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294B1 - A welding assistant apparatus for robot arm - Google Patents
A welding assistant apparatus for robot ar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1294B1 KR102391294B1 KR1020210131322A KR20210131322A KR102391294B1 KR 102391294 B1 KR102391294 B1 KR 102391294B1 KR 1020210131322 A KR1020210131322 A KR 1020210131322A KR 20210131322 A KR20210131322 A KR 20210131322A KR 102391294 B1 KR102391294 B1 KR 1023912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lding
- auxiliary device
- welding auxiliary
- base
- guide l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봇암의 이동경로를 단순화시키면서, 정확한 용접토치의 위치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ing auxiliary apparatus for a robot ar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lding auxiliary apparatus for a robot arm capable of setting accurate welding torch position information while simplifying a movement path of the robot arm.
일반적으로, 선박, 크레인 등의 기구물 내지 구조물 등은 용접공정, 가공공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In general, equipment or structures such as ships and cranes are manufactured through various processes such as a welding process and a machining process.
예컨대, 한 척의 대형 선박은 수많은 종류의 판재, 파이프 등의 피용접물을 사용목적, 사용위치 등에 맞게 용접하는 용접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러한 피용접물들에 대해 용접공정을 수행하는데 용접로봇이 이용된다.For example, a large ship is manufactured through a welding process in which a number of types of plates, pipes, and the like to be welded are weld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location of use. A welding robot is used to perform a welding process on these to-be-welded objects.
도 1은 일반적인 용접로봇의 용접토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lding torch of a general welding robot.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용접로봇은 피용접물에 대한 용접공정을 수행하며, 이때, 상기 용접로봇은 와이어 및 가스를 공급하고, 모재 쪽으로 아크를 발생시키는 용접토치(1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 general welding robot performs a welding process on an object to be welded, and at this time, the welding robot includes a
또한, 상기 용접토치(10)는 와이어 및 가스가 통과하는 토치바디(11), 상기 토치바디(11)에 장착되는 팁 바디(12), 상기 팁 바디(12)에 결합되는 용접와이어(13)를 포함하며, 상기 용접와이어(13)는 상기 팁 바디(12)에 체결되는 팁(13a)을 통하여 모재쪽으로 공급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용접로봇은 상기 용접토치(10)가 장착되는 로봇암(1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접로봇은 상기 로봇암(14)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용접토치(10)를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용접로봇은 피용접물에 대한 용접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elding robot further includes a
이때. 용접토치를 정확한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정확한 용접토치의 위치정보가 용접로봇 제어시스템에 등록되어야 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move the welding torch to the correct working position,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elding torch must be registered in the welding robot control system.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직선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로봇암의 이동경로가 단순하나,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곡선 구간 또는 굴곡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로봇암의 이동경로가 복잡하여, 정확한 용접토치의 위치정보를 설정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elding portion of the object to be welded is a straight section,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arm is simple, but when the welding portion of the object to be welded includes a curved section or a bent section, the movement of the robot arm Since the path is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se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elding torch.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곡선 구간 또는 굴곡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로봇암의 이동경로를 단순화시키면서, 정확한 용접토치의 위치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that can set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of a welding torch while simplifying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arm even when the welding part of the object to be welded includes a curved section or a bent sec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로봇암에 체결되는 용접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보조장치는, 커넥팅부; 상기 커넥팅부에 체결되어, 상기 커넥팅부를 기준으로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체결되되,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용접부가 체결되는 용접부 배치부를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lding auxiliary device fastened to a robot arm,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comprising: a connecting part; a base part fastened to the connecting part and moving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based on the connecting part; and a welding auxiliary device coupled to the base portion, mov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based on the base portion, and including a welding portion arranging portion to which the welding portion is fasten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로봇암은, 상기 로봇암의 일측 단부 영역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부는, 툴 체인저; 및 상기 툴 체인저의 일측에 위치하는 커넥팅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은 상기 툴 체인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툴 체인저의 타측은 상기 연결부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arm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positioned at one end region of the robot arm, and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tool changer; and a connecting base plat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tool changer,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ase plat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ool changer, and the other end of the tool changer is fastened to or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unit. provide auxiliary devic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커넥팅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의 제1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1가이드라인; 상기 제1-1가이드라인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커넥팅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2가이드라인을 더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but located in the first area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se plate, the first 1-1 guide line extending lo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Welding further comprising a first-first guideline and a first-second guidelin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uidelin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ocated in a second area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se plate, and extending lo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provide auxiliary devic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베이스부 본체부;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의 타측 측면의 제1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제1-1가이드라인과 체결되어, 상기 제1-1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1-1가이드 블록; 상기 제1-1가이드 블록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의 타측 측면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2가이드라인과 체결되어, 상기 제1-2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1-2가이드 블록;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의 상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1가이드라인; 상기 제2-1가이드라인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의 상부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2가이드라인을 더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the base portion body portion extend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 1-1 guide block located in a first area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body part, coupled to the 1-1 guide line, and moving along the 1-1 guide line; Doedoe spaced apart from the 1-1 guide bloc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ocated in the second area of the other side of the base body main body part, is fastened with the 1-2 guide line, and moves along the 1-2 guide line a first 1-2 guide block; a 2-1 guide line locat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body and extending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Welding further comprising a 2-2 guide lin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2-1 guide lin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located in a second reg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body, and extending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provide auxiliary devic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위치하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제1-1기준체; 및 상기 제1-1기준체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위치하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제1-2기준체를 더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located on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body portion, the first reference bod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is located; And locat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1-1 reference bod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body main body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is located 1-2 It provides a welding auxiliar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eference bod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접부 배치부는,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의 하면의 제1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제2-1가이드라인과 체결되어, 상기 제2-1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2-1가이드 블록; 상기 제2-1가이드 블록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의 하면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2가이드라인과 체결되어, 상기 제2-2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2-2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ding portion arrangement portion, a welding portion seating plate extend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 2-1 guide block located in a first area of a lower surface of the welding part seating plate, coupled to the 2-1 guide line, and moving along the 2-1 guide line; Doedoe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2-1 guide block by a certain distance,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welding part seating plate, is fastened with the 2-2 guide line, and moves along the 2-2 guide line It provides a welding auxiliary device including a second 2-2 guide block.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위치하는 전방면과 접촉하는 제2-1기준체; 및 상기 제2-1기준체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위치하는 전방면과 접촉하는 제2-2기준체를 더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ding part seating plate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ing aid devic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welding part seating plate, and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n which the welding aid device is located. ; And locat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2-1 reference bod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welding part seating plate, the first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n which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is located It provides a welding auxiliar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2-2 reference bod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용접부 배치부를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moving means for moving the base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the connecting portion, the base portion, the welding portion arrangement to move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It provides a welding auxiliar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moving means f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접부는,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에 배치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되,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용접토치 배치부를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ding part, the welding part is disposed on the mounting plate, the guide part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nd a welding torch arrangement part fastened to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guide part, movable back and for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aid device based on the guide part, and rotatable based on the guide par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곡선 구간 또는 굴곡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로봇암의 이동경로를 단순화시키면서, 정확한 용접토치의 위치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welding part of the object to be welded includes a curved section or a bent section,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can set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elding torch while simplifying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arm can provide
도 1은 일반적인 용접로봇의 용접토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구조의 로봇암을 포함하는 용접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2방향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3방향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초기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제1단계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제2단계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제3단계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lding torch of a general welding robot.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elding apparatus including a robot arm of a general structure.
Figure 3 is a first-direction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cond-direction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direction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 view for, and Figure 8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initial use state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view showing the first stage use state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second-stage use state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Figure 13 is a view showing the third-stage use state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rrespective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of the other component.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일반적인 구조의 로봇암을 포함하는 용접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elding apparatus including a robot arm of a general structure.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구조의 로봇암을 포함하는 용접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132)을 포함하는 고정부(130); 상기 고정부(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로봇암(120); 및 상기 로봇암(120)의 일측 단부 영역에 위치하는 연결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이때, 상기 연결부(140)에는 공지된 용접토치를 포함하는 용접부(미도시)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로봇암을 포함하는 용접장치(100)는 다양한 용접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a welding part (not shown) including a known welding torch is fastened to the
예를 들어, 상기 용접부(미도시)는 커넥팅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부가 상기 연결부(140)에 체결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로봇암을 포함하는 용접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elding part (not shown) includes a connecting part (not shown), and the connecting part is fastened to the
한편, 상기 용접부에 구비되는 상기 용접토치는, 상술한 도 1에서와 같이, 와이어 및 가스가 통과하는 토치바디; 상기 토치바디에 장착되는 팁 바디; 상기 팁 바디에 결합되는 용접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에 해당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용접부의 구성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welding torch provided in the welding part, as shown in FIG. 1 above, a torch body through which a wire and a gas pass; a tip body mounted on the torch body; It may include a welding wire coupled to the tip body, which is obvious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and thus, the configuration of the welding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용접토치를 정확한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정확한 용접토치의 위치정보가 용접로봇 제어시스템에 등록되어야 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ove the welding torch to an accurate working position,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elding torch must be registered in the welding robot control system.
하지만,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직선 구간인 경우에는, 상기 로봇암의 이동경로가 단순하여, 상기 로봇암의 이동에 따른 용접토치의 위치정보의 설정이 용이하나,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곡선 구간 또는 굴곡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로봇암의 이동경로가 복잡하여, 정확한 용접토치의 위치정보를 설정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welding part of the object to be welded is a straight section,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arm is simple, so it is easy to se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elding torc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bot arm, but the welding part of the object to be welded is a curved section Alternatively, when a bending section is included,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arm is complicated,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se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elding torch.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곡선 구간 또는 굴곡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로봇암의 이동경로를 단순화시키면서, 정확한 용접토치의 위치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welding part of the object to be welded includes a curved section or a curved section, while simplifying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arm, to provide a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that can set accurate welding torch position information do.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때,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직선 구간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도 2의 연결부(140)에, 도 1에서와 같은 일반적인 용접부가 체결되어 용접공정이 진행되고, 또한,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직선 구간, 곡선 구간 및 굴곡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용접보조장치를 상술한 도 2의 연결부(140)에 체결하여 용접공정이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case where a general welding part is fastened, such as a welding process, and the welding part of the object to be welded includes a straight section, a curved section, and a bent section,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물론,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직선 구간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를 상술한 도 2의 연결부(140)에 체결하여 용접공정이 진행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Of course, even when the welding part of the object to be welded includes only a straight section, it is natural that the weld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fastening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nnectin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방향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2방향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3방향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Figure 3 is a first-direction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cond-direction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direction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 view for, and Figure 8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용접보조장치로 명명하기로 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3 and 6 ,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fined as follow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will be referred to as a welding auxiliary device.
즉,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200)는,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도 3 및 도 6의 X 방향);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도 3 및 도 6의 Y 방향); 및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과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도 3 및 도 6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상술한 도 2의 로봇암부에 체결되는 방향을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That is, the welding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200)는, 커넥팅부(210); 상기 커넥팅부(210)에 체결되어, 상기 커넥팅부를 기준으로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부(220); 및 상기 베이스부(220)에 체결되되, 상기 베이스부(220)를 기준으로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용접부(240)가 체결되는 용접부 배치부(230)를 포함한다.3 to 8, the welding
즉, 상기 용접부(240)는, 상기 용접부 배치부(230)에 체결되고, 이때, 상기 용접부 배치부(230)는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커넥팅부를 기준으로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결국, 상기 용접부(240)는, 상기 용접보조장치를 기준으로, 높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That is,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팅부(210)는, 툴 체인저(211); 및 상기 툴 체인저(211)의 일측에 위치하는 커넥팅 베이스 플레이트(212)를 포함하며, 즉, 상기 커넥팅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타측은 상기 툴 체인저(211)의 일측과 연결되고, 이때, 상기 툴 체인저(211)의 타측은 상술한 도 2의 로봇암의 연결부(140)에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ng
즉, 상기 툴 체인저(211)가 상술한 도 2의 연결부(140)에 체결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는, 상술한 도 2의 로봇암(120)에 체결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또한, 상기 커넥팅부(210)는, 상기 커넥팅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일측의 제1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1가이드라인(213a); 상기 제1-1가이드라인(213a)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커넥팅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일측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2가이드라인(213b)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즉, 상기 제1-1가이드라인(213a) 및 상기 제1-2가이드라인(213b)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220)가, 상기 커넥팅부를 기준으로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at is, along the 1-1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220)는,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베이스부 본체부(221);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221)의 타측 측면의 제1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제1-1가이드라인(213a)과 체결되어, 상기 제1-1가이드라인(213a)을 따라 이동하는 제1-1가이드 블록(222a); 상기 제1-1가이드 블록(222a)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221)의 타측 측면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2가이드라인(213b)과 체결되어, 상기 제1-2가이드라인(213b)을 따라 이동하는 제1-2가이드 블록(222b)을 포함한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S. 3 to 8 , the
즉, 상기 베이스부(220)는, 상기 제1-1가이드 블록(222a) 및 상기 제1-2가이드 블록(222b)이, 각각, 상기 제1-1가이드라인(213a) 및 상기 제1-2가이드라인(213b)을 따라 상하이동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220)가 상기 커넥팅부를 기준으로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at is, in the
또한, 상기 베이스부(220)는,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221)의 상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1가이드라인(223a); 상기 제2-1가이드라인(223a)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221)의 상부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2가이드라인(223b)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즉,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용접부 배치부(230)는, 상기 제2-1가이드라인(223a) 및 상기 제2-2가이드라인(223b)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at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welding
또한, 상기 베이스부(220)는,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221)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위치하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1기준체(224a)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221)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위치하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제1-2기준체(224b)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가 바퀴의 형태로 구성되는 회전체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in the drawings, the 1-1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는, 상기 용접보조장치를 통해 용접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가 지면 또는 피용접물의 상면인 바닥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바닥면과 접촉하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1-1
예를 들면, 후술할 바와 같이, 도 11 및 도 12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 11에서는,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가 지면상에 위치하는 제1피용접물의 상면과 이격하여 있으나, 도 12에서는,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가 지면 상에 위치하는 제1피용접물(A)의 상면과 접촉하여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바닥면과 접촉하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referring to FIGS. 11 and 12 , in FIG. 11 , the 1-1
한편, 도 11 및 도 12에서는, 상기 제1피용접물(A)의 폭이 넓어, 상기 제1피용접물(A)의 폭이 좁은 경우,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지면(G)에 위치한 상태에서 용접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가 지면(G)과 접촉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바닥면과 접촉하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S. 11 and 12 , when the width of the first object to be welded (A) is wide and the width of the first object to be welded (A) is narrow,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is welded in a state located on the ground (G) The process can be performed, and in this case, the 1-1
이러한 이유, 즉,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는,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바닥면과 접촉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역할이 주가 되므로,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는 바퀴 등의 회전체일 필요는 없으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는 바퀴 등의 회전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at is, the 1-1
즉, 도면에서는,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가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바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다.That is, in the drawing, the 1-1 reference body (224a) and the 1-2 reference body (224b) are composed of wheels rotating with respect to each rotational ax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 in this case, by the rotation of the 1-1
다만, 이와는 달리,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는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바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다.However, unlike this, the 1-1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용접부 배치부(230)는,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231);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231)의 하면의 제1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제2-1가이드라인(223a)과 체결되어, 상기 제2-1가이드라인(223a)을 따라 이동하는 제2-1가이드 블록(232a); 상기 제2-1가이드 블록(232a)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231)의 하면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2가이드라인(223b)과 체결되어, 상기 제2-2가이드라인(223b)을 따라 이동하는 제2-2가이드 블록(232b)을 포함한다.Continuingly, referring to FIGS. 3 to 8 , the welding
즉,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231)는, 상기 제2-1가이드 블록(232a) 및 상기 제2-2가이드 블록(232b)이, 각각, 상기 제2-1가이드라인(223a) 및 상기 제2-2가이드라인(223b)을 따라 전후이동함으로써, 상기 용접부 배치부(230)가 상기 베이스부(220)를 기준으로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at is, in the welding
또한,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231)는,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231)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위치하는 전방면과 접촉하는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1기준체(234a)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231)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위치하는 전방면과 접촉하는 제2-2기준체(234b)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elding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가 바퀴의 형태로 구성되는 회전체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in the drawings, the 2-1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는, 상기 용접보조장치를 통해 용접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가 피용접물의 표면인 전방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전방면과 접촉하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2-1
예를 들면, 후술할 바와 같이, 도 11 및 도 1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 11에서는,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가 제1피용접물(A)과 용접되는 제2피용접물(B)의 표면과 이격하여 있으나, 도 13에서는,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가 상기 제2피용접물(B)의 표면과 접촉하여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전방면과 접촉하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referring to FIGS. 11 and 13 , in FIG. 11 , the 2-1
이러한 이유, 즉,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는,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전방면과 접촉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역할이 주가 되므로,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는 바퀴 등의 회전체일 필요는 없으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는 바퀴 등의 회전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at is, the 2-1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가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바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2-1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부(220)는, 상기 커넥팅부를 기준으로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이동하며, 또한, 상기 용접부 배치부(230)는, 상기 베이스부(220)를 기준으로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베이스부와 용접부 배치부의 이동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이동수단이 필요하다.In order to move the base part and the welding part arrangement part, each moving means is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팅부(210)는, 상기 베이스부(220)를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이동수단(215)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이동수단(215)은, 제1실린더(215a); 및 상기 제1실린더(215a)로부터 상하이동하는 제1피스톤로드(215b)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3 to 8 , the connecting
즉, 상기 베이스부(220)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215b)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상기 커넥팅부를 기준으로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이동수단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at is, the
한편, 상기 제1이동수단,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실린더(215a)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팅부(210)는, 상기 커넥팅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이동수단 고정체(21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제1이동수단 고정체(216)에 상기 제1실린더(215a)가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ix the first moving means, more specifically, the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이동수단 고정체(216)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shape of the first moving means fixing
또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220)는, 상기 용접부 배치부(230)를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이동수단(225)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2이동수단(225)은, 제2실린더(225a); 및 상기 제2실린더(225a)로부터 전후이동하는 제2피스톤로드(225b)를 포함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3 to 8 , the
즉, 상기 용접부 배치부(230)는 상기 제2피스톤로드(225b)의 전후이동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부(220)를 기준으로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이동수단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at is, the welding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이동수단(225),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실린더(225a)는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221)의 상부 일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moving means 225 , more specifically, the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215b)의 단부 영역이, 상기 제2실린더(225a)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피스톤로드(215b)의 단부 영역의 연결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피스톤로드(215b)의 단부 영역은,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221)의 상부의 임의 영역에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end region of the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접부(240)는 상기 용접부 배치부(230)에 체결되며, 예를 들어, 상기 용접부(240)는,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231)에 배치될 수 있다.3 to 8, 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용접부(240)의 구성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용접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접부(240)는,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231)에 배치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부(241); 상기 가이드부(241)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되, 상기 가이드부(241)를 기준으로,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부(241)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용접토치 배치부(242)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접토치 배치부(242)에, 용접토치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용접토치 배치부(242)가 상기 가이드부(241)를 기준으로,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전후 이동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부(241)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용접토치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welding torch is fastened to the welding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용접부(242)의 용접토치 배치부(242)에 체결되는 상기 용접토치는, 상술한 도 1에서와 같이, 와이어 및 가스가 통과하는 토치바디; 상기 토치바디에 장착되는 팁 바디; 상기 팁 바디에 결합되는 용접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에 해당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용접부의 구성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ding torch fastened to the weld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직선 구간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도 2의 연결부(140)에, 도 1에서와 같은 일반적인 용접부가 체결되어 용접공정이 진행되고, 또한,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직선 구간, 곡선 구간 및 굴곡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도 3 내지 도 8의 용접보조장치를 상술한 도 2의 연결부(140)에 체결하여 용접공정이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elding part of the object to be welded includes only a straight section, the general welding part as in FIG. 1 is fastened to the
이하에서 설명되어지는 용접보조장치의 사용방법은 상술한 도 2의 연결부(140)에,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체결하여 용접공정이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method of using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understood as that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is fastened to the above-described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초기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제1단계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제2단계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제3단계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initial use state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view showing the first stage use state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second-stage use state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Figure 13 is a view showing the third-stage use state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용접물이, 지면(G)에 위치하는 제1피용접물(A)과 상기 제1피용접물(A)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피용접물(B)을 포함하고, 이들의 접촉면에 대하여 용접공정을 진행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First,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object to be welded is a first object to be welded (A) positioned on the ground (G) and a second object to be welded (A) disposed on top of the first object to be welded (A) B) is included, and it is assumed that the weld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ir contact surfaces.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피용접물(A)과 상기 제2피용접물(B)의 접촉면은 곡선구간 또는 굴곡구간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피용접물(A)의 상부면 또는 상기 제2피용접물의 표면(도 10을 기준으로 내측면)은 굴곡구간 또는 일정 홈 또는 일정 홀을 포함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object to be welded (A) and the second object to be welded (B) includes a curved section or a curved sec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bject to be welded (A) Alternatively, it is assumed that the surface (the inner surface of FIG. 10 ) of the second object to be welded includes a curved section or a predetermined groove or a predetermined hole.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초기 사용상태는, 상술한 도 2의 연결부(140)에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200)가 체결되어, 상기 용접보조장치(200)가 상기 피용접물의 용접 영역에 배치된 상태이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 , in the initial use state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ding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가 지면상에 위치하는 제1피용접물(A)의 상면과 제1높이(h1)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가 상기 제2피용접물(B)의 표면과 제1길이(d1)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and the first height of the first object to be welded (A) in which the 1-1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제1단계 사용상태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가 지면상에 위치하는 제1피용접물(A)의 상면과 제2높이(h2)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가 상기 제2피용접물(B)의 표면과 제2길이(d2)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1 , the first-stage use state of the welding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1-1
이때의 상태가, 상기 로봇암이 직선구간으로 이동하는 배치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The state at this time may be defined as an arrangement state in which the robot arm moves in a straight section.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곡선 구간 또는 굴곡 구간등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가 지면상에 위치하는 제1피용접물(A)의 상면과 제2높이(h2)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가 상기 제2피용접물(B)의 표면과 제2길이(d2)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로봇암을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로봇암의 이동경로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welding part of the object to be welded includes a curved section or a bent section, the 1-1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제2단계 사용상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이동수단, 보다 구체적으로, 제1피스톤 로드(215b)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부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가 지면 상에 위치하는 제1피용접물(A)의 상면과 접촉하여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바닥면과 접촉하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2 , in the second stage use state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ving means, more specifically, the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접보조장치의 제3단계 사용상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2이동수단, 보다 구체적으로, 제2피스톤 로드(225b)를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용접부 배치부(230)를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가 제2피용접물의 표면인 전방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전방면과 접촉하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3 , in the third stage use state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oving means, more specifically, the
이때, 도 12 및 도 13의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도 13의 단계가 먼저 이루어지고, 도 12의 단계가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이동수단 및 상기 제2이동수단의 작동 순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steps of FIGS. 12 and 13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the step of FIG. 13 may be performed first, and the step of FIG. 12 may be performed late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ving means and The order of operation of the second moving means is not limited.
한편,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가 지면 상에 위치하는 제1피용접물(A)의 상면과 접촉하여 배치되어,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바닥면과 접촉하는 기준을 제시한다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계속적으로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가 지면 상에 위치하는 제1피용접물(A)의 상면과 접촉하여 배치됨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1-1
또한,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가 제2피용접물의 표면인 전방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전방면과 접촉하는 기준을 제시한다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계속적으로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가 상기 제2피용접물의 표면인 전방면과 접촉하여 배치됨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2-1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곡선 구간 또는 굴곡 구간등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1-1기준체(224a) 및 상기 제1-2기준체(224b)가 지면상에 위치하는 제1피용접물(A)의 상면과 제2높이(h2)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1기준체(234a) 및 상기 제2-2기준체(234b)가 상기 제2피용접물(B)의 표면과 제2길이(d2)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로봇암을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로봇암의 이동경로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lding portion of the object to be welded includes a curved section or a bent section, the 1-1
이때, 본 발명에서는, 용접공정을 진행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이동수단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통해,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지면 상에 위치하는 제1피용접물(A)의 상면과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이동수단이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통해,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상기 제2피용접물의 표면인 전방면과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용접토치의 위치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welding process, through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means in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bject to be welded (A) located on the ground In addition,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means in the forward or rearward direction,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can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which is the surface of the second object to be welded, so that accurate welding is performed. Torch location information can be set.
즉, 상기 용접토치의 거시적인 위치정보는, 상술한 로봇암에 의해 결정되고,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봇암은 직선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로봇암의 이동경로가 단순하며, 상기 용접토치의 세부적인 위치정보는, 상기 제1이동수단 및 상기 제2이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지면 상에 위치하는 제1피용접물(A)의 상면과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상기 제2피용접물의 표면인 전방면과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용접토치의 위치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That is, the macroscopic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elding torch is determined by the above-described robot arm, and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robot arm can move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arm is simple, and the welding Detail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rch,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ving means and the second moving means,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can b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bject to be welded (A) located on the ground, and Also, since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can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which is the surface of the second object to be welded, it is possible to set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elding torch.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의 경우,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곡선 구간 또는 굴곡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로봇암의 이동경로가 복잡하여, 정확한 용접토치의 위치정보를 설정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case, when the welding part of the object to be welded includes a curved section or a bent section,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arm is complicated, and it is difficult to set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elding torch.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용접보조장치를 통해, 용접토치의 세부적인 위치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피용접물의 용접부위가 곡선 구간 또는 굴곡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로봇암의 이동경로를 단순화시키면서, 정확한 용접토치의 위치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로봇암용 용접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detail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elding torch can be set through the above-described welding auxiliary device,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arm is simplified even when the welding part of the object to be welded includes a curved section or a bent section. While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elding auxiliary device for a robot arm that can set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of a welding torch.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9)
상기 용접보조장치는, 커넥팅부; 상기 커넥팅부에 체결되어, 상기 커넥팅부를 기준으로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체결되되,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용접부가 체결되는 용접부 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베이스부 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위치하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제1-1기준체; 및 상기 제1-1기준체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위치하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제1-2기준체를 더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In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fastened to the robot arm,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the connecting portion; a base part fastened to the connecting part and moving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based on the connecting part; And it is fastened to the base portion, mov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based on the base portion, comprising a welding portion arrangement to which the welding portion is fastened,
The base part further includes a base part body part extend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The base part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base part main body part, the first reference bod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is located; And locat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1-1 reference bod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body main body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is located 1-2 Welding auxiliar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eference body.
상기 로봇암은, 상기 로봇암의 일측 단부 영역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부는, 툴 체인저; 및 상기 툴 체인저의 일측에 위치하는 커넥팅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은 상기 툴 체인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툴 체인저의 타측은 상기 연결부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보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obot arm includes a connection part located at one end area of the robot arm,
Th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tool changer; and a connecting base plat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tool changer,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base plat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ool changer, and the other side of the tool changer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커넥팅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의 제1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1가이드라인; 상기 제1-1가이드라인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커넥팅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2가이드라인을 더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ng part, but located in the first area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se plate, the first 1-1 guide line extending lo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Welding further comprising a first-first guideline and a first-second guidelin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uidelin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ocated in a second area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se plate, and extending lo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uxiliary device.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의 타측 측면의 제1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제1-1가이드라인과 체결되어, 상기 제1-1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1-1가이드 블록; 상기 제1-1가이드 블록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의 타측 측면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2가이드라인과 체결되어, 상기 제1-2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1-2가이드 블록;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의 상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1가이드라인; 상기 제2-1가이드라인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부 본체부의 상부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2가이드라인을 더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The base part may include: a 1-1 guide block located in a first area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art body part, coupled to the 1-1 guide line, and moving along the 1-1 guide line; Doedoe spaced apart from the 1-1 guide bloc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ocated in the second area of the other side of the base body main body part, is fastened with the 1-2 guide line, and moves along the 1-2 guide line a first 1-2 guide block; a 2-1 guide line locat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body and extending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Welding further comprising a 2-2 guide lin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2-1 guide lin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located in a second reg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body, and extending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uxiliary device.
상기 용접부 배치부는,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의 하면의 제1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제2-1가이드라인과 체결되어, 상기 제2-1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2-1가이드 블록; 상기 제2-1가이드 블록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의 하면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2가이드라인과 체결되어, 상기 제2-2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2-2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welding part arrangement part, a welding part seating plate extend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 2-1 guide block located in a first area of a lower surface of the welding part seating plate, coupled to the 2-1 guide line, and moving along the 2-1 guide line; Doedoe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2-1 guide block by a certain distance,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welding part seating plate, is fastened with the 2-2 guide line, and moves along the 2-2 guide line Welding aid including a second 2-2 guide block.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위치하는 전방면과 접촉하는 제2-1기준체; 및 상기 제2-1기준체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접보조장치가 위치하는 전방면과 접촉하는 제2-2기준체를 더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7. The method of claim 6,
The welding part seating plate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welding part seating plate, a 2-1 reference body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n which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is located; And locat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2-1 reference bod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welding part seating plate, the second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n which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is located 2-2 Welding aid further comprising a reference body.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용접부 배치부를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first moving means for moving the base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The base un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moving means for moving the welding unit arrangem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상기 용접부는, 상기 용접부 안착 플레이트에 배치되되,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되,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용접보조장치의 폭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용접토치 배치부를 포함하는 용접보조장치.7. The method of claim 6,
The welding part may include: a guide part disposed on the welding part seating plate and dispos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device; and a welding torch arrangement part fastened to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guide part, movable back and for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lding aid device based on the guide part, and rotatable based on the guide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1322A KR102391294B1 (en) | 2021-10-04 | 2021-10-04 | A welding assistant apparatus for robot ar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1322A KR102391294B1 (en) | 2021-10-04 | 2021-10-04 | A welding assistant apparatus for robot ar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1294B1 true KR102391294B1 (en) | 2022-04-27 |
Family
ID=8139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1322A Active KR102391294B1 (en) | 2021-10-04 | 2021-10-04 | A welding assistant apparatus for robot ar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129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1213B1 (en) | 2024-01-17 | 2024-05-30 | (주)알코지비티 | Welded system including joint struc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7923B1 (en) | 2002-03-27 | 2004-09-13 |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 Position precision control apparatus for laser welding by use of robot and method thereof |
KR101529053B1 (en) * | 2014-02-24 | 2015-06-16 | 주식회사 호원 | Hybrid welding apparatus |
KR20150086064A (en) * | 2014-01-17 | 2015-07-27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Welding robot |
-
2021
- 2021-10-04 KR KR1020210131322A patent/KR10239129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7923B1 (en) | 2002-03-27 | 2004-09-13 |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 Position precision control apparatus for laser welding by use of robot and method thereof |
KR20150086064A (en) * | 2014-01-17 | 2015-07-27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Welding robot |
KR101529053B1 (en) * | 2014-02-24 | 2015-06-16 | 주식회사 호원 | Hybrid welding apparatu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1213B1 (en) | 2024-01-17 | 2024-05-30 | (주)알코지비티 | Welded system including joint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94986C (en) | Neck for a robotic welding torch ; welding torch comprising such a neck | |
KR102391294B1 (en) | A welding assistant apparatus for robot arm | |
US8646765B2 (en) | End clamp and method of use there for | |
US10435094B2 (en) | Method of producing vehicle body assembly | |
US5362036A (en) | Modular welding fixture apparatus | |
US20140183167A1 (en) | Welding device for panel sheets and welding method for the same | |
JP7603278B2 (en) | How to weld steel pipe columns | |
KR101529053B1 (en) | Hybrid welding apparatus | |
KR20150100132A (en) | Hybrid welding apparatus | |
JPH09150264A (en) | Positioning jig and welding equipment for welding steel segment | |
JP4508919B2 (en) | Torch mounting jig for welding robot and tandem welding method | |
JPH0999366A (en) | Method for welding crossed tube | |
JP2005138626A (en) | Positioning method and positioning device for long parts | |
CN213410910U (en) | Positioning tool for welding underframe | |
JP2009195932A (en) | Welding system using spot welding robot | |
KR200449643Y1 (en) | Work Table for TIG Welding | |
CN206722430U (en) | Girder steel is welded to connect plate fixed mechanism | |
CN215999239U (en) | Portable defeated oil pipe support welding position frock | |
JP2006289381A (en) | Welding torch and weld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7215305B2 (en) | JIG F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SYSTEM | |
JP2650094B2 (en) | Automatic welding equipment | |
JPH0929459A (en) | Spot welding electrode and spot welding method | |
US20240261888A1 (en) | Welding Apparatus That Arranges Welding Heads For Performing Welding In Plurality Of Different Directions And Welding Method Thereof | |
JP2002153993A (en) | Welding jig design equipment | |
JP2023049761A (en) | Teaching Jig and Teach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0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