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6068B1 - 보안 용지들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 용지들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068B1
KR102396068B1 KR1020177000262A KR20177000262A KR102396068B1 KR 102396068 B1 KR102396068 B1 KR 102396068B1 KR 1020177000262 A KR1020177000262 A KR 1020177000262A KR 20177000262 A KR20177000262 A KR 20177000262A KR 102396068 B1 KR102396068 B1 KR 102396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s
hidden
variable
regions
variable opaq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064A (ko
Inventor
앙리 로쎄
Original Assignee
오베르튀르 휘뒤셰르 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베르튀르 휘뒤셰르 사스 filed Critical 오베르튀르 휘뒤셰르 사스
Publication of KR2017002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0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51Translucent or partly translucent parts, e.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42D25/425Marking by deformation, e.g.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33Water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55Security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42D25/43Marking by removal of material
    • B42D25/435Marking by removal of material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44Watermark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D21F11/008Making apertur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40Agents facilitating proof of genuineness or preventing fraudulent alteration, e.g. for security paper
    • D21H21/42Ribbons or strips
    • B42D2033/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 Paper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보안 용지는 섬유성 기재 및 섬유성 기재 내의 윈도우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7)을 포함하고, 섬유성 기재는, 은선을 따라 2개, 바람직하게 연속하는 윈도우들(10) 사이에 배치된 섬유성 기재의 브리지(1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하여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변성 불투명 구역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보안 용지들 및 그 제조 방법{SECURITY PAP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 바람직하게, 워터마크를 가지고, 은선(security thread)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섬유성 기재들에 관한 것이다.
지폐들과 기타 보안 문서들(예, 수표들, 우편환들, 신분증들, 신용 카드들 및 보증서들을 포함함)은 은선들 즉, 거의 동일한 폭의 스트립(strip)들에 통합된, 용지들로부터 형성되고, 수년 동안 유통되고 있고 현재 많은 국가들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들 문서들 내의 은선들은 특정의 경우들에서 반사된 빛에 나타나서 보이고, 미리 정의된 구역들 내에서 용지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상에 존재하고, 이들 구역들은 보통 "윈도우들"로 명명되고 있다.
은선들은 보안 문서의 모방을 더 어렵게 한다. 은선들은 전송된 빛 및 반사된 빛에서 대체적으로 문서들을 다르게 보이는 양상을 줌으로써 보안 문서의 감정(authentification)에 기여한다.
그러한 보안 요소들의 포함에 의해 얻어지는 보안을 증가시키기 위해, 검증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성질들, 특히 자기적 성질들, 전기 전도성 성질들, 발광(예를 들어, 형광) 성질들 및/또는 x-선 흡수 성질들을 보안 요소들에게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윈도우들에 포함된 은선을 가진 용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들은 특허 출원 번호들 EP 0059056, WO 93/08327 및 WO 03/095188로부터 알려져 있다.
EP 0059056은 실린더-몰드 제지 공정을 사용하여, 윈도우들 내에 은선을 포함하는 용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실린더-몰드의 와이어는 돌출하는 구역들을 생성하기 위해 엠보싱 가공된다. 은선은 용지 섬유들의 수성 현탁액을 함유하는 탱크 속으로 들어가기 전에 이들 돌기 구역들과 접촉하게 된다. 섬유들은 실린더-몰드의 와이어와 은선의 접촉 영역들 내에 누적되지 않는다. 그것의 형성 후, 용지의 플라이(ply)는 추출되어 건조된다. 마무리된 용지는 반사된 빛에서 하나의 사이드로부터 볼 수 있고, 은선이 국부적으로 나타나게 하는 윈도우들을 가진다.
은선을 구비하는 용지는 은선의 높이보다 국부적으로 약간 더 두꺼운 높이일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두께는 용지를 롤로 권취하는 동안 또는 용지를 시트로 절단하는 동안 등과 같이 용지를 쌓는 동안 증폭된다. 이러한 문제를 경감하기 위하여, 은선을 용지에 통합시키는 동안, 용지의 제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은선에 진동을 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돌출하는 구역들은 은선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진다. 그러므로, 용지가 전송된 빛에서 관측될 때, 용지는, 은선의 어느 하나의 사이드 상에서, 브리지들에 인접하는 어두운 구역들과 윈도우들에 인접하는 밝은 구역들의 교번을 가진다.
WO 93/08327은 푸어드리니어(Fourdrinier) 제지기를 사용하여 은선이 포함하는 용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특정 패턴들을 가진 윈도우들을 통해 볼 수 있는, 은선을 포함하는 용지의 제조 방법은, 또한 특허 출원 WP 03/095188로부터 알려져 있다.
특허 출원 EP 2 275 602는, 윈도우들 내에 은선이 포함되고, 상기 은선으로부터 워터마크들이 이격된, 은선을 포함하는 용지를 기술한다.
특허 출원 WO 2009/083689는 워터마크 및 워터마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 보안 구조의 연관을 기술하고 아래의 워터마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이게 하는 반(semi)-반사 영역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워터마크는 하프톤(halftone) 워터마크일 수 있다. 보안 구조는 워터마크에 반대되는 용지 기재의 사이드 또는 동일한 사이드에 접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보안 구조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용지 기재의 표면에 남아 있고, 이러한 문서 내에서, 그것은 윈도우들에 통합된 은선을 구성하는 보안 구조의 문제가 아니다.
특허 출원 WO 2009/115766은 어두운 워터마크들을 사용하여 모서리(corner)들에서 용지 기재를 기계적으로 강화시키는 방법을 교사한다. 보안 요소는 기재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허 출원 WO 2009/081017은 구체적으로, 워터마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 섬유성 리본을 통합하는 워터마크된 기재를 제안하다. 따라서, 워터마크의 외관은 리본에 중첩된 부분과 리본에 중첩되지 않은 부분이 상이하다. 워터마크는 하프톤 워터마크일 수 있다. 이 특허 출원의 목적은 윈도우들에 통합된 종래의 은선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워터마크의 외관의 변형을 생성하는 것이다.
식권들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고 워터마크들과 워터마크들에 중첩된 은선을 포함하고, 은선은 워터마크들의 위치 내에서 용지의 일 사이드에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섬유성 기재 및 이러한 섬유성 기재 내의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포함하고, 섬유성 기재가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따라, 바람직하게 연속적인, 2개의 윈도우들 사이에 위치된 섬유성 기재의 브리지의 적어도 위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가진, 보안 용지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필요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중첩된 레벨-원(level-one) 보안 특징들 즉, 이러한 윈도우들 내에서 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은선들 및 하나 이상의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의 보안 요소에 중첩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매력적으로 결합시키게 한다.
그러한 결합, 예를 들어 윈도우가 있는 은선 및 워터마크는, 위조의 어려움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보안 용지는 복수의 은선들, 특히 섬유성 기재 내의 윈도우들에 통합된 2개의 은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은선들은 병치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고 동일한 윈도우에 통합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은선들에 중첩된 섬유성 기재의 브리지 위로 연장할 수 있고 은선들을 따라, 바람직하게 연속적인, 2개의 윈도우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유용하게,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특히,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캐리어 필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의 섬유성 기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다. 이것은 기재의 내부 속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하는 하나 이상의 은선들에 의해 보안 용지의 보안성이 증가되게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구현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하나 이상의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로 단독으로 위치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브리지와 동일한 높이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이 존재하고 즉, n개의 브리지들 각각이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가지며,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구현예에 따르면, 섬유성 기재는 용지가 전송된 빛에서 관측될 때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의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볼 수 있게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가진다. 하나 이상의 다른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바람직하게, 윈도우들 사이로 연장하는 브리지들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윈도우들과 동일한 높이의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따라 연장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이고 인접하는 브리지들 위로 연장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어느 하나의 사이드 상에 하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이 있다. 각각의 윈도우의 경우, 이러한 윈도우 동일한 높이의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어느 하나의 사이드로 연장하는 가변성 불투명 구역, 또는 n개의 윈도우들 마다 하나의 그러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이 있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접하는(bordering)" 가변성 불투명 구역에 의해, 상기 구역이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길이 방향 에지를 따라 연장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구역은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 에지에 중첩되거나 이러한 길이 방향 에지로부터 충분히 작은 간격 예를 들어, 2mm 미만으로 연장할 수 있으므로, 시각적으로 관측자는, 전송된 빛에서, 하나 이상의 은선들이 실질적으로 인접하거나 상기 구역에 중첩되는 느낌을 가진다. 기재는 복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을 가질 수 있고, 구역들의 일부는 윈도우들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구역들의 일부는 브리지들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윈도우들을 따라 연장하는, 상이한 패턴을 재생한다.
브리지들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윈도우들과 동일한 높이를 가진 하나 이상의 은선들 볼 수 있게 접하는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의 존재는 2개의 인접한 레벨-원 보안 특징들, 즉 윈도우들 내에서 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은선들 및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접하는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매력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구현예에서, 기재의 두께는 결코 영(zero)이 아니고 브리지와 동일한 높이이므로,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항상 기재의 섬유들에 의해 덮인다. 변형예로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더 낮은 불투명도의 구역들이 하나 이상의 은선들 상에 개구된 섬유성 기재 내의 구멍들로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은선들이 구멍들 내에 나타나게 하는 그러한 가변성 불투명 구역, 또는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덮는 기재의 두께가 충분히 작아서 하나 이상의 은선들이 구멍들 안에서 반사된 빛에서 볼 수 있는 그러한 불투명 구역이다. 그러므로,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반사된 빛에서 브리지와 동일한 높이에서 국부적으로 볼 수 있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기재 내부에서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양호한 유지를 확보하는 기계적 응집력을 보존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구멍들의 총 단면적은 브리지의 총 단면적에 대하여 작게 남아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브리지들은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부분적으로만 덮기 때문에 은선들이 부분적으로 볼 수 있게 남아 있다. 예를 들어, 브리지들은 오직 하나의 단일의 사이드 상의 브리지들의 전체 폭보다 작게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덮는 하프-브리지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바람직하게, 브리지들은 실질적으로 그들의 중앙에서 개구되어, 하나 이상의 은선들이 개구와 동일한 높이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은선들이 브리지 내에서 직접적으로 노출될 때,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이러한 높이(level)에서 볼 수 있는 보안 특징을 포함하고, 그것은 반사에서 볼 수 있는 보안 특징의 문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고니오크로마틱(goniochromatic) 효과와 같은 특정의 광학 효과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성 구체적으로, 형광성 보안 특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더 낮은 불투명도를 가진 하나 이상의 영역들 내에서, 발광에 의해 생성되는 빛이 물질을 통한 확산에 의해 덜 약화되거나, 심지어 약화되지 않는, 더 낮은 불투명도 때문에,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발광성 보안 특징의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광의 여기(excitation)의 UV 또는 IR 빛 하에서, 시각적 관점으로부터 매력적인,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용지가 보증된 문서의 형태로 절단될 때, 보증된 문서는,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따라, 하나 이상의 끝단들이 접하는 문서의 그러한 에지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윈도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독립적으로 또는 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섬유성 기재 및 이러한 기재 내의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이고, 섬유성 기재는, 구체적으로, 은선의 어느 하나의 사이드 상에서, 바람직하게 은선로부터 영이 아닌 거리(r)에서, 이들 영역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2개의 윈도우들과 동일한 높이의, 은선에 접하는 2개의 영역들에서 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구비한다.
전술한 내용과 독립적으로 또는 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섬유성 기재 및 이러한 기재 내의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포함하고, 섬유성 기재는 2개의 영역들 내의 은선에 중첩되고 이들 영역들 사이에서 바람직하게 은선으로부터 영이 아닌 거리(s)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가진다.
기재
용어, "기재"는 "플라이(ply)들"로 또한 명명되는,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섬유층들을 구비하는 섬유성 시트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기재는 2-플라이이고, 윈도우들은 이들 플라이들의 제조 동안 얻어진다.
기재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특성들을 가진 하나 이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는 레벨-원, 레벨-투(two), 레벨-쓰리(three) 보안 특징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보안 요소를 구비하거나 수용할 수 있고, 이러한 요소는 특히, 트레이서(tracer)들, 구체적으로 나노트레이서들, 보안 섬유들, 구체적으로 금속 섬유들, (소프트 및/또는 하드) 자성(magnetic) 섬유들 및 자외선(UV),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IR) 구체적으로, 근적외선(NIR) 내에서 흡수성 또는 흥분성(excitable)인 섬유들, 플레이크들, 안료들 또는 안료 덩어리들과 같이, 편평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형태이고, 특히 레이저 조명하에서 또는 자외선(UV),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IR) 구체적으로, 근적외선(NIR) 내에서 흡수성 또는 여기성인 보안 요소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위조(falsification) 및/또는 감정 및/또는 식별 작용물질과 각각 반응할 수 있는 화학적 또는 생화학적 비-위조(non-falsification) 및/또는 감정 및/또는 식별 반응물질, 및 광학적으로 가변성 요소들, 구체적으로 홀로그램들, 액정들, 무지갯빛 안료들 또는 거울 효과를 제공하는 구조들 특히, 유전체층들을 구비하는 구조들, 및 이들의 결합들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섬유성 기재는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부가적인 보안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러나 그것은 활성 물질, 이들 트레이서들이 광전자, 전기, 자기 또는 전자기 여기에 노출될 때 특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입자들 또는 섬유들의 형태를 취하는 트레이서들을 또한 구비할 수 있다.
섬유성 기재는 윈도우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브리지들과 교번하는 복수의 윈도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2개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 사이의 각각의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로 연장할 수 있고/또는 각각의 브리지는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단일의 브리지는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포함한다.
브리지들은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변형예로서, 브리지들은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부분적으로 덮고, 그러면, 은선들은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에서 부분적으로 볼 수 있게 남게 된다. 브리지들은 유럽 특허 출원 EP 2 260 142에 기술된 것일 수 있다.
윈도우들은 기재의 리세스된 릴리프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브리지들은 두께 방향에서 벨럼(vellum)과 동일한 높이일 수 있다. 변형예로서, 브리지들은 기재의 돌출하는 릴리프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높이(level with)"는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길이를 따라 측정된 동일한 길이 방향 위치로 이해되어야 한다.
기재의 섬유들은 천연 섬유 및/또는 합성 섬유일 수 있다.
기재는 섬유소, 목화 또는 리넨(linen)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는 불투명하게 하는 구체적으로, 광물 필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는 합성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고 그 표면 상에 프라이머(primer) 및/또는 앤티-소일링(anti-soiling) 코팅을 수용할 수 있다.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바람직하게 두 개 모두의 사이드들 상에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바람직하게 두 개 모두의 사이드들 상에 함침, 사이징, 코팅 구체적으로, 바니시(varnish) 및/또는 안료화된 사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수직 입사(normal incidence)로 전송된 빛에서 관측될 때 그 평면 내에서 불투명도가 변화하는 기재의 영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불투명도의 변화들은, 하얀 주간 조명하에서, 바람직하게 전송된 빛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워터마크, 예를 들어, 멀티톤 또는 멀티톤-효과 워터마크, 또는 엠보싱 및/또는 압착 및/또는 투명화 구체적으로, 유성 기재의 사용에 의해 획득된, 의사(pseudo)-워터마크에 의해 구획될 수 있고, 또는 레이저 융제(ablation)에 의해 획득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이다.
특히,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존재는 하나 이상의 인접한 은선들에 의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보안 특징으로 관측자의 주의를 끌게 함으로써 보안의 레벨이 증가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윈도우들에 포함된 많은 은선들은 흔히 용지의 표면에 은선들의 접착되게 결합된 피스들에 의해 위조되고, 일반적으로 보안 문서 상 특히, 인쇄된 보안 문서 상의 그들의 가시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이 브리지와 동일한 높이의 하나 이상의 은선에 중첩될 때, 그 불투명도의 변화에 기인하여 기재의 장소들 내에서 더 적은 국부적인 불투명도 때문에,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가시성은 반사된 및/또는 전송된 빛에서 향상될 수 있다.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불투명도 변화에 의해 패턴이 생성되고 하프톤 이미지가 전송된 빛에서 볼 수 있는 구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것은 간격이 일정하거나 변할 수 있고, 그 사이즈가 일정하거나 변할 수 있는 하프톤 점(dot)들로 형성된 이미지의 문제이다.
하프톤 이미지의 하프톤 점들은 전송된 빛에서 관측된 이미지가 예를 들어, 20cm의 거리에서 육안에 의해 관측될 때 벨럼의 그것과 다른 균일한 회색 레벨을 생성하도록 충분히 작을 수 있다. "벨럼"은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의 외측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의 외측의 섬유성 기재를 의미한다.
하프톤 점들은, 구체적으로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이 전송된 빛에서 관측될 때, 포지티브들 및/또는 네거티브들로서 나타난다.
하프톤 점들은 하프톤 이미지가 전송된 빛에서 관측될 때 20cm의 거리에서 육안으로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고 심지어 남아 있을 수 있어서, 예를 들어, 기재의 평면 내에 규칙적으로 분포된 점들의 그리드 또는 네트워크의 인상을 관측자에게 준다.
하프톤 점들의 밀도 및/또는 사이즈는 하프톤 구역의 일 영역으로부터 다음영역까지 변화할 수 있다.
하프톤의 점들의 모양은 원형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고, 이들 점들은 적절한 경우 폭 및/또는 분리가 변화하는 라인들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용어, "하프톤 점"은 의미상 엄격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그것은 기하학적 또는 영숫자 모양, 바람직하게 선형, 원형, 타원형, 다면체 및 구체적으로 정사각, 사각형, 육각형 또는 5각형, 또는 영숫자 모양의 문제이다. 변형예로서, 원문(textual) 요소, 즉, 복수의 영숫자 문자들의 세트의 문제이다.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이미지 내에서 밝거나 어두운 섬(island)들의 형태를 취하고 가능하게 이미지의 구성 픽셀들로서 보여지는 상대적으로 많은 하프톤 점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하프톤 구역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는 규칙적인 점들의 그리드 또는 네트워크와 다를 수 있고, 적절한 경우, 전체적 시야로 임의의 주제, 이미지 내의 그림자들에 의해 및/또는 점들의 밀도 및/또는 사이즈의 변화에 의해 생성되는 릴리프의 감각, 3차원 효과를 재생할 수 있다.
하프톤 구역에 의해 재생되는 주제는, 예를 들어, 화폐 상에서 일반적으로 맞닥뜨리는 것과 같은, 무생물의 물체, 경치, 기념물, 저명인, 야채(꽃, 식물, 나무) 또는 동물일 수 있다. 이 경우에, 하프톤 점들의 배치의 주파수 또는 진폭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회색 레벨들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밝고 어두운 구역들을 생성하기 위해 변조될 수 있다.
하프톤 점의 최대 치수는 0.1mm와 1.5mm 사이 예를 들어, 0.2mm와 1.0mm 사이로 구성될 수 있다.
하프톤 점의 최소 치수는, 구체적으로 하프톤 점들이 라인들을 구성할 때, 0.1mm와 1.5mm 사이 예를 들어, 0.2mm와 1.0mm 사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의 나머지보다 더 밝거나 더 어둡게 나타나는, 하프톤 점들의 수는 예를 들어, 제곱 센티미터 당 10개와 2500개 사이 예를 들어,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당 제곱 센티미터당 25개와 625개 사이일 수 있다.
브리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높이 즉, 하나 이상의 은선들이 기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된 위치(들)에 배치된, 각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이 영역 내에서 하나 이상의 은선들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기재가 다중-플라이 기재일 때, 특히 가변성 불투명 구역이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의 하나 이상의 은선들에 보일 수 있게 접하는 경우에,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윈도우들이 생성되는 플라이와 조립되는 별개의 플라이 상에 생성되는 워터마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구현예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하나 이상의 은선들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으로만 발견되고, 하나의 변형예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하나 이상의 은선들 위와 옆 모두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하나의 사이드 또는 각각의 사이드 상으로 연장하고, 예를 들어, 브리지와 동일한 높이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윤곽은 직사각일 수 있고, 직사각의 긴 사이드는 하나 이상의 은선들보다 더 넓은 폭으로 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길이 방향 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한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이,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지나서,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최대 거리는, 바람직하게 40m보다 더 작거나 같다.
변형예로서, 브리지들이 각각 기재의 돌출하는 릴리프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형성될 때,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브리지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하고 구체적으로, 브리지들의 그것보다 더 작은 거리에 걸쳐 길이 방향 및/또는 교차되게 연장한다.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 즉, 보안 요소가 기재의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점(들)에서, 접하는 각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2개의 연속하는 브리지들 사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특히, 이 영역 내에서 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양 사이드들에 완전히 접한다. 변형예로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이러한 사이드에 부분적으로만 접하고, 이 경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따라, 2개의 연속하는 브리지들을 분리하는 것보다 더 작은, 길이에 걸쳐 연장한다.
바람직하게, 섬유성 기재는 서로 동일하고 기재 위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분포된 복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모두 구체적으로, 10mm와 40mm 사이로 구성된 동일한 교차 방향 치수를 가진다. 이러한 교차 방향 치수는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으로 측정된다. 변형예로서, 연속적인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고/또는 동일한 교차 방향 치수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동일한 외형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특정의 주기성으로 기재 위에 분포된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그들이 전송된 빛에서 관측될 때, 임의의 윤곽의 주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다각형 또는 난형(ovoid) 윤곽의 주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주요 패턴"은, 생성된 이미지의 픽셀의 개별적인 밝거나 어두운 구성 성분 섬의 모양이 아닌, 그 전체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에 의해 구획되는 패턴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각각 워터마크 또는 의사-워터마크를 포함하고 나아가 각각 워터마크를 구성한다. 즉, 구역들은 용지 섬유들이 더 크거나 더 적은 정도로 국부적으로 누적되어 만들어지는 제지 공정에 의해 바람직하게 엠보싱 또는 용지의 플라이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 위에 배치된 마스크의 사용에 의해 얻어진다. 그러한 마스크는 또한 "전기판(electrotype)"으로 명명된다. 변형예로서, 하나 이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미세 천공들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레이저 융제(ablation)에 의해 얻어진다.
워터마크 또는 의사-워터마크의 경우에, 섬유성 기재에 의해 생성되는 워터마크 또는 의사-워터마크는 밝은 워터마크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워터마크의 밝은 영역들은 상기 워터마크의 외측의 영역들의 그것보다 엄밀히 더 낮은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진다. 어두운 영역들은 상기 워터마크의 외측의 영역들과 동일한 단위 면적당 밀도 또는 더 높은 밀도를 가진다. 변형예로서, 워터마크는 어두운 워터마크일 수 있고, 이 경우 워터마크의 어두운 영역들은 상기 워터마크의 외측의 영역들의 그것보다 엄밀히 더 높은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진다. 그러면, 밝은 영역들은 상기 워터마크의 외측의 영역들과 동일한 단위 면적당 밀도 또는 더 낮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단위 면적당 밀도의 변화는 기재의 두께의 국부적 변화와 관계된다.
"워터마크의 밝고/어두운 영역들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워터마크의 밝은 영역들 및/또는 어두운 영역들에서 기재의 섬유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의미하고, 즉,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고려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워터마크 또는 의사-워터마크는 하프톤 이미지의 방식으로 배치되고 기재 위의 밝은 영역들의 단위 면적당 밀도에 의존하는 다수의 회색 레벨들을 구비하는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분포된 한 세트의 밝은 영역들을 포함하는 하프톤 멀티톤-효과 워터마크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밝은 영역들의 단위 면적당 높은 밀도를 가진 기재의 부분들은 밝은 톤을 나타내고, 밝은 영역들의 단위 면적당 낮은 밀도를 가진 부분들은 어두운 톤으로 나타난다. 변형예로서, 워터마크는 하프톤 이미지의 방식으로 배치된 한 세트의 어두운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허 출원 EP 1 122 360은 그러한 하프톤 워터마크의 제조를 개시한다.
워터마크는 기재의 엠보싱에 의해 생성되는 멀티톤 워터마크일 수 있으므로, 멀티톤 워터마크는 다양한 레벨들의 릴리프들을 드러낸다.
워터마크는 특허 출원 WO 2011/11782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멀티톤 워터마크 즉, 가변성 두께의 천공된 마스크로부터 생성된 워터마크일 수 있다. 천공들은 특히 균일하게 분포되고 나팔 모양이다. 가장 두꺼운 영역들은 덜 두꺼운 영역들보다 더 작은 구멍에 의해 천공된다. 그러면, 다양한 회색 레벨들은 천공들의 사이즈에 의존하고, 사이즈 그 자체는 마스크의 두께에 의존한다.
워터마크는 전기판 워터마크(고-대비 단일-톤 워터마크)일 수 있다.
워터마크는 푸어드리니어 머신 내에서, 구체적으로, 투명무늬를 내는 롤러(dandy roll)에 의해 얻어지는 워터마크일 수 있다.
워터마크는 개구된 마스크에 의해 또는 릴리프들을 가진 개구된 마스크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변형예로서, 개구된 마스크들은 엠보스되고, 구체적으로 동시에 형성 와이어로서 기능한다.
변형예로서, 워터마크 또는 의사-워터마크는 압착에 의해 및/또는 투명화를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유성(oily) 기재에 의해 및/또는 레이저 융제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의 워터마크의 밝은 영역들은 섬유성 기재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서 하나 이상의 인접한 은선들이 나타나게 하는 빈 공간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밝은 영역들은 기재의 외부 표면과 하나 이상의 은선들 사이의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의 기재의 영이 아닌 두께를 항상 유지하도록 될 수 있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이 의사-워터마크로 이루어질 때, 의사-워터마크는 적절한 물질를 사용하여 기재 예를 들어, 유성 기재의 국부적 투명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이 의사-워터마크로 이루어질 때, 의사-워터마크는 또한 기재에 재-습윤 용액을 부가하고 압력을 인가하거나 워터마크를 형성하기 위해 특정 영역들 내의 기재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 가열하는 단계로 구성된 방법들을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그러한 공정들은 특허 출원들 WO 99/14433 및 WO 00/32874에 개시된다. 빈 공간들은 레이저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섬유성 기재 내에서 생성된 미세 천공들을 포함하는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경우에, 미세 천공들은 레이저에 의해 바람직하게 생성된다. 하나 이상의 아래에 있는 은선들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기재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빈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의 강도는 제조 동안 선택될 수 있다. 레이저의 사용은 패턴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그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고 패턴의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은선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플라스틱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수지 바람직하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제조된 캐리어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캐리어 필름은 투명하다.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폭은 0.5mm와 15mm 사이 또는 3mm와 8mm 사이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필름의 두께는 6 내지 60㎛ 범위일 수 있다. 캐리어 필름은, 전송된 빛 내에서 볼 수 있는 마이크로-텍스트 또는 다른 패턴들을 구획하는, 그 양 사이드들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상의 금속화/탈금속화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니켈, 금 및/또는 은이다. 캐리어 필름은 구체적으로, 탈금속화된 영역들이 마이크로-텍스트 또는 다른 패턴들을 구획하게 되는, 진공 금속법에 의해 증착된 금속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구체적으로, 금속성, 무지갯빛 또는 발광성 잉크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는 하프톤 구역을 향해 돌려지는 은선의 사이드에 의해 및/또는 반대되는 사이드에 의해 보유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마이크로릴리프들, 구체적으로 회절성 또는 굴절성 및 특히 홀로그래픽 마이크로릴리프들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릴리프들은 바니시의 엠보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은선들의 섬유성 기재로의 포함은 용지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용지의 2개의 반대되는 에지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직선 및 평행한 에지들, 또는 변형예로서, 똑바르지 않지만 예를 들어, 굴곡된 에지들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특히, 브리지들 상에 존재하고 하나 이상의 은선들에 중첩된 낮은 불투명도의 구역을 통과하는, 그들의 가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섬유성 기재의 그것과 상이한 색상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자성, 전기적, 광색성, 써모크로믹(thermochromic), 피오조크로믹(piezochromic) 및 기타 성질들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밝은 주광(dayligh) 하에서 볼 수 있거나 볼 수 없는 발광성 특히, 형광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성 화합물은 대량의 캐리어 필름에 포함되거나 그 표면 상에만 존재할 수 있다. 발광성 화합물은 자외선(UV) 또는 적외선(IR) 빛에 의해 여기될 때 형광을 낼 수 있다. 이것은 문서의 보안이 증가되게 하고 그 감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형광 또는 발광은 섬유성 기재의 브리지들 상에 존재하고 하나 이상의 은선들과 중첩된 낮은 불투명도의 구역들 내에서 감지될 수 있고, 형광성 또는 발광성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심지어 터치(touch)에 의해 감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캐리어 필름의 표면 상에 증착된 바니시에 의해 또는 큰 사이즈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레이어의 인쇄에 의한 증착에 의해,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촉각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촉각 효과는 하나 이상의 은선들이 노출되는 섬유성 기재의 윈도우들 내에서 감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홀로그램들, 액정들, 다층 간섭 구조들, 무지갯빛 안료들 및 이들의 조합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광학적 가변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광학적 가변성 요소들은 섬유성 기재의 윈도우들 내에서 볼 수 있고 또한 섬유성 기재의 브리지들 상에 존재하고 하나 이상의 은선들과 중첩된 낮은 불투명도의 구역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적절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 특히, 적어도 하나의 RFID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보증된 문서(secured document)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지를 포함하는 보증된 문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보증된 문서는 화폐, 수표, 음식점 바우처, 신분증 또는 비자 또는 여권 또는 운전면허증과 같은 신원 문서, 복권, 트래블 패스(travel pass) 또는 심지어 문화 또는 스포츠 이벤트 입장용 티켓과 같은 지불 수단일 수 있다.
문서는 단일의 윈도우 또는 변형예로서, 용지의 제조 동안 2개의 연속하는 윈도우들을 분리하는 그 폭과 거리에 따라, 복수의 윈도우들을 가질 수 있다. 문서가 단일의 윈도우만을 포함할 때,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덮고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길이 방향에서 윈도우의 어느 하나의 사이드 상에서 연장하는 기재의 영역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리지들"로 명명된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용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윈도우들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영역들, 및 형성된 용지 내의 윈도우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브리지들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용지의 플라이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에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접촉시키는 단계,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더 낮은 불투명도의 부분들로서 배치된 비개구된 구역들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개구된 마스크를 제2 영역들의 하나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형성 와이어는 푸어드리니어 머신의 댄디 롤, 또는 바람직하게 WO 93/08327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린더-몰드 머신의 와이어일 수 있다. 형성 와이어는 브리지들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들을 구획하는 리세스된 릴리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윈도우들은 형성 와이어로부터 돌출하는 릴리프들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윈도우들과 동일한 높이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을 생성할 필요가 있을 때, 대응하는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된 마스크들을 돌출하는 릴리프들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변형예로서, 용지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는 돌출하는 릴리프들을 갖지 않고 윈도우들이 마스크들 그 자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윈도우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브리지들 상에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용지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의 리세스된 릴리프들 내에 개구된 마스크들을 배치시킬 수 있다.
그러면, 와이어 속으로 리세스된 그들의 위치에 의해 그들을 저하시키기 쉬운 기계적 스트레스들과 응력들로부터 마스크들이 보호되기 때문에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의 워터마크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매우 얇은 마스크들을 사용할 수 있고, 이것은 그들이 하나 이상의 은선들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마스크의 두께는 1mm보다 더 작거나 같고 바람직하게 0.2mm와 0.8mm 사이를 포함한다.
개구된 마스크들은 기계가공, 사출 성형, 소결, 구체적으로, 레이저 소결 특히, 선택적 레이저 소결(SLS) 또는 선택적 레이저 용융(SLM), 또는 3D 프린팅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기계가공법은 임의의 릴리프들이 부여되지 않는 개구된 마스크들을 위해 바람직하고, SLM법은 하나 이상의 릴리프들이 마련된 개구된 마스크들을 위해 바람직하다.
전술한 내용과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용지 기재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와이어는 바람직하게 엠보스되고 리세스된 릴리프들과 돌출하는 릴리프들의 교번을 가지고, 이 방법은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스크가 리세스된 릴리프 내에 배치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한 방법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생성하기 위해 적합하다. 개구된 마스크는 워터마크 구체적으로, 하프톤 워터마크를 형성하기 위해 생성될 수 있다. 그러한 제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은선들이 더 많이 보일 수 있는,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하프톤이든지 그렇지 않든 간에, 워터마크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와 그 자체가 독립적으로 유용하다. 발광에 의해 생성된 빛 또는 색상의 차이가 브리지들과 동일한 유효한 높이 특히, 브리지들의 더 작은 불투명도의 영역들과 동일한 높이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증가된 가시성은 하나 이상의 은선들이 발광 구체적으로, UV 또는 IR 형광의 성질을 가지고, 또는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의 기재와 상이한 색상일 때 특히 유용하다고 입증되었다.
전술한 내용에 독립적으로 또는 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기재 내의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빈 공간이 기재 내에 생성되고,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의 윈도우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레이저를 사용하는, 보안 용지의 제조 방법이다. 하나 이상의 빈 공간들이 브리지 내에 생성될 때, 따라서 은선과 용지의 표면 사이를 연장하는 기재의 두께가 국부적으로 감소되고,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의 적어도 하나의 은선의 가시성이 증가될 수 있고, 전술한 것들과 동일한 장점들을 가진다.
섬유성 기재의 두께는, 국부적으로, 충분히 작을 수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은선들이 섬유성 기재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빈 공간들은 또한, 레이저에 의해, 윈도우들을 가진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따라,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각각의 사이드들 상에, 기재 내에 생성될 수 있고, 따라서 위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을 생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기재의 외관을 변경시키는데 기여하고, 아마도 관측자가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알아보기 용이하게 하고 용지를 보다 시각적으로 매력적으로 할 수 있다.
빈 공간들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아래의 은선들이 반사된 빛에서 국부적으로 보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관통-빈 공간들일 수 있다.
다른 측면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섬유성 기재 및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포함하고, 섬유성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따라 2개의 연속하는 윈도우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섬유성 기재의 브리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고/또는 용지가 전송된 빛에서 관측될 때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의 적어도 하나의 은선에 볼 수 있게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가진다.
하나 이상의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윈도우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브리지들을 넘어서지 않으면서, 하나 이상의 윈도우들과 동일한 높이로 단독으로 연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각각의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의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어느 하나의 사이드 위로 연장할 수 있고, 어떤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도 임의의 브리지를 넘어서지 않는다.
섬유성 기재는 복수의 별개의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로 단독으로 위치될 수 있거나 섬유성 기재의 윈도우들과 동일한 높이의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단독으로 접할 수 있다. 각각의 윈도우 내부에서,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에 의해 접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n개의 윈도우들의 각각의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의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접할 수 있고, n은 1보다 더 큰 정수이다.
다른 측면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섬유성 기재 및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포함하고, 섬유성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따라 2개의 연속적인 윈도우들 사이로 연장하는 섬유성 기재의 브리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고 및/또는 용지가 전송된 빛에서 관측될 때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의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볼 수 있게 접하는 워터마크 또는 멀티톤 의사-워터마크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가진다.
하나 이상의 멀티톤 의사-워터마크들 또는 워터마크들은 하프톤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소위, "멀티톤-효과" 워터마크의 문제이다.
하나 이상의 멀티톤 의사-워터마크 또는 워터마크들은, 윈도우들 사이로 연장하는 브리지들을 넘어서지 않으면서, 하나 이상의 윈도우들과 동일한 높이의 은선을 따라 단독으로 연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멀티톤 의사-워터마크 또는 워터마크들은 각각의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의 하나 이상의 은선들의 어느 하나의 사이드 위로 연장할 수 있고, 멀티톤 의사-워터마크 또는 워터마크가 임의의 브리지 위로 연장하지 않는다.
섬유성 기재는 복수의 멀티톤 의사-워터마크 또는 워터마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따르면, 멀티톤 의사-워터마크들 또는 워터마크들은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로 단독으로 위치될 수 있거나 섬유성 기재의 윈도우들 내의 하나 이상의 은선들에 단독으로 접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멀티톤 의사-워터마크 또는 워터마크에 의해 각각의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로 접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멀티톤 의사-워터마크들 또는 워터마크들은 n개의 윈도우들의 각각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의 하나 이상의 은선들에 접할 수 있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기재 및 하나 이상의 은선들과 관련하여, 전술한 특징들은,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기재 내의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의 제조 방법이고, 이 방법은, 하나 이상의 윈도우들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영역들, 및 형성된 용지 상의 윈도우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브리지들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영역들 포함하는, 용지의 플라이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에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된 마스크가 멀티톤, 또는 하프톤, 워터마크의 낮은 불투명도의 부분들로 배치된 비개구된 구역들을 가지고, 이러한 개구된 마스크는 제1 및 제2 영역들의 하나 내에 배치되어 있다.
윈도우들은 형성 와이어로부터 돌출하는 릴리프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개구된 마스크들은 돌출하는 릴리프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윈도우들은 마스크들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용지 기재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를 사용하여,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고, 바람직하게 와이어는 엠보스되고 리세스된 릴리프들과 돌출하는 릴리프들의 교번을 가지고, 방법은 멀티톤 또는 하프톤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된 마스크를 포함하고, 워터마크는 돌출하는 릴리프 상에 또는 리세스된 릴리프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은선은 바람직하게 마스크가 리세스된 릴리프 내에 배치되어 있으면 마스크와 접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보안 용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통합된 은선을 가진 용지를 얻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윈도우들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영역들, 및 형성된 용지 상의 윈도우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브리지들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영역들을 포함하는, 용지의 플라이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와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워터마크 구체적으로 멀티톤 워터마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윈도우 및/또는 브리지를 엠보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구현 예들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용지를 구비하는 보증된 문서의 우측 페이지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의 예시적 배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와 유사한 변형 실시예들의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은선에 대한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의 변형된 배치들을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 내부에 아마도 존재하게 될 하프톤 점들 중에서 일부 예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용지를 제조하기 위한 머신을 개략적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예시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형성 와이어 상의 개구된 마스크들의 예시적인 배치들을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각각 도 1의 XⅡ-XⅡ선, XⅢ-XⅢ선, 및 XⅣ-XⅣ선을 따른 절단면도들이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도 3의 XⅤ-XⅤ선 및 XⅥ-XⅥ선을 따른 절단면들이다.
도 17은 은선에 중첩된 예시적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통한 단면을 예시한다.
도 18은 반사된 빛에서 관측된 가변성 보안 용지의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19는 도 18의 XIX-XIX선을 따른 절단면도이다.
도 20은 변형된 보안 용지를 도시하는 도 18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XXI-XXI선을 따른 절단면도이다.
도 22은 도 18의 XXII-XXII선을 따른 절단면도이다.
도 23은 변형 실시예의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의 XXIV-XXIV선을 따른 절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XXV-XXV선을 따른 절단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각각 은선과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의 다른 예시적인 배치들을 도시한다.
도 28은 패턴 형태를 취하는 하프톤 점을 예시한다.
도 1 및 도 12는 윈도우들에 통합된 은선(7)을 포함하는 섬유성 기재(8)를 포함하는 보안 용지(4)로부터 생성된, 화폐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증된 문서(1)를 도시한다.
보안 용지(4)는 은선(7)의 표면 상에 있는 윈도우들(10) 및 은선(7)의 표면이 덮이는 브리지들(13)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따르면, 섬유성 기재(8)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16) 및 이 경우, 일련의 그러한 구역들(16)을 포함하고, 구역들은 도 1의 예에서 윈도우들(10)과 동일한 높이로 단독으로 배치된다. 특히, 이들 구역들(16)은 문서(1)가 전송된 빛에서 예를 들어, 도 12의 화살표(O)를 따라, 관측될 때 은선(7)에 관측자의 주의가 끌리게 한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문제의 예에서 하프톤 구역들로 구성된다.
윈도우들(10)은 섬유성 기재(8)의 리세스된 릴리프(17)(도 13 참조)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브리지들(13)은 섬유성 기재(8)의 비개구된(unapertured) 부분에 의해, 예를 들어, 두께 방향에서 벨럼(vellum)(9)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브리지들(13)은 벨럼에 대해 섬유성 기재로부터 돌출하는 릴리프의 일부분에 의해 구체적으로, 두께 방향에서 벨럼보다 더 큰 높이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된 릴리프(17)는 은선의 폭(w)보다 더 넓은 폭(w+d1+d2)을 가질 수 있다.
은선(7)은 보안 용지(4)의 2개의 반대되는 에지들(19, 22), 바람직하게 문서의 긴 사이드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은 각각의 윈도우(10)와 동일한 높이의 은선의 어느 하나의 사이드 상에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은 리세스된 릴리프(17) 내에만 놓여 있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대응하는 윈도우들(10)을 넘어서 은선(7)의 길이 방향(X)으로 연장하지 않고, 이 예에서 브리지들(13)은 완전하게 전혀 없다.
예시적인 방식으로, 도 2에서, 축(X)을 따르는 브리지들(13)의 어느 하나의 크기는 가로 좌표들(xd, xa)에 의해 나타내었고, 인접한 윈도우(10)의 크기는 가로 좌표들(xa, xb)에 의해 나타내었고, 이어지는 브리지(13)의 크기는 가로 좌표들(xb, xc)에 의해 나타내었다.
가로 좌표들(xa, xb) 사이에서 구성된 윈도우(10)와 연관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이러한 윈도우를 넘어서 X-축을 따라 연장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횡 방향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윈도우(10) 내에서 볼 수 있는 은선(7)의 에지로부터, 은선(7)의 폭(w)보다 더 클 수 있는 거리(d)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w)은 3mm와 8mm 사이로 구성될 수 있고 거리(d)는 0과 37mm 사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가변성 불투명 영역들(16)은 은선(7)의 폭(w)보다 더 큰 거리(p)에 걸쳐 리세스된 릴리프(17)와 동일한 높이에서 측면으로 연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은선은 선택적으로 그것을 접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에 대해서 중심으로 이루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13의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선(7)이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에 의해 양 사이드들 상에서 접하는 경우에, 2개의 구역들(16)은 은선(7)의 볼 수 있는 에지로부터 가로 방향의 동일한 간격에 걸쳐 반드시 연장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 d1>d2 또는 d2>d1의 표시들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은선(7)의 어느 하나의 사이드에서 볼 수 있는, 윈도우들(10)은 각각 2개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과 연관되고, 이것은 그 경우일 필요는 없지만, 특히, 도 6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직 하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16)만 은선의 하나의 사이드 상의 단일 윈도우(10)와 연관될 수 있다.
모든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은선의 동일한 사이드 상에 위치될 수 있고 구역들은 그 어느 하나의 사이드 상에 교호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하프톤이고 구체적으로, 리세스된 릴리프(17) 내에 놓여진 하프톤의 밝은 워터마크들로 구성된다.
X-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은선의 어느 하나의 사이드 상에서 볼 수 있는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동일한 하프톤 점들(28)을 가질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들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든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동일한 하프톤 점들(28)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을 나타낸다.
2개의 연속적인 브리지들(13) 사이의 X-축을 따른 간격(t) 즉, 윈도우(10)의 길이는, 예를 들어 3mm와 5mm 사이에서 구성된다. X-축을 따른 브리지(13)의 길이(m)는 예를 들어, 3mm와 50mm 사이에서 구성된다.
도 3, 도 15, 및 도 16에 예시된 변형예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브리지들(13) 상에 배치되고 보안 요소(7)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이 경우,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은 브리지들(13)을 넘어서 X-축을 따라 연장하지 않고 윈도우들과 동일한 높이의 은선에 측면으로 접하는 영역들은 그것이 없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바람직하게 X-축을 따라 브리지(13)의 전체 길이(m)에 걸쳐 연장한다. 도 23 및 도 24에 예시된, 변형예와 같이,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X-축을 따라 브리지(13)의 길이(m)보다 더 작은 거리(z)에 걸쳐 X-축을 따라 브리지(13) 위로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은 브리지(13)의 전체 길이(m)에 걸쳐 X-축을 따라 연장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모든 브리지들(13)은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을 가진다. 그러나, 이것은 그 경우일 필요는 없고, 특히, 각각의 n개의 브리지들의 단일의 브리지(13) 상에 단일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이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n은 2와 동일하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예시된 바와 같이, 은선(7)의 폭(w)보다 더 큰 간격(p)에 걸쳐 브리지(13)와 동일한 높이에서 측면으로 연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은선(7)은 선택적으로 각각의 하프톤 구역(16)에 대해 중심을 잡는다.
도 23 및 도 2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브리지(13)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브리지(13)가 벨럼의 릴리프를 형성할 때, 하나 이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의 측면 연장에 대한 거리(p)는 X-축에 직교하는 브리지(13)의 크기(k)보다 더 작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동일한 외형의 하프톤 구역들일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변형예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a)은 윈도우들(10)과 동일한 높이에서 X-축을 따라 연장하고,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b)은 브리지들(13)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다.
문제가 되는 예에서, 윈도우(10)는 은선의 X-축을 따라 가로 자표들(xa, xd) 사이에서 연장하고 인접한 브리지들(13)의 하나는 가로 좌표들(xd, xe) 사이에서 연장한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a)은 가로 좌표들(xb, xc) 사이의 윈도우(10)의 하나의 사이드 상에서 연장하고, xa<xb 및 xc<xd이다. 예를 들어:
│xa-xb│≤│xb-xc│ 및 │xd-xc│≤ │xc-xb
가변성 불투명 영역들(16a, 16b)은 하프톤 점들, 구체적으로, 동일한 모양의, 하프톤 점들(28a, 28b), 또는 변형예로서, 상이한 모양의 하프톤 점들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든 브리지들(13)은 가변성 불투명 영역(16b)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브리지들(13) 상에 배치된 모든 가변성 불투명 영역(16b)은 하프톤의 밝은 워터마크들로 구성된다. 브리지들(13) 상에 존재하는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b)은 모두 동일한 하프톤 점들(28b)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유사하게, 은선은 2개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a)에 의해 윈도우들(10)과 동일한 높이에서 접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윈도우들(10)과 동일한 높이의 모든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a)은 하프톤의 밝은 워터마크들을 구성한다. 윈도우들(10)과 동일한 높이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a)은 모두 동일한 하프톤 점들(28a)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a, 16b)은 동일한 횡방향 치수를 가지고,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b)은 은선들에 교차되게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 모든 윈도우들(10)은 동일한 모양, 구체적으로 직사각이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이다.
바람직하게, 모든 브리지들(13)은 동일한 모양, 구체적으로 직사각이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이다.
도 5의 변형예에서, 섬유성 기재(8)는 윈도우들(10)과 동일한 높이에서, 그 외관이 다른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을 포함하고, 이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소위, 팬시(fancy)들(23, 24)로 되어 있다.
기재(8)는 X-축을 따라 거리(u)에 걸쳐 각각 연장하는, 동일한 구역들(25a), 및 거리(z)에 걸쳐 연장하는,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의 구역들(25b)을 포함한다.
기재(8)는 또한 구역(25a) 대신에, 2개의 브리지들(13) 사이에 팬시 가변성 불투명 구역(23)을 포함한다. 따라서, 은선(7)을 따라서, 하프톤 구역(25a), 브리지(13), 하트톤 구역(23), 브리지(13), 및 새로운 하프톤 구역(25a)이 계속하여 관측된다.
예를 들어, 구역(23)은 X-축을 따라 구역들(25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u)를 가지지만 더 큰 폭(o)을 가진다.
구역들(25a)은 직사각 윤곽을 가질 수 있는 반면 구역(23)은 예를 들어, 육각 형상과 같은 상이한 모양을 가질 수 있음을 도 5에서 또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지들(13) 상에 존재하는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n개의 브리지들(13)에서 동일한 구역들(25b) 및 적어도 하나의 팬시 가변성 불투명 구역(24)을 포함할 수 있고, n은 엄밀히 1보다 더 큰 정수이다.
예를 들어, 구역(24)은 X-축을 따라 구역들(25b)과 동일한 크기(z)를 가지지만 더 작은 거리(q)에 걸쳐 X-축에 직교되게 연장한다. 예를 들어,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25b)은 직사각 윤곽인 반면 예를 들어, 팬시 구역(24)의 윤곽은 예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진 끝단들을 가진 타원형 모양이다.
윈도우들(10) 및 브리지들(13)의 윤곽은,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과 상이할 수 있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바람직하게 하프톤이다.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 내부에서, 하프톤 점들(28)은,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모양 구체적으로, 직사각 또는 정사각,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또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수 있다.
하프톤 점들(28)은, 도 7b 및 도 7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 가변성 불투명 구역 내에서 모두 동일할 수 있고, 또는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이할 수 있다.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평면의 일 방향 또는 양 방향들에서 규칙적인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동일한 하프톤 점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프톤 점의 최대 치수는 0.2mm와 1.0mm 사이로 구성된다. 하프톤 점의 최소 치수는, 구체적으로 하프톤 점들이 라인들로 구성될 때, 예를 들어, 0.2mm와 1.0mm 사이로 구성된다.
변형예로서,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가변성 간격들로 연속적으로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가변성 크기의 하프톤 점들(2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은 하프톤 워터마크, 구체적으로 특허 출원 EjP 1 122 360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하프톤 멀티톤-효과 워터마크일 수 있다.
변형예로서,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은 식별가능한 패턴, 구체적으로 초상, 영숫자, 동물, 야채, 기념물 또는 임의의 다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하프톤이 아닐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멀티톤 의사-워터마크들 또는 워터마크들일 수 있다. 워터마크들 또는 의사-워터마크들은 엠보싱에 의해 또는 특허 출원 WO 2011/117828에 개지된 바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브리지들(13)은 심지어 돌출하는 릴리프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윈도우들(10)은 두께 방향에서 벨럼(9)과 동일한 높이일 수 있다. 그러면,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은 돌출하는 릴리프 상에 또는 2개의 돌출하는 릴리프들 사이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안 용지는 실린더-몰드 제지기(30)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머신은 용지 섬유 현탁액이 수용된 통(vat)(40) 내에서 회전하는 용지 형성 와이어(33)를 포함한다. 형성 와이어는 엠보스되고 원주 방향에서 리세스된 릴리프들(38)과 돌출하는 릴리프들(36)의 교번을 가진다. 은선(7)은 형성 와이어(33)에 접촉되고 와이어의 회전과 함께 풀려진다. 용지 섬유들은 은선(7)과 리세스된 릴리프들(38) 사이에 형성되고 은선이 형성 와이어(33)와 접촉하지 않는 공간인 캐버티들(43)을 채운다. 따라서, 캐버티들(43)은 브리지들(13)이 형성되게 한다. 은선(7)은 돌출하는 릴리프들(37)과 접촉되게 하고 와이어(33) 상에 용지 섬유의 국부적 누적을 방지함으로써, 윈도우들(10)의 형성을 유도하게 된다.
도 8에 예시된 구성에서, 형성 와이어(33)의 표면에 고정된 개구된 마스크들(39)의 리세스된 릴리프들(38)의 존재 때문에 브리지들(13)과 동일한 높이의 워터마크들을 생성하는 것이 추구된다. 이들 마스크들(39)은 와이어(33)의 투과성을 국부적으로 수정하고 워터마크가 형성되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된 개구된 마스크들(39)은, 특허 출원 WO 2011/117828 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SLM 기법을 사용하는 레이저 소결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어, 개구된 마스크들(39)의 두께는 0.2mm와 0.8mm 사이로 구성된다.
도 8에 예시된 마스크들(39)의 배치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브리지들(13)만이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을 포함하는, 도 3에 도시된 그것에 대응하는 결과가 얻어진다.
도 9는 도 8에 예시된 구성에 대응한다.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은 결과를 얻기 위하여, 마스크들(39)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 웹(33)의 돌출하는 릴리프들(36) 상에 배치된다. 리세스된 릴리프들(38)은 그것이 없으므로, 균일한 두께의 브리지들(13)이 형성되게 한다. 바람직하게, 돌출하는 릴리프들(36)은 은선(7)보다 더 넓다. 마스크들(39)은 용지 섬유들의 국부적 누적을 막고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에 대응하는 워터마크들의 형성을 유도한다. 각각의 마스크(39)는 X-축에 직교하게 측정된, 치수(p)를 가진다. 와이어(33)가 마스크(39)와 접촉하는 점에서, 용지 섬유들은 누적될 수 없고 윈도우(10)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마스크(39)는 은선(7)보다 더 넓고 돌출하는 릴리프(36)보다 덜 넓다.
도 2 또는 도 3에 예시된 결과들을 각각 얻기 위하여, 모든 돌출하는 릴리프들(36)과 모든 리세스된 릴리프들(38)은 마스크들(39)이 장착된다. 변형예로서, 장착된 와이어(7)의 제조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마스크(39)에 n개의 릴리프들 중에서 하나의 돌출하는 릴리프(36) 또는 리세스된 릴리프(39)만 마스크(39)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n>1이다.
제조 공정의 하나의 변형예에서, 형성 와이어(33)는 돌출하고 속이 빈 릴리프들(36, 38)이 없고, 브리지들(13)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릴리프는 와이어(7)가 지탱하는 마스크들(39)의 두께에 의해 얻어진다. 마스크들의 존재는 그들이 은선(7)과 접촉하는 영역들 내에서 용지 섬유들의 누적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윈도우들을 형성시킨다.
도 11에 예시된 변형예에서, 형성 와이어(33)는 바람직하게 상이하고 윈도우들(10)과 브리지들(13)과 각각 동일한 높이의 워터마크들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마스크들(39a, 39b)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얻어진 결과는 도 4에 예시되고, 윈도우들(10)과 동일한 높이의 구역들(16a) 및 브리지들(13)과 동일한 높이의 구역들(16b)을 가진다.
도 17은 브리지(13)와 동일한 높이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이 은선(7)까지 멀리 연장하지 않는 빈 공간(51) 및 그것에 도달할 만큼 충분히 깊은 다른 빈 공간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은선(7)은, 예를 들어, 은선의 캐리어 필름(55) 상에 인쇄에 의해 증착된 유색의 또는 발광성 화합물의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52)를 포함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빈 공간들(50, 51)의 존재는 유색의 또는 발광성 레이어(52)의 여기 및/또는 관측을 촉진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은 특허 출원 EP 2 260 142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은선(7)을 완전히 덮지 않는 브리지들(13)의 가능성을 예시한다.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의 섬유성 기재는 은선을 완전히 덮지 않을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의, 섬유성 기재는 은선을 완전히 덮지 않을 수 있고 은선이 브리지(13)의 센터에서 보이게 할 수 있다.
브리지(13)는 각각 은선(7)의 대응하는 영역(41, 43)을 부분적으로 덮는 2개의 부분들(13a, 13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은선(7)의 중앙 부분(45)이 보이게 남아 있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예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들(13)에 생성될 수 있고, 또는 윈도우들(10)과 동일한 높이의 은선과 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브리지들(13)의 부분들(13a, 13b)은 길이 방향 축(X)에 대하여 은선을 대칭되게 덮는다. 변형예로서, 부분들(13a, 13b)은 대칭적이다. 축(X)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각각의 부분들(13a, 13b)의 겹침(q)의 크기는 예를 들어, 1mm보다 크거나 같고 또는 1mm와 6mm 사이로 구성된다.
도 20 및 도 21에 예시된 변형예에서, 브리지들(13)은 그 단일의 에지로부터 은선과 부분적으로 겹친다. 모든 브리지들(13)은 은선의 하나의 에지로부터 그 후 반대되는 에지로부터 은선을 교호적으로 덮을 수 있다.
변형예로서, 보안 용지(4)는 복수의 은선들(7) 바람직하게 2개의 은선들(7)을 포함할 수 있다. 은선들(7)은 동일한 윈도우들(10)에 선택적으로 병치되고 선택적으로 통합됨으로써, 예를 들어, 주어진 윈도우(10)에 나란히 놓여진다. 2개의 은선들의 존재는 보안 용지(4)의 제조 동안 배수(drainage)를 가능하게 하는 더 넓은 은선의 관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은 은선들(7)에 중첩되고 은선(7)을 따라 2개의 연속적인 윈도우들(10) 사이에 위치된 섬유성 기재(8)의 브리지(13) 위로 연장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의 변형예들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은 복수의 브리지들 또는 윈도우들을 따라 연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6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이, 영역들(16a) 내의 은선의 어느 하나의 사이드 상의, 복수의 윈도우들(10)에 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개의 영역들(16a)을 연결하는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영역(16e)은 은선(7)의 동일한 사이드 예를 들어, 우측 사이드 상에 위치되고, 은선으로부터 영이 아닌 거리(r)에 놓인다.
영역(16e)은 은선의 반대 사이드 즉, 문제되는 예에서 좌측 사이드 상에 위치되고, 은선(7)으로부터 동일하거나 상이한 거리일 수 있는 거리에 놓인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은 임의의 패턴 예를 들어, 예시된 바와 같이, 숫자 2와 같은, 영숫자 패턴을 완전히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패턴은 용지 또는 은선 상에 발견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 위에 또는 그 안에 인쇄 또는 새겨질 수 있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은 워터마크, 구체적으로 멀티톤 워터마크, 또는 의사-워터마크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하프톤 점의 패턴은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그것과 동일하다.
도 27에서, 예를 들어, 워터마크, 구체적으로 멀티톤 워터마크 또는 의사-워터마크인,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은 은선을 따라 복수의 별개의 위치들 내의 은선(7)과 중첩된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이 은선과 중첩되는 2개의 영역들은, 예시된 바와 같이, 은선으로부터 영이 아닌 거리(s)에 놓인,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다른 영역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용지 또는 은선 상에 위치된 패턴 구체적으로, 영숫자 패턴 또는 심벌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예시된 예에서 숫자는 6이다.
도 28은, 예를 들어, 문서 상에서 발견되는, 영숫자 패턴의 형태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하프톤 점을 생성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그것은 중앙 은행의 이니셜 또는 화폐의 가치의 문제이다.
또한, 예시되지 않은 다른 변형예들에서, 예를 들어 은선에 중첩된 영역들을 뿐만 아니라, 은선에 접하는 다른 영역들을 구비하는, 도 26 및 도 27의 예들의 특징들을, 거기로부터 영이 아닌 거리에서 은선을 따라 연장하는 또 다른 것들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워터마크들을 사용하는 것과 상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용지 기재 내에서 빈 공간들을 생성하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이들 빈 공간들의 깊이는 은선과 빈 공간의 바닥 사이에서 기재의 특정 두께를 보존하기에 충분히 작을 수 있고, 이것은 빈 공간의 형성 동안 레이저를 이용하여 은선(7)을 파괴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또한 유성 화합물과 같은 적절한 물질을 사용하여 섬유성 기재의 국부적 투명화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시된 예들의 독특성들은 예시되지 않은 변형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의 배치는 상이할 수 있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모든 윈도우들 또는 모든 브리지들과 동일한 높이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를 포함하는"의 표현은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과 동의어이다.
1...보증된 문서
4...보안 용지
7...은선
8...섬유성 기재
9...벨럼
10...윈도우
13...브리지
16...가변성 불투명 구역
17...리세스된 릴리프
19,22...에지
23...하프톤 구역
28...하프톤 점

Claims (59)

  1. 섬유성 기재(8) 및 상기 섬유성 기재 내의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7)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성 기재는 상기 은선을 따라 2개의 윈도우들(10) 사이에 위치된 섬유성 기재의 브리지(13)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16; 16b; 25b, 24)을 구비하고,
    상기 가변성 불투명 구역(16; 16b; 25b, 24)은 상기 브리지(13) 위로 연장하는 상기 은선(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있는, 보안 용지.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하나 이상의 은선들은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캐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
  4. 청구항 1에서,
    하나 이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하나 이상의 브리지들(13)과 동일한 높이로 단독으로 위치되어 있는, 보안 용지.
  5. 청구항 1에서,
    상기 섬유성 기재는 각각의 브리지(13)와 동일한 높이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구비하는, 보안 용지.
  6. 청구항 1에서,
    상기 섬유성 기재는 n개의 브리지들(13)의 각각이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구비하고, n은 1보다 더 큰 정수인, 보안 용지.
  7. 청구항 1에서,
    상기 섬유성 기재는, 용지가 전송된 빛에서 관측될 때,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0)와 동일한 높이의 하나 이상의 은선들에 볼 수 있게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16; 16a; 25a; 23)을 구비하는, 보안 용지.
  8. 청구항 5에서,
    상기 섬유성 기재는, 통합되는 각각의 윈도우(10)의 경우, 상기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의 하나 이상의 은선들(7)의 어느 하나의 사이드 상에서 연장하는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구비하는, 보안 용지.
  9. 청구항 6에서,
    상기 섬유성 기재는 n개의 윈도우들(10)의 각각이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구비하고, n은 1보다 더 큰 정수인, 보안 용지.
  10. 청구항 1에서,
    상기 섬유성 기재(8)는 서로 동일하고 기재(8) 위로 규칙적인 간격들로 재생되는 복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 16a; 16b)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
  11. 청구항 1에서,
    각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16; 16a; 16b)은 다각형 윤곽의 주요한 패턴을 형성하는, 보안 용지.
  12. 청구항 1에서,
    각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점들 또는 라인들의 하프톤(halftone) 스크린들로 형성된 하프톤 구역으로 되어 있는, 보안 용지.
  13. 청구항 1에서,
    하나 이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워터마크, 의사(pseudo)-워터마크 또는 마이크로천공들로 구성된, 보안 용지.
  14. 청구항 1에서,
    하나 이상의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의 각각은 워터마크로 구성되고 하프톤 점들(25) 또는 영숫자 패턴들의 형태를 취하는 하프톤 점들을 포함하는 하프톤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배치된 한 세트의 밝거나 어두운 영역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
  15. 청구항 1에서,
    하나 이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레이저에 의해 생성되는 섬유성 기재의 마이크로천공들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
  16. 청구항 1에서,
    하나 이상의 은선들(7)은 발광 성질들을 구비하는, 보안 용지.
  17. 청구항 16에서,
    상기 은선은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더 낮은 불투명도의 영역에 중첩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을 구비하는, 보안 용지.
  18. 청구항 1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하나 이상의 은선들(7)이 상기 섬유성 기재를 통과하여 나타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빈 공간(50)을 구비하는, 보안 용지.
  19. 청구항 1에서,
    기재(8)의 두께는 영(zero)이 아닌 브리지(13) 상에 위치된 가변성 불투명 구역과 동일한 높이의 하나 이상의 은선들을 덮는, 보안 용지.
  20. 청구항 1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동일한 모양의 하프톤 점들(28)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
  21. 청구항 1에서,
    윈도우들(10)과 동일한 높이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 및 브리지들(13)과 동일한 높이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
  22. 청구항 21에서,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의 적어도 하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브리지(13)와 동일한 높이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그것과 상이한 외형을 가진, 보안 용지.
  23. 청구항 1에서,
    동일한 외형의 적어도 2개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을 구비하고, 구역들은 2개의 각각의 윈도우들 또는 2개의 각각의 브리지들에 연관되고, 제3 가변성 불투명 구역(23; 24)이, 다른 윈도우들의 그것과 다른 외형의, 하나의 윈도우 또는 하나의 브리지와 연관된, 보안 용지.
  24. 청구항 1에서,
    브리지들 각각은 상기 기재로부터 돌출하는 릴리프의 적어도 일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상기 브리지들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하고, 상기 브리지들의 그것보다 더 작은 거리에 걸쳐 길이 방향 및/또는 교차 방향으로 연장하는, 보안 용지.
  25. 청구항 1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상기 은선을 따라 복수의 별개의 위치들 내에서 상기 은선들과 중첩되어 있는, 보안 용지.
  26. 청구항 25에서,
    상기 가변성 불투명 구역이 상기 은선과 중첩된 2개의 영역들은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다른 영역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보안 용지.
  27. 청구항 1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복수의 윈도우들을 볼 수 있게 접하는, 보안 용지.
  28. 청구항 27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상기 은선의 어느 하나의 사이드 상의 윈도우들을 볼 수 있게 접하는, 보안 용지.
  29. 청구항 25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용지 상에서 발견되는 하나의 패턴 또는 심벌을 형성하는, 보안 용지.
  30. 청구항 1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복수의 브리지들 또는 윈도우들을 따라 연장하는, 보안 용지.
  31. 청구항 1의 보안 용지를 포함하는, 보안 문서.
  32. 보안 용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윈도우들(10)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영역들(38), 및 형성된 용지 내의 윈도우들(10) 사이에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브리지들(13)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영역들(37)을 포함하는, 용지의 플라이(ply)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33)에 적어도 하나의 은선(7)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비개구된 구역들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개구된 마스크(39)를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더 낮은 불투명도의 부분들로서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된 마스크는 상기 제2 영역들의 어느 하나 안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개구된 마스크(39)는 상기 브리지(13) 위로 연장하는 상기 은선(7)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33. 청구항 32에서,
    형성 와이어는 브리지들(13)의 형성하기 위한 영역들을 구획하는 리세스된 릴리프들(38)을 포함하는 실린더-몰드 와이어로 되어 있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34. 청구항 32에서,
    상기 윈도우들(10)은 상기 형성 와이어(33)로부터 돌출하는 릴리프들(37)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35. 청구항 33에서,
    상기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된 마스크들(39)은 용지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의 리세스된 릴리프들 내에 배치된, 보안 용지 제조 방법.
  36. 청구항 32에서,
    상기 와이어(33)는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더 낮은 불투명도의 부분들로서 배치된 비개구된 영역들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된 마스크(39)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된 마스크는 제1 영역들(38)의 어느 하나의 내부에 그리고 상기 형성 와이어의 돌출하는 릴리프(37)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37. 청구항 32에서,
    상기 개구된 마스크들은 기계가공, 사출 성형 또는 소결에 의해 생성되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38. 청구항 37에서,
    상기 개구된 마스크들(39)은 레이저 소결에 의해 생성되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39.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7)을 포함하는 청구항 28의 보안 용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리세스된 릴리프들과 돌출하는 릴리프들이 교번하는 용지-기재 형성 와이어(33)를 사용하는 단계; 및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된 마스크(39)를 리세스된 릴리프(38)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된 마스크(39)는 상기 은선(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40. 청구항 39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된 마스크(39)를 돌출하는 릴리프(37) 상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41. 청구항 39 또는 청구항 40에서,
    상기 마스크는 하프톤 워터마크를 형성하기 위해 생성되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42. 청구항 39 또는 청구항 40에서,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가진 용지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마스크들(39)이 상기 리세스된 릴리프들 내부에 단독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용지는, 브리지들(13) 상의 워터마크들의 존재 때문에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의 외측의 상기 섬유성 기재의 불투명도와 상이한 불투명도를 가진 브리지들(13)을 구비하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43. 기재 내의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7)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윈도우들(10) 사이에서 연장하는 브리지들(13)과 동일한 높이의 적어도 하나의 빈 공간(51, 50)이 레이저를 사용하여 상기 기재 내에 생성되고,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따라 상기 윈도우들(10)과 동일한 높이의 빈 공간들이 레이저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은선(7)의 각각의 사이드 상에 생성되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44. 보안 용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합된 은선(7)을 가진 용지를 얻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윈도우들(10)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영역들(38), 및 형성된 용지 상의 윈도우들(10) 사이에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브리지들(13)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영역들(37)을 포함하는, 용지의 플라이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33)에, 적어도 하나의 은선(7)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멀티톤 워터마크를 형성하기 위해 브리지(13)를 엠보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빈 공간들(51, 50)의 적어도 하나는 브리지(13) 위로 연장하는 상기 은선(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45. 섬유성 기재(8) 및 상기 섬유성 기재 내의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7)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로서,
    상기 섬유성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16; 16a, 16b; 25a, 25b, 23, 24)을 구비하고,
    상기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따라 2개의 연속적인 윈도우들(10) 사이에서 연장하는 섬유성 기재의 브리지(13)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상기 용지가 전송된 빛에서 관측될 때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0)와 동일한 높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은선의 경계를 볼 수 있는, 보안 용지.
  46. 섬유성 기재(8) 및 상기 섬유성 기재 내의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7)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로서,
    상기 섬유성 기재는 워터마크 또는 멀티톤 의사-워터마크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적어도 하나의 은선을 따라 2개의 윈도우들(10) 사이에서 연장하는 섬유성 기재의 브리지(13)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상기 용지가 전송된 빛에서 관측될 때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0)와 동일한 높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은선의 경계를 볼 수 있고,
    상기 가변성 불투명 구역은 상기 은선(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보안 용지.
  47. 청구항 45 또는 청구항 46에서,
    하나 이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하나 이상의 브리지들(13)과 동일한 높이에서 단독으로 위치되어 있거나 윈도우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브리지들(13)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하나 이상의 윈도우들(10)을 따라 단독으로 연장하는, 보안 용지.
  48. 청구항 47에서,
    상기 섬유성 기재는 각각의 브리지(13) 또는 각각의 윈도우(10)와 동일한 높이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구비하는, 보안 용지.
  49. 청구항 45 또는 청구항 46에서,
    하나 이상의 은선들(7)은 브리지들(13)과 동일한 높이에서만 가변성 불투명 구역과 중첩되어 있는, 보안 용지.
  50. 청구항 45 또는 청구항 46에서,
    섬유성 기재(8)는, 서로 동일하고 기재 위에서 규칙적인 간격들로 재생되는 복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16, 16a, 16b)를 포함하고,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 각각은 다각형 윤각의 패턴을 형성하는, 보안 용지.
  51. 청구항 45 또는 청구항 46에서,
    하나 이상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은 하프톤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배치된 한 세트의 밝은 영역들을 포함하는 워터마크 또는 의사-워터마크로 구성된, 보안 용지.
  52. 청구항 45 또는 청구항 46에서,
    윈도우들과 동일한 높이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 및 브리지들(13)과 동일한 높이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
  53. 청구항 52에서,
    브리지(13)와 동일한 높이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그것과 상이한 외형을 구비하는 윈도우와 동일한 높이의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 구역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
  54. 보안 용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윈도우들(10)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영역들(38), 및 형성된 용지 상의 윈도우들(10) 사이에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브리지들(13)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영역들(37)을 포함하는 용지의 플라이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에, 적어도 하나의 은선(7)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비개구된 구역들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개구된 마스크(39)가 하프톤 가변성 불투명 구역의 더 낮은 불투명도의 일부분으로서 배치되고,
    상기 개구된 마스크는 제1 영역들과 제2 영역들의 어느 하나 내에 배치되어 있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55. 청구항 54에서,
    형성 와이어는 브리지들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들을 구획하는 리세스된 릴리프들(38) 또는 윈도우들(10)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들을 구획하는 돌출하는 릴리프들을 포함하는 실린더-몰드 와이어로 되어 있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56. 청구항 55에서,
    가변성 불투명 구역들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된 마스크들(39)은 용지의 형성 와이어의 리세스된 릴리프들 또는 돌출하는 릴리프들 내에 배치된, 보안 용지 제조 방법.
  57. 청구항 45 또는 청구항 46의 보안 용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합된 은선(7)을 얻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윈도우들(10)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영역들(38), 및 형성된 용지 상의 윈도우들(10) 사이에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브리지들(13)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영역들(37)을 포함하는, 용지의 플라이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33)에, 적어도 하나의 은선(7)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워터마크를 형성하기 위해, 윈도우(10) 또는 브리지(13)를 엠보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용지 제조 방법.
  58. 섬유성 기재 및 상기 섬유성 기재 내의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7)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로서,
    상기 섬유성 기재는, 은선의 어느 하나의 사이드 상에서, 2개의 윈도우들(10)과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은선(7)에 접하는 2개의 영역들(16a) 내에서 볼 수 있고 상기 2개의 영역들(16a) 사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을 구비하는, 보안 용지.
  59. 섬유성 기재 및 상기 섬유성 기재 내의 윈도우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은선(7)을 포함하는 보안 용지로서,
    상기 섬유성 기재는 2개의 영역들(13) 내의 은선(7)에 중첩되고 2개의 영역들(13) 사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성 불투명 구역(16)을 구비하는, 보안 용지.
KR1020177000262A 2014-06-23 2015-06-23 보안 용지들 및 그 제조 방법 Active KR102396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5,780 2014-06-23
FR1455780A FR3022489B1 (fr) 2014-06-23 2014-06-23 Papiers de securite et procedes de fabrication.
PCT/EP2015/064114 WO2015197617A1 (fr) 2014-06-23 2015-06-23 Papiers de sécurité et procédés de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064A KR20170023064A (ko) 2017-03-02
KR102396068B1 true KR102396068B1 (ko) 2022-05-09

Family

ID=5190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262A Active KR102396068B1 (ko) 2014-06-23 2015-06-23 보안 용지들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3157756B1 (ko)
KR (1) KR102396068B1 (ko)
CN (1) CN106605022B (ko)
BR (1) BR112016030391B1 (ko)
ES (1) ES2708980T3 (ko)
FR (1) FR3022489B1 (ko)
HU (1) HUE043052T2 (ko)
PL (1) PL3157756T3 (ko)
RU (1) RU2683653C2 (ko)
WO (1) WO2015197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2783B (en) 2015-09-29 2018-02-07 De La Rue Int Ltd Security print media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DE102016001107A1 (de) * 2016-02-02 2017-08-03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Sicherheitspapiers mit zwei Fenstersicherheitselementen
FR3061077B1 (fr) 2016-12-23 2021-02-12 Arjowiggins Security Document securise
DE102017004999A1 (de) * 2017-05-24 2018-11-29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hrnutzenstreifen und deren Verwendung
GB2567165B (en) * 2017-10-04 2020-08-26 De La Rue Int Ltd Improvements in security sheets comprising security elements
FR3080324B1 (fr) * 2018-04-23 2022-04-01 Oberthur Fiduciaire Sas Feuille securisee
DE102018008162A1 (de) * 2018-10-16 2020-04-16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icherheitspapiers mit Fenstersicherheitsfaden
EP3954544A1 (de) * 2020-08-14 2022-02-16 Hueck Folien Gesellschaft m.b.H. Flächiges sicherheitselement mit optischen sicherheitsmerkmalen
KR102446175B1 (ko) 2021-01-18 2022-09-22 한국조폐공사 위조 방지부를 구비하는 보안 용지, 보안 용지 제조 장치 및 보안 용지 제조 방법
EP4209356B1 (en) * 2022-01-10 2024-10-30 European Central Bank Valuable document providing a haptic effec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157644B (ko) 1981-02-19 1986-05-10 Portals Ltd
GB2260772B (en) 1991-10-25 1995-05-10 Portals Ltd Method for making sheet materials and security paper
WO1997034048A1 (en) * 1996-03-12 1997-09-18 Tokushu Paper Mfg. Co., Ltd. Forgery preventiv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FR2768443B1 (fr) 1997-09-15 1999-10-15 Arjo Wiggins Papiers Couches Papier couche comportant une marque ressemblant a un filigran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19836503B4 (de) * 1998-08-12 2007-09-20 WHD elektronische Prüf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icherheitsmerkmals
WO1999066128A1 (de) * 1998-06-16 1999-12-23 WHD elektronische Prüftechnik GmbH Merkmalsstoffe und sicherheitsmerkmale und verfahren zur integration dieser in die papierstoffbahn sowie verfahren zur prüfung
FR2786510B1 (fr) 1998-12-01 2001-02-16 Arjo Wiggins Sa Papier non couche comportant un pseudo-filigrane et procede de fabrication
GB9828770D0 (en) * 1998-12-29 1999-02-17 Rue De Int Ltd Security paper
FR2804447B1 (fr) 2000-02-01 2002-04-05 Arjo Wiggins Sa Papier comportant un filigrane a effet multiton et toile pour fabriquer ce papier
GB2388377B (en) 2002-05-09 2004-07-28 Rue De Int Ltd A paper sheet incorporating a security element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GB0525888D0 (en) * 2005-12-20 2006-02-01 Rue De Int Ltd Improvements in methods of manufacturing security substrates
GB0525886D0 (en) * 2005-12-20 2006-02-01 Rue De Int Ltd Improvements in security substrates
FR2925535B1 (fr) 2007-12-21 2011-05-06 Arjowiggins Licensing Sas Feuille de securite comprenant un substrat fibreux comportant au moins un filigrane
FR2925924B1 (fr) * 2007-12-28 2011-04-29 Arjowiggins Licensing Sas Papier de securite
ES2325568B1 (es) * 2008-03-07 2010-06-16 Fabrica Nacional De Moneda Y Timbre- Real Casa De La Moneda Papel de seguridad, metodo de fabricacion y documento de seguridad obtenido con dicho papel.
GB2458485B (en) 2008-03-19 2010-07-14 Rue De Int Ltd Improvements in making sheets
GB2458917B (en) 2008-04-01 2011-08-24 Rue De Int Ltd Improvements in security substrates
RU2531900C2 (ru) * 2009-12-18 2014-10-27 Орелл Фюссли Зихерхайтсдрук Аг Защищенный документ с оптическим волноводом
FR2957943B1 (fr) 2010-03-24 2021-11-05 Arjowiggins Security Filigrane, procedes de fabrication d'une piece pour la formation d'un filigrane et piece obtenue selon ledit proce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22489B1 (fr) 2021-10-29
RU2016150895A3 (ko) 2019-02-07
EP3157756A1 (fr) 2017-04-26
KR20170023064A (ko) 2017-03-02
CN106605022B (zh) 2019-11-12
WO2015197617A1 (fr) 2015-12-30
BR112016030391A8 (pt) 2020-04-07
BR112016030391B1 (pt) 2022-02-15
RU2016150895A (ru) 2018-07-27
PL3157756T3 (pl) 2019-03-29
EP3157756B1 (fr) 2018-11-14
CN106605022A (zh) 2017-04-26
ES2708980T3 (es) 2019-04-12
HUE043052T2 (hu) 2019-07-29
RU2683653C2 (ru) 2019-04-01
FR3022489A1 (fr) 2015-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6068B1 (ko) 보안 용지들 및 그 제조 방법
KR100581255B1 (ko) 개선된 용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용지
RU2360060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е подложек, включающих в себя защитные устройства
US7264691B2 (en) Fibrous substrates
US8982231B2 (en) Parallax effect security element
GB2410003A (en) Security substrate incorporating two elongate security elements
KR20140069105A (ko) 비밀 스트립 및 이것이 제공된 문서
KR101279012B1 (ko) 향상된 보안 기판
US20100181036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heet material
US20100207377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heet material
KR101326777B1 (ko) 다층 보안 용지
KR102509867B1 (ko) 은화를 포함하는 보안 시트
KR20170077442A (ko) 두께 편차가 저감된 보안용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77770A (ko)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부분노출 은선을 포함하는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