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375B1 - 인공지능을 이용한 통합 식물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이용한 통합 식물관리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7375B1 KR102397375B1 KR1020210145520A KR20210145520A KR102397375B1 KR 102397375 B1 KR102397375 B1 KR 102397375B1 KR 1020210145520 A KR1020210145520 A KR 1020210145520A KR 20210145520 A KR20210145520 A KR 20210145520A KR 102397375 B1 KR102397375 B1 KR 1023973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ue
- irrigation
- plant
- artificial intelligence
- intelligence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명세서가 적용될 수 있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가 적용될 수 있는 식물관리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가 적용될 수 있는 식물관리시스템의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명세서가 적용될 수 있는 경고방법의 일 실시예이다.
본 명세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Claims (15)
- 식물관리시스템이 인공지능 모듈을 이용하여 식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초기 설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기준값을 입력받는 단계;로서,
상기 기준값은 (1) 관수 기준값, (2) 관수를 진행하는 토양 습도값, (3) 관수를 중지하기 위한 토양 습도값 및 (4) 미관수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관수 기준값은 하나 이상의 토양 습도 센서의 개별 측정 값 중 평균값 또는 최소값이며,
상기 기준값에 근거하여 설정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값에 근거하여 관수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토양온습도, RGB 값,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값 및 바이오임피던스(Bio-Impedance) 값을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값에 근거하여, 작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관수펌프, 퇴수펌프, 생장조명 및 순환팬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값에 근거하여, 작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된 RGB 값에 근거하여 :
녹색 면적 대비 황색 면적의 비율이 제1 비율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상기 관수의 주기를 줄이기 위해, 상기 관수를 진행하는 토양 습도값을 높이는 단계; 및
상기 녹색 면적 대비 갈색 또는 회색 면적의 비율이 제2 비율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상기 관수의 주기를 늘이기 위해, 상기 관수를 진행하는 토양 습도값을 낮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값에 근거하여, 작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된 NDVI 값에 근거하여 :
상기 식물의 함수율이 제1 일정값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상기 관수의 주기를 줄이기 위해, 상기 관수를 진행하는 토양 습도값을 높이는 단계; 및
상기 식물의 함수율이 제2 일정값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상기 관수의 주기를 늘이기 위해, 상기 관수를 진행하는 토양 습도값을 낮추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통해, 상기 저장된 RGB 값에 근거하여, 변화와 관련있는 색상의 비율 변화량를 측정하고, 상기 비율 변화량의 제1 기울기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통해, 상기 저장된 NDVI 값에 근거하여, NDVI 값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NDVI 값 변화량의 제2 기울기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통해, 상기 저장된 바이오임피던스 값에 근거하여, 바이오임피던스 값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기울기값, 상기 제2 기울기값 및 상기 바이오임피던스 값 변화량에 근거하여, 식물문제발생율을 예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통해, 상기 식물문제발생율이 일정기간 이후, 특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예측되는 것에 근거하여, 서버에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리 방법.
- 인공지능 모듈을 이용하여 식물을 관리하는 식물관리시스템에 있어서,
토양 및 공기와 관련된 센싱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센싱부,
관수펌프, 퇴수펌프, 생장조명 및 순환팬을 포함하는 작동부,
RGB 카메라, NIR 카메라(Near-Infrared Spectrometer), 바이오임피던스(Bio-Impedance) 센서를 포함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인공지능 모듈 및
상기 센싱부, 상기 작동부, 상기 모니터링부 및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기능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초기 설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기준값을 입력받고, 상기 기준값은 (1) 관수 기준값, (2) 관수를 진행하는 토양 습도값, (3) 관수를 중지하기 위한 토양 습도값 및 (4) 미관수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관수 기준값은 하나 이상의 토양 습도 센서의 개별 측정 값 중 평균값 또는 최소값이며,
상기 기준값에 근거하여 설정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값에 근거하여 관수를 수행하며,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토양온습도, RGB 값,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값 및 바이오임피던스 값을 모니터링하고 저장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값에 근거하여,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값에 근거하여,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모니터링된 RGB 값에 근거하여 :
녹색 면적 대비 황색 면적의 비율이 제1 비율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상기 관수의 주기를 줄이기 위해, 상기 관수를 진행하는 토양 습도값을 높이고,
상기 녹색 면적 대비 갈색 또는 회색 면적의 비율이 제2 비율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상기 관수의 주기를 늘이기 위해, 상기 관수를 진행하는 토양 습도값을 낮추는 식물관리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값에 근거하여,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모니터링된 NDVI 값에 근거하여 :
상기 식물의 함수율이 제1 일정값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상기 관수의 주기를 줄이기 위해, 상기 관수를 진행하는 토양 습도값을 높이고,
상기 식물의 함수율이 제2 일정값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상기 관수의 주기를 늘이기 위해, 상기 관수를 진행하는 토양 습도값을 낮추는, 식물관리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상기 저장된 RGB 값에 근거하여, 변화와 관련있는 색상의 비율 변화량를 측정하고, 상기 비율 변화량의 제1 기울기값을 계산하고,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통해, 상기 저장된 NDVI 값에 근거하여, NDVI 값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NDVI 값 변화량의 제2 기울기값을 계산하며,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통해, 상기 저장된 바이오임피던스 값에 근거하여, 바이오임피던스 값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인공지능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기울기값, 상기 제2 기울기값 및 상기 바이오임피던스 값 변화량에 근거하여, 식물문제발생율을 예측하는, 식물관리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상기 식물문제발생율이 일정기간 이후, 특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예측되는 것에 근거하여, 서버에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식물관리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된 토양온습도에 근거하여, 상기 관수가 종료된 이후, 토양 습도가 특정수준이상 증가하지 않는 경우, 서버에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관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5520A KR102397375B1 (ko) | 2021-10-28 | 2021-10-28 | 인공지능을 이용한 통합 식물관리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5520A KR102397375B1 (ko) | 2021-10-28 | 2021-10-28 | 인공지능을 이용한 통합 식물관리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7375B1 true KR102397375B1 (ko) | 2022-05-12 |
Family
ID=8159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5520A Active KR102397375B1 (ko) | 2021-10-28 | 2021-10-28 | 인공지능을 이용한 통합 식물관리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737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4512B1 (ko) * | 2022-07-07 | 2023-02-28 |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 인공지능을 이용한 식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
CN116098042A (zh) * | 2023-02-09 | 2023-05-12 | 广东筑奥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 一种园林土壤养护节水滴灌系统 |
KR20240005477A (ko) * | 2022-07-05 | 2024-01-12 |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인공지능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
KR20240174934A (ko) * | 2023-06-09 | 2024-12-18 |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 저전력 기울기 센서 및 인공지능 학습을 이용한 가로수 쓰러짐 위험 관리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위험 관리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28715A (ja) * | 2004-05-18 | 2005-12-02 |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 自動潅水方法及びそのための自動潅水装置 |
KR20140114089A (ko) * | 2013-03-18 | 2014-09-26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원예시설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
KR102297913B1 (ko) * | 2021-01-25 | 2021-09-06 | (주)스마트링스 | 하이퍼스펙트럴 반사광 및 형광 산란을 이용한 식물 생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21
- 2021-10-28 KR KR1020210145520A patent/KR10239737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28715A (ja) * | 2004-05-18 | 2005-12-02 |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 自動潅水方法及びそのための自動潅水装置 |
KR20140114089A (ko) * | 2013-03-18 | 2014-09-26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원예시설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
KR102297913B1 (ko) * | 2021-01-25 | 2021-09-06 | (주)스마트링스 | 하이퍼스펙트럴 반사광 및 형광 산란을 이용한 식물 생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5477A (ko) * | 2022-07-05 | 2024-01-12 |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인공지능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
KR102700411B1 (ko) * | 2022-07-05 | 2024-08-28 |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인공지능을 이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
KR102504512B1 (ko) * | 2022-07-07 | 2023-02-28 |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 인공지능을 이용한 식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
CN116098042A (zh) * | 2023-02-09 | 2023-05-12 | 广东筑奥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 一种园林土壤养护节水滴灌系统 |
CN116098042B (zh) * | 2023-02-09 | 2023-08-25 | 广东筑奥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 一种园林土壤养护节水滴灌系统 |
KR20240174934A (ko) * | 2023-06-09 | 2024-12-18 |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 저전력 기울기 센서 및 인공지능 학습을 이용한 가로수 쓰러짐 위험 관리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위험 관리 시스템 |
KR102793395B1 (ko) * | 2023-06-09 | 2025-04-10 | 대한민국 | 저전력 기울기 센서 및 인공지능 학습을 이용한 가로수 쓰러짐 위험 관리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위험 관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97375B1 (ko) | 인공지능을 이용한 통합 식물관리시스템 | |
US11620897B2 (en) | Machine learning motion sensing with auxiliary sensors | |
US1098678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sensor-assisted indoor gardening | |
US1057946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error of operating equipment in smart farm | |
BR102019009695A2 (pt) | método realizado por um sistema de controle, e, sistemas de computação e de controle para uma máquina móvel | |
US11436682B2 (en) | Property damage risk evaluation | |
US12301167B2 (en) | Solar panel performance modeling and monitoring | |
CN105607508A (zh) | 基于用户行为分析的智能家居设备控制方法及系统 | |
CN204313876U (zh) | 便携式物联网智能植物监测系统 | |
CN205920428U (zh) | 基于一体化检测传感器的智慧农业监控系统 | |
US20160209063A1 (en) | Environment control method, control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system | |
CN118732529B (zh) | 一种智能家电设备控制方法及系统 | |
CN111755120B (zh) | 一种基于边缘智能和多模感知的认知障碍预测方法 | |
CN107991933A (zh) | 一种基于mems多功能空气传感器的环境数据分析评价共享系统 | |
CN115984026A (zh) | 一种基于云计算的智慧农业管理系统 | |
CN108401247A (zh) | 控制蓝牙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 |
CN114049235A (zh) | 一种基于物联网的农业信息化管理系统 | |
US11136957B1 (en) | Rain gutter power generator | |
CN109240248A (zh) | 一种基于智能数据处理的菌类生产控制系统 | |
CN103676858A (zh) | 植物监控装置及植物监控系统 | |
KR102514475B1 (ko) | 공기질 측정기와 관수 관리 장치가 결합된 관리시스템 | |
US11792175B1 (en) | Security system with dynamic insurance integration | |
CN114594692A (zh) | 一种基于手机端与物联网的智能家居控制系统 | |
KR20220111086A (ko) |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실내 정원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
CN216360487U (zh) | 基于物联网的好氧发酵云平台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