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529B1 -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5529B1 KR102395529B1 KR1020150147313A KR20150147313A KR102395529B1 KR 102395529 B1 KR102395529 B1 KR 102395529B1 KR 1020150147313 A KR1020150147313 A KR 1020150147313A KR 20150147313 A KR20150147313 A KR 20150147313A KR 102395529 B1 KR102395529 B1 KR 1023955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module
- activation
- information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779 in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415 in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DUJFDTGMUKWELI-UHFFFAOYSA-N 2-[(4-chlorobenzoyl)amino]-4,5,6,7-tetrahydro-1-benzothiophene-3-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S1C=2CCCCC=2C(C(=O)O)=C1NC(=O)C1=CC=C(Cl)C=C1 DUJFDTGMUKWEL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1000659324 Homo sapiens Twinfilin-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795921 Homo sapiens Twinfilin-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313153 Oryza sativa subsp. japonica TBT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313154 Oryza sativa subsp. japonica TBT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6223 Twinfilin-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1721 Twinfilin-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04L12/4625—Single bridge functionality, e.g. connection of two networks over a single brid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04W52/028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with sequential power up or power down of successive circuit blocks, e.g. switching on the local oscillator before RF or mixer sta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 및 통신 장치를 통해 웹 서버와 연결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가 내장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의 활성화 구간 및 비활성화 구간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 주기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제어함에 따른 전력 감소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려하여 활성화 순서를 설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가 내장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기와 무선 신호를 주고 받는 통신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와 사물인터넷 기기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1: 에어컨, T2: 조명기기, T3: 스마트 폰
T4: 데스크 탑, T5: 청소 로봇, T6: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35)
- 서로 다른 무선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및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와 접속하는 사물인터넷 기기의 접속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접속정보를 기초로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의 활성화 순서를 설정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및 지웨이브(z-wave)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여 활성화를 제어하는 통신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분석한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활성화하는 활성화 구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전부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통신 장치.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분석한 사용패턴을 기초로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의 통신방식 이용 시간대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통신방식 이용 시간대를 기초로 상기 활성화 구간, 및 상기 비활성화 구간을 시간대 별로 설정하는 통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간의 상대적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통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통신 장치가 내장된 사물인터넷 기기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사물인터넷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활성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은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통신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입력 받은 활성화 정보로부터 예상되는 효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사물인터넷 기기에 활성화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장치. -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통신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중에서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통해 처리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사물인터넷 기기의 접속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접속정보를 기초로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의 활성화 순서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물인터넷 기기와 관련된 제어 명령, 및 웹 서버와의 연결과 관련된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여 활성화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분석한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활성화하는 활성화 구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전부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분석한 사용패턴을 기초로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의 통신방식 이용 시간대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통신방식 이용 시간대를 기초로 상기 활성화 구간, 및 상기 비활성화 구간을 시간대 별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간의 상대적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통신 장치에 관한 활성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은 활성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입력 받은 활성화 정보를 기초로 예상되는 효율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접속된 사물인터넷 기기에 활성화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통해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영상 정보, 및 사물인터넷 기기에 관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사물인터넷 기기로부터 페어링 신호를 수신 함에 대응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가 페어링 하고자 하는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를 유지하는 통신 모듈과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 간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의 접속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한 사용패턴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 삭제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한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활성화하는 활성화 구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전부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활성화 구간 및 상기 비활성화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한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의 활성화 순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활성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한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의 통신방식 이용 시간대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통신방식 이용 시간대를 기초로 상기 활성화 구간, 및 상기 비활성화 구간을 시간대 별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활성화 구간 및 상기 비활성화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사물인터넷 기기와 관련된 제어 명령, 및 웹 서버와의 연결과 관련된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 중에서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통해 처리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물인터넷 기기의 접속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접속정보를 기초로 사용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한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의 활성화 순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여 활성화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 삭제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한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활성화하는 활성화 구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전부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7313A KR102395529B1 (ko) | 2015-10-22 | 2015-10-22 |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EP16857724.5A EP3338513B1 (en) | 2015-10-22 | 2016-10-14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
PCT/KR2016/011565 WO2017069466A1 (en) | 2015-10-22 | 2016-10-14 | Communic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CN201680038931.8A CN107710864B (zh) | 2015-10-22 | 2016-10-14 | 通信装置、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
US15/299,560 US10439894B2 (en) | 2015-10-22 | 2016-10-21 | Communic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7313A KR102395529B1 (ko) | 2015-10-22 | 2015-10-22 |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6993A KR20170046993A (ko) | 2017-05-04 |
KR102395529B1 true KR102395529B1 (ko) | 2022-06-02 |
Family
ID=5855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7313A Active KR102395529B1 (ko) | 2015-10-22 | 2015-10-22 |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439894B2 (ko) |
EP (1) | EP3338513B1 (ko) |
KR (1) | KR102395529B1 (ko) |
CN (1) | CN107710864B (ko) |
WO (1) | WO201706946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55931B1 (en) * | 2016-06-07 | 2019-08-07 | Nxp B.V. | Configuring wireless communications and an advertising event according to multiple communication protocols |
EP3255949A1 (en) | 2016-06-07 | 2017-12-13 | Nxp B.V. | Configuring wireless communications according to multiple communication protocols |
JP7074134B2 (ja) * | 2017-06-26 | 2022-05-24 |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 制御装置、基地局、端末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
US20190082222A1 (en) * | 2017-09-09 | 2019-03-14 | Telegenic, Inc. | Aggregating access to and delivery of media content from multiple sources |
US10992490B2 (en) * | 2018-12-17 | 2021-04-27 | Rovi Guid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yback or recording of media assets based on a state of a secondary device |
WO2020132831A1 (en) | 2018-12-24 | 2020-07-02 | Intel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pairing devices using visual recognition |
JP7131428B2 (ja) * | 2019-02-22 | 2022-09-06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通信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
US11307640B2 (en) | 2019-03-25 | 2022-04-19 | Dialog Semiconductor Kore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age time of IoT devices |
CN111862566A (zh) * | 2020-06-30 | 2020-10-30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遥控方法、设备信息写入方法、装置及存储介质 |
CN114088108A (zh) * | 2020-08-24 | 2022-02-25 | 航天科工惯性技术有限公司 | 一种测试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80457A1 (en) * | 2006-09-29 | 2008-04-03 | Cole Terry L | Connection manager responsive to power state |
US20090196210A1 (en) * | 2008-02-03 | 2009-08-06 | Broadcom Corporation | Collaborative coexistence of co-located mobile wimax, wireless lan, and/or bluetooth radios |
KR101042196B1 (ko) | 2010-04-08 | 2011-06-16 |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 Dlna 디바이스로 구성된 dlna 홈네트워크를 제어하는 dlna 게이트웨이 및 제어방법 |
US20140098247A1 (en) | 1999-06-04 | 2014-04-10 | Ip Holdings, Inc. | Home Automation And Smart Home Control Using Mobile Devices And Wireless Enabled Electrical Switches |
US20140244768A1 (en) | 2013-02-25 | 2014-08-28 | Qualcomm Incorporated | Automatic iot device social network expansion |
US20140266669A1 (en) | 2013-03-14 | 2014-09-18 | Nest Labs, Inc. | Devices, methods, and associated information processing for security in a smart-sensored home |
US20140342670A1 (en) | 2013-05-16 | 2014-11-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
US20150179057A1 (en) | 2013-06-24 | 2015-06-25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394623A (zh) * | 2007-09-19 | 2009-03-25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双模移动终端开机启动模式的方法 |
US8160752B2 (en) * | 2008-09-30 | 2012-04-17 | Zome Networks, Inc. | Managing energy usage |
US8582866B2 (en) * | 2011-02-10 | 2013-11-12 | Edge 3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arity computation in stereo images |
KR101882044B1 (ko) * | 2011-04-01 | 2018-07-25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 트라이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필름 |
JP6387827B2 (ja) | 2012-03-28 | 2018-09-12 | 日本電気株式会社 | データ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装置およびその省電力化方法 |
JP5666637B2 (ja) * | 2013-02-25 | 2015-02-12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メッセージ通知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
CN104284558B (zh) * | 2013-07-11 | 2016-12-28 | 佛山市建准电子有限公司 | 手持式电子装置的护套 |
KR102213110B1 (ko) * | 2014-03-21 | 2021-02-09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끊김 없는 서비스를 위한 비콘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US10168677B2 (en) * | 2014-11-11 | 2019-01-01 | Weebee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spaces |
-
2015
- 2015-10-22 KR KR1020150147313A patent/KR102395529B1/ko active Active
-
2016
- 2016-10-14 EP EP16857724.5A patent/EP3338513B1/en active Active
- 2016-10-14 WO PCT/KR2016/011565 patent/WO2017069466A1/en unknown
- 2016-10-14 CN CN201680038931.8A patent/CN107710864B/zh active Active
- 2016-10-21 US US15/299,560 patent/US1043989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098247A1 (en) | 1999-06-04 | 2014-04-10 | Ip Holdings, Inc. | Home Automation And Smart Home Control Using Mobile Devices And Wireless Enabled Electrical Switches |
US20080080457A1 (en) * | 2006-09-29 | 2008-04-03 | Cole Terry L | Connection manager responsive to power state |
US20090196210A1 (en) * | 2008-02-03 | 2009-08-06 | Broadcom Corporation | Collaborative coexistence of co-located mobile wimax, wireless lan, and/or bluetooth radios |
KR101042196B1 (ko) | 2010-04-08 | 2011-06-16 |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 Dlna 디바이스로 구성된 dlna 홈네트워크를 제어하는 dlna 게이트웨이 및 제어방법 |
US20140244768A1 (en) | 2013-02-25 | 2014-08-28 | Qualcomm Incorporated | Automatic iot device social network expansion |
US20140266669A1 (en) | 2013-03-14 | 2014-09-18 | Nest Labs, Inc. | Devices, methods, and associated information processing for security in a smart-sensored home |
US20140342670A1 (en) | 2013-05-16 | 2014-11-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
US20150179057A1 (en) | 2013-06-24 | 2015-06-25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710864A (zh) | 2018-02-16 |
KR20170046993A (ko) | 2017-05-04 |
EP3338513A4 (en) | 2018-08-01 |
EP3338513A1 (en) | 2018-06-27 |
CN107710864B (zh) | 2021-10-29 |
EP3338513B1 (en) | 2020-04-01 |
US10439894B2 (en) | 2019-10-08 |
WO2017069466A1 (en) | 2017-04-27 |
US20170118089A1 (en) | 2017-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95529B1 (ko) | 통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10999724B2 (en) | Video gateway as an internet of things mesh enhancer apparatus and method | |
US10816153B2 (en) |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 |
EP4213101A1 (en) | Electric device and music visualization method thereof | |
EP3640910B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xternal apparatus | |
US10791000B2 (en) |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2190229B1 (ko) | 음량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방법 및 음량 조절을 위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 |
US9660724B2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
KR10221645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
US11582524B2 (en) | Set-top box with enhanced controls | |
US20150331655A1 (en) |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low energy bluetooth | |
EP2941023B1 (en) |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camera | |
KR2017003201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20210067622A1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US20250227787A1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20140016726A (ko) |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0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