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82964B1 -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 Google Patents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964B1
KR102382964B1 KR1020210114388A KR20210114388A KR102382964B1 KR 102382964 B1 KR102382964 B1 KR 102382964B1 KR 1020210114388 A KR1020210114388 A KR 1020210114388A KR 20210114388 A KR20210114388 A KR 20210114388A KR 102382964 B1 KR102382964 B1 KR 102382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iper
dropper
bulb
cosmetic liq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964B9 (ko
Inventor
김석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우코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우코,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우코
Priority to KR102021011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964B1/ko
Publication of KR10238296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964B9/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41Drop counters; Drop formers
    • B01L3/0272Dropper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는 스포이드이다.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화장액이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와이퍼와; 상기 와이퍼를 관통하는 스포이드 및 용기와 나사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진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는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벌브(bulb)와 벌브의 하부에 고정되며 용기에 저장된 화장액을 수용하는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퍼는 상기 관체가 원통체로 형성되며 용기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는 와이퍼몸체와, 상기 와이퍼몸체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는 날개부와, 와이퍼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밀착부로 이루어고,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돌출되며, 상기 와이퍼몸체에는 절개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벌브의 하부 둘레에는 'ㄴ'형태의 밀폐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돌출부의 하부면에는 환형 밀착돌기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홈은 'V'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서 하부 사선방향으로 절개된다.
또한, 상기 와이퍼몸체는 원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는 상기 와이퍼몸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체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내측 바닥 중앙부에는 잔류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체의 하단이 상기 잔류홈까지 연장된다.
이에 따르면, 화장액의 낭비를 막는 효과가 있고 특히 용기와 와이퍼를 분리 배출하여 용기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container with dropper}
본 발명은 화장액 등이 저장된 용기에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와 스포이드의 밀착부에 제조, 조립 공차를 최소화하고 이종재질의 용기에서 와이퍼의 분리가 간편하여 분리 배출이 용이하며 용기내의 잔량을 최소화하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그 물성과 사용방법 등의 다양한 이유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다양한 종류의 용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내용액이 고가인 고기능성 화장품의 경우 화장품 용기는 포장단위가 소량인 작으면서 용기와 마개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형상으로 제공되고 있다.
사용하는 방법은 마개를 분리하고 용기를 기울여 내용액을 손 또는 손가락에 묻혀 피부에 바르게 되어 있었으나이 경우 적절한 사용량의 조절이 어려우며 손에 묻어 낭비되는 양만큼 고가의 내용액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가의 화장품의 경우 스포이드(spuit) 방식으로 내용액을 추출하여 직접 피부에 바를 수 있도록 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 일예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21-0000817호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가 개발되었다. 이 종래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는 연결 어댑터를 통하여 화장품 용액의 충진과 밀폐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탄성 재질로 구비되는 펌핑부재를 통하여 소량의 고가 화장품 용액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뽑아 쓸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969857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에서 스포이드를 사용하여 액체용기를 정량 뽑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종래기술에서 스포이드의 인출시 스포이드관의 표면에 뭍은 액체(화장액등)를 닦아 내기 위한 연결어댑터, 와이퍼 등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러한 와이퍼는 화장용기와 이종재질로 형성되어 분리배출할 필요가 있으나 스포이드관과 마찰에도 이탈되지 않도록 화장용기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분리가 불가능하거나 분리에 많은 힘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용기의 재활용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의 밀폐력을 높여 누출을 방지하고, 용기에 잔류되는 화장액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와이퍼가 용기와 견고하고 고정됨은 물론 분리도 간편하여 폐기시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는;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화장액이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와이퍼와; 상기 와이퍼를 관통하는 스포이드 및 용기와 나사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진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는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벌브(bulb)와 벌브의 하부에 고정되며 용기에 저장된 화장액을 수용하는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퍼는 상기 관체가 원통체로 형성되며 용기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는 와이퍼몸체와, 상기 와이퍼몸체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는 날개부와, 와이퍼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밀착부로 이루어고,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돌출되며, 상기 와이퍼몸체에는 절개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벌브의 하부 둘레에는 'ㄴ'형태의 밀폐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돌출부의 하부면에는 환형 밀착돌기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홈은 'V'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서 하부 사선방향으로 절개된다.
또한, 상기 와이퍼몸체는 원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는 상기 와이퍼몸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체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내측 바닥 중앙부에는 잔류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체의 하단이 상기 잔류홈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액의 낭비를 막는 효과가 있고 특히 용기와 와이퍼를 분리 배출하여 용기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는 화장액 등이 용기(10)에 저장되고 이 용기의 상단에 화장액 등을 정량 빨아들이는 스포이드(100)가 형성된 종래 일반적인 구성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단에 개구부(11)가 형성되며 화장액이 저장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11)에 결합되는 와이퍼(200)와; 상기 와이퍼(200)를 관통하는 스포이드(100) 및 용기(10)와 나사결합되는 캡(110)으로 이루어진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100)는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벌브(bulb)(120)와 벌브(120)의 하부에 고정되며 용기(10)에 저장된 화장액을 수용하는 관체(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퍼(200)는 상기 관체(130)가 원통체로 형성되며 용기(10)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는 와이퍼몸체(210)와, 상기 와이퍼몸체(210)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는 날개부(220)와, 와이퍼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밀착부(230)로 이루어고, 상기 날개부(220)의 일측에는 손잡이(221)가 돌출되며, 상기 와이퍼몸체(210)에는 절개홈(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기(10)는 하부에 화장액이 저장되는 용기몸체(12)와, 용기몸체(12)의 상부에 용기몸체(12)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기 캡(110)이 결합되는 캡결합부(1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캡결합부(13)의 외주면과 캡(110)의 내주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된다.
물론, 상기 캡(110)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 벌브(120)의 상단이 돌출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포이드(100)는 일반적으로 연질의 고무재질의 벌브(120)를 손가락으로 눌러(가압)하고 원상복원되면서 내부 압력이 낮아져 관체(130)으로 화장액이 빨려 들어온다. 이때, 상기 벌브(120)의 하부는 캡(110)의 내측 상부외주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벌브(120)의 하부 둘레에는 'ㄴ'형태의 밀폐돌출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돌출부(121)의 상단은 캡(110)의 내측 상단에 밀착되어 용기(10)에 캡(110)의 나사결합시 캡(110)에 의해 수직부가 가압되어 벌브(120)와 와이퍼(200) 등의 제조 및 조립 공차를 최소화 하여 제품을 사용할 때나 사용 후 폐기시 화장액의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밀폐돌출부(121)의 하부면에는 환형 밀착돌기(122)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ㄴ'형태의 밀폐돌출부(121)의 수평부의 하부면에 대략 반원형태의 환형 밀착돌기(1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퍼(200)와 밀착됨으로써 밀폐력을 더욱 높여 화장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10)의 안착되는 와이퍼(200)의 날개부(220) 상단에 상기 밀폐돌출부(121)의 수평부가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절개홈(211)은 'V'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21)의 일측에서 하부 사선방향으로 절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와이퍼몸체(210)는 원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230)는 상기 와이퍼몸체(2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체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통공(23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개홈(211)은 상기 와이퍼몸체(210)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21)의 일측에서 와이퍼몸체(210)의 하부까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와이퍼(200)는 자체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10) 내측 상부에 결합시 상기 절개홈(211)은 밀착된 상태로 억지끼움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사용후 용기(10)의 상기 와이퍼(200)의 손잡이(221)를 손가락으로 용기(10)의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부로 들어올리게되면 손잡이(221)와 인접한 절개홈(211)의 상단이 'V'형태로 벌어지면 상부의 고정이 헐거워지고 와이퍼(200)가 인출됨과 동시에 절개홈(211)의 하부가 'V'형태로 연속적으로 벌어지면서 와이퍼(200)가 간편하게 인출된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유리재질로 형성되는 용기(10)와 폴리프로필렌(PP)재질의 와이퍼(200)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배출함으로써 용기(10)와 와이퍼(200)의 재활용율을 높이고 폐기물을 줄여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230)는 공지의 와이퍼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어 하단이 스포이드(100)의 관체(130) 외주면에 밀착되어 스포이드(100) 인출시 관체(130)의 외주면에 묻은 화장액을 긁어 외부로 배출되는 화장액을 최소화하고 밀착부(230)에 의해 긁혀진 화장액은 상기 통공(231)을 통해 다시 용기(10)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10)의 내측 바닥 중앙부에는 잔류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관체(130)의 하단이 상기 잔류홈(14)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스포이드(100)로 유입되지 않는 잔류 화장액은 폐기시 버려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화장액의 낭비를 방지하여 사용자가 보다 많은 양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용기 11: 개구부
12: 용기몸체 13: 캡결합부
14: 잔류홈 100: 스포이드
110: 캡 120: 벌브
121: 밀폐돌출부 122: 밀착돌기
130: 관체 200: 와이퍼
210: 와이퍼몸체 211: 절개홈
220: 날개부 221: 손잡이
230: 밀착부

Claims (6)

  1. 상단에 개구부(11)가 형성되며 화장액이 저장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11)에 결합되는 와이퍼(200)와; 상기 와이퍼(200)를 관통하는 스포이드(100) 및 용기(10)와 나사결합되는 캡(110)으로 이루어진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100)는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벌브(bulb)(120)와 벌브(120)의 하부에 고정되며 용기(10)에 저장된 화장액을 수용하는 관체(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퍼(200)는 상기 관체(130)가 원통체로 형성되며 용기(10)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는 와이퍼몸체(210)와, 상기 와이퍼몸체(210)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는 날개부(220)와, 와이퍼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밀착부(230)로 이루어고, 상기 날개부(220)의 일측에는 손잡이(221)가 돌출되며, 상기 와이퍼몸체(210)에는 절개홈(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120)의 하부 둘레에는 'ㄴ'형태의 밀폐돌출부(1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돌출부(121)의 하부면에는 환형 밀착돌기(12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211)은 'V'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21)의 일측에서 하부 사선방향으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몸체(210)는 원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230)는 상기 와이퍼몸체(2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체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통공(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내측 바닥 중앙부에는 잔류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관체(130)의 하단이 상기 잔류홈(14)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KR1020210114388A 2021-08-30 2021-08-30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Active KR102382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388A KR102382964B1 (ko) 2021-08-30 2021-08-30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388A KR102382964B1 (ko) 2021-08-30 2021-08-30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964B1 true KR102382964B1 (ko) 2022-04-08
KR102382964B9 KR102382964B9 (ko) 2022-06-16

Family

ID=8118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388A Active KR102382964B1 (ko) 2021-08-30 2021-08-30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106B1 (ko) * 2022-11-29 2023-06-21 주식회사 파우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166B1 (ko) * 2005-03-01 2011-02-28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통기식 마스카라 와이퍼
JP5979901B2 (ja) * 2012-02-15 2016-08-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液漏れ防止スポイドゴム
KR20170081788A (ko) * 2016-01-04 2017-07-13 (주)아모레퍼시픽 체크밸브가 구비된 역류방지 스포이드 용기
KR20200135235A (ko) * 2020-06-15 2020-12-02 김선태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166B1 (ko) * 2005-03-01 2011-02-28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통기식 마스카라 와이퍼
JP5979901B2 (ja) * 2012-02-15 2016-08-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液漏れ防止スポイドゴム
KR20170081788A (ko) * 2016-01-04 2017-07-13 (주)아모레퍼시픽 체크밸브가 구비된 역류방지 스포이드 용기
KR20200135235A (ko) * 2020-06-15 2020-12-02 김선태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106B1 (ko) * 2022-11-29 2023-06-21 주식회사 파우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964B9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446B1 (ko)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US5108007A (en) Valve controlled squeezable fluid dispenser
US5033647A (en) Value controlled squeezable fluid dispenser
EP1245499B1 (en) Closing structure of a dispensing container
AU713638B2 (en) One-piec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1266840A2 (en) A dispensing container
US9815599B2 (en) Dispensing closure
US7641078B2 (en) Device forming packaging for viscous products, which can be fully emptied by means of manual pumping
WO2012169489A1 (ja) 吐出容器
JP6345040B2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KR20190133662A (ko)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및 액체 재료 저류 용기
US11820561B2 (en) Contents container
US3232499A (en) Molded bottle caps with integral valve structure
KR102382964B1 (ko)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US2679337A (en) Combined closure and dispenser
US3445042A (en) Closure for a fluid dispensing container having a flexible slitted diaphragm
KR102373120B1 (ko) 분리배출 및 재활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조립체
JPH0939990A (ja) セルフシールキャップ
US10577168B1 (en) Self-sealing dispenser for squeezable container
GB2198418A (en) Cap for a flexible container
KR200495074Y1 (ko)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KR102546106B1 (ko)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KR200179855Y1 (ko) 용기의 마개
US12139307B2 (en) Container comprising a duckbill valve and a leak-resistant closure mechanism
JP2013095439A (ja) 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9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03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20610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206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