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83042B1 -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 Google Patents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042B1
KR102383042B1 KR1020210084854A KR20210084854A KR102383042B1 KR 102383042 B1 KR102383042 B1 KR 102383042B1 KR 1020210084854 A KR1020210084854 A KR 1020210084854A KR 20210084854 A KR20210084854 A KR 20210084854A KR 102383042 B1 KR102383042 B1 KR 102383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thread
lead screw
slope
t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영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영테크
Priority to KR1020210084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042B1/ko
Priority to PCT/KR2022/008732 priority patent/WO2023277424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선 보정이 가능한 나사체결구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축선 보정 나사체결구에 있어서, 선단부와 후단부를 가지는 나사기둥에 형성된 복수개의 정상나사산을 갖는 정상나사부; 및 나사기둥의 선단부와 복수개의 정상나사산 사이에 형성되고 정상나사산의 피치경보다 작거나 같은 리드나사산 외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나사산을 갖는 리드나사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리드나사산은 일정각도의 후단부기울기를 가지는 후단직선부, 후단부기울기보다 작은 선단부기울기를 가지는 선단직선부 및 후단직선부 및 선단직선부와 서로 접하는 완만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중앙만곡부를 포함하는 리드나사산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선보정 나사체결구는 상대방 암나사와 체결할 때, 비롯 축선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체결되는 과정을 통하여 축선을 바로잡는 보정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An axial alignment compensation thread fastener}
본 발명은 체결되는 부품의 축선이 약간 어긋난 경우에도 어긋난 축선을 보정하면서 정상적으로 체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축선보정 나사체결구에 관한 발명이다.
자동차, 전자, 화학 등의 조립산업에 있어서 볼트, 스크류 및 너트 등과 같은 나사 체결구는 필수적인 체결 부품이다. 일반적으로 부품을 프레임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부품에는 체결구멍을 형성한 후 볼트 혹은 스크류와 같은 숫나사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때, 프레임의 암나사에 숫나사가 일직선상으로 얼라인되지 않고 약간 어긋난 경우에는 숫나사가 암나사에 체결이 정확하게 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암나사와 부품의 구멍이 정확히 얼라인되지 않은 경우에도 자동으로 축선을 보정하며 체결하는 나사체결구에 관한 발명으로 미국 MAThread, Inc 사의 미국 등록특허 US5,836,731 “Anti-cross Threading Fastener" 특허가 제시 되었다.
미국 등록특허 US5,836,731 는 리드나사산의 형태에 있어서 트랜지셔널 곡면 프로파일(transitional curved profile)의 복잡한 리드나사 프로파일을 채용하고 있어, 설계 및 전조 금형(다이)의 가공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나사산의 피치가 작아질 때 축선보정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다는 문제도 존재하고 있다.
선행문헌 1 : 미국등록특허 제5,836,731호(1998.11.1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제조가 가능하고 피치가 좁은 나사에서도 축선보정이 적적히 이루어질 수 있는 축선보정 나사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축선보정 나사체결구에 있어서, 선단부와 후단부를 가지는 나사기둥에 형성된 복수개의 정상나사산을 갖는 정상나사부; 및 상기 나사기둥의 상기 선단부와 복수개의 상기 정상나사산 사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리드나사산을 갖는 리드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나사산은 일정각도의 후단부기울기를 가지는 후단경사면, 상기 후단부기울기보다 작은 선단부기울기를 가지는 선단경사면 및 상기 후단경사면 및 상기 선단경사면과 서로 접하는 완만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중앙만곡부를 포함하는 리드나사산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보정 나사체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만곡부는 단일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만곡부의 곡률반경의 중심은 상기 후단경사면의 연장선과 상기 선단경사면의 연장선이 서로 만나는 지점보다 상기 선단부 쪽으로 옵셋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나사기둥의 적어도 하나의 리드나사산과 상기 선단부 사이에는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원통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나사원통부의 외경은 체결되는 상대방 암나사의 나사산 내경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비나사원통부는 체결시 상대방 암나사의 나사산을 저항없이 통과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나사원통부와 상기 선단부 사이에는 선단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드나사산의 선단측에는, 상기 비나사원통부로부터 1/4 나사 회전 각도 이내에서 상기 리드나사산의 외경이 점진적으로 성장을 완료하는 리드나사성장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기울기는 40도 내지 50도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선단부기울기는 후단부기울기보다 작은 40도 내지 50도를 사용하면 상대방 암나사의 나사산을 타고 넘어가기가 용이하다. 통상 후단부기울기는 60도 내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단테이퍼부는 라운드 또는 직선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나사부는 상기 정상나사산의 피치경보다 작거나 같은 상기 리드나사산 외경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축선보정 나사체결구는, 리드나사산의 형상이 단순하여 설계 및 다이의 가공이 용이하므로 효율적인 제조가 가능하며, 선단측 경사면의 기울기가 후단측에 비해 작기 때문에 피치가 좁은 나사에서도 축선보정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축선보정 나사체결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선보정 나사체결구를 선단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View “A" 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축선보정 나사체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축선보정 나사체결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축선보정 나사체결구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축선보정 나사체결구의 측면도이다.
자동차, 전자, 화학, 철강, 장치 등의 조립산업에 있어서 체결되는 부품간의 모든 구멍이 항상 얼라인 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 조립되는 부품의 구멍 간에는 조립 공차에 의하여 축선이 얼라인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본 발명의 축선보정 나사체결구(100)를 사용하면 부품간의 축선을 보정하면서 체결되도록 하여 강한 결합력으로 나사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축선보정 나사체결구(100)는 나사기둥(60) 및 나사머리부(50)를 포함한다.
축선보정 나사체결구(100)는 선단부(1) 및 후단부(2)를 포함하며, 선단부(1)는 상대방 암나사의 구멍에 끼워져 체결이 시작되는 부분이다. 후단부(2)에는 나사머리부(50)가 형성되고, 나사머리부(50)를 통하여 체결공구로부터 회전 토르크를 받는다.
육각렌치, 스크류 드라이버, 전동드라이버, 에어드라이버 등의 체결공구에 본 발명 축선 보정 나사체결구(100)의 나사머리부(50)를 끼우고 공구의 회전 토르크를 전달하면 본 발명 축선 보정 숫나사(100)는 상대방 암나사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선보정 나사체결구(100)의 나사기둥(60)에는 후단측으로부터 복수개의 정상나사산(10), 적어도 하나의 리드나사산(20), 비나사원통부(30) 및 선단테이퍼부(40)가 형성된다.
선단테이퍼부(40)는 선단부(1)와 인접하고 복수개의 정상나사산(10)의 가장 후단측의 정상나사산(10)은 나사머리부(50)와 인접한다. 선단테이퍼부(40)는 라운드(R) 혹은 직선 형태가 가능하다. 실시예1에서는 적절하게 라운드를 형성한다.
통상의 정상나사산(10)의 나사 형태는 표준규격으로 제작된다. 나사산은 원통형의 나사몸체에서 골경과 산경을 가진다. 또한, 나사산은 약 60도 정도의 두 개의 측벽을 가지며 나사산의 정상부위는 일정한 라운드(R)를 가지고 마찬가지로 골짜기에도 적절한 라운드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나사체결구(100)의 나사기둥부(6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드나사산(20)은 도 1의 경우에는 3개의 리드나사산을 형성한 것이고, 본 발명은 리드나사산(20)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리드나사산(20)은 리드나사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정상나사산(10)은 정상나사부를 형성한다.
정상나사산(10)과 리드나사산(20)의 피치는 거의 동일하므로, 나사의 1회전에 의하여 선단방향으로 진입하는 거리는 정상나사산(10) 및 리드나사산(20)이 거의 동일하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축선보정 나사체결구(100)에 형성된 복수의 리드나사산(20)은 정상나사산(10)과는 상이한 나사 프로파일을 가진다. 특히, 나사산이 형성되는 측벽의 각도가 상이하다. 나사산과 나사산의 거리에 해당하는 피치는 거의 동일하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축선보정 나사체결구(100)에 형성된 리드나사산(20)의 외경(D2)은 정상나사산(10)의 외경(D1)보다 작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나사체결구(100)에 형성된 리드나사산(20)의 외경(D2)은 정상나사산(10)의 피치경(Dp)보다 같거나 작다. 도 1의 확대도에서는 리드나사산(20)의 외경(D2)이 정상나사산(10)의 피치경(Dp)과 동일한 것을 예로 들었다.
따라서, 본 발명 축선보정 나사체결구(100)와 체결되는 상대방 암나사의 구멍이 완전히 얼라인되지 않은 경우에도 리드나사산(20)은 상대방 암나사의 내경을 형성하는 암나사 산경을 강제로 타고 넘어가서 체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축선보정이 가능한 나사체결구(100)의 리드나사산(20)의 후단부기울기(도 1 확대도 “a”)는 정상나사산(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통상의 60도 내외이고, 선단부기울기 (도 1 확대도 “b")는 후단부기울기(60도)보다 작은 45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축선보정이 가능한 나사체결구(100)의 리드나사산(20)의 나사산 프로파일(20p)은 후단부기울기를 가지는 후단경사면(20b), 선단부기울기를 가지는 선단경사면(20a) 및 후단경사면 및 선단경사면과 접하는 완만한 곡면을 가지는 중앙만곡부(2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중앙만곡부(20c)는 리드나사산(20)의 산경을 형성하는 곡면부로서 일정한 곡률반경(R)을 가지는 원호, 타원 혹은 변화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후단직선부(20a)의 연장선과 선단직선부(20b)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과 일정한 곡률반경(R)에 의한 중앙만곡부(20c)의 중심점 사이에는 일정량의 옵셋(Offset)이 형성된다.
즉, 중앙만곡부(20c)의 중심점은 후단직선부(20a)의 연장선과 선단직선부(20b)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보다 옵셋(Offset)량 만큼 선단부(1) 쪽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중앙만곡부(20c)는 종래의 임의의 트랜지셔널한 커브를 형성하는 프로파일이 아니라 직선과 원호 혹은 직선과 완만한 곡면부의 접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가지므로 리드나사부(20) 설계 및 다이 가공이 용이하다.
또한, 선단부기울기(b)가 후단부기울기(a)보다 작으므로 리드나사산(20)이 상대방 암나사에 끼워질 때 상대방 암나사의 나사산을 타고 넘어 가기가 용이하다.
또한, 리드나사산 프로파일 설계 시 리드나사산(20)의 외경(D2)를 정상나사산(10)의 외경(D1)보다 작을 뿐만 아니라, 정상나사산(10)의 피치경(Dp)보다 작게 형성하면 축선보정의 효과가 더욱 극대화된다.
이와 같이 리드나사산(20)의 선단부기울기(b)를 후단부기울기(a)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축선보정 나사체결구(100)를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강하게 압력을 가하면서 암나사의 구멍에 대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면 리드나사산(20)은 상대방 암나사의 나사산 내경을 타고 넘어가서 결국에는 정상나사산(10)들이 상대방 암나사와 강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정상나사산(10)의 외경(D1), 리드나사산(20)의 외경(D2) 및 비나사원통부(30)의 외경(D3) 간에는, D1 > D2 > D3 의 부등호 관계가 성립한다. 한편 정상나사산(10)의 피치경을 Dp라고 한다면, D1 > Dp ≥ D2 > D3의 관계도 성립한다.
또한, 비나사원통부(30)의 외경(D3)은 상대방 암나사의 내경(산경)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나사원통부(30)는 상대방 암나사에 저항 없이 삽입되고 체결을 리드한다.
한편, 리드나사산(20)의 가장 선단측에 형성되는 리드나사(20)는 나사가 형성되지 않는 비나사원통부(30)에서 시작하여 약 90도 이하의 영역(1/4 나사 회전 영역)에서 점진적으로 외경을 증가하면서 리드나사산(20)은 완전히 성장한다. 리드나사산(20)의 가장 선단측에는 리드나사 성장시작부(21), 리드나사 성장천이부(22) 및 리드나사 성장완료부(23)를 순차적으로 가진다. 이와 같은 리드나사산(20)의 시작에서 리드나사산 성장완료는 약 90도 이내(1/4 회전)에서 완성된다.
이와 같은 리드나사산(20) 선단측의 리드나사 성장시작부(21), 리드나사 성장천이부(22) 및 리드나사 성장완료부(23)를 통칭하여 리드나사 성장부(24)라고 한다.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축선보정 나사체결구(100)를 선단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View “A" 에 따른 정면도)
본 발명 축선보정 나사체결구(100)의 첫 번째 동심원 내부는 나사의 선단부(1)에 해당한다. 두 번째 동심원은 비나사원통부(30)에 해당하고, 첫 번째 동심원 및 두 번째 동심원 사이는 선단 테이퍼부(40)에 해당한다.
세 번째 동심원은 리드나사산(20)에 해당하고 네 번째 동심원은 정상나사산(10)에 해당한다.
한편, 동심원의 4사분면에 있는 두 번째 동심원과 세 번째 동심원 사이의 비원형의 곡면은 리드나사 성장시작부(21), 리드나사 성장천이부(22) 및 리드나사 성장완료부(23)로 이루어지는 리드나사 성장부(24)를 표현한 것이다.
한편, 마찬가지로 동심원의 4사분면에 표시된 세 번째 동심원과 네 번째 동심원의 연결부위는 리드나사(20)가 정상나사(10)로 성장하는 연결부(26)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90도 보다 약간 지난 각도에서 리드나사(20)는 정상나사(10)로 성장 완료된다. 본 발명은 리드나사부(20)에서 정상나사부(10)로 성장할 때 나사의 회전각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90도 이내에서 혹은 60도 전후에서 정상나사로 성장 가능하다.
동심원의 4사분면에서 각각의 나사가 성장하는 것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임의의 사분면 혹은 위치에서 임의의 회전각도 이내에서 성장은 완료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축선보정 나사체결구(10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 시 리드나사부(20)의 선단기울기(b)가 40도로서 제1실시예의 선단기울기 45도 보다 약간 작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결국 리드나사부(20)의 외경은 제1실시예의 리드나사부(20)의 외경보다 약각 작아지고, 이는 더욱 쉽게 상대방 암나사부에 삽입되고 상대방 암나사의 내경을 타고 넘어 가는 것이 용이하다.
도 4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축선보정 나사체결구(10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비교 시 리드나사부(20)의 선단기울기(b)가 50도인 점에서 제1실시예(45도) 및 제2실시예(40도)와 상이하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 제3실시예는 결국 리드나사부(20)의 외경은 제1실시예 혹은 제2실시예보다 커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따른 축선보정 나사체결구(10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 제5실시예는 선단테이퍼부(40)의 형상이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1내지 제3실시예의 선단테이퍼부(40)는 적당한 라운드 처리가 된 테이퍼부이며, 제5실시예는 직선형 테이퍼부에 해당한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제3실시예는 피치가 4 내지 15밀리인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체결용 볼트에 적용하여 보았더니, 리드나사산의 선단기울기가 40 내지 50도의 경우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체결용 볼트에 있어서 선단기울기가 55도 이상인 경우 혹은 선단기울기가 35도 이하에서는 축선보정 기능 및 리드나사산의 외경관리에 있어서 부정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발명은 위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위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1 : 선단부
2 : 후단부
10 : 정상 나사산
20 : 리드 나사산
20a : 후단경사면
20b : 선단경사면
20c : 중앙만곡부
20p : 리드나사산 프로파일
21 : 리드나사 성장시작부
22 : 리드나사 성장천이부
23 : 리드나사 성장완료부
24 : 리드나사 성장부
26 : 연결부
30 : 비나사원통부
40 : 선단 테이퍼부
50 : 나사 머리부
60 : 나사기둥
D1 : 정상나사산 외경
D2 : 리드나사산 외경
D3 : 비나사원통부 외경
Dp : 정상나사산의 피치경
R : 중앙원호부의 곡률반경
Offset : 중앙원호부의 반경중심의 옵셋량

Claims (10)

  1. 축선보정 나사체결구에 있어서,
    선단부와 후단부를 가지는 나사기둥에 형성된 복수개의 정상나사산을 갖는 정상나사부; 및
    상기 나사기둥의 상기 선단부와 복수개의 상기 정상나사산 사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리드나사산을 갖는 리드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나사산은 일정각도의 후단부기울기를 가지는 후단경사면, 상기 후단부기울기보다 작은 선단부기울기를 가지는 선단경사면 및 상기 후단경사면 및 상기 선단경사면과 서로 접하는 완만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중앙만곡부를 포함하는 리드나사산 프로파일을 가지되,
    상기 선단부기울기는 40도 내지 50도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단기울기는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정상나사산의 경사기울기와 동일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리드나사부는 상기 정상나사산의 피치경보다 작거나 같은 상기 리드나사산 외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만곡부는 단일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만곡부의 곡률반경의 중심은 상기 후단경사면의 연장선과 상기 선단경사면의 연장선이 서로 만나는 지점보다 상기 선단부 쪽으로 옵셋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기둥의 적어도 하나의 리드나사산과 상기 선단부 사이에는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원통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나사원통부의 외경은 체결되는 상대방 암나사의 나사산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나사원통부와 상기 선단부 사이에는 선단테이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드나사산의 선단측에는, 상기 비나사원통부로부터 1/4 나사 회전 각도 이내에서 상기 리드나사산의 외경이 점진적으로 성장을 완료하는 리드나사성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테이퍼부는 라운드 또는 직선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10. 삭제
KR1020210084854A 2021-06-29 2021-06-29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Active KR102383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854A KR102383042B1 (ko) 2021-06-29 2021-06-29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PCT/KR2022/008732 WO2023277424A1 (ko) 2021-06-29 2022-06-20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854A KR102383042B1 (ko) 2021-06-29 2021-06-29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042B1 true KR102383042B1 (ko) 2022-04-08

Family

ID=8118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854A Active KR102383042B1 (ko) 2021-06-29 2021-06-29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3042B1 (ko)
WO (1) WO20232774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424A1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윤영테크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WO2024042143A1 (de) * 2022-08-24 2024-02-29 Ejot Se & Co. Kg Schraube für die direktverschraubung in ein bautei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6731A (en) 1987-05-20 1998-11-17 Mathread, Inc. Anti-cross threading fastener
KR20100055462A (ko) * 2007-08-13 2010-05-26 리써치 엔지니어링 앤 매뉴팩쳐링, 인크. 나사산 형성 패스너
JP2018189244A (ja) * 2018-08-02 2018-11-29 株式会社トープラ おねじ部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2430A (ja) * 1999-09-14 2001-03-27 Iwata Bolt Kk ボルト
US6561741B2 (en) * 2000-12-19 2003-05-13 Michael A. Garver Fastener with aligning lead thread
US9644663B2 (en) * 2015-03-27 2017-05-09 Mathread Inc. Anti-false threading fastener system
KR102383042B1 (ko) * 2021-06-29 2022-04-08 주식회사 윤영테크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6731A (en) 1987-05-20 1998-11-17 Mathread, Inc. Anti-cross threading fastener
KR20100055462A (ko) * 2007-08-13 2010-05-26 리써치 엔지니어링 앤 매뉴팩쳐링, 인크. 나사산 형성 패스너
JP2018189244A (ja) * 2018-08-02 2018-11-29 株式会社トープラ おねじ部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424A1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윤영테크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WO2024042143A1 (de) * 2022-08-24 2024-02-29 Ejot Se & Co. Kg Schraube für die direktverschraubung in ein baute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424A1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3042B1 (ko) 축선보정 나사체결구
US6796761B2 (en) Bolt and nut
US8632288B2 (en) Anti cross-thread bolt
JPH11351221A (ja) 斜行ねじ込み防止ネジ締結具
CN101208526A (zh) 螺栓
JP6676113B2 (ja) おねじ部材
JP2001082430A (ja) ボルト
JP6382744B2 (ja) おねじ部材
EP3808999B1 (en) Male threaded member
JP3048317B2 (ja) ボルト及びこのボルトとナットを用いた締結装置
JP3676630B2 (ja) ナット
EP0942181B1 (en) Anti-cross threading fastener
CA2462284C (en) Flexible threaded fastener
JP4875957B2 (ja) タッピンねじ
EP3988804B1 (en) Screw
US20190107142A1 (en) Nut
JP3737001B2 (ja) めねじ部材とおねじ部材との螺合ユニット
CN216691819U (zh) 一种防脱螺母及包含该螺母的连接组件
US20240003375A1 (en) Fastening device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same
CN208900509U (zh) 一种内胀式防松螺栓
JP6510110B1 (ja) おねじ部材
JP2007187305A (ja) タッピングねじ用下穴形状
KR20050028686A (ko) 볼트·너트
HK1125894A (en) Improved drive socket design for hold and drive fast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9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1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2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1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