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3769B1 -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769B1
KR102393769B1 KR1020200023639A KR20200023639A KR102393769B1 KR 102393769 B1 KR102393769 B1 KR 102393769B1 KR 1020200023639 A KR1020200023639 A KR 1020200023639A KR 20200023639 A KR20200023639 A KR 20200023639A KR 102393769 B1 KR102393769 B1 KR 102393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groove
pressing member
needle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2264A (ko
Inventor
이문기
Original Assignee
이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1355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19008B1/ko
Application filed by 이문기 filed Critical 이문기
Priority to KR1020200023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7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7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61M5/1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pressurised by contraction of elastic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유체 주입 장치는 홈이 형성되는 본체, 베이스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압부재, 상기 홈을 덮으며 배치되어, 유체가 충전되는 공간인 챔버를 형성하는 탄성부재, 상기 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어 상기 챔버의 부피를 변화시켜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FLUID}
본 발명은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이 간단한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물이나 기능성 물질 등의 유체를 피부를 통해 체내로 전달하는 방법으로는 피부 표면에 유체를 바르는 방법과 주사 바늘을 통해 유체를 주입하는 방법이 있다.
피부 표면에 유체를 바르는 방법은 피부에 도포된 유체가 두껍고 건조한 표피층을 통과하여 진피층으로 전달되기 매우 어려우며, 전달된다고 하더라도 그 양이 상당히 미미한 수준으로 단순히 피부 표피층에 도포하는 것만으로는 그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주사 바늘을 통해 유체를 주입하는 방법은 진피층에 유체가 손실없이 전달되는 이점이 있고, 피하지방층, 근육층 및 혈관에도 유체가 손실없이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사람이 직접 주사기를 통해 주입하게 되므로, 특히, 넓은 범위에 여러 번 바늘을 찔러 넣어 유체를 주입해야 하는 경우, 유체의 양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어렵고, 주사 바늘로 인해 통증이 동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미세 바늘을 통해 유체를 체내로 손실없이 주입하는 유체 주입 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들은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부를 구비하고 유체를 미세 바늘로 전달하는 수단을 통해 압력을 가할 때 미세 바늘이 피부의 표피층을 통과하여 유체가 전달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조작이 상대적으로 불편하고 전달 수단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시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체 주입 시 통증이 없고, 유체가 표피층을 통과하여 진피층, 피하지방층, 근육층 및 혈관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조작이 간단한 유체 주입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224324 호 "경피투여용 패취제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조가 단순하고, 조작이 간단한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 주입 장치는 홈이 형성되는 본체, 베이스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압부재, 상기 홈을 덮으며 배치되어, 유체가 충전되는 공간인 챔버를 형성하는 탄성부재, 상기 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어 상기 챔버의 부피를 변화시킨다.
상기 홈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변을 따라 형성된 돌기는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홈에 삽입되어 있던 가압부재가 상기 홈에서 이탈하는 경우, 상기 챔버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됨으로써 발생되는 부피 증가로 상기 니들에 접촉한 유체를 내부로 흡입한다.
상기 챔버내 유체가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홈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챔버는, 상기 가압부재를 통해 가해진 압력으로 상기 탄성부재가 이완됨으로써 발생되는 부피 감소로 내부에 충전된 유체를 토출한다.
상기 본체는 높이방향이 너비방향보다 짧다.
상기 니들을 덮으며,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니들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홈은 복수이고, 상기 탄성부재는 각각의 홈을 덮으며 배치되고, 상기 니들은 상기 탄성부재와 각각의 홈을 통해 형성되는 각각의 챔버로부터 각각 연통되어 돌출된다.
상기 베이스는 가변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홈이 형성된 일면과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의 일부가 상기 본체와 분리되더라도,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유체 주입 장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 주입 장치를 이용해 유체를 주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에 삽입되어 있던 가압부재를 삽입 해제하여 상기 유체를 챔버로 충전시키는 단계,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유체 주입을 원하는 위치에 접촉시키는 단계, 삽입 해제된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홈으로 가압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챔버에 충전된 유체를 토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주입 장치는, 상기 니들을 덮으며,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니들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체를 상기 챔버로 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니들 보호 커버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니들 보호 커버에 유체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니들을 저장된 유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은 피부를 통해 치료 또는 미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유체를 체내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은 유체 주입 시 통증이 없는 유체 주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은 홈을 덮으며 결합되는 탄성부재의 수축 및 이완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밀폐된 챔버 내부의 압력 및 부피를 변화시킴으로써, 본체의 높이가 낮더라도, 외부의 유체를 니들을 통해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은 니들이 탄성부재와 홈을 통해 형성되는 복수의 챔버로부터 연통되도록 돌출되어, 다수에 장소에 일정한 양의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은 구조가 단순하고, 조작이 간단한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의 동작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유체 주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유체 주입 장치의 선 Y-Y'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10)는 체내에 유체(20)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10)는 매우 미세한 니들(130)을 포함하며, 니들(130)을 통해 피부 등에 유체(20)를 주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130)이 돌출된 유체 주입 장치(10)를 피부에 부착하여, 유체(20)를 체내로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체(20)를 체내에 전달한다고 할 때에는 유체(20)가 표피층을 통과하여 진피층, 피하지방층, 근육층에 전달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혈관에 유체(20)가 전달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10)는 유체(20)의 주입이 용이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 목표의 환경에 맞춰 가변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체 주입 장치(10)는 얇은 판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주입 장치(10)의 본체(100) 높이는 2mm정도로 형성될 수 있어 쉽게 가변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유체 주입 장치(10)는 패치 형태일 수도 있으며, 굴곡진 곳에서도 사용이 용이하도록 얇고, 접촉 표면에 대응되어 가변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높이가 2mm이상인 경우 또는 이하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20)는 피부 등 유체(20) 주입을 원하는 장소에서 토출되어 체내로 주입되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20)는 액상 또는 젤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20)는 흐르는 성질이 있으며 형상이 정해지지 않은 치료 목적의 의료용 약물 또는 피부 미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영양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용 약물은 해열진통 소염제,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혈관확장제, 혈압강하제, 국소마취제, 호르몬제, 수면진통제, 이뇨제, 혈관수축제, 호흡촉진제 등일 수 있다. 영양물질은 미백 성분, 주름방지 성분, 다이어트 성분, 항균 성분, 비타민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1을 참조하여, 유체 주입 장치(10)를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10)는 본체(100), 탄성부재(200), 베이스(300), 니들 보호 커버(40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유체 주입 장치(10)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유체(20)를 저장할 수 있고, 유체(20)를 흡입하거나 토출시키기 위해 홈(110), 챔버(120), 니들(130)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유체(20)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가변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피부 등 유체(20) 주입을 원하는 장소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얇은 판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0)는 패치 형태일 수도 있으며, 굴곡진 곳에서도 사용이 용이하도록 얇고, 접촉 표면에 대응되어 형태가 변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가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물질, 필름, 점착패치, 비닐계열, 실리콘, 섬유시트, 나노 섬유 및 종이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앞서 언급되지 않은 소재로 본체(100)가 형성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0)가 피부 및 유체(20) 주입을 원하는 장소에 부착되는 경우, 부착되는 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인 높이가 수평방향인 너비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가 2mm이고, 너비는 8mm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높이가 너비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부착 면적은 너비가 높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경우보다 높이가 너비보다 짧게 형성될 때 넓게 형성되므로 피부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체(100)의 높이 및 너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방법을 활용하여 유체(20) 주입을 하는 경우,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높이가 너비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110)은 본체(100)에 형성되며, 가압부재(310)가 홈(110)에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본체(100) 상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110)은 가압부재(310)가 홈(110)에 삽입되거나 이탈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110)의 너비가 6mm인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가압부재(310)의 너비는 6mm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부재(310)가 홈(110)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310)의 크기가 홈(110)의 크기보다 크더라도, 가압부재(310)가 연성 소재여서 홈(110)에 삽입이 가능한 경우라면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110)에는 가압부재(310)의 외주변을 따라 형성된 돌기(311)가 걸림되는 걸림턱(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턱(111)은 가압부재(310)가 홈(110)에 삽입되거나 이탈할 때 가압부재(310)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턱(111)은 챔버(120)의 내주변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가압부재(310)가 홈(110)에 삽입되거나 이탈하는 경우, 가압부재(310)의 외주변에 형성된 돌기(311)가 걸림턱(111)에 순차적으로 걸림되어 가압부재(310)가 급격하게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유체(20)의 이동이 원할하지 않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턱(111)은 가압부재(310)의 돌기(311)와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310)의 외주변을 따라 형성된 돌기(311)의 돌출 부분의 단면이 삼각형일 경우, 걸림턱(111)도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311)가 끝이 둥근 봉 형태일 경우, 걸림턱(111)의 형태도 끝이 둥근 봉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걸림턱(111)과 돌기(311)가 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턱(111)과 돌기(311)은 유체(20)의 이동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걸림턱(111)과 돌기(311)의 돌출 부분의 단면이 삼각형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챔버(120)는 유체(20)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다. 챔버(120)에는 니들(130)을 통해 유체(20)가 이동되어 충전되거나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챔버(120)는 홈(110)과 아래에서 설명할 탄성부재(200)를 통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챔버(120)에는 가압부재(310)가 홈(110)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돌출된 가압부재(310)가 챔버(120) 안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310)가 삽입된 정도에 따라 챔버(120)의 부피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310)가 챔버(120)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을 때와 일부가 삽입되어 있을 때, 저장 가능한 유체(20)의 용량은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챔버(120)는 본체(100)에 형성된 홈(110)의 크기에 따라 저장 가능한 유체(20)의 용량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챔버(120)의 부피는 본체(100)의 높이와 홈(110)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에 형성된 홈(110)의 너비가 6mm이고 본체(100)의 높이가 2mm일 때 형성된 챔버(120)에는 0.05ml의 유체(20)가 저장될 수도 있다. 그러나, 챔버(120)의 부피 및 챔버(120)가 저장할 수 있는 유체(20)의 용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체(20)의 종류 및 사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챔버(120)는 챔버(120)내에 저장된 유체(20)가 유출되지 않도록 아래에서 설명할 탄성부재(200)를 통해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들(130)은 유체(20)를 흡입하거나 토출할 수 있는 바늘로, 니들(130)의 중앙에 형성되는 유체 이동로(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들(130)은 홈(110)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들(130)은 미세한 바늘로 형성되며, 챔버(120)과 연통되어 유체 이동로(131)를 통해 유체(20)를 외부로부터 흡입할 수 있다. 이때, 흡입된 유체(20)는 챔버(120)에 저장된다. 또한, 니들(130)은 챔버(120)내에 저장된 유체(20)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도 있다. 즉, 니들(130)은 본체(100) 일면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챔버(120)내에 저장된 유체(20)를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일면을 유체(20) 주입을 원하는 장소에 부착함으로써, 니들(130)을 통한 유체(20) 주입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들(130)은 본체(100)가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니들(130)은 피부를 뚫고 들어가 유체(20)가 진피층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피부에 미세한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니들(130)은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약 1~2mm의 길이 내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니들(130)의 길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표피층 및 진피층을 통과하여 피하지방층, 근육층에도 유체(20)가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들(130)은 사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20)를 진피층에 주입하고자 하는 경우, 니들(130)의 두께는 34~26게이지(gauge)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체(20)를 진피층을 통과하여 피하지방층, 근육층에 주입하고자 하는 경우, 니들(130)의 두께는 26게이지(gauge)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동로(131)는 니들(130)의 중심을 관통하며 형성된 중공으로 유체(20)가 유체 이동로(131)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유체 이동로(131)는 챔버(120)와 연통되어 챔버(120)에 수용된 유체(20)가 유체 이동로(131)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200)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얇은 막으로 액체에 대한 비투과성을 가지고, 박막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탄성력을 가지고, 액체에 대한 비투과성을 가진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200)는 홈(110)이 형성된 본체(100)의 상단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00)는 홈(110)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은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00)가 본체(100)의 상단면이 접착되어 홈(110)을 덮음으로써 유체(20)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인 챔버(1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홈(110)은 탄성부재(200)를 통해 밀폐될 수 있다. 이때, 홈(110)과 탄성부재(200)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인 챔버(120)에 저장된 유체(20)는 니들(130)을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고, 탄성부재(200)에 압력이 가해져서 챔버(120)의 부피가 변화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저장된 유체(20)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200)는 가압부재(310)가 홈(110)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경우, 탄성부재(200)가 가압부재(310)에 밀착되어, 가압부재(310)가 압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이완될 수 있다. 반대로, 홈(110)에 삽입되어 있던 가압부재(310)가 이탈하는 경우, 탄성부재(200)는 수축되며 원래의 편평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310)를 통해 탄성부재(200)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탄성부재(200)가 수축되거나 이완될 수 있다. 이때, 챔버(120)의 부피가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300)는 본체(100)의 상단면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00)는 본체(100)와 결합하는 경우, 홈(110)으로 삽입되어, 챔버(120)의 부피를 변화시키는 가압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300)는 본체(100)의 형태와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가변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얇은 판 형태의 지지부가 형성되며,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부재(310)가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00)는 가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물질, 필름, 점착패치, 비닐계열, 실리콘, 섬유시트, 나노 섬유 및 종이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300)는 가압부재(310)가 홈(110)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인 높이가 수평방향인 너비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상단면과 탈착이 용이하도록 본체(100)의 상단면과 동일한 면적을 갖거나,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높이가 1mm이고, 너비는 8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300)의 높이 및 너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되거나, 높이가 너비보다 길게 형성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앞서 언급하였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310)는 본체(10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310)는 본체(100)에 형성된 홈(110)을 덮으며 결합된 탄성부재(20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챔버(120)의 부피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310)는 베이스(300)의 하단면에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본체(100)의 홈(110)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홈(110)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가압부재(310)는 홈(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310)는 본체(100)에 형성된 홈(110)의 너비와 챔버(120)의 높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310)는 챔버(120)에 안착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120)가 원형으로 형성된 홈(110)을 따라 오목하게 파인 형태인 경우, 가압부재(310)는 챔버(12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310)의 끝부분은 챔버(120)의 오목한 부분에 대응되도록 둥근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가압부재(31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챔버(120)에 안착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310)는 베이스(300)가 본체(100)와 결합하는 경우, 탄성부재(20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 경우, 가압부재(310)를 통해 탄성부재(200)에 가해진 압력으로 탄성부재(200)가 이완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310)가 이완된 탄성부재(200)와 밀착되면서 홈(110)을 통해 삽입되어 챔버(120)에 안착될 수 있다. 반대로, 베이스(300)가 본체(100)가 결합된 상태, 즉, 가압부재(310)가 챔버(120)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베이스(300)를 본체(100)에서 분리하는 경우, 가압부재(310)는 홈(110)에서 이탈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00)는 수축될 수 있고, 원래의 편평한 형태로 복원될 수도 있다.
한편, 탄성부재(200)가 이완 또는 수축되면서 변화하는 챔버(120)의 부피에 따라 챔버(120)에 저장 가능한 유체(20)의 용량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120)에 유체(20)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압부재(310)가 홈(110)으로 삽입되면, 가압부재(310)를 통해 탄성부재(200)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탄성부재(200)가 이완될 수 있다. 이때, 챔버(120)의 부피가 감소하면서, 저장된 유체(20)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반면, 챔버(120)에 유체(20)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니들(130)에 유체(20)를 접촉시킨 후, 홈(110)에 삽입되어 있던 가압부재(310)가 이탈하면, 탄성부재(200)가 수축되어 편평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챔버(120)의 부피가 증가하면서, 니들(130)에 접촉된 유체(20)가 챔버(120)로 흡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310)를 통해 가해진 압력에 따라 탄성부재(200)가 수축되거나 이완됨으로써 챔버(120)의 부피 변화가 발생되고, 이를 통해 유체(20)가 외부에서 챔버(120)로 흡입될 수 있다. 또는, 챔버(120)에 충전된 유체(20)를 토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310)에는 베이스(300)로부터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된 몸통의 외주변에 형성된 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311)는 가압부재(310)가 홈(110)에 급격하게 삽입되거나, 홈(110)에서 급격하게 이탈하는 경우, 유체(20)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310)의 외주변을 따라 형성된 돌기(311)가 걸림턱(111)에 걸림됨으로써, 가압부재(310)가 급격하게 움직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311)는 걸림턱(111)과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 돌기(311)는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기(311)의 형태는 걸림턱(111)과 맞물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310)가 홈(110)으로부터 이탈하거나 홈(110)에 삽입되는 경우에 돌기(311)가 걸림턱(111)에 순차적으로 맞물리면서 걸림되어 급격하게 이탈하거나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310)가 홈(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턱(111)과 맞물려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탄성부재(200)의 복원력에 의해서 가압부재(310)가 홈(1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돌기(311)가 걸림턱(111)에 순차적으로 걸림되어 급격하게 이탈하거나 삽입되지 않음으로써, 유체(20)의 이동이 조절되고, 걸림턱(111) 및 가압부재(310)의 높이가 통상의 주사 장치에 비해 낮음에도 불구하고, 걸림턱(111) 및 돌기(311)를 통해 유체(20)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들 보호 커버(400)는 유체(20)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4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들 보호 커버(400)는 유체 주입 장치(10)를 사용하기 전 니들의 손상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 보호 커버(400)에는 저장공간(410)이 형성되어 니들 보호 커버(400)와 본체(100)가 결합되는 경우, 니들(130)이 저장공간(410)에 수용되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저장공간(410)은 니들 보호 커버(400) 일면에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20)를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들 보호 커버(400)는 본체(100)의 하단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저장공간(410)에 유체(20)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니들(130)은 유체(2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챔버(120)의 부피가 변화하게 되면, 니들(130)에 형성된 유체 이동로(131)를 통해 유체(20)가 챔버(120)로 이동할 수도 있다. 즉, 저장공간(410)에서 챔버(120)로 유체(20)가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공간(410)은 니들(130)의 돌출된 부분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로 파인 형태의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저장공간(410)은 유체(20)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본체(100)가 니들 보호 커버(400)과 결합하는 경우, 니들(130)이 저장된 유체(20)에 접촉되며 챔버(120)로 유체(20)를 충전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공간(410)은 니들 보호 커버(400)의 상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공간(410)은 니들(130)의 돌출된 부분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로 파인 형태의 공간일 수 있다. 따라서, 니들(130)이 저장공간(410)에 수용되더라도, 손상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공간(410)의 높이와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니들(130)이 손상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는 정도라면 다양한 높이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들 보호 커버(400)는 니들(130)을 덮으며, 본체(100)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 보호 커버(400) 및 본체(10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 점착성 물질이 도포된 점착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결합홈이 형성되거나, 걸림쇠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고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니들 보호 커버(400) 및 본체(100)의 결합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구조라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들 보호 커버(400)는 챔버(120)에 저장된 유체(20)를 피부를 통해 주입하기 위해 본체(100)와 분리될 수 있다. 즉, 니들 보호 커버(400)를 분리한 후 니들(130)이 돌출된 본체(100)의 일면을 피부에 부착하고, 피부를 통해 유체(20)를 주입할 수 있다. 유체(20)의 주입 방법은 아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유체 주입 장치(10)의 구성에 의한 동작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의 동작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10)는 본체(100)에 형성된 홈(110)과 탄성부재(200)를 통해 형성된 챔버(120)에 유체(20)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보호 커버(400)를 본체(100) 하단면으로부터 분리한 후 니들 보호 커버(400)의 저장공간(410)에 챔버(120)로 충전하고자 하는 유체(20)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와 베이스(300)는 결합된 상태이며, 본체(100)에 형성된 홈(110)에 베이스(300)에 형성된 가압부재(310)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200)는 가압부재(310)을 통해 이완됨과 동시에 가압부재(310)에 밀착될 수 있으며, 본체(100)와 베이스(300)의 결합 시 생성되는 결합면을 따라 탄성부재(200)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챔버(120)의 내부는 가압부재(310)에 의해 압력이 증가하고, 부피는 감소될 수 있다.
이후, 도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130)을 니들 보호 커버(400)에 저장된 유체(2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 때, 본체(100)와 니들 보호 커버(400)는 결합되거나, 니들(130)이 유체(20)와 접촉할 수 있도록 가까운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00)와 베이스(300)는 결합된 상태이며, 본체(100)에 형성된 홈(110)에 베이스(300)에 형성된 가압부재(310)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200)는 챔버(120)와 가압부재(310) 사이에서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어 챔버(120)의 부피는 변화하지 않으며, 니들 보호 커버(400)가 본체(100)와 결합된 상태로 유체(20)는 챔버(120)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후, 도2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0)를 본체(100)의 상단 방향으로 분리함으로써, 유체(20)를 챔버(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의 홈(110)에 삽입되어 있던 가압부재(310)가 홈(110)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이완된 탄성부재(200)가 수축되어 원래의 편평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챔버(120)의 내부는 부피가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때, 니들 보호 커버(400)의 저장공간(410)에 저장되어 있던 유체(20)는 챔버(120)의 부피 변화에 의해 니들(130)에 형성된 유체 이동로(131)를 따라서 유체(20)가 흡입되어 챔버(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도 2의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니들 보호 커버(400)를 다시 분리하고, 베이스(300)를 다시 본체(100)와 결합함으로써, 유체(20)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챔버(120)에 저장된 유체(20)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해 본체(100)와 베이스(300)를 다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310)가 홈(110)에 삽입될 수 있고, 탄성부재(200)는 가압부재(310)를 통해 이완될 수 있다. 이때, 챔버(120)의 내부 압력은 증가하고, 부피가 감소되면서 챔버(120)에 저장되어 있던 유체(20)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에서 니들(130)이 형성된 본체(100)의 일면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고 베이스(300)를 본체(100)에 결합하는 경우, 챔버(120)에 저장되어 있던 유체(20)가 체내로 주입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유체 주입 장치(10)의 다른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유체 주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유체 주입 장치의 선 Y-Y'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10)는 도 1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10)와 비교하여, 복수의 홈(110)이 형성되고 복수의 가압부재(310)가 형성되며, 복수의 홈(110)과 연통되는 복수의 니들(130)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부분에 유체(20) 주입이 가능하도록 니들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10)와 동일하다.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10)는 본체(100), 베이스(300), 탄성부재(200), 니들 보호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10)는 피부에 부착 가능한 패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패치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패치, 오각형 패치, 육각형 패치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0), 탄성부재(200), 베이스(300), 니들 보호 커버(400)는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고, 높이가 각각 다르지만, 단면적은 상호 결합하거나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동일하거나 근사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에는 복수의 홈(110)이 형성되고, 복수의 니들(130)을 포함하는 니들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니들 어레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홈(110)이 형성되고, 유체(20)가 충전되는 복수의 챔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가변이 가능하고 형상이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부드럽고 말랑말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굴곡지고 불규칙한 장소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의 소재는 하이드로겔(hydrogel),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착이 용이하고 가변이 가능한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피부에 부착되는 본체(100) 일면에 점착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니들 어레이는 각각의 니들(130)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니들 어레이는 주입하고자 하는 유체(20)의 양과 부착되는 장소의 면적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어레이는 각각의 니들(130)이 동일한 간격으로 규칙적인 배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니들 어레이는 다양한 배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00)는 본체(100)의 상단면에 접착되어 결합되며, 복수의 홈(110)이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은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복수의 홈(110) 및 탄성부재(200)를 통해 유체(20)가 저장되는 복수의 챔버(120)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00)는 복수의 홈(110)을 덮을 수 있도록 본체(100)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근사치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본체(100)에 형성된 복수의 홈(1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가압부재(310)가 복수의 홈(110)에 각각 삽입되어 탄성부재(200)가 각각의 홈(110)에 대응되는 부분만 부분적으로 이완 또는 수축될 수 있다.
베이스(300)는 니들 어레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압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압부재(310)는 본체(100)에 형성된 복수의 홈(110)에 각각 대응되어 삽입되거나, 이탈하여 각각의 챔버(12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고, 압력 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화되어, 유체(20)가 이동될 수 있다.
베이스(300)는 피부에 부착된 본체(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가변이 가능하고 변형이 용이한 부드럽고 말랑말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0)의 소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성질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니들 보호 커버(400)는 니들 어레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저장공간(410)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 보호 커버(400)에 유체(20)가 저장된 상태로 본체(100)의 하단면과 결합되는 경우, 니들 어레이에 유체(20)가 접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니들 보호 커버(400)에 형성된 각각의 저장공간(410)에 저장된 유체(20)는 니들 어레이와 접촉된 상태에서 본체(100)와 결합된 베이스(300)가 분리되는 경우, 니들 어레이에 형성된 각각의 유체 이동로(131)를 통해 챔버(120)로 충전될 수 있다.
본체(100)는 피부 등 부착되는 장소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니들 보호 커버(400)도 본체(100)에 형태와 대응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호 굴곡진 상태로 결합된다고 하더라도 저장공간(410)에 저장된 유체(20)를 용이하게 챔버(20)로 충전시킬 수 있다. 즉, 본체(100) 하단면과 니들 보호 커버(400)가 결합되는 경우, 니들 보호 커버(400)의 결합면에 대응되어 밀착되면서 결합되므로, 유체(20)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챔버(120)로 유체(20)를 흘림없이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베이스(300)가 본체(100)의 일면과 결합되는 경우, 베이스(300)도 본체(100)를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300)와 결합된 본체(100)가 니들 보호 커버(4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유체(20)를 각각의 챔버(120)로 충전시키기 위해 베이스(300)의 일부를 분리하는 경우, 베이스(300)는 가변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300)의 일부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다른 일부는 본체(100)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0)와 완전히 분리된 베이스(300)의 일부에 포함되어 있는 가압부재(310)들은 각각의 홈(110)에서 완전히 이탈되면서, 유체(20)가 챔버(120)로 충전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와 분리되지 않은 다른 일부에 포함되어 있는 가압부재(310)들은 각각의 홈(110)에서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유체(20)가 챔버(120)로 충전되지 않고, 분리되는 시점에 따라 순차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즉, 베이스(300)가 가변됨에 따라, 모든 가압부재(310)들이 홈(110)에서 동시에 급격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체(20)가 원활하게 충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체(20)를 충전하기 위한 동일한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할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체(20)가 충전된 본체(100)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여 유체(20)를 주입하고자 할 경우, 니들 어레이가 본체(100)의 가변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어 유체(20)의 일부가 사용자에게 주입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주입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체 주입 장치(10)는 니들 보호 커버(400)가 분리되고, 본체(100)에 형성된 각각의 챔버(120)에 유체(20)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 니들 어레이가 돌출되어 있는 일면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다.
본체(100)의 일면을 유체(20) 주입을 윈하는 위치에 부착시키고, 베이스(300)를 본체(100)와 다시 결합하여, 유체(20)를 사용자에게 주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에 부착된 본체(100)와 복수의 가압부재(310)가 돌출되어 있는 베이스(300)를 상호 대응되도록 결합함으로써, 가압부재(310)를 통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 챔버(120)의 부피가 감소할 수 있다. 즉, 편평한 상태의 탄성부재(200)가 이완되어, 챔버(120) 내부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유체(20)는 유체 이동로(131)을 통해 이동하여 체내로 주입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일면은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으로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편평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니들 어레이가 너무 광범위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니들 어레이의 범위가 너무 협소한 경우, 동일한 주입 방법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주입하고자 하는 유체의 용량과 용도 등을 고려하여 사용의 간편성을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 즉, 전신 모든 부분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피부 미용과 관련된 시술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피층에 주입되는 보톡스 시술의 경우 미간, 눈가 등 주름이 있는 부분에 소량의 보톡스 물질을 일정한 양을 유지하면서 광범위하게 주입할 필요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언급한 조건들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탄성부재(200)의 수축 및 이완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밀폐된 챔버(120) 내부의 압력 및 부피를 변화시킴으로써, 본체(100)의 높이가 낮더라도, 외부의 유체(20)를 원활하게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니들어레이를 통해 다수에 장소에 일정한 양의 유체(20)를 주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피부를 통해 치료 또는 미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유체(20)를 체내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고, 유체(20) 주입 시 통증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의료용 약물이나 영양물질을 피부를 통해 통증이 없이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고, 조작이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유체 주입 장치 20: 유체
100: 본체 110: 홈
111: 걸림턱 120: 챔버
130: 니들 131: 유체 이동로
200: 탄성부재 300: 베이스
310: 가압부재 311: 돌기
400: 니들 보호 커버 410: 저장공간

Claims (10)

  1. 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면에 위치한 베이스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 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압부재;
    상기 홈을 덮으며 배치되어, 유체가 충전되는 공간인 챔버를 형성하는 박막 형태의 탄성부재; 및
    상기 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어 상기 챔버의 부피를 변화시키며,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가압부재에 밀착된 상태로
    이완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홈에서 이탈하는 경우, 상기 가압부재를 따라 수축되
    면서 편평한 상태로 복원되는, 유체 주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는,
    접촉하는 본체와 결합하는, 유체 주입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판 형태의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돌출 방향의 단부는 상기 홈에 밀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홈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인, 유체 주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변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홈에서 이탈하는 경우,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변을 따라 형성된 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순차적으로 걸림되는, 유체 주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홈을 덮으며 형성되는 공간인, 유체 주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저장이 가능한 저장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면과 결합시, 상기 니들을 덮으며 결합하는, 니들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는, 유체 주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보호 커버는,
    상기 본체의 일면과 결합시,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니들을 상기 저장공간에 수용하며,
    상기 니들은,
    상기 니들 보호 커버가 상기 저장공간에 상기 유체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결합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홈에서 상기 가압부재의 이탈시 상기 탄성부재의 수축으로 발생되는 압력 변화를 통해 상기 유체를 상기 챔버로 충전시키는, 유체 주입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보호 커버는,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유체 주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액체 비투과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유체 주입 장치.
KR1020200023639A 2019-09-16 2020-02-26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393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639A KR102393769B1 (ko) 2019-09-16 2020-02-26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558A KR102119008B1 (ko) 2019-09-16 2019-09-16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
KR1020200023639A KR102393769B1 (ko) 2019-09-16 2020-02-26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558A Division KR102119008B1 (ko) 2019-09-16 2019-09-16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264A KR20210032264A (ko) 2021-03-24
KR102393769B1 true KR102393769B1 (ko) 2022-05-02

Family

ID=8159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639A Active KR102393769B1 (ko) 2019-09-16 2020-02-26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940B1 (ko) * 2022-01-13 2023-11-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의 저장과 배출 기능을 가진 피하주사용 챔버 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5055A (ja) * 2015-11-27 2018-11-29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キャップをもつ薬物送達デバイス
KR102007125B1 (ko) * 2018-07-30 2019-08-02 이민우 다수의 소형 주사기 또는 주사부를 갖는 주사용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002A (ja) 1993-12-14 1994-03-22 Hisamitsu Pharmaceut Co Inc 経皮投与用パッチシステム
KR102006937B1 (ko) * 2017-09-29 2019-08-02 이승준 주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5055A (ja) * 2015-11-27 2018-11-29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キャップをもつ薬物送達デバイス
KR102007125B1 (ko) * 2018-07-30 2019-08-02 이민우 다수의 소형 주사기 또는 주사부를 갖는 주사용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264A (ko)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6740B2 (en) Applicators for microneedles
US20220273928A1 (en) Microneedle system for administering liquid formulations
ES2650188T3 (es) Dispositivo y kit de aplicación de parches
JP4815095B2 (ja) 物質を経皮的に投与する投与器具
US7166086B2 (en) Substance delivery via a rotating microabrading surface
US8696619B2 (en) Drug delivery devices
ES2683845T3 (es) Dispositivo de infusión a modo de parche con miembro de protección
JP5553612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用アプリケータ
RU2674083C2 (ru) Аппликаторы с микровыступами
US80074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fluid into flexible biological barrier
ES2984486T3 (es) Dispositivo de inyección
US20050027242A1 (en) Intradermal delivery device
US20100030148A1 (en) Intradermal Delivery Device With Crenellated Skin Engaging Surface Geometry
US200502458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radermally delivering a substance
KR20120102594A (ko) 유체 전달 장치
KR20150126413A (ko) 카운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JP2004538042A (ja) 移植可能で補充可能な、ポートを有する放出制御薬剤送達装置
BRPI0407086B1 (pt) Dispositivo de liberação de medicação
JP2012100783A (ja) 薬液供給装置
BRPI0620062A2 (pt) Dispositivo de retenção da pele para uma unidade de injeção a jato médica
KR20170097158A (ko) 일회용 주입 시스템
US20200197603A1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KR102393769B1 (ko)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
US20110276004A1 (en) Microneedle cap system enabling adjustment of outflow rate of active substance
KR102119008B1 (ko) 유체 주입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2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9091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9011355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