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993B1 - adhesive member,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dhesive member,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7993B1 KR102387993B1 KR1020210001653A KR20210001653A KR102387993B1 KR 102387993 B1 KR102387993 B1 KR 102387993B1 KR 1020210001653 A KR1020210001653 A KR 1020210001653A KR 20210001653 A KR20210001653 A KR 20210001653A KR 102387993 B1 KR102387993 B1 KR 1023879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 film
- based polymer
- adhesive film
- thickn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4—Copolymers of prop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부재용 이형필름,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휨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점착성을 가져 제조공정에 있어서 안정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팅 공정시 기포의 발생이 양호한 점착부재용 이형필름,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ease film for an adhesive member, an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t has excellent bending characteristics as well as excellent productivity and flexibility, and has appropriate adhesivene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relates to a release film for an adhesive member that not only has stability but also has good bubble generation during the laminating process, an adhesive sheet includ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scription
본 발명은 점착부재용 이형필름,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휨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점착성을 가져 제조공정에 있어서 안정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팅 공정시 기포의 발생이 양호한 점착부재용 이형필름,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ease film for an adhesive member, an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t has excellent bending characteristics as well as excellent productivity and flexibility, and has appropriate adhesivene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relates to a release film for an adhesive member that not only has stability but also has good bubble generation during the laminating process, an adhesive sheet includ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첨단 산업의 발달로 부품 및 모듈의 나사 고정이 아닌 점착시트 또는 접착시트로 접합 또는 점착시트 또는 접착시트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부품이나 모듈을 보호하는 요구사항이 증대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high-tech industry, the requirements for protecting parts or modules from the outside by using adhesive sheets or adhesive sheets or adhesive sheets or adhesive sheets rather than screw fixing of parts and modules are increasing.
부품 및 모듈의 첨단화 트렌드에 따라 보호시트, 접착시트 및/또는 점착시트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팅(Laminating) 공정을 실시하는데, 이 때 보호시트, 접착시트 및 점착시트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에 대한 제거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advanced parts and modules, the laminat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a protective sheet, an adhesive sheet and/or an adhesive sheet. is gradually increasing.
예를 들어 자동차 외장에 적용되는 PPF 필름이나 타블렛 케이스에 보호시트, 접착시트 및/또는 점착시트를 적용할 경우 라미네이팅 공정에서 기포가 발생하면 디라미네이팅 후 다시 라미네이팅을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when a protective sheet, an adhesive sheet, and/or an adhesive sheet is applied to a PPF film or tablet case applied to an automobile exterior, if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laminat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lamination must be performed again after delamination.
보호시트, 접착시트 및/또는 점착시트 중에는 아크릴계 점착시트, 실리콘계 점착시트 및 우레탄계 점착시트가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Among the protective sheet, the adhesive sheet and/or the adhesive sheet, an acrylic adhesive sheet, a silicone adhesive sheet, and a urethane adhesive sheet are mostly used.
상기 점착시트 중에서 실리콘계 점착제를 적용한 점착시트가 라미네이팅 시 기포 발생이 가장 적으나 점착코팅 두께가 높거나 점착력이 높은 특성을 지닐 경우 라미네이팅시 기포발생이 많아져 라미네이팅이 어렵다.Amo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which the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pplied has the least generation of air bubbles during lamination.
한편, OLED 패널의 조립이나, 다수의 회로기판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능성 점착시트로 적층 라미네이팅하여 합지된 하나의 모듈로 조립한다. 이러한 OLED 모듈 및 회로기판은 충격에 강한 내구성, 방열성을 위한 열 전도성 및 내열성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기능성 아크릴, 우레탄 또는 실리콘계 점착시트가 사용되고 점착층의 코팅 두께도 30㎛ 이상으로 높기 때문에 기능성 접착시트의 라미네이팅 합지 시 기포없이 조립하는 것이 제품의 신뢰성에 매우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ssemble an OLED panel or to construct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it is laminated and laminated with a functional adhesive sheet and assembled into one laminated module. Because these OLED modules and circuit boards require strong impact resistance, thermal conductivity and heat resistance for heat dissipation, functional acrylic, urethane, or silicone-based adhesive sheets are used, and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as high as 30㎛ or more. When laminating and laminating, assembling without bubbles is very important for product reliabil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휨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점착성을 가져 제조공정에 있어서 안정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팅 공정시 기포의 발생이 양호한 점착부재용 이형필름,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has excellent bending characteristics, productivity and flexibility, and has appropriate adhesiveness to have stabilit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well as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bubbles during the laminating proces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od release film for an adhesive member, an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점착부재용 이형필름은 제1점착필름, 기재부재 및 제2점착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점착부재용 이형필름으로서, 제1점착필름의 두께는 제2점착필름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elease film for an adhesiv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lease film for an adhesive member in which a first adhesive film, a base member and a second adhesive film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film is the second It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점착필름은 10점 평균조도(Rz)가 1.5 ~ 9㎛일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film may have 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1.5 to 9 μ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점착필름은 10점 평균조도(Rz)가 1.5 ~ 9㎛일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dhesive film may have 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1.5 to 9 μ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점착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스타이렌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아마이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중합체, 비닐알콜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및 실리콘계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is a polyester-based polymer, an acrylic polymer, a styrene-based polymer, a polycarbonate-based polymer, a polyolefin copolymer,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n amide-based polymer, an imide-based polym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phone-based polymer, a polyphenylene sulfide-based polymer, a vinyl alcohol-based polymer, an allylate-based polymer, an epoxy-based polymer, a urethane-based polymer, and a silicone-based polym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점착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스타이렌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아마이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중합체, 비닐알콜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및 실리콘계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dhesive film is a polyester-based polymer, an acrylic polymer, a styrene-based polymer, a polycarbonate-based polymer, a polyolefin copolymer,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n amide-based polymer, an imide-based polym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phone-based polymer, a polyphenylene sulfide-based polymer, a vinyl alcohol-based polymer, an allylate-based polymer, an epoxy-based polymer, a urethane-based polymer, and a silicone-based polym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점착필름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을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may includ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점착필름은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을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dhesive film may includ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재부재는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ember may include pap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재부재는 20 ~ 90 g/m2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ember may have a basis weight of 20 to 90 g/m 2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재부재가 30 g/m2의 평량을 가질 때, 제1점착필름은 15 ~ 45㎛의 두께, 제2점착필름은 20 ~ 5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se member has a basis weight of 30 g/m 2 , the first adhesive film may have a thickness of 15 to 45 μm,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may have a thickness of 20 to 55 μm. there is.
한편, 본 발명의 점착시트는 점착부재 및 점착부재의 일면에 적층된 본 발명의 점착부재용 이형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hesive member and the release film for the adhesiv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형필름의 제1점착필름이 점착부재의 일면에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film of the release film may be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부재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epoxy resin, an acrylic resin, a urethane resin, and a silicone resi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계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DCPD)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poxy resin is one selected from bisphenol A epoxy resin, cresol novolak epoxy resin, phenol novolac epoxy resin, naphthalene-based epoxy resin, and dicyclopentadiene (DCPD) type epoxy resin. may include more than on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부재 및 이형필름은 1 : 2 ~ 6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 and the release film may have a thickness ratio of 1: 2-6.
나아가, 본 발명의 점착시트 제조방법은 제1점착필름과 제2점착필름 사이에 기재부재가 위치되도록 라미네이트(laminate)한 후, 경화하여 이형필름을 제조하는 제1단계, 이형기재의 일면에 점착부재 조성물을 코팅시키고, 경화하여 점착부재를 형성하는 제2단계, 이형필름의 제1점착필름과 상기 점착부재를 마주보도록 위치시키고, 라미네이트(laminate)한 후, 경화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이형기재를 제거하여 점착시트를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release film by laminating the substrate member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dhesiv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curing the first adhesive film, and adhesion to one surface of the release substrate A second step of coating the member composition and curing it to form an adhesive member, a third step of curing the first adhesive film of a release film and the adhesive member to face, laminating, and curing the release substrate It may include a fourth step of manufacturing the adhesive sheet by removing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점착시트 제조방법에서 제1점착필름의 두께는 제2점착필름의 두께보다 얇고, 제1점착필름 및 제2점착필름은 각각 1.5 ~ 10㎛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질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film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film, and the first adhesiv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are 1.5 to 10 μm, respectively. It may have 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점착시트 제조방법에서 제1점착필름 및 제2점착필름은 각각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을 포함할 수 있고, 기재부재는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may each includ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and the base member is made of paper. may includ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점착시트 제조방법에서 기재부재는 20 ~ 90 g/m2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ember may have a basis weight of 20 to 90 g/m 2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점착시트 제조방법에서 기재부재가 30 g/m2의 평량을 가질 때, 제1점착필름은 15 ~ 45㎛의 두께, 제2점착필름은 20 ~ 5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se member has a basis weight of 30 g/m 2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film has a thickness of 15 to 45 μm,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has a thickness of 20 It may have a thickness of ~ 55㎛.
나아가, 본 발명의 다층 회로기판 제조방법은 제1회로기판, 제2회로기판 및 본 발명의 점착시트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제1회로기판 일면에 상기 점착시트의 점착부재를 부착시키고, 상기 점착시트의 이형필름을 제거하여, 일면에 점착부재가 부착된 제1회로기판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회로기판 일면에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점착부재를 부착시켜, 다층 회로기판을 제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circui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preparing a first circuit board, a second circuit board and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ing the adhesive member of the adhesive sheet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A second step of manufacturing a first circuit board having an adhesive member attached to one surface by removing the release film of the adhesive sheet, and attaching the adhesive member of the first circuit boar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a multilayer circuit board It may include a third step of manufacturing.
본 발명의 점착부재용 이형필름,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은 휨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점착성을 가져 제조공정에 있어서 안정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팅 공정시 기포의 발생이 양호하다.The release film for an adhesiv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ave not only excellent bending properties, but also excellent productivity and flexibility, have appropriate adhesiveness, and have stabilit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well as a laminating process The generation of air bubbles is go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점착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rocess diagram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점착시트는 다양한 피착재, 일 예로서 회로기판 간 상호 점착 및/또는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점착시트 또는 접착시트일 수 있다.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mutually adhere and/or adhere to various adherends, for example, between circuit boards, and may be an adhesive sheet or an adhesive sheet.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점착시트를 설명하면, 점착부재(200) 및 점착부재(200)의 일면에 적층된 점착부재용 이형필름(10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it may include an
먼저, 점착부재(200)는 일정한 점착력 및/또는 접착력을 발휘하여 다양한 피착재, 일 예로서 다수의 회로기판을 상호 점착 또는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는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구체적으로,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계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DCPD)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poxy resi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bisphenol A epoxy resin, cresol novolac epoxy resin, phenol novolac epoxy resin, naphthalene-based epoxy resin, and dicyclopentadiene (DCPD)-type epoxy resin.
다음으로, 점착부재용 이형필름(100)은 점착부재(200)을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Next, the
구체적으로, 점착부재용 이형필름(100)은 제1점착필름(20), 기재부재(10) 및 제2점착필름(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이형필름(100)의 제1점착필름(20)이 점착부재(200)의 일면에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점착시트는 점착부재(200), 제1점착필름(20), 기재부재(10) 및 제2점착필름(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본 발명의 기재부재(10)는 종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 90 g/m2의 평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40 g/m2의 평량을 가지는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종이의 평량이 20 g/m2 미만이면 핀 홀 등의 외관이 불량해질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점착시트 제조시 다량의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90 g/m2를 초과하면 생산성이 저하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제1점착필름(20)은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스타이렌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아마이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중합체, 비닐알콜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및 실리콘계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이 때,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아크릴계 중합체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타이렌계 중합체로서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크릴-스타일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로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아마이드계 중합체로서 나일론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lyester-based polym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may include polymethyl methacrylate as the acrylic polymer, and polystyrene and acrylonitri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styrene copolymers,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s a polyolefin copolym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nylon and aromatic polyamide as an amide-based polymer. can
또한, 본 발명의 제1점착필름(20)은 10점 평균조도(Rz, ten point median height roughness)가 1.5 ~ 9㎛, 바람직하게는 1.5 ~ 5㎛,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4㎛일 수 있다. 만일 10점 평균조도가 1.5㎛ 미만이면 표면 점착력의 제어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9㎛를 초과하면 앵커링 효과로 점착부재(200)와의 이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본 발명의 제2점착필름(30)은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스타이렌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아마이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중합체, 비닐알콜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및 실리콘계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이 때,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아크릴계 중합체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타이렌계 중합체로서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크릴-스타일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로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아마이드계 중합체로서 나일론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lyester-based polym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may include polymethyl methacrylate as the acrylic polymer, and polystyrene and acrylonitri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styrene copolymers,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s a polyolefin copolym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nylon and aromatic polyamide as an amide-based polymer. can
또한, 본 발명의 제2점착필름(30)은 10점 평균조도(Rz, ten point median height roughness)가 1.5 ~ 9㎛, 바람직하게는 1.5 ~ 5㎛,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4㎛일 수 있다. 만일 10점 평균조도가 1.5㎛ 미만이면 표면 점착력의 제어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9㎛를 초과하면 앵커링 효과로 점착부재(200)와의 이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한편, 본 발명의 점착부재용 이형필름(100)은 제1점착필름(20)의 두께가 제2점착필름(30)의 두께보다 얇은 기술적 특징을 가지며, 만일 제1점착필름(20)의 두께가 제2점착필름(3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두껍다면 휨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점착부재용 이형필름(100)은 종이가 30 g/m2의 평량을 가질 때, 제1점착필름(20)은 15 ~ 45㎛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5 ~ 35㎛의 두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 23㎛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제2점착필름(30)은 20 ~ 55㎛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20 ~ 45㎛의 두께,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 28㎛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제1점착필름(20)의 두께가 15㎛ 미만이면 앞서 언급한 10점 평균조도의 범위를 부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정성이 저하되고, 45㎛를 초과하면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증가하고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점착필름(30)의 두께가 20㎛ 미만이면 앞서 언급한 10점 평균조도의 범위를 부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정성이 저하되고, 55㎛를 초과하면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증가하고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한편, 본 발명의 점착시트는 점착부재(200) 및 점착부재용 이형필름(100)이 1 : 2 ~ 6 두께비, 바람직하게는 1 : 2 ~ 4 두께비를 가질 수 있으며, 만일 두께비가 1 : 2 미만이면 10점 평균조도의 범위를 부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 : 6을 초과하면 비용의 증가 및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나아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점착시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점착시트 제조방법은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포함한다.Furthermore, whe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to fourth steps.
먼저, 본 발명의 점착시트 제조방법의 제1단계는 제1점착필름(20)과 제2점착필름(30) 사이에 기재부재(10)가 위치되도록 라미네이트(laminate)한 후, 경화하여 이형필름(100)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라미네이트는 갭 롤러(Gap roller)에 투입하여, 50 ~ 200m/분의 속도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경화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UV 경화 또는 열경화를 수행할 수 있다.First, in the first step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1점착필름(20)은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스타이렌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아마이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중합체, 비닐알콜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및 실리콘계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이 때,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아크릴계 중합체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타이렌계 중합체로서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크릴-스타일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로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아마이드계 중합체로서 나일론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lyester-based polym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may include polymethyl methacrylate as the acrylic polymer, and polystyrene and acrylonitri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styrene copolymers,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s a polyolefin copolym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nylon and aromatic polyamide as an amide-based polymer. can
또한, 본 발명의 제1점착필름(20)은 10점 평균조도(Rz, ten point median height roughness)가 1.5 ~ 9㎛, 바람직하게는 1.5 ~ 5㎛,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4㎛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본 발명의 제2점착필름(30)은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스타이렌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아마이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중합체, 비닐알콜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및 실리콘계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이 때,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아크릴계 중합체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타이렌계 중합체로서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크릴-스타일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로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아마이드계 중합체로서 나일론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lyester-based polym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may include polymethyl methacrylate as the acrylic polymer, and polystyrene and acrylonitri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styrene copolymers,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s a polyolefin copolym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nylon and aromatic polyamide as an amide-based polymer. can
또한, 본 발명의 제2점착필름(30)은 10점 평균조도(Rz, ten point median height roughness)가 1.5 ~ 9㎛, 바람직하게는 1.5 ~ 5㎛,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4㎛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또한, 제1점착필름(20)의 두께가 제2점착필름(30)의 두께보다 얇은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또한, 기재부재(10)는 종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 90 g/m2의 평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40 g/m2의 평량을 가지는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재용 이형필름(100)은 종이가 30 g/m2의 평량을 가질 때, 제1점착필름(20)은 15 ~ 45㎛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5 ~ 35㎛의 두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 23㎛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제2점착필름(30)은 20 ~ 55㎛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20 ~ 45㎛의 두께,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 28㎛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점착시트 제조방법의 제2단계는 이형기재(40)의 일면에 점착부재 조성물을 코팅시키고, 경화하여 점착부재(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점착부재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코팅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콤마 코팅방법 또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방법을 통해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경화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 또는 UV를 이용하여 건조 및/또는 숙성 과정을 거쳐 경화될 수 있다.Next, in the second step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이형기재(40)는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스타이렌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아마이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중합체, 비닐알콜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및 실리콘계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이형 코팅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형 코팅처리는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The
이 때,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아크릴계 중합체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타이렌계 중합체로서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크릴-스타일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로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아마이드계 중합체로서 나일론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lyester-based polym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may include polymethyl methacrylate as the acrylic polymer, and polystyrene and acrylonitri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styrene copolymers,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s a polyolefin copolym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nylon and aromatic polyamide as an amide-based polymer. ca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점착시트 제조방법의 제3단계는 이형필름(100)의 제1점착필름(20)과 상기 점착부재(200)를 마주보도록 위치시키고, 라미네이트(laminate)한 후, 경화할 수 있다. 이 때, 라미네이트는 갭 롤러(Gap roller)에 투입하여, 25 ~ 100m/분의 속도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경화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 또는 UV를 이용하여 건조 및/또는 숙성 과정을 거쳐 경화될 수 있다.Next, in the third step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점착시트 제조방법의 제4단계는 이형기재(40)를 제거하여 점착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Finally, in the fourth step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be manufactured by removing the
나아가, 본 발명의 점착시트를 이용하여 다층 회로기판을 제조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층 회로기판 제조방법은 제1회로기판, 제2회로기판 및 본 발명의 점착시트를 준비하는 제1단계, 제1회로기판 일면에 본 발명의 점착시트의 점착부재를 부착시키고, 본 발명의 점착시트의 이형필름을 제거하여, 일면에 점착부재가 부착된 제1회로기판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제2회로기판 일면에 제1회로기판의 점착부재를 부착시켜, 다층 회로기판을 제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a multilayer circuit board can be manufactured using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multilayer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ircuit board, a second circuit board, and a first step for preparing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1, a second step of attaching the adhesive member of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removing the release film of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nufacturing a first circuit board having an adhesive member attached to one surface and a third step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circuit board by attaching an adhesive member of the first circuit boar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이 때, 제1회로기판 및 제2회로기판은 각각 유리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PCB), 금속 인쇄회로기판(Metal PCB) 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may be a glass circuit board,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 metal printed circuit board (Metal PCB),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respectively.
한편, 본 발명의 다층 회로기판 제조방법은 제1회로기판 및 제2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이 아닌 제3회로기판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회로기판 일면에 본 발명의 점착시트의 점착부재를 부착시키고, 본 발명의 점착시트의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제3회로기판 일면에 제2회로기판의 점착부재를 부착시켜, 3층의 회로기판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다수의 층을 가지는 다층 회로기판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circui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hird circuit board other than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and specifically,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A three-layer circuit board may be manufactured by attaching an adhesive member, removing the release film of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taching the adhesive member of the second circuit board to one surface of the third circuit board. Through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ultilayer circuit board having a plurality of layer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현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exemplified above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 And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 1 : 점착시트의 제조 Example 1: Preparation of adhesive sheet
(1) 20㎛의 두께를 가지고, 3.75㎛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제1점착필름과 25㎛의 두께를 가지고, 3.75㎛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제2점착필름 사이에 기재부재를 위치시킨 다음, 갭 롤러(Gap roller)에 투입하여, 100 m/분의 속도로 라미네이트(laminate)한 후, UV 경화하여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1) A first adhes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and having 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3.75 μm and a second adhes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25 μm and 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3.75 μm After placing the substrate member in between, it was put on a gap roller, laminated at a speed of 100 m/min, and then UV cured to prepare a release film.
이 때, 제1점착필름 및 제2점착필름으로 각각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를 사용하였고, 기재부재로 30g/m2의 평량을 가지는 종이를 사용하였다. In this cas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was used as the first adhesiv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respectively, and paper having a basis weight of 30 g/m 2 was used as the base member.
(2) 38㎛의 두께를 가지는 실리콘 이형 코팅처리된 PET에 점착부재 조성물을 콤마 코팅을 통해서 코팅시키고, 건조 및 숙성 과정을 거쳐, 25㎛의 두께를 가지는 점착부재를 형성하였다. 이 때, 점착부재 조성물로 아크릴 바인더와 에폭시 수지를 기반으로 경화제 및 경화촉진제가 혼합된 조성물을 사용하였다.(2) The adhesive member composition was coated on PET treated with silicone release coating having a thickness of 38 μm through comma coating, and dried and aged to form an adhesive member having a thickness of 25 μm. In this case, a composition in which a curing agent and a curing accelerator are mixed based on an acrylic binder and an epoxy resin was used as the adhesive member composition.
(3) 제조한 이형필름의 제1점착필름과 제조한 점착부재를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다음, 갭 롤러(Gap roller)에 투입하여, 50 m/분의 속도로 라미네이트(laminate)한 후, 60℃의 온도에서 1일동안 숙성공정을 진행하였으며, 점착부재에 적층되어 있는 실리콘 이형 코팅처리된 PET은 제거하여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3) After placing the first adhesive film of the prepared release film and the prepared adhesive member to face each other, put it in a gap roller, laminate at a speed of 50 m/min, and then at 60°C The aging process was carried out for 1 day at a temperature of
실시예 2 : 점착시트의 제조Example 2: Preparation of adhesive sheet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다만, 기재부재로 15g/m2의 평량을 가지는 종이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An adhesive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However, using paper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m 2 as a base member, an adhesive sheet was finally manufactured.
실시예 3 : 점착시트의 제조Example 3: Preparation of adhesive sheet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다만, 기재부재로 100g/m2의 평량을 가지는 종이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An adhesive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However, using paper having a basis weight of 100 g/m 2 as a base member, an adhesive sheet was finally manufactured.
실시예 4 : 점착시트의 제조Example 4: Preparation of adhesive sheet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다만, 제1점착필름으로 10㎛의 두께를 가지고, 3.75㎛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고, 제2점착필름으로 15㎛의 두께를 가지고, 3.75㎛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An adhesive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However, the first adhes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and having 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3.75 μm was used,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15 μm and a 10-point average roughness of 3.75 μm ( Rz) was used to finally prepare an adhesive sheet.
실시예 5 : 점착시트의 제조Example 5: Preparation of adhesive sheet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다만, 제1점착필름으로 50㎛의 두께를 가지고, 3.75㎛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고, 제2점착필름으로 60㎛의 두께를 가지고, 3.75㎛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An adhesive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However, the first adhes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μm and having 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3.75 μm was used,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60 μm and a 10-point average roughness of 3.75 μm ( Rz) was used to finally prepare an adhesive sheet.
비교예 1 : 점착시트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1: Preparation of adhesive sheet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다만, 제1점착필름으로 20㎛의 두께를 가지고, 0.7㎛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고, 제2점착필름으로 25㎛의 두께를 가지고, 0.7㎛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An adhesive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However, the first adhes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and having 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0.7 μm was used,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25 μm and a 10-point average roughness of 0.7 μm ( Rz) was used to finally prepare an adhesive sheet.
비교예 2 : 점착시트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2: Preparation of adhesive sheet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다만, 제1점착필름으로 20㎛의 두께를 가지고, 10㎛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고, 제2점착필름으로 25㎛의 두께를 가지고, 10㎛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An adhesive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However, the first adhes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and having 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10 μm was used,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25 μm and a 10-point average roughness of 10 μm ( Rz) was used to finally prepare an adhesive sheet.
비교예 3 : 점착시트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3: Preparation of adhesive sheet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다만, 제1점착필름으로 25㎛의 두께를 가지고, 3.75㎛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고, 제2점착필름으로 25㎛의 두께를 가지고, 3.75㎛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An adhesive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However, the first adhes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25 μm and having 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3.75 μm was used, and as the second adhesive film, a thickness of 25 μm and a 10-point average roughness of 3.75 μm ( Rz) was used to finally prepare an adhesive sheet.
비교예 4 : 점착시트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4: Preparation of adhesive sheet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다만, 제1점착필름으로 25㎛의 두께를 가지고, 3.75㎛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고, 제2점착필름으로 20㎛의 두께를 가지고, 3.75㎛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An adhesive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However, the first adhes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25 μm and having 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3.75 μm was used, and as the second adhesive film, a thickness of 20 μm and a 10-point average roughness of 3.75 μm ( Rz) was used to finally prepare an adhesive sheet.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4에서 제조된 점착시트를 각각 다음과 같은 물성평가법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methods,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1) 휨 특성(1) bending characteristics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4에서 제조된 점착시트를 각각 가로, 세로 10cm 크기를 가지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제조한 시편에 대각선 방향으로 10mm정도 "X"자 커팅한 후, 커팅된 부분의 휨방향 및 높이를 측정하여 휨 특성을 평가하였다. 휨 특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휨방향 및 높이가 ±1mm 이하인 경우 ○, ±1mm 초과 ±2mm 이하인 경우 △, ±2mm 초과한 경우 ×로 표시하였다.The adhesive sheets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cut to have a size of 10 cm in width and length, respectively, to prepare a specimen, and after cutting the prepared specimen in an “X” shape by about 10 mm in the diagonal direction, By measuring the bending direction and height of the cut part, the bending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evaluating the bending characteristics, when the bending direction and height were ±1mm or less, ○, when it was more than ±1mm and less than ±2mm, △, and when it exceeded ±2mm, ×.
(2) 기포생성정도(2) Degree of bubble formation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4에서 제조된 점착시트를 각각 가로, 세로 10cm 크기를 가지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제조한 시편을 기포 생성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착기재에 라미네이션한 후, 기포발생 부위가 전체면적 대비 10%를 이상이면 ×, 10% 미만이면 ○로 기포생성 정도를 평가하였다.Specimens were prepared by cutting the adhesive sheets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to have a size of 10 cm in width and length, respectively, and lamination of the prepared specimen to an attachment substrate that can visually check the degree of bubble generation Then, the degree of foaming was evaluated as × if the area where the foaming occurred was more than 10% of the total area, and ○ if it was less than 10%.
(3) 표면점착성(3) Surface adhesion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4에서 제조된 점착시트를 각각 가로, 세로 10cm 크기를 가지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제조한 시편을 표면점착성을 확인할 수 있는 부착기재에 라미네이션한 후, 시편의 이형필름을 제거할 때, 시편의 점착부재가 부착기재에 전사되어 있으면 ○로, 전사되어 있지 않으면 ×로 표면점착성을 평가하였다.After cutting the adhesive sheets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to have a size of 10 cm in width and length, respectively, to prepare a specimen, and laminating the prepared specimen to an adhesive substrate capable of confirming surface adhesion, When the release film of the specimen was removed, surface adhesion was evaluated as ○ if the adhesive member of the specimen was transferred to the attachment substrate, and × if not transferred.
(4) 생산성, 유연성(4) Productivity, flexibility
생산성은 점착시트의 기재부재 평량이 20 ~ 50 g/m2 일 때는 ○로 판정하고, 그 외에는 Х로 판정하였다. 또한, 생산성은 제1점착필름 및 제2점착필름의 10점 평균조도(Rz)가 각 필름두께대비 30% 이상일 때 Х로 판정하고, 그 외에는 ○로 판정하였다.Productivity was determined as ○ when the basis weight of the base material of the adhesive sheet was 20 to 50 g/m 2 , and Х otherwise. In addition, productivity was determined as Х when the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s was 30% or more of each film thickness, and the others were determined as ○.
유연성은 점착시트의 두께가 50 ~ 100㎛ 이상 일 때는 ○로 판정하고, 그 외에는 Х로 판정하였다.Flexibility was judged as ○ when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50 to 100 μm or more, and Х otherwise.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점착시트는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점착시트보다 휨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포생성이 적고, 표면점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유연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can be seen in Table 1,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repared in Example 1 not only has superior bending properties tha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prepared in other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also has less bubble generation and excellent surface adhe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ductivity and flexibility were excellent.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ll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기재부재
20 : 제1점착필름
30 : 제2점착필름
40 : 이형기재
100 : 점착부재용 이형필름
200 : 점착부재10: base member
20: first adhesive film
30: second adhesive film
40: release material
100: release film for adhesive member
200: adhesive member
Claims (13)
상기 제1점착필름의 두께는 제2점착필름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제1점착필름 및 제2점착필름 각각은 10점 평균조도(Rz)가 1.5 ~ 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재용 이형필름.
A release film for an adhesive member in which a first adhesive film, a base member and a second adhesive film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film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film,
A release film for an adhesive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irst adhesiv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has 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1.5 to 9 μm.
상기 제1점착필름 및 제2점착필름은 각각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스타이렌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아마이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중합체, 비닐알콜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및 실리콘계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재용 이형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dhesiv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are each a polyester-based polymer, an acrylic polymer, a styrene-based polymer, a polycarbonate-based polymer, a polyolefin copolymer,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n amide-based polymer, an imide-based polymer, a sulfone-based polymer, A release film for an adhesive memb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polyphenylene sulfide-based polymer, a vinyl alcohol-based polymer, an allylate-based polymer, an epoxy-based polymer, a urethane-based polymer, and a silicone-based polymer.
상기 제1점착필름 및 제2점착필름은 각각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재용 이형필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dhesiv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is a release film for an adhesive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respectively.
상기 기재부재는 종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재는 20 ~ 90 g/m2의 평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재용 이형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member includes paper,
The base member is a release film for an adhesive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basis weight of 20 ~ 90 g / m 2 .
상기 기재부재가 30 g/m2의 평량을 가질 때, 제1점착필름은 15 ~ 45㎛의 두께, 제2점착필름은 20 ~ 55㎛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재용 이형필름.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base member has a basis weight of 30 g/m 2 , the first adhesive film has a thickness of 15 to 45 μm,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has a thickness of 20 to 55 μm.
상기 점착부재의 일면에 적층된 제1항의 점착부재용 이형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필름의 제1점착필름이 상기 점착부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adhesive member; and
The release film for the adhesive member of claim 1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including,
An adhesive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dhesive film of the release film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상기 점착부재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dhesive member is an adhesive she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epoxy resin, an acrylic resin, a urethane resin, and a silicone resin.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계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DCPD)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poxy resin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bisphenol A epoxy resin, cresol novolak epoxy resin, phenol novolac epoxy resin, naphthalene-based epoxy resin, and dicyclopentadiene (DCPD) type epoxy resin. Sheet.
상기 점착부재 및 이형필름은 1 : 2 ~ 6 두께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dhesive member and the release film are 1: 2 to 6 adhesive sheet,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thickness ratio.
이형기재의 일면에 점착부재 조성물을 코팅시키고, 경화하여 점착부재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이형필름의 제1점착필름과 상기 점착부재를 마주보도록 위치시키고, 라미네이트(laminate)한 후, 경화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이형기재를 제거하여 점착시트를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점착필름의 두께는 제2점착필름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제1점착필름 및 제2점착필름은 각각 1.5 ~ 10㎛의 10점 평균조도(Rz)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제조방법.
A first step of laminating a substrate member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dhesiv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and then curing to prepare a release film;
A second step of coating the adhesive member composition on one surface of the release substrate and curing it to form an adhesive member;
a third step of positioning the first adhesive film of the release film and the adhesive member to face each other, laminating and curing the first adhesive film; and
A fourth step of manufacturing an adhesive sheet by removing the release substrate;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film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film,
The first adhesiv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each have a 10-point average roughness (Rz) of 1.5 ~ 1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nufacturing method.
상기 제1점착필름 및 제2점착필름은 각각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재는 종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제조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adhesiv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each include a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The base memb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dhesive she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paper.
상기 기재부재는 20 ~ 90 g/m2의 평량을 가지고,
상기 기재부재가 30 g/m2의 평량을 가질 때, 제1점착필름은 15 ~ 45㎛의 두께, 제2점착필름은 20 ~ 55㎛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제조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base member has a basis weight of 20 ~ 90 g / m 2 ,
When the base member has a basis weight of 30 g/m 2 , the first adhesive film has a thickness of 15 to 45 μm, and the second adhesive film has a thickness of 20 to 55 μm.
상기 제1회로기판 일면에 상기 점착시트의 점착부재를 부착시키고, 상기 점착시트의 이형필름을 제거하여, 일면에 점착부재가 부착된 제1회로기판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회로기판 일면에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점착부재를 부착시켜, 다층 회로기판을 제조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회로기판 제조방법.
A first step of preparing the first circuit board, the second circuit board and the adhesive sheet of claim 6;
a second step of attaching an adhesive member of the adhesive sheet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removing the release film of the adhesive sheet, and manufacturing a first circuit board having an adhesive member attached to one surface; and
a third step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circuit board by attaching an adhesive member of the first circuit boar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Multilayer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1653A KR102387993B1 (en) | 2021-01-06 | 2021-01-06 | adhesive member,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1653A KR102387993B1 (en) | 2021-01-06 | 2021-01-06 | adhesive member,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87993B1 true KR102387993B1 (en) | 2022-04-19 |
Family
ID=8139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1653A Active KR102387993B1 (en) | 2021-01-06 | 2021-01-06 | adhesive member,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799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7338B1 (en) * | 2022-02-15 | 2022-09-26 | 이왕기 | release film for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40000207A (en) * | 2022-06-23 | 2024-01-02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Gesture detection sensor, reader module, and gesture detection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7082A (en) * | 2007-10-31 | 2010-08-03 |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 Releasing polyester film |
KR20190101646A (en) | 2018-02-23 | 2019-09-02 | (주)케이에프엠 | Pattered Adhesive tape, Release film for form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Release film |
WO2020085307A1 (en) * | 2018-10-26 | 2020-04-30 | 東洋紡株式会社 | Alignment film for transferring liquid crystal compound alignment layer |
JP2020082657A (en) * | 2018-11-30 | 2020-06-04 |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 Mold releasing film |
-
2021
- 2021-01-06 KR KR1020210001653A patent/KR10238799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7082A (en) * | 2007-10-31 | 2010-08-03 |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 Releasing polyester film |
KR20190101646A (en) | 2018-02-23 | 2019-09-02 | (주)케이에프엠 | Pattered Adhesive tape, Release film for form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Release film |
WO2020085307A1 (en) * | 2018-10-26 | 2020-04-30 | 東洋紡株式会社 | Alignment film for transferring liquid crystal compound alignment layer |
JP2020082657A (en) * | 2018-11-30 | 2020-06-04 |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 Mold releasing film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7338B1 (en) * | 2022-02-15 | 2022-09-26 | 이왕기 | release film for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40000207A (en) * | 2022-06-23 | 2024-01-02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Gesture detection sensor, reader module, and gesture detection system |
KR102809240B1 (en) | 2022-06-23 | 2025-05-21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Gesture detection sensor, reader module, and gesture detect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86372B (en) | Resin composition | |
KR102342380B1 (en) | Adhesive sheet with protective film | |
JP5195454B2 (en) | Resin composition | |
KR20210127680A (en) | Resin composition | |
KR102128703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nent-embedded wiring board and semiconductor device | |
KR102387993B1 (en) | adhesive member,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100196703A1 (en) | Adhesive sheet | |
JP6770789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adhesive sheet with protective film | |
KR102387485B1 (en) | Resin sheet | |
KR102259479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 |
TW201511634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ubstrate having elements wiring therein and semiconductor device | |
KR20020031414A (en) | Releasing laminated film | |
JP2010238720A (en) |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 |
KR102386947B1 (en) | Resin sheet, laminated sheet, laminated plate and semiconductor device | |
JP5904256B2 (en) | Resin composition | |
KR102476862B1 (en) | Support body, adhesive sheet, laminated structur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 |
JP6863435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adhesive sheet with protective film | |
WO2018186355A1 (en) | Multilayer film and heat-resistant adhesive tape | |
KR101169369B1 (en) | Cover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
KR100588301B1 (en) | Epoxy / thermoplastic Blend Compositions | |
KR100721655B1 (en) | Release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TW201922869A (en) | Single-layer film and heat-resistant adhesive tape using same | |
US12120827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and resin sheet with inorganic layer | |
JP5579642B2 (en) | Laminate production method | |
KR20090073996A (en) | Multilayer film and dry film resist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