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5015B1 -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015B1
KR102395015B1 KR1020200140484A KR20200140484A KR102395015B1 KR 102395015 B1 KR102395015 B1 KR 102395015B1 KR 1020200140484 A KR1020200140484 A KR 1020200140484A KR 20200140484 A KR20200140484 A KR 20200140484A KR 102395015 B1 KR102395015 B1 KR 102395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injection
garnish
pattern
symb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912A (ko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00140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0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0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4Lighting devices embedded in interior trim, e.g. in roof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에 관한 것으로, 데코레이션이 인쇄되는 반투광성의 데코필름, 데코필름의 후방에 접착되는 투명재질의 사출물, 사출물의 후방에 접착되며, 일측면에 불투명한 도료가 도포된 후 심볼이 레이저 가공되는 패턴필름, 패턴필름의 후방에 접착되며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기판을 포함하여 필름컬 발생을 방지하고 입체감을 갖는 심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Garnish for interial parts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에 관한 것으로, 필름컬 발생을 방지하고 입체감을 갖는 심볼을 제공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외관을 향상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내장부품에 부착되는 데코레이션 부품으로서 가니쉬를 적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동차 내장부품의 고급화를 위하여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가니쉬를 제작하고 있다.
종래에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에 리얼우드, 리얼알루미늄, 카본 직조 필름, 자개 등 다양한 천연의 소재를 사용하여 그 질감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기존의 가니쉬의 경우 사출시의 온도와 압력에 의해 패턴 손상 혹은 밀림 현상이 발생하여 직접적인 패턴의 인서트 사출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리얼소재를 적용하는 종래의 내장부품용 가니쉬의 경우, 성형성 확보 및 성형 전후의 수축에 따른 변형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얼소재의 뒷면에 알루미늄 시트를 접합하여 부품화하였으나, 이는 원가 상승 및 공정 복잡화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가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1)는 후방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의 온/오프에 따라 심볼이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반투광성 필름(10), 기재(20), 조명장치가 설치된 기판(30)으로 구성된다.
기판(30)은 기재(20)의 후방에 설치되며 다수의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필름(10)에 빛을 제공한다.
기재(20)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에 강성을 부여하도록 마련되고 조명장치의 빛이 투과하여 필름(10)에 조사되도록 투명재질로 마련된다.
반투광성 필름(10)은 전방에 외관상 미관을 유려하게 하는 데코레이션에 해당하는 데코층이 인쇄되고, 후방에 차폐층이 인쇄된 후 심볼(11)이 레이저 가공되거나 패턴층이 인쇄되며, 추가로 내열층이 다층으로 인쇄된다.
이러한 반투광성 필름(10)은 각 표면에 수차례 이상의 정밀한 다층 인쇄가 필요하고 인쇄도수마다 도막 두께만큼 두꺼워지게 되고, 인쇄 공정의 증가로 인해 공정이 복잡하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 2에는 필름의 1도 인쇄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으로, 1도 이상의 다층 인쇄시 필름컬이 발생하여 추가적인 차폐인쇄나 데코인쇄가 어렵고, 필름의 원하는 모양을 유지할 수 없어 필름의 프리포밍 성형이 쉽지 않으며 심한 경우 프리포밍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하나의 필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데코층, 패턴층, 차폐층, 내열층 등이 인쇄됨에 따라 필름이 두꺼워지며 필름컬이 발생하여 필름의 프리포밍 작업이 불가능하고, 필름의 다층 인쇄에 따라 공정 난이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필름 인쇄시 데코층 인쇄 후 정확한 위치에 차폐층을 인쇄하는 정밀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다층 인쇄로 인한 필름컬 발생을 방지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패턴층을 갖는 별도의 필름을 추가로 구비함에 따라 필름을 프리포밍한 후 위치에 상관없이 커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어서 공정 난이도가 낮은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필름의 인서트 사출시 고속의 롤링으로 피딩되는 차폐층이 인쇄된 데코필름의 정밀한 이송을 위한 필름롤링 제어 장치와 레이저 위치매핑 등의 금형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공정상 난이도가 낮아지고 공정수를 절약할 수 있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데코필름과 패턴필름 사이에 사출물을 구비하고 사출물의 두께만큼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표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어서 광학적 디자인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코레이션이 인쇄되는 반투광성의 데코필름, 데코필름의 후방에 접착되는 투명재질의 사출물, 사출물의 후방에 접착되며, 일측면에 불투명한 도료가 도포된 후 심볼이 레이저 가공되는 패턴필름, 패턴필름의 후방에 접착되며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사출물은 데코필름의 후방에 사출 성형되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는 사출물의 후방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적층되는 투명재질의 제1 접착제를 더 포함하고, 패턴필름은 제1 접착제에 적층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는 패턴필름의 후방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적층되는 투명재질의 제2 접착제를 더 포함하고, 기판은 제2 접착제에 적층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는 조명장치가 온 상태가 되면 빛이 패턴필름의 심볼을 통과하여 데코필름의 표면에 이미지가 표시되고, 이미지는 사출물과 패턴필름의 계면에 심볼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맺히는 제1 상과, 데코필름과 사출물의 계면에 심볼 보다 큰 형상으로 맺히는 제2 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출물은 2.5mm 이상 5.5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필름 인쇄시 데코층 인쇄 후 정확한 위치에 차폐층을 인쇄하는 정밀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다층 인쇄로 인한 필름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턴층을 갖는 별도의 필름을 추가로 구비함에 따라 필름을 프리포밍한 후 위치에 상관없이 커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어서 공정 난이도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필름의 인서트 사출시 고속의 롤링으로 피딩되는 차폐층이 인쇄된 데코필름의 정밀한 이송을 위한 필름롤링 제어 장치와 레이저 위치매핑 등의 금형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공정상 난이도가 낮아지고 공정수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코필름과 패턴필름 사이에 사출물을 구비하고 사출물의 두께만큼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표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어서 광학적 디자인 효과를 연출하며 차량 내부의 디자인 자유도가 증가하고 심미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에 사용되는 필름의 1도 인쇄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의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100)는 데코레이션이 인쇄되는 반투광성의 데코필름(110), 데코필름(110)의 후방에 접착되는 투명재질의 사출물(120), 사출물(120)의 후방에 접착되며, 일측면에 불투명한 도료가 도포된 후 심볼(131)이 레이저 가공되는 패턴필름(130), 패턴필름(130)의 후방에 접착되며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기판(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100)는 데코필름(110), 사출물(120), 패턴필름(130), 기판(140)이 접합되어 형성된다.
데코필름(110)은 전방면인 표면에 데코레이션이 인쇄되며 반투광성 재질로 마련되며, 일예로, 블랙하이그로시 등의 투광성 표면처리된 IML 필름이거나, 반투광성의 리얼우드 또는 리얼금속 등의 리얼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데코필름(110)은 도 2의 상측 도면과 같이 후방에서 빛이 조사될 경우에만 표면에 이미지(111)가 표현되며 도 2의 하측 도면과 같이 평상시에는 표면에 이미지(111)가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데코필름(110)에 인쇄되는 데코레이션은 후방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표시되는 것이 아니며 조명장치에 상관없이 데코필름(110)의 표면에 표시되는 이미지(111)다.
사출물(120)은 데코필름(110)의 후방에 접착되며 투명재질로 마련되어 조명장치에서 발광하여 후술하는 패턴필름(130)의 심볼(131)을 통과한 빛이 데코필름(110)의 표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사출물(120)은 데코필름(110)의 후방에 사출 성형되어 적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금형과 제2 금형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장치에서 제1 금형에 데코필름(110)이 인서트되어 안착된 후,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형폐하여 제1 금형에 인서트된 데코필름(110)과 제2 금형 사이에 캐비티가 형성된다.
이러한 캐비티에 수지를 주입한 후 일정 시간동안 경화하며,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형개하여 사출물(120)이 형성된 데코필름(110)을 취출한다.
일예로, 사출물(120)은 90% 이상의 투광도를 갖는 PC 수지로 성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데코필름(110)은 전방에 데코레이션이 인쇄되며, 사출물(120)이 사출 성형되는 후방면에는 인쇄되는 패턴이 없기 때문에 사출시 발생되는 열로 인해 패턴이 손상될 염려가 없게 된다.
패턴필름(130)은 사출물(120)의 후방에 접착되며, 일측면에 불투명한 도료가 도포된 후 심볼(131)이 레이저 가공된다.
즉, 패턴필름(130)은 투명 소재로 마련되고 전방면 또는 후방면에 불투명한 도료가 도포되어 빛을 차단하는 차폐층이 형성되며, 차폐층에서 패턴과 대응되는 형상의 심볼(131)이 레이저 가공되어 빛을 통과시킨다.
이러한 패턴필름(130)의 불투명한 도료로 도포되는 차폐층과 차폐층의 일부분을 레이저 가공하여 심볼(131)을 형성하는 패턴층 등은 종래에 데코필름(110)의 후면에 형성됨으로 인해 필름컬이 발생하거나 사출물(120)의 사출 성형시의 고온으로 인해 손상되었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패턴필름(130)을 구비한 후 패턴필름(130)에 차폐층과 패턴층 등을 형성한다.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패턴필름(130) 없이 패턴층이 데코필름(110)의 후방면에 인쇄될 경우 인쇄시 정확한 위치에 패턴층을 인쇄하는 정밀작업이 요구되고 인쇄 후 필름을 프리포밍할 때, 제품 형상으로 커팅할 때 사출장치에 필름을 인서트할 때마다 패턴형상의 위치가 정확하도록 조정해야 해서 공정상 난이도가 높아지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패턴층이 별도의 패턴필름(130)으로 구비됨에 따라 데코필름(110)의 인쇄, 프리포밍, 커팅, 사출 작업에서의 공정상 난이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패턴필름(130)은 사출물(120)의 후방에 적층 접착되도록 제1 접착제(150)가 구비된다.
제1 접착제(150)는 사출물(120)의 후방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적층되며,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후방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과시키고, 후방에 패턴필름(130)이 적층 접합된다.
기판(140)은 패턴필름(130)의 후방에 접착되며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조명장치가 온 상태일 경우 빛이 발광하여 전방의 패턴필름(130), 사출물(120)을 통과하며 데코필름(110)의 표면에 이미지(111)가 표시되도록 한다.
조명장치는 일예로 LED 등의 광원으로 마련되며,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기판(140)에 설치된다.
이러한 기판(140)은 FPCB기판으로 구비되어 추가로 심볼(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터치센서가 설치되어 운전자의 심볼(131)의 터치여부를 인식하며 가니쉬(100)에 스위치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판(140)은 패턴필름(130)의 후방에 적층 접착되도록 제2 접착제(160)가 구비된다.
제2 접착제(160)는 패턴필름(130)의 후방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적층되며,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후방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과시키고, 후방에 기판(140)이 적층 접합된다.
그리고 조명장치의 빛이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도광판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코필름(110)과 패턴필름(130) 사이에 사출물(120)을 형성함에 따라 데코필름(110)의 표면에 표시되는 이미지(111)에 입체감을 부여한다.
즉, 조명장치가 온 상태가 되면 빛이 패턴필름(130)의 심볼(131), 사출물(120)을 통과하여 데코필름(110)의 표면에 이미지(111)가 표시되는데, 이미지(111)는 사출물(120)과 패턴필름(130)의 계면에 심볼(1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맺히는 제1 상과, 데코필름(110)과 사출물(120)의 계면에 심볼(131) 보다 큰 형상으로 맺히는 제2 상을 포함한다.
제1 상은 빛이 확산되는 경로와, 사출물(120)과 패턴필름(130)의 계면이 교차하는 제1 영역(a)에 맺히며 제1 영역(a)과 대응되는 크기의 심볼(131) 형상으로 맺히게 된다.
사출물(120)과 패턴필름(130)의 계면은 심볼(131)이 패턴필름(130)의 전방면에 인쇄된 경우 심볼(131)과 일치하여 심볼(131)과 대응되는 크기로 제1 상이 맺히고, 심볼(131)이 패턴필름(130)의 후방면에 인쇄된 경우 심볼(131)과 패턴필름(130)의 두께만큼의 위상차가 생기기 때문에 위상차 만큼의 심볼(131) 보다 큰 형상으로 제1 상이 맺힐 수도 있다.
제2 상은 빛이 확산되는 경로와, 데코필름(110)과 사출물(120)의 계면이 교차하는 제2 영역(b)에 맺히며 제2 영역(b)과 대응되는 크기의 심볼(131) 형상으로 맺히게 된다.
즉, 제2 영역(b)은 빛의 확산에 따라 제1 영역(a) 보다 넓어서, 제2 상은 제2 영역(b)에 제1 상의 크기보다 크게 맺히게 된다.
가니쉬(100)의 표면에서는 빛에 의해 제1 영역(a)에 맺힌 제1 상과 제2 영역(b)에 맺힌 제2 상이 충첩되어 표시되며 입체감이 부여된 이미지(111)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데코필름(110)의 표면에는 제1 상과 제2 상이 중첩되어 표시됨에 따라 입체효과가 부여된 이미지(111)기 표시되는 것으로, 탑승자가 원하는 패턴에 고급감을 부여하며 차별화된 디자인을 제공한다.
단, 제1 접착제(150)와 제2 접착제(160)는 얇게 도포되며 투명소재로 마련되므로, 사출물(120)과 패턴필름(130)의 계면은 제1 접착제(150)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사출물(120)의 후방면 또는 패턴필름(130)의 전방면일 수 있다.
그리고 사출물(120)의 두께(t)는 강성과 데코필름(110)의 표면에 표시되는 이미지(111)와 이미지(111)의 입체효과를 고려하여 2.5mm 이상 5.5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된다.
만약 사출물(120)이 2.5mm 미만의 두께로 형성될 경우 가니쉬(100)의 강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으며 제1 상과 제2 상의 크기 차이가 미세하여 입체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기 때문에 사출물(120)은 2.5m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출물(120)이 5.5mm 초과의 두께로 형성될 경우 기판(140)의 조명장치에서 발광하여 빛이 데코필름(110)까지 도달하면서 손실이 발생하며, 확산되면서 빛이 희미해져 데코필름(110)의 표면에 표시되는 이미지(111)와 입체효과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사출물(120)은 5.5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의 필름 인쇄시 데코층 인쇄 후 정확한 위치에 차폐층을 인쇄하는 정밀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다층 인쇄로 인한 필름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턴층을 갖는 별도의 필름을 추가로 구비함에 따라 필름을 프리포밍한 후 위치에 상관없이 커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어서 공정 난이도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필름의 인서트 사출시 고속의 롤링으로 피딩되는 차폐층이 인쇄된 데코필름의 정밀한 이송을 위한 필름롤링 제어 장치와 레이저 위치매핑 등의 금형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공정상 난이도가 낮아지고 공정수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코필름과 패턴필름 사이에 사출물을 구비하고 사출물의 두께만큼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표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어서 광학적 디자인 효과를 연출하며 차량 내부의 디자인 자유도가 증가하고 심미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가니쉬 110: 데코필름
111: 이미지 120: 사출물
130: 패턴필름 131: 심볼
140: 기판 150: 제1 접착제
160: 제2 접착제

Claims (6)

  1. 데코레이션이 인쇄되는 반투광성의 데코필름;
    상기 데코필름의 후방에 접착되는 투명재질의 사출물;
    상기 사출물의 후방에 접착되며, 일측면에 불투명한 도료가 도포된 후 심볼이 레이저 가공되는 패턴필름; 및
    상기 패턴필름의 후방에 접착되며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기판;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가 온 상태가 되면 빛이 상기 패턴필름의 심볼을 통과하여 상기 데코필름의 표면에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이미지는 상기 사출물과 패턴필름의 계면에 상기 심볼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맺히는 제1 상과, 상기 데코필름과 사출물의 계면에 상기 심볼 보다 큰 형상으로 맺히는 제2 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상기 데코필름의 후방에 사출 성형되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의 후방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적층되는 투명재질의 제1 접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필름은 상기 제1 접착제에 적층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필름의 후방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적층되는 투명재질의 제2 접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2 접착제에 적층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2.5mm 이상 5.5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KR1020200140484A 2020-10-27 2020-10-27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Active KR102395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484A KR102395015B1 (ko) 2020-10-27 2020-10-27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484A KR102395015B1 (ko) 2020-10-27 2020-10-27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912A KR20220055912A (ko) 2022-05-04
KR102395015B1 true KR102395015B1 (ko) 2022-05-09

Family

ID=8158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484A Active KR102395015B1 (ko) 2020-10-27 2020-10-27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0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747A (ja) * 2007-07-13 2009-01-29 Sekisui Chem Co Ltd 自動車内装用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内装用照明システム
KR101977221B1 (ko) * 2018-10-29 2019-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히든 스위치 구조
JP2020003569A (ja) * 2018-06-26 2020-0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突板を用いた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747A (ja) * 2007-07-13 2009-01-29 Sekisui Chem Co Ltd 自動車内装用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内装用照明システム
JP2020003569A (ja) * 2018-06-26 2020-0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突板を用いた表示装置
KR101977221B1 (ko) * 2018-10-29 2019-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히든 스위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912A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26180B (zh) 模内加饰成型品的制造方法
KR102240696B1 (ko) 플라스틱 성형 부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9145097B2 (en) Trim element comprising a decorative element at least partly surrounded by a film in plastic material
US12032194B2 (en) Illuminatio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675921B2 (ja) 車両用の点灯部品を製造する方法
EP364705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interior material having composite layer structure capable of light emission through various logo patterns
KR102395015B1 (ko) 자동차 내장부품용 가니쉬
CN112423963B (zh) 具有补偿层的塑料装饰板
US10315345B2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 component for a motor-vehicle interior
US20060121251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an object and object produced by said method
US20210162720A1 (en) Wooden decorative board, molded article having wooden decorative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CN115916514A (zh) 具有可透射的表面层的成型件以及用于制造具有可透射的表面层的成型件的方法
CN107538657B (zh) 三维玻璃结构、加饰成型品及其制造方法
CN212920983U (zh) 透光仪表板装饰板
JP2002178362A (ja) 合成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6635203A (zh) 嵌件成型用装饰膜、嵌件成型用装饰膜的制造方法及树脂成型品的制造方法
US20220305707A1 (en) Plastic composite panel and associated production method
CN116568524A (zh) 用于制造装饰板的方法和相关的装饰板
CN108602235B (zh) 具备装潢树脂片材的成形品及其制造方法
WO2022209328A1 (ja) インサート成形用加飾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用加飾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20240351516A1 (en) Trim element with partiallly reflective top layer
US20250074301A1 (en) Decorative composite material
KR102290773B1 (ko) 레이더 전파 투과형 커버
US20230001852A1 (en) Seamless Integration of Illumination into Interior Trim Panels with Decorative Surface Materials
JP2023102872A (ja) 加飾部品及び加飾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