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84805B1 - 랩-어라운드 콘택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 접근법들 및 결과 구조들 - Google Patents

랩-어라운드 콘택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 접근법들 및 결과 구조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805B1
KR102384805B1 KR1020197025556A KR20197025556A KR102384805B1 KR 102384805 B1 KR102384805 B1 KR 102384805B1 KR 1020197025556 A KR1020197025556 A KR 1020197025556A KR 20197025556 A KR20197025556 A KR 20197025556A KR 102384805 B1 KR102384805 B1 KR 102384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drain structure
source
metal contact
semiconductor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073A (ko
Inventor
제프리 에스. 레이브
다니엘 비. 베르그스트롬
크리스토퍼 제이. 위건드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227011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78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8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2Fin field-effect transistors [Fin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 H01L21/2850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 H01L21/28512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1/2855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by chemical means, e.g. CVD, LPCVD, PECVD, laser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24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532Silicon, silicon germanium, germa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Reduction or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e.g.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697Forming 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2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 H01L21/2850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 H01L21/28512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1/28568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the conductive layers comprising transition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16Aspects relating to the layout of the pattern or to the size of vias or tre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43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formed in openings in a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71Layers specifically deposited to enhance or enable the nucleation of further layers, i.e. seed layers
    • H01L21/76876Layers specifically deposited to enhance or enable the nucleation of further layers, i.e. seed layers for deposition from the gas phase, e.g.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2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structural parameters, e.g. thickness, line width, refractive index, temperature, warp, bond strength, defects, optical inspection, electrical measurement of structural dimensions, metallurgic measurement of diffu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04Conductive materials
    • H01L23/53209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 H01L23/53257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the principal metal being a refractory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04Conductive materials
    • H01L23/53209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 H01L23/53257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the principal metal being a refractory metal
    • H01L23/53266Additional layers associated with refractory-metal layers, e.g. adhesion, barrier, cladd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 H10D30/024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of fin field-effect transistors [FinFE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2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 H10D84/012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 H10D84/013Manufacturing their source or drain regions, e.g. silicided source or drain reg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2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 H10D84/012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 H10D84/0149Manufacturing their interconnections or electrodes, e.g. source or drai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2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 H10D84/012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 H10D84/0165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the components including complementary IGFETs, e.g. CMOS devices
    • H10D84/017Manufacturing their source or drain regions, e.g. silicided source or drain reg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2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 H10D84/012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 H10D84/0165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the components including complementary IGFETs, e.g. CMOS devices
    • H10D84/0186Manufacturing their interconnections or electrodes, e.g. source or drai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2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 H10D84/012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 H10D84/0165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the components including complementary IGFETs, e.g. CMOS devices
    • H10D84/019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the components including complementary IGFETs, e.g. CMOS devices the components including FinF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2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 H10D84/03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using Group IV technology, e.g. silicon technology or silicon-carbide [SiC] technology
    • H10D84/038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using Group IV technology, e.g. silicon technology or silicon-carbide [SiC] technology using silicon technology, e.g. SiG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8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characterised by the integration of at least one component covered by groups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on of IGFETs
    • H10D84/82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characterised by the integration of at least one component covered by groups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on of IGFETs of only field-effect components
    • H10D84/83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characterised by the integration of at least one component covered by groups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on of IGFETs of only field-effect components of only insulated-gate FETs [IGFET]
    • H10D84/85Complementary IGFETs, e.g. CMOS
    • H10D84/853Complementary IGFETs, e.g. CMOS comprising FinF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2Fin field-effect transistors [FinFET]
    • H10D30/6219Fin field-effect transistors [FinFET]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랩-어라운드 콘택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 접근법들, 및 랩-어라운드 금속 콘택들을 갖는 반도체 구조들이 설명된다. 예에서, 집적 회로 구조가 기판 위의 반도체 피처를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피처 위에 유전체 층이 있고, 상기 유전체 층은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트렌치를 가지며, 그 일부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갖는다.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 바로 위에 금속 콘택 재료가 있다.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다.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95% 이상의 단일 금속 종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랩-어라운드 콘택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 접근법들 및 결과 구조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집적 회로 구조들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랩-어라운드 콘택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 접근법들, 및 랩-어라운드 금속 콘택들을 갖는 반도체 구조들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집적 회로들에서의 피처들의 스케일링은 계속 성장하는 반도체 산업 배후의 추진력이 되어 왔다. 점점 더 작은 피처들로의 스케일링은 반도체 칩들의 제한된 면적(real estate) 상에서의 기능 유닛들의 증가된 밀도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크기를 축소하는 것은 칩 상에 증가된 수의 메모리 또는 로직 디바이스들의 통합을 허용하여, 증가된 용량을 갖는 제품들의 제조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점점 더 많은 용량에 대한 추진은 문제가 없지 않다. 각각의 디바이스의 성능을 최적화할 필요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집적 회로 디바이스들의 제조에서, 디바이스 치수들이 계속해서 축소됨에 따라 트라이-게이트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멀티-게이트 트랜지스터들이 더 보편화되고 있다. 종래의 프로세스들에서, 트라이-게이트 트랜지스터들은 일반적으로 벌크 실리콘 기판들 또는 SOI(silicon-on-insulator) 기판들 상에 제조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벌크 실리콘 기판들은 더 낮은 비용 및 기존의 고-수율 벌크 실리콘 기판 인프라스트럭처와의 호환성으로 인해 선호된다. 그러나, 멀티-게이트 트랜지스터들을 스케일링하는 것에는 대가가 없지 않다. 마이크로전자 회로의 이러한 기본 빌딩 블록들의 치수들이 감소됨에 따라, 그리고 주어진 영역에 제조되는 기본 빌딩 블록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빌딩 블록들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도체 프로세스들에 대한 제약들이 압도적이 되었다.
집적 회로들은 통상적으로 본 기술분야에서 비아들이라고 알려져 있는 전기적 도전성 마이크로전자 구조들을 포함하여, 비아들 위의 금속 라인들 또는 다른 인터커넥트들을 비아들 아래의 금속 라인들 또는 다른 인터커넥트들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비아들은 전형적으로 리소그래피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된다. 대표적으로, 포토레지스트 층이 유전체 층 위에 스핀 코팅될 수 있고, 포토레지스트 층은 패터닝된 마스크를 통해 패터닝된 화학 방사선에 노출될 수 있고, 그 후 노출된 층은 포토레지스트 층에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현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포토레지스트 층 내의 개구를 에칭 마스크로서 이용함으로써 유전체 층에 비아를 위한 개구가 에칭될 수 있다. 이 개구는 비아 개구라고 지칭된다. 마지막으로, 비아 개구는 비아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다른 도전성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종래의 그리고 최신 제조 프로세스들에서의 가변성은, 이들을, 예를 들어, 10 nm 또는 10 nm 이하의 범위로 추가로 확장할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래 기술 노드들에 필요한 기능 컴포넌트들의 제조는 현재 제조 프로세스들에서 또는 현재 제조 프로세스들 대신에 새로운 방법론들의 도입 또는 새로운 기술들의 통합을 요구할 수 있다.
도 1a는 스퍼터 증착에 의해 그 위에 형성된 도전성 콘택을 갖는 반도체 핀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b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 기상 증착(CVD)에 의해 그 위에 형성된 도전성 콘택을 갖는 반도체 핀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또는 드레인 영역 상에 도전성 콘택을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2b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된 소스 또는 드레인 영역 상에 도전성인 것을 갖는 다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반도체 핀 위의 복수의 게이트 라인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 회로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에서의 다양한 동작들에 대한, 도 3의 a-a'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 회로 구조에 대한, 도 3의 b-b'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 회로 구조의 금속화 층의 평면도 및 대응하는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7a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 층으로서 CVD-증착된 층을 갖는 비평면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7b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a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a-a' 축을 따라 취해진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의 일 구현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인터포저이다.
랩-어라운드 콘택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 접근법들, 및 랩-어라운드 금속 콘택들을 갖는 반도체 구조들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조가 설명된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재료 및 툴링 레짐들과 같은 다수의 특정 상세들이 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단일 또는 듀얼 다마신 프로세싱과 같은 잘 알려진 특징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표현들이며, 반드시 축척대로 그려진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다양한 동작들은 다수의 개별 동작으로서, 차례로, 본 개시내용을 이해하는데 가장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설명의 순서는 이러한 동작들이 반드시 순서 의존적인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이러한 동작들은 제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특정 용어는 또한 단지 참조의 목적을 위해 다음의 설명에서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예를 들어, "상부(upper)", "하부(lower)", "위(above)", "아래(below)", "최하부(bottom)", 및 "최상부(top)"와 같은 용어들은 참조가 이루어지는 도면들에서의 방향들을 지칭한다. "앞(front)", "뒤(back)", "후방(rear)", 및 "측면(side)"과 같은 용어들은 일관되지만 임의의 기준 프레임 내에서 컴포넌트의 부분들의 배향 및/또는 위치를 기술하며, 기준 프레임은 논의 하에서 컴포넌트를 설명하는 텍스트 및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확해진다. 그러한 용어는 위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된 단어들, 그 파생물들,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FEOL(front-end-of-line) 반도체 프로세싱 및 구조들에 관한 것일 수 있다. FEOL은 반도체 기판 또는 층에 개별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들, 커패시터들, 저항기들 등)이 패터닝되는 집적 회로(IC) 제조의 제1 부분이다. FEOL은 일반적으로 금속 인터커넥트 층들의 퇴적(그러나 이를 포함하지는 않음)까지 모든 것을 커버한다. 최종 FEOL 동작 후에, 결과는 전형적으로 격리된 트랜지스터들을 갖는(예를 들어, 어떠한 와이어도 없는) 웨이퍼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BEOL(back end of line) 반도체 프로세싱 및 구조들에 관한 것일 수 있다. BEOL은 개별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들, 커패시터들, 저항기들 등)이 웨이퍼 상의 배선, 예를 들어, 금속화 층 또는 층들과 상호접속되는 IC 제조의 제2 부분이다. BEOL은 콘택들, 절연층들(유전체들), 금속 레벨들, 및 칩-대-패키지 접속들을 위한 본딩 사이트들을 포함한다. 제조 스테이지 콘택들(패드들)의 BEOL 부분에서, 인터커넥트 와이어들, 비아들 및 유전체 구조들이 형성된다. 현대의 IC 프로세스들에서는, BEOL에서 10개 초과의 금속 층들이 추가될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FEOL 프로세싱 및 구조들, BEOL 프로세싱 및 구조들, 또는 FEOL 및 BEOL 프로세싱 및 구조들 둘 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특히, 예시적인 프로세싱 스킴은 FEOL 프로세싱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예시될 수 있지만, 그러한 접근법들은 BEOL 프로세싱에도 적용가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시적인 프로세싱 스킴은 BEOL 프로세싱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예시될 수 있지만, 그러한 접근법들은 FEOL 프로세싱에도 적용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랩-어라운드 반도체 콘택들을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들은 화학 기상 증착(CVD), 플라즈마 강화 화학 기상 증착(PECVD), 원자층 증착(ALD), 도전성 콘택 제조, 또는 박막들 중 하나 이상에 적용가능하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등각(conformal) 소스/드레인 콘택을 제공하기 위해 콘택 금속의 저온(예를 들어, 섭씨 500도 미만, 또는 섭씨 400-500도 범위))의 화학 기상 증착을 이용하여 티타늄 또는 유사한 금속 층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등각 소스/드레인 콘택의 구현은 3차원(3D) 트랜지스터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컨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의 금속 대 반도체 콘택 층들이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퇴적된다. 스퍼터링은 가시선(line of sight) 프로세스이며 3D 트랜지스터 제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공지된 스퍼터링 솔루션들은 퇴적의 입사에 대해 각도를 갖는 디바이스 콘택 표면들 상에 불량한 또는 불완전한 금속-반도체 접합들을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으로 등각성(conformality)을 제공하고 금속 반도체 접합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콘택 금속의 제조를 위해 저온 화학 기상 증착 프로세스가 구현된다. 결과적인 더 큰 접촉 면적은 접합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은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갖는 반도체 표면들 상의 퇴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역의 토포그래피는 표면 형상들 및 피처들 자체를 지칭하고,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평평하지 않은 표면 형상들 및 피처들 또는 평평하지 않은 표면 형상들 및 피처들의 부분들, 즉, 완전히 평평하지 않은 표면 형상들 및 피처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랩-어라운드 콘택 구조들의 제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화학 기상 증착, 플라즈마 강화 화학 기상 증착, 원자층 증착, 또는 플라즈마 강화 원자층 증착에 의해 트랜지스터 소스-드레인 콘택들 상에 등각으로 퇴적되는 순수 금속의 사용이 설명된다. 그러한 등각 퇴적은 금속 반도체 접촉의 가용 면적을 증가시키고 저항을 감소시켜, 트랜지스터 디바이스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퇴적의 비교적 낮은 온도는 단위 면적당 접합의 최소화된 저항으로 이어진다.
도 1a는 스퍼터 증착에 의해 그 위에 형성된 도전성 콘택을 갖는 반도체 핀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기판(100) 위에 형성된 반도체 핀과 같은 반도체 피처(102) 위에 스퍼터링된 콘택(104)이 형성되어 있다. 스퍼터링된 콘택은 하부의 평평한 표면들을 커버하는 부분들(104A), 평평하지 않은 표면들을 커버하는 측벽 부분들(104B), 및 상부의 평평한 표면들을 커버하는 부분들(104C)을 포함한다. 평평하지 않은 표면들을 커버하는 부분들(104B)의 두께(X1)는 상부의 평평한 표면들을 커버하는 부분들(104C)의 두께(Y1)보다 실질적으로 더 얇고, 하부의 평평한 표면들을 커버하는 부분들(104A)보다 실질적으로 더 얇다.
도 1b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 기상 증착(CVD)에 의해 그 위에 형성된 도전성 콘택을 갖는 반도체 핀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기판(150) 위에 형성된 반도체 핀과 같은 반도체 피처(152) 위에 화학 기상 증착(CVD) 콘택(154)이 형성되어 있다. CVD 콘택은 하부의 평평한 표면들을 커버하는 부분들(154A), 평평하지 않은 표면들을 커버하는 측벽 부분들(154B), 및 상부의 평평한 표면들을 커버하는 부분들(154C)을 포함한다. 평평하지 않은 표면들을 커버하는 부분들(154B)의 두께(X2)는 상부의 평평한 표면들을 커버하는 부분들(154C)의 두께(Y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하부의 평평한 표면들을 커버하는 부분들(154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금속 층 퇴적 프로세스를 수반하는 통합 스킴을 이용하여 다양한 집적 회로 구조가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집적 회로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은 RF 소스를 갖는 화학 기상 증착(CVD) 챔버 내에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기판은 그 위에 피처를 갖는다. 방법은 또한 사염화 티타늄(TiCl4)과 수소(H2)를 반응시켜 기판의 피처 상에 티타늄(Ti)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반응은 섭씨 400-500도 범위의 온도에서, 0.2-2 Torr 범위의 압력에서, 그리고 대략 400 kHz 또는 대략 13.56 MHz의 RF 주파수에서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티타늄 층은 98% 이상의 티타늄 및 0.5-2%의 염소를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지르코늄(Zr), 하프늄(Hf), 탄탈룸(Ta), 니오븀(Nb), 또는 바나듐(V)의 고순도 금속 층을 제조하기 위해 유사한 프로세스가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비교적 적은 막 두께 변동이 있고,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는 모든 커버리지가 50%보다 크고 공칭은 70% 이상이다(즉, 30% 이하의 두께 변동). 일 실시예에서, 두께는 다른 표면들보다 실리콘(Si) 또는 실리콘 게르마늄(SiGe) 상에서 측정할 수 있을 정도로 더 두꺼운데, 그 이유는 Si 또는 SiGe는 퇴적 동안 반응하고 Ti의 흡수를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막 조성은 불순물로서 대략 0.5%의 Cl(또는 1% 미만)을 포함하며, 본질적으로 다른 관찰된 불순물은 없다. 일 실시예에서, 퇴적 프로세스는 스퍼터 증착 가시선에 의해 숨겨진 표면들과 같은 비-가시선 표면들 상의 금속 커버리지를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소스 및 드레인 콘택들을 통해 구동되는 전류의 외부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드라이브를 개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의 피처는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를 노출시키는 소스/드레인 콘택 트렌치이다. 티타늄 층(또는 다른 고순도 금속 층)은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를 위한 도전성 콘택 층이다. 그러한 구현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도 2a, 도 2b, 도 3,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와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의 피처는 BEOL(back end-of-line) 금속화 층의 도전성 라인 트렌치이다. 티타늄 층(또는 다른 고순도 금속 층)은 도전성 라인에 대한 장벽 층이다. 그러한 구현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도 6과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의 피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게이트 트렌치이다. 티타늄 층(또는 다른 고순도 금속 층)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금속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 층이다. 그러한 구현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도 7a 및 도 7b와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아래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집적 회로 구조는 기판 위에 반도체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피처 위에 유전체 층이 있고, 상기 유전체 층은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트렌치를 가지며, 그 일부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갖는다.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 바로 위에 금속 콘택 재료가 있다.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금속 콘택 재료는 95% 이상의 단일 금속 종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금속 콘택 재료는 98% 이상의 티타늄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금속 콘택 재료의 총 원자 조성은 0.5-2%의 염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금속 콘택 재료는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따라 30% 이하의 두께 변동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상승된 중앙 부분 및 하부 측면 부분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안장 형상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반도체 피처는 실리콘을 포함한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반도체 피처는 게르마늄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금속 콘택 재료는 또한 유전체 층 내의 트렌치의 측벽들을 따라 있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트렌치의 측벽들을 따른 금속 콘택 재료의 두께는 반도체 피처의 일부로부터 반도체 피처의 일부 위의 위치까지 얇아진다. 일 실시예에서, 트렌치 내의 금속 콘택 재료 상에 도전성 충전 재료가 있다.
도 2a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또는 드레인 영역 상에 도전성 콘택을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 구조(200)는 기판(204) 위에 게이트 구조(202)를 포함한다. 게이트 구조(202)는 게이트 유전체 층(202A), 일함수 층(202B), 및 게이트 충전재(202C)를 포함한다. 게이트 구조(202)의 반대 측면들 상에 소스 영역(208) 및 드레인 영역(210)이 있다. 소스 또는 드레인 콘택들(212)이 소스 영역(208) 및 드레인 영역(2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층간 유전체 층(214) 또는 게이트 유전체 스페이서들(216)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의해 게이트 구조(202)에서 이격된다. 소스 영역(208) 및 드레인 영역(210)은 기판(204)의 영역들이다.
일 실시예에서, 소스 또는 드레인 콘택들(212)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고순도 금속 층(212A), 및 도전성 트렌치 충전 재료(212B)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층(212A)은 98% 이상의 티타늄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층(212A)의 총 원자 조성은 0.5-2%의 염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층(212A)은 30% 이하의 두께 변동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트렌치 충전 재료(212B)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Cu, Al, W, 또는 이들의 합금들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도 2b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된 소스 또는 드레인 영역 상에 도전성인 것을 갖는 다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반도체 구조(250)는 기판(254) 위에 게이트 구조(252)를 포함한다. 게이트 구조(252)는 게이트 유전체 층(252A), 일함수 층(252B), 및 게이트 충전재(252C)를 포함한다. 게이트 구조(252)의 반대 측면들 상에 소스 영역(258) 및 드레인 영역(260)이 있다. 소스 또는 드레인 콘택들(262)이 소스 영역(258) 및 드레인 영역(2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층간 유전체 층(264) 또는 게이트 유전체 스페이서들(266)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의해 게이트 구조(252)에서 이격된다. 소스 영역(258) 및 드레인 영역(260)은 기판(254)의 에칭 제거된 영역들에 형성된 에피택셜 및/또는 임베디드 재료 영역들이다. 묘사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소스 영역(258) 및 드레인 영역(260)은 상승된 소스 및 드레인 영역들이다. 특정한 그러한 실시예에서, 상승된 소스 및 드레인 영역들은 상승된 실리콘 소스 및 드레인 영역들 또는 상승된 실리콘 게르마늄 소스 및 드레인 영역들이다.
일 실시예에서, 소스 또는 드레인 콘택들(262)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고순도 금속 층(262A), 및 도전성 트렌치 충전 재료(262B)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층(262A)은 98% 이상의 티타늄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층(262A)의 총 원자 조성은 0.5-2%의 염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층(262A)은 30% 이하의 두께 변동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트렌치 충전 재료(262B)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Cu, Al, W, 또는 이들의 합금들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도 2a 및 도 2b를 집합적으로 참조하면, 집적 회로 구조는 표면을 갖는 피처(반도체 소스 또는 드레인 구조를 노출시키는 소스 또는 드레인 콘택 트렌치)를 포함한다. 소스 또는 드레인 콘택 트렌치의 표면 상에 고순도 금속 층(212A 또는 262A)이 있다. 콘택 형성 프로세스들은 소스 또는 드레인 영역들의 노출된 실리콘 또는 게르마늄 또는 실리콘 게르마늄 재료의 소비를 수반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한 소비는 디바이스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소스(208 또는 258) 또는 드레인(210 또는 260) 구조의 표면(249 또는 299)은 소스 또는 드레인 콘택 트렌치 아래에서 침식 또는 소모되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침식 또는 소모되지 않는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소모 또는 침식이 없는 것은 고순도 금속 콘택 층의 저온 증착으로 인해 발생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반도체 핀 위의 복수의 게이트 라인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반도체 핀(300) 위에 복수의 액티브 게이트 라인(304)이 형성된다. 복수의 반도체 핀(300)의 단부들에는 더미 게이트 라인들(306)이 있다. 게이트 라인들(304/306) 사이의 간격들(308)은 소스/드레인 영역들(351, 352, 353, 및 354)과 같은 소스/드레인 영역들에 대한 도전성 콘택들로서 트렌치 콘택들이 형성될 수 있는 위치들이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304/306)의 패턴 및/또는 복수의 반도체 핀(300)의 패턴은 격자 구조로서 기술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304/306) 및/또는 복수의 반도체 핀(300)의 패턴에 대한 용어 "격자"는 본 명세서에서 조밀 피치 격자 구조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조밀 피치는 종래의 리소그래피를 통해 직접 달성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어, 종래의 리소그래피에 기초한 패턴이 먼저 형성될 수 있지만,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피치는 스페이서 마스크 패터닝의 사용에 의해 이등분될 수 있다. 더욱이, 원래 피치는 스페이서 마스크 패터닝의 제2 라운드에 의해 사등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격자형 패턴들은 일정한 피치로 이격되고 일정한 폭을 갖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304/306) 및/또는 복수의 반도체 핀(300)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패턴은 피치 이등분 또는 피치 사등분, 또는 다른 피치 분할 접근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 회로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에서의 다양한 동작들에 대한, 도 3의 a-a'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기판(400) 위에 형성된 반도체 핀(402) 위에 복수의 액티브 게이트 라인(404)이 형성된다. 복수의 반도체 핀(402)의 단부들에는 더미 게이트 라인들(406)이 있다. 액티브 게이트 라인들(404) 사이, 더미 게이트 라인들(406)과 액티브 게이트 라인들(404) 사이, 그리고 더미 게이트 라인들(406)의 외부에는 유전체 층(410)이 있다. 액티브 게이트 라인들(404) 사이 및 더미 게이트 라인들(406)과 액티브 게이트 라인들(404) 사이의 반도체 핀(402)에는 임베디드 소스/드레인 구조들(408)이 있다. 액티브 게이트 라인들(404)은 게이트 유전체 층(412), 일함수 게이트 전극 부분(414) 및 충전 게이트 전극 부분(416), 및 유전체 캡핑 층(418)을 포함한다. 유전체 스페이서들(420)이 액티브 게이트 라인들(404) 및 더미 게이트 라인들(406)의 측벽들을 라이닝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액티브 게이트 라인들(404) 사이 및 더미 게이트 라인들(406)과 액티브 게이트 라인들(404) 사이의 유전체 층(410)의 부분은 트렌치 콘택들이 형성될 위치들에 개구들(430)을 제공하기 위해 제거된다. 액티브 게이트 라인들(404) 사이 및 더미 게이트 라인들(406)과 액티브 게이트 라인들(404) 사이의 유전체 층(410)의 부분의 제거는 임베디드 소스/드레인 구조(408)의 침식으로 이어져서, 도 4b에 묘사된 바와 같이, 상부 안장 형상 토포그래피를 가질 수 있는 침식된 임베디드 소스/드레인 구조(432)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액티브 게이트 라인들(404) 사이 및 더미 게이트 라인들(406)과 액티브 게이트 라인들(404) 사이의 개구들(430)에 트렌치 콘택들(434)이 형성된다. 트렌치 콘택들(434) 각각은 금속 콘택 층(436) 및 도전성 충전 재료(4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 회로 구조에 대한, 도 3의 b-b' 축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핀들(502)이 기판(504) 위에 묘사되어 있다. 핀들(502)의 하부 부분들은 트렌치 격리 재료(504)에 의해 둘러싸인다. 핀들(502)의 상부 부분들은 임베디드 소스 및 드레인 구조들(506)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거되었다. 유전체 층(510)의 개구에 트렌치 콘택(508)이 형성되고, 개구는 임베디드 소스 및 드레인 구조들(506)을 노출시킨다. 트렌치 콘택은 금속 콘택 층(512) 및 도전성 충전 재료(51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묘사된 바와 같이, 금속 콘택 층(512)은 트렌치 콘택(508)의 최상부까지 연장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금속 콘택 층(512)은 트렌치 콘택(508)의 최상부까지 연장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4c에서의 금속 콘택 층(436)의 묘사와 유사하게, 트렌치 콘택(508) 내에서 다소 리세스된다.
따라서, 도 3,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를 집합적으로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집적 회로 구조는 기판(400, 500) 위의 반도체 핀(300, 402, 502)을 포함한다. 반도체 핀(300, 402, 502)은 최상부 및 측벽들을 갖는다. 게이트 전극(304, 404)이 반도체 핀(300, 402, 502)의 일부의 측벽들에 인접하고 최상부 위에 있다. 게이트 전극(304, 404)은 반도체 핀(300, 402, 502) 내에 채널 영역을 정의한다. 게이트 전극(304, 404)의 제1 측면에 있는 채널 영역의 제1 단부에는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1, 432, 506)가 있고,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1, 432, 506)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갖는다. 게이트 전극(304, 404)의 제2 측면에 있는 채널 영역의 제2 단부에는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2, 432, 506)가 있고, 제2 단부는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고, 제2 측면은 제1 측면의 반대편에 있다.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2, 432, 506)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갖는다.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1, 432, 506) 바로 위에 그리고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2, 432, 506) 바로 위에 금속 콘택 재료(436, 512)가 있다. 금속 콘택 재료(436, 512)는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1, 432, 506)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고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2, 432, 506)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다.
일 실시예에서, 금속 콘택 재료(436, 512)는 95% 이상의 단일 금속 종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금속 콘택 재료(436, 512)는 98% 이상의 티타늄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특정한 그러한 실시예에서, 금속 콘택 재료(436, 512)의 총 원자 조성은 0.5-2%의 염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금속 콘택 재료(436, 512)는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1, 432, 506)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따라 그리고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2, 432, 506)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따라 30% 이하의 두께 변동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1, 432, 506)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 및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2, 432, 506)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둘 다, 예를 들어, 도 5에 묘사된 바와 같이, 상승된 중앙 부분 및 하부 측면 부분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1, 432, 506)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 및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2, 432, 506)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둘 다, 예를 들어, 도 4c에 묘사된 바와 같이, 안장 형상 부분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1, 432, 506) 및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2, 432, 506)는 둘 다 실리콘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1, 432, 506) 및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2, 432, 506)는 둘 다, 예를 들어, 실리콘 게르마늄의 형태로 게르마늄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1, 432, 506) 바로 위에 있는 금속 콘택 재료(436, 512)는 또한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1, 432, 506) 위의 유전체 층(420, 510) 내의 트렌치의 측벽들을 따라 있고, 트렌치는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1, 432, 506)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트렌치의 측벽들을 따른 금속 콘택 재료(436)의 두께는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432에서 436A)로부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432) 위의 위치(436B)까지 얇아지고, 그 예가 도 4c에 예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c 및 5에 묘사된 바와 같이, 트렌치 내의 금속 콘택 재료(436, 512) 상에 도전성 충전 재료(438, 514)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집적 회로 구조는 최상부 및 측벽들을 갖는 제2 반도체 핀(예를 들어, 도 3의 상부 핀(300), 402, 502)을 추가로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304, 404)은 또한 제2 반도체 핀의 일부의 측벽들에 인접하고 최상부 위에 있고, 게이트 전극은 제2 반도체 핀 내에 채널 영역을 정의한다. 게이트 전극(304, 404)의 제1 측면에 있는 제2 반도체 핀의 채널 영역의 제1 단부에는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3, 432, 506)가 있고,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갖는다. 게이트 전극(304, 404)의 제2 측면에 있는 제2 반도체 핀의 채널 영역의 제2 단부에는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4, 432, 506)가 있고, 제2 단부는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고,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4, 432, 506)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갖는다. 금속 콘택 재료(436, 512)는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3, 432, 506) 바로 위에 그리고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4, 432, 506) 바로 위에 있고, 금속 콘택 재료(436, 512)는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3, 432, 506)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고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4, 432, 506)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다. 일 실시예에서, 금속 콘택 재료(436, 512)는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1, 432, 좌측 506)와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3, 432, 우측 506) 사이에서 연속적이고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2)와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354) 사이에서 연속적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 회로 구조의 금속화 층의 평면도 및 대응하는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금속화 층(600)은 도전성 라인들(602) 및 층간 유전체(ILD) 라인들(604)의 패턴을 포함한다. 도 6에 묘사된 바와 같이, 금속화 층(600)은 일정한 피치로 이격되고 일정한 폭을 갖는 도전성 라인들(602)을 갖는 격자형 패턴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전성 라인들(602)은 라인들을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중단부들(즉, 컷들 또는 플러그들)을 가질 수 있다. 단면도에서 예로서 도시된 라인(602')과 같이, 도전성 라인들 중 일부는 기저의 비아들과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라인들(602) 및 ILD 라인들(604)에 대한 용어 "격자"는 본 명세서에서 조밀 피치 격자 구조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조밀 피치는 종래의 리소그래피를 통해 직접 달성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어, 종래의 리소그래피에 기초한 패턴이 먼저 형성될 수 있지만,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피치는 스페이서 마스크 패터닝의 사용에 의해 이등분될 수 있다. 더욱이, 원래 피치는 스페이서 마스크 패터닝의 제2 라운드에 의해 사등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격자형 패턴들은 일정한 피치로 이격되고 일정한 폭을 갖는 도전성 라인들(602) 및/또는 ILD 라인들(604)을 가질 수 있다. 패턴은 피치 이등분 또는 피치 사등분, 또는 다른 피치 분할 접근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라인들(602)(및 어쩌면, 기저의 비아 구조들)은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다른 도전성 구조로 구성된다. 도전성 라인들(602)은 또한 때때로 본 기술분야에서 트레이스들, 와이어들, 라인들, 금속, 인터커넥트 라인들 또는 단순히 인터커넥트들이라고 지칭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전성 라인들(602) 각각은 장벽 층(612) 및 도전성 충전 재료(61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벽 층(612)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고순도 금속 층이다. 일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장벽 층(612)은 98% 이상의 티타늄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장벽 층(612)의 총 원자 조성은 0.5-2%의 염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장벽 층(612)은 30% 이하의 두께 변동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충전 재료(61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Cu, Al, Ti, Zr, Hf, V, Ru, Co, Ni, Pd, Pt, W, Ag, Au 또는 이들의 합금들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집적 회로 구조는 표면을 갖는 피처(BEOL(back end-of-line) 금속화 층의 도전성 라인 트렌치)를 포함한다. 도전성 라인 트렌치의 표면 상에 고순도 금속 장벽 층(612)이 있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장벽 층(612)은 도전성 라인(602)에 대한 장벽 층이다.
일 실시예에서, ILD 라인들(604)은 유전체 또는 절연 재료의 층으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한다. 적합한 유전체 재료들의 예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리콘의 산화물들(예를 들어, 실리콘 이산화물(SiO2)), 도핑된 실리콘의 산화물들, 실리콘의 플루오르화 산화물들, 탄소 도핑된 실리콘의 산화물들,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로우-k 유전체 재료들, 및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한다. 층간 유전체 재료는, 예를 들어, 화학 기상 증착(CVD), 물리 기상 증착(PVD)과 같은 종래의 기법들에 의해, 또는 다른 퇴적 방법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 층들 및 재료들은 전형적으로 집적 회로의 기저의 디바이스 층(들)과 같은 기저의 반도체 기판 또는 구조 상에 또는 위에 형성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저의 반도체 기판은 집적 회로들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워크피스 오브젝트(workpiece object)를 표현한다. 반도체 기판은 종종 실리콘 또는 다른 반도체 재료의 웨이퍼 또는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 적합한 반도체 기판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단결정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및 SOI(silicon on insulator) 뿐만 아니라, 다른 반도체 재료들로 형성된 유사한 기판들을 포함한다. 반도체 기판은, 제조의 스테이지에 따라, 종종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 등을 포함한다. 기판은 반도체 재료들, 금속들, 유전체들, 도펀트들, 및 반도체 기판들에서 통상적으로 발견되는 다른 재료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묘사되지는 않았지만, 도 6에 묘사된 구조는 기저의 하부 레벨 BEOL(back end of line) 인터커넥트 층들 상에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MOS) 디바이스 제조와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들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예로서, 도 7a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 층으로서 CVD-증착된 층을 갖는 비평면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7b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a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a-a' 축을 따라 취해진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반도체 구조 또는 디바이스(700)는 기판(702)으로부터 그리고 격리 영역(706) 내에 형성된 비평면 액티브 영역(예를 들어, 돌출 핀 부분(704) 및 서브-핀 영역(705)을 포함하는 핀 구조)을 포함한다. 비평면 액티브 영역의 돌출 부분들(704) 위뿐만 아니라 격리 영역(706)의 일부 위에 게이트 라인(708)이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라인(708)은 게이트 전극(750/799) 및 게이트 유전체 층(75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 라인(708)은 유전체 캡 층(754)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위에 가로놓인 금속 인터커넥트(760)와 함께, 게이트 콘택(714), 및 위에 가로놓인 게이트 콘택 비아(716)가 또한 보이고, 이들 모두는 층간 유전체 스택들 또는 층들(770)에 배치된다. 또한 도 7a의 관점에서, 게이트 콘택(714)은, 일 실시예에서, 격리 영역(706) 위에 배치되지만, 비평면 액티브 영역들 위에는 배치되지 않은 것이 보인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 전극(750/799)의 층(799)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고순도 금속 층이다. 일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층(799)은 게이트 트렌치 내에 있고, 게이트 유전체 층(752) 상에 또는 위에 있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층(799)은 집적 회로 구조의 트랜지스터(700)의 금속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 층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700)는 N형(NMOS) 트랜지스터이고, 고순도 금속 층(799)은 N 형상 일함수를 갖는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700)는 P형(PMOS) 트랜지스터이고, 고순도 금속 층(799)은 P형 일함수를 갖는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반도체 구조 또는 디바이스(700)는 표면(게이트 유전체 층(752))을 갖는 피처(게이트 라인(708))를 갖는다. 게이트 유전체 층(752) 상에 또는 그에 근접하여 CVD-증착된 일함수-설정 층(799)(게이트 전극(750/799)의 층(799))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CVD-증착된 일함수-설정 층(799)은 98% 이상의 티타늄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CVD-증착된 일함수-설정 층(799)의 총 원자 조성은 0.5-2%의 염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CVD-증착된 일함수-설정 층(799)은 30% 이하의 두께 변동을 갖는다.
도 7b를 참조하면, 게이트 라인(708)은 돌출 핀 부분들(704) 위에 배치된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관점에서 돌출 핀 부분들(704)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들(704A 및 704B)이 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스 및 드레인 영역들(704A 및 704B)은 돌출 핀 부분들(704)의 원래 재료의 도핑된 부분들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 핀 부분들(704)의 재료는 제거되고, 예를 들어, 에피택셜 퇴적에 의해 다른 반도체 재료로 대체된다. 어느 경우든, 소스 및 드레인 영역들(704A 및 704B)은 유전체 층(706)의 높이 아래로, 즉, 서브-핀 영역(705)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도체 구조 또는 디바이스(70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fin-FET 또는 트라이-게이트 디바이스와 같은 비평면 디바이스이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반도체 채널 영역이 3차원 바디로 구성되거나 형성된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게이트 라인들(708)의 게이트 전극 및 게이트 전극 재료들은 3차원 바디의 적어도 최상부 표면 및 한 쌍의 측벽을 둘러싼다.
기판(702)은 제조 프로세스를 견딜 수 있고 전하가 이동할 수 있는 반도체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702)은 액티브 영역(704)을 형성하기 위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 비소, 안티몬, 붕소, 갈륨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전하 캐리어가 도핑된 결정 실리콘, 실리콘/게르마늄 또는 게르마늄 층으로 구성된 벌크 기판이다. 일 실시예에서, 벌크 기판(702) 내의 실리콘 원자들의 농도는 97%보다 크다. 다른 실시예에서, 벌크 기판(702)은 별개의 결정 기판 위에 성장된 에피택셜 층, 예를 들어 붕소-도핑된 벌크 실리콘 단결정 기판 위에 성장된 실리콘 에피택셜 층으로 구성된다. 벌크 기판(702)은 대안적으로 ⅢⅤ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벌크 기판(702)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갈륨 질화물, 갈륨 인화물, 갈륨 비화물, 인듐 인화물, 인듐 안티몬화물, 인듐 갈륨 비화물, 알루미늄 갈륨 비화물, 인듐 갈륨 인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III-V 족 재료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벌크 기판(702)은 III-V 재료로 구성되고 전하-캐리어 도펀트 불순물 원자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마그네슘, 베릴륨, 아연, 탄소, 실리콘, 게르마늄, 산소, 황, 셀레늄 또는 텔루륨과 같은 것들이다.
격리 영역(706)은 기저의 벌크 기판으로부터 영구 게이트 구조의 부분들을 궁극적으로 전기적으로 격리하거나 그의 격리에 기여하거나 또는 핀 액티브 영역들을 격리하는 것과 같이 기저의 벌크 기판 내에 형성된 액티브 영역들을 격리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격리 영역(706)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리콘 이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탄소-도핑된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 유전체 층(752)은 하이-K 재료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 유전체 층(752)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프늄 산화물, 하프늄 산질화물, 하프늄 실리케이트, 란타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탄탈룸 산화물, 바륨 스트론튬 티타네이트, 바륨 티타네이트, 스트론튬 티타네이트, 이트륨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납 스칸듐 탄탈룸 산화물, 납 아연 니오브산염,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게이트 유전체 층의 일부는 기판(702)의 최상부 몇 개의 층으로 형성된 자연 산화물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 유전체 층은 최상부 하이-k 부분 및 반도체 재료의 산화물로 구성된 하부 부분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 유전체 층(752)은 하프늄 산화물의 최상부 부분 및 실리콘 이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의 최하부 부분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 전극(750/799)의 층(750)은 CVD-증착된 일함수 설정 층(799) 위에 형성된 비-일함수-설정 도전성 충전 재료로 구성된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도전성 충전 재료(75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텅스텐(W),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와 같은 재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 전극의 층들(750 및 799) 사이에 하나 이상의 도전성 장벽 층(예컨대 티타늄 질화물 또는 탄탈룸 질화물)이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게이트 전극은, 기판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최하부 부분 및 기판의 최상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2개의 측벽 부분을 포함하는 "U" 형상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금속 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단순히 기판의 최상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층일 수 있고 기판의 최상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측벽 부분들은 포함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 구현들에서, 게이트 전극은 U 형상 구조들과 평면의 U 형상이 아닌 구조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은 하나 이상의 평면의 U 형상이 아닌 층 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U 형상 금속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 전극 스택들과 연관된 유전체 캡 층(754) 및/또는 유전체 스페이서들은 자기 정렬된 콘택들과 같은 인접한 또는 위에 가로놓인 도전성 콘택들로부터 영구 게이트 구조를 궁극적으로 전기적으로 격리하거나 그의 격리에 기여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유전체 캡 층(754) 및/또는 유전체 스페이서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리콘 이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탄소-도핑된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다.
게이트 콘택(714), 위에 가로놓인 게이트 콘택 비아(716), 및/또는 위에 가로놓인 금속 인터커넥트(760)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택들, 인터커넥트들 또는 비아들 중 하나 이상은 금속 종들로 구성된다. 금속 종들은 텅스텐, 니켈, 또는 코발트와 같은 순수 금속일 수 있거나, 금속-금속 합금 또는 금속-반도체 합금(예를 들어, 실리사이드 재료와 같은)과 같은 합금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게이트 콘택(714), 위에 가로놓인 게이트 콘택 비아(716), 또는 위에 가로놓인 금속 인터커넥트(760) 중 하나 이상은 장벽 층 및 도전성 충전 재료를 포함한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장벽 층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고순도 금속 층이다. 일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장벽 층은 98% 이상의 티타늄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장벽 층의 총 원자 조성은 0.5-2%의 염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장벽 층은 30% 이하의 두께 변동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충전 재료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Cu, Al, Ti, Zr, Hf, V, Ru, Co, Ni, Pd, Pt, W, Ag, Au 또는 이들의 합금들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도시되지 않았지만), 구조(700)를 제공하는 것은, 대단히 엄격한 레지스트레이션 예산(registration budget)을 갖는 리소그래피 단계의 사용을 제거하면서 기존의 게이트 패턴과 본질적으로 완벽하게 정렬되는 콘택 패턴의 형성을 수반한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접근법은 콘택 개구들을 생성하기 위해 본질적으로 고도로 선택적인 습식 에칭(예를 들어, 관례적으로 구현된 건식 또는 플라즈마 에칭 대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콘택 플러그 리소그래피 작업과 조합하여 기존의 게이트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콘택 패턴이 형성된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이 접근법은, 종래의 접근법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콘택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달리 임계적인 리소그래피 작업에 대한 필요성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트렌치 콘택 그리드가 별도로 패터닝되지 않고, 오히려 폴리 (게이트) 라인들 사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트렌치 콘택 그리드는 게이트 격자 패터닝 이후에 그러나 게이트 격자 컷들 이전에 형성된다.
또한, 게이트 스택 구조(708)는 대체 게이트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스킴에서, 폴리실리콘 또는 실리콘 질화물 필러 재료와 같은 더미 게이트 재료가 제거되고 영구 게이트 전극 재료로 대체될 수 있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영구 게이트 유전체 층이 또한, 이전의 프로세싱으로부터 지속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 프로세스에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더미 게이트들은 건식 에칭 또는 습식 에칭 프로세스에 의해 제거된다. 일 실시예에서, 더미 게이트들은 다결정 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으로 구성되고, SF6의 사용을 포함하는 건식 에칭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더미 게이트들은 다결정 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으로 구성되고, 수성 NH4OH 또는 테트라메틸암모늄 수산화물의 사용을 포함하는 습식 에칭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거된다. 일 실시예에서, 더미 게이트들은 실리콘 질화물로 구성되고, 수성 인산을 포함하는 습식 에칭을 이용하여 제거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접근법은 구조(700)에 도달하기 위해 본질적으로 더미 및 대체 게이트 프로세스를 더미 및 대체 콘택 프로세스와 조합하여 고려한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대체 콘택 프로세스는 영구 게이트 스택의 적어도 일부의 고온 어닐링을 허용하기 위해 대체 게이트 프로세스 후에 수행된다. 예를 들어, 특정한 그러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게이트 유전체 층이 형성된 후에, 영구 게이트 구조들의 적어도 일부의 어닐링은 대략 섭씨 600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된다. 어닐링은 영구 콘택들의 형성 이전에 수행된다.
다시 도 7a를 참조하면, 반도체 구조 또는 디바이스(700)의 배열은 격리 영역들 위에 게이트 콘택을 배치한다. 그러한 배열은 특정 응용들에서 레이아웃 공간의 비효율적인 사용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도체 디바이스가 액티브 영역 위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의 부분들과 접촉하는 콘택 구조들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게이트의 액티브 부분 위에 그리고 트렌치 콘택 비아와 동일한 층 위에 게이트 콘택 구조(예컨대 비아)를 형성하는 것 이전에(예를 들어, 그에 더하여),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먼저 게이트 정렬된 트렌치 콘택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프로세스는 반도체 구조 제조를 위한, 예를 들어, 집적 회로 제조를 위한 트렌치 콘택 구조들을 형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렌치 콘택 패턴이 기존의 게이트 패턴에 정렬된 것으로서 형성된다. 대조적으로, 종래의 접근법들은 전형적으로 선택적 콘택 에칭들과 조합하여 기존의 게이트 패턴에 대한 리소그래피 콘택 패턴의 엄격한 레지스트레이션을 갖는 추가적인 리소그래피 프로세스를 수반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프로세스는 콘택 피처들의 별개의 패터닝을 갖는 폴리 (게이트) 그리드의 패터닝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트렌치 콘택들 각각은 장벽 층 및 도전성 충전 재료를 포함한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장벽 층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고순도 금속 층이다. 일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장벽 층은 98% 이상의 티타늄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장벽 층의 총 원자 조성은 0.5-2%의 염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순도 금속 장벽 층은 30% 이하의 두께 변동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충전 재료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Cu, Al, Ti, Zr, Hf, V, Ru, Co, Ni, Pd, Pt, W, Ag, Au 또는 이들의 합금들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위에 설명된 프로세스들의 모든 양태들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도록 실시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더미 게이트들은 항상 게이트 스택들의 액티브 부분들 위에 게이트 콘택들을 제조하기 전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위에 설명된 게이트 스택들은 실제로는 초기에 형성된 영구 게이트 스택들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들은 하나 또는 복수의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반도체 디바이스들은 트랜지스터들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반도체 디바이스들은 로직 또는 메모리를 위한 금속 산화물 반도체(MOS) 트랜지스터들이거나,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반도체 디바이스들은 트라이게이트 디바이스, 독립적으로 액세스된 더블 게이트 디바이스, 또는 FIN-FET와 같은 3차원 아키텍처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10 나노미터(10 nm) 이하의 기술 노드에서 반도체 디바이스들을 제조하는 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설명 전체에 걸쳐 또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리소그래피 작업들은 193 nm 액침 리소그래피(immersion lithography)(i193), 극자외선(EUV) 및/또는 전자 빔 직접 기록(electron beam direct write, EBDW) 리소그래피 등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포지티브 톤 또는 네거티브 톤 레지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소그래피 마스크는 토포그래피 마스킹 부분, 반사 방지 코팅(ARC) 층, 및 포토레지스트 층으로 구성된 삼중층 마스크이다. 특정한 그러한 실시예에서, 토포그래피 마스킹 부분은 탄소 하드마스크(CHM) 층이고, 반사 방지 코팅 층은 실리콘 ARC 층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매우 다양한 상이한 유형들의 집적 회로들 및/또는 마이크로전자 디바이스들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집적 회로들의 예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세서들, 칩셋 컴포넌트들, 그래픽 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등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반도체 메모리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집적 회로들 또는 다른 마이크로전자 디바이스들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매우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들(예를 들어, 데스크톱, 랩톱, 서버), 셀룰러 폰들, 개인용 전자기기 등에서. 집적 회로들은 시스템들 내의 버스 및 다른 컴포넌트들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버스에 의해 메모리, 칩셋 등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메모리, 및 칩셋 각각은 잠재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접근법들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 구현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800)를 예시한다. 컴퓨팅 디바이스(800)는 보드(802)를 하우징한다. 보드(802)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세서(804)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806)을 포함하는 다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4)는 보드(802)에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806)도 보드(802)에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추가 구현들에서, 통신 칩(806)은 프로세서(804)의 일부이다.
그 응용들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800)는 보드(802)에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컴포넌트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DRAM),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그래픽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암호 프로세서, 칩셋, 안테나,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배터리, 오디오 코덱, 비디오 코덱, 전력 증폭기,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디바이스, 나침반,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스피커, 카메라, 및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예컨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등)을 포함한다.
통신 칩(806)은 컴퓨팅 디바이스(800)로의 그리고 그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무선(wireless)"이라는 용어 및 그 파생어들은, 비-고체 매체를 통한 변조된 전자기 방사(electromagnetic radiation)의 사용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회로들,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방법들, 기법들, 통신 채널들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 용어는 연관된 디바이스들이 어떠한 와이어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암시하지 않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연관된 디바이스들이 어떠한 와이어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칩(806)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Wi-Fi(IEEE 802.11 패밀리), WiMAX(IEEE 802.16 패밀리), IEEE 802.20, 롱 텀 에볼루션(LTE), Ev-DO, HSPA+, HSDPA+, HSUPA+, EDGE, GSM, GPRS, CDMA, TDMA, DECT, 블루투스, 이들의 파생물들뿐만 아니라, 3G, 4G, 5G 및 그 이상의 것으로 지정된 임의의 다른 무선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무선 표준 또는 프로토콜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800)는 복수의 통신 칩(80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칩(806)은 Wi-Fi 및 블루투스와 같은 더 짧은 거리의 무선 통신에 전용될 수 있고, 제2 통신 칩(806)은 GPS, EDGE, GPRS, CDMA, WiMAX, LTE, Ev-DO, 및 다른 것들과 같은 더 먼 거리의 무선 통신에 전용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800)의 프로세서(804)는 프로세서(804) 내에 패키징된 집적 회로 다이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의 집적 회로 다이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구현들에 따른, CVD-증착된 금속 막을 포함하도록 제조된 하나 이상의 구조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라는 용어는 레지스터들 및/또는 메모리로부터의 전자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그 전자 데이터를 레지스터들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 다른 전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의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통신 칩(806)은 또한 통신 칩(806) 내에 패키징된 집적 회로 다이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른 구현에 따르면, 통신 칩의 집적 회로 다이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구현들에 따른, CVD-증착된 금속 막을 포함하도록 제조된 하나 이상의 구조를 포함한다.
추가 구현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800) 내에 하우징된 다른 컴포넌트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구현들에 따른, CVD-증착된 금속 막을 포함하도록 제조된 하나 이상의 구조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다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800)는 랩톱, 넷북, 노트북, 울트라북, 스마트폰, 태블릿,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울트라 모바일 PC, 모바일 폰, 데스크톱 컴퓨터, 서버, 프린터, 스캐너, 모니터, 셋톱 박스, 엔터테인먼트 제어 유닛,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또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일 수 있다. 추가 구현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800)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임의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인터포저(900)를 예시한다. 인터포저(900)는 제1 기판(902)을 제2 기판(904)에 브리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재 기판이다. 제1 기판(902)은, 예를 들어, 집적 회로 다이일 수 있다. 제2 기판(904)은 예를 들어, 메모리 모듈, 컴퓨터 마더보드, 또는 다른 집적 회로 다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터포저(900)의 목적은 접속을 더 넓은 피치로 확장하거나 또는 접속을 상이한 접속으로 재라우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터포저(900)는 집적 회로 다이를 볼 그리드 어레이(BGA)(906)에 결합할 수 있고, 후자는 그 후 제2 기판(904)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기판들(902/904)은 인터포저(900)의 반대 측면들에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기판들(902/904)은 인터포저(900)의 동일한 측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추가 실시예들에서, 3개 이상의 기판이 인터포저(900)를 통해 상호접속된다.
인터포저(900)는 에폭시 수지, 섬유유리 강화 에폭시 수지, 세라믹 재료, 또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폴리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 구현들에서, 인터포저는 실리콘, 게르마늄, 및 다른 III-V 족 및 IV 족 재료들과 같은, 반도체 기판에서 사용하기 위해 위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는 대안적인 강성 또는 연성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인터포저는 금속 인터커넥트들(908) 및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TSV들(through-silicon vias)(912)을 포함하는 비아들(910)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포저(900)는 수동 및 능동 디바이스들 둘 다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디바이스들(91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커패시터들, 디커플링 커패시터들, 저항기들, 인덕터들, 퓨즈들, 다이오드들, 변압기들, 센서들, 및 정전기 방전(ESD)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무선 주파수(RF) 디바이스들, 전력 증폭기들, 전력 관리 디바이스들, 안테나들, 어레이들, 센서들, 및 MEMS 디바이스들과 같은 더 복잡한 디바이스들이 또한 인터포저(9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들 또는 프로세스들이 인터포저(900)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랩-어라운드 콘택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 접근법들, 및 랩-어라운드 금속 콘택들을 갖는 반도체 구조들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조를 포함한다.
요약서에 설명된 것을 포함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예시된 구현들에 대한 위의 설명은 철저하거나 개시된 정확한 형태들로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구현들 및 본 개시내용에 대한 예들이 예시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지만,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등가의 수정들이 가능하고, 이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라면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수정들은 위의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본 개시내용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의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을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 개시된 특정 구현들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전적으로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청구항들은 청구항 해석의 확립된 원칙들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예시적 실시예 1: 집적 회로 구조가 기판 위의 반도체 피처를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피처 위에 유전체 층이 있고, 상기 유전체 층은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트렌치를 가지며, 그 일부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갖는다.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 바로 위에 금속 콘택 재료가 있다.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conformal)이다.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95% 이상의 단일 금속 종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예시적 실시예 2: 예시적 실시예 1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98% 이상의 티타늄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예시적 실시예 3: 예시적 실시예 1 또는 2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금속 콘택 재료의 총 원자 조성은 0.5-2%의 염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 4: 예시적 실시예 1, 2 또는 3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따라 30% 이하의 두께 변동을 갖는다.
예시적 실시예 5: 예시적 실시예 1, 2, 3 또는 4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상승된 중앙 부분 및 하부 측면 부분들을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 6: 예시적 실시예 1, 2, 3, 4 또는 5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안장 형상 부분을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 7: 예시적 실시예 1, 2, 3, 4, 5 또는 6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반도체 피처는 실리콘을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 8: 예시적 실시예 1, 2, 3, 4, 5, 6 또는 7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반도체 피처는 게르마늄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 9: 예시적 실시예 1, 2, 3, 4, 5, 6, 7 또는 8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또한 상기 유전체 층 내의 상기 트렌치의 측벽들을 따라 있고, 상기 트렌치의 측벽들을 따른 상기 금속 콘택 재료의 두께는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로부터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 위의 위치까지 얇아진다.
예시적 실시예 10: 예시적 실시예 1, 2, 3, 4, 5, 6, 7, 8 또는 9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금속 콘택 재료 상의 도전성 충전 재료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 11: 집적 회로 구조가 기판 위의 반도체 핀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핀은 최상부 및 측벽들을 갖는다. 게이트 전극이 상기 반도체 핀의 일부의 상기 측벽들에 인접하고 상기 최상부 위에 있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반도체 핀 내에 채널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의 제1 측면에 있는 상기 채널 영역의 제1 단부에는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가 있고,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갖는다. 상기 게이트 전극의 제2 측면에 있는 상기 채널 영역의 제2 단부에는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가 있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의 반대편에 있고,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갖는다.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바로 위에 그리고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바로 위에 금속 콘택 재료가 있다.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고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다.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95% 이상의 단일 금속 종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예시적 실시예 12: 예시적 실시예 11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98% 이상의 티타늄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예시적 실시예 13: 예시적 실시예 11 또는 12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금속 콘택 재료의 총 원자 조성은 0.5-2%의 염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 14: 예시적 실시예 11, 12 또는 13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따라 그리고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따라 30% 이하의 두께 변동을 갖는다.
예시적 실시예 15: 예시적 실시예 11, 12, 13 또는 14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 및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둘 다 상승된 중앙 부분 및 하부 측면 부분들을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 16: 예시적 실시예 11, 12, 13, 14 또는 15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 및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둘 다 안장 형상 부분들을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 17: 예시적 실시예 11, 12, 13, 14, 15 또는 16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및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는 둘 다 실리콘을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 18: 예시적 실시예 11, 12, 13, 14, 15, 16 또는 17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및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는 둘 다 게르마늄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 19: 예시적 실시예 11, 12, 13, 14, 15, 16, 17 또는 18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바로 위에 있는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또한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위의 유전체 층 내의 트렌치의 측벽들을 따라 있고, 상기 트렌치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트렌치의 측벽들을 따른 상기 금속 콘택 재료의 두께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로부터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위의 위치까지 얇아진다.
예시적 실시예 20: 예시적 실시예 19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금속 콘택 재료 상의 도전성 충전 재료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 21: 예시적 실시예 11, 12, 13, 14, 15, 16, 17, 18, 19 또는 20의 집적 회로 구조로서, 상기 집적 회로 구조는 최상부 및 측벽들을 갖는 제2 반도체 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또한 상기 제2 반도체 핀의 일부의 측벽들에 인접하고 상기 최상부 위에 있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반도체 핀 내에 채널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기 제1 측면에 있는 상기 제2 반도체 핀의 채널 영역의 제1 단부에는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가 있고, 상기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갖는다.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기 제2 측면에 있는 상기 제2 반도체 핀의 채널 영역의 제2 단부에는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가 있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고, 상기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갖는다.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바로 위에 그리고 상기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바로 위에 있고,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고 상기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다.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와 상기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사이에서 연속적이고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와 상기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사이에서 연속적이다.
예시적 실시예 22: 집적 회로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은 RF 소스를 갖는 화학 기상 증착(CVD) 챔버 내에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그 위에 피처를 갖는다. 상기 방법은 또한 사염화 티타늄(TiCl4)과 수소(H2)를 반응시켜 상기 기판의 상기 피처 상에 티타늄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은 섭씨 400-500도 범위의 온도에서, 0.2-2 Torr 범위의 압력에서, 그리고 대략 400 kHz 또는 대략 13.56 MHz의 RF 주파수에서 수행된다. 상기 티타늄 층은 98% 이상의 티타늄 및 0.5-2%의 염소를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다.
예시적 실시예 23: 예시적 실시예 22의 방법으로서, 상기 피처는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를 노출시키는 소스/드레인 콘택 트렌치이고, 상기 티타늄 층은 상기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를 위한 도전성 콘택 층이다.
예시적 실시예 24: 예시적 실시예 22의 방법으로서, 상기 피처는 BEOL(back end-of-line) 금속화 층의 도전성 라인 트렌치이고, 상기 티타늄 층은 도전성 라인에 대한 장벽 층이다.
예시적 실시예 25: 예시적 실시예 22의 방법으로서, 상기 피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게이트 트렌치이고, 상기 티타늄 층은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의 금속 게이트 전극의 일함수 층이다.

Claims (25)

  1. 집적 회로 구조로서,
    기판 위의 반도체 피처;
    상기 반도체 피처 위의 유전체 층 - 상기 유전체 층은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트렌치를 가지며, 상기 일부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가짐 -; 및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 바로 위에 있는 금속 콘택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고,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95% 이상의 단일 금속 종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 집적 회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98% 이상의 티타늄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 집적 회로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콘택 재료의 총 원자 조성은 0.5-2%의 염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따라 30% 이하의 두께 변동을 갖는, 집적 회로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상승된 중앙 부분 및 하부 측면 부분들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안장 형상 부분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피처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피처는 게르마늄을 추가로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또한 상기 유전체 층 내의 상기 트렌치의 측벽들을 따라 있고, 상기 트렌치의 측벽들을 따른 상기 금속 콘택 재료의 두께는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로부터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 위의 위치까지 얇아지는, 집적 회로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금속 콘택 재료 상의 도전성 충전 재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조.
  11. 집적 회로 구조로서,
    기판 위의 반도체 핀 - 상기 반도체 핀은 최상부 및 측벽들을 가짐 -;
    상기 반도체 핀의 일부의 상기 측벽들에 인접하고 상기 최상부 위에 있는 게이트 전극 -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반도체 핀 내에 채널 영역을 정의함 -;
    상기 게이트 전극의 제1 측면에 있는 상기 채널 영역의 제1 단부에 있는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가짐 -;
    상기 게이트 전극의 제2 측면에 있는 상기 채널 영역의 제2 단부에 있는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의 반대편에 있고,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가짐 -; 및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바로 위에 그리고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바로 위에 있는 금속 콘택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고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고,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95% 이상의 단일 금속 종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물을 갖는, 집적 회로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98% 이상의 티타늄을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 집적 회로 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콘택 재료의 총 원자 조성은 0.5-2%의 염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따라 그리고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따라 30% 이하의 두께 변동을 갖는, 집적 회로 구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 및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둘 다 상승된 중앙 부분 및 하부 측면 부분들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 및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둘 다 안장 형상 부분들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및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는 둘 다 실리콘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및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는 둘 다 게르마늄을 추가로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바로 위에 있는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또한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위의 유전체 층 내의 트렌치의 측벽들을 따라 있고, 상기 트렌치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트렌치의 측벽들을 따른 상기 금속 콘택 재료의 두께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로부터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위의 위치까지 얇아지는, 집적 회로 구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내의 상기 금속 콘택 재료 상의 도전성 충전 재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조.
  21. 제11항에 있어서,
    최상부 및 측벽들을 갖는 제2 반도체 핀 - 상기 게이트 전극은 또한 상기 제2 반도체 핀의 일부의 측벽들에 인접하고 상기 최상부 위에 있고,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반도체 핀 내에 채널 영역을 정의함 -;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기 제1 측면에 있는 상기 제2 반도체 핀의 채널 영역의 제1 단부에 있는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 상기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가짐 -;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기 제2 측면에 있는 상기 제2 반도체 핀의 채널 영역의 제2 단부에 있는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고, 상기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갖고,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바로 위에 그리고 상기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바로 위에 있고,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고 상기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와 등각이고, 상기 금속 콘택 재료는 상기 제1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와 상기 제3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사이에서 연속적이고 상기 제2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와 상기 제4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 사이에서 연속적인, 집적 회로 구조.
  22. 집적 회로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RF 소스를 갖는 화학 기상 증착(CVD) 챔버 내에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기판은 그 위에 반도체 피처를 가지고, 상기 반도체 피처는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를 갖는 일부를 가짐 -; 및
    사염화 티타늄(TiCl4)과 수소(H2)를 반응시켜 상기 반도체 피처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 상에 등각인 티타늄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은 섭씨 400-500도 범위의 온도에서, 0.2-2 Torr 범위의 압력에서, 그리고 대략 400 kHz 또는 대략 13.56 MHz의 RF 주파수에서 수행되고, 상기 티타늄 층은 98% 이상의 티타늄 및 0.5-2%의 염소를 포함하는 총 원자 조성을 갖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피처는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이고, 상기 티타늄 층은 상기 반도체 소스/드레인 구조를 위한 도전성 콘택 층인,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상승된 중앙 부분 및 하부 측면 부분들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피처의 일부의 평평하지 않은 토포그래피는 안장 형상 부분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97025556A 2017-03-30 2017-03-30 랩-어라운드 콘택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 접근법들 및 결과 구조들 Active KR102384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11286A KR102553784B1 (ko) 2017-03-30 2017-03-30 랩-어라운드 콘택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 접근법들 및 결과 구조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7/025002 WO2018182614A1 (en) 2017-03-30 2017-03-30 Metal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roaches for fabricating wrap-around contacts and resulting structur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286A Division KR102553784B1 (ko) 2017-03-30 2017-03-30 랩-어라운드 콘택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 접근법들 및 결과 구조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073A KR20190126073A (ko) 2019-11-08
KR102384805B1 true KR102384805B1 (ko) 2022-04-08

Family

ID=636781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556A Active KR102384805B1 (ko) 2017-03-30 2017-03-30 랩-어라운드 콘택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 접근법들 및 결과 구조들
KR1020227011286A Active KR102553784B1 (ko) 2017-03-30 2017-03-30 랩-어라운드 콘택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 접근법들 및 결과 구조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286A Active KR102553784B1 (ko) 2017-03-30 2017-03-30 랩-어라운드 콘택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 접근법들 및 결과 구조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63151B2 (ko)
EP (1) EP3602610B1 (ko)
KR (2) KR102384805B1 (ko)
CN (1) CN110326088B (ko)
WO (1) WO20181826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672A (ko) 2020-12-22 2022-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8268A1 (en) * 1999-02-12 2001-08-30 Sujit Sharan Method for PECVD deposition of selected material film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5640A (en) 1994-06-03 1997-09-09 Sony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titanium-containing thin films by low temperature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using a rotating susceptor reactor
US5946594A (en) * 1996-01-02 1999-08-31 Micron Technology, Inc.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titanium from titanium tetrachloride and hydrocarbon reactants
JP3381774B2 (ja) * 1997-12-24 2003-03-0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CVD−Ti膜の成膜方法
JP4322347B2 (ja) * 1999-03-15 2009-08-26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04815B2 (ja) * 2003-10-09 2012-03-2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14269B1 (ko) * 2004-10-14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에 사용되는 금속층 형성방법
US7585773B2 (en) * 2006-11-03 2009-09-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conformal stress liner for enhanced MOSFET performance
US7799674B2 (en) * 2008-02-19 2010-09-21 Asm Japan K.K. Ruthenium alloy film for copper interconnects
TWI536451B (zh) * 2010-04-26 2016-06-01 應用材料股份有限公司 使用具金屬系前驅物之化學氣相沉積與原子層沉積製程之n型金氧半導體金屬閘極材料、製造方法及設備
US8629014B2 (en) * 2010-09-20 2014-0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placement metal gate structures for effective work function control
US8377763B2 (en) * 2010-12-06 2013-0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ly resistor and metal gate fabrication and structure
US8415751B2 (en) * 2010-12-30 2013-04-09 Intel Corporation Method to reduce contact resistance of N-channel transistors by using a III-V semiconductor interlayer in source and drain
KR101675121B1 (ko) * 2011-12-30 2016-11-10 인텔 코포레이션 랩어라운드 트렌치 콘택을 포함하는 장치, 구조물 및 제조 방법
US8586487B2 (en) * 2012-01-18 2013-11-19 Applied Materials, Inc. Low temperature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conformal silicon carbon nitride and silicon nitride films
US9136340B2 (en) * 2013-06-05 2015-09-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Doped protection layer for contact formation
US8962490B1 (en) * 2013-10-08 2015-02-24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9466494B2 (en) * 2014-11-18 2016-10-1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lective growth for high-aspect ration metal fill
KR102349421B1 (ko) 2015-04-21 2022-0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실리콘 카본을 가진 소스/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EP3171409B1 (en) * 2015-11-18 2020-12-30 IMEC vzw Method for forming a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 having an electrical contact
US9589836B1 (en) * 2016-03-11 2017-03-07 Globalfoundries Inc. Methods of forming ruthenium conductive structures in a metallization lay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8268A1 (en) * 1999-02-12 2001-08-30 Sujit Sharan Method for PECVD deposition of selected material fil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784B1 (ko) 2023-07-12
WO2018182614A1 (en) 2018-10-04
KR20220047401A (ko) 2022-04-15
CN110326088B (zh) 2025-01-21
EP3602610B1 (en) 2024-10-09
US20190393336A1 (en) 2019-12-26
KR20190126073A (ko) 2019-11-08
US11063151B2 (en) 2021-07-13
CN110326088A (zh) 2019-10-11
EP3602610A1 (en) 2020-02-05
EP3602610A4 (en)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68104B (zh) 具有閘極或接點插塞之自對準閘極端蓋(sage)架構
CN119789516A (zh) 具有全环栅器件的自对准栅极端盖(sage)架构
CN107743653A (zh) 用于半导体结构的金属特征的自底向上填充(buf)
US12119387B2 (en) Low resistance approaches for fabricating contacts and the resulting structures
US12328927B2 (en) Low resistance and reduced reactivity approaches for fabricating contacts and the resulting structures
US20240332392A1 (en) Integrated circuit structures including a titanium silicide material
CN117716495A (zh) 具有掩埋功率轨的集成电路结构
US11476164B2 (en) Integrated circuit structures having differentiated workfunction layers
JP2020501334A (ja) フィン端部応力誘起フィーチャを有する半導体デバイス
TW202145564A (zh) 具有高磷摻雜物濃度的源極和汲極
EP4109515A1 (en) Gate-all-around integrated circuit structures having uniform threshold voltages and tight gate endcap tolerances
CN116314191A (zh) 具有落在电介质锚点上的金属栅极插塞的集成电路结构
TWI851740B (zh) 具有無襯裡自形成障壁的積體電路結構
TWI833887B (zh) 具有閘極接點之自對準閘極端蓋(sage)架構
KR102384805B1 (ko) 랩-어라운드 콘택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 화학 기상 증착 접근법들 및 결과 구조들
US20220416042A1 (en) Gate-all-around integrated circuit structures having gate height reduction by fin hard mask removal post dummy gate patterning removal
US11984506B2 (en)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a gate dielectric with a dipole layer and having a gate stressor layer
US20220416043A1 (en) Reduced contact resistivity with pmos germanium and silicon doped with boron gate all around transistors
US20230197817A1 (en) Low temperature, high germanium, high boron sige:b pepi with titanium silicide contacts for ultra-low pmos contact resistivity and thermal stability
US20230087399A1 (en) Low temperature, high germanium, high boron sige:b pepi with a silicon rich capping layer for ultra-low pmos contact resistivity and thermal stability
TW202314841A (zh) 選擇性薄化環繞式閘極(gaa)結構
US20220042162A1 (en) Integrated circuit structures including a metal layer formed using a beam of low energy atoms
CN118738086A (zh) 具有多层钼金属栅极堆叠的全环绕栅极集成电路结构的制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2040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