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88045B1 -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 Google Patents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045B1
KR102388045B1 KR1020170078897A KR20170078897A KR102388045B1 KR 102388045 B1 KR102388045 B1 KR 102388045B1 KR 1020170078897 A KR1020170078897 A KR 1020170078897A KR 20170078897 A KR20170078897 A KR 20170078897A KR 102388045 B1 KR102388045 B1 KR 102388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ine
aac
aerated concrete
polyamine
epoxy comp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690A (ko
Inventor
디르크 푸쉬만
미하엘 보겔
블라디슬라브 야로슬라브스키
엘레나 티모피바
블라디미르 리흐터
Original Assignee
에보니크 오퍼레이션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니크 오퍼레이션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보니크 오퍼레이션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00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0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2Selection of the hardening environment
    • C04B40/024Steam hardening, e.g. in an autoclav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022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obtained by a chemical conversion or reaction other than those relating to the setting or hardening of cement-like material or to the formation of a sol or a gel, e.g. by carbonising or pyrolysing preformed cellular materials based on polymers, organo-metallic or organo-silicon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81Polyep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5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rticles of expanded material, e.g. cellular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1025Coating to obtain fibres used for reinforcing cement-based products
    • C03C25/103Organic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24Coating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C03C25/26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 C03C25/32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3C25/36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18Coating or impregnating with organic materials
    • C04B20/1029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0/10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04B24/121Amines, 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4Polyep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2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adding chemical blow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4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 C08G59/245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006Amines aliphatic
    • C08G59/502Polyalkylene 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026Amines cyclo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6Amines together with other cu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5Epoxy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586Roof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03Ceil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023Resistance against alkali-aggregate 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40Porous or lightweigh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2Sound-insula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60Floor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6Use at unusual temperatures, e.g. sub-zero
    • C04B2111/763High temper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xic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poxy Resin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A) 적어도 1종의 섬유상 캐리어, 및 B) 에폭시 화합물 B1) 대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성분 B2)의 화학량론비 0.8:1 내지 2:1의, B1) 적어도 1종의 에폭시 화합물 및 B2) 적어도 1종의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으로 형성된, 매트릭스 재료로서의 경화 조성물, 및 C) 임의로 추가 보조제 및 첨가제로 형성된 리바를 포함하는,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REINFORCED BUILDING BLOCK MADE OF AUTOCLAVED AERATED CONCRETE (AAC)}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 또는 오토클레이브 기공 콘크리트 (ACC)는 세골재, 시멘트, 및 새 혼합물이 빵 반죽처럼 부풀어 오르도록 하는 팽창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빌딩 블록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재료는 공장에서 몰딩되고 정확한 치수의 유닛으로 절단된다. 수득된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의 양생된 블록 또는 패널은 그 후에 조적용 모르타르와 접합될 수 있다.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 또는 오토클레이브 기공 콘크리트 (ACC)에 관한 추가 정보 및 정의는 예를 들어 유럽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협회 (European Autoclaved Aerated Concrete Association; EAACA)에 의해 이용가능하다.
지금까지 최신 기술에서 사용되어 온 무수물-기재 에폭시 결합제의 화학적 특성 때문에,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은 알칼리 및 높은 작업 온도에 내성을 갖지 못한다. 처음 28일 동안의 콘크리트 양생은 발열 작용과 함께 강한 알칼리성 반응 매체에서 수행되는데 (60℃ 이하), 이는 이소메틸테트라프탈산 무수물 (IMTGPA)을 기재로 하는 복합 재료의 물리-기계적 특성에 유해한 매체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이르러 경화제 B)를 기재로 하는 복합재 리바(rebar)가 알칼리성에 대하여 훨씬 더 안정적이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 및 섬유상 캐리어 및 경화제 B)를 기재로 하는 리바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은 최신 기술과 비교하여 우수한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게다가, 경화제 B)를 기재로 하는 복합재 리바는 최신 기술의 리바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빌딩 블록에 사용되어 개선된 내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강 빌딩 블록이
본질적으로
A) 적어도 1종의 섬유상 캐리어, 및
B) 에폭시 화합물 B1) 대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성분 B2)의 화학량론비 0.8:1 내지 2:1의
B1) 적어도 1종의 에폭시 화합물, 및
B2) 적어도 1종의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으로 형성된, 매트릭스 재료로서의 경화 조성물, 및
C) 임의로 추가 보조제 및 첨가제
로 형성된 리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을 제공한다.
리바는 본질적으로 A) 적어도 1종의 섬유상 캐리어, 및 B) 경화 조성물로 형성된다. 따라서, 리바를 제조할 때는, 섬유상 캐리어 및 경화성 (아직 경화되지 않은) 조성물이 사용된다. 리바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화성 조성물은 임의로 추가 보조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보조제 및 첨가제의 경우에,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보강을 위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빌딩 블록은 다양한 용도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유리한 특성을 갖는다.
* 구성요소, 즉 본 발명의 빌딩 블록은 벽, 바닥, 천장 및 지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경량 재료로 우수한 방음 및 단열을 제공하며, 모든 시멘트-기재 재료처럼 튼튼하고 내화성을 갖는다.
* 내구적이기 위해, AAC는 일부 유형의 적용 마감재, 예컨대 중합체-개질 스투코(stucco), 천연 또는 인공 석재, 또는 사이딩(siding)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빌딩 블록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리바에 관한 상세한 설명.
리바는 본질적으로
A) 적어도 1종의 섬유상 캐리어, 및
B) 에폭시 화합물 B1) 대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성분 B2)의 화학량론비 0.8:1 내지 2:1의
B1) 적어도 1종의 에폭시 화합물, 및
B2) 적어도 1종의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으로 형성된, 매트릭스 재료로서의 경화 조성물, 및 또한
C) 임의로 추가 보조제 및 첨가제
로 형성된다.
리바는 본질적으로 A) 적어도 1종의 섬유상 캐리어, 및 B) 경화 조성물로 형성된다. 따라서, 리바를 제조할 때는, 섬유상 캐리어 및 경화성 (아직 경화되지 않은) 조성물이 사용된다. 리바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화성 조성물은 임의로 추가 보조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보조제 및 첨가제의 경우에,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보강을 위해 존재한다.
에폭시 화합물 B1) 대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B2)의 화학량론비는 0.8:1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0.95:1, 보다 바람직하게는 1:1이다. 화학량론비는 하기와 같이 계산된다: 화학량론적 반응이란 에폭시 수지의 1개의 옥시란 기가 아민의 1개의 활성 수소 원자와 반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0.8:1의 에폭시 성분 B1) 대 아민 성분 B2)의 화학량론비는 (에폭시 당량 [g/eq] x 0.8) 대 (아민의 H-활성 당량 [g/eq] x 1)을 의미한다.
조성물 B)의 도포, 및 바람직하게는 열 처리에 의한 경화 후에, 리바는 비-점착성이 되고, 그에 따라 매우 효율적으로 취급 및 추가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 B)는 섬유상 캐리어 상의 매우 양호한 접착성 및 분포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 B)는 액체이므로 섬유 재료의 함침을 위한 용매의 첨가 없이 적합하고, 환경 친화적이고 저렴하며,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단순한 방식으로 가공가능하며, 경화 후의 양호한 내후성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리바는, 특히 콘크리트의 알칼리성 매체에 대하여 예외적으로 우수한 내화학성을 갖는다.
섬유상 캐리어 A)
섬유상 캐리어는, 종종 보강 섬유라고도 불리는 섬유상 재료로 이루어진다. 섬유를 이루는 임의의 재료가 일반적으로 적합하나, 유리, 탄소,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아미드 (아라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섬유상 재료, 천연 섬유, 또는 광물 섬유 재료, 예컨대 현무암 섬유 또는 세라믹 섬유 (알루미늄 옥시드 및/또는 실리콘 옥시드를 기재로 하는 옥시드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유형의 혼합물, 예를 들어 아라미드 섬유와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와 유리 섬유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 때문에, 유리 섬유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유형이다. 원칙적으로는, 모든 유형의 유리-기재 보강 섬유가 여기서 적합하다 (E 유리, S 유리, R 유리, M 유리, C 유리, ECR 유리, D 유리, AR 유리, 또는 중공 유리 섬유). 탄소 섬유는 일반적으로 고성능 복합재에 사용되는데, 여기서 또 다른 중요한 인자는 고 강도를 갖는 것과 동시에 유리 섬유와 비교하여 낮은 밀도이다. 탄소 섬유는 열분해에 의해 흑연-유사 배열의 탄소로 변환되는 탄소질 출발 재료로 구성된, 산업적으로 생산되는 섬유이다. 등방성 유형과 이방성 유형이 구분된다: 등방성 섬유는 단지 저 강도 및 보다 낮은 산업적 중요성을 가지고; 이방성 섬유는 낮은 파단 연신율을 갖는 것과 동시에 고 강도 및 강성도를 나타낸다. 천연 섬유는 여기서 식물 및 동물 재료로부터 수득된 모든 텍스타일 섬유 및 섬유상 재료 (예를 들어, 목질 섬유, 셀룰로스 섬유, 면 섬유, 대마 섬유, 황마 섬유, 아마 섬유, 사이잘(sisal) 섬유 및 대나무 섬유)를 말한다. 탄소 섬유와 마찬가지로, 아라미드 섬유는 음의 열팽창계수를 나타내는데, 즉 가열시 더 짧아진다. 그의 비강도 및 탄성 계수는 탄소 섬유보다 현저히 낮다. 매트릭스 수지의 양의 팽창계수와 조합되어, 높은 치수 안정성의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소 섬유-보강 플라스틱과 비교하여, 아라미드 섬유 복합재의 압축 강도는 훨씬 낮다. 아라미드 섬유의 공지된 상표명은 듀폰(DuPont)의 노멕스(Nomex)® 및 케블라(Kevlar)®, 또는 테이진(Teijin)의 테이진코넥스(Teijinconex)®, 트와론(Twaron)® 및 테크노라(Technora)®이다. 특히 적합하고 바람직한 캐리어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 또는 세라믹 섬유로 제조된 것들이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언급된 모든 재료가 섬유상 캐리어로서 적합하다. 보강 섬유의 개요는 문헌 ["Composites Technologies", Paolo Ermanni (Version 4), script for lecture at ETH Zuerich, August 2007, Chapter 7]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캐리어 재료는 섬유상 캐리어가, 개별적으로 또는 상이한 섬유 유형의 혼합물로서, 유리, 탄소,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아라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광물 섬유 재료, 예컨대 현무암 섬유 또는 세라믹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의의 기하형태의 유리 섬유, 특히 충실형 또는 중공 막대 형태의 원형 유리 섬유가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와인딩 쓰레드(winding thread) 또는 환형 또는 나선형 홈의 밀링(milling)에 의한, 콘크리트에서의 안정된 앵커링(anchoring)을 위한 표면 프로파일을 갖는 충실형 막대가 특히 바람직하다.
막대는 추가적으로 표면 탑코트가 제공될 수 있다.
매트릭스 재료 B)
에폭시 화합물 B1)
적합한 에폭시 화합물 B1)은 예를 들어 EP 675 185에 기재되어 있다.
유용한 화합물은 분자 당 1개 초과의 에폭시 기, 바람직하게는 2개의 에폭시 기를 함유하는, 이러한 목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다수의 것들이다. 이들 에폭시 화합물은 포화 또는 불포화일 수 있고,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방향족 또는 헤테로시클릭일 수 있으며, 또한 히드록실 기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혼합 또는 반응 조건 하에 임의의 주의를 요하는 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그러한 치환기, 예를 들어 알킬 또는 아릴 치환기, 에테르 모이어티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다가 페놀, 특히 비스페놀 및 노볼락으로부터 유래되고, 에폭시 기의 개수를 기준으로 한 몰 질량 ME ("에폭시 당량", "EV 값")가 100 내지 1500 g/eq, 특히 150 내지 250 g/eq인 글리시딜 에테르이다.
다가 페놀의 예는 레조르시놀, 히드로퀴논,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 디히드록시디페닐메탄의 이성질체 혼합물 (비스페놀 F), 4,4'-디히드록시디페닐시클로헥산, 4,4'-디히드록시-3,3'-디메틸디페닐프로판, 4,4'-디히드록시디페닐,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 비스(4-히드록시페닐)-1,1-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1,1-이소부탄, 2,2-비스(4-히드록시-tert-부틸페닐)프로판, 비스(2-히드록시나프틸)메탄,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트리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 에테르, 특히 비스(4-히드록시페닐) 술폰, 및 상기에 언급된 화합물의 염소화 및 브로민화 생성물, 예를 들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를 포함한다. 150 내지 200 g/eq의 에폭시 당량을 갖는, 비스페놀 A 및 비스페놀 F를 기재로 하는 액체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알콜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예를 들어 에탄-1,2-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판-1,2-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판-1,3-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펜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포함), 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고급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예를 들어 고급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코-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헥산-1,2,6-트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소르비톨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옥시알킬화된 폴리올 (예를 들어, 특히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메탄 및 2,2-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피마자유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트리글리시딜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추가로 유용한 성분 B1)은 에피클로로히드린과 아민, 예컨대 아닐린, n-부틸아민, 비스(4-아미노페닐)메탄, m-크실릴렌디아민 또는 비스(4-메틸아미노페놀)메탄의 반응 생성물의 탈할로겐화수소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 폴리(N-글리시딜) 화합물을 포함한다. 폴리(N-글리시딜) 화합물은 또한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글리시딜우라졸 및 그의 올리고머, 시클로알킬렌우레아의 N,N'-디글리시딜 유도체 및 특히 히단토인의 디글리시딜 유도체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에피클로로히드린 또는 유사한 에폭시 화합물과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예컨대 옥살산, 숙신산,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헥사히드로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및 고급 디글리시딜 디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이량체화 또는 삼량체화된 리놀렌산의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카르복실산의 폴리글리시딜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 예로는 디글리시딜 아디페이트, 디글리시딜 프탈레이트 및 디글리시딜 헥사히드로프탈레이트가 있다.
추가적으로,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불포화 알콜 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에폭시화 에스테르도 그 예가 될 것이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와 함께, 소량의 모노에폭시드, 예를 들어 메틸 글리시딜 에테르, 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장쇄 지방족 글리시딜 에테르, 예를 들어 세틸 글리시딜 에테르 및 스테아릴 글리시딜 에테르, 고급 이성질체 알콜 혼합물의 모노글리시딜 에테르, C12 내지 C13 알콜 혼합물의 글리시딜 에테르,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크레실 글리시딜 에테르, p-tert-부틸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p-옥틸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p-페닐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알콕실화된 라우릴 알콜의 글리시딜 에테르, 및 또한 에폭시화된 단일불포화 탄화수소 (부틸렌 옥시드, 시클로헥센 옥시드, 스티렌 옥시드)와 같은 모노에폭시드를, 폴리글리시딜 에테르의 질량을 기준으로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의 질량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합한 에폭시 화합물의 상세한 목록은 편람 ["Epoxidverbindungen und Epoxidharze" [Epoxy Compounds and Epoxy Resins] by A. M. Paquin, Springer Verlag, Berlin 1958, Chapter IV] 및 [Lee Neville "Handbook of Epoxy Resins", 1967, Chapter 2]에서 찾아볼 수 있다.
유용한 에폭시 화합물 B1)은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 에테르 및 글리시딜 에스테르, 지방족 에폭시드, 비스페놀 A 및/또는 비스페놀 F를 기재로 하는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에폭시드의 다른 예는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TGIC, 상표명: 아랄디트(ARALDIT) 810, 헌츠만(Huntsman)), 디글리시딜 테레프탈레이트와 트리글리시딜 트리멜리테이트의 혼합물 (상표명: 아랄디트 PT 910 및 912, 헌츠만), 버사틱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상표명: 카두라(CARDURA) E10, 쉘(Shell)),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ECC), 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글리시딜 에테르 (상표명: 폴리폭스(POLYPOX) R 16, UPPC AG), 및 유리 에폭시 기를 갖는 다른 폴리폭스 제품이다.
언급된 에폭시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사용되는 에폭시 성분 B1)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기재,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 에테르 기재 또는 시클로지방족 유형의 폴리에폭시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 B)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기재로 하는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기재로 하는 에폭시 수지 및 시클로지방족 유형, 예를 들어 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폭시에탄 또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비스페놀 A-기재 에폭시 수지 및 비스페놀 F-기재 에폭시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성분 B1)로서 에폭시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아민 B2)
디- 또는 폴리아민 B2)는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단량체, 올리고머 및/또는 중합체 화합물일 수 있다.
단량체 및 올리고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디아민, 트리아민, 테트라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성분 B2)로서, 1급 및/또는 2급 디- 또는 폴리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급 디- 또는 폴리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디- 또는 폴리아민 B2)의 아미노 기는 1급, 2급 또는 3급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급 또는 2급 탄소 원자에 부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성분 B2)는 바람직하게는 단독의 또는 혼합물의 하기 아민이다:
* 지방족 아민, 예컨대 폴리알킬렌폴리아민, 바람직하게는 에틸렌-1,2-디아민, 프로필렌-1,2-디아민, 프로필렌-1,3-디아민, 부틸렌-1,2-디아민, 부틸렌-1,3-디아민, 부틸렌-1,4-디아민, 2-(에틸아미노)에틸아민, 3-(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펜타에틸렌헥사민,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메틸펜탄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N-(2-아미노에틸)에탄-1,2-디아민, N-(3-아미노프로필)프로판-1,3-디아민, N,N"-1,2-에탄디일비스(1,3-프로판디아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 히드라진으로부터 선택된 것;
* 옥시알킬렌폴리아민, 예컨대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및 폴리옥시프로필렌트리아민 (예를 들어, 제파민(Jeffamine)® D-230, 제파민® D-400, 제파민® T-403, 제파민® T-5000), 1,13-디아미노-4,7,10-트리옥사트리데칸, 4,7-디옥사데칸-1,10-디아민;
* 이소포론디아민 (3,5,5-트리메틸-3-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아민), 단독의 또는 이성질체 혼합물의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2,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및 2,2'-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N-시클로헥실-1,3-프로판디아민, 1,2-디아미노시클로헥산, 3-(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필아민, 피페라진, N-아미노에틸피페라진, TCD 디아민 (3(4),8(9)-비스(아미노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으로부터 선택된 시클로지방족 아민;
* 아르지방족 아민, 예컨대 크실릴렌디아민;
* 단독의 또는 이성질체 혼합물의 페닐렌디아민, 페닐렌-1,3-디아민, 페닐렌-1,4-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2,2'-디아미노디페닐메탄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아민;
* 에폭시 화합물, 특히 비스페놀 A 및 F의 글리시딜 에테르와 과량의 아민의 반응 생성물인 부가물 경화제(adduct hardener);
* 모노- 및 폴리카르복실산과 폴리아민의 축합, 특히 이량체 지방산과 폴리알킬렌폴리아민의 축합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아미도아민 경화제;
* 1가 또는 다가 페놀과 알데히드, 특히 포름알데히드, 및 폴리아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만니히(Mannich) 염기 경화제;
* 예를 들어 페놀 및/또는 레조르시놀, 포름알데히드 및 m-크실릴렌디아민, 및 또한 N-아미노에틸피페라진을 기재로 하는 만니히 염기 및 N-아미노에틸피페라진과 노닐페놀 및/또는 벤질 알콜의 블렌드, 카르다놀, 알데히드 및 아민으로부터 만니히 반응으로 수득되는 페날카민.
성분 B2)로서 상기에 언급된 디- 또는 폴리아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성분 B2)로서, 이소포론디아민 (3,5,5-트리메틸-3-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아민, IPD), 단독의 또는 이성질체 혼합물의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2,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2,2'-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PACM이라고도 함),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이성질체 혼합물 (TMD), 에폭시 화합물과 상기에 언급된 아민 또는 상기에 언급된 아민의 조합의 반응 생성물을 기재로 하는 부가물 경화제로부터 선택된 디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소포론디아민 (3,5,5-트리메틸-3-(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아민, IPD) 및/또는 이소포론디아민 및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이성질체 혼합물 (TMD) 및/또는 에폭시 화합물과 상기에 언급된 아민 또는 상기에 언급된 아민의 조합의 반응 생성물을 기재로 하는 부가물 경화제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디- 및 폴리아민 B2) 이외에도, 잠재성 경화제와 함께 디- 및 폴리아민을 성분 B2)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되는 추가의 잠재성 경화제는 원칙적으로 이러한 목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화합물, 즉 80℃의 한정된 제한 온도 미만에서는 에폭시 수지에 대하여 불활성이지만, 상기 용융 온도를 초과하면 바로 수지의 가교로 급속 반응하는 임의의 화합물일 수 있다. 사용되는 잠재성 경화제에 대한 제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특히 적어도 100℃이다. 이러한 종류의 화합물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시판되고 있다.
적합한 잠재성 경화제의 예는 디시안디아미드, 시아노구아니딘, 예를 들어 US 4,859,761 또는 EP-A-306 451에 기재된 화합물, 방향족 아민, 예를 들어 4,4- 또는 3,3-디아미노디페닐 술폰, 또는 구아니딘, 예를 들어 1-o-톨릴비구아니드, 또는 개질 폴리아민, 예를 들어 안카민(Ancamine) TM 2014 S (앵커 케미칼 유케이 리미티드(Anchor Chemical UK Limited), 맨체스터)이다.
적합한 잠재성 경화제는 또한 N-아실이미다졸, 예를 들어 1-(2,4,6-트리메틸벤조일)-2-페닐이미다졸 또는 1-벤조일-2-이소프로필이미다졸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US 4,436,892, US 4,587,311 또는 JP 특허 743,212에 기재되어 있다.
추가의 적합한 경화제는 이미다졸의 금속 염 착물, 예를 들어 US 3,678,007 또는 US 3,677,978에 기재된 것, 카르복실산 히드라지드, 예를 들어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 이소프탈산 디히드라지드 또는 안트라닐산 히드라지드, 트리아진 유도체, 예를 들어 2-페닐-4,6-디아미노-s-트리아진 (벤조구아나민) 또는 2-라우릴-4,6-디아미노-s-트리아진 (라우로구아나민), 및 멜라민 및 그의 유도체이다. 후자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US 3,030,247에 기재되어 있다.
적합한 잠재성 경화제로서 또한 시아노아세틸 화합물, 예를 들어 네오펜틸 글리콜 비스(시아노아세테이트), N-이소부틸시아노아세트아미드, 헥사메틸렌 1,6-비스(시아노아세테이트) 또는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 비스(시아노아세테이트)가, 예를 들어 US 4,283,520에 기재되어 있다.
적합한 잠재성 경화제는 또한 N-시아노아실아미드 화합물, 예를 들어 N,N-디시아노아디파미드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US 4,529,821, US 4,550,203 및 US 4,618,712에 기재되어 있다.
추가의 적합한 잠재성 경화제는 US 4,694,096에 기재된 아실티오프로필페놀 및 US 3,386,955에 개시된 우레아 유도체, 예를 들어 톨루엔-2,4-비스(N,N-디메틸카르바미드)이다.
바람직한 잠재성 경화제는 4,4-디아미노디페닐 술폰, 및 특히 디시안디아미드이다.
상기에 언급된 잠재성 경화제는 전체 아민 조성물 (성분 B2)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보조제 및 첨가제 C)
성분 A) 및 B) (캐리어 재료 및 수지 조성물) 이외에도, 리바는 또한 추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전형적으로 수지 조성물 B)에 첨가된다. 예를 들어, 광 안정화제, 예를 들어 입체 장애 아민, 또는 예를 들어 EP 669 353에 기재된 다른 보조제가 0.05 중량% 내지 5 중량%의 총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충전제 및 안료, 예를 들어 티타늄 디옥시드 또는 유기 염료가 전체 조성물의 3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응성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첨가제, 예컨대 레벨링제(levelling agent)로서,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이, 접착 촉진제로서,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를 기재로 하는 것들이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추가 성분이 임의로 존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및 첨가제는 쇄 이동제, 가소제, 안정화제 및/또는 억제제일 수 있다. 또한, 염료, 충전제, 습윤 보조제, 분산 보조제 및 레벨링 보조제, 접착 촉진제, UV 안정화제, 소포제 및 유동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에폭시-아민 반응을 위한 촉매가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촉진제가 문헌 [H. Lee and K. Neville, Handbook of Epoxy Resins, McGraw-Hill, New York, 1967]에 기재되어 있다. 보통, 촉진제는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촉진제의 예는 유기 산, 예컨대 살리실산, 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히드록시벤조산, 메틸살리실산, 2-히드록시-3-이소프로필벤조산 또는 히드록시나프토산, 락트산 및 글리콜산, 3급 아민, 예컨대 벤질디메틸아민 (BDMA),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DABCO), 트리에틸아민, N,N'-디메틸피페라진 또는 아미노에틸피페라진 (AEP), 히드록실아민, 예컨대 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안카민 K54), 우론, 예컨대 3-(4-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모누론), 3-(3,4-디클로로페닐)-1,1-디메틸우레아 (디우론), 3-페닐-1,1-디메틸우레아 (페누론), 3-(3-클로로-4-메틸페닐)-1,1-디메틸우레아 (클로르톨루론), 테트라알킬구아니딘, 예컨대 N,N,N',N'-테트라메틸구아니딘 (TMG), 이미다졸 및 이미다졸 유도체, 예컨대 1H-이미다졸, 1-메틸이미다졸, 2-메틸이미다졸, 1-벤질-2-메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2-페닐-4-메틸이미다졸, 1-비닐이미다졸, 1-(2-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 1,2-디메틸이미다졸, 1-시아노에틸이미다졸 및 이들의 적합한 염, 페놀 및 페놀 유도체, 예컨대 t-부틸페놀, 노닐페놀, 비스페놀 A 또는 비스페놀 F, 및 유기 또는 무기 염 및 착물, 예컨대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칼슘 니트레이트 (촉진제 3130), 또는 Mg, Ca, Zn 및 Sn의 카르복실레이트, 술포네이트, 포스포네이트, 술페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또는 니트레이트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질적으로
A) 적어도 1종의 섬유상 캐리어, 및
B) 에폭시 화합물 B1) 대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성분 B2)의 화학량론비 0.8:1 내지 2:1의
B1) 적어도 1종의 에폭시 화합물, 및
B2) 적어도 1종의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으로 형성된, 매트릭스 재료로서의 경화 조성물, 및
C) 임의로 추가 보조제 및 첨가제
로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리바를 몰드에 넣고, 기포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첨가하고, 몰드의 내용물을 양생하는, 본 발명에 따른 빌딩 블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적어도 1개의 리바는 보강 그리드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리바 (존재하는 경우)와 접합 (함께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복수 개의 리바를 이용하는데, 이들 리바는 향상된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 빌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해, 예를 들어 플라스틱 클램프로 함께 접합되어 보강 그리드를 형성한 후에, 모르타르가 몰드에 첨가된다. 몰드는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몰드는 강철로 제조된다. 기포 콘크리트 조성물 뿐만 아니라, 그의 양생 조건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도포, 경화, 온도, 방법, 변형법
섬유-보강 중합체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리바는 바람직하게는 풀트루전(pultrusion)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풀트루전은 섬유-보강 열경화물의 연속 제조 방법이다. 생성물은 통상적으로 균일한 단면의 연속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는 보강 재료, 예컨대 전형적으로 로빙, 또는 절단 매트, 연속 매트, 스크림(scrim) 및 부직물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수지 조를 통해 통과시키고, 과량의 수지를 스트리핑(stripping)하고, 적절한 슬롯(slot)에 의해 구조체를 예비성형한 다음, 함침된 섬유를 적절한 프로파일의 단면을 갖는 가열된 몰드를 통해 또는 별법으로 프리-플로팅(free-floating) 방식으로 경화 장치를 통해 인발하고, 이들을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요약하면, 풀트루전 시스템은 하기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 보강 섬유를 위한 권출 스테이션
- 함침 장치
- 예비성형 및 공급 유닛
- 몰드 (A) 또는 경화 장치 (B)
- 인발 스테이션
- 마감
권출 스테이션은 로빙을 위한 크릴(creel) 및/또는 2차원의 보강 재료를 위한 적절한 권출 스테이션으로 이루어진다. 함침 장치는 개방된 수지 조 또는 폐쇄된 다성분 함침 유닛일 수 있다. 함침 장치는 가열가능할 수 있고/거나 순환 유닛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섬유가 수지 시스템으로 함침된 후에, 함침된 보강 재료는 구멍을 통해 통과하고, 그 과정에서 과량의 수지가 스트리핑되어 표적 섬유 부피 함량이 설정된다. 슬롯의 형상은 또한 최종 형상에 근접한(near net shape) 예비성형물을 연속적으로 생성한다. 이렇게 한정된 함침 섬유 예비성형물은 이어서 가열된 몰드에 들어간다. 몰드 (A)를 통한 인발에 의해 풀트루전 프로파일이 그의 최종 치수 및 형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성형 공정 동안에, 구성요소가 경화된다. 가열은 전기적으로 또는 열유에 의해 실시된다. 바람직하게는, 몰드는 복수 개의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가열 세그먼트가 설치된다. 풀트루전 기구는 보통 75 cm 내지 1.50 m의 길이를 가지며 1-피스(piece) 또는 2-피스일 수 있다. 인발 스테이션은 보강 재료를 각각의 권출 스테이션으로부터, 보강 섬유를 함침 유닛을 통해, 함침된 섬유 재료를 구멍을 통해, 또한 연속적으로 생성된 예비성형물을 성형 몰드를 통해 연속적으로 인발하고, 여기서 수지 시스템은 후속적으로 경화되어 그로부터 마감된 프로파일이 단부에서 배출된다. 연쇄 공정에서 마지막 요소는 표면 구성을 위한 가공 스테이션 (예를 들어, 밀), 이어서 풀트루전 프로파일이 목적하는 치수로 후속적으로 절단되는 소잉(sawing) 스테이션이다.
선택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리바의 표면 구성이 함침 단계 및 과량의 수지 스트리핑 후에, 그리고 섬유/매트릭스 구조체가 경화 장치 (B)에 들어가기 전에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수지 스트리핑 후의 함침된 복합 섬유 가닥은 가로방향의 또는 나선형 방식의 와인딩 쓰레드 홈이 제공된다. 일부 경우에는, 표면이 사포로 처리된다. 이러한 경우에, 경화 장치는 연속적으로 생성된 수지-함침 섬유 구조체가 프리-플로팅 방식으로 경화되는 오븐이다. 경화 장치의 가열 또는 재료에의 열의 도입은 열풍, IR 복사선 또는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화 장치는 전형적으로 2 내지 10 m의 길이를 가지며,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가열 세그먼트를 갖는다. 경화는 1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실시되고; 전형적인 전진 속도는 0.5 내지 5 m/분이다.
전체 성형 공정이 종료될 때 (표면 구성된 바(bar)의 경화), 표면 코팅 단계가 또한 임의로 실시될 수 있다.
실시예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의 제조
단계 1: "복합재 리바 특성에 대한 온도 인자의 영향"
경화 조성물을 에폭시 화합물 B1) 대 성분 B2)의 화학량론비 1.0:1.1의
B1)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기재로 하는 에폭시 화합물, 및
B2)
1. 비교예:
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촉매로서의 2,6-비스(1,1-디메틸에 틸)-4-메틸페놀) 및 가소제로서의 2,2'-옥시비스에탄올; 3-옥사-1,5- 펜탄디올
2. 본 발명:
이소포론디아민 98 중량부 및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이성질체 혼합물 (TMD) 2 중량부의 혼합물
로부터 유리 섬유 상에 형성하는데, 이것은 210℃에서 12시간 동안 머플로(muffle furnace)에 들어가 있었다. 실험이 완료되었을 때 육안 검사를 수행하였다. 가시적인 손상이 발견되지 않았고, 리바 특성이 보존되었다 (모든 샘플에 대하여).
단계 2: "복합재 리바에 의한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보강"
단계 1에 따라 형성된 유리 복합재 5 mm의 리바 절편 및 상응하게 형성된 현무암 복합재를 플라스틱 클램프로 보강 그리드의 형태로 함께 고정시켜 금속 몰드 (치수 - 100 x 100 x 100)에 넣었고, 그 후에 D500의 설계 밀도를 갖는 기포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충전하였다.
경화되고 강도를 얻게 되면, 샘플을 몰드에서 꺼내어, 하기 방법에 따라 190℃의 온도 및 1.24 MPa의 압력에서, 공업용 오토클레이브에서의 오토클레이브 처리에 노출시켰다:
40분 - 진공 공정;
3시간 - 압력 올림;
6시간 - 압력 유지;
2시간 - 압력 배출.
오토클레이브 처리가 완료되면, 샘플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어, 압축 강도, 수분 함량 및 밀도에 대하여 검사하였다.
본 발명의 장점으로서 밝혀진 결론:
비교예 (유리 복합재 및 현무암 복합재)
100℃를 초과하는 온도에의 노출 및 수증기 및 알칼리성 환경의 영향으로 코팅물 및 복합재 리바의 파괴가 일어났다.
본 발명의 실시예 (유리 복합재 및 현무암 복합재)
상기 두 섬유 상의 이소포론디아민 및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이성질체 혼합물 (TMD)의 본 발명의 조합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190℃ 이하에서 작업 온도를 매우 잘 견뎠다. 그러므로, 온도 범위는 이소포론디아민 및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이성질체 혼합물 (TMD)의 조합을 기재로 하는 아민 경화제 (에보니크(Evonik) 제조의 페스타민(Vestamin)® R 215 제품)에 의해 제공되는 개선된 내열 특성을 갖는 코팅물의 도포에 의해 연장될 수 있었다.

Claims (12)

  1. 보강 빌딩 블록이
    본질적으로
    A) 적어도 1종의 섬유상 캐리어, 및
    B) 에폭시 화합물 B1) 대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성분 B2)의 화학량론비 0.8:1 내지 2:1의
    B1) 적어도 1종의 에폭시 화합물, 및
    B2) 적어도 1종의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으로 형성된, 매트릭스 재료로서의 경화 조성물, 및
    C) 임의로 추가 보조제 및 첨가제
    로 형성된 리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섬유상 캐리어가 유리, 탄소, 중합체, 천연 섬유, 광물 섬유 재료 및 세라믹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폭시 화합물 B1)이 히드록실 기를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포화, 불포화,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방향족 및 헤테로시클릭 에폭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폭시 화합물 B1)이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에스테르, 지방족 에폭시드, 비스페놀 A 및/또는 비스페놀 F를 기재로 하는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폭시 화합물 B1)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기재로 하는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기재로 하는 에폭시 수지 및 시클로지방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B2)가 1급 및/또는 2급 디- 및/또는 폴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B2)가 단독의 또는 혼합물의 하기 아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 지방족 아민, 또는 폴리알킬렌폴리아민, 또는 에틸렌-1,2-디아민, 프로필렌-1,2-디아민, 프로필렌-1,3-디아민, 부틸렌-1,2-디아민, 부틸렌-1,3-디아민, 부틸렌-1,4-디아민, 2-(에틸아미노)에틸아민, 3-(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펜타에틸렌헥사민,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메틸펜탄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N-(2-아미노에틸)에탄-1,2-디아민, N-(3-아미노프로필)프로판-1,3-디아민, N,N"-1,2-에탄디일비스(1,3-프로판디아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 히드라진으로부터 선택된 것;
    *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및 폴리옥시프로필렌트리아민으로부터 선택된 옥시알킬렌폴리아민;
    * 이소포론디아민 (3,5,5-트리메틸-3-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아민), 단독의 또는 이성질체 혼합물의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2,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및 2,2'-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N-시클로헥실-1,3-프로판디아민, 1,2-디아미노시클로헥산, 3-(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필아민, 피페라진, N-아미노에틸피페라진, TCD 디아민 (3(4),8(9)-비스(아미노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으로부터 선택된 시클로지방족 아민;
    * 아르지방족 아민;
    * 단독의 또는 이성질체 혼합물의 페닐렌디아민, 페닐렌-1,3-디아민, 페닐렌-1,4-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2,2'-디아미노디페닐메탄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아민;
    * 에폭시 화합물, 또는 비스페놀 A 및 F의 글리시딜 에테르와 과량의 아민의 반응 생성물인 부가물 경화제;
    * 모노- 및 폴리카르복실산과 폴리아민의 축합, 또는 이량체 지방산과 폴리알킬렌폴리아민의 축합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아미도아민 경화제;
    * 1가 또는 다가 페놀과 알데히드, 또는 포름알데히드, 및 폴리아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만니히 염기 경화제;
    * 만니히 염기, 포름알데히드, m-크실릴렌디아민, N-아미노에틸피페라진, N-아미노에틸피페라진과 노닐페놀 및/또는 벤질 알콜의 블렌드, 카르다놀, 알데히드 및 아민으로부터 만니히 반응으로 수득되는 페날카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B2)가 이소포론디아민, 단독의 또는 이성질체 혼합물의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2,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2,2'-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이성질체 혼합물, 에폭시 화합물과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B2)의 반응 생성물을 기재로 하는 부가물 경화제 또는 상기에 언급된 아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B2)가 이소포론디아민 및/또는 이소포론디아민 및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이성질체 혼합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 및/또는 폴리아민과 적어도 1종의 잠재성 경화제의 혼합물이 성분 B2)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11.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잠재성 경화제가 디시안디아미드, 시아노구아니딘, 방향족 아민, 구아니딘, 개질 폴리아민, N-아실이미다졸, 이미다졸, 카르보닐 히드라지드, 트리아진 유도체, 멜라민 및 그의 유도체, N-시아노아실아미드 화합물, 및 아실티오프로필페놀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12. 본질적으로
    A) 적어도 1종의 섬유상 캐리어, 및
    B) 에폭시 화합물 B1) 대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성분 B2)의 화학량론비 0.8:1 내지 2:1의
    B1) 적어도 1종의 에폭시 화합물, 및
    B2) 적어도 1종의 디아민 및/또는 폴리아민
    으로 형성된, 매트릭스 재료로서의 경화 조성물, 및
    C) 임의로 추가 보조제 및 첨가제
    로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리바를 몰드에 넣고, 기포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첨가하고, 몰드의 내용물을 양생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의 제조 방법.
KR1020170078897A 2016-06-23 2017-06-22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Active KR102388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5866.9 2016-06-23
EP16175866.9A EP3260436B1 (en) 2016-06-23 2016-06-23 Reinforced building block made of autoclaved aerated concrete (aa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90A KR20180000690A (ko) 2018-01-03
KR102388045B1 true KR102388045B1 (ko) 2022-04-19

Family

ID=56363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897A Active KR102388045B1 (ko) 2016-06-23 2017-06-22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384977B2 (ko)
EP (1) EP3260436B1 (ko)
JP (1) JP7014532B2 (ko)
KR (1) KR102388045B1 (ko)
CN (1) CN107542226B (ko)
BR (1) BR102017013727B1 (ko)
ES (1) ES2767281T3 (ko)
HR (1) HRP20200290T1 (ko)
HU (1) HUE048064T2 (ko)
LT (1) LT3260436T (ko)
PL (1) PL3260436T3 (ko)
RU (1) RU273709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55032B1 (de) 2016-06-10 2018-09-05 Evonik Degussa GmbH 2-(3-(aminomethyl)-3,5,5-trimethylcyclohexyl)propan-1,3-diamin,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EP3569630B1 (de) 2018-05-17 2022-08-03 Evonik Operations GmbH Schnell härtende epoxysysteme
EP3569629B1 (de) 2018-05-17 2022-07-06 Evonik Operations GmbH Schnell härtende epoxysysteme
US11359048B2 (en) 2018-05-17 2022-06-14 Evonik Operations Gmbh Fast-curing epoxy systems
US11286335B2 (en) 2018-05-17 2022-03-29 Evonik Operations Gmbh Fast-curing epoxy systems
EP3786133A1 (de) * 2019-08-27 2021-03-03 Hilti Aktiengesellschaft Mörtelmasse mit mannichbasen für befestigungszwecke mit verbesserter temperaturfestigkeit
CN111187051A (zh) * 2020-01-16 2020-05-22 佛冈豪鑫环保建材有限公司 一种利用建筑废料的蒸压加气混凝土砌块砖
EP3882294A1 (de) * 2020-03-18 2021-09-22 Hilti Aktiengesellschaft Härterzusammensetzung auf basis von diaminomethylcyclohexan und 1,3-cyclo-hexan-bis(methylamin) für eine epoxidharzmasse, epoxidharzmasse und mehrkomponenten-epoxidharzsystem
CN116283123A (zh) * 2023-01-10 2023-06-23 沪宝新材料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反打工艺的石墨改性保温板
WO2025111508A1 (en) * 2023-11-21 2025-05-30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Autoclaved aerated concrete using mswi bottom ash as an aerating agent
CN118184215B (zh) * 2024-03-13 2024-10-11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正面聚合超快速制备环氧基聚合物混凝土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9133A (ja) 2005-12-26 2007-07-05 Sumitomo Kinzoku Kozan Siporex Kk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184281A1 (en) 2001-07-31 2007-08-09 Huntsman Advanced Materials Americas Inc. Expoxy resin
CN102745944A (zh) 2012-06-05 2012-10-24 河海大学 钢纤维增强的玻璃纤维树脂复合筋材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0247A (en) 1955-07-28 1962-04-17 Minnesota Mining & Mfg Stable heat-curing epoxy resin compositions
US3386955A (en) 1966-01-14 1968-06-04 American Cyanamid Co Substituted ureas as low temperature epoxy curing agents
ZA724276B (en) * 1971-06-29 1973-03-28 A C I Tech Centre Improvements relating to concrete reinforcing materials
US3678007A (en) 1971-08-23 1972-07-18 Ppg Industries Inc Metal salt complexes of imidazolium salts as curing agents for one part epoxy resins
US3677978A (en) 1971-08-23 1972-07-18 Ppg Industries Inc Metal salt complexes of imidazoles as curing agents for one-part epoxy resins
CH637411A5 (de) 1979-04-20 1983-07-29 Ciba Geigy Ag Epoxidharz, haerter und haertungsbeschleuniger enthaltende, lagerfaehige homogene mischung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gehaerteter erzeugnisse.
SU975415A1 (ru) * 1980-05-16 1982-11-23 Новосибирский Институт Инженеро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 покрыти на арматуру
CH646956A5 (de) 1981-12-15 1984-12-28 Ciba Geigy Ag Imidazolide.
US4618712A (en) 1982-02-23 1986-10-21 Ciba-Geigy Corporation N-cyanocarboxylic acid amid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US4550203A (en) 1982-02-23 1985-10-29 Ciba Geigy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substituted N-cyancarboxylic acid amides
US4529821A (en) 1982-02-23 1985-07-16 Ciba-Geigy Corporation Cyanoacylamide compounds
EP0124482B1 (de) 1983-04-29 1989-11-08 Ciba-Geigy Ag Neue Imidazolide und deren Verwendung als Härter für Polyepoxidverbindungen
JPS6135230A (ja) * 1984-07-27 1986-02-19 Mitsui Constr Co Ltd 構造用補強材の連続製造法
EP0200674B1 (de) 1985-02-01 1988-05-25 Ciba-Geigy Ag (Acylthiopropyl)-Polyphenole
FR2587024B1 (fr) * 1985-09-11 1992-01-10 Inst Francais Du Petrole Composition de mortiers hydrauliques presentant notamment une resistance a la traction amelioree
US5352831A (en) 1987-09-02 1994-10-04 Ciba-Geigy Corporation Oligomeric cyanoguanidines
EP0306451B1 (de) 1987-09-02 1991-12-11 Ciba-Geigy Ag Oligomere Cyanoguanidine
EP0310545A3 (de) 1987-09-02 1989-07-26 Ciba-Geigy Ag Cyanoguanidine als Härter für Epoxidharze
SU1761903A1 (ru) * 1989-12-07 1992-09-15 Днепродзержинский Индустриальный Институт Им.М.И.Арсеничева Стержень дл армировани бетон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
JP3123272B2 (ja) * 1992-12-25 2001-01-09 日本油脂株式会社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補強鉄骨用粉体塗料
DE4406444A1 (de) 1994-02-28 1995-08-31 Huels Chemische Werke Ag Hydroxyl- und uretdiongruppenhaltige Polyadditionsproduk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abspaltfreier Polyurethan-Pulverlacke hoher Reaktivität und die danach hergestellten Polyurethan-Pulverlacke
DE4410786A1 (de) 1994-03-28 1995-10-05 Hoechst Ag Elastisches Epoxidharz-Härter-System
JPH11165311A (ja) * 1997-10-01 1999-06-22 Teijin Ltd 繊維補強コンクリー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HUP0201978A3 (en) * 1999-07-28 2005-02-28 Vantico Ag Amine hardener for epoxy resins
DE10228649A1 (de) * 2002-06-26 2004-01-22 Bakelit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stärkten Produktes auf Epoxidharzbasis
JP4141478B2 (ja) 2006-04-25 2008-08-27 横浜ゴム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材料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
US8519091B2 (en) * 2007-04-10 2013-08-2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olyalkyleneamine adducts as curing agents for thick layer water-based epoxy systems
KR101013098B1 (ko) * 2008-03-13 2011-02-14 (주)대성마린텍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만들어진 콘크리트용 보강근
DE102009028019A1 (de) 2009-02-04 2010-08-05 Evonik Degussa Gmbh Härtbare Zusammensetzungen auf Basis von Epoxidharzen und hetero-poly-cyclischen Polyaminen
CN102471519B (zh) * 2009-06-29 2014-05-14 亨斯迈先进材料(瑞士)有限公司 生产复合材料的方法
CN102235056A (zh) * 2010-05-07 2011-11-09 上海启鹏工程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天然植物纤维增强frp筋及其制备方法
RU2495892C2 (ru) * 2010-11-25 2013-10-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УралСпецАрматура" Полимерное связующее для композитной арматуры
CN102092999B (zh) * 2010-12-09 2012-08-15 东南大学 一种用于短切纤维增强加气混凝土的工艺方法
US20120328811A1 (en) 2011-06-24 2012-12-2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Epoxy Resin Compositions
DK2631337T3 (en) * 2012-02-24 2015-11-02 Ems Patent Ag Fiberresinkomposit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RU2509653C1 (ru) * 2012-08-27 2014-03-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УралСпецАрматура" Арматура композитная
EP2706076B1 (de) 2012-09-07 2014-12-17 Evonik Industries AG Härtbare Zusammensetzungen auf der Basis von Epoxidharzen ohne Benzylalkohol
DE102012223387A1 (de) 2012-12-17 2014-06-18 Evonik Industries Ag Verwendung von substituierten Benzylalkoholen in reaktiven Epoxy-Systemen
US9790319B2 (en) * 2013-01-08 2017-10-17 Sika Technology Ag Curing agents for low-emission epoxy resin products
ES2720798T3 (es) 2013-02-06 2019-07-24 Evonik Degussa Gmbh Composición endurecible con tenacidad a la rotura elevada
CN104151779A (zh) * 2014-08-26 2014-11-19 常州慧运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复合碳纤维平面格栅筋
EP3091135A1 (de) 2015-05-04 2016-11-09 Evonik Degussa GmbH Bewehrungsstab,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EP3178862B1 (de) 2015-12-11 2019-08-14 Evonik Degussa GmbH Latente epoxidharzformulierungen für flüssigimprägnierprozesse zur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composites
ES2750595T3 (es) 2015-12-11 2020-03-26 Evonik Operations Gmbh Composiciones de resina epoxi para la producción de materiales compuestos estables en almacenamient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4281A1 (en) 2001-07-31 2007-08-09 Huntsman Advanced Materials Americas Inc. Expoxy resin
JP2007169133A (ja) 2005-12-26 2007-07-05 Sumitomo Kinzoku Kozan Siporex Kk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745944A (zh) 2012-06-05 2012-10-24 河海大学 钢纤维增强的玻璃纤维树脂复合筋材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0436B1 (en) 2019-12-18
HUE048064T2 (hu) 2020-05-28
JP7014532B2 (ja) 2022-02-01
ES2767281T3 (es) 2020-06-17
PL3260436T3 (pl) 2020-06-01
HRP20200290T1 (hr) 2020-06-12
CN107542226B (zh) 2021-04-02
BR102017013727A2 (pt) 2018-05-02
RU2017122023A (ru) 2018-12-24
JP2018020553A (ja) 2018-02-08
KR20180000690A (ko) 2018-01-03
US10384977B2 (en) 2019-08-20
BR102017013727B1 (pt) 2022-11-08
LT3260436T (lt) 2020-02-25
RU2017122023A3 (ko) 2020-10-16
US20170369372A1 (en) 2017-12-28
RU2737093C2 (ru) 2020-11-24
CN107542226A (zh) 2018-01-05
EP3260436A1 (en)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045B1 (ko) 오토클레이브 기포 콘크리트 (aac)로 제조된 보강 빌딩 블록
US10214612B2 (en) Epoxy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2-(2,2,6,6-tetramethylpiperidin-4-yl)propane-1,3-diamine as hardener
US10280252B2 (en) Latent epoxy resin formulations for liquid impregnation processes for production of fibre composite materials
EP3255079B1 (de) Epoxidharz-zusammensetzung enthaltend 2-(3,3,5-trimethylcyclohexyl)propan-1,3-diamin als härter
US10221277B2 (en) Epoxy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2-(3-(aminomethyl)-3,5,5-trimethylcyclohexyl)propane-1,3-diamine (AM-CPDA) as hardener
TWI611081B (zh) 併合式加強筋、製造方法及用途
US10155840B2 (en) Latent epoxy resin formulations for liquid impregnation processes for production of fibre-reinforced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6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