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211B1 -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0211B1 KR102390211B1 KR1020150107922A KR20150107922A KR102390211B1 KR 102390211 B1 KR102390211 B1 KR 102390211B1 KR 1020150107922 A KR1020150107922 A KR 1020150107922A KR 20150107922 A KR20150107922 A KR 20150107922A KR 102390211 B1 KR102390211 B1 KR 1023902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indoor
- cleaning module
- outdoor air
-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52704 rad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SYUHGPGVQRZVTB-UHFFFAOYSA-N radon atom Chemical compound [Rn] SYUHGPGVQRZVT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환기 청정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환기 청정기는,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제1 청정모듈; 실외 공기를 정화시키는 제2 청정모듈; 상기 제1 청정모듈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에 의해 정화된 실외 공기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공기 혼합부;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를 기초로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의 유로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Disclosed are a ventilation purifi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he ventilation purifier may include: a first cleaning module for purifying indoor air; a second cleaning module for purifying outdoor air; an air mixing unit for discharging the indoor air purified by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the outdoor air purified by the second cleaning module respectively or by mixing them through a discharge port; a sensor unit for measuring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and adjusting the flow paths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 modules based on the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clean modul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Description
본 출원은 환기 청정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환기 청정기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환기 시스템과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청정 시스템이 함께 구비된 공기 조화 설비로서,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여 필터를 거쳐 실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구조를 갖는 환기 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A ventilation purifier is an air cond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a ventilation system for circulating indoor air and a cleaning system for purifying indoor air. there is.
이와 관련하여, 하기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 1은, 환기 청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Patent Document 1 described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discloses a ventilation cleaning device.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에 따라 환기 청정기의 동작 모드를 보다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In the art,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more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the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환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상기 환기 청정기는,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제1 청정모듈; 실외 공기를 정화시키는 제2 청정모듈; 상기 제1 청정모듈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에 의해 정화된 실외 공기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공기 혼합부;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를 기초로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의 유로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lation purifier. The ventilation purifier includes: a first cleaning module for purifying indoor air; a second cleaning module for purifying outdoor air; an air mixing unit for discharging the indoor air purified by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the outdoor air purified by the second cleaning module respectively or by mixing and discharging it through a discharge port; a sensor unit for measuring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and adjusting the flow paths of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clean module based on the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clean module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환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환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은,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실내 청정모듈과 실외 공기를 정화시키는 실외 청정모듈을 구비한 환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정해진 제1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산소 농도가 기 정해진 제2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제1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산소 농도가 상기 제2 기준치 미만인 경우,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 차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차에 따라 상기 실내 청정모듈 및 상기 실외 청정모듈의 유로 또는 유량을 조절하여 실외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환기 청정모드 또는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각각 정화한 후 혼합 배출하는 실내 및 환기 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ntilation purifier. The control method of the ventilation purifier comprises the steps of: measuring conditions of indoor air and outdoor air; determining whethe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indoor air exceeds a first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the oxygen concentr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checking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air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or the oxygen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a ventilation clean mode for purifying outdoor air and introducing it into the room by adjusting the flow path or flow rate of the indoor cleaning module and the outdoor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or indoor and ventilation for purifying indoor and outdoor air respectively and then discharging It may include the step of controlling to operate in a clean mode.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cidentally,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do not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advantages and effects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에 따라 환기 청정기의 동작 모드를 보다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door air optimally by more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the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가 실내 청정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형성된 유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가 환기 청정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형성된 유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가 실내 및 환기 청정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형성된 유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path formed when the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n indoor cleaning mod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path formed when the ventilation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ventilation cleaning mod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path formed when the ventilation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n indoor and ventilation cleaning mode.
5 is a block diagram of a ventilation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100)는 제1 청정모듈(110), 제2 청정모듈(120), 공기 혼합부(130), 토출구(140), 센서부(150), 제어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무선 통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제1 청정모듈(110)은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밸브(111), 제1 유로(112) 및 제1 필터(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제1 밸브(111)는 제1 유로(112)의 일단에 구비되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개폐하여 실내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밸브(111)가 개방되면 실내 공기가 제1 유로(112)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111)는 일부 개폐(즉, 개방 비율을 조절)하여 실내 공기의 유로를 확장 또는 축소하고, 이로써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The
제1 유로(112)는 실내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제1 유로(112)의 일 단에는 제1 밸브(111)가 구비되고, 제1 유로(112)의 타단에는 제1 필터(113)가 연결될 수 있다.The
제1 필터(113)는 제1 유로(112)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1 유로(112)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를 통과시켜서 정화시킨다.
The
제2 청정모듈(120)은 실외로부터 도입된 실외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 밸브(121), 제2 유로(122) 및 제2 필터(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제2 밸브(121)는 제2 유로(122)의 일단에 구비되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개폐하여 실외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제2 밸브(121)가 개방되면 실외 공기가 제2 유로(122)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밸브(121)는 일부 개폐하여 실외 공기의 유로를 확장 또는 축소하고, 이로써 실외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The
제2 유로(122)는 실외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제2 유로(122)의 일 단에는 제2 밸브(121)가 구비되고, 제2 유로(122)의 타단에는 제2 필터(123)가 연결될 수 있다.The
제2 필터(123)는 제2 유로(122)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2 유로(122)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를 통과시켜서 정화시킨다.
The
공기 혼합부(130)는 제1 청정모듈(110) 및 제2 청정모듈(120)과 각각 연결되어, 제1 청정모듈(110)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와 제2 청정모듈(120)에 의해 정화된 실외 공기를 혼합하여 토출구(140)를 통해 배출한다.The
또한, 공기 혼합부(130)는 제1 청정모듈(110) 및 제2 청정모듈(120) 중 어느 하나의 유로가 폐쇄된 경우에는 유로가 형성된 하나의 청정모듈(110 또는 120)로부터 배출된 정화된 공기를 토출구(140)를 통해 배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flow path of any one of the first
이와 같은 공기 혼합부(130)는 양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하는 양흡입팬으로 구현될 수 있다.
Such an
센서부(150)는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또는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센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센서,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공기 중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 1에서는 환기 청정기(100)가 센서부(15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In FIG. 1 , the
예를 들어, 환기 청정기(100)는 별도의 센서로부터 측정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별도의 센서는 환기 청정기(100)가 설치된 공간의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 센서일 수 있다. 또한, 환기 청정기(100)는 별도의 센서로부터 측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부(18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3G 등의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 밖에도, 환기 청정기(100)는 상술한 무선 통신부(180)를 통해 외부(예를 들어, 기상청 등의 기상정보 제공 기관 또는 업체)로부터 공기 상태 관련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제어부(160)는 센서부(150)에 의해 측정된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를 기초로 제1 청정모듈(110) 및 제2 청정모듈(120)의 유로를 조절하여, 제1 청정모듈(110)에 의해 실내 공기만을 정화하여 배출하는 실내 청정모드, 제2 청정모듈(120)에 의해 실외 공기만을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환기 청정모드, 그리고 제1 청정모듈(110) 및 제2 청정모듈(120)에 의해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각각 정화한 후 혼합 배출하는 실내 및 환기 청정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80)를 통해 별도의 센서 또는 기상정보 제공 기관 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환기 청정기(100)의 동작모드를 제어할 수도 있다.
The
예를 들어,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산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 미만인 경우, 또는 실내 라돈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160)는 실외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환기 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제1 청정모듈(110) 및 제2 청정모듈(120)의 유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 차를 추가로 고려하여, 제1 청정모듈(110) 및 제2 청정모듈(120)의 유로를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기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air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the oxygen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when the concentration of indoor rad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또한, 실내 공기의 먼지량 또는 실외 공기의 먼지량이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실내 공기만을 정화하여 배출하는 실내 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제1 청정모듈(110) 및 제2 청정모듈(120)의 유로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dust in the indoor air or the amount of dust in the outdoor air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또한, 제어부(160)는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습도와 실내 공기의 온도를 기초로 실내 공기가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청정모듈(110) 및 제2 청정모듈(120)의 유로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실내 공기의 온도에 따른 습도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실내 공기의 온도에 따른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청정모듈(110) 및 제2 청정모듈(120)의 유로를 제어할 수 있다. Humidit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can be represented as shown in Table 1 below, and the
예를 들어, 실내 공기의 온도가 30℃, 습도가 80%이고, 실외 공기의 온도가 27℃, 습도가 60%인 경우, 제2 청정모듈(120)의 유로를 개방시켜서 상대적으로 건조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실내 공기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is 30°C and the humidity is 80%, and the temperature of the outdoor air is 27°C and the humidity is 60%, the flow path of the second
상술한 제어부(16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디스플레이부(170)는 센서부(150)에 의해 측정된 실내 및 실외 공기의 상태(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농도, 라돈 농도, 먼지량에 따른 오염도, 온도 및 상대습도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센서부(150)에 의해 측정된 실내 및 실외 공기의 상태를 기초로 소정의 행동지침(예를 들어, 외출 가능, 외출 자제, 마스크 준비 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환기 청정기(100)가 무선 통신부(180)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가 무선 통신부(180)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플릿 등)로 전송되고, 휴대 단말을 통해 상술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를 위해, 휴대 단말에는 환기 청정기(100)와의 연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환기 청정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더 나아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환기 청정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To this end, an application for interworking with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가 실내 청정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형성된 유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path formed when the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n indoor cleaning mode.
도 2를 참조하면, 실내 공기의 먼지량 또는 실외 공기의 먼지량이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제1 청정모듈(110)에 의해 실내 공기만을 정화하여 배출하는 실내 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제1 청정모듈(110) 및 제2 청정모듈(120)의 유로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when the amount of dust in the indoor air or the amount of dust in the outdoor air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제1 청정모듈(110)의 제1 밸브(111)를 개방하고 제2 청정모듈(120)의 제2 밸브(121)를 폐쇄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의 유로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이 경우, 제어부(160)는 실내 공기의 먼지량에 따라 먼지량이 많으면 제1 밸브(111) 개폐 각도를 조절하여 유로를 확장하고, 먼지량이 적으면 유도를 축소시킬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가 환기 청정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형성된 유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path formed when the ventilation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ventilation cleaning mode.
도 3을 참조하면,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제2 청정모듈(120)에 의해 실외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환기 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제1 청정모듈(110) 및 제2 청정모듈(120)의 유로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air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제1 청정모듈(110)의 제1 밸브(111)를 폐쇄하고 제2 청정모듈(120)의 제2 밸브(121)를 개방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공기의 유로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이 경우, 제어부(160)는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농도가 높으면 제2 밸브(121) 개폐 각도를 조절하여 유로를 확장하고, 농도가 낮으면 유도를 축소시킬 수도 있다.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air, when the concentration is high,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가 실내 및 환기 청정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형성된 유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path formed when the ventilation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n indoor and ventilation cleaning mode.
도 4를 참조하면,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고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 차가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제어부(160)는 제1 청정모듈(110) 및 제2 청정모듈(120)에 의해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각각 정화한 후 혼합 배출하는 실내 및 환기 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제1 청정모듈(110) 및 제2 청정모듈(120)의 유로를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기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air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제1 청정모듈(110)의 제1 밸브(111)와 제2 청정모듈(120)의 제2 밸브(121)를 모두 개방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유로가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이 경우, 제어부(160)는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 차에 따라 온도 차가 크면 제2 밸브(121)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여 유로를 축소시키고, 온도 차가 작으면 제2 밸브(121)의 개폐 각도를 조절하여 유로를 확장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is large, the
예를 들어,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 차가 7℃ 이상 차이가 날 경우 제1 밸브(111)는 100% 개방하고, 제2 밸브는 20%만 개방할 수 있다. 다만,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일정 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2 밸브는 50% 이상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is 7° C. or more, the
또한,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 차가 5℃ 이상인 경우 제1 밸브(111)는 100% 개방하고, 제2 밸브는 40%만 개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is 5° C. or more, the
또한,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 차가 3℃ 이하인 경우 제1 밸브(111)는 0~50% 개방하고, 제2 밸브는 100% 개방할 수 있다. 다만, 제1 밸브(111)의 개방 비율은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 또는 산소 농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is 3° C. or less, the
상술한 예에서 온도 차의 판단 기준 및 제1 및 제2 밸브의 개방 비율을 일 예에 불과하며 설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opening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valves are merely examples and may be changed by a designer.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의 구성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ventilation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환기 청정기(200)와 도 1에 도시된 환기 청정기(100)는 제1 청정모듈(210) 및 제2 청정모듈(220)과 공기 혼합부(230)의 상세 구성에 있어서 일부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해 환기 청정기(20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는 동일한 바, 차이점이 있는 구성 및 방법을 위주로 설명한다.
The
제1 청정모듈(210) 및 제2 청정모듈(220)은 유로 제어를 위한 밸브를 구비하지 않고 제1 유로(212) 및 제1 필터(213)와 제2 유로(222) 및 제2 필터(223)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또한, 공기 혼합부(2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양흡입팬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청정모듈(210) 및 제2 청정모듈(22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1 모터(231) 및 제2 모터(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mixing unit 230 does not consist of a single suction fan as shown in FIGS. 2 to 4 , but rather of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또한, 제어부(260)는 센서부(250)에 의해 측정된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를 기초로 제1 청정모듈(210) 및 제2 청정모듈(22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술한 실내 청정모드, 환기 청정모드 그리고 실내 및 환기 청정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산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 미만인 경우, 또는 실내 라돈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260)는 제1 모터(231) 및 제2 모터(232)의 RPM(Revolutions per minute)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제1 청정모듈(210) 및 제2 청정모듈(22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환기 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 차를 추가로 고려하여 제1 청정모듈(210) 및 제2 청정모듈(22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실내 공기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air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the oxygen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when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또한, 실내 공기의 먼지량 또는 실외 공기의 먼지량이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260)는 제1 모터(231) 및 제2 모터(232)의 RPM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제1 청정모듈(210) 및 제2 청정모듈(22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실내 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dust in the indoor air or the amount of dust in the outdoor air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70)는 실내 공기에 대해서는 먼지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오염도(또는 청정도)를 색상의 변화 등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실외 공기에 대해서는 먼지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오염도에 더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색상의 변화 등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실외 공기의 오염도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실내 및 실외 공기의 상태를 기초로 소정의 행동지침(예를 들어, 외출 가능, 외출 자제, 마스크 준비 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Also,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다양한 센서(예를 들어, 가스 센서, 먼지 센서, 온도 센서, 라돈 센서 등)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상태를 측정한다(S10).Referring to FIG. 7 , first, conditions of indoor air and outdoor air are measured using various sensors (eg, a gas sensor, a dust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radon sensor, etc.) (S10).
이후,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산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0).Thereafter, it is checked whethe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indoor air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the oxygen concentr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20).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또는 산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 미만)하는 경우,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 차를 확인하고(S30), 온도차에 따라 실내 및 실외 유로를 조절하여 실외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환기 청정모드 또는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각각 정화한 후 혼합 배출하는 실내 및 환기 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40).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air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the oxygen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is checked (S30), and the indoor and outdoor flow paths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Control is performed to operate in the ventilation clean mode in which air is purified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or in the indoor and ventilation clean mode in which the indoor air and outdoor air are individually purified and then mixed and discharged (S40).
한편,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 이하(또는 산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 이상)인 경우, 실내 공기의 먼지량 또는 실외 공기의 먼지량이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ai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the oxygen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is checked whether the amount of dust in the indoor air or the amount of dust in the outdoor air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50).
실내 공기의 먼지량 또는 실외 공기의 먼지량이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실내 유로만을 개방하여 실내 공기만을 정화하여 배출하는 실내 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60).When the amount of dust in the indoor air or the amount of dust in the outdoor air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control is performed to operate in an indoor clean mode in which only the indoor air passage is opened and only the indoor air is purified and discharged (S60).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S20 단계에서 실내 라돈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에 해당하는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환기 청정모드 또는 실내 및 환기 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7, it is checked whether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20. 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in clean mode.
여기서, 각각의 모드에서의 실내 유로 및 실외 유로를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since the detaile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door flow path and the outdoor flow path in each mod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환기 청정기
110, 210: 제1 청정 모듈
111: 제1 밸브
112, 212: 제1 유로
113, 213: 제1 필터
120, 220: 제2 청정 모듈
121: 제2 밸브
122, 222: 제2 유로
123, 223: 제2 필터
130, 230: 공기 혼합부
140, 240: 토출구
150, 250: 센서부
160, 260: 제어부
170, 270: 디스플레이부
180, 280: 무선 통신부100, 200: ventilation purifier
110, 210: first cleaning module
111: first valve
112, 212: first euro
113, 213: first filter
120, 220: second cleaning module
121: second valve
122, 222: 2nd Euro
123, 223: second filter
130, 230: air mixing unit
140, 240: outlet
150, 250: sensor unit
160, 260: control unit
170, 270: display unit
180, 28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laims (22)
실외 공기를 정화시키는 제2 청정모듈;
상기 제1 청정모듈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에 의해 정화된 실외 공기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공기 혼합부;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를 기초로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의 유로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기 청정기로서,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청정모듈에 의해 실내 공기만을 정화하여 배출하는 실내 청정모드;
상기 제2 청정모듈에 의해 실외 공기만을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환기 청정모드; 및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에 의해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각각 정화한 후 혼합 배출하는 실내 및 환기 청정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혼합부는,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산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RPM(Revolutions per minute)을 각각 조절하여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환기 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환기 청정기.
a first cleaning module for purifying indoor air;
a second cleaning module for purifying outdoor air;
an air mixing unit for discharging the indoor air purified by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the outdoor air purified by the second cleaning module respectively or by mixing and discharging it through a discharge port;
a sensor unit for measuring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and
The flow paths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 modules are adjusted based on the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or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lean modules is controlled. As a ventilation purifi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by adjusting the flow rate,
The operation mode is
an indoor cleaning mode in which only indoor air is purified and discharged by the first cleaning module;
a ventilation cleaning mode in which only outdoor air is purified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by the second cleaning module; and
and an indoor and ventilation cleaning mode for purifying indoor air and outdoor air by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the second cleaning module, respectively, and then mixing and discharging;
The air mixing unit includes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s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clean module, respectively,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air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the oxygen concentr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PM (Revolutions per minute)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respectively, to control the first clean module and A ventilation purifier which controls to operate in the ventilation cleaning mode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cleaning module.
실외 공기를 정화시키는 제2 청정모듈;
상기 제1 청정모듈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에 의해 정화된 실외 공기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공기 혼합부;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를 기초로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의 유로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기 청정기로서,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청정모듈에 의해 실내 공기만을 정화하여 배출하는 실내 청정모드;
상기 제2 청정모듈에 의해 실외 공기만을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환기 청정모드; 및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에 의해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각각 정화한 후 혼합 배출하는 실내 및 환기 청정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혼합부는,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산소 농도가 기 정해진 기준치 미만이고,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온도 차가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RPM(Revolutions per minute)을 각각 조절하여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실내 및 환기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환기 청정기.
a first cleaning module for purifying indoor air;
a second cleaning module for purifying outdoor air;
an air mixing unit for discharging the indoor air purified by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the outdoor air purified by the second cleaning module respectively or by mixing and discharging it through a discharge port;
a sensor unit for measuring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and
The flow paths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 modules are adjusted based on the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or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lean modules is controlled. As a ventilation purifi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by adjusting the flow rate,
The operation mode is
an indoor cleaning mode in which only indoor air is purified and discharged by the first cleaning module;
a ventilation cleaning mode in which only outdoor air is purified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by the second cleaning module; and
and an indoor and ventilation cleaning mode for purifying indoor air and outdoor air by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the second cleaning module, respectively, and then mixing and discharging;
The air mixing unit includes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s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clean module, respectively,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indoor air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the oxygen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ventilation purifier which controls to operate in the indoor and ventilation cleaning mode by adjusting the revolutions per minute (RPM), respectively,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the second cleaning module.
실외 공기를 정화시키는 제2 청정모듈;
상기 제1 청정모듈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에 의해 정화된 실외 공기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공기 혼합부;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를 기초로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의 유로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기 청정기로서,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청정모듈에 의해 실내 공기만을 정화하여 배출하는 실내 청정모드;
상기 제2 청정모듈에 의해 실외 공기만을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는 환기 청정모드; 및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에 의해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를 각각 정화한 후 혼합 배출하는 실내 및 환기 청정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혼합부는,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실내 공기의 먼지량 또는 실외 공기의 먼지량이 각각 기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RPM(Revolutions per minute)을 각각 조절하여 상기 제1 청정모듈 및 상기 제2 청정모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실내 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환기 청정기.
a first cleaning module for purifying indoor air;
a second cleaning module for purifying outdoor air;
an air mixing unit for discharging the indoor air purified by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the outdoor air purified by the second cleaning module respectively or by mixing and discharging it through a discharge port;
a sensor unit for measuring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and
The flow paths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 modules are adjusted based on the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or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lean modules is controlled. As a ventilation purifi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by adjusting the flow rate,
The operation mode is
an indoor cleaning mode in which only indoor air is purified and discharged by the first cleaning module;
a ventilation cleaning mode in which only outdoor air is purified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by the second cleaning module; and
and an indoor and ventilation cleaning mode for purifying indoor air and outdoor air by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the second cleaning module, respectively, and then mixing and discharging;
The air mixing unit includes a first motor and a second motor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s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lean module and the second clean module, respectively,
When the amount of dust in the indoor air or the amount of dust in the outdoor air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revolutions per minute (RPM)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respectively, to control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the second cleaning module. 2 A ventilation purifier that controls to operate in the indoor clean mode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clean module.
실내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인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폐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1 유로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를 통과시켜서 정화하는 제1 필터를 포함하는 환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rst clean module comprises: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indoor air moves;
a first valv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flow path and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nd a first filt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flow path and purifying by passing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실외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인 제2 유로;
상기 제2 유로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폐하는 제2 밸브; 및
상기 제2 유로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를 통과시켜서 정화하는 제2 필터를 포함하는 환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econd cleaning module comprises:
a second flow path through which outdoor air moves;
a second valv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flow path and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nd a second filt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low path and purifying by passing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또는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센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센서,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및 공기 중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ensor unit,
A gas sensor tha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or oxygen in the air,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air, a dust senso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dust contained in the air, a humidity sensor that measures the humidity of the air, and radon tha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radon in the air A ventilation purifi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sensors.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와, 상기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에 따라 기 정해진 행동지침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환기 청정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ventilation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nd predetermined action guidelines according to the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상기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환기 청정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rol unit ventilation purifi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와, 상기 실내 및 실외의 공기 상태에 따라 기 정해진 행동지침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환기 청정기.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nd information on predetermined action guidelines according to the indoor and outdoor air conditions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580039879.3A CN106574792A (en) | 2014-08-29 | 2015-08-07 | Ventilation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JP2017511932A JP6695862B2 (en) | 2014-08-29 | 2015-08-07 | Ventilation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CT/KR2015/008290 WO2016032144A1 (en) | 2014-08-29 | 2015-08-07 | Ventilation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13926 | 2014-08-29 | ||
KR1020140113926 | 2014-08-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7900A KR20160027900A (en) | 2016-03-10 |
KR102390211B1 true KR102390211B1 (en) | 2022-04-26 |
Family
ID=5553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7922A Active KR102390211B1 (en) | 2014-08-29 | 2015-07-30 |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695862B2 (en) |
KR (1) | KR102390211B1 (en) |
CN (1) | CN10657479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42012A (en) * | 2018-06-15 | 2019-12-26 |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 Air clean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063065A (en) * | 2016-10-11 | 2018-04-19 | 三菱電機株式会社 | Ventilation device |
CN107388347A (en) * | 2017-06-17 | 2017-11-24 | 安徽南国机电科技发展有限公司 | A kind of passive type air-cleaning function type door and window |
KR102036517B1 (en) | 2017-09-11 | 2019-10-25 | (주)다이나필 | Window-type Ai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07560087A (en) * | 2017-09-18 | 2018-01-09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Control method, air conditioner, house system and storage medium based on air conditioner |
KR101874820B1 (en) * | 2017-11-10 | 2018-08-03 | 주식회사 에스아이디허브 | AI ventilation system using public open big data related air qualities |
KR102527659B1 (en) | 2017-11-27 | 2023-05-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leaner |
CN108006885A (en) * | 2017-12-27 | 2018-05-08 | 常州艾可荻电器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double air passage air purifiers and its control method for being capable of inletting fresh air |
CN108302624A (en) * | 2018-01-30 | 2018-07-20 | 山东联星能源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energy-saving indoor purifying system |
CN108167950A (en) * | 2018-02-24 | 2018-06-15 | 温州松浦电器有限公司 | Air purifier and air cleaning system |
KR101957986B1 (en) * | 2018-09-20 | 2019-03-13 | 송보영 | Radon detection and removal system using baseboard exhaust device |
IT201800021160A1 (en) * | 2018-12-27 | 2020-06-27 | Radoff S R L | DEVICE FOR BLASTING THE RADON CONCENTRATION IN A CLOSED ENVIRONMENT. |
CN109945415A (en) * | 2019-03-19 | 2019-06-28 | 温岭卓致智能科技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energy conservation control system based on cloud platform |
KR102342133B1 (en) * | 2020-11-16 | 2021-12-23 | 주식회사 현진기업 | Virus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
TWI834971B (en) * | 2021-05-14 | 2024-03-11 |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 Indoor ai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
KR102591443B1 (en) | 2021-07-01 | 2023-10-2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Storage-catalytic removal-regeneration type air purifier |
KR102538331B1 (en) * | 2021-12-14 | 2023-05-31 | 주식회사 엔에스로보텍 | Remote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system for smart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s |
CN115247861B (en) * | 2022-06-28 | 2023-09-08 | 浙江中广电器集团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and dust removal control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3104Y1 (en) * | 2004-03-16 | 2004-06-22 | 강남필터 주식회사 | Indoor air and outdoor air introducing air clean ventilation system with high filtering efficiency for saving energy |
KR100531084B1 (en) * | 2004-06-17 | 2005-11-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 air cleaning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90032A (en) * | 1990-11-26 | 1992-07-08 | Yamatake Honeywell Co Ltd | Outer air taking control method |
JP3032391B2 (en) * | 1992-11-10 | 2000-04-17 | 松下精工株式会社 | Ventilation control device |
JPH11248209A (en) * | 1998-02-27 | 1999-09-14 | Mitsubishi Electric Corp | Ventilator |
JP2000146235A (en) * | 1998-11-04 | 2000-05-26 | Toshiba Corp | Air cleaner |
JP2001074300A (en) * | 1999-09-07 | 2001-03-23 | Sharp Corp | Air conditioner |
JP4852791B2 (en) * | 2001-03-23 | 2012-01-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Ventilation equipment |
KR101013372B1 (en) * | 2003-07-19 | 2011-0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lean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CN1727783A (en) * | 2004-07-26 | 2006-02-01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Device for controlling indoor air quality through using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
CN2739515Y (en) * | 2004-11-13 | 2005-11-0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total heat exchange system with gas detection device |
CN101029758B (en) * | 2006-03-03 | 2011-06-01 | 涂前文 | Multi-point atomizing central air-conditioner without nozzle |
CN2896095Y (en) * | 2006-04-27 | 2007-05-02 | 佟铁峰 | Indoor air comprehensive treatment device |
KR20070107195A (en) | 2006-05-02 | 2007-11-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entilation cleaning device |
KR20090040650A (en) * | 2007-10-22 | 2009-04-27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ir cleanliness and controlling ventilation equipment by using telecommunication terminal |
CN101440984B (en) * | 2008-12-16 | 2010-06-09 | 中山大学 | Airflow adjustment method for communication base station air conditioning unit |
CN201322393Y (en) * | 2008-12-19 | 2009-10-07 | 幸乾富 | Combined air-conditioning unit with functions of ai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
RU2402718C2 (en) * | 2009-01-23 | 2010-10-27 | Евгений Шойльевич Нудельман | Method of feeding air into spray cabinet for spray painting by liquid paints (versions) and ventilation unit to this end (versions) |
KR20110048156A (en) * | 2009-11-02 | 2011-05-11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otal Heat Exchange Ventilator |
CN201917007U (en) * | 2009-11-19 | 2011-08-03 | 白少华 | Domestic ventilation refresher |
HK1147020A2 (en) * | 2011-01-14 | 2011-07-22 | Akos R&D Limited |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
CN202149557U (en) * | 2011-07-22 | 2012-02-22 | 西安工程大学 | Tube type indirect mode and spraying fan composite air conditioning unit with disk filter |
CN202303663U (en) * | 2011-08-25 | 2012-07-04 | 王恩立 | Fresh air conditioner for computer room |
CN102620360B (en) * | 2012-03-30 | 2014-07-30 | 浙江大学建筑设计研究院 |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air at tail end of air-conditioning system |
CN103912959A (en) * | 2014-04-22 | 2014-07-09 | 刘智勇 |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intelligent air purifying machine |
-
2015
- 2015-07-30 KR KR1020150107922A patent/KR102390211B1/en active Active
- 2015-08-07 JP JP2017511932A patent/JP6695862B2/en active Active
- 2015-08-07 CN CN201580039879.3A patent/CN106574792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3104Y1 (en) * | 2004-03-16 | 2004-06-22 | 강남필터 주식회사 | Indoor air and outdoor air introducing air clean ventilation system with high filtering efficiency for saving energy |
KR100531084B1 (en) * | 2004-06-17 | 2005-11-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 air cleaning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42012A (en) * | 2018-06-15 | 2019-12-26 |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 Air cleaning apparatus |
KR102514293B1 (en) | 2018-06-15 | 2023-03-27 |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 Air clean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7526888A (en) | 2017-09-14 |
KR20160027900A (en) | 2016-03-10 |
CN106574792A (en) | 2017-04-19 |
JP6695862B2 (en) | 2020-05-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90211B1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390210B1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WO2020119007A1 (en) |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 |
US733185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ing and controlling ventilation airflow into a structure | |
US944250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wireless devices of an HVAC system | |
US10094585B2 (en) | Auto test for delta T diagnostics in an HVAC system | |
KR20180126217A (en) | Air purifier | |
KR20170086246A (en) | Movable air purify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486845B1 (en) | Air purifying system | |
KR101108543B1 (en) | Indoor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at individually controls environmental control devices | |
KR20170039093A (en) | Top cover of air treatment system | |
JP7019674B2 (en) |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 |
KR20190064700A (en) | Method and device for window-mounted air-cleaner | |
KR20170031809A (en) | Air quality display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 |
KR20160112844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 | |
KR20160045563A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KR20200063328A (en) | Indoor air quality improvement system based on IoT and cloud | |
TWM526736U (en) | Laboratory computer control system | |
KR20210020484A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60048241A (en) | Smart air car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9579243A (en) | Air quality detection system and air quality control system | |
SE540306C2 (en) | Indoor air ventilation system with smart sensor network | |
KR102275600B1 (en) | Mod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CN107883521B (en) | Control method of fresh air machine, fresh air machin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KR20170027917A (en) | Air purifying system having supplementary fa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7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