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0281B1 -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281B1
KR102390281B1 KR1020210119531A KR20210119531A KR102390281B1 KR 102390281 B1 KR102390281 B1 KR 102390281B1 KR 1020210119531 A KR1020210119531 A KR 1020210119531A KR 20210119531 A KR20210119531 A KR 20210119531A KR 102390281 B1 KR102390281 B1 KR 102390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unit
heat generating
generating unit
install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철
Priority to KR1020210119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281B1/ko
Priority to PCT/KR2022/005012 priority patent/WO202222048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2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30/0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30/4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rotary movement
    • F24S30/42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rotary movement with only one rotation axis
    • F24S30/425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10/00Solar heat collectors using working fluids
    • F24S10/70Solar heat collectors using working fluids the working fluids being conveyed through tubular absorbing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40Solar heat collectors combined with other heat sources, e.g. using electrical heating or heat from ambien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3/0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 F24S23/7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 F24S23/79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with spaced and opposed interacting reflectiv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50/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olar heat collectors
    • F24S50/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olar heat collectors for controlling collection or absorption of solar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80/00Details, accessories or component parts of solar heat coll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24S10/00-F24S70/00
    • F24S80/40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30/0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030/10Special components
    • F24S2030/11Driving means
    • F24S2030/115Linear actuators, e.g. pneumatic cyli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4Heat exchange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빛의 조사 각도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집광 방향으로 조절하여 집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치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집광시켜 열을 생성시키는 열생성부; 상기 열생성부를 경유하면서 설치되며, 내측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가 가열된 상태의 상기 열생성부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도록 하는 열매체 유동관; 상기 열생성부의 전단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설치부; 상기 열생성부에서 가열된 열매체를 이용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 및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부에서의 상기 열생성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HEAT SUPPLY DEVICE USING SUPER CONDENSING DOUBLE-SIDED HEAT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빛의 조사 각도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집광 방향으로 조절하여 집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치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10년간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는 매년 10%라는 세계 최고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온실가스배출량 증가율 역시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다행히 세계기후협약 이행이 늦추어지고는 있지만 머지않아 우리도 여기에 참여하지 않을 수 없는 형편이어서 대체에너지 개발의 필요성은 더욱 무게 중심을 더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근래에 와서 무공해의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바, 가정이나 회사에서 온수 및 난방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집열장치 개발과 열적 성능의 향상에 대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평판형 태양열 시스템의 경우는 겨울철에 효율이 떨어지고 온수생산에 그치는 등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였고, 또한 난방에 적용할 때 과다한 투자비와 설치 후 관리가 용이하지 않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원예 작물 등의 경우 경작을 위해 전기를 이용하여 발생된 열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작물 생육에 많은 비용이 발생되어 작물 단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집열 장치의 경우, 태양광의 위치 추적이 힘들어 집광 효율이 떨어짐에 따라 이에 따른 집열 효율 역시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황사 또는 먼지 등이 부착된 태양광 집열판 및 반사판의 세척에 따른 불편함이 존재하여, 이를 세척하는 데 작업자의 인건비가 추가적으로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진공관식 집열장치가 보급되고 있으나, 이 또한 효율 대비 집열 면적이 평판형 대비 현저히 적어 실질적으로 원하는 상황을 연출하려면 실효성 대비 투자비의 과다한 지출이 요구되어 경제성이 없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9753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7656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태양빛의 조사 각도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집광 방향으로 조절하여 집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치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는,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집광시켜 열을 생성시키는 열생성부; 상기 열생성부를 경유하면서 설치되며, 내측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가 가열된 상태의 상기 열생성부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도록 하는 열매체 유동관; 상기 열생성부의 전단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설치부; 상기 열생성부에서 가열된 열매체를 이용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 및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부에서의 상기 열생성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생성부는, 반구형의 반사판 형태로 형성되어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반사판을 이용하여 초점 위치로 집광하는 제1 집광부; 볼록 렌즈로 형성되며, 상기 초점 위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집광부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초점 위치로 집광하는 제2 집광부; 및 상기 초점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집광부와 상기 제2 집광부에 의해 집광되는 태양빛을 이용하여 가열되는 집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는, 상기 집열부를 경유한 열매체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열매체를 상기 기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시킨 뒤 상기 열교환기로 전달하는 전기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는, 상기 열생성부에 설치되며,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 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각도 조절부로 전달하는 태양 추적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구동부; 및 상단이 상기 열생성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설치부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상기 설치부에서의 상기 열생성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유압 공급 장치로 형성되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유압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하단이 상기 설치부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상단이 상기 열생성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 기둥의 내측에 삽입된 뒤 상기 지지 기둥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높이 조절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높이 조절 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높이 조절 로드에 의한 상단이 상기 열생성부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태양 추적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의 신장 또는 수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열생성부가 상기 각도 조절부에 의해 전단이 상측 직각 방향을 향하고 후단이 지면을 향하면서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회동될 경우 후단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에 수납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생성부는, 전단 하측이 상기 수납홈의 전단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는, 상기 열생성부의 후단이 상기 수납홈에 수납될 경우 상기 수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열생성부의 전단의 상측을 덮어 상기 열생성부에 이물질이 내려 앉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설치부의 전단에 설치되는 수납 케이스; 상기 수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열생성부의 전단이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설치부의 후단 일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프레임;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상기 수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열생성부의 전단이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 케이스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설치부의 후단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측에 권취된 상태로 안착되며,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수납 케이스로부터 권출되면서 일측이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설치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수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열생성부의 전단을 덮은 뒤 상기 설치부의 후단까지 이동되는 덮개 블라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열생성부의 전단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수 번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태양과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집열 장치를 이동시켜 집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사판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를 치우기 위해 작업자에게 소요되는 인건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집광 및 집열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높이 조절부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덮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10)는, 열생성부(100), 열매체 유동관(200), 설치부(300), 열교환기(400) 및 각도 조절부(500)를 포함한다.
열생성부(100)는,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집광시켜 열을 생성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열생성부(100)는, 제1 집광부(110), 제2 집광부(120) 및 집열부(130)를 포함한다.
제1 집광부(110)는, 반구(半球)형의 반사판 형태로 형성되어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판을 이용하여 집열부(130)가 위치하는 초점 위치로 집광한다.
제2 집광부(120)는, 볼록 렌즈로 형성되며, 초점 위치를 사이에 두고 제1 집광부(110)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집열부(130)가 위치하는 초점 위치로 집광한다.
집열부(130)는, 초점 위치에 설치되어 제1 집광부(110)와 제2 집광부(120)에 의해 집광되는 태양빛을 이용하여 가열된다.
열매체 유동관(200)은, 열생성부(100), 즉, 집열부(130)를 경유하면서 설치되며, 내측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예를 들어, 물 등)가 가열된 상태의 열생성부(100), 즉, 집열부(13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도록 한다.
설치부(300)는, 열생성부(100)의 전단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각도 조절부(500)에 의해 설치 각도가 조절된다.
일 실시예에서, 설치부(300)는, 열생성부(100)가 각도 조절부(500)에 의해 전단이 상측 직각 방향을 향하고 후단이 지면을 향하면서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회동될 경우 후단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에 수납홈(310)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생성부(100)는, 전단 하측이 수납홈(310)의 전단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00)는, 열생성부(100)에서 가열된 열매체를 이용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열교환기(400)에 의해 교환된 열은, 별도로 설치되는 원예작물을 기르기 위한 비닐하우스 등의 설비(P)로 전달되어 해당 설비(P)의 가열 또는 보온 등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각도 조절부(500)는,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 각도에 대응하여 설치부(300)에서의 열생성부(1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부(500)는, 구동부(510) 및 높이 조절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10)는, 높이 조절부(520)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주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510)는, 태양 추적 센서(700)로부터 전달되는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 각도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부(520)의 신장 또는 수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520)는, 상단이 열생성부(100)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단이 설치부(300)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구동부(51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설치부(300)에서의 열생성부(1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10)는, 전기 히터(600) 및 태양 추적 센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히터(600)는, 집열부(130)를 경유한 열매체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열매체를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220℃_ 등)까지 가열시킨 뒤 열교환기(400)로 전달한다.
즉, 전기 히터(600)는, 집열부(130)를 경유한 열매체의 온도가 설정값을 넘어선 경우에는 구동을 하지 아니하나, 집열부(130)를 경유한 열매체의 온도가 설정값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구동하여 열매체가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시킨 뒤 열교환기(400)로 전달함으로써, 열교환기(400)는 항상 일정한 온도의 열매체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태양 추적 센서(700)는, 열생성부(100)에 설치되며,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 각도를 측정하여 각도 조절부(500)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10)는, 태양과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집열 장치를 이동시켜 집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사판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를 치우기 위해 작업자에게 소요되는 인건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집광 및 집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높이 조절부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부(520a)는, 유압 공급 장치로 형성되는 구동부(51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실린더(523)의 내측에 설치되는 피스톤(524)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유압 실린더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의 (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부(520b)는, 지지 기둥(521) 및 높이 조절 로드(522)를 포함한다.
지지 기둥(521)은, 하단이 설치부(300)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내측에 높이 조절 로드(522)가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된다.
높이 조절 로드(522)는, 상단이 열생성부(100)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여 지지 기둥(521)의 내측에 삽입된 뒤 지지 기둥(52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510)는, 높이 조절 로드(522)를 회전시켜 높이 조절 로드(522)에 의한 상단이 열생성부(100)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20)는, 열생성부(100), 열매체 유동관(200), 설치부(300), 열교환기(400), 각도 조절부(500) 및 덮개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생성부(100), 열매체 유동관(200), 설치부(300), 열교환기(400) 및 각도 조절부(5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덮개부(800)는, 열생성부(100)의 후단이 수납홈(310)에 수납될 경우 수납홈(31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열생성부(100)의 전단의 상측을 덮어 열생성부(100)에 이물질이 내려 앉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20)는, 반사판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를 치우기 위해 작업자에게 소요되는 인건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덮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부(800)는, 수납 케이스(810), 제1 가이드 프레임(820), 제2 가이드 프레임(830) 및 덮개 블라인드(840)를 포함한다.
수납 케이스(810)는, 덮개 블라인드(840)가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설치부(300)의 전단에 설치되며, 일측에 제1 가이드 프레임(820)이 설치되고, 타측에 제2 가이드 프레임(830)이 설치된다.
제1 가이드 프레임(820)은, 제2 가이드 프레임(830)과 대향하면서 수납홈(31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열생성부(100)의 전단이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수납 케이스(810)의 일측으로부터 설치부(300)의 후단 일측까지 연장 형성되어 덮개 블라인드(840)의 이동을 유도한다.
제2 가이드 프레임(830)은, 제1 가이드 프레임(820)과 대향하면서 수납홈(31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열생성부(100)의 전단이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수납 케이스(810)의 타측으로부터 설치부(300)의 후단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어 덮개 블라인드(840)의 이동을 유도한다.
덮개 블라인드(840)는, 창문의 블라인드 형태로 제작되어 수납 케이스(810)이 수납이 가능한 구성으로서, 수납 케이스(810)의 내측에 권취된 상태로 안착되며, 구동이 시작되면 수납 케이스(810)로부터 권출되면서 일측이 제1 가이드 프레임(820)을 따라 이동되고 타측이 제2 가이드 프레임(830)을 따라 이동되어 설치부(300)의 전단으로부터 수납홈(31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열생성부(100)의 전단을 덮은 뒤 설치부(300)의 후단까지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프레임(820) 및 제2 가이드 프레임(8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생성부(100)의 전단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수 번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덮개부(800)는,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반사판의 전단을 덮어 반사판 등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를 치우기 위해 작업자에게 소요되는 인건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100: 열생성부
200: 열매체 유동관
300: 설치부
400: 열교환기
500: 각도 조절부
600: 전기 히터
700: 태양 추적 센서
800: 덮개부

Claims (14)

  1.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집광시켜 열을 생성시키는 열생성부;
    상기 열생성부를 경유하면서 설치되며 내측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가 가열된 상태의 상기 열생성부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도록 하는 열매체 유동관;
    상기 열생성부의 전단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설치부;
    상기 열생성부에서 가열된 열매체를 이용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 및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부에서의 상기 열생성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에 태양 추적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구동부, 및 상단이 상기 열생성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설치부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상기 설치부에서의 상기 열생성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는 유압 공급 장치로 형성되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유압 실린더, 하단이 상기 설치부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되는 지지 기둥, 및 상단이 상기 열생성부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 기둥의 내측에 삽입된 뒤 상기 지지 기둥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높이 조절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열생성부의 후단이 수납홈에 수납될 경우 상기 수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열생성부의 전단의 상측을 덮어 상기 열생성부에 이물질이 내려 앉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는 상기 설치부의 전단에 설치되는 수납 케이스, 상기 수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열생성부의 전단이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설치부의 후단 일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프레임,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과 대향하면서 상기 수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열생성부의 전단이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 케이스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설치부의 후단 타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측에 권취된 상태로 안착되며,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수납 케이스로부터 권출되면서 일측이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설치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수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열생성부의 전단을 덮은 뒤 상기 설치부의 후단까지 이동되는 덮개 블라인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열생성부의 전단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수 번 절곡되어 형성되는,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생성부는,
    반구형의 반사판 형태로 형성되어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반사판을 이용하여 초점 위치로 집광하는 제1 집광부;
    볼록 렌즈로 형성되며, 상기 초점 위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집광부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초점 위치로 집광하는 제2 집광부; 및
    상기 초점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집광부와 상기 제2 집광부에 의해 집광되는 태양빛을 이용하여 가열되는 집열부;를 포함하는,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열부를 경유한 열매체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열매체를 상기 기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시킨 뒤 상기 열교환기로 전달하는 전기 히터;를 더 포함하는,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높이 조절 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높이 조절 로드에 의한 상단이 상기 열생성부의 지지 높이를 조절하는,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태양 추적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의 신장 또는 수축 정도를 조절하는,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열생성부가 상기 각도 조절부에 의해 전단이 상측 직각 방향을 향하고 후단이 지면을 향하면서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회동될 경우 후단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에 수납홈을 형성하는,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생성부는,
    전단 하측이 상기 수납홈의 전단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10119531A 2021-04-12 2021-09-08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Active KR102390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531A KR102390281B1 (ko) 2021-09-08 2021-09-08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PCT/KR2022/005012 WO2022220483A1 (ko) 2021-04-12 2022-04-07 초집광 양면 집열 장치를 이용한 열공급 및 전기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531A KR102390281B1 (ko) 2021-09-08 2021-09-08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281B1 true KR102390281B1 (ko) 2022-04-25

Family

ID=8145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531A Active KR102390281B1 (ko) 2021-04-12 2021-09-08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2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93125A (ko) 2022-12-15 2024-06-24 지엔에스티주식회사 레독스흐름전지를 이용한 에너지저장 시스템을 가진 태양광 발전장치
KR20240173435A (ko) 2023-06-05 2024-12-12 주식회사 금철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의 이송 장치
KR20240173434A (ko) 2023-06-05 2024-12-12 주식회사 금철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의 이송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924A (ko) * 1998-07-08 2000-02-07 정대영 태양열 집열장치
KR101097530B1 (ko) 2009-12-30 2011-12-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구조를 구비한 태양열 집열장치
KR101342107B1 (ko) * 2013-04-16 2013-12-18 윤도선 태양광 추적장치
KR101776565B1 (ko) 2015-09-30 2017-09-11 윤종식 이중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장치
KR102266406B1 (ko) * 2021-04-12 2021-06-17 주식회사 금철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924A (ko) * 1998-07-08 2000-02-07 정대영 태양열 집열장치
KR101097530B1 (ko) 2009-12-30 2011-12-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구조를 구비한 태양열 집열장치
KR101342107B1 (ko) * 2013-04-16 2013-12-18 윤도선 태양광 추적장치
KR101776565B1 (ko) 2015-09-30 2017-09-11 윤종식 이중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장치
KR102266406B1 (ko) * 2021-04-12 2021-06-17 주식회사 금철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93125A (ko) 2022-12-15 2024-06-24 지엔에스티주식회사 레독스흐름전지를 이용한 에너지저장 시스템을 가진 태양광 발전장치
KR20240173435A (ko) 2023-06-05 2024-12-12 주식회사 금철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의 이송 장치
KR20240173434A (ko) 2023-06-05 2024-12-12 주식회사 금철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의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0281B1 (ko)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KR102266406B1 (ko) 초집광 양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공급장치
CN102959343B (zh) 具备圆柱形集光装置的太阳光发电装置
KR101478204B1 (ko) 태양열시스템을 이용한 유리온실
CN103238033A (zh) 太阳能收集器系统
CN204610160U (zh) 一种聚光透镜发电系统
KR100749504B1 (ko) 태양열 발전시스템에 적용되는 태양광 반사장치
JP6342632B2 (ja) 太陽光集光発電装置
KR20100069246A (ko) 태양광 집광장치
CN204593900U (zh) 焦距可变、方位可调的菲涅尔太阳反射装置
KR102544842B1 (ko) 태양광과 태양열을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2453312B1 (ko) 태양열 집광기
CN105104021A (zh) 一种用于设施栽培的太阳能增温系统
KR101379445B1 (ko) 태양 추적식 트랙커를 구비한 태양광 및 태양열 복합시스템
CN201917099U (zh) 分体可调式准静态槽式太阳能集热设备
CN203731715U (zh) 一种用平板玻璃镜聚热的平板太阳能热水器
CN201187903Y (zh) 可固定安装的折射式聚光太阳能高温集热器
CN103294071A (zh) 金字塔太阳能自动调焦系统
CN113885587B (zh) 一种定日镜的校准调节方法和系统
KR20150097334A (ko) 태양열 온수 시스템
CN206399006U (zh) 固定支架可调式集光太阳能高温聚热装置
KR102358975B1 (ko) 영상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추적할 수 있는 ptc형 태양열 시스템
KR102160893B1 (ko) 온수제조용 태양열발전기의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수제조용 태양열발전기의 설치방법
KR102390316B1 (ko) 초집광 양면 집열 장치를 이용한 열공급 및 전기 발생 장치
CN212696885U (zh) 一种热管-pv/t一体化遮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