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3217B1 -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217B1
KR102393217B1 KR1020200081722A KR20200081722A KR102393217B1 KR 102393217 B1 KR102393217 B1 KR 102393217B1 KR 1020200081722 A KR1020200081722 A KR 1020200081722A KR 20200081722 A KR20200081722 A KR 20200081722A KR 102393217 B1 KR102393217 B1 KR 102393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ye
polar
lenses
dye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900A (ko
Inventor
박성찬
김애림
권상현
홍상현
이춘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217B1/ko
Priority to US17/163,915 priority patent/US20220001418A1/en
Priority to TW110104213A priority patent/TW202202692A/zh
Priority to CN202110671233.4A priority patent/CN113882168A/zh
Publication of KR2022000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2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34Material containing ester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1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79Polyolefins
    • D06P3/794Polyolefins using dispersed dy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03Producing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29D11/00894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colouring or tinting
    • B29D11/00903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colouring or tinting on the surfa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16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dispersed, e.g. acetate, dyestuffs
    • D06P1/20Anthraquinone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79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06P5/2066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 D06P5/2077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after dye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yeglasse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염색방법은 렌즈를 비극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렌즈의 염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Method of dyeing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ens assembly}
본 발명은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 등에 포함되는 렌즈 조립체는 형광등 불빛이나 어두운 암실에서 일정한 각도로 강한 빛을 입사시키면 특정한 각도의 빛이 렌즈의 리브면에서 내면 반사를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빛은 결상과는 관련이 없는 빛으로 화면에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렌즈의 리브면에서의 불필요한 빛의 입사를 차단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염료의 착색이 우수한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목적은, 저온에서 단 시간 동안 염료의 착색이 가능한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염색방법은 렌즈의 염색방법은 렌즈를 비극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렌즈 각각을 비극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여 차단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렌즈를 적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염료의 착색이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저온에서 단 시간 동안 염료의 착색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염색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염색된 렌즈의 빛의 파장에 대한 광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발명의 실시 형태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형태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염색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염색방법은 렌즈를 비극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Dipp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렌즈의 표면으로 염색 용액이 침투하여 렌즈의 표면이 염색됨으로써 렌즈의 표면에 광 투과를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렌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카메라 모듈 등의 광학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렌즈를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렌즈는 수지 성분을 원료로 포함하는 플라스틱 수지 렌즈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수지 렌즈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폴리올레핀(Polyolefin) 수지 중 적어도 1종의 원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 A 및 포스젠의 연쇄 구조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플라스틱 중합체일 수 있으며, 예컨대 일본의 미쓰비시 가스케미칼(MGC) 사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굴절률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약 1.63 내지 1.68 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ycloolefin Polymer) 및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ycloolefin Copolymer)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Mitsui Chemicals 사, Zeon 사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노보넨(Norbornene) 등의 고리형 단량체가 중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굴절률은 특별히 제한되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약 1.52 내지 1.56 일 수 있다.
한편, 염색 용액은 비극성 염료를 포함한다. 또한, 비극성 염료를 용해시키는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극성 염료의 종류를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유색이나 암색의 비극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한되지 않는 예로, 비극성 염료로 비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 비극성 벤조퀴논계 염료, 비극성 페릴렌계 염료, 비극성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비극성 퀴나크리돈계 안료, 비극성 아조계 염료, 비극성 디페닐메탄계 염료 중 적어도 하나의 비극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극성 염료로는 1종의 비극성 염료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2종 이상의 비극성 염료를 조합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비극성 염료는 극성이 작거나 극성을 띠지 않는 염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비극성 염료는 소수성일 수 있다. 따라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원료로 포함하는 플라스틱 수지 렌즈에 대하여 착색이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비극성 염료는 작용기로 알킬(alkyl)기, 페닐(phenyl)기 등의 비극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비극성 염료는 비극성 작용기만을 포함하고 극성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다만, 비극성 염료는 아민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케톤기, 알데하이드기 등의 극성 작용기를 일부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비극성의 성질을 갖기 위한 측면에서 비극성 염료에 포함된 극성 작용기는 3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비극성 염료는 비극성 작용기를 포함하며, 3개 이하의 아민기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비극성 염료는 용매에 용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용매는 비극성 염료를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용매는 톨루엔, 벤젠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비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클로로포름 등 극성을 띠나 소수성인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용매에 대한 비극성 염료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0.1 이상 5 이하 중량 %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용매에 대해 3 중량 % 의 비극성 염료를 사용하였다.
렌즈가 침지되는 온도 조건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렌즈는 염색 용액에 60 ℃ 이하의 온도 조건에서 침지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약 50 ℃ 내지 55 ℃ 이하의 조건에서 침지시켰다. 일반적으로 물 등의 분산매를 에 용매를 분산시킨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렌즈를 염색하는 경우 고온의 온도 조건이 요구된다. 그러나, 용매에 비극성 염료를 용해시킨 용해 염료로 렌즈를 염색하는 본 발명에서는 60 ℃ 이하의 온도에서도 렌즈의 염색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렌즈가 침지되는 시간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렌즈는 염색 용액에 30초 이하의 시간 동안 침지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25초의 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렌즈를 염색하는 경우 착색을 위해서는 수 분 내지 수 십 분 간 염색이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용해 염료로 렌즈를 염색하는 본 발명에서는 30초 이하의 단 시간 내에도 렌즈의 염색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제조 방법은 상기 렌즈를 비극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렌즈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의 건조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60 ℃ 이상 80 ℃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렌즈의 건조 시간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약 30분 간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빛을 차단하거나 빛의 경로를 제어하기 위하여, 물 등의 분산매에 염료를 분산시켜 렌즈를 염색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렌즈의 재료에 따라서 분산 염료로는 염색이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여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폴리올레핀 수지를 원료로 포함하는 렌즈는 소수성일 수 있으며, 이러한 소수성 렌즈에 염료가 분산매에 분산된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하는 경우, 고온에서 장시간 동안 염색을 수행해야 할 뿐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렌즈에 염료의 착색이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분산 염료의 경우 착색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염색 용액에 트리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등의 캐리어를 첨가시키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비극성 염료를 사용함으로써 분산제에 염료를 분산시키는 것이 아니라, 용매에 염료를 용해시킨 용해 염료를 사용하여 렌즈의 염색이 가능하다. 따라서 저온에서 단 시간 동안 염색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염료의 착색이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염색된 영역에서 렌즈의 광 투과율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 역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극성 염료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해 염료를 사용하므로, 염색 용액이 캐리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착색이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후술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수지 렌즈 및 비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를 벤젠에 용해시킨 염색 용액을 준비하고, 염색 용액에 렌즈를 침지시켰다. 비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로는 알킬기, 페닐기 및 2개의 아민기를 포함하는 안트라퀴논계 염료를 사용하였다. 이 때, 벤젠에 대한 안트라퀴논계 염료의 함유량은 3 중량 %였다. 또한, 침지는 55℃ 온도 조건에서 25초의 시간 동안 수행되었다. 다음으로, 렌즈를 60 ℃의 온도 조건에서 30분의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후 실시예 1에 따른 렌즈의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190nm 내지 660nm 범위의 파장에서 실시예 1에 따른 렌즈의 광 투과율은 0 %에 근접하며, 이를 통해 매우 우수한 광 차단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 염료를 용해시키는 용매로 벤젠이 아닌 톨루엔을 사용하였다. 또한, 건조는 80 ℃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그 외 다른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190nm 내지 660nm 범위의 파장에서 실시예 2에 따른 렌즈의 광 투과율 역시 0 %에 근접하며, 이를 통해 매우 우수한 광 차단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렌즈 및 비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를 벤젠에 용해시킨 염색 용액을 준비하고, 염색 용액에 렌즈를 침지시켰다. 비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로는 알킬기, 페닐기 및 2개의 아민기를 포함하는 안트라퀴논계 염료를 사용하였다. 이 때, 벤젠에 대한 안트라퀴논계 염료의 함유량은 3 중량 %였다. 또한, 침지는 55℃ 온도 조건에서 25초의 시간 동안 수행되었다. 다음으로, 렌즈를 60 ℃의 온도 조건에서 30분의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후 실시예 3에 따른 렌즈의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즉, 실시예 3은 렌즈의 종류 외 다른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190nm 내지 660nm 범위의 파장에서 실시예 3에 따른 렌즈의 광 투과율 역시 0 %에 근접하며, 이를 통해 매우 우수한 광 차단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 있어, 염료를 용해시키는 용매로 벤젠이 아닌 톨루엔을 사용하였다. 또한, 건조는 80 ℃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그 외 다른 조건은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190nm 내지 660nm 범위의 파장에서 실시예 4에 따른 렌즈의 광 투과율 역시 0 %에 근접하며, 이를 통해 매우 우수한 광 차단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비록, 400nm 부근의 파장에서 실시예 4에 따른 렌즈의 광 투과율이 약 1%로 측정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낮은 광 투과율 수치에 해당한다.
비교예 1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수지 렌즈를 염색하지 않은 상태로 렌즈의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190nm 내지 660nm 범위의 파장에서 비교예 1에 따른 렌즈의 광 투과율은 동일 재료의 렌즈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의 경우보다 높게 측정되며, 특히 370nm 부근의 파장에서는 약 70 %까지 높게 치솟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렌즈를 염색하지 않은 상태로 렌즈의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190nm 내지 660nm 범위의 파장에서 비교예 2에 따른 렌즈의 광 투과율은 동일 재료의 렌즈를 사용한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4의 경우보다 높게 측정되며, 특히 410 nm 부근의 파장에서는 약 60 %까지 높게 치솟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수지 렌즈 및 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를 벤젠에 용해시킨 염색 용액을 준비하고, 염색 용액에 렌즈를 침지시켰다.
비교예 3의 경우, 렌즈 표면에 염료의 착색이 불가하였으며, 따라서 비교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렌즈 및 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를 벤젠에 용해시킨 염색 용액을 준비하고, 염색 용액에 렌즈를 침지시켰다.
비교예 4의 경우, 렌즈 표면에 염료의 착색이 어려울 뿐 아니라, 일부 착색이 되는 경우라도 착색된 영역에서 렌즈의 표면이 거칠게 변하는 부작용이 있었다.
표 1을 참고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비교하면, 190nm 내지 660nm의 파장 영역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따른 렌즈는 광 투과율이 0 %에 근접하며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대비 광 차단율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염색 방법은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극성 염료를 사용함에 따라 수지 렌즈에 착색이 불가하거나 어려운 비교예 3 및 비교예 4와 달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착색이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렌즈 염료 용매 중량 %
(염료/용매)
침지 조건 (온도 / 시간) 건조 조건 (온도 / 시간) 최대 광 투과율 (%)
(파장 범위: 190nm-660nm)
실시예 1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수지 렌즈 비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 벤젠 3 55℃ / 25초 60 ℃ / 30분 0
실시예 2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수지 렌즈 비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 톨루엔 3 55℃ / 25초 80 ℃ / 30분 0
실시예 3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렌즈 비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 벤젠 3 55℃ / 25초 60 ℃ / 30분 0
실시예 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렌즈 비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 톨루엔 3 55℃ / 25초 80 ℃ / 30분 1
비교예 1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수지 렌즈 - - - - - 70
비교예 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렌즈 - - - - - 60
비교예 3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수지 렌즈 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 벤젠 3 55℃ / 25초 60 ℃ / 30분 -
비교예 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렌즈 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 벤젠 3 55℃ / 25초 60 ℃ / 30분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렌즈 조립체는 차단부(11)를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10) 및 렌즈공(20h)을 갖는 렌즈 배럴(20)을 포함한다.
복수의 렌즈(10)는 광축을 따라 적층되어 렌즈 배럴(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복수의 렌즈(10) 각각은 유효면 및 유효면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리브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š, 복수의 렌즈(10) 각각의 리브면은 인접한 렌즈의 리브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렌즈(10) 각각은 렌즈 배럴(20)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10) 각각의 측면이 렌즈 배럴(2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렌즈(10)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렌즈(10) 각각의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으며,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차단부(11)는 복수의 렌즈(10) 각각의 빛의 입사가 차단되어야 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복수의 렌즈(10) 각각의 리브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2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렌즈(10) 각각의 측면에도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으로는, 차단부(11)가 복수의 렌즈(10) 각각의 리브면 및 측면에 연장되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차단부(11)는 복수의 렌즈(10) 각각의 리브면에만 형성되고 측면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차단부(11)는 복수의 렌즈(10) 각각의 빛의 입사가 차단되어야 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한 영역으로 차단부(11)의 형성 영역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 배럴(20)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렌즈 배럴(20)의 일면에는 광 투과를 위한 렌즈공(20h)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렌즈 조립체의 렌즈(10)에 일정한 각도로 강한 빛을 입사시키면 특정한 각도의 빛이 렌즈(10)의 리브면에서 내면 반사를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빛은 결상과는 관련이 없는 빛으로 화면에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렌즈(10)를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여 염색함으로써, 빛의 입사가 차단되어야 하는 영역에 차단부(11)를 형성하여 불필요한 빛의 입사를 차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10)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염료로는 비극성 염료를 사용함으로써, 염료의 착색이 우수하고 저온에서 단 시간 동안 염료의 착색이 가능한 렌즈(10)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렌즈(10) 각각을 비극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여 차단부(11)를 형성하는 단계 및 복수의 렌즈(10)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복수의 렌즈(10)는 렌즈 배럴(20)의 내부 공간에 적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렌즈 각각의 리브면은 서로 접촉하며, 복수의 렌즈(10) 각각을 비극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여 차단부(11)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차단부(11)는 복수의 렌즈(10) 각각의 리브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렌즈(10) 각각은 렌즈 배럴(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렌즈 배럴(20)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렌즈(10) 각각을 비극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여 차단부(11)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차단부(11)는 복수의 렌즈(10) 각각의 렌즈 배럴(2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부(11)는 렌즈(10)의 인접한 렌즈(10)와 접촉하는 리브면 및 렌즈(10)의 측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10) 각각을 비극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여 차단부(11)를 형성하는 단계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전술한 렌즈의 염색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때, 복수의 렌즈(10) 각각을 비극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여 차단부(11)를 형성하는 단계는 전술한 렌즈의 염색방법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렌즈 각각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비극성 염료를 사용함으로써 분산제에 염료를 분산시키는 것이 아니라, 용매에 염료를 용해시킨 용해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이 가능하다. 따라서 저온에서 단 시간 동안 염색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염료의 착색이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염색된 영역에서 렌즈의 광 투과율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 역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극성 염료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해 염료를 사용하므로, 염색 용액이 캐리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착색이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16)

  1. 렌즈를 비극성 염료 및 상기 비극성 염료를 용해시키는 용매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침지하는 단계는 60 ℃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렌즈의 염색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염료는 비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를 포함하는 렌즈의 염색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료를 포함하는 렌즈의 염색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벤젠, 톨루엔 및 클로로포름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더 포함하는 렌즈의 염색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에 대한 상기 비극성 염료의 함유량은 0.1 이상 5 이하 중량 %인 렌즈의 염색방법.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비극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는 30초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렌즈의 염색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건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렌즈의 염색방법.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는 3개 이하의 아민기를 포함하는 렌즈의 염색방법.
  10. 복수의 렌즈 각각을 60 ℃ 이하의 온도에서 비극성 염료 및 상기 비극성 염료를 용해시키는 용매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여 차단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렌즈를 적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복수의 렌즈 각각을 비극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여 차단부를 형성하는 단계; 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의 리브면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렌즈를 적층하는 단계; 에서 서로 인접한 렌즈 각각의 리브면은 서로 접촉하는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를 적층하는 단계; 에서 상기 복수의 렌즈는 렌즈 배럴의 내부 공간에 적층되어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은 상기 렌즈 배럴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을 비극성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 용액에 침지하여 차단부를 형성하는 단계; 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의 상기 렌즈 배럴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영역에 더 형성되는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염료는 비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료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벤젠, 톨루엔 및 클로로포름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더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안트라퀴논계 염료는 3개 이하의 아민기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0200081722A 2020-07-02 2020-07-02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393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722A KR102393217B1 (ko) 2020-07-02 2020-07-02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US17/163,915 US20220001418A1 (en) 2020-07-02 2021-02-01 Lens dyeing method, and lens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W110104213A TW202202692A (zh) 2020-07-02 2021-02-04 透鏡染色方法以及透鏡組合製造方法
CN202110671233.4A CN113882168A (zh) 2020-07-02 2021-06-17 透镜染色方法和透镜组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722A KR102393217B1 (ko) 2020-07-02 2020-07-02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900A KR20220003900A (ko) 2022-01-11
KR102393217B1 true KR102393217B1 (ko) 2022-05-02

Family

ID=7901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722A Active KR102393217B1 (ko) 2020-07-02 2020-07-02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01418A1 (ko)
KR (1) KR102393217B1 (ko)
CN (1) CN113882168A (ko)
TW (1) TW2022026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963B1 (ko) * 2022-01-11 2023-10-05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KR20230108472A (ko)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고체 전지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4431A (ja) * 2010-02-10 2011-08-25 Menicon Co Ltd 染色眼用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染色眼用レンズ
JP2013134345A (ja) * 2011-12-26 2013-07-08 Jgc Catalysts & Chemicals Ltd 染色光学レンズ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62007T1 (de) * 2002-03-29 2007-06-15 Hoya Corp Verfahren zum färben von thermoplastischen harzen und so hergestellte gefärbte kunststofflinsen
US20060033851A1 (en) * 2004-03-25 2006-02-16 Giuseppe Iori Polarized optical elements enhancing color contrast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8397665B2 (en) * 2009-11-06 2013-03-19 Herbert A. Wertheim Device for imparting gradations of tint density on a plastic ophthalmic lens
US10465038B2 (en) * 2013-12-26 2019-11-05 Daicel Corporation Curable composition for lens, lens and optical device
EP2966484B1 (en) * 2014-07-10 2021-10-20 Carl Zeiss Vision Italia S.p.A. Method of color-dyeing a lens for goggles and glasses
CN105549173A (zh) * 2016-01-28 2016-05-04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光学镜头和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4431A (ja) * 2010-02-10 2011-08-25 Menicon Co Ltd 染色眼用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染色眼用レンズ
JP2013134345A (ja) * 2011-12-26 2013-07-08 Jgc Catalysts & Chemicals Ltd 染色光学レンズ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01418A1 (en) 2022-01-06
KR20220003900A (ko) 2022-01-11
CN113882168A (zh) 2022-01-04
TW202202692A (zh) 202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217B1 (ko) 렌즈의 염색방법 및 렌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US10823984B2 (en) Polarizing lens for spectacles
US5882556A (en) Method of preparing photochromic article
US20210239881A1 (en) Lens assembly constructs and smart device with lens assembly constructs
CN113009599B (zh) 制造小型摄像头用镜头的方法及所制造的摄像头用镜头
KR102789007B1 (ko) 렌즈 및 렌즈의 염색 방법
US6942705B2 (en) Method of dyeing thermoplastic resin article and colored plastic lens obtainable by that method
TWI865852B (zh) 透鏡元件以及組合
KR102584963B1 (ko)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US5443597A (en) Method of tinting polycarbonate-polyester copolymers
US6620863B1 (en) Optical element of light limiting dopant distributed in viscoelastic host material
JPH06250128A (ja) 染色プラスチック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50098731A (ko) 카메라 모듈 렌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렌즈
JP2021124645A (ja) 赤外光カットフィルター、固体撮像素子用フィルター、固体撮像素子、および、赤外光カット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CN111875945A (zh) 一种透光性树脂基材的制法及透光性树脂基材
JPH10288713A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