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488B1 - Stabilizer 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 Google Patents
Stabilizer 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3488B1 KR102383488B1 KR1020160155842A KR20160155842A KR102383488B1 KR 102383488 B1 KR102383488 B1 KR 102383488B1 KR 1020160155842 A KR1020160155842 A KR 1020160155842A KR 20160155842 A KR20160155842 A KR 20160155842A KR 102383488 B1 KR102383488 B1 KR 1023834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bilizer
- valve
- valve assembly
- integrated leveling
- brack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6—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hydropneumatic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60G2206/82012—Pressure we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2—Height or leveling valve for air-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와 일체로 구성하여 스테빌라이저 바와 로드의 자세 변화에 따라 밸브축의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무게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한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valve assembly of an air suspension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integrally configured with a vehicle stabilizer to control the rotation of a valve shaft according to a change in posture of a stabilizer bar and rod, thereby reducing weight and cost. It relates to a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의 레벨링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와 일체로 구성하여 스테빌라이저 바와 로드의 자세 변화에 따라 밸브축의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무게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한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valve assembly of an air suspension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integrally configured with a vehicle stabilizer to control the rotation of a valve shaft according to a change in posture of a stabilizer bar and rod, thereby reducing weight and cost. It relates to a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적용되는 에어 서스펜션은 압축 공기의 탄성을 이용하여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고, 노면으로부터의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며, 또한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불규칙한 진동을 감쇄시켜 안전한 운행이 되도록 한다.In general, an air suspension applied to a vehicle supports the weight of a vehicle by using the elasticity of compressed air, absorbs vibrations and shocks from the road surface, and attenuates irregular vibrations transmitted from the wheels to ensure safe driving.
이와 같은 에어 서스펜션에 있어서는 레벨링 밸브가 적용되어 차중에 따라 밸로우즈내의 공기 압력을 조절하여 차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In such an air suspension, a leveling valve is applied to adjust the air pressure in the bellow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to maintain a constant vehicle height.
일반적인 레벨링 밸브의 구성은,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밸브의 본체가 차체측에 고정되고, 본체의 밸브축에 밸브레버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타단부는 하단부가 액슬에 연결되는 별도의 수직로드의 상단부와 볼조인트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In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leveling valve, the main body of the valve is fixed to the body side through a separate bracket, one end of the valve lever is connected to the valve shaft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is the upper end of a separate vertical rod connected to the axle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axle. It has a configuration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ll joint method.
이때, 밸브 본체는 차량 높이에 따라 상기 수직 로드 및 밸브레버의 자세가 변화하면서 상기 밸브축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의 밸브축의 회전방향과 그 회전정도에 따라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벨로우즈로 공급하거나 배출하여 차량 높이를 차량의 운전 상태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valve body rotates the valve shaft while the postures of the vertical rod and the valve lever change according to the vehicle height,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air tank is supplied to the bellow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valve shaft. This is to keep the vehicle height constant regardless of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따라서, 레벨링 밸브의 장착을 위해 별도의 브라켓과 길이조절이 가능한 수직로드, 두 개의 볼 조인트가 필요하여 그만큼 차량의 무게 및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a separate bracket, a length-adjustable vertical rod, and two ball joints ar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leveling valve, thereby increasing the weight and cost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레벨링 밸브 조립체를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와 일체로 구성하여 스테빌라이저 바와 로드의 자세 변화에 따라 밸브축의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무게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한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configuring the leveling valve assembly integrally with the vehicle's stabilizer to adjust the rotation of the valve shaf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stabilizer bar and rod, weight and cost can be reduce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leveling valve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는 차량의 사이드프레임에 상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스테빌라이저 로드(100)와 상기 스테빌라이저 로드(100)의 하단부와 액슬을 연결하여 차체의 롤을 제어하는 스테빌라이저 바(200)를 포함하는 상용차의 리어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 로드(100)의 하단부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200)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동축상에 구비되는 밸브본체(310); 전단부가 상기 밸브본체(310)의 중앙부에 외측에 형성된 밸브축(315)과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밸브레버(321); 전단부가 상기 밸브레버(321)의 후단부와 체결되는 밸브암(322);을 The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roll of the vehicle body by connecting the
포함하고, 상기 밸브암(322)의 후단부는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200)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의 자세 변화에 따라 상기 밸브축(315)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rear end of the
또한, 상기 밸브본체(310)를 상기 연결축과 동축상에 체결하는 제 1브라켓(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또한, 상기 제 1브라켓(340)은 단면이 사각형인 관형상이고, 그 내측면을 헤드부가 관통되도록 장착된 제 2체결볼트(3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 2체결볼트(341)가 상기 연결축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밸브본체(310)가 상기 스테빌라이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 2체결볼트(341)는 그 헤드부가 상기 제 1브라켓(340)에 용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밸브암(322)의 전단부 소정의 구간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3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밸브레버(321)의 후단부와 상기 밸브암(322)의 전단부가 중첩된 상태에서 이를 순차적으로 관통 체결하는 제 1체결볼트(3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체결볼트(325)는 상기 가이드홀(323)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또한, 상기 제 1체결볼트(325)가 제 1체결너트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상기 밸브레버(321)와 상기 밸브암(322)의 상대 움직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또한, 상기 밸브암(322)은 후단부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200)의 일측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밸브암(322)의 후단부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200)의 일측에 체결하기 위한 제 2브라켓(3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 2브라켓(330)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200)의 길이방향으로 체결위치를 조정가능 한 것으로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레벨링 밸브 조립체를 차량의 스테빌라이저와 일체로 구성하여 스테빌라이저 바(200)와 로드의 자세 변화에 따라 밸브축(315)의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무게 및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weight and cost by configuring the leveling valve assembly integrally with the vehicle's stabilizer to adjust the rotation of th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의 정면도 및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의 분해사시도.1 is a fron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stabilizer 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의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는 밸브본체(310), 밸브레버(321), 밸브암(3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차량의 사이드프레임에 상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스테빌라이저 로드(100)와 상기 스테빌라이저 로드(100)의 하단부와 액슬을 연결하여 차체의 롤을 제어하는 스테빌라이저 바(200)를 포함하는 상용차의 리어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310)는 스테빌라이저 로드(100)의 하단부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200)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동축상에 구비되고, 밸브본체(310)의 중앙부 외측으로는 밸브축(315)이 형성된다. 밸브레버(321)의 전단부는 상기 밸브축(315)과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A rear stabilizer of a commercial vehicle comprising a
또한, 밸브레버(321)의 후단부에는 밸브암(322)의 전단부가 체결되고, 밸브암(322)의 전단부와 밸브레버(321)의 후단부가 중첩된 상태에서 이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시키는 제 1체결볼트(3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이렇게 밸브레버(321)와 연결된 밸브암(322)은 후단부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200)의 일측에 체결되고, 스테빌라이저 바(200)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밸브암(322) 및 밸브레버(321)가 상하이동 함으로써 밸브축(315)의 회전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As such, the rear end of the
상기 밸브본체(310)는 제 1브라켓(340)을 통해 상기 연결축과 동축상에 체결되고, 이 때 제 1브라켓(340)은 단면이 사각형인 관형상을 갖고, 제 2체결볼트(341)의 헤드부가 내측면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체결볼트(341)의 헤드부는 용접될 수 있고, 제 1브라켓(340)의 개방부를 통해 제 2체결볼트(341)를 조일수 있고, 토크를 조절하여 체결하는 것도 가능함으로써,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이렇게 장착된 제 2체결볼트(341)가 상기 스테빌라이저 로드(100)와 스테빌라이저 바(200)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는 연결축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밸브본체(310)가 스테빌라이저에 고정될 수 있다. The second fastenin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암(322)의 전단부의 소정의 구간에는 밸브암(322)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323)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가이드홀(323)에 상기 제 1체결볼트(325)가 체결되는 것이다. 이렇게 체결된 제 1체결볼트(325)는 상기 밸브레버(321)의 후단부와 상기 밸브암(322)의 전단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홀(323)을 따라 상기 가이드홀(32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As shown in FIG. 3 , a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 에서와 같이 제 1브라켓(340)을 매개로 밸브본체(310)를 스테빌라이저에 체결하는 경우에는 제 1브라켓(340)의 폭으로 인해 상기 밸브축(315)과 스테빌라이저 바(200) 간에 간격차이가 발생하므로, 상기 밸브레버(321) 및 밸브암(322)은 각각 단턱부(324)를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이드홀(323)은 이 단턱부(324)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when the
밸브암(322)은 후단부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200)의 일측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스테빌라이저 바(200)의 상하 이동에 맞추어 밸브축(315)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The
이를 위해서 상기 밸브암(322)의 후단부는 제 2브라켓(330)을 통해 스테빌라이저 바(200)에 체결되게 되고, 제 2브라켓(330)은 스테빌라이저의 일측에 체결되는 클램프와 밸브암(322)의 후단부에 체결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들이 각각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로 체결됨으로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 볼트를 조이기 전에는 상기 클램프를 스테빌라이저 바(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체결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rear end of the
이렇게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The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operate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의 작동상태이다. 2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는 밸브본체(310)를 스테빌라이저에 체결하고, 밸브레버(321)의 영점조절을 위해 공차상태에서 상기 제 1체결볼트(325)를 완전히 고정시키지 않고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암(322)의 각도를 조절하고, 이를 따라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밸브암(322)의 가이드홀(323)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밸브레버(321)의 수평상태를 형성하여 영점을 조절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밸브암(322)의 각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제 2브라켓(330)의 클램프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밸브암(322)의 체결 위치 역시 조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stens the
상기 밸브레버(321)가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 2브라켓(330)을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200)에 고정하고, 상기 제 1체결볼트(325)를 제 1체결너트로 조임으로써 상기 밸브레버(321)와 밸브암(322)이 상대 이동을 할 수 없도록 고정하여,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200)의 이동을 밸브암(322)을 통해 밸브레버(321)로 전달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밸브축(315)의 회전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In a state where the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레벨링 밸브에 비해, 별도의 브라켓, 길이조절이 가능한 로드, 볼조인트 등의 부품을 삭제할 수 있게 되어, 차체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eveling valve, it is possible to remove parts such as a separate bracket, a length-adjustable rod, and a ball joint, thereby reducing body weight and cost, and improving assembling ability.
이러한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는 트럭이나 버스등 상용차량의 후륜 서스펜션에 적용될 수 있으나, 전륜 서스펜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Such a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may be applied to the rear suspension of a commercial vehicle such as a truck or a bus, but it is obvious that it may also be applied to a front suspension.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 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that allow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it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parts easily change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스테빌라이저 로드
200: 스테빌라이저 바
310: 밸브본체
315: 밸브축
321: 밸브레버
322: 밸브암
323: 가이드홀
324: 단턱부
325: 제 1체결볼트
330: 제 2브라켓
340: 제 1브라켓
341: 제 2체결볼트100: stabilizer rod
200: stabilizer bar
310: valve body
315: valve shaft
321: valve lever
322: valve arm
323: guide hole
324: stepped portion
325: first fastening bolt
330: second bracket
340: first bracket
341: second fastening bolt
Claims (11)
상기 스테빌라이저 로드의 하단부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동축상에 구비되는 밸브본체;
전단부가 상기 밸브본체의 중앙부에 외측에 형성된 밸브축과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밸브레버;
전단부가 상기 밸브레버의 후단부와 체결되는 밸브암;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암의 후단부는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스테빌라이저의 자세 변화에 따라 상기 밸브축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
In the rear stabilizer of a commercial vehicle comprising a stabilizer rod having an upper end fixedly installed on a side frame of the vehicle, and a stabilizer bar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stabilizer rod and an axle to control the roll of the vehicle body,
a valve body provided coaxially with a connecting shaft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stabilizer rod and the front end of the stabilizer bar;
a valve lever whose front end is connected to a valve shaft formed outside the central portion of the valve body and is rotatable;
The front end of the valve arm is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valve lever;
and wherein the rear end of the valve arm is fastened to one side of the stabilizer bar to adjust the rotation of the valve shaft according to a change in posture of the stabilizer.
상기 밸브본체를 상기 연결축과 동축상에 체결하는 제 1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bracket for fastening the valve body coaxially with the connecting shaft.
상기 제 1브라켓은 단면이 사각형인 관형상이고, 그 내측면을 헤드부가 관통되도록 장착된 제 2체결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bracket has a tubular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stabilizer 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second fastening bolt mounted so that the head part penetrates the inner surface thereof.
상기 제 2체결볼트가 상기 연결축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밸브본체가 상기 스테빌라이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astening bolt is fastened through the connecting shaft, whereby the valve body is fixed to the stabilizer.
상기 제 2체결볼트는 그 헤드부가 상기 제 1브라켓에 용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of the second fastening bolt is welded to the first bracket.
상기 밸브암의 전단부 소정의 구간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A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hole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front end of the valve arm.
상기 밸브레버의 후단부와 상기 밸브암의 전단부가 중첩된 상태에서 이를 순차적으로 관통 체결하는 제 1체결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체결볼트는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
7.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first fastening bolt for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and fastening the rear end of the valve lever and the front end of the valve arm in an overlapping state, wherein the first fastening bolt is movable along the guide hole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상기 제 1체결볼트가 제 1체결너트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상기 밸브레버와 상기 밸브암의 상대 움직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valve lever and the valve arm is regulated by the first fastening bolt being fastened with the first fastening nut and tightened.
상기 밸브암은 후단부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일측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valve arm is a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end is fastened to one side of the stabilizer bar.
상기 밸브암의 후단부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일측에 체결하기 위한 제 2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abilizer-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racket for fastening the rear end of the valve arm to one side of the stabilizer bar.
상기 제 2브라켓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길이방향으로 체결위치를 조정가능 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저 일체형 레벨링 밸브 조립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bracket is a stabilizer 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osition can be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bilizer ba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5842A KR102383488B1 (en) | 2016-11-22 | 2016-11-22 | Stabilizer 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5842A KR102383488B1 (en) | 2016-11-22 | 2016-11-22 | Stabilizer 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7335A KR20180057335A (en) | 2018-05-30 |
KR102383488B1 true KR102383488B1 (en) | 2022-04-06 |
Family
ID=6230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5842A Active KR102383488B1 (en) | 2016-11-22 | 2016-11-22 | Stabilizer 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348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0309820U (en) * | 2019-06-21 | 2020-04-14 | 赛格威科技有限公司 | All-terrain vehicle |
KR102673455B1 (en) * | 2022-12-13 | 2024-06-07 | 김운섭 | Rear suspension disassembly and assembly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1399B1 (en) | 2008-04-28 | 2009-08-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ctive Roll Control Unit for Air Suspension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5230B1 (en) * | 1999-10-08 | 2002-03-04 | 이계안 | Leveling valve operating appratus |
KR100361301B1 (en) | 2000-11-06 | 2002-11-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mounting structure of radius rod and stabilizer bar for bus |
KR100482077B1 (en) * | 2002-06-03 | 2005-04-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Levelling valve of air suspension in vehicle |
KR100831099B1 (en) * | 2006-09-26 | 2008-05-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ehicle Leveling Valve Control |
-
2016
- 2016-11-22 KR KR1020160155842A patent/KR10238348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1399B1 (en) | 2008-04-28 | 2009-08-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ctive Roll Control Unit for Air Suspension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7335A (en) | 2018-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76466B2 (en) | Motor-vehicle wheel suspension, with a toe angle regulating device | |
US9399384B2 (en) |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of suspension system | |
US20190070919A1 (en) |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 |
KR101361287B1 (en) | Suspension arm jointing device for vehicle | |
JP6384525B2 (en) | Rear suspension structure of automobile | |
US9937766B1 (en) | Height control linkage for a vehicle cab suspension system | |
KR102774928B1 (en) | Adjustable trailing arm | |
CN107009929A (en) | Vehicular vibration device | |
KR102383488B1 (en) | Stabilizer integrated leveling valve assembly | |
US9216778B1 (en) | Cab suspension | |
JP6312731B2 (en) | Double wishbone suspension | |
JP2010018172A (en) | Wheel alignment adjusting device | |
US7216925B1 (en) | Height control linkage for a vehicle cab suspension | |
KR20140073134A (en) | Vehicle body stability control device | |
KR20130039959A (en) | Active roll control system | |
CN211138946U (en) | Double-swing-arm suspension adjusting mechanism | |
KR102563608B1 (en) | Device for jointing lower arm and knuckle of vehicle | |
JP6793573B2 (en) | Stabilizer link, stabilizer link device, and stabilizer device | |
US9744808B2 (en) | Axle alignment system | |
KR102108809B1 (en) | Coupled Torsion Beam Axle for vehicle | |
KR20160056394A (en) | Geometric independent variable type double wishbone suspension system | |
KR20080054815A (en) | Strut suspension of vehicle | |
KR102394545B1 (en) | Steering system for vehicle | |
KR20150077925A (en) | Rear suspension for vehicle | |
JP2006175913A (en) | Vehicle suspens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1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