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88022B1 - System air environmental control apparatus - Google Patents

System air environmental control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022B1
KR102388022B1 KR1020190151000A KR20190151000A KR102388022B1 KR 102388022 B1 KR102388022 B1 KR 102388022B1 KR 1020190151000 A KR1020190151000 A KR 1020190151000A KR 20190151000 A KR20190151000 A KR 20190151000A KR 102388022 B1 KR102388022 B1 KR 102388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controller
sub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0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2842A (en
Inventor
박성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노텍
Priority to KR1020190151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022B1/en
Priority to JP2019213195A priority patent/JP6889940B2/en
Publication of KR2021006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8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02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Zo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환경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후조건과 재배작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그룹화함으로써 우수한 재배작물의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실내 환경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재배작물의 생육을 제어하도록 각 재배지에 설치 운용되며, 설치된 재배지의 기후조건 정보와 그룹핑된 재배작물의 생육데이터 정보를 상위단으로 전송하는 서브 제어기, 및 각각의 서브 제어기에서 전송된 재배지의 기후조건 정보와 재배작물의 생육데이터 정보를 취합하여 각 지역별로 데이터를 그룹핑하고, 서브 제어기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조건에 맞는 재배작물의 생육데이터 정보를 서브 제어기로 전송하는 주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ntrolling an indoor environment, and to a device for controlling an indoor environment for sharing information on excellent cultivated crops by grouping in consideration of climatic conditions and types of cultivated crops. To this end, the sub-controller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each plantation to control the growth of cultivated crops,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limatic conditions of the installed plantation and growth data information of grouped cultivated crops to the upper stage; Including a main controller that collects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and growth data information of cultivated crops, groups the data by region, and transmits growth data information of cultivated crops that meet the conditions to the sub-controll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f the sub-controller Disclosed is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scription

시스템 에어 환경 조절 장치{System air environmental control apparatus}System air environmental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시스템 에어 환경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후조건과 생육 농축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그룹화함으로써 우수한 재배작물의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더 나아가 농축산물의 상품 포장박스에 인쇄되는 QR 코드에 생육 농축산물의 성장 단계별 이미지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하는 시스템 에어 환경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ir environment control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by grouping in consideration of climatic conditions and types of growing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information of excellent cultivated crops is shared with each other, and furthermore, QR codes printed on product packaging boxes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It relates to a system air environment control device that records image data for each growth stage of growth and livestock products.

종래의 비닐하우스 온도 제어 시스템은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해 비닐하우스 자체를 개폐시켜 실내공기를 환기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개폐 방식은 비닐하우스 자체를 개폐해야 하는 시스템의 추가도 필요할 뿐만아니라 더 나아가 재배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실내 환경조건을 갑자기 변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즉,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조건으로 맞춰져 있는 경우에 외부 공기 환기를 위해 비닐하우스 자체를 개폐하면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갑자기 변화되어 재배작물에도 좋지 않을 뿐만아니라 다시 설정 온도 및 습도로 맞추는데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greenhouse temperature control system ventilates the indoor air by opening and closing the greenhouse itself to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room. However, such an opening/closing method not only requires the addition of a system that opens and closes the greenhouse itself, but also causes a sudden change in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cultivated crops. In other words, i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plastic house are set to the preset conditions, when the plastic house itself is opened and closed to ventilate the outside ai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plastic house change suddenly, which is not good for cultivated crops, but also resets the set temperature and humidi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energy is wasted when adjusting the

또한, 종래 선행기술은 재배작물의 최적 생육조건을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자문을 구하는 등의 방법으로 최적 생육조건을 설정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각 전문가마다 의견이 다를 수 있고 더 나아가 종류가 다양한 재배작물과 기후조건이 다양한 재배지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전문가 풀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전국적으로 객관화하기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optimal growth conditions for cultivated crops were set by methods such as seeking advice from a group of exper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iverse cultivation area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objectify data nationwide by forming such a pool of expert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KR 20-0424775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KR 20-0424775 일본국 JP 2017-034865Japan JP 2017-034865 일본국 JP 2012-186304Japan JP 2012-1863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88750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KR 10-18875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68206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KR 10-168206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15-004473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 10-2015-004473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13-001842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 10-2013-001842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12-007708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 10-2012-007708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062525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KR 10-062525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 10-1997-000571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 10-1997-0005719 일본국 JP 2017-009706Japan JP 2017-009706 일본국 JP 6359882Japan JP 6359882 일본국 JP 5245395Japan JP 5245395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생육지의 기후조건과 함께 생육되는 농작물 또는 축산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생육데이터를 카테고리화 함으로써 동일하거나 유사한 생육조건을 구비한 생육지에 우수한 생육데이터 정보를 서로 공유시켜 전체적으로 수확량의 증대 및 품질 향상을 높일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by classifying crops or livestock products grown together with the climatic conditions of the locality by type and categorizing the growth data, the same or similar growth conditions are provided in the local area having the same or similar growth condition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vention that can increase overall yield and quality improvement by sharing excellent growth data information with each other.

또한, 실내의 내부공기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서로 혼합시키고 혼합공기의 조건을 맞추어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에 재배되는 재배작물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고, 비닐하우스 자체의 개폐로 인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by mixing indoor air and outdoor air with each other and supplying the mixed air indoors, it prevents damage to the cultivated crops grown in the greenhouse and reduces unnecessary energy waste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greenhouse itself.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vention that can be reduced.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배작물의 생육을 제어하도록 각 재배지에 설치 운용되며, 설치된 재배지의 기후조건 정보와 그룹핑된 재배작물의 생육데이터 정보를 상위단으로 전송하는 서브 제어기, 및 각각의 서브 제어기에서 전송된 재배지의 기후조건 정보와 재배작물의 생육데이터 정보를 취합하여 각 지역별로 데이터를 그룹핑하고, 서브 제어기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조건에 맞는 재배작물의 생육데이터 정보를 서브 제어기로 전송하는 주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조절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each plantation to control the growth of cultivated crops, and the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installed plantation and growth data information of grouped cultivated crops are transmitted to the upper stage The sub-controller that collects the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cultivation area and the growth data information of cultivated crops transmitted from each sub-controller and groups the data for each region, and the growth of cultivated crops that meet the condition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sub-controller Thi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n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 comprising a main controller that transmits data information to a sub-controller.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후조건과 종류별로 생육 농축산물을 구분하여 생육데이터를 카테고리화 하여 관리함으로써 동일하거나 유사한 생육조건을 구비한 각 재배지에 우수한 생육데이터 정보를 서로 공유시켜 전체적으로 수확량의 증대 및 품질 향상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lassifying and managing growth data by categorizing growth and agricultural products by climatic conditions and types, excellent growth data information is shared with each plantation having the same or similar growth conditions, thereby increasing the overall yield. and quality improvement.

또한, 실내의 내부공기와 실외의 외부공기를 미리 서로 혼합시키고 혼합공기의 환경조건을 맞추어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에 재배되는 재배작물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고, 비닐하우스 자체의 개폐로 인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and outdoor air are mixed with each other in advance and supplied indoor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mixed air to prevent damage to the cultivated crops grown in the plastic house, and unnecessary energy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lastic house itself.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waste.

또한, 생육되는 농축산물의 원산지 인증을 보다 엄격히 관리하고, 상품 포장박스에 인쇄되는 QR코드에 생육 단계별 이미지를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최종 소비자에게 보다 신뢰성 있는 상품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more reliable products can be supplied to end consumers by strictly managing the certification of the origin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grown and recording the growth stage images on the QR code printed on the product packaging box.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 제어기와 서브 제어기의 연결 관계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 제어기와 서브 제어기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와 공기 혼합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혼합기의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산지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에 농축산물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ose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main controller and a sub-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controller and a sub-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plastic house and an air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origin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recording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formation in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on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reasonab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it cannot be said that the entir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essential as a solu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descriptions of the prior art and matter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omitted components (methods) and functions may be sufficiently referenc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에어 환경 조절 장치는 사육되는 축산물 또는 재배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등의 생육환경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때, 재배작물은 비닐하우스 또는 온실하우스 등의(이하에서는 비닐하우스로 설명하나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에서 생육되는 작물로서 환경 조절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생육환경이 조절된다. 본 발명에서 시스템의 의미는 후술하는 주 제어기 및 서브 제어기를 통해 재배작물의 생육을 제어하고, 더 나아가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산소 등의 각종 에어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재배작물의 생육환경에 대한 일예를 들어 설명하나 동일한 원리로 축산물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축산물은 일예로서 소나 돼지 등 사육 동물이 될 수 있다.The system air environmen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growth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required for the growth of livestock products or cultivated crops. In this case, the cultivated crop is a crop grown inside a plastic house or a greenhouse hous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as a plastic hou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rowth environmen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The meaning of the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o control the growth of cultivated crops through the main controller and the sub-controll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further control various kinds of air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and oxygen. In addition, although an example of the growth environment of cultivated crops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ame principle may be applied to livestock products. Livestock products may be, for example, domesticated animals such as cattle or pi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버, 주 제어기, 및 서브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서브 제어기(a1,….,an, b1,….,BNF, c1,….,CNN)는 재배작물의 생육을 제어하도록 각 재배지의 비닐하우스(A1,….,An, B1,….,BNF, C1,….,CNN)에 설치된다. 즉, 제1 서브 제어기(a1)는 제1 비닐하우스(A1)에 설치 운용되어 제1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는 재배작물의 생육환경을 조절하며, 동일한 원리로 제n 서브 제어기(an)는 제n 비닐하우스(An)에 설치 운용된다. 이하에서는 서브 제어기(a1)와 비닐하우스(A1)에 대해서만 설명하나 다른 재배지에 각각 설치된 서브 제어기와 비닐하우스 등도 이와 동일한 원리로 설명될 수 있다. 1,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rver, a main controller, and a sub-controller. First, the sub-controllers (a1,….,an, b1,….,BNF, c1,….,CNN) control the growth of cultivated crops in the greenhouses (A1,….,An, B1,…) of each cultivation area. .,BNF, C1,….,CNN). That is, the first sub-controller (a1)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first plastic house (A1) to control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cultivated crops grown in the first plastic house, and in the same principle, the n-th sub-controller (an) is the n-th It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a greenhouse (An). Hereinafter, only the sub-controller a1 and the plastic house A1 will be described, but the sub-controller and the plastic house installed in different cultivation areas may also be described in the same principle.

<재배작물의 생육환경 조절 및 재재 관리><Adjustment of growing environment of cultivated crops and management of planting>

비닐하우스(A1)에는 서브 제어기(a1)가 설치 운용되어 재배된 재배작물의 생육환경을 조절한다. 이때, 서브 제어기(a1)는 재배작물의 종류별로 카테고리화하고, 카테고리별로 재배작물의 생육데이터 정보를 관리 저장한다. 일예로서 비닐하우스(A1)에 재배작물이 시금치와 배추 2가지 종류가 있으면 시금치의 생육데이터 정보와 배추의 생육데이터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관리한다. 이때, 생육데이터 정보는 재배작물의 생육 전반에 걸쳐 설정된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설정 값 등 생육 전반에 걸쳐 필요한 데이터이다. 이에 따라 서브 제어기(a1)는 재배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모든 생육환경 데이터를 누적 관리하고 이를 데이터화하여 자신이 속한 주 제어기(A)로 전송한다. 또한, 서브 제어기(a1)는 재배지의 매일 기상정보를 기상청 서버 또는 기후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화한다. 따라서 서브 제어기(a1)는 재배지의 기후조건을 매일 시간순으로 관리 저장하며, 자신의 재배지의 기후조건 정보를 자신이 속한 주 제어기(A)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브 제어기(a1)는 재배지의 기후조건 정보와 그룹핑된 재배작물의 생육데이터 정보를 함께 생육 패키지 정보로 변환하여 자신이 속한 주 제어기(A)로 전송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 제어기(A1)는 이러한 생육 패키지 정보를 각각의 서브 제어기로부터 수신받아 동일 생육환경하에서 가장 우수한 재배작물의 생육환경 정보를 도출하고, 우수한 생육 패키지 정보를 동일 생육환경 조건(일예로서 기후나 재배지역이 비슷하고 재배작물의 종류가 동일한 경우)에 속하는 다른 서브 제어기로 전송하여 공유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재배작물의 수확량이나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각종 데이터는 서버로 전송되어 관리 운용될 수 있다. A sub-controller a1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greenhouse A1 to control the growth environment of cultivated crops. In this case, the sub-controller a1 categorizes the cultivated crops by type, and manages and stores the growth data information of the cultivated crops for each category. As an example, if there are two kinds of cultivated crops in the plastic house (A1), spinach and Chinese cabbage, growth data information of spinach and growth data information of cabbage are managed separately. In this case, the growth data information is data necessary for the overall growth,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set values set throughout the growth of cultivated crops. Accordingly, the sub-controller (a1) accumulates and manages all growth environment data necessary for the growth of cultivated crops, converts them into data, and transmits them to the main controller (A) to which it belongs. In addition, the sub-controller (a1) receives daily weather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from the Meteorological Agency server or a climate sensor and converts it into data. Therefore, the sub-controller (a1) manages and stores the climatic conditions of the cultivated land in chronological order every day, and transmits the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of its own plantation to the main controller (A) to which it belongs. Accordingly, the sub-controller (a1) converts the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cultivation area and the growth data information of the grouped cultivated crops together into growth package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main controller (A) to which it belong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ain controller A1 receives this growth package information from each sub-controller, derives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best cultivated crop under the same growth environment, and transmits excellent growth package information to the same growth environment condition (as an example). If the climate or cultivation area is similar and the type of cultivated crop is the sam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crease the yield or quality of the cultivated crop as a whole by transmitting it to other sub-controllers and sharing it. The above-described various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manag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제어기(a1)의 성장정보 공유부는 주 제어기(A)에서 전송된 자신의 생육 조건에 부합하는 우수한 생육 패키지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다. 최적 생육환경 산출부는 우수한 생육 패키지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재배작물의 생육환경에 적합한 생육환경 데이터를 산출한다. 일예로서 최적 생육환경 산출부는 주 제어기(A)로부터 전송된 우수한 생육 패키지 정보에 포함된 우수한 기후조건 정보와 생육데이터 정보를 추출하고, 이 우수한 기후조건 정보와 생육데이터 정보를 자신의 기후조건 정보 및 생육데이터 정보와 서로 매칭 비교하고, 자신의 재배지의 생육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 기후조건 정보와 생육데이터 정보(최적 생육환경 정보)를 산출한다. 산출된 최적 기후조건 정보와 생육데이터 정보는 생육환경 조절부로 전송한다. 생육환경 조절부는 최적 생육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 제어기(A)로부터 지역별 또는 자신이 속한 지역의 수확량 예측 산출정보를 수신한다. 생육환경 조절부는 상술한 최적 생육환경 정보 및 수확량 예측 산출정보를 토대로 자신의 재배지의 생육환경을 조절함으로써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재배작물의 생산량 및 품질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지역별로 동일 재배작물의 수확량이 많은 경우에는 재배작물의 성장을 늦추어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우수한 생육환경 정보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재배작물의 품질을 높이고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growth information sharing unit of the sub-controller a1 receives excellent growth pack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ts own growth conditions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optimal growth environment calculation unit calculates growth environment data suitable for the growing environment of its own cultivated crops based on the excellent growth package information. As an example, the optimal growth environment calculation unit extracts excellent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and growth data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xcellent growth pack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A), and uses this excellent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and growth data information to its own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and Match and compare growth data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calculate optimal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and growth data information (optimal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growing environment of one's own cultivation area. The calculated optimal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and growth data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growth environment control unit. The growth environment control unit receives optimal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lso receives yield prediction calculation information for each region or region to which it belongs from the main controller A,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growth environment control un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ol the shipment time and control the production and quality of cultivated crops by adjusting the growth environment of its own cultivation area based on the above-described optimal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and yield prediction calcul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when the yield of the same cultivated crop is high in each region, the shipment time can be controlled by delaying the growth of the cultivated crop,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ultivated crop and increase the production by sharing excellent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한편, 재배작물의 재배지에는 자연재해나 여러 가지 돌발환경에 의해 정전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전 감지부는 재배지의 정전을 감지하여 정전 발생시에 정전 발생 메시지를 생성한다. 정전 발생 메시지가 생성되면 정전 감지부는 보조 전원 공급부의 구동을 즉시 명령한다. 이때, 보조 전원 공급부는 배터리 또는 화석연료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생육환경 조절부는 정전 발생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재배작물의 현재 생육환경 설정조건을 분석하며, 보조 전원 공급부의 보조전원의 상태 정보에 따라 지속적으로 생육환경 설정 조정 값을 변경시킴으로써 재배작물의 생육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 일예로서 보조 전원 공급부가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전체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분석된 생육환경 설정조건에 따라 산출하며, 산출된 배터리의 사용시간과 현재 생육환경 설정조건을 비교하여 배터리의 소모가 심한 경우에는 재배작물의 성장환경에 최소한의 문제가 없는 조건으로 생육환경 설정 조건 값을 하향 변경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늘리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power outages may occur in the cultivation area of cultivated crops due to natural disasters or various unexpected environments. Accordingly, the blackou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blackout in the cultivation area and generates a blackout occurrence message when a blackout occurs. When a power failure message is generated, the power failure detection unit immediately instructs the auxiliary power supply to be driven. In this case, the auxiliary power supply may be driven by a battery or fossil fuel. Therefore, the growth environment control unit analyzes the current growth environment setting condition of the cultivated crop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power failure message, and continuously changes the growth environment setting adjustment value accor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power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to control the growth of cultivated crops. keep it continuously As an example, when the auxiliary power supply uses battery power, the total battery usage tim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nalyzed growth environment setting conditions, and battery consumption is severe by comparing the calculated battery usage time with the current growth environment setting conditions.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battery usage time by lowering the value of the growth environment setting condition to the condition that there is no minimum problem in the growing environment of the cultivated crops.

한편, 도 3과 같이 비닐하우스(100)에서 재배되는 작물(120, a 농작물, b 농작물, c 농작물)은 필요에 따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이때, 종래와 같이 비닐하우스(100)의 덮개를 개폐하면 지금까지 설정된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나 습도 또는 이산화탄소 등이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모두 바뀌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비닐하우스의 덮개를 개폐하여 내부 환경설정이 급속하게 바뀌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혼합부(120, 130, 140)를 설치한다. 공기 혼합부(120, 130, 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100)의 프레임(101)의 외벽에 각각 배치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 the crops 120 (a crops, b crops, c crops) grown in the plastic house 100 need to receive fresh air from the outside as needed. At this time, when the cover of the plastic house 100 is opened and closed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etc. inside the plastic house set so far are all changed by the inflow of external air.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mixing units 120, 130, and 140 are installed in order to prevent a rapid change in the internal environment setting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of the plastic house. The air mixing units 120 , 130 , and 140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outer wall of the frame 101 of the plastic house 100 as shown in FIG. 3 .

비닐하우스(100)의 실내는 재배작물별로 공간을 구획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을 구획 분리함으로써 각 재배작물에 맞는 생육환경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 혼합부(120, 130, 140)에서 혼합한 각각의 혼합 공기를 각각의 재배작물의 구획으로 배출함으로써 자신의 재배구획에 맞는 혼합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공기 혼합부(120, 130, 140)는 재배지의 구획된 실내 재배공간에 각각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와 실내의 내부 공기를 서로 혼합한 혼합 공기를 각각의 실내 재배공간으로 배출한다. 공기 혼합부(120, 130, 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재배구역에 각각 배치되며, 이하에서는 제1 공기 혼합부(120)에 대해서 설명하나 제2,3 공기 혼합부(130,140)도 동일한 원리이며, 제1 공기 혼합부(120)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다만, 제1 공기 혼합부(120)는 자신의 재배구역에 맞는 혼합 공기를 생성하며, 제2,3 공기 혼합부(130,140)도 동일하게 자신의 재배구역에 맞는 혼합 공기를 생성한다. 일예로서 제1,2,3 공기 혼합부(120,130,140)에서 생성한 혼합 공기의 온도 및 습도는 모두 다를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ior of the plastic house 100 is partitioned and separated for each cultivated crop. By dividing the spa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growing environment suitable for each cultivated crop. In addition, by discharging each of the mixed air mixed by the air mixing units 120 , 130 , and 140 to each of the cultivated crop compartments, it is possible to introduce the mixed air suitable for its own cultivation compartment. The air mixing units 120 , 130 , and 140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divided indoor cultivation spaces of the cultivation area, and the mixed air obtained by mixing the external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the internal air of the room with each other is discharged to each of the indoor cultivation spaces. The air mixing units 120 , 130 , and 140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each cultivation zone as shown in FIG. 3 . Hereinafter, the first air mixing unit 120 will be described, but the second and third air mixing units 130 and 140 . It is also the same principle, and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air mixing unit 120 . However, the first air mixing unit 120 generates mixed air suitable for its own cultivation area, and the second and third air mixing units 130 and 140 also generate mixed air suitable for its own cultivation area. As an exampl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mixed air generat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air mixing units 120 , 130 , and 140 may all be differ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 혼합부(120)의 제1 유입 조절 밸브부(121)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공기 혼합부의 몸체 내측으로 접선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스월링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제2 유입 조절 밸브부(122)는 실내 내부의 공기가 공기 혼합부의 몸체 내측으로 접선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내부 공기의 유입량을 스월링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스월링 몸체부(125)는 접선방향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 및 내부 공기가 몸체에 형성된 스월링 홈부(126)를 따라 하방으로 스월링되면서 스월링 혼합되도록 한다. 배출 조절 밸브부(123)는 스월링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신의 재배구역 조건에 부합하는 혼합 공기를 구획된 실내 재배공간으로 배출한다.As shown in FIG. 4 , the first inflow control valve 121 of the first air mixing unit 120 allows external fresh air to flow in a tangential direction into the body of the air mixing unit, and controls the inflow of external air.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walling control unit. The second inflow control valve unit 122 allows the air inside the room to flow in a tangential direction into the body of the air mixing unit, and adjusts the inflow amount of the internal ai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wirling control unit. The swirling body portion 125 is such that the external air and the internal air introduc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are swirled and mixed while swirling downward along the swirling groove portion 126 formed in the body. The discharge control valve unit 123 discharges the mixed air that meets the conditions of its own cultivation area to the partitioned indoor cultivation space under the control of the swirling control unit.

이때, 혼합공기 측정부는 공기 혼합부(120)에서 혼합된 혼합 공기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현재 상태를 측정한다. 혼합공기 측정부는 공기 혼합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혼합 공기의 상태 정보는 서브 제어기(a1)의 혼합 공기 상태 판단부로 전송되어 혼합 공기의 현재 상태를 분석한다. 스월링 제어부는 혼합 공기 상태 판단부에서 분석한 정보를 토대로 혼합 공기가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2 유입 조절 밸브부 및 배출 조절 밸브부를 조절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스월링 속도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혼합 공기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혼합부(120,130,140)를 배치함으로써 실내의 생육환경의 급격한 환경조건 변화없이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스월링을 통해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를 혼합함으로써 혼합 속도를 향상시키고, 공기 혼합부에서 미리 실내의 생육환경에 맞도록 혼합 공기를 생성하여 배출함으로써 재배작물에 위해를 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ixed air measuring unit measures the current state includ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of the mixed air mixed in the air mixing unit 120 . The mixed air measuring un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air mixing unit 120 . The mixed air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ixed air state determining unit of the sub-controller a1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mixed air. The swirling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inlet control valve units and the discharge control valve unit when the mixed air does not meet a preset condi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mixed air state determination unit to perform swirling By adjusting the speed, it is controlled to generate mixed air that meets a preset condition.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the air mixing units 120 , 130 , and 140 ,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without a sudden change i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indoor growth environment, and furthermore, by mixing the internal air and the external air through swirling, the mixture is mix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peed and prevent harm to cultivated crops by generating and discharging mixed air in advance to suit the indoor growth environment in the air mixing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 제어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역별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구분되어 자신이 속한 하위의 서브 제어기를 통합 관리하고, 서브 제어기는 자신이 속한 주 제어기에 관련 데이터를 전송한다. 일예로서 제1 지역의 주 제어기(A)는 그룹 A에 속한 서브 제어기(a1,….,an)를 관리하며, 제2 지역 및 제3 지역의 주 제어기(B, C)도 동일하게 자신의 관리하에 있는 서브 제어기를 각각 관리한다. 또한, 주 제어기(A, B, C) 상호 간에도 각각의 데이터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지역의 주 제어기(A)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하고 나머지 주 제어기(B,C)의 설명은 이에 갈음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1 , the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categories according to each region or preset condition to integrate and manage the sub-controllers to which it belongs, and the sub-controllers to which the main controller belongs. transmit relevant data to As an example, the main controller (A) of the first area manages the sub-controllers (a1,....,an) belonging to the group A, and the main controllers (B, C) of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also have their own Manage each sub-controller under management. 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s (A, B, C) can also share each data with each other. Hereinafter, only the main controller A of the first area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main controllers B and C will be replaced therewith.

주 제어기(A)는 자신의 관리하에 있는 서브 제어기(a1,...,an)에서 전송된 재배지의 기후조건 정보와 재배작물의 생육데이터 정보를 취합하여 지역별로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서브 제어기(a1,...,an)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생육 조건에 맞는 재배작물의 우수한 생육데이터 정보를 서브 제어기(a1,...,an)로 전송하여 우수한 생육데이터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주 제어기(A)가 획득한 정보는 서버로 전송되어 일괄 관리 운영된다.The main controller (A) collects the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plantation and the growth data information of cultivated crops transmitted from the sub-controllers (a1,...,an) under its management, and groups the data by region, and the sub-controller (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f a1,...,an), excellent growth data information of cultivated crops suitable for growth conditions is transmitted to the sub-controller (a1,...,an) so that excellent growth data information can be shared with each other. do.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main controller (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collectively managed and opera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제어기(A)의 기후별 그룹화부는 서브 제어기(a1,...,an)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재배지의 기후조건 정보를 기준으로 생육데이터 정보를 그룹화한다. 또한, 종류별 그룹화부는 서브 제어기(a1,...,an)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재배지의 재배작물의 종류를 기준으로 생육데이터 정보를 그룹화한다. 또한, 지역별 그룹화부는 기후조건 정보와 재배작물의 종류를 기준으로 그룹화된 생육데이터 정보를 지역별로 매칭하여 재 그룹화한다. 이렇게 지역별로 매칭하여 재 그룹화함으로써 동일 생육조건에 맞는 재배작물의 생육환경 정보를 서로 비교 평가하고, 그 중에서 우수한 생육환경 정보를 추출하여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지역별 그룹화는 지리적 지역을 떠나서 재배작물의 생육환경에 적합한 지역을 그룹화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예로서 지리적으로는 강원도와 경상도가 떨어져 있어서 그룹화될 수 없지만 강원도의 어느 재배지에서 길러지는 재배작물의 생육환경과 경상도의 어느 재배지에서 길러지는 재배작물의 생육환경이 유사한 경우 동일 지역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생육 비교 평가부는 지역별 그룹화부의 그룹화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생육조건을 기준으로 각 지역별로 재배작물의 생육을 비교 및 평가한다. As shown in FIG. 2, the grouping unit for each climate of the main controller A groups growth data information based on the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of each plantation transmitted from the sub-controllers a1, ..., an. In addition, the grouping unit for each type groups the growth data information based on the types of cultivated crops in each cultivation area transmitted from the sub-controllers a1, ..., an. In addition, the regional grouping unit regroups by matching the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growth data information grouped based on the type of cultivated crops by region. In this way, by matching and regrouping by reg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nformation on the growth environment of cultivated crops that meet the same growth conditions can be compared and evaluated, and excellent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nd shared with each other.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regional grouping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roup regions suitable for the growing environment of cultivated crops apart from geographical regions. That is, as an example, geographically, Gangwon-do and Gyeongsang-do cannot be grouped because they are far apart, but if the growth environment of cultivated crops grown in any plantation in Gangwon-do and the growth environment of cultivated crops grown in any plantation in Gyeongsang-do are similar, they can be grouped into the same region. can The growth comparison evaluation unit compares and evaluates the growth of cultivated crops in each region based on the same or similar growth conditions according to the grouping of the regional grouping unit.

서브 제어기(a1)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주 제어기(A)는 생육 비교 평가부의 평가 데이터를 기준으로 동일 또는 유사 생육 조건에 맞는 재배작물의 생육데이터 정보 중 재배작물의 성장 및 품질이 기 설정조건 이상인 우수 생육데이터를 탐색하여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서브 제어기(a1)로 우수 생육데이터 공유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생육 비교 평가부의 평가 데이터를 기준으로 각 지역별 및 재배작물별로 수확량을 예측한 수확량 예측 산출정보를 서브 제어기(a1)로 전송한다.Upon receiving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sub-controller (a1), the main controller (A) presets the growth and quality of cultivated crops among the growth data information of cultivated crops that meet the same or similar growth conditions based on the evaluation data of the growth comparison and evaluation unit. Excellent growth data shar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ub-controller (a1) that transmits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by searching for excellent growth data above the condition. In addition, the yield prediction calculation information, which predicts the yield for each region and each cultivated crop, based on the evaluation data of the growth comparison and evaluation unit, is transmitted to the sub-controller a1.

<원산 인증 및 QR 코드><Certification of origin and QR code>

도 5에 도시된 서브 제어기(210)는 도 1에 도시된 각 생육지에 설치된 서브 제어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서브 제어기(210)는 GPS 수신부(230)로부터 지피에스 좌표를 전송 받으며, 원산지 인증 단말부(220)로부터 원산지 인증 접속코드를 전송받아 각각 원산지 인증 서버(300)로 전송한다. 원산지 인증 서버(300)는 원산지 인증 접속코드와 지피에스 좌표가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는 원산지 인증 코드를 서브 제어기(210)로 전송하고 순차적으로 서브 제어기(210)는 원산지 인증 코드를 다시 원산지 인증 단말부(220)로 전송한다. The sub-controller 210 shown in FIG. 5 may be any one of the sub-controllers installed in each place shown in FIG. 1 . The sub-controller 210 receives GPS coordinates from the GPS receiver 230 , and receives the origin authentication access code from the origin authentication terminal 220 , and transmits them to the origin authentication server 300 , respectively. The origin authentication server 300 transmits the origin authentication code to the sub-controller 210 when the origin authentication access code and the GPS coordinates meet the preset conditions, and the sub-controller 210 sequentially certifies the origin authentication code again. I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nit 220 .

원산지 인증 단말부(220)에 포함된 접속코드 획득부는 포장박스에 인쇄된 원산지 인증 접속코드(411)를 판독하여 이를 서브 제어기(210)로 전송한다. 또한, 원산지 인증 단말부(220)에 포함된 QR코드 인쇄부는 서브 제어기(210)로부터 전송된 원산지 인증 코드를 기초로 상품 포장박스(400)에 QR코드(412)를 인쇄한다.The access code acquisition unit included in the origin authentication terminal unit 220 reads the origin authentication access code 411 printed on the packaging box and transmits it to the sub-controller 210 . In addition, the QR code printing unit included in the origin authentication terminal 220 prints the QR code 412 on the product packaging box 400 based on the origin authent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sub-controller 210 .

상술한 바와 같이 생육지에 설치된 서브 제어기(210)의 위치 좌표와 각 농축산물을 재배하는 농가에 배포된 상품 포장박스(411)에 인쇄된 원산지 인증 접속코드를 서버(300)가 서로 비교하여 원산지 인증코드를 발급하도록 함으로써 허위로 농축산물의 원산지를 표기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다. 원산지 인증 접속코드는 지피에스 위치 좌표와 상호 비교될 수 있는 코드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300 compares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sub-controller 210 installed in the place of origin and the origin authentication access code printed on the product packaging box 411 distributed to the farms that grow each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 with each other to authenticate the origin. By issuing a code, it is possible to prevent cases of falsely indicating the origin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The origin authentication access code may be a code that can be compared with GPS location coordinates.

상품 포장박스(400)에 인쇄되는 QR코드(412)에는 다양한 정보를 제한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QR코드에 원산지 정보, 성장 단계별 이미지 정보, 상품 출하시기 정보, 출하 농가 정보를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생육지의 농축산물과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QR코드를 통해 쉽게 농축산물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소비자에게 신뢰성 있는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Various information can be limitedly recorded in the QR code 412 printed on the product packaging box 400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rd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growth stage image information, product shipment time information, and shipment farmhouse information in the QR code. By recording information related to livestock products in this way, consumers can easily check information on livestock products through QR codes,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reliable products to consumers.

서브 제어기(210)는 원산지 정보 기록부, 출하시기 정보 기록부, 출하 농가 정보 기록부를 통해 각각의 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원산지 인증 단말기(220)로 전송함으로써 QR코드에 기록되도록 한다. 출하시기의 기록은 다양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즉, 실제 상품의 출하시기를 서브 제어기(210)가 알 수 있고, 이러한 출하시기를 각 서브 제어기가 서로 공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축산물 농가에서는 자신의 상품의 출하시기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상품 가격의 폭락이나 폭등을 막을 수 있다.The sub-controller 210 records each piece of information through the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recording unit, the shipment time information recording unit, and the shipment farmhouse information recording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country of origin authentication terminal 220 so that it is recorded in the QR code. Records at the time of shipment can have various advantages. That is, the sub-controller 210 can know the actual product shipment time, and each sub-controller can share this shipment tim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each livestock farmer adjusts the shipping time of its own product to control the product price. It can prevent the collapse or surge of

한편, 서브 제어기(210)에 포함된 성장 이미지 정보 기록부는 각 생육지에 배치된 촬영부(51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및 조건에 따라 생육되는 농축산물의 성장 단계별 생육 이미지를 획득한다. 즉, 재배작물의 경우에는 각 성장 단계별로 일예로서 파종시, 중간 성장시, 농약 살포시, 상품 출하시에 맞게 각각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축산물의 경우에는 각 성장 단계별로 일예로서 새끼일때, 중간 성장시, 제품 출하시에 맞게 각각의 이미지를 힉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성장 단계에서 어떤 이벤트 사건이 있는 경우에는 그때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예로서 인간에게 좋은 특정 약을 재배작물에 뿌리는 경우에는 이러한 장면을 이미지화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유기농으로 재배작물을 재배했음을 증명하는 장면을 이미지화하여 기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각각의 성장 단계별 이미지는 QR코드에 기록되어 소비자가 QR코드를 통해 이미지를 볼 수 있어 상품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rowth image information recording unit included in the sub-controller 210 acquires the growth phase growth image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grown according to the preset time and conditions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510 disposed in each growing area. That is, in the case of cultivated crops, as an example for each growth stage, each image may be acquired according to sowing, intermediate growth, pesticide spraying, and product shipment. In addition, in the case of livestock products, each image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each growth stage, as an example, at the time of baby, mid-growth, and product shipment. Here, if there is a certain event event in each growth stage, an image at that time may be acquired. As an example, when a specific drug that is good for humans is sprayed on cultivated crops, such a scene may be imaged and record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age and record a scene that proves that organically grown crops were grown. Each of these growth phase images is recorded in the QR code, allowing consumers to view the image through the QR code, further enhancing product reliability.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명하였을 뿐 여기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추가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for matter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description of these omitted components (methods) and functions will be sufficiently referenc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onents not described herein may be add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each part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separat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f necessary, any configuration and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integrating into other components, or may be implemented more subdivided.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figuration or a coupling relationship for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something to do.

100 : 비닐하우스
101 : 비닐하우스 프레임
102 : 재배 농작물
105a : 제1 구역
105b : 제2 구역
105c : 제3 구역
110 : 온도 제어기(또는 서브 제어기)
120 : 제1 공기 혼합부
121 : 제1 유입 조절 밸브부
122 : 제2 유입 조절 밸브부
123 : 배출 조절 밸브부
125 : 스월링 몸체부
126 : 스월링 홈부
130 : 제2 공기 혼합부
140 : 제3 공기 혼합부
210 : 서브 제어기
220 : 원산지 인증 단말부
230 : GPS 수신부
300 : 원산지 인증 서버
400 : 상품 포장박스
411 : 원산지 인증 접속코드
412 : 원산지 인증 QR코드
510 : 촬영부
511 : 성장 단계별 이미지 정보
100: vinyl house
101: vinyl house frame
102: cultivated crops
105a: first zone
105b: second zone
105c: Zone 3
110: temperature controller (or sub-controller)
120: first air mixing unit
121: first inflow control valve unit
122: second inflow control valve unit
123: discharge control valve unit
125: swirling body part
126: swirling groove
130: second air mixing unit
140: third air mixing unit
210: sub controller
220: origin authentication terminal unit
230: GPS receiver
300: origin authentication server
400: product packaging box
411 : Origin authentication access code
412: Origin authentication QR code
510: filming unit
511: Image information for each stage of growth

Claims (9)

실내의 에어 환경 조절을 통해 축산물 또는 재배작물의 생육을 제어하도록 각 생육지에 설치 운용되는 서브 제어기,
각각의 서브 제어기에서 전송된 축산물 또는 재배작물의 생육데이터 정보를 취합하여 지역별로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상기 서브 제어기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조건에 맞는 상기 생육데이터 정보를 상기 서브 제어기로 전송하는 주 제어기,
상기 서브 제어기가 위치한 곳의 지피에스 좌표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서브 제어기로 전송하는 지피에스 수신부,
포장박스에 인쇄된 원산지 인증 접속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서브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서브 제어기에서 전송된 원산지 인증코드를 전송받아 상기 포장박스에 QR코드를 인쇄하는 원산지 인증 단말부, 및
상기 서브 제어기에서 전송된 원산지 인증 접속코드와 지피에스 좌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상기 원산지 인증코드를 상기 서브 제어기로 전송하는 원산지 인증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제어기는,
상기 지피에스 수신부로부터 지피에스 좌표를 수신하며, 상기 원산지 인증 서버로 지피에스 좌표와 원산지 인증 접속코드를 전송하며, 상기 원산지 인증 서버로부터 원산지 인증코드를 수신하며,
생육지의 축산물 또는 재배작물의 성장 단계별 생육정보를 이미지화 하기 위해 상기 생육지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에 상기 단계별 생육정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성장 이미지 정보 기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산지 인증코드와 함께 성장 단계별 이미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QR코드에 축산물 또는 재배작물의 성장 이미지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에어 환경 조절 장치.
A sub-controller installed and operated in each growing area to control the growth of livestock products or cultivated crops by controlling the indoor air environment;
The main controller that collects the growth data information of livestock products or cultivated crops transmitted from each sub-controller, groups the data by region, and transmits the growth data information that meets the condition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f the sub-controller to the sub-controller ,
A GP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GPS coordinates of a location where the sub-controller is located and transmitting it to the sub-controller;
An origin authentication terminal unit that reads the origin authentication access code printed on the packaging box and transmits it to the sub-controller, receives the origin authent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sub-controller, and prints a QR code on the packaging box; and
Comprising an origin authentication server that compares the origin authentication access code and GPS coordinate data transmitted from the sub-controller with each other and transmits the origin authentication code to the sub-controller when a preset condition is met,
The sub-controller is
Receives GPS coordinates from the GPS receiving unit, transmits GPS coordinates and an origin authentication access code to the origin authentication server, and receives an origi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origin authentication server,
In order to image the growth information of each growth stage of livestock products or cultivated crops in the growing area, it includes a growth image information recording unit that controls to shoot the growth information for each step at a preset time through a camera installed in the local area,
The system air environmen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transmitting the image of each growth stage together with the origin authentication code, the growth image data of livestock products or cultivated crops is recorded in the QR c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기는,
실내의 에어 환경 조절을 통해 축산물 또는 재배작물의 생육을 제어하도록 각 생육지에 설치 운용되며, 생육지의 기후조건 정보와 그룹핑된 생육데이터 정보를 상위 단으로 전송하며,
상기 주 제어기는,
각각의 서브 제어기에서 전송된 생육지의 기후조건 정보와 생육데이터 정보를 취합하여 지역별로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상기 서브 제어기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조건에 맞는 생육데이터 정보를 상기 서브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에어 환경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b-controller is
It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each habitat to control the growth of livestock products or cultivated crops through indoor air environment control, and transmits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and grouped growth data information to the upper stage.
The main controller is
The data is grouped by region by collecting the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and growth data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sub-controller, and growth data information that meets the conditions is transmitted to the sub-controll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f the sub-controller. A system air climate control device with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기는,
상기 서브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생육지의 기후조건 정보를 기준으로 생육데이터 정보를 그룹화하는 기후별 그룹화부,
상기 서브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생육지의 축산물 또는 재배작물의 종류를 기준으로 생육데이터 정보를 그룹화하는 종류별 그룹화부,
상기 기후조건 정보와 축산물 또는 재배작물의 종류를 기준으로 그룹화된 생육데이터 정보를 각 지역별로 매칭하여 재 그룹화하는 지역별 그룹화부, 및
상기 지역별 그룹화부의 그룹화에 따라 동일 생육조건을 기준으로 각 지역별로 축산물 또는 재배작물의 생육을 비교 및 평가하는 생육 비교 평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 제어기는,
상기 생육 비교 평가부의 평가 데이터를 기준으로 동일 생육 조건에 맞는 생육데이터 정보 중 성장 및 품질이 기 설정조건 이상인 생육데이터를 탐색하여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서브 제어기로 우수 생육데이터 공유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생육 비교 평가부의 평가 데이터를 기준으로 각 지역별 및 종류별로 수확량을 예측한 수확량 예측 산출정보를 상기 서브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에어 환경 조절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controller is
A grouping unit for each climate grouping growth data information based on the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of each habitat transmitted from the sub-controller;
A grouping unit by type for grouping the growth data information based on the type of livestock products or cultivated crops of each locality transmitted from the sub-controller;
A regional grouping unit for regrouping by matching the growth data information grouped based on the climatic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types of livestock products or cultivated crops for each region, and
Includes a growth comparison evaluation unit for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growth of livestock products or cultivated crops in each region based on the same growth conditions according to the grouping of the regional grouping unit,
The main controller is
Based on the evaluation data of the growth comparison and evaluation unit, among the growth data information that meets the same growth conditions, growth data with growth and qualit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conditions are searched for, and excellent growth data shar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ub-controller that has transmitted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do,
System air environmen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transmitting the yield prediction calculation information that predicted the yield for each region and type based on the evaluation data of the growth comparison and evaluation unit to the sub-controll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기는,
상기 주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우수 생육데이터 공유정보를 수신하는 성장정보 공유부,
상기 우수 생육데이터 공유정보를 기준으로 생육지의 생육환경에 적합하도록 생육환경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최적 생육환경 산출부, 및
상기 수확량 예측 산출정보 및 생육환경 분석 데이터를 기준으로 생육지의 생육환경을 조절하는 생육환경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에어 환경 조절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ub-controller is
Growth information sharing unit for receiving the excellent growth data shar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in controller,
An optimal growth environment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growth environment analysis data to be suitable for the growing environment of a growing area based on the excellent growth data sharing information, and
System air environmen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owth environment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growing area based on the yield prediction calculation information and the growth environment analysis data.
제 4 항에 있어서,
생육지의 정전 발생시에 정전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며, 정전 발생시에 보조 전원 공급부의 구동을 명령하는 정전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육환경 조절부는 상기 정전 발생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현재 생육환경 설정조건을 분석하여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의 보조전원의 상태에 따라 지속적으로 생육환경 설정 조정 값을 변경시킴으로써 축산물 또는 재배작물의 생육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에어 환경 조절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It generates a power outage message when a power outage occurs in the locality, and further includes a power outage detection unit for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when a power outage occurs,
The growth environment control unit maintains the growth of livestock products or cultivated crops by continuously changing the growth environment setting adjustment valu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by analyzing the current growth environment sett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power failure message. A system air environmen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제 5 항에 있어서,
생육지의 구획된 실내 재배공간에 각각 배치되어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를 서로 혼합한 혼합 공기를 각각의 실내 재배공간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공기 혼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혼합부는,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혼합부의 몸체 내측으로 접선방향으로 유입되며,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제1 유입 조절 밸브부,
내부 공기가 상기 공기 혼합부의 몸체 내측으로 접선방향으로 유입되며, 내부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제2 유입 조절 밸브부,
접선방향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 및 내부 공기가 하방으로 스월링되면서 혼합되도록 하는 스월링 몸체부,
혼합 공기를 각 구획된 실내 재배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 조절 밸브부, 및
혼합 공기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현재 상태를 측정하는 혼합공기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에어 환경 조절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air mixing unit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partitioned indoor growing space of the growing area to discharge mixed air mixed with external air and internal air to each indoor growing space,
The air mixing unit,
A first inflow control valve unit in which external air flows in a tangential direction to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air mixing unit, and controls an inflow amount of external air;
A second inflow control valve part for tangentially flowing internal air into the body of the air mixing part and controlling the inflow amount of internal air;
A swirling body that allows external air and internal air introduc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to be mixed while swirling downward;
A discharge control valve for discharging the mixed air to each partitioned indoor cultivation space, and
System air environment control device comprising a mixed air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current state includ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of the mixed ai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기는,
상기 혼합공기 측정부로부터 전송된 혼합 공기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혼합공기 상태 판단부, 및
상기 혼합 공기 상태 판단부에서 분석한 정보를 토대로 혼합 공기가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2 유입 조절 밸브부 및 배출 조절 밸브부를 조절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스월링 속도를 조절하는 스월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에어 환경 조절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ub-controller is
A mixed air state determination unit that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he mixed air transmitted from the mixed air measuring unit, and
If the mixed air does not meet the preset condi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mixed air state determination unit, a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inlet control valve units and the discharge control valve unit is transmitted to increase the swirling speed. System air environmen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wirling control to adjus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51000A 2019-07-11 2019-11-22 System air environmental control apparatus Active KR1023880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000A KR102388022B1 (en) 2019-11-22 2019-11-22 System air environmental control apparatus
JP2019213195A JP6889940B2 (en) 2019-07-11 2019-11-26 System air environment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000A KR102388022B1 (en) 2019-11-22 2019-11-22 System air environmental control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842A KR20210062842A (en) 2021-06-01
KR102388022B1 true KR102388022B1 (en) 2022-04-19

Family

ID=7637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000A Active KR102388022B1 (en) 2019-07-11 2019-11-22 System air environmental control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02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0435A (en) * 2009-10-21 2011-05-06 Dainippon Printing Co Ltd Production place information confirmation system
KR101870680B1 (en) * 2017-11-20 2018-06-25 농업회사법인 네오팜 주식회사 House facility cultivation management system
KR101881299B1 (en) * 2018-06-28 2018-07-26 대영지에스 주식회사 Smart farm glasshouse of semi-closed typ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5395B2 (en) 1972-02-28 1977-11-15
JPS5989218A (en) 1982-11-12 1984-05-23 Nissan Motor Co Ltd Drainage structure in setting part for regulator switch
KR970005719A (en) 1995-07-14 1997-02-19 Parking Front Windshield Sunvisor
KR20050032556A (en) 2005-03-15 2005-04-07 박은석 House web control
KR200424775Y1 (en) 2006-06-15 2006-08-28 윤수근 Automatic ventilation of mushroom cultivator
KR20120077086A (en)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조은환경 Gravity wastewater filtration treatment method and adjustable filtration system
JP5802407B2 (en) 2011-03-04 2015-10-2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KR101352309B1 (en) 2013-02-12 2014-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For Producing Alcohol From Olefin
KR101465082B1 (en) * 2013-03-18 2014-11-25 대한민국 Horticultural facil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50044731A (en) 2013-10-17 2015-04-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cleaning bottom for automobiles
KR20150083393A (en) * 2014-01-09 2015-07-17 홍동우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about cultivating crops
JP2017009706A (en) 2015-06-18 2017-01-12 株式会社リコー Lubricant application mechanism,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6609435B2 (en) 2015-08-03 2019-11-2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Vibration motor
KR101682066B1 (en) 2016-08-08 2016-12-20 (주)다온정보 System for managing green house using IoT technology
KR20180022159A (en) * 2016-08-23 2018-03-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utrient solu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using maching learning
KR101887503B1 (en) 2017-06-13 2018-08-10 (주)다온정보 Apparatus for smart control system in greenhous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0435A (en) * 2009-10-21 2011-05-06 Dainippon Printing Co Ltd Production place information confirmation system
KR101870680B1 (en) * 2017-11-20 2018-06-25 농업회사법인 네오팜 주식회사 House facility cultivation management system
KR101881299B1 (en) * 2018-06-28 2018-07-26 대영지에스 주식회사 Smart farm glasshouse of semi-closed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842A (en)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8336B2 (en) Integrated IoT (Internet of Things) system solution for smart agriculture management
CA2914575C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llumination to plants
KR101852987B1 (en) Module type plants factory system for cultivating mushroom
KR101536095B1 (en) Grassland management system using drone
KR20120076691A (en) Growth and development system for far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
KR20190143678A (en) System for managing environment of green hous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0700877B1 (en) Ubiquitous based far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20075558A (en) Method of controlling greenhouse and apparatus for the smae
KR20190143680A (en)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groth state of crop in green hous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04155925A (en) Henhouse micro climatic environment intelligent control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CN106383537A (en) Intelligence livestock culturing system
KR20190031768A (en) ICT-based smart farm control system
CN205620838U (en) Warmhouse booth environmental factor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CN105163090A (en) 4G based intelligent home courtyard nursing device
KR102105185B1 (en) Greenhouse Integrated Environment Control System Considering User Convenience
CN106506848A (en) A kind of livestock culturing control system based on ZigBee
KR102328565B1 (en) System air environmental control apparatus
KR102388022B1 (en) System air environmental control apparatus
KR20170001044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using temperature humidity index for cattle shed environment
JP6889940B2 (en) System air environment control device
KR102609912B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Nutriculture
CN102749891A (en) Feedback type remote monitoring method for fresh and live goods transportation
KR20110066987A (en)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r Good Agricultural Products
KR20190052828A (en) Data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for smart farm
KR20060112532A (en) Ubiquitous based far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