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7177B1 -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 Google Patents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177B1
KR102397177B1 KR1020170113031A KR20170113031A KR102397177B1 KR 102397177 B1 KR102397177 B1 KR 102397177B1 KR 1020170113031 A KR1020170113031 A KR 1020170113031A KR 20170113031 A KR20170113031 A KR 20170113031A KR 102397177 B1 KR102397177 B1 KR 102397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upport bracket
fastening bolt
flow pipe
side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316A (ko
Inventor
김승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3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177B1/ko
Priority to CN201711262776.0A priority patent/CN109421523B/zh
Priority to US15/840,985 priority patent/US20190072174A1/en
Publication of KR20190026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1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5Support of gearboxes, e.g. torque arms, or attachment to oth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91Supports comprisin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60K1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of mechanic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60K5/1225Resilient supports comprising resilient rings surrounding a part of th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the gearbox is associated or combined with a crank case of an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렌스미션 브라켓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전면에 파워트레인 회전방지수단을 설치하여, 체결볼트 파손시 PT 낙하 위험을 방지하도록한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체결볼트(60)가 삽입되며 상하부에 회전방지돌기(111)가 돌출형성된 유동파이프(110)와, 상기 유동파이프(110)의 회전방지돌기(1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회전방지홈(21a)을 가지는 코어(21)와, 상기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에 형성된 공간(S)에 마련된 회전방지홈(71);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파이프(110)가 상기 코어(21) 및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에 형성된 회전방지홈(21a, 71)에 끼워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Transmission mount type of side assembling}
본 발명은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트렌스미션 브라켓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전면에 파워트레인 회전방지수단을 설치하여, 체결볼트 파손시 PT 낙하 위험을 방지하도록한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적용되는 기술이 점차 발전하고 저진동, 저소음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 진동 및 충격 즉, NVH(Noise, Vibration & Harshness) 성능을 분석하여 승차감을 극대화 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차량의 주행시 특정 RPM 영역에서 발생하는 엔진 진동은 특정 주파수를 가지고 차체를 통해 실내로 전달되며, 엔진의 폭발 성분이 차량의 실내에 미치는 영향은 지배적이다.
차량의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은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로서, 클러치를 통해 엔진의 크랭크 축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트랜스미션은 그 자신의 기계적인 구동뿐만 아니라, 엔진의 구동에 의한 영향으로 인하여 많은 진동과 소음이 발생된다.
따라서, 차체에 트랜스미션을 장착함에 있어서, 차체로 엔진 및 트랜스미션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의 전달을 최소화하여 차량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티엠마운트(이하, 트랜스미션 마운트라 칭함)를 이용하여 트랜스미션을 차체 프레임에 장착하게 된다.
보통 수백 kg에 달하는 트랜스미션을 포함한 파워트레인(Power Train;이하 PT라 칭함)이 3 내지 4개의 마운트에 의해 지지되므로 각 마운트들은 내구 및 충돌 성능에서의 강건성이 요구된다. 특히, 차량의 충돌 시, 파워트레인은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렇게 큰 하중이 가해지는 상황에서도 티엠마운트의 브라켓, 인슐레이터 및 이너코어는 파손되지 않고 트랜스미션을 지지하여야 한다.
파워트레인이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대쉬패널(dash panel) 및 페달(pedal) 류들의 변형으로 이어지므로, 승객의 무릎 및 발목 상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트랜스미션 마운트 구조는 측면에서 차체와 PT를 연결하는 측면 조립 구조이다. 측면에서 조립하는 이유는 공장 라인에서 PT 대킹(장착)공정(차체에 PT를 연결하는 공정)에서 위로 올라가서 체결할 수가 없어서, 라인 작업자가 측면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생산하기 위해서 이다.
상부 체결의 경우 공장 라인 수정을 위해 500억 이상이 소요되기 때문에, 측면에서 PT 대킹 시에 긴 볼트를 2개 체결하는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차량은 부시와 브래킷(BRKT)을 연결하는 볼트는 주로 1개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 였다.
예를 들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10')에 1개의 볼트(11')를 사용하고 있는데, 트랜스미션 마운트(TM) 측에만 오직 2개의 볼트(60')를 사용하고 있다. 그 이유는 볼트의 힘이 전단방향으로 받기 때문에 축 방향에 비교해서 파단 응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2개를 사용하고 있다. 또, 파단 시에는 PT가 바로 아래로 낙하를 하기 때문에 그런 일이 절대 발생하지 않도록 2개를 적용하여 과하게 설계를 하고 있다. 이렇게 과하게 설계를 함으로서, 원가/중량(볼트 대략 중량 0.25kg)이 불리한 것은 물론이고, 볼트 2개를 적용하기 위해서 코어가 과대해져야 하고, 상기와 같이, 코어가 커지기 때문에 그만큼 고무량이 축소된다.
따라서, 볼트를 2개 체결시에는 고무량이 축소되어 NVH 및 R&H / 내구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기존 PT 장착시 작업자가 대차 위에서 엔진/ 트랜스미션 마운트 측을 동시에 체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엔진 및 트랜스미션 마운트(TM)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볼트로 결합하였기 때문에, 작업자가 대차 위에 올라가서 결합을 체결하였으며, 이에 따라 고소작업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공장의 경우에는 제한된 시간 이내에 엔진 상부에서의 작업이 완료되지 못하여 생산 라인의 대폭적인 변경이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 제10-1244708호 "측면 조립형 트랜스 미션 마운트"를 개발하였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인슐레이터(10')와, 상기 인슐레이터(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중공이 형성되며 너비 방향으로 절개되어진 내부 공간(22')이 형성된 코어(21')와, 상기 코어(21')의 내부 공간(2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판 형태의 플레이트 스토퍼(40')와, 상기 코어(21') 및 인슐레이터(10')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코어(21') 및 플레이트 스토퍼(40')에 형성된 중공을 관통하며 상기 케이스(5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측면으로부터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 볼트(60')와, 상부는 돌출되어 있는 상기 체결 볼트(60')와 직접 결합되고, 하부는 트랜스미션과 결합되는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인슐레이터(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코어(21')는, 상기 인슐레이터(10')를 감싸고 있는 상기 케이스(5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50')의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볼트(60')를 통하여 상기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의 측면에 직접 결합되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측면 조립형 트랜스 미션 마운트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60')의 조립 경계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이 노치(notch)에 의해 파단이 발생할 위험도가 높다 라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60')가 코어(21')의 관통홀(21b')로부터 부분적으로 유격을 갖고 공중에 떠있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 끝단 부분에서 강한 전단 힘이 발생하게 된다.
즉, 현재 사용되는 체결볼트(60')가 대략 161mm로 긴 볼트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관통홀(21b')로부터 대략 0.2mm 정도 떠있으며, 체결볼트(60') 자체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모멘트 암이 양 끝단에 전단 힘이 증폭되어 체결볼트의 노치부분이 파손되거나 볼트가 쉽게 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244708호(2013.03.12 공보)
1. 한국 등록특허 제10-10-1746576호(2017.06.07 공보)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0945호 (2013.03.28 공개)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3284호 (2005.06.08 공개)
본 발명은 기존 상하 2점 체결볼트 구조에서 1점 체결볼트 구조 변경을 함으로써, 스톱퍼의 고무량 증대와, 설계 자유도 증대로 인한 NVH 및 R&H 성능개선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렌스미션 브라켓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전면에 파워트레인 회전방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체결볼트 파손시 PT 낙하 위험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는
인슐레이터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을 구비한 코어;
상기 코어와 결합되는 판 형태의 플레이트 스토퍼;
상기 코어 및 인슐레이터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코어 및 플레이트 스토퍼에 형성된 중공을 관통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측면으로부터 결합되는 체결 볼트;
상부는 돌출되어 있는 상기 체결 볼트와 직접 결합되고, 하부는 트랜스미션과 결합되는 TM 측 서포트 브라켓; 및
상기 TM 측 서포트 브라켓 상부에 설치되어 체결볼트와 나사맞춤되는 유동너트 및 유동케이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케이지와 코어 사이에 파워트레인 회전방지수단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첫째, 상하 2점 체결 구조에서 1점 체결 구조 변경에 따라 고무량 증대, 설계 자유도 증대로 NVH 및 R&H 성능을 개선할 수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코어 사이즈 및 관통볼트가 삽입되는 인슐레이터를 축소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사이즈 축소 가능하여 패키지 레이아웃에 유리함.
셋째, 공장 라인 조립시 긴 관통볼트 체결을 2점에서 1점으로 축소하여 생산성이 향상됨.
넷째, 체결볼트가 코어 및 변속기 측 써포트의 홀 내에서 공중에 떠있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상기 체결볼트에 작용하는 모멘트 전단력을 축소시킴으로써, 체결볼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섯째, 고가의 코어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제작코스트를 대폭 저감할 수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트랜스미션 마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a는 하나의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엔진 쪽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2개의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파워트레인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트랜스미션 마운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종래 트랜스미션 마운트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체결볼트 쪽만 일부 발췌하여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 마운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에 회전방지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일부가 단면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고, 도 5b는 TM 측 서포트 브라켓에 설치되는 유동너트와 써포트를 분리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TM 측 서포트 브라켓을 일부 절개한 사시도로써, 도 6a는 유동너트(81)와 유동케이지(80)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정면 부분사시도이고, 도 6b는 배면 부분사시도 이다. 그리고, 도 6c는 유동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코어에 유동파이프가 삽입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에 회전방지수단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명칭 및 형상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인슐레이터(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21b)을 구비한 코어(21)와, 상기 코어(21)와 결합되는 판 형태의 플레이트 스토퍼(40)와, 상기 코어(21) 및 인슐레이터(10)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코어(21) 및 플레이트 스토퍼(40)에 형성된 중공을 관통하며 상기 케이스(5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측면으로부터 결합되는 체결 볼트(60)와, 상부는 돌출되어 있는 상기 체결 볼트(60)와 직접 결합되고, 하부는 트랜스미션과 결합되는 TM 측 서포트 브라켓(70) 및 상기 TM 측 서포트 브라켓(70) 상부에 설치되어 체결볼트(60)와 나사맞춤되는 유동너트(81)가 설치되는 유동케이지(80)(종래 기술의 써포트(80'))로 구성되는 것은 종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종래에서는 체결볼트(60)가 2개인 것을 본 발명에서는 하나로 채택하고, 코어(21) 또한 하나의 체결볼트(60)가 삽입되는 구조로 한 점이 상이하다.
또한, 상기 유동케이지(80)와 코어(21) 사이에는 파워트레인 회전방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 종래와 상이하다.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도 4 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60)가 삽입되며 상하부에 회전방지돌기(111)가 돌출형성된 유동파이프(110)와, 상기 유동파이프(110)의 회전방지돌기(1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회전방지홈(21a)을 가지는 코어(21) 및 상기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에 형성된 공간(S)에 마련된 회전방지홈(71)로 구성되며, 상기 유동파이프(110)가 상기 코어(21) 및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에 형성된 회전방지홈(21a, 71)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유동파이프(11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는 스틸재질의 긴 원통형상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고, 체결볼트(60)가 삽입되는 쪽에 플랜지(114)가 형성되어 코어(21) 삽입시 일정거리만 이동하여 멈추는 스톱퍼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상의 유동파이프(110) 상하방향에는 회전방지돌기(111)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동파이프(110)의 앞쪽 선단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12)이 형성되어 상기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와 결합시 조립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동파이프(1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TM 측 서포트 브라켓(7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a는 유동너트(81)와 써포트(80)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정면 부분사시도이고, 도 6b는 배면 부분사시도 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TM 측 서포트 브라켓(70) 상단에 유동너트(81)와 써포트(80)가 나사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앞쪽에 유동너트(81)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S)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6b에는 유동파이프(110)가 삽입되기 위한 회전방지홈(71)이 상기 유동파이프(110)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11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동너트(81)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동너트(81)가 설치되는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에 형성된 공간(S) 또한 동일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사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체결볼트(60)가 유동너트(81)에 체결된 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동파이프(110) 결합되는 코어(21)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파이트(110)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111)와 동일한 형상의 회전방지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코어(21)에 형성된 관통구멍(21b)과 회전방지홈(21a)은 상기 유동파이프(110)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111)와 동일한 크기 또는 약간 작은 형태로 제작되어 억지끼워 맞춤됨으로써, 코어(21)와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이 회전운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체결볼트(6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또, 상기 체결볼트(60)가 삽입되는 쪽 관통구멍(21b)에는 대략 8~10mm 정도의 유격을 형성하여 체결볼트 토크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들어 갈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종래에 사용되는 코어(21)는 체결볼트 토크 과대에 따른 좌굴이 발생하거나 체결면이 손상 되기 때문에 현재 AC4CH-T6의 스퀴즈 공법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 스퀴즈공법은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알루미늄(AL)코어를 체결볼트(60) 체결면을 스틸 유동파이프(110)로 변경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는 유동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앞쪽은 TM 측 서포트 브라켓(70)가 뒷쪽은 유동파이프가 들뜸현상을 방지하고, 또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와 코어(21)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볼트 파단 시 상하분리되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는 종래 2개의 체결볼트에 의해 지지하던 것을 하나로 축소하고, 하나의 체결볼트를 사용함으로써, 기본 상부스토퍼 대략 3,5mm였던 것을 최소 10.5mm를 유지시킬 수가 있어 스톱퍼의 간극 증대에 따른 여진감, 충격 진동도 개선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인슐레이터 21 : 코어
21a,71,111 : 회전방지 홈 60 : 체결볼트
80 : 유동케이지 81 : 유동너트
110 : 유동파이프

Claims (5)

  1. 인슐레이터(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21b)을 구비한 코어(21);
    상기 코어(21)와 결합되는 판 형태의 플레이트 스토퍼(40);
    상기 코어(21) 및 인슐레이터(10)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케이스(50);
    상기 케이스(5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코어(21) 및 플레이트 스토퍼(40)에 형성된 중공을 관통하며 상기 케이스(5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측면으로부터 결합되는 체결 볼트(60);
    상부는 돌출되어 있는 상기 체결 볼트(60)와 직접 결합되고, 하부는 트랜스미션과 결합되는 TM 측 서포트 브라켓(70); 및
    상기 TM 측 서포트 브라켓(70) 상부에 설치되어 체결볼트(60)와 나사맞춤되는 유동너트(81) 및 유동케이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케이지(80)와 코어(21) 사이에 파워트레인 회전방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체결볼트(60)가 삽입되며 상하부에 회전방지돌기(111)가 돌출형성된 유동파이프(110); 상기 유동파이프(110)의 회전방지돌기(1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회전방지홈(21a)을 가지는 코어(21); 및 상기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에 형성된 공간(S)에 마련된 회전방지홈(71);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파이프(110)가 상기 코어(21) 및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에 형성된 회전방지홈(21a, 71)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파이프(110)는 코어(21)에 억지끼움되고,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파이프(110)의 앞쪽 선단에 경사면(112)을 형성하여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와 결합시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너트(81)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유동너트(81)를 지지하기 위한 TM 측 서포트 브라켓(70)에 형성된 공간(S)이 동일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볼트(60)가 체결된 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KR1020170113031A 2017-09-05 2017-09-05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Active KR102397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31A KR102397177B1 (ko) 2017-09-05 2017-09-05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CN201711262776.0A CN109421523B (zh) 2017-09-05 2017-12-04 侧装配式变速器支座
US15/840,985 US20190072174A1 (en) 2017-09-05 2017-12-13 Side-assembly-type transmission mou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31A KR102397177B1 (ko) 2017-09-05 2017-09-05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16A KR20190026316A (ko) 2019-03-13
KR102397177B1 true KR102397177B1 (ko) 2022-05-13

Family

ID=65513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031A Active KR102397177B1 (ko) 2017-09-05 2017-09-05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072174A1 (ko)
KR (1) KR102397177B1 (ko)
CN (1) CN1094215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256A (ko) * 2020-06-10 2021-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랜스미션 마운트
FR3119654B1 (fr) * 2021-02-09 2023-05-26 Hutchinson Support antivibratoire et véhicule comportant un tel support antivibratoi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708B1 (ko) * 2010-10-07 2013-03-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284A (ko) 2003-12-02 2005-06-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티엠마운트 장착 구조
KR20130030945A (ko) 2011-09-20 2013-03-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치축을 지지하는 엔진 마운팅 구조
US8932022B2 (en) * 2012-02-03 2015-01-13 Pratt & Whitney Canada Corp. Fastening system for fan and shaft interconnection
KR101339261B1 (ko) * 2012-10-16 2013-12-09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트랜스미션 마운팅 유닛
KR101519753B1 (ko) * 2013-12-18 201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파워트레인의 인너샤프트 지지 장치
KR101746576B1 (ko) 2015-12-14 201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티엠마운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708B1 (ko) * 2010-10-07 2013-03-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72174A1 (en) 2019-03-07
KR20190026316A (ko) 2019-03-13
CN109421523A (zh) 2019-03-05
CN109421523B (zh)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72135A1 (en) Low porosity solid electrolyte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766118B2 (en) Engine bracket
US9382961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JP6157000B2 (ja) 防振装置
KR102397177B1 (ko) 측면 조립형 트랜트미션 마운트
CN115734911A (zh) 用于机动车的后车部的纵梁和用于机动车的后车部
CN109398057B (zh) 车辆
CN108394263A (zh) 动力单元安装结构
US8579309B1 (en) Vehicle frame mounting
WO2009107810A1 (ja) 防振装置
KR102341484B1 (ko)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마운팅 로워 구조
KR101973128B1 (ko)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KR101867581B1 (ko) 측면 조립형 트랜스미션 마운트
CN110712683B (zh) 副车架安装结构
KR101664505B1 (ko)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파단형 티엠 마운트 브라켓
CN110667361A (zh) 用于电动车辆的悬置系统以及具有其的电动车辆
JP6393443B2 (ja) 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振装置
KR20220045320A (ko) 파워트레인 고정용 서포트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운팅 어셈블리
JP2013169856A (ja) ブラケット付きエンジンマウント
KR20220094336A (ko)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EP1300272B1 (en) Engine motion restrictor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such an engine motion restrictor
US20240399845A1 (en) Fastening structure for vehicular mounting system
KR102598415B1 (ko) 자동차용 롤 마운트
JP4252466B2 (ja) ストッパ付防振装置
KR20030042923A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8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