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85837B1 -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 - Google Patents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837B1
KR102385837B1 KR1020220010855A KR20220010855A KR102385837B1 KR 102385837 B1 KR102385837 B1 KR 102385837B1 KR 1020220010855 A KR1020220010855 A KR 1020220010855A KR 20220010855 A KR20220010855 A KR 20220010855A KR 102385837 B1 KR102385837 B1 KR 102385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mixer
chemical
inlet port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효석
Original Assignee
(주)두원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원메디텍 filed Critical (주)두원메디텍
Priority to KR102022001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8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 B01F25/4314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with helical baffles
    • B01F25/4314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with helical baffles composed of consecutive sections of helical 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61B2017/00495Surgical glue applicators for two-component gl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61B2017/00522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2Mixing of ingredients for pharmaceutical or medical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는, 제1약액이 채워진 제1주사기와 연결되는 제1유입포트(11)와, 제2약액이 채워진 제2주사기와 연결되는 제2유입포트(12)와, 상기 제1유입포트(11) 및 제2유입포트(12)와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포트(13)와, 상기 제1유입포트(11)로부터 유입된 제1약액이 이동하는 제1통로(14a)와, 상기 제2유입포트(12)로부터 유입된 제2약액이 이동하는 제2통로(15)와, 상기 제1통로(14a)와 제2통로(15)가 서로 합쳐지며 연결포트(13)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통로(16)를 포함하여 구성된 헤드부재(10)와;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취하며, 일측에는 상기 연결포트(13)가 끼움 결합되는 일측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결합부(21)의 내측 단부에는 내경이 작아지는 제1단턱(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단턱(22)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1단턱(2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믹서삽입부(23)가 형성되어 있는 루어락(20)과; 상기 루어락(20)의 믹서삽입부(23)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나선형의 날개(31)가 축(3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어 제1약액과 제2약액을 고르게 혼합시켜 혼합약액을 제조하는 믹서(30)와; 일측이 상기 루어락(20)의 믹서삽입부(23) 단부를 감싸 설치되어 있되, 내부 벽면에 벽면통로(73)가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벽면통로(73)와 연통되어 혼합약액이 배출되는 배출구(74)가 형성되어 있어 믹서(30)를 통과한 혼합약액을 배출하는 노즐(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두가지 약액을 개별적으로 이동되어 분사되는 것이 아니라 믹서를 이용하여 두 가지 약액이 내부에서 고르게 혼합된 뒤 수술 부위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인 지혈 및 접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노즐을 노즐커버와 가이드부재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노즐 제조가 용이하게 하면서 약액의 유입 및 분사가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노즐의 단부통로는 배출구 중심이 아니라 외곽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단부통로는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약액 분사가 고르고 넓은 범위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mix spray apparatus of medicine liquid for}
본 발명은 개복 수술이나 각종 의료 처치시 접착 및 지혈 작용을 하는 약액과 같은 약액을 혼합 분사하는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술 진행시에는 필수적으로 피부나 근육 등의 절개가 이루어지는 바, 지혈제 및 접착제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접착제를 구성하는 성분은 생물학적 성분드의 반응 성질 때문에 성분들을 너무 빨리 혼합할 경우 혼합물의 조기 경화를 야기하여 용액의 적용이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지혈제나 접착제의 2개 이상의 성분들은 사용 직전까지 혼합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유지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무공기, 무폐색형 팁 조립체 및 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5883호, 특허문헌 1)에는 두 개의 실린더와 이 실린더와 연결된 호스가 하나로 합쳐져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의 약액의 약품 종류가 상이하고 이로 인해 점성이 서로 다른 경우가 많아 두 가지 약품이 동시에 고르게 공급 및 분사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만일, 지혈제와 접착제가 동시에 분사되어야 할 수술 부위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한 종래의 약액 주입기로는 지혈 및 접착 효과를 높이기 어렵고, 이를 위해서는 정교한 약물 주입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과 관련하여 "혼합용 장치, 시스템 및 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7599호, 특허문헌 2)에는 약액이 주입되는 두 통로가 하나의 통로로 합쳐지고 이 통로상에 다공성 혼합 부재를 설치하도록 하기도 하였으나, 단순히 다공성 혼합 부재 만으로는 혼합 효율을 높이기 어렵고, 고르게 분사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KR 10-2075883 (2020.02.05) KR 10-1307599 (2013.09.05)
본 발명의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두가지 약액을 개별적으로 이동되어 분사되는 것이 아니라 믹서를 이용하여 두 가지 약액이 내부에서 고르게 혼합된 뒤 수술 부위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인 지혈 및 접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노즐을 노즐커버와 가이드부재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노즐 제조가 용이하게 하면서 약액의 유입 및 분사가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하여, 노즐의 단부통로는 배출구 중심이 아니라 외곽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단부통로는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약액 분사가 고르고 넓은 범위로 분사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약액이 채워진 제1주사기와 연결되는 제1유입포트(11)와, 제2약액이 채워진 제2주사기와 연결되는 제2유입포트(12)와, 상기 제1유입포트(11) 및 제2유입포트(12)와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포트(13)와, 상기 제1유입포트(11)로부터 유입된 제1약액이 이동하는 제1통로(14)와, 상기 제2유입포트(12)로부터 유입된 제2약액이 이동하는 제2통로(15)와, 상기 제1통로(14)와 제2통로(15)가 서로 합쳐지며 연결포트(13)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통로(16)를 포함하여 구성된 헤드부재(10)와;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취하며, 일측에는 상기 연결포트(13)가 끼움 결합되는 일측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결합부(21)의 내측 단부에는 내경이 작아지는 제1단턱(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단턱(22)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1단턱(2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믹서삽입부(23)가 형성되어 있는 루어락(20)과; 상기 루어락(20)의 믹서삽입부(23)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나선형의 날개(31)가 축(3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어 제1약액과 제2약액을 고르게 혼합시켜 혼합약액을 제조하는 믹서(30)와; 일측이 상기 루어락(20)의 믹서삽입부(23) 단부를 감싸 설치되어 있되, 내부 벽면에 벽면통로(73)가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벽면통로(73)와 연통되어 혼합약액이 배출되는 배출구(74)가 형성되어 있어 믹서(30)를 통과한 혼합약액을 배출하는 노즐(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즐(70)은, 상기 루어락(20)의 믹서삽입부(23)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관상의 루어락체결부(71a)와, 상기 루어락체결부(71a)와 일체로 연결된 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경이 상기 루어락체결부(71a)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으며, 내주면에 상기 벽면통로(73)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성부(71b)와, 상기 중공형성부(71b)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판 상의 형태를 취하며, 중앙에 상기 배출구(74)가 형성되어 있되, 내주면에는 일측은 상기 벽면통로(73)와 연통되고 타측은 배출구(74)와 연통되는 단부통로(75)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71c)로 구성된 노즐커버(71)와; 외주면이 상기 중공형성부(71b)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중공형성부(71b) 내부에 삽입되어 혼합약액이 상기 벽면통로(73)를 통해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일측 단부에 돌출부(72a)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믹서(30)의 축(32)에 맞닿아 믹서(30) 단부와의 사이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혼합약액이 벽면통로(73)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마감부(71c)에 맞닿아 벽면통로(73)를 통과한 혼합약액이 단부통로(75)를 통과한 후 배출구(74)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재(7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제1약액이 채워진 제1주사기와 연결되는 제1유입포트(11)와, 제2약액이 채워진 제2주사기와 연결되는 제2유입포트(12)와, 상기 제1유입포트(11) 및 제2유입포트(12)와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포트(13)와, 상기 제1유입포트(11)로부터 유입된 제1약액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연결포트(13)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1통로(14a)와, 상기 제2유입포트(12)로부터 유입된 제2약액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연결포트(13)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2통로(15a)를 포함하여 구성된 헤드부재(10a)와;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취하며, 일측에는 상기 연결포트(13)가 끼움 결합되는 일측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결합부(21)의 내측 단부에는 일측결합부(21)보다 내경이 커지는 제2단턱(24)이 형성되어 있고, 제2단턱(24)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하우징삽입부(25)가 형성되어 있는 루어락(20a)과;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취하며, 일측이 상기 제2단턱(24)에 지지된 채 루어락(20a)의 하우장삽입부(25)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외주면에 직경이 작아지는 제3단턱(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단턱(41)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외주면에 제1나사산(42)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하우징(40)과;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취하며, 상기 일측하우징(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일측 단부는 상기 제2단턱(24)에 맞닿도록 이루어져 있고, 타측 단부는 내경이 작아지는 제4단턱(5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일측하우징(40)의 단부가 지지되는 제5단턱(52)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튜브(50)와; 상기 외측튜브(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헤드부재(10a)의 연결포트(13)와 맞닿으며, 내부에는 상기 제1통로(14a)와 연통되는 제1약액통로(61) 및 상기 제2통로(15a)와 연통되는 제2약액통로(62)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튜브(60)와; 상기 일측하우징(40)의 타측이 내측으로 끼워져 나사결합되도록 제1나사산(42)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76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체결부(76)와, 상기 하우징체결부(76)와의 사이로 제6단턱(77a)이 형성되도록 하우징체결부(76)보다 내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어 내측으로 상기 외측튜브(50)의 타측이 끼워지는 외측튜브체결부(77)와, 상기 외측튜브체결부(77)와의 사이로 제7단턱(78a)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튜브체결부(77)보다 내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는 믹서삽입부(78)와, 상기 믹서삽입부(78)와 연통되며 벽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벽면통로(73)와, 상기 상기 벽면통로(73)와 연통되어 혼합약액이 배출되는 배출구(74)가 형성되어 있는 노즐(70a)과; 상기 믹서삽입부(730)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나선형의 날개(31)가 축(3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어 제1약액과 제2약액을 고르게 혼합시켜 혼합약액을 제조하는 믹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즐(70a)은, 상기 일측하우징(40)의 타측이 내측으로 끼워져 나사결합되도록 제1나사산(42)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76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체결부(76)와, 상기 하우징체결부(76)와의 사이로 제6단턱(77a)이 형성되도록 하우징체결부(76)보다 내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어 내측으로 상기 외측튜브(50)의 타측이 끼워지는 외측튜브체결부(77)와, 상기 외측튜브체결부(77)와의 사이로 제7단턱(78a)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튜브체결부(77)보다 내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는 믹서삽입부(78)와, 상기 믹서삽입부(78)와 일체로 연결된 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경이 상기 믹서삽입부(78)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으며, 내주면에 상기 벽면통로(73)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성부(71b)와, 상기 중공형성부(71b)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판 상의 형태를 취하며, 중앙에 상기 배출구(74)가 형성되어 있되, 내주면에는 일측은 상기 벽면통로(73)와 연통되고 타측은 배출구(74)와 연통되는 단부통로(75)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71c)로 구성된 노즐커버(71)와; 외주면이 상기 중공형성부(71b)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중공형성부(71b) 내부에 삽입되어 혼합약액이 상기 벽면통로(73)를 통해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일측 단부에 돌출부(72a)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믹서(30)의 축(32) 단부에 맞닿아 믹서(30) 단부와의 사이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혼합약액이 벽면통로(73)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마감부(71c)에 맞닿아 벽면통로(73)를 통과한 혼합약액이 단부통로(75)를 통과한 후 배출구(74)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재(7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마감부(71c)의 배출구(74)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작아지도록 벽면이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부재(72)의 타측 단부 중앙에는 상기 배출구(74) 방향으로 원추형의 형상을 가진 채 돌출된 원추돌출부(7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통로(75)는 상기 배출구(74)에 대해 편심되게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두가지 약액을 개별적으로 이동되어 분사되는 것이 아니라 믹서를 이용하여 두 가지 약액이 내부에서 고르게 혼합된 뒤 수술 부위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인 지혈 및 접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노즐을 노즐커버와 가이드부재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노즐 제조가 용이하게 하면서 약액의 유입 및 분사가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노즐의 단부통로는 배출구 중심이 아니라 외곽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단부통로는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약액 분사가 고르고 넓은 범위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의 일 예를 나타낸 절단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절단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믹서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의 일 실시예는 크게 헤드부재(10), 루어락(20), 믹서(30) 및 노즐(70)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재(10)는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약액이 채워진 제1주사기와 연결되는 제1유입포트(11)와, 제2약액이 채워진 제2주사기와 연결되는 제2유입포트(12)와, 상기 제1유입포트(11) 및 제2유입포트(12)와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포트(13)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유입포트(11)로부터 유입된 제1약액이 이동하는 제1통로(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유입포트(12)로부터 유입된 제2약액이 이동하는 제2통로(15)가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제1통로(14)와 제2통로(15)가 서로 합쳐지며 연결포트(13)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통로(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헤드부재(10) 일측에 가스 유입포트가 형성되어 운반가스가 공급될 수도 있다.
루어락(20)은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취하며, 일측에는 상기 연결포트(13)가 끼움 결합되는 일측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결합부(21)의 내측 단부에는 내경이 작아지는 제1단턱(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단턱(22)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1단턱(2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믹서삽입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믹서(30)는 상기 루어락(20)의 믹서삽입부(23)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나선형의 날개(31)가 축(3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어 제1약액과 제2약액을 고르게 혼합시켜 혼합약액을 제조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믹서(30)는 루어락(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타측결합부(25)를 통해 루어락(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탈착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믹서(30)의 일측 단부측 날개(31)는 제1단턱(22)에 걸려 지지되고, 타측 단부측 날개(31)는 튜브(60)의 일측 단부에 지지되도록 하여 길이 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하고 혼합약액이 원할히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날개(31)가 믹서삽입부(23)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 고정되지 않고 미세하게 이격되어 연결통로(16)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약액, 또는 혼합약액과 운반가스의 혼합물이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믹서삽입부(23)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노즐(70)은 일측이 상기 루어락(20)의 믹서삽입부(23) 단부를 감싸 설치되어 있되, 내부 벽면에 벽면통로(73)가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벽면통로(73)와 연통되어 혼합약액이 배출되는 배출구(74)가 형성되어 있어 믹서(30)를 통과한 혼합약액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는 바람직한 노즐(7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노즐(70)은 노즐커버(71)와 가이드부재(72)로 구성되어 있다.
노즐커버(71)는 상기 루어락(20)의 믹서삽입부(23)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관상의 루어락체결부(71a)와, 상기 루어락체결부(71a)와 일체로 연결된 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경이 상기 루어락체결부(71a)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으며, 내주면에 상기 벽면통로(73)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성부(71b)를 포함한다.
또, 상기 중공형성부(71b)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판 상의 형태를 취하며, 중앙에 상기 배출구(74)가 형성되어 있되, 내주면에는 일측은 상기 벽면통로(73)와 연통되고 타측은 배출구(74)와 연통되는 단부통로(75)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71c)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72)는 외주면이 상기 중공형성부(71b)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중공형성부(71b) 내부에 삽입되어 혼합약액이 상기 벽면통로(73)를 통해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72)는 일측 단부에 돌출부(72a)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믹서(30)의 축(32)에 맞닿아 믹서(30) 단부와의 사이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혼합약액이 벽면통로(73)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 가이드부재(72)의 타측 단부는 상기 마감부(71c)에 맞닿아 벽면통로(73)를 통과한 혼합약액이 단부통로(75)를 통과한 후 배출구(74)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마감부(71c)의 배출구(74)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작아지도록 벽면이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부재(72)의 타측 단부 중앙에는 상기 배출구(74) 방향으로 원추형의 형상을 가진 채 돌출된 원추돌출부(72b)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단부통로(75)는 상기 배출구(74)에 대해 편심되게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는 노즐커버(71) 내부에 가이드부재(72)를 밀어넣은 다음 노즐커버(71)를 루어락(20) 일측에 체결되고, 루어락(20) 타측을 헤드부재(10)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간편하게 조립이 이루어진다.
분리는 조립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러한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는 제1유입포트(11))와 제2유입포트(12)에 각각 제1약액 및 제2약액이 저장된 제1주사기 및 제2주사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주사기에 압력이 가해지거나 미도시된 운반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두 약액은 연결포트(13) 내부의 연결통로(16)에서 합쳐진 상태로 믹서삽입부(23)의 내부에 도달하고 이어 믹서(30)의 날개(31)를 나선형으로 통과하면서 고르게 혼합된 후 노즐(70)을 통해 바로 분사된다.
노즐(70)에서는 노즐커버(71)의 내벽면에 위치한 벽면통로(73) 및 벽면통로(73)와 연통된 단부통로(75)를 거쳐 배출구(74)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혼합약액은 노즐(70)에 방사상으로 분기된 벽면통로(73)로 분산되어 이동한 후 배출구(74)에 대해 편심되게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단부통로(75)를 통과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구(74)를 통해 배출될 때 넓게 분산되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는 믹서(30)가 내장되어 있어 두 약액의 혼합이 고르게 잘 이루어져 순간적인 지혈 및 접착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노즐(70)의 구조로 인해 절단 절개 부위에 약액이 균등하게 분산되어 도포될 수 있게 되어 약액 분사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는 믹서(30)와 노즐(70)이 바로 인접하게 접한 상태를 이루고, 믹서(30)는 두 유입포트와 바로 이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약액의 혼합과 분사 사이의 시간 및 거리 간격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개복 수술임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장기 사이를 통과해서 지혈 및 접착제를 분사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도 1,2와 같은 구성의 경우는 용이하지 못하다.
도 3, 4의 실시예는 이러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튜브가 구비되어 있다는 특징과, 믹서(30)의 위치가 노즐(70)과 인접하도록 하여 길이가 긴 튜브를 통과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약액의 혼합 및 분사가 역시 짧은 시간 및 공간 간격을 두고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 3, 4에 도시된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는 헤드부재(10a), 루어락(20a), 일측하우징(40), 외측튜브(50), 내측튜브(60), 노즐(70) 및 믹서(30)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재(10a)는 도 1,2의 예와 동일하게 제1약액이 채워진 제1주사기와 연결되는 제1유입포트(11)와, 제2약액이 채워진 제2주사기와 연결되는 제2유입포트(12)와, 상기 제1유입포트(11) 및 제2유입포트(12)와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포트(13)를 구비하되, 제1통로(14a)는 상기 제1유입포트(11)로부터 유입된 제1약액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연결포트(13)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제2통로(15a)는 상기 제2유입포트(12)로부터 유입된 제2약액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연결포트(13)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때, 제1통로(14a) 및 제2통로(15a)는 각각 연결포트(13)의 단부까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루어락(20a)은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취하며, 일측에는 상기 연결포트(13)가 끼움 결합되는 일측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결합부(21)의 내측 단부에는 일측결합부(21)보다 내경이 커지는 제2단턱(24)이 형성되어 있고, 제2단턱(24)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하우징삽입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일측하우징(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취하며, 일측이 상기 루어락(20a)의 하우장삽입부(25)에 삽입되어 제2단턱(24)에 단부가 지지되며, 타측은 루어락(20a)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되 타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까지는 일측에 비해 외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어 두 지점의 경계에는 외주면에 직경이 작아지는 제3단턱(41)이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제3단턱(41)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는 외주면에 제1나사산(42)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튜브(50)는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취하며, 상기 일측하우징(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외측튜브(5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단턱(24)에 맞닿도록 이루어져 있다.
더하여 외측튜브(50)의 타측 단부는 내경이 작아지는 제4단턱(5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일측하우징(40)의 단부가 지지되도록 외경이 커지는 제5단턱(52)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튜브(60)는 상기 외측튜브(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헤드부재(10)의 연결포트(13)와 맞닿으며, 내부에는 상기 제1통로(14)와 연통되는 제1약액통로(61) 및 상기 제2통로(15)와 연통되는 제2약액통로(62)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튜브(60)와 외측튜브(50)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70a)은 상기 일측하우징(40)의 타측이 내측으로 끼워져 나사결합되도록 제1나사산(42)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76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체결부(76)가 구비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하우징체결부(76)와의 사이로 제6단턱(77a)이 형성되도록 하우징체결부(76)보다 내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어 내측으로 상기 외측튜브(50)의 타측이 끼워지는 외측튜브체결부(77)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외측튜브체결부(77)와의 사이로 제7단턱(78a)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튜브체결부(77)보다 내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는 믹서삽입부(78)가 구비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믹서삽입부(78)와 연통되며 벽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벽면통로(73)와, 상기 상기 벽면통로(73)와 연통되어 혼합약액이 배출되는 배출구(74)가 형성되어 있다.
믹서(30)는 상기 믹서삽입부(730)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나선형의 날개(31)가 축(3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어 제1약액과 제2약액을 고르게 혼합시켜 혼합약액을 제조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노즐(70a)은 도 1,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노즐커버(71) 및 가이드부재(72)로 구성될 수 있다.
노즐커버(71)는 상기 일측하우징(40)의 타측이 내측으로 끼워져 나사결합되도록 제1나사산(42)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76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체결부(76)와, 상기 하우징체결부(76)와의 사이로 제6단턱(77a)이 형성되도록 하우징체결부(76)보다 내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어 내측으로 상기 외측튜브(50)의 타측이 끼워지는 외측튜브체결부(77)를 구비한다.
또, 상기 외측튜브체결부(77)와의 사이로 제7단턱(78a)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튜브체결부(77)보다 내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는 믹서삽입부(78)를 구비한다.
더하여, 상기 믹서삽입부(78)와 일체로 연결된 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경이 상기 믹서삽입부(78)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으며, 내주면에 상기 벽면통로(73)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성부(71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중공형성부(71b)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판 상의 형태를 취하며, 중앙에 상기 배출구(74)가 형성되어 있되, 내주면에는 일측은 상기 벽면통로(73)와 연통되고 타측은 배출구(74)와 연통되는 단부통로(75)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71c)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72)는 외주면이 상기 중공형성부(71b)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중공형성부(71b) 내부에 삽입되어 혼합약액이 상기 벽면통로(73)를 통해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가이드부재(72)의 일측 단부에는 돌출부(72a)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믹서(30)의 축(32) 단부에 맞닿아 믹서(30) 단부와의 사이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혼합약액이 벽면통로(73)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마감부(71c)에 맞닿아 벽면통로(73)를 통과한 혼합약액이 단부통로(75)를 통과한 후 배출구(74)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71c)의 배출구(74)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작아지도록 벽면이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부재(72)의 타측 단부 중앙에는 상기 배출구(74) 방향으로 원추형의 형상을 가진 채 돌출된 원추돌출부(7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통로(75)는 상기 배출구(74)에 대해 편심되게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10a : 헤드부재 11 : 제1유입포트
12 : 제2유입포트 13 : 연결포트
14, 14a : 제1통로 15, 15a : 제2통로
16 : 연결통로 20, 20a : 루어락
21 : 일측결합부 22 : 제1단턱
23 : 믹서삽입부 24 : 제2단턱
25 : 하우징삽입부 30 : 믹서
31 : 날개 32 : 축
40 : 일측하우징 41 : 제3단턱
42 : 제1나사산 50 : 외측튜브
51 : 제4단턱 52 : 제5단턱
60 : 내측튜브 61 : 제1약액통로
62 : 제2약액통로 70, 70a : 노즐
71 : 노즐커버 72 : 가이드부재
72a : 돌출부 72b : 원추돌출부
71a : 루어락체결부 71b : 중공형성부
71c : 마감부 73 : 벽면통로
74 : 배출구 75 : 단부통로
76 : 하우징체결부 76a : 제2나사산
77 : 외측튜브체결부 77a : 제6단턱
78 : 믹서삽입부 78a : 제7단턱

Claims (5)

  1.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에 있어서,
    제1약액이 채워진 제1주사기와 연결되는 제1유입포트(11)와, 제2약액이 채워진 제2주사기와 연결되는 제2유입포트(12)와, 상기 제1유입포트(11) 및 제2유입포트(12)와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포트(13)와, 상기 제1유입포트(11)로부터 유입된 제1약액이 이동하는 제1통로(14)와, 상기 제2유입포트(12)로부터 유입된 제2약액이 이동하는 제2통로(15)와, 상기 제1통로(14)와 제2통로(15)가 서로 합쳐지며 연결포트(13)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통로(16)를 포함하여 구성된 헤드부재(10)와;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취하며, 일측에는 상기 연결포트(13)가 끼움 결합되는 일측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결합부(21)의 내측 단부에는 내경이 작아지는 제1단턱(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단턱(22)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1단턱(2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믹서삽입부(23)가 형성되어 있는 루어락(20)과;
    상기 루어락(20)의 믹서삽입부(23)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나선형의 날개(31)가 축(3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어 제1약액과 제2약액을 고르게 혼합시켜 혼합약액을 제조하는 믹서(30)와;
    일측이 상기 루어락(20)의 믹서삽입부(23) 단부를 감싸 설치되어 있되, 내부 벽면에 벽면통로(73)가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벽면통로(73)와 연통되어 혼합약액이 배출되는 배출구(74)가 형성되어 있어 믹서(30)를 통과한 혼합약액을 배출하는 노즐(70);을 포함하여 구성된,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70)은,
    상기 루어락(20)의 믹서삽입부(23)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관상의 루어락체결부(71a)와, 상기 루어락체결부(71a)와 일체로 연결된 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경이 상기 루어락체결부(71a)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으며, 내주면에 상기 벽면통로(73)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성부(71b)와, 상기 중공형성부(71b)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판 상의 형태를 취하며, 중앙에 상기 배출구(74)가 형성되어 있되, 내주면에는 일측은 상기 벽면통로(73)와 연통되고 타측은 배출구(74)와 연통되는 단부통로(75)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71c)로 구성된 노즐커버(71)와;
    외주면이 상기 중공형성부(71b)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중공형성부(71b) 내부에 삽입되어 혼합약액이 상기 벽면통로(73)를 통해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일측 단부에 돌출부(72a)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믹서(30)의 축(32)에 맞닿아 믹서(30) 단부와의 사이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혼합약액이 벽면통로(73)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마감부(71c)에 맞닿아 벽면통로(73)를 통과한 혼합약액이 단부통로(75)를 통과한 후 배출구(74)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재(7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
  3.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에 있어서,
    제1약액이 채워진 제1주사기와 연결되는 제1유입포트(11)와, 제2약액이 채워진 제2주사기와 연결되는 제2유입포트(12)와, 상기 제1유입포트(11) 및 제2유입포트(12)와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포트(13)와, 상기 제1유입포트(11)로부터 유입된 제1약액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연결포트(13)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1통로(14a)와, 상기 제2유입포트(12)로부터 유입된 제2약액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연결포트(13)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2통로(15a)를 포함하여 구성된 헤드부재(10a)와;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취하며, 일측에는 상기 연결포트(13)가 끼움 결합되는 일측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결합부(21)의 내측 단부에는 일측결합부(21)보다 내경이 커지는 제2단턱(24)이 형성되어 있고, 제2단턱(24)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하우징삽입부(25)가 형성되어 있는 루어락(20a)과;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취하며, 일측이 상기 제2단턱(24)에 지지된 채 루어락(20a)의 하우장삽입부(25)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외주면에 직경이 작아지는 제3단턱(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단턱(41)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외주면에 제1나사산(42)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하우징(40)과;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취하며, 상기 일측하우징(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일측 단부는 상기 제2단턱(24)에 맞닿도록 이루어져 있고, 타측 단부는 내경이 작아지는 제4단턱(5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일측하우징(40)의 단부가 지지되는 제5단턱(52)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튜브(50)와;
    상기 외측튜브(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헤드부재(10a)의 연결포트(13)와 맞닿으며, 내부에는 상기 제1통로(14a)와 연통되는 제1약액통로(61) 및 상기 제2통로(15a)와 연통되는 제2약액통로(62)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튜브(60)와;
    상기 일측하우징(40)의 타측이 내측으로 끼워져 나사결합되도록 제1나사산(42)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76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체결부(76)와, 상기 하우징체결부(76)와의 사이로 제6단턱(77a)이 형성되도록 하우징체결부(76)보다 내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어 내측으로 상기 외측튜브(50)의 타측이 끼워지는 외측튜브체결부(77)와, 상기 외측튜브체결부(77)와의 사이로 제7단턱(78a)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튜브체결부(77)보다 내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는 믹서삽입부(78)와, 상기 믹서삽입부(78)와 연통되며 벽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벽면통로(73)와, 상기 벽면통로(73)와 연통되어 혼합약액이 배출되는 배출구(74)가 형성되어 있는 노즐(70a)과;
    상기 믹서삽입부(78)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나선형의 날개(31)가 축(32)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어 제1약액과 제2약액을 고르게 혼합시켜 혼합약액을 제조하는 믹서(30);를 포함하여 구성된,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70a)은,
    상기 일측하우징(40)의 타측이 내측으로 끼워져 나사결합되도록 제1나사산(42)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76a)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체결부(76)와, 상기 하우징체결부(76)와의 사이로 제6단턱(77a)이 형성되도록 하우징체결부(76)보다 내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어 내측으로 상기 외측튜브(50)의 타측이 끼워지는 외측튜브체결부(77)와, 상기 외측튜브체결부(77)와의 사이로 제7단턱(78a)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튜브체결부(77)보다 내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는 믹서삽입부(78)와, 상기 믹서삽입부(78)와 일체로 연결된 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경이 상기 믹서삽입부(78)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으며, 내주면에 상기 벽면통로(73)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성부(71b)와, 상기 중공형성부(71b)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판 상의 형태를 취하며, 중앙에 상기 배출구(74)가 형성되어 있되, 내주면에는 일측은 상기 벽면통로(73)와 연통되고 타측은 배출구(74)와 연통되는 단부통로(75)가 형성되어 있는 마감부(71c)로 구성된 노즐커버(71)와;
    외주면이 상기 중공형성부(71b)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중공형성부(71b) 내부에 삽입되어 혼합약액이 상기 벽면통로(73)를 통해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일측 단부에 돌출부(72a)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믹서(30)의 축(32) 단부에 맞닿아 믹서(30) 단부와의 사이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혼합약액이 벽면통로(73)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마감부(71c)에 맞닿아 벽면통로(73)를 통과한 혼합약액이 단부통로(75)를 통과한 후 배출구(74)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재(7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
  5. 제 2항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71c)의 배출구(74)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작아지도록 벽면이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부재(72)의 타측 단부 중앙에는 상기 배출구(74) 방향으로 원추형의 형상을 가진 채 돌출된 원추돌출부(7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통로(75)는 상기 배출구(74)에 대해 편심되게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
KR1020220010855A 2022-01-25 2022-01-25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 Active KR102385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855A KR102385837B1 (ko) 2022-01-25 2022-01-25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855A KR102385837B1 (ko) 2022-01-25 2022-01-25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837B1 true KR102385837B1 (ko) 2022-04-14

Family

ID=8121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855A Active KR102385837B1 (ko) 2022-01-25 2022-01-25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83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2098A1 (en) * 1996-07-12 1998-01-22 Baxter International Inc. A fibrin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fibrin on a surface
US20010031948A1 (en) * 1998-08-26 2001-10-18 Neomen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cross-linked mechanical barriers
US20100217231A1 (en) * 2009-02-20 2010-08-26 Erez Ilan Device for administering an at least two-component substance
KR101307599B1 (ko) 2006-01-17 2013-09-12 박스터 헬쓰케어 에스에이 혼합용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30325059A1 (en) * 2012-06-01 2013-12-05 Devicegenerics, Inc. Non-Clogging Airless Spray for High Viscosity, High Surface Tension Fluids
KR102075883B1 (ko) 2012-09-12 2020-02-11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무공기, 무폐색형 팁 조립체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2098A1 (en) * 1996-07-12 1998-01-22 Baxter International Inc. A fibrin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fibrin on a surface
US20010031948A1 (en) * 1998-08-26 2001-10-18 Neomen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cross-linked mechanical barriers
KR101307599B1 (ko) 2006-01-17 2013-09-12 박스터 헬쓰케어 에스에이 혼합용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00217231A1 (en) * 2009-02-20 2010-08-26 Erez Ilan Device for administering an at least two-component substance
US20130325059A1 (en) * 2012-06-01 2013-12-05 Devicegenerics, Inc. Non-Clogging Airless Spray for High Viscosity, High Surface Tension Fluids
KR102075883B1 (ko) 2012-09-12 2020-02-11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무공기, 무폐색형 팁 조립체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1005B2 (en) Spray head for two component mixer
CA2663882C (en) Silicone spray tip
US5116315A (en) Biological syringe system
RU2648228C2 (ru) Безвоздушный незасоряющийся узел наконечника и устройство
EP2969159B1 (en) Centrifugal mixing spray nozzle
CN109640834B (zh) 用于同时多向递送不同流体的喷射顶端
US12114843B2 (en) Sealant applicators having mixing and spraying assemblies with malleable sections and spray tips having reduced dimensions
KR102385837B1 (ko)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
KR102385836B1 (ko) 복강경 수술용 2약액 혼합 분사 장치
JP3960505B2 (ja) 生体組織接着剤塗布用具
EP3352679B1 (en) Spray or drip tips having multiple outlet channels
JP2018201727A (ja) 生体用薬液注入用具
EP4037576B1 (en) Dispensing systems and devices having anti-clogging spray tips for dispensing two or more fluids that react together
JP2001269348A (ja) 生体接着剤噴霧ノズル
WO2021221967A1 (en) Spray tip inser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16600903A (zh) 生物体用药液注入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