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677B1 - Intermediate Shaft of Th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Intermediate Shaft of Th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5677B1 KR102395677B1 KR1020150180739A KR20150180739A KR102395677B1 KR 102395677 B1 KR102395677 B1 KR 102395677B1 KR 1020150180739 A KR1020150180739 A KR 1020150180739A KR 20150180739 A KR20150180739 A KR 20150180739A KR 102395677 B1 KR102395677 B1 KR 1023956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yoke
- noise prevention
- prevention member
- noi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9290 Aran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3—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pressure yo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에 관한 것으로, 일단부 외주면에 평면으로 형성된 제1회전방지부가 구비되고, 조임부재가 관통하는 오목부가 구비되는 샤프트,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샤프트가 삽입 결합되며 내주면과 외주면에 제1회전방지부와 대응되는 제2회전방지부가 형성되고, 오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조임부재가 관통하는 볼트관통홀이 형성되는 소음방지부재, 소음방지부재 외주면에 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되 삽입홀에 제2회전방지부와 대응되는 제3회전방지부가 형성되고, 삽입홀과 연통되게 측면으로 절개된 조임부가 구비되며, 조임부재가 관통하는 조임홀이 형성되는 요크를 포함하여 샤프트와 요크 사이의 유격을 흡수하며 샤프트와 요크 사이가 부딪쳐 발생되는 '뚝'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mediate shaft of a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with a first anti-rotation part formed in a flat surfac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haft having a concave portion through which a tightening member passes,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he shaft is inserted and couple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econd anti-rot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ti-rotation unit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bol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ightening member penetrates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an insertion hol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ise preventing member A yoke in which a third anti-rotation par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nti-rotation part is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a fastening part cut out to the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hole is provided, and a yoke through which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passes is formed. It absorbs the gap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and reduces the noise and vibration caus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프트와 요크 사이에 소음방지부재가 구비되어 샤프트와 요크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격을 흡수하며, 샤프트와 요크 사이가 충돌을 방지하며 충돌로 인한 '뚝'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어서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소음방지부재가 샤프트와 요크 사이에서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어서 오조립이 방지되며 조립이 용이해져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mediate shaft of a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noise prevent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to absorb the play generated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and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ise and vibration caused by the noise from causing discomfort to the driver, and since the noise prevention member can be assembled at the correct posit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misassembly is prevented and assembly is easy, which reduces assembly time. It relates to an intermediate shaft of an automobile steering system that can be shortened.
도 1은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종래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system for an automobile,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shaft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steering system.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조향휠(1)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향휠(1)에 연결된 조향칼럼(2)의 샤프트(5)가 회전하며, 이 조향칼럼(2)은 유니버설 조인트로 이루어진 중간축(3)을 통하여 랙과 피니언 기어로 구성되는 기어박스(4)의 샤프트(5)에 회전력을 전달한다.In general, as shown in FIG. 1, when a driver rotates the steering wheel 1 in a desired direction, the
양쪽 샤프트(5)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는 중간축(3)은 일반적으로 양단에 두 개의 요크 조인트(6)와 하나의 슬립 조인트(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요크 조인트(6)는 두 축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고 있을 때 흔히 사용되는 이음 수단이며, 일정한 각도로 교차한 두 축의 각도가 운전 중에 변하여도 무방하도록 설계되는데, 대략 30도 이내에서 샤프트(5)의 굴절이 가능하다. The
이러한 요크 조인트(6)는 일측 단의 내부에 반경 방향으로 핀이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두 개의 요크(7)를 서로 교합되도록 배치하고, 그 사이에 십자형의 스파이더(미도시)를 설치하여 소정의 각도로 굴절된 상태에서도 일측의 요크에서 타측의 요크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In this
슬립 조인트(9)는 회전력을 전달하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일정 강도 이상의 힘에 의해 중간축(3)이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요크 조인트(6)와 연결되는 슬립 조인트(9)는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슬립 가능하도록 파이프와 축으로 분할 형성되는데, 파이프가 축을 수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한편, 요크 조인트(6)는 조향칼럼(2)의 샤프트(5) 혹은 기어박스(4)의 샤프트(5)와 각각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샤프트(5)와 요크(7)의 결합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7)의 일측으로는 세레이션구멍(71)과 볼트구멍(72)이 형성되어 있는데, 볼트구멍(72)은 세레이션구멍(71)에 직각인 방향으로 세레이션구멍(7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세레이션구멍(71)에 샤프트(5)의 단부가 삽입되게 된다. 이 샤프트(5)의 단부에는 세레이션부(51)와 볼트결합홈(52)이 형성되어 있는데, 볼트결합홈(52)은 단면이 원호 모양이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바깥 둘레면에 오목하게 파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세레이션부(51)는 샤프트(5)의 단부 외주면에서 볼트결합홈(52)의 양측으로 각각 샤프트(5)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다. Then, the end of the
요크(7)의 세레이션구멍(71)으로 샤프트(5)의 단부 즉 세레이션부(51)를 완전히 삽입시킨 후 요크(7)의 볼트구멍(72)으로 볼트(8)를 체결시키면, 이 볼트(8)는 샤프트(5)의 볼트결합홈(52)을 통과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세레이션구멍(71)으로 삽입된 샤프트(7)의 단부가 세레이션구멍(71)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샤프트(5)와 요크(7)의 조립이 완료된다.When the end of th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은 조임부재 결합시 조임부재가 결합되는측은 조임부재의 조임력으로 샤프트와 요크가 닿은 상태로 결합되는데 조임부재가 결합되는 반대측은 샤프트와 요크 사이에 유격이 있는 상태로 결합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intermediate shaft of the conventional automobile steering system, when the tightening member is coupled, the side to which the tightening member is coupled is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and the yoke are in contact with the tightening force of the tightening member. There is a problem associated with
또한, 이러한 유격은 샤프트에서 요크로 또는 요크에서 샤프트로 회전력을 전달할 때, 요크 내주면에 샤프트가 회전하여 닿은 후에 요크가 회전하게 되거나 샤프트 외주면에 요크가 회전하여 닿은 후에 샤프트가 회전하게 되어 샤프트와 요크 사이가 부딪쳐 발생되는 '뚝'소음과 이로 인한 진동이 운전자에게 전달되어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shaft to the yoke or from the yoke to the shaft, the yoke rotates after the shaft rotates and touche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yoke, or the shaft rotates after the yoke rotates and touch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tuk' noise generated by the collision and the resulting vibration were transmitted to the driver, causing discomfort.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샤프트와 요크 사이에 소음방지부재가 구비되어 샤프트와 요크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격을 흡수하며, 샤프트와 요크 사이가 충돌을 방지하며 충돌로 인한 '뚝'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어서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the background described above, a noise preventio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to absorb the play generated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and to 'click' noise caused by the collis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mediate shaft of a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prevent excessive vibration and thus cause discomfort to a driver.
또한, 이러한 소음방지부재가 샤프트와 요크 사이에서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어서 오조립이 방지되며 조립이 용이해져 조립시간을 단축 할 수 있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mediate shaft of a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be assembled at an accurate posit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so that the noise prevention member can be assembled at an accurate posit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thereby preventing erroneous assembly and reducing assembly time by facilitating assembly.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부 외주면에 평면으로 형성된 제1회전방지부가 구비되고, 조임부재가 관통하는 오목부가 구비되는 샤프트,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샤프트가 삽입 결합되며 내주면과 외주면에 제1회전방지부와 대응되는 제2회전방지부가 형성되고, 오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조임부재가 관통하는 볼트관통홀이 형성되는 소음방지부재, 소음방지부재 외주면에 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되 삽입홀에 제2회전방지부와 대응되는 제3회전방지부가 형성되고, 삽입홀과 연통되게 측면으로 절개된 조임부가 구비되며, 조임부재가 관통하는 조임홀이 형성되는 요크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anti-rotation part formed in a plan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is provided, a shaft having a concave part through which the tightening member passes, the shaft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the shaft is inserted and coupled, and the first anti-rotation part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second anti-rota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is formed, and a bol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ightening member passes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and an insertion hol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ise prevention member is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A third anti-rot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anti-rotation unit is formed, a fastening part cut out to the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hole is provided, and an intermediate shaft of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a yoke in which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passes is provided. can b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샤프트와 요크 사이에 소음방지부재가 구비되어 샤프트와 요크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격을 흡수하며, 샤프트와 요크 사이가 충돌을 방지하며 충돌로 인한 '뚝'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어서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noise preventio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to absorb the play generated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and to prevent the noise and vibration caused by the collision.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iscomfort to the driver.
또한, 이러한 소음방지부재가 샤프트와 요크 사이에서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어서 오조립이 방지되며 조립이 용이해져 조립시간을 단축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such a noise prevention member can be assembled at an accurate posit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erroneous assembly is prevented and assembly is facilitated, thereby shortening the assembly time.
도 1은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의 소음방지부재의 단면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system of a vehicl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shaft of a conventional vehicle steering system;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termediate shaft of an automobile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mediate shaft of an automobile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mediate shaft of an automobile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an intermediate shaft of a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ed art; and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oise preventing member of an intermediate shaft of an automobile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종래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의 소음방지부재의 단면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termediate shaft of an automobi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mediate shaft of an automobi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mediate shaft of the vehicle steering system by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ise prevention member of the intermediate shaft of the device.
도 1과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은, 일단부 외주면에 평면으로 형성된 제1회전방지부(311)가 구비되고, 조임부재(370)가 관통하는 오목부(312)가 구비되는 샤프트(310),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샤프트(310)가 삽입 결합되며 내주면과 외주면에 제1회전방지부(311)와 대응되는 제2회전방지부(331)가 형성되고, 오목부(3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조임부재(370)가 관통하는 볼트관통홀(332)이 형성되는 소음방지부재(330), 소음방지부재(330) 외주면에 결합되는 삽입홀(355)이 형성되되 삽입홀(355)에 제2회전방지부(331)와 대응되는 제3회전방지부(351)가 형성되고, 삽입홀(355)과 연통되게 측면으로 절개된 조임부(353)가 구비되며, 조임부재(370)가 관통하는 조임홀(352)이 형성되는 요크(350)를 포함한다.1 and these drawings, the intermediate shaft of the vehic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은 조향축의 회전을 기어박스(도 1의 4 참고)를 통해 랙바로 전달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조향휠(도 1의 1 참고)을 작동하면 조향휠(1)에 연결된 조향축이 회전하며, 조향축은 중간축을 통하여 피니언축 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The intermediate shaft of the automobile steering system transmits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to the rack bar through the gearbox (refer to 4 in FIG. 1).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steering wheel (refer to 1 in FIG. 1), the steering shaft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1 This rotates, and the steering shaf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pinion shaft through the intermediate shaft.
또한, 중간축은 조향축과 소정의 각도로 굴절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내측샤프트와 외측샤프트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요크(350)와, 요크(350)와 스파이더로 결합되는 요크(350) 등으로 구성되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shaft is refra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teering shaft so that it can be rotated, and the
요크(350)는 조향축과 소정의 각도로 굴절되며 중간축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나는 외측샤프트와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내측샤프트와 결합된다.The
이러한 샤프트(310)는 일단부 외주면에 제1회전방지부(311)가 형성되어 요크(350)에 고정되며 요크(350)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샤프트(310)의 일단부에는 축방향으로 긴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1회전방지부(311)가 구비된다.The
또한, 샤프트(310)의 외주면 일측에는 후술할 조임부재(370)가 관통하는 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오목부(312)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요크(350)는 샤프트(310)의 일단부 외주면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홀(355)이 형성되며, 삽입홀(355)에 제1회전방지부(311)와 대응되는 제3회전방지부(351)가 형성되며, 제3회전방지부(351)는 축방향으로 긴 평면으로 형성된다.The
또한, 요크(350)에는 삽입홀(355)과 연통되게 측면으로 절개된 조임부(353)가 형성되어 삽입홀(355)에 샤프트(310)가 삽입되면 이격되어 있는 조임부(353)의 거리를 조절하면서 요크(350)가 샤프트(310)를 조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조임부재(370)가 조임부(353)에 조립되는 조립량에 따라 조임부(353)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조임부재(370)가 양쪽에서 관통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요크(350)의 조임부(353)에는 조임홀(352)이 형성된다. The distance of the tightening
또한, 요크(350)에 샤프트(310)가 조립된 후 조임부재(370)가 조임홀(352)과 오목부(312)를 관통하여 요크(350)에 조립됨에 따라 샤프트(310)의 축방향의 이동을 구속하게 되며 요크(350)로부터 샤프트(310)가 축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In addition, after the
이러한 조임부재(370)가 조임부(353)에 조립되어 샤프트(310)가 요크(350)에 고정되는데, 조임부재(370)가 요크(350)의 조임부(353)를 조이면 요크(350)의 조임부재(370)측이 오므라들어 샤프트(310)와 먼저 닿기 문에, 요크(350)의 조임부재(370)의 반대측이 샤프트(310)와 닿지 않으며 유격이 있는 상태로 샤프트(310)가 고정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The tightening
이에 따라 요크(350)와 샤프트(310) 사이에 러버 재질의 소음방지부재(330)가 결합되어 소음방지부재(330)의 조임부재(370)측은 압축되며, 조임부재(370) 반대측은 요크(350)와 샤프트(310) 사이의 유격을 흡수하여 샤프트(310)와 요크(350)의 충돌을 방지한다.Accordingly, the
이러한 소음방지부재(330)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샤프트(310)의 일단부가 삽입 결합되며, 소음방지부재(330)의 외주면은 요크(350)의 삽입홀(355)에 삽입 결합된다.This
소음방지부재(33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제1회전방지부(311)와 제3회전방지부(351)에 대응되는 제2회전방지부(331)가 형성되며, 제2회전방지부(331)는 소음방지부재(330)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평면으로 형성되어 샤프트(310), 소음방지부재(330), 요크(350) 사이의 슬립 없이 회전력을 전달한다.A second
이러한 회전방지부(311,331,351)는 샤프트(310), 소음방지부재(330), 요크(350)가 결합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310)의 일단부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면, 소음방지부재(330)와 요크(350)의 삽입홀(355)도 샤프트(310)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se
또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방지부(311)는 샤프트(310)의 외주면의 두곳에 구비되되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회전방지부(331)도 소음방지부재(330)의 내주면과 외주면의 두곳에 평행하게 구비되고, 제3회전방지부(351)도 삽입홀(355)의 두곳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샤프트(310), 소음방지부재(330), 요크(35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a), the first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10)는 제1회전방지부(311)가 외주면의 두곳에 평행하게 구비되되, 한쪽의 제1회전방지부(311)의 폭보다 반대쪽의 제1회전방지부(311)의 폭이 크게 형성되어 샤프트(310)에 소음방지부재(330)재, 요크(350)를 결합시키기 용이해지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ure 4, the
또한, 제2회전방지부(331)와 제3회전방지부(351)도 한쪽의 폭이 반대쪽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샤프트(310)에 소음방지부재(330)가 거꾸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그리고, 이러한 회전방지부(311,331,351)는 조임부재(370)가 요크(350)에 결합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소음방지부재(330)에는 오목부(3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조임부재(370)가 관통하는 볼트관통홀(332)이 형성되어 조임부재(370)가 요크(350), 소음방지부재(330), 샤프트(310)를 관통하여 요크(350)의 조임부(353)를 조이면서 결합됨에 따라, 요크(350)에 소음방지부재(330)와 샤프트(310)가 고정되며 요크(350)로부터 소음방지부재(330)와 샤프트(310)가 축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소음방지부재(330)가 샤프트(310)의 일단부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소음방지부재(330)는 일측단에 중공형상의 샤프트조립부(333)가 구비되어 소음방지부재(330)의 일측단이 지지된다.The
샤프트조립부(333)는 소음방지부재(33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샤프트조립부(333)의 돌출된 부분에 샤프트(310)가 지지되며, 소음방지부재(330)는 샤프트(310)가 샤프트조립부(333)에 지지되는 순간까지 조립되어 샤프트(310)에 소음방지부재(330)가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고, 샤프트(310)에서 소음방지부재(330)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또한, 샤프트조립부(333)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음방지부재(330)의 일측단을 막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또한, 요크(350)가 소음방지부재(3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소음방지부재(330)는 타측단에 중공형상의 요크조립부(335)가 일체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요크조립부(335)는 소음방지부재(33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요크(350)의 일측단을 지지하여 요크(350)가 소음방지부재(330)의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어 오조립을 방지한다.The
즉, 요크조립부(335)는 요크(350)가 소음방지부재(330)에 조립될 때 요크(350)의 끝단이 요크조립부(335)에 지지될 때까지 결합되며, 이로인해 요크(350)가 소음방지부재(330)에 조립되는 조립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소음방지부재(330)에 요크(350)를 용이하게 조립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이러한 샤프트조립부(333)와 요크조립부(335)는 러버,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소음방지부재(33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소음방지부재(330)의 사출 성형시에 소음방지부재(330)의 양단에 샤프트조립부(333)와 요크조립부(335)를 지지한 상태로 사출 성형하여 일체로 구비될 수 있게 된다.The
또는, 소음방지부의 양단에 접착제 등으로 샤프트조립부(333)와 요크조립부(335)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방지부재(330)에 요크(350)가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샤프트조립부(333)는 일측단에 직경이 축소되게 경사지는 경사면(437)이 형성되어 소음방지부재(330)에 요크(350)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ure 5, so that the
그리고, 삽입홀(355)에서 샤프트(3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게 형성된 결합부(457)가 구비되어 샤프트(310)가 삽입홀(35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한편, 샤프트(310)와 요크(350) 사이에 소음방지부재(330)가 결합됨에 따라 소음방지부재(330)가 샤프트(310)와 요크(350) 사이의 유격을 흡수하며, 삽입홀(355)에 샤프트(310)가 충돌되어 발생되는 '뚝'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도 6을 참고하여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샤프트(310)와 요크(350) 사이에 소음방지부재(330)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인 도 6의 (a)와 같이, 조임부재(370)가 요크(350)의 조임부(353)를 조이면 요크(350)의 제3회전방지부(351)가 기울어지면서 조임부재(370)측인 A부분이 샤프트(310)에 먼저 닿게 되며, A부분의 샤프트(310)와 요크(350)가 닿은 상태로 결합이 고정된다.6, the tightening
이에 따라 조임부재(370)의 반대측인 B부분은 샤프트(310)와 요크(35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며, 이러한 유격으로 인해 샤프트(310)와 요크(350)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할 때 샤프트(310)의 외주면이 요크(350)의 삽입홀(355)에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뚝' 소음과 진동이 운전자에게 그대로 전달 된다.Accordingly, in part B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ightening
반면, 도 6의 (b)와 같이, 본 발명은 샤프트(310)와 요크(350) 사이에 소음방지부재(330)가 결합됨에 따라 조임부재(370)가 요크(350)의 조임부(353)를 조이면 요크(350)의 제3회전방지부(351)가 기울어지면서 조임부재(370)측인 A부분의 소음방지부재(330)를 압축시키며 조임부재(370)의 반대측인 B부분의 소음방지부재(330)가 샤프트(310)와 요크(350)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흡수해주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b) of FIG. 6 ,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샤프트(310)와 요크(350)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흡수하여 샤프트(310)와 요크(350) 사이에 발생되는 '뚝'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샤프트(310)와 요크(350)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By absorbing the clearance generated between the
또한, B부분에서 소음방지부재(3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격이 발생되더라도 소음방지부재(330)가 샤프트(310)의 외주면이 삽입홀(355)에 부딪치는 충격을 흡수해주며, 샤프트(310)와 요크(350)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어서 '뚝'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키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a gap occurs in the state in which the
이러한 소음방지부재(330)는 샤프트(310)의 외주면과 삽입홀(355) 사이의 유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방지부(331)에서 돌출되며 경사지는 경사돌출부(738)가 형성됨에 따라 소음방지부재(330)의 두께가 조임부재(370)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The
다시 말해서, 소음방지부재(330)는 A부분보다 B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도록, A부분에서 B부분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샤프트(310)와 요크(350) 사이의 유격을 흡수해주게 된다.In other words, the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방지부재(330)는 제2회전방지부(331)에서 단차지며 돌출되는 단차돌출부(739)가 형성됨에 따라 소음방지부재(330)는 조임부재(370)측의 두께보다 조임부재(370) 반대측의 두깨가 두껍게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7 , the
다시 말해서, 소음방지부재(330)는 A부분보다 B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도록, A부분에서 B부분으로 단차지며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단차돌출부(739)가 형성되며, 단차돌출부(739)는 샤프트(310)와 요크(350) 사이에 유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샤프트와 요크 사이에 소음방지부재가 구비되어 샤프트와 요크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격을 흡수하며, 샤프트와 요크 사이가 충돌을 방지하며 충돌로 인한 '뚝'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어서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hape and structure, a noise preventio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to absorb the play generated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and to '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iscomfort to the driver as it can prevent ticking noise and vibration.
또한, 이러한 소음방지부재가 샤프트와 요크 사이에서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어서 오조립이 방지되며 조립이 용이해져 조립시간을 단축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such a noise prevention member can be assembled at an accurate posit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yoke, erroneous assembly is prevented and assembly is facilitated, thereby shortening the assembly tim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10: 샤프트 311: 제1회전방지부
312: 오목부 330: 소음방지부재
331: 제2회전방지부 332: 볼트관통홀
333: 샤프트조립부 335: 요크조립부
350: 요크 351: 제3회전방지부
352: 조임홀 353: 조임부
355: 삽입홀 370: 조임부재
437: 경사면 457: 결합부
738: 경사돌출부 739: 단차돌출부310: shaft 311: first rotation prevention part
312: recess 330: noise prevention member
331: second rotation prevention part 332: bolt through hole
333: shaft assembly 335: yoke assembly
350: yoke 351: third rotation prevention part
352: fastening hole 353: fastening part
355: insertion hole 370: fastening member
437: inclined surface 457: coupling portion
738: inclined protrusion 739: stepped protrusion
Claims (9)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가 삽입 결합되며 내주면과 외주면에 상기 제1회전방지부와 대응되는 제2회전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조임부재가 관통하는 볼트관통홀이 형성되는 소음방지부재; 및
상기 소음방지부재 외주면에 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홀에 상기 제2회전방지부와 대응되는 제3회전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게 측면으로 절개된 조임부가 구비되며, 상기 조임부재가 관통하는 조임홀이 형성되는 요크;
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a shaft having a first anti-rotation part formed in a plane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and having a concave part through which the tightening member passes;
It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he shaft is inserted and coupled, a second anti-rotation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ti-rotation part is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nd a bol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ightening member pass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art. a noise prevention member formed; and
An insertion hol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ise prevention member is formed, a third rotation prevention par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otation prevention part is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and a tightening part cut out laterally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hole is provided, a yoke in which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passes is formed;
An intermediate shaft of a vehicle steering system comprising a.
상기 샤프트에서의 상기 소음방지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소음방지부재는 일측단에 중공형상의 샤프트조립부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조립부가 상기 소음방지부재보다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샤프트의 일측단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The method of claim 1,
In ord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noise prevention member on the shaft, the noise prevention member is provided with a hollow shaft assembly part at one end, and the shaft assembly part protrudes inward than the noise prevention member so that one end of the shaft is An intermediate shaft of an automobile ste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상기 요크의 오조립이 방지되도록, 상기 소음방지부재는 타측단에 중공형상의 요크조립부가 구비되고, 상기 요크조립부가 상기 소음방지부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요크의 일측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3. The method of claim 2,
In order to prevent the erroneous assembly of the yoke, the noise preven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hollow yoke assembly portion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the yoke assembly portion protrudes outward than the noise prevention member to support one end of the yoke. The intermediate shaft of the automobile steering system.
상기 소음방지부재에 상기 요크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샤프트조립부는 일측단에 직경이 축소되게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rmediate shaft of the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yoke is easily coupled to the noise preventing member, the shaft assembly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reduce the diameter is formed at one end.
상기 제1회전방지부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의 두곳에 구비되되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방지부도 상기 소음방지부재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3회전방지부도 상기 삽입홀에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ti-rotation part is provided at two plac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and is provided in parallel, the second anti-rotation part is also provided parallel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ise preventing member, and the third anti-rotation part is also parallel to the insertion hole An intermediate shaft of a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상기 소음방지부재는 상기 조임부재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ermediate shaft of the steer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ise prevention member is formed to be thicker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tightening member.
상기 소음방지부재는 상기 제2회전방지부의 상기 조임부재의 반대편에 단차지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6. The method of claim 5,
The noise prevention member is an intermediate shaft of a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ightening member of the second anti-rotation part to protrude to the outside while stepping.
한쪽의 상기 제1회전방지부의 폭은 반대쪽의 상기 제1회전방지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방지부와 제3회전방지부도 한쪽의 폭이 반대쪽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6. The method of claim 5,
The width of the first anti-rotation part on one sid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anti-rotation part on the opposite side, and the width of one side of the second anti-rotation part and the third anti-rotation part is also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opposite side. The intermediate shaft of the automobile steering system.
상기 요크는 상기 소음방지부재에 결합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삽입홀에서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게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The method of claim 1,
The yoke is an intermediate shaft of a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ner diameter that increas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aft is inserted from the insertion hole so as to be easily coupled to the noise prevention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0739A KR102395677B1 (en) | 2015-12-17 | 2015-12-17 | Intermediate Shaft of Th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0739A KR102395677B1 (en) | 2015-12-17 | 2015-12-17 | Intermediate Shaft of Th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2507A KR20170072507A (en) | 2017-06-27 |
KR102395677B1 true KR102395677B1 (en) | 2022-05-10 |
Family
ID=5951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0739A Active KR102395677B1 (en) | 2015-12-17 | 2015-12-17 | Intermediate Shaft of Th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5677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39836A (en) | 2006-03-07 | 2007-09-20 | Jtekt Corp | Connecting structure of shaft and yoke of universal joint |
KR101342809B1 (en) | 2012-11-23 | 2013-12-17 | 주식회사 만도 | Apparatus for preventing mis assembling of steering apparatus intermediate shaf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69664A (en) * | 1996-12-09 | 1998-06-23 | Nippon Seiko Kk | Joint between shaft and universal joint yoke |
FR2910945B1 (en) * | 2006-12-27 | 2009-01-30 | Renault Sas | DEVICE FOR CONNECTING A PINION PLATE TO A STEERING COLUMN HAT. |
KR20090092123A (en) * | 2008-02-26 | 2009-08-31 | 주식회사 만도 | Intermediate shaft of steering system |
-
2015
- 2015-12-17 KR KR1020150180739A patent/KR1023956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39836A (en) | 2006-03-07 | 2007-09-20 | Jtekt Corp | Connecting structure of shaft and yoke of universal joint |
KR101342809B1 (en) | 2012-11-23 | 2013-12-17 | 주식회사 만도 | Apparatus for preventing mis assembling of steering apparatus intermediate shaf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2507A (en) | 2017-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81304B1 (en) | Steering apparatus | |
US8925939B2 (en) | Steering system | |
CN107401583B (en) | Automobile speed reducer | |
JP2002013548A (en) | Ball spline clutch and intermediate shaft of steering equipment | |
KR20200012518A (en) | Steer-By-Wire Type Steering Apparatus | |
KR102395677B1 (en) | Intermediate Shaft of Th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JP2006283810A (en) | Elastic shaft coupling | |
KR20180003359A (en) | Intermediate Shaft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101631509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misassembling of a universal joint | |
KR20150024553A (en) | Rack and 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 |
KR102241990B1 (en) | Intermediate Shaft of Th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102146410B1 (en) | Combined structure of worm shaft and motor shaft of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KR101214269B1 (en) | Slip Joint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101396950B1 (en) | Isolator type intermediate shaft | |
KR20150100311A (en)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101033452B1 (en) | Steering device with slip joint | |
JP2018030389A (en) | Bearing structure | |
KR20060101983A (en) | Tie rods for vehicle steering | |
JPH034031A (en) | Elastic joint for steering shaft | |
KR100794940B1 (en) | Steering device with reduced rattle noise | |
KR101951246B1 (en)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20150128245A (en) | Intermediate shaft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100804186B1 (en) | Slip Joint of Steering System | |
KR100370316B1 (en) | Shock absorbing apparatus of vehicle steering column | |
KR20240120942A (en)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