012-10-18 Tokai Rika Co Ltd Power feeding plug locking device
KR101879697B1 (en) 2017-04-07 2018-08-17 주식회사 인팩 Actuator for Plug Locking
KR101906175B1 (en) 2017-04-18 2018-10-12 주식회사 인팩 Locking apparatus for actuator with emergency release function
KR101950224B1 (en) * 2017-11-24 2019-02-22 주식회사 인팩 Rechargeable plug lock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264A (en)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523B1 (en) Actuator assembly
KR101950224B1 (en) Rechargeable plug lock actuator
EP2628621B1 (en) Device for detecting opening/closing of charger lid
EP2463965B1 (en) Connector
US812844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etachable cover
US8016607B2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US8562368B2 (en) Service disconnect assembly
CN109591952A (en) Bicycle derailleur
CN101409406B (en) Attaching structure of connector
CN111421493B (en) Electric tool
JPH04334908A (en) Charging connector for electric motor vehicle or the like
US7880572B2 (en) Lever switch
US9396894B2 (en) Conductivity power connection
JP2019512154A (en) Battery pack for hand-held machine tool and hand-held machine tool
US10522797B2 (en) Circuit board and charging device including a circuit board for a rechargeable battery pack
US20150014464A1 (en) Cable storage device
CN111765289B (en) Coil component a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with same
US20170352505A1 (en) Switch of battery
JP2015056339A (en) Vehicle power supply
US20240405473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050217418A1 (en) Gearbox
JP5394361B2 (en) Electric lock device for vehicle
CN111313341B (en) Cover structure of electric connection part
US20250070505A1 (en) A connector assembly
KR20230172276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