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80705B1 -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의 작동 방법 및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의 작동 방법 및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705B1
KR102380705B1 KR1020197002783A KR20197002783A KR102380705B1 KR 102380705 B1 KR102380705 B1 KR 102380705B1 KR 1020197002783 A KR1020197002783 A KR 1020197002783A KR 20197002783 A KR20197002783 A KR 20197002783A KR 102380705 B1 KR102380705 B1 KR 102380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valve
pressure
portable device
hydraulic
hydraulically oper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823A (ko
Inventor
에그베르트 프렌켄
Original Assignee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filed Critical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Publication of KR20190022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7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fittings into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5Hydraulic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105Portable riv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16Drives for riveting machine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B21J15/20Drives for riveting machine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operated by hydraulic or liq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6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fluid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27Hand tools for crimping fluid actuated hand crim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1), 예를 들어, 프레싱 디바이스 및/또는 구멍-펀칭 또는 펀칭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의 단순한 구조로 특히 크기 및/또는 재료의 면에서 상이한 공작물의 가공을 허용하고 취급을 단순화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의 작동 방법을 특정하기 위하여, 이동부(4)의 종료 위치로의 이동을 촉발하기 위해 복귀 밸브(8)에 작용하는 유압이 별도로 촉발 가능한 압력 증가에 의해 증가되어, 종료 위치로의 이동시 유압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복귀 밸브(8)의 밸브 시트의 상류에 위치된 유압 매체 체적에서, 복귀 밸브(8)의 개방이 초래되는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응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의 작동 방법 및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0001] 본 발명은 먼저 유압 작동식 휴대(handheld) 디바이스, 예를 들어, 프레싱 디바이스 및/또는 구멍-펀칭 또는 펀칭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 디바이스는 유압 펌프, 이동부, 고정부, 및 관련 밸브 시트를 갖는 복귀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유압 펌프의 도움으로 저장소로부터의 유압 매체로 유압 챔버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유압의 증강으로 인해 작동 위치로 이동되며, 그리고 상기 이동부는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에 도달할 때 상기 복귀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다시 작동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0002] 본 발명은 또한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예를 들어, 프레싱 디바이스 및/또는 구멍-펀칭 또는 펀칭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 디바이스는 유압 펌프, 이동부, 고정부, 및 관련 밸브 시트를 갖는 복귀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유압 펌프의 도움으로 저장소로부터의 유압 매체로 유압 챔버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유압의 증강으로 인해 작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이동부는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에 도달할 때 상기 복귀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다시 작동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0003] 이러한 유형의 방법들 및 휴대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DE 10 2008 028 957 A1, EP 0 944 937 B1(US 6 276 186 B1, US 6 401 515 B2) 및 WO 2014/108361 A1에 공지되어 있다.
[0004] 이러한 휴대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프레싱 디바이스로서, 바람직하게는 삽입된 케이블들을 갖는 케이블 러그(lug)를 압축 또는 크림핑하거나 관형 공작물을 압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유형의 휴대 디바이스들은 또한 특히 금속 부품들에 구멍-펀칭 또는 펀칭 공정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휴대 디바이스들은 또한 리벳팅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절단 디바이스들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0005] 프레싱 디바이스의 형태인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EP 0 944 937 B1(US 6 276 186 B1, US 6 401 515 B2)에 기술되어 있다. 이 휴대 디바이스는, 미리 정해진 유압에 도달할 때 개방 밸브 위치로 이동하고 이 위치로 유지되는 복귀 밸브를 포함한다. 이것은 이동부를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유압 매체의 역류로 이어진다. 이동부는 거기에 작용하는 각각의 압력 부족 또는 감소로 인해 원 위치 또는 종료 위치로 다시 이동한다. 복귀 밸브에 작용하는 유압은 복귀 밸브가 다시 한번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정도로 낮아진 상기 종료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이다.
[0006] 상기 인용된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의 단순한 디자인으로 특히 공작물의 크기 및/또는 재료와 관련하여 상이한 공작물의 취급을 단순화하고 공정을 허용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의 작동 방법 및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를 각각 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7] 제1 발명 사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이동부의 종료 위치로의 이동을 촉발하기 위해 복귀 밸브에 작용하는 유압이 별도로 촉발 가능한 압력 증가에 의해 증가되고, 이에 의해, 종료 위치로의 이동 동안 유압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복귀 밸브의 밸브 시트의 상류에 위치한 유압 매체 체적에서, 복귀 밸브의 개방이 초래되는 방법에 의해 잠재적으로 달성된다.
[0008] 따라서,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이동부의 종료 위치로의 이동을 촉발하기 위해 복귀 밸브에 작용하는 유압이 별도로 촉발 가능한 압력 증가에 의해 증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종료 위치로의 이동 동안 유압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복귀 밸브의 밸브 시트의 상류에 위치한 유압 매체 체적에서, 복귀 밸브의 개방이 초래되는 것이 제안된다.
[0009]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귀 밸브에 작용하는 유압이 각각 별도로 촉발 가능한 압력 감소에 의해 감소되거나 감소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종료 위치로의 이동 동안 유압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복귀 밸브의 밸브 시트의 상류에 위치한 유압 매체 체적에서, 복귀 밸브의 폐쇄가 초래되는 것이 제안된다.
[0010] 전술한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적인 구성은 개별적으로뿐만 아니라 서로와의 임의의 조합으로 본 발명에 본질적이며, 독립 청구항의 특징적인 구성은 다른 독립 청구항의 특징적인 구성 또는 다수의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적인 구성 뿐만 아니라, 단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독립 청구항들의 개별적인 특징적 구성과 조합될 수 있다.
[0011]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은 작동 공정에 의해 유압 매체에서 조정되는 유압이며, 그 압력에서 복귀 밸브는 그의 구성 상의 디자인으로 인해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복귀 밸브가 폐쇄되면, 이 유압은 이동부로부터 복귀 밸브의 폐쇄 표면까지 연장되는 유압 챔버에서 조정된다. 구성 상의 디자인은 바람직하게는, 밸브 피스톤의 부분적 피스톤 영역이 예를 들어, 폐쇄된 상태에서 규정된 힘으로 밸브 피스톤에 작용하는 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규정된 힘으로 밸브 시트에 안착된 폐쇄 상태에 있고, 이에 의해 전술한 폐쇄 표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이 경우에, 유압 매체가 밸브 시트를 통해 예를 들어, 유압 매체 저장소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부분적 피스톤 영역에 작용함으로써 밸브 시트로부터 복귀 밸브를 들어 올리기 위해 규정된 유압이 요구된다. 또한, 밸브 피스톤의 형태인 복귀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복귀 밸브가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 올려질 때, 즉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유압 매체가 작용하는 전체적인 피스톤 영역을 갖는 방식으로 실현된다. 전체적인 피스톤 영역과 부분적인 피스톤 영역 사이의 크기 비율로 인해, 부분적인 피스톤 영역에 대한 유압 매체의 비교적 매우 낮은 압력이 복귀 밸브의 개방 위치에서 복귀 밸브를 개방 위치로 유지하는데 충분할 수 있다. 전체적인 피스톤 영역을 형성하도록 부분적인 피스톤 영역을 보충하는 영역은 또한 복귀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유압 매체에 의해 작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전술한 폐쇄 표면에서 종료되고 이에 따라 종료 위치로의 이동 동안 유압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복귀 밸브의 상류에 위치되는 유압 챔버에 포함되는 유압 매체에 의해 작용되는 것이 아니지만, 오히려, 예를 들어, 별도의 유압 매체 체적에 의해 작용된다. 실제적인 실시에서, 예를 들어, 300 내지 600 bar, 특히 400 또는 500 bar의 부분적인 피스톤 영역에 대한 압력이 복귀 밸브를 밸브 면으로부터 들어 올리는데 필요할 수 있는 한편, 전체적인 피스톤 영역은 개방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단지 몇 bar, 예를 들어, 5 또는 4 bar 또는 그 미만의 압력, 예를 들어, 0.5 bar만큼 낮은 압력을 요한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전체적인 피스톤 영역에 작용하는 상기 압력은 예를 들어, 이동부에 작용하는 복귀 스프링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0012] 그와 같이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은 또한 예를 들어, 폐쇄 상태에서 밸브 피스톤에 작용하는 스프링 힘을 조정함으로써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프링은 추가로 압축되거나 이완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스프링에 작용하는 고정 나사(set screw)로 달성될 수 있다.
[0013] 구멍-펀칭 또는 펀칭 디바이스의 형태인 휴대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에서,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은 전형적으로 구멍-펀칭 또는 펀칭 공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압력보다 더 높게 선택된다. 이와 관련하여,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은 또한 복귀 밸브가 추가적인 조치없이 단지 압력 제어 밸브의 형태로 작동하도록 높게 조정될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예를 들어, 리벳팅 디바이스의 형태인 휴대 디바이스의 디자인에 적용된다. 대안적으로, 휴대 디바이스의 디자인은 또한, 특히 인용된 예시적인 변형에서, 추가적인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한 복귀 밸브가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으로 인해 촉발될 때 이동부가 미리 정해진 원 위치까지 다시 이동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0014]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복귀 밸브가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유압은, 휴대 디바이스로 수행되는 작동 공정과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구동 수단으로 복귀 밸브에 작용하는 유압 매체 체적에서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압력 증가는 복귀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복귀 밸브의 부분적인 피스톤 영역에 작용하는 유압 매체 체적에서 발생한다. 적용 가능하다면, 압력 효과는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할 수 있다. 압력 증가는 복귀 밸브가 그에 의해 개방 위치로 이동되도록 선택된다. 이 경우, 이동부에 작용하는 유압 매체에서의 압력은 전형적으로 이동부가 작동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에 아직 도달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복귀 밸브의 촉발 압력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이 이동부에 가해지기 전에 복귀 밸브가 유압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0015] 복귀 밸브는, 이동부에 실제로 작용하는 영구적으로 조정된 최대 작동 압력과 독립적으로 개방 위치로 유압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0016] 복귀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복귀 밸브의 구성 상의 디자인으로 인해 개방 위치로 복귀 밸브를 유지시키는데 요구되는 압력이 더 이상 도달되지 않을 정도로 복귀 밸브에 작용하는 규정된 유압이 떨어진 후에 단지 폐쇄된다.
[0017] 복귀 밸브는 변경 가능한 작동 압력에서, 즉 바람직하게는 복귀 밸브에 작용하는 대응 압력의 결과로서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과 비교하여 변경되는 미리 선택된 작동 압력에서 자동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0018] 작동 공정 동안에 ―단지― 도달되는 작동 압력은 또한 그에 의해 변경된 작동 압력의 형태로 또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상의 조정 휠 또는 버튼은, 사용자로 하여금 최대 허용 가능한 작동 압력, 즉 복귀 밸브가 바람직하게는 또한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전술한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보다 낮거나 또는 최대 작동 압력에 대응하는 변경된 작동 압력의 형태로 작동 압력을 미리 정할 수 있게 한다. 후자는, 예를 들어, 전술한 최대 작동 압력이 실제로 ―그러나 또한 배타적으로― 보다 더 정확하게 도달되어야 하는 경우, 합리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600 bar의 미리 정해진 또는 최대의 작동 압력에서, 50 내지 600 bar의 작동 압력을 연속적으로 또는 점차적으로 선택적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잠재적으로 조정된 작동 압력이 도달된 후 이동부의 종료 위치로의 자동 복귀 이동을 유지하면서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공작물의 공정에 압력을 각각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0019] 변경된 작동 압력의 조정은 휴대 디바이스 외부로부터, 예를 들어,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광학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0020] 압력 증가는 바람직하게는 단지 일시적으로 효과적이다. 시간의 측면에서, 압력 증가는 단지 몇 밀리초 동안, 예를 들어, 2 내지 5 ms의 기간 동안 효과적일 수 있다.
[0021] 압력 증가는 유압 매체의 유출 방향에 대해 밸브 시트의 상류에 배열된 라인 섹션으로 유압 매체를 도입함으로써 특히 실현된다. 이 라인 섹션은 한편으로는 복귀 밸브의 부분적인 피스톤 영역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동부의 피스톤 영역에 의해 규정된 복귀 밸브의 개방에 앞선다.
[0022] 유압 매체의 역류 방향으로 밸브 시트의 상류의 추가적인 압력 부하로 인하여, 복귀 밸브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초기 압력 증가는 본질적으로 단지 복귀 밸브의 부분적인 피스톤 영역에 작용한다. 따라서, 이동부가 압력 증가의 순간에 여전히 ―단지― 압력 증가를 개시하는 구동 수단의 "상류"(개방된 복귀 밸브를 통한 유압 매체의 유동 방향에 대해)의 유압을 겪기 때문에 또한 이 이동부로부터 본질적으로 분리되어 작용한다.
[0023] 복귀 밸브의 촉발 압력으로의 초기 압력 증가, 예를 들어, 600 bar는 바람직하게는 복귀 밸브의 피스톤을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 올리며, 그에 따라 유압 매체를 위한 역류 개방이 종래 기술에 따라 해제되고 복귀하는 유압 매체가 밸브 시트 영역, 즉 부분적인 피스톤 영역과 비교하여 확대된 복귀 밸브의 피스톤 영역에 작용하고, 이에 따라 또한 각각 감소된 압력 또는 감소되는 압력 하에 개방 위치로 복귀 밸브를 유지한다. 따라서, 촉발 압력에 도달하기 위한 압력 증가는 바람직하게는 단지 복귀 밸브의 피스톤을 밀봉 위치로부터 들어 올리는데 필요한 만큼만 길어야 하는 매우 한정된(초기로서 지칭됨) 시간의 기간 동안 단지 효과적이다.
[0024] 압력 증가는 유압 매체의 역류 방향으로 복귀 밸브의 상류 영역에서 라인 섹션을 차단 또는 제한(예를 들어, 단면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슬라이드 또는 밸브 팁(tip)과 같이 작용하는 변위 가능한 폐쇄 요소로 실현될 수 있다.
[0025] 촉발 가능한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는 차단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라인 섹션을 제한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제공된다. 차단 수단은 자석, 특히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고 바람직하게는 유동-통과(flow-through) 위치의 방향으로 스프링-로딩되는 폐쇄 수단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0026] 압력 증가를 실현하기 위해, 유압 매체가 차단 수단과 복귀 밸브 사이에서 발생되고 이하에서 제2 라인 섹션으로 지칭하는 라인 섹션의 부분으로 도입, 바람직하게는 펌핑된다.
[0027] 차단 수단이 개방될 때, 도입된 유압 매체는 이동부의 원하는 선형 변위를 야기한다. 대조적으로, 차단 위치에서, 이동부에 작용하는 유압 매체 체적은 바람직하게는 유압 매체로 계속 공급되는 제2 라인 영역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초래되는 압력 증가는 바람직하게는 복귀 밸브의 부분적인 피스톤 영역에 배타적으로 작용한다.
[0028] 차단 수단이 바람직한 자기 밸브의 형태로 실현된다면, 폐쇄 공정의 과정에 걸친 힘 진행은 바람직하게는 최고의 힘이 종료를 향해, 즉 폐쇄 직전에 도달하도록 선택된다.
[0029] 초기 압력 증가를 달성하기 위해, 라인 섹션은 갑자기 차단되거나 제한된다. 이것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예를 들어, 상응하게 구성된 레버 배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밸브의 전자기 변위, 예를 들어, 선형 변위 가능한 자기 밸브가 바람직하다.
[0030] 잠재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동부의 종료 위치로의 복귀 이동은 특히 의도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의 작동 준비 위치로의 신속한 재설정을 허용한다.
[0031] 복귀 이동이 정지됨에 따라, 유압 매체를 통해 복귀 밸브에 작용하는 압력은 또한 복귀 밸브를 개방 위치로 유지하는 압력 값 아래로 떨어진다. 따라서, 복귀 밸브는 자동으로 폐쇄 위치로 떨어진다.
[0032] 전술한 라인 섹션에서 예를 들어, 차단 수단의 차단 또는 적어도 제한 효과는 이동부의 복귀 이동을 정지시키고 차단 수단과 복귀 밸브 사이의 라인 섹션(제2 라인 섹션)의 영역에서의 압력 감소를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며, 여기서 상기 압력 감소는 복귀 밸브의 폐쇄 위치로의 변위로 이어진다.
[0033] 차단 수단이 예를 들어, 300 bar의 압력에서 촉발되면, 차단 수단과 이동부 사이의 (제1) 라인 섹션에서의 압력은 이 예에서 300 bar로 유지된다. 그러나, 차단 수단과 복귀 밸브 사이의 제2 라인 섹션에서의 압력은 사실상 갑작스러운 방식으로 복귀 밸브를 위한 촉발 압력, 예를 들어, 600 bar로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유압 매체가 이 라인 섹션에 추가로 도입(펑핑)된다. 이어서, 제2 라인 섹션에서의 압력은 다시 한번 떨어진다.
[0034] 압력 센서는 제2 라인 섹션에서의 압력 강하가 차단 수단을 다시 개방시키기에 충분히 높은 때를 검출하기 위해 제2 라인 섹션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또한 제1 라인 섹션에 배열되거나 또는 유압 매체에 직접 할당될 수 있다. 차단 수단이 구동될 때, 제2 라인 섹션에 배열된 압력 센서는 유압 챔버에서의 압력으로부터 상응하게 분리되고, 단지 제2 라인 섹션에서 ―잠시 및 대체로 현저히― 증가하는 압력을 측정한다. 차단 상태의 종료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의 경우이고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발생한다면, 제2 라인 섹션에서의 압력 센서 또한 불필요하다. 이 경우에, 유압 챔버에서의 압력의 진행은 제1 라인 섹션에서의 압력 센서로 연속적으로 추적될 수 있다.
[0035] 또한, 이동부의 복귀 이동이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 값에 따라 촉발되고, 그에 대응하여 복귀 밸브가 자동으로 개방되며, 복귀 밸브의 개방이 촉발되는 작동 압력이 전술한 방식으로 조정 가능하다는 것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0036] 이동부에 의해 공작물 등이 작용되게 하는 각각의 유압 또는 작동 압력의 조정 가능성으로 인해, 예를 들어, 공작물 상태에 대한 적응이 특히 사용자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연질이고 이에 따라 쉽게 변형 가능한 재료는 보다 경질의 재료보다 낮은 작동 압력 또는 유압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파라미터를 갖는 공작물이 단지 하나의 휴대 디바이스로 처리될 수 있다.
[0037] 조정 가능한 작동 압력은 유압 매체에서의 압력에서 벗어나는 작동 압력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데, 그 압력에서 복귀 밸브는 어쨌든 그 구성 상의 디자인으로 인해 자신의 개방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앞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복귀 밸브가 그 구성 상의 디자인으로 인해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상기 압력은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으로서 지칭된다. 그러나, 선택되고 조정된 작동 압력은 또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에 대응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은 선택된 작동 압력과 상관없이 변하지 않게 유지된다. 선택된 작동 압력은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보다 낮거나 그에 대응하는 한 문제가 되지 않는다.
[0038] 상이한 선택 가능한 작동 압력을 위한 조정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조정 디바이스는 조정 휠 또는 조정 슬라이드의 형태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수의 버튼들의 어셈블리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버튼은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에 할당된다. 버튼들의 어셈블리에는 또한 대응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적용 가능하다면, 선택 가능한 작동 압력의 조정은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비-기계적 인터페이스, 특히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및/또는 광학적 인터페이스에 의해 또한 실현될 수 있다.
[0039] 디스플레이와 관련하여, 실제로 선택된 작동 압력을 반영하는 정보를 보여주는 것이 또한 가능할 것이다.
[0040]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휴대 디바이스의 수동식 스위치에 작용하는 것을 정지하는 것과 동시에 이동부의 복귀 이동을 촉발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수동식 스위치는 작동 공정을 개시하고 (추가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구동, 특히 눌려져야 하는 스위치이다.
[0041]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서의 경우와 같이 스위치에 작용하는 것을 정지시킴으로써 이동부의 복귀 이동이 촉발된다면, 반복되는 구동으로 이동부의 복귀 이동을 종료시키는 것이 추가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특히 라인 섹션을 차단하기 위해 반복되는 구동시 라인 섹션을 (다시 한번) 차단하거나 제한함으로써, 예를 들어, 자기 밸브에 (다시 한번)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그 다음, 차단 영역과 복귀 밸브 사이의 제2 라인 섹션에서의 초래된 압력 강하는 복귀 밸브를 폐쇄시킨다.
[0042] 결과적으로, 이동부의 전방 이동의 종료뿐만 아니라, 원 위치 방향으로의 그의 복귀 이동은, 스위치에 작용하는 것을 정지시킴으로써, 특히 보통 누름 버튼의 형태로 실현되는 스위치를 해제함으로써 실현된다.
[0043] 복귀 이동은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에 도달할 때 개방되는 복귀 밸브를 전술한 수단들 중 하나에 의해 개방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실현될 수 있으며, 이는 차례로 이동부에 작용하는 유압 매체의 역류로 이어진다.
[0044] 한편, 복귀 밸브는 또한 예를 들어, 스위치의 구동 정지의 검출에 의존하여 기계적으로, 예를 들어, 전기 기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복귀 밸브는 그 복귀 밸브가 밸브 피스톤의 형태로 실현된다면, 예를 들어, 로드 어셈블리에 의해, 예를 들어, 대응하는 피스톤 로드에 의해 직접 작용된다.
[0045] 스위치의 구동은 대응하는 센서들로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드라이브의 모터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또한 가능한다. 이것은 특히 유압 펌프의 작동이 스위치의 구동에 직접적으로 의존하는 경우들에 적용된다. 대응 모터 전류의 중단은 스위치의 구동 정지로서 평가된다.
[0046] 복귀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0047] 복귀 밸브는 또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서의 경우와 같이 복귀 밸브에 작용하는 유압을 증가시킴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앞에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0048] 예를 들어, 대응하는 스위치 구동의 결과로서의 이동부의 복귀 이동, 특히 수동식 스위치의 구동의 정지는, 초기 공작물 접촉이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검출된 경우에만 발생한다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0049] 이것은 대응하는 접촉 센서 또는 근접 센서를 제공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펌프 드라이브의 모터 전류가 또한 모니터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유압 매체에서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의 신호가 평가될 수 있다.
[0050] 복귀 이동이 예를 들어, 프레싱, 절단 또는 펀칭 공정의 과정 동안에 어떤 이유들로, 예를 들어, 비상의 경우 발생해야 한다면, 단지 구동 스위치를 해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어서, 이동부는 정지해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복귀 이동을 수행한다.
[0051] 복귀 밸브는 또한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피스톤에 직접 연결된 피스톤 로드에 의해, 또는 유사한 로드 어셈블리에 의해 이동부의 복귀 이동을 촉발하기 위해 개방 위치로 변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피스톤 로드 또는 로드 어셈블리에 각각 서보 모터가 작용한다.
[0052] 다음 구동이 해제되기 전에 이동부의 완전한 복귀 이동이 초기에 발생해야 한다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와 관련하여 5 초 또는 10 초의 고정된 시간 기간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압력 센서는 또한 복귀 이동이 (완전히) 발생했는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0053] 이동부의 다시 종료 위치로의 이동을 촉발하기 위해 유압에 의해 복귀 밸브에 작용하기 위한 (추가적) 옵션은 에너지 효율적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디바이스는 전체적으로 복귀 밸브의 촉발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반드시 작동되어야 할 필요는 없지만, 일단 의도된 공정이 발생되면 복귀 이동이 오히려 의도적으로 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충전된 축압기(accumulator)를 갖춘 축압기-가동 휴대 디바이스는, 각각의 작동 공정 동안 항상 고정된 촉발 압력에 도달해야 하는 솔루션들보다 상당히 더 많은 공정 사이클을 수행할 수 있다.
[0054] 공지된 솔루션에서, 불활성화는 제공된 압력 센서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압력에서 항상 일어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원하는 압력이 230 bar인 경우, 대응하는 관성으로 인해 예를 들어, 300 bar의 압력이 여전히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압력에서, 예를 들어, 상기 230 bar에서의 불활성화는, 리벳의 과도한 압축이 재료에 따라 다르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펀치 리벳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하다. 복귀 밸브에 작용하는 짧은 압력 증가로 인해, 복귀 밸브 개방의 결과로서 이동부에서 빠른 압력 강하가 발생한다. 반응, 즉 복귀 밸브의 개방은 1 또는 몇 밀리초의 시간 범위 내에서 발생한다. 이 시간 범위는 몇 밀리초, 예를 들어, 2, 4 또는 5 밀리초 이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0055]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프레싱 디바이스의 형태인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는 휴대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1에 대응하지만 부분적으로 노출된 방식의 도면을 나타내고;
도 4는 도 3에서의 영역 IV의 확대된 상세도를 나타내고;
도 5는 휴대 디바이스의 이동부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 동안에 압력 임계값에 도달했을 때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을 나타내고;
도 6은 개방된 차단 수단 및 개방된 복귀 밸브를 갖는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을 나타내고;
도 7은 차단 수단을 폐쇄함으로써 원 위치로의 이동부의 복귀 이동을 정지시킨 후 도 6의 후속 도면을 나타내고;
도 8은 도 2에 대응하고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도면을 나타내고;
도 9는 도 4에 대응하는 제2 실시형태의 도면을 나타내고;
도 10은 도 5에 따른 도면의 형태로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도 11은 도 6에 따른 도 10의 후속 도면을 나타낸다.
[0056]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모터(2), 도시되지 않은 유압 펌프, 유압 매체 저장소(3) 및 유압 피스톤의 형태인 이동부(4)를 갖는 프레싱 디바이스 형태의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1)가 먼저 기술되어 있다.
[0057] 이동부(4)는, 유압 피스톤이 이동하는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예를 들어, 실린더에 의해 각각 형성된 고정부(5)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4)는 도 1에 도시된 공구 리셉터클(receptacle)을 형성한다. 그것은 또한 예를 들어, 유압 피스톤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 참조).
[0058] 특히 유압 매체 저장소(3), 복귀 밸브(8), 차단 수단(19), 조정 디바이스(27) 및 적용 가능하다면 다른 구성 요소들은 도면에 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디바이스 본체(K)에 수용된다.
[0059] 유압 챔버(6)는 유압 매체가 펌핑되는 공간을 포함한다. 이 공간은 유압 펌프의 압력 측에서 시작된다. 도 3에 따르면, 예를 들어, 유압 챔버(6)는 복귀 라인(7)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유압 매체가 복귀 밸브(8)를 통해 유압 매체 저장소(3)로 다시 유동할 수 있다.
[0060] 도 4 및 7에 따르면, 특히, 유압 챔버(6)는 휴대 디바이스(1)의 작동 상태에 따라 변한다. 도 4에 따른 도면에서, 이동부(4)는 도 3과 상이한 위치에 있다. 복귀 밸브(8)가 개방된 후(도 6), 유압 피스톤 또는 이동부(4)는 각각 그의 아이들(idle) 위치의 방향으로 다시 이동한다. 유압 챔버(6)는, 복귀 밸브가 개방될 때 밸브 시트를 통하는 통로 및 복귀 밸브(8)의 바로 상류의 공간뿐만 아니라, 유압 피스톤의 상류에 배열되는 공간을 포함한다.
[0061] 유압 펌프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이동부(4)를 작동 위치의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2)는, 바람직하게는 수동식 누름 버튼의 형태로 실현되는 스위치(9)에 의해 작동된다. 전기 모터(2)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스위칭/제어 전자장치를 위한 전력 공급은 디바이스의 도시되지 않은 축압기 또는 전기 라인에 의해 실현된다.
[0062] 폐쇄 밸브 위치에서, 복귀 밸브(8)는 압력 스프링(10)에 의해 밸브 시트 내로 프레싱된다. 밸브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나사(11)에 의해 휴대 디바이스(1)의 하우징 내로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인(screw-in) 부분(12)으로 구성된다.
[0063] 유동-통과 보어(flow-through bore, 13)가 밸브 시트에, 적용 가능하다면 스크류-인 부분(12)에 제공된다. 이 보어는 복귀 라인(7)에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0064] 밸브 시트에서의 유동-통과 보어(13)의 좁은 단면 및 압력 스프링(10)에 의해 생성된 프리스트레스(prestress)로 인해, 복귀 밸브(8)는 단지 규정된 촉발 압력이 초과될 때 개방된다. 이것은 먼저 언급된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에 관련된다. 이러한 촉발 압력은 예를 들어, 600 또는 700 bar에 놓여 있을 수 있다.
[0065] 복귀 밸브(8)가 개방된 후에, 유압 매체의 압력은 유동-통과 보어(13)의 단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즉 예를 들어, 밸브 니들(14)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적인 피스톤 영역에만 더 이상 적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압 챔버에 면하고 밸브 니들(14)을 포함하는 복귀 밸브(8)의 복귀 밸브 피스톤(15)의 전체 영역(하부 표면(17))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개방된 복귀 밸브(8)는 복귀 라인(7)에서의 매우 낮은 압력, 예를 들어, 2 내지 5 bar의 압력에 의해 개방 위치로 이미 유지되고 있다. 밸브 니들(14)은 이상적으로 지적된 방식으로 실현될 필요는 없다. 어쨌든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원추형으로 실현된다.
[0066] 이동부(4)의 복귀 이동 동안에, 이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이동부(4)에 작용하여 이동부(4)를 종료 위치로 프레싱하는 스프링에 의해 발생된다.
[0067] 압력은 유출 방향에서 유동-통과 보어(13)의 하류에서 다시 한번 현저히 낮아진다. 이동부의 복귀 이동의 시작에서, 특히, 이 압력은 단지 유동-통과 보어(13) 또는 밸브 시트의 상류 압력의 3/4 또는 그 미만, 즉 실용적인 적용에서 이 압력의 약 반에 달한다. 그러나, 그 다음, 이 압력 차이는 이동부의 복귀 이동이 시작된 후 곧 본질적으로 균등하게 되고 전형적으로는 단지 매우 작다.
[0068] 복귀 밸브(8)가 개방된 후, 유압 챔버는 유동-통과 보어(13)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복귀 밸브 피스톤(15)의 하부 표면(17)까지 연장되는 공간(26)을 포함한다. 그 다음, 유압 매체는 유출 개구(18)를 통해 저장소(3) 내로 유동한다. 공간(26)은 또한 상기 및 하기에서 밸브 챔버로도 지칭된다.
[0069] 부가적인 수단이 없다면, 특히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외부 개입이 없다면, 밸브 시트로부터 밸브 니들(14)을 들어 올리는 유압 또는 촉발 압력은 이동부(4)에 대한 전술한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에 대응한다.
[0070] 그러나, 복귀 밸브(8)를 들어 올리는데 필요한 유압을 이동부(4)에 가하지 않고 복귀 밸브(8)를 그 개방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한 옵션이 제공된다. 따라서, 휴대 디바이스(1)는, 과제, 예를 들어, 복귀 밸브(8)에 대한 촉발 압력보다 이동부(4)에 더 낮은 작동 압력을 필요로 하는 압축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0071] 이를 위해, 차단 수단(19)이 제공되어 복귀 밸브(8)의 상류에 배열된 유압 챔버에 할당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이 차단 수단(19)은 전기적으로 구동 가능한 자기 밸브의 형태로 실현된다.
[0072]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차단 수단(19)은 본질적으로 원추형 차단 표면을 갖는 선형적으로 변위 가능한 차단 피스톤(20) 및 전기적으로 구동 가능한 작동 자석(21)으로 구성된다.
[0073] 차단 수단(19), 특히 차단 피스톤(20)은 복귀 라인(7) 내로 돌출하도록 배열된다. 그의 차단 위치에서, 차단 피스톤(20)은, 유압 매체의 역류 방향에서 볼 때 작동부(4)와 차단 수단(19) 사이의 제1 라인 섹션(22) 및 차단 수단(19)과 복귀 밸브(8) 사이의 제2 라인 섹션으로 복귀 라인(7)을 나누기에 적합하다.
[0074]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차단 피스톤(20)은, 제1 및 제2 라인 섹션이 분리되는 그의 밸브 시트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프리스트레싱된다. 이를 위해, 대응하는 프리스트레스를 생성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압력 스프링의 형태인 복귀 스프링(24)이 제공될 수 있다.
[0075] 이동부(4)를 작동 위치의 방향으로 전방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유압 매체의 도입은 차단 수단(19)이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제2 라인 섹션(23)의 영역에서 발생한다. 이 위치에서 복귀 밸브(25)가 제공된다.
[0076] 휴대 디바이스(1)는 바람직하게는 조정 디바이스(27)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이동부(4)에 적용되는 최대 작동 압력이 사용자에 의해 예비-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버튼(28)이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버튼(28)에 미리 정해진 압력 값이 각각 할당된다. 따라서,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과 비교하여 변경되는 (또는 개별적인 경우들에서 또한 그에 대응하는) 전술한 선택된 작동 압력은 조정 디바이스로 조정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또한 먼저 언급된 무선 링크 등의 다른, 적용 가능하다면 대안적인 옵션을 참조한다.
[0077] 예를 들어, 복귀 밸브를 촉발시키기 위해 200 bar 또는 300 bar의 작동 압력이 미리 선택될 수 있다.
[0078] 이동부(4)가 작동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 동안에, 평가/제어 전자장치는 압력 센서(29, 29')에 의해 측정된 압력 값을 평가하고, 이들 압력 값을 버튼(28)에 의해 미리 정해진 공칭 압력 값과 비교한다. 압력 센서(29')는 분명히 유압 챔버(6)에 직접 할당된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압력 센서(29)는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또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라인(7) 및 적용 가능하다면 제2 라인 섹션(23)에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차단 피스톤(20)은 바람직하게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더 기술되는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개방 위치로 다시 이동하고, 압력 측정은 이 목적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는 않지만, 압력 센서(29)는 차단 피스톤(20)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유압 챔버(6)에서의 압력을 더 이상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임의의 경우에 유압 챔버(6)에 직접 할당되는 압력 센서(29)를 제공하는 것이, 특히 단지 이 압력 센서(29')만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79] 일단 공칭 압력 값에 도달하면, 대응하는 신호가 발생되고 차단 수단(19)의 작동 자석(21)의 활성화로 이어진다.
[0080] 작동 자석(21)의 활성화의 결과로서, 차단 피스톤(20)은 바람직하게 제공된 복귀 스프링(24)의 힘에 대항하여 도 5에 따른 전방 위치로 급격하게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단 피스톤(20)의 바람직하게는 원추형인 밀봉 표면이 밀봉 방식으로 제1 라인 섹션(22)의 대향 개구 에지(edge)에 대해 이동한다.
[0081] 후속적으로 저장소(3)로부터 제2 라인 섹션(23)으로 계속 펌핑되는 유압 매체는, 제1 라인 섹션(22)에서 지배적인 공칭 압력 값을 초과하는 대응 압력 증가로 이어진다. 본질적으로 단지 제2 라인 섹션(23)에 의해 형성되는 유압 매체를 위한 매우 작은 수용 체적으로 인해, 복귀 밸브(8)를 개방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한 촉발 압력은 특히 분수 단위의 초 내에, 예를 들어, 2 내지 5 ms 내에 도달된다(도 5 및 6 참조).
[0082] 차단 수단(19)의 작동 자석(21)은 복귀 밸브 피스톤(15)의 압력-유도된 변위 후에 개방 위치로 떨어진다. 차단 피스톤(20)은 특히 스프링-로딩된 방식으로 개방 위치로 변위되고, 이에 따라 유압 챔버(6)로부터 유압 매체 저장소(3)로의 유압 매체의 역류가 발생할 수 있도록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 올려지며, 여기서 복귀 밸브(8)는 이동부(4)가 도 3에 따른 종료 위치에 도달하고 그리고/또는 압력이 복귀 밸브(8)를 개방 유지하기 위한 압력보다 부족하게 떨어질 때까지 상승된 위치로 유지된다.
[0083] 차단 피스톤(20)의 개방 위치로의 변위는 상이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작동 자석(21)은 바람직하게는, 차단 피스톤(20)이 작동 자석(21)에 의해 여전히 작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복귀 밸브(8)가 개방된 후에 차단 피스톤(20)에 의해 발생되는, 유압 챔버(6)와 제2 라인 섹션(23) 사이의 압력 차이로 인해 개방 위치로 가압되는 그러한 낮은 힘으로 차단 피스톤(20)에 작용하도록 디자인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1 bar 또는 그 초과의 압력 차이로 이미 실현될 수 있다. 과도하게 긴 폐쇄 상태는 제2 라인 섹션(23)에서 유압 매체의 유출로 인해 복귀 밸브(8)가 폐쇄되는 압력보다 부족하게 떨어지는 압력으로 다시 한번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개방 위치로의 이러한 변위는 또한 바람직하고 요구된다. 작동 자석(21)의 구동은 시간-제어된다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수단, 이 경우 특히 차단 피스톤(20)의 폐쇄가 촉발될 때, 작동 자석(21)의 요구되는 구동은,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또한 수 밀리초 내지 수십 분의 1 초의 범위에 놓이는 미리 정해진 시간 기간 동안 지속된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의 경우와 같이 차단 피스톤(20)에 작용하는 전술한 힘이 상응하게 낮게 조정된다면, 차단 피스톤은 그것이 구동 자석에 의해 여전히 작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전술한 압력 차이로 인해 이미 개방 위치로 다시 이동될 수 있다. 차단 피스톤에 작용하는 개방 력은 당연히 또한 차단 피스톤이 제1 라인 섹션(22)으로부터 제2 라인 섹션(23)으로의 전이에서 차단하는 영역에 좌우된다. 따라서, 이것은 또한 전술한 개방이 바람직하게는 작동 자석의 구동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발생하도록 선택된다.
[0084] 차단 수단(19)의 도움으로 복귀 라인(7)을 차단함으로써 실현되는 복귀 밸브(8)상의 압력 증가는 초기에 작용할 수 있다. 복귀 밸브(8)가 상승되고 차단 수단(19)이 이어서 개방 밸브 위치로 변위됨에 따라, 이동부(4)의 복귀 이동으로 인해 우세한 압력이 복귀 밸브(8)에 작용한다.
[0085] 차단 수단(19)은 초기에 또한, 차단 피스톤(20)이 완전한 전진 스트로크 후에, 사실상 급격한 방식으로 도 5에 따른 연장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펄스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 규칙적인 작동 사이클 동안에, 즉 이동부의 복귀 이동이 조기에 종료되어서는 안되는 경우, 차단 피스톤(20)은 상승된 위치에 유지되고, 여기서 차단 피스톤은 각각 복귀 라인(7)을 해제하고 라인 섹션(22, 23)을 연결한다.
[0086] 복귀 라인은 폐쇄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제1 및 제2 라인 섹션(22, 23)은 조기에, 즉 이동부의 복귀 이동이 완료되기 전에 차단 수단(20)에 전기적으로 작용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것은 유동 방향에서의 복귀 밸브(8)의 상류에서 및 이에 따라, 제2 라인 섹션(23)에서 그러한 압력 강하로 이어지며, 이로써 복귀 밸브(8)가 원하는 방식으로 폐쇄된다.
[0087] 이동부(4)의 작동 위치로의 전방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단지 사용자가 스위치(9)를 구동시키는 한 계속된다. 실시형태에서, 신호는 스위치(9)가 해제될 때 (또한 작동 공정의 완료 이전에) 발생되어, 차단 수단(19)의 활성화를 유도하며, 이에 따라 역류 방향으로 복귀 밸브(8)의 상류의 제2 라인 섹션(23)에서의 압력 증가를 유도한다. 따라서, 복귀 밸브(8)는 스위치(9)가 해제될 때 개방 위치로 변위되고, 이는 결국 이동부(4)의 종료 위치로의 자동적 복귀 이동을 유도한다.
[0088] 펌프 피스톤과 같은 펌프 구성요소에 작용하는 관성력만으로 충분할 수 있을지라도 이러한 결과를 신뢰성 있게 달성하기 위해, 스위치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동일한 시간에 펌프의 정지를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펌프 또는 펌프에 작용하는 모터가 오히려 지연되게 비활성화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지연은 필요한 압력 증가가 달성될 수 있도록, 즉 수 밀리초 내지 수십분의 1 초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0089] 차단 피스톤(20)은 복귀 밸브(8)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피스톤(20) 및 복귀 밸브(8)의 종축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0090] 도 8 내지 11은 휴대 디바이스(1)의 제2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그 기능과 관련하여, 이 실시형태는 전술한 제1 예시적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실현된다.
[0091] 이 경우, 휴대 디바이스(1)는, 복귀 라인(7)을 유압 매체 저장소(3)에 연결하기 위해, 촉발 압력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복귀 밸브(8)를 또한 포함한다.
[0092] 또한, 이 경우에 유압 매체의 역류 방향으로 복귀 밸브(8)의 상류에 위치된 유압 매체 체적에 작용하기 위한 전자기적으로 구동 가능한 차단 수단(19)이 또한 제공된다.
[0093] 차단 수단(19)은 전술한 예시적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기능하고 작용한다.
[0094] 복귀 밸브(8)는, 특히 복귀 밸브(8)의 촉발, 및 복귀 밸브(7)를 저장소(3)의 유출 개구(18)에 연결하는 위치로의 복귀 밸브 피스톤(15)의 관련된 리프팅과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또한 전술한 예시적 실시형태에서와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0095]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저장소(3)로의 역류 경로를 해제하기 위해, 복귀 밸브 피스톤(15)이 밸브 시트로부터 변위되는 상승된 복귀 밸브 위치를 잠그는 것이 가능하다. 이 목적을 위해, 복귀 밸브 피스톤(15)은 밸브 니들(14)을 포함하는 단부 반대쪽의 원주 웨이스트형 수축부(circumferential waist-like constriction)(26)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방향으로 스프링-로딩되는 잠금 핑거(30)는, 도 10 및 11에 따른 복귀 밸브 피스톤의 상승된 위치에서 이와 같이 형성된 맞물림 영역 내에 맞물린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잠금 핑거(30)는 복귀 밸브 피스톤(15)의 길이 방향 및 변위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작용한다.
[0096] 잠금 핑거(30)는 선형적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하우징 섹션(31)에 장착된다. 이 하우징 섹션(31)에서, 압력 스프링(32)은, 특히 입력 스프링(32)이, 잠금 핑거(30)를 복귀 밸브 피스톤(15)의 방향으로 프레싱하도록 잠금 핑거(30)에 작용한다.
[0097] 하우징 섹션(31) 너머로 자유롭게 돌출하는 구동 섹션(33)은, 복귀 밸브 피스톤(15)과 협동하는 그 단부의 반대쪽의 잠금 핑거(30) 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구동 섹션은, 압력 스프링(32)의 효과에 대항하여 당김(pulling) 이동의 결과로서 잠금 핑거(30)를 뒤로 이동시켜, 그에 의해 복귀 스프링 피스톤(15)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압력 스프링(10)의 효과로 인해, 복귀 밸브 피스톤은 역류 경로가 차단되는 밸브 시트 위치로 다시 떨어진다.
[0098] 이 실시형태에서, 복귀 밸브 피스톤(15)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일단 전체적인 피스톤 영역에 작용하는 유압이 밸브 시트 위치로의 피스톤의 이러한 변위를 허용하는 수준으로 떨어질때만 밸브 시트 위치로 다시 떨어질 수 있다. 이것은 이동부(4)의 원 위치로의 복귀 이동의 완료 시에 실현되거나 또는 이동부(4)의 복귀 이동의 과정 동안에 차단 수단(19)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실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동부(4)의 복귀 이동이 복귀 라인(7) 차단의 결과로서 완료되지 않은 경우, 후자의 경우에, 복귀 밸브 피스톤(15)의 다시 밸브 시트 위치로의 변위를 허용하는 압력 감소는 또한 제2 라인 섹션(23)에서 조정된다.
[0099] 이상의 설명들은 이 출원에 포함된 모든 발명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며, 적어도 다음의 특징들의 조합들에 의해 각각 종래 기술을 독립적으로 향상시킨다. 즉:
[00100] 이동부(4)의 종료 위치로의 이동을 촉발하기 위해 복귀 밸브(8)에 작용하는 유압이 별도로 촉발 가능한 압력 증가에 의해 증가되고, 이에 의해, 종료 위치로의 이동 동안에 유압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복귀 밸브(8)의 상류에 위치된 유압 매체 체적에서, 복귀 밸브(8)의 개방이 초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00101] 복귀 밸브(8)에 작용하는 유압이 별도로 촉발 가능한 압력 감소에 의해 감소되고, 이에 의해, 종료 위치로의 이동 동안에 유압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복귀 밸브(8)의 상류에 위치된 유압 매체 체적에서, 복귀 밸브(8)의 폐쇄가 초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00102] 압력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전술한 유동 방향으로 복귀 밸브(8)의 상류의 라인 섹션이 차단 또는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00103] 전술한 유동 방향으로 복귀 밸브(8)의 상류의 라인 섹션이 차단 또는 제한되고, 압력 증가를 달성하기 위해, 유압 매체가 이와 같이 차단 또는 제한된 라인 섹션으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00104] 유압 펌프가 유압 매체를 제2 라인 섹션(23)으로 전달하고, 제2 라인 섹션을 통해 복귀 밸브(8)의 개방 상태에서 유동하는 유압 매체가 또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00105] 압력 증가를 달성하기 위해 제2 라인 섹션(23)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00106] 이동부(4)의 종료 위치로의 이동을 촉발하기 위해 복귀 밸브(8)에 작용하는 유압이 별도로 촉발 가능한 압력 증가에 의해 증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종료 위치로의 이동 동안에 유압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복귀 밸브(8)의 상류에 위치된 유압 매체 체적에서, 복귀 밸브(8)의 개방이 초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디바이스.
[00107] 복귀 밸브(8)에 작용하는 유압이 별도로 촉발 가능한 압력 감소에 의해 감소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종료 위치로의 이동 동안에 유압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복귀 밸브(8)의 상류에 위치된 유압 매체 체적에서, 복귀 밸브(8)의 폐쇄가 초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디바이스.
[00108] 압력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전술한 유동 방향으로 복귀 밸브(8)의 상류의 라인 섹션이 차단 또는 제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디바이스.
[00109] 전술한 유동 방향으로 복귀 밸브(8)의 상류의 라인 섹션이 차단 또는 제한될 수 있고, 압력 증가를 달성하기 위해, 유압 매체가 이와 같이 차단 또는 제한된 라인 섹션으로 도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디바이스.
[00110] 유압 펌프가 유압 매체를 제2 라인 섹션(23)으로 전달하고, 제2 라인 섹션을 통해 복귀 밸브(8)의 개방 상태에서 유동하는 유압 매체가 또한 유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디바이스.
[00111] 압력 증가를 달성하기 위해 제2 라인 섹션(23)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디바이스.
[00112] 차단 수단(19)이 개방 위치에서 프리스트레싱되는(prestress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디바이스.
[00113] 차단 수단(19)이 자석-구동식 폐쇄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디바이스.
[00114] 모든 개시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그러나 또한 서로 조합되어) 본 발명에 필수적이다. 관련/첨부된 우선권 서류들(우선권 출원의 사본)의 개시 내용은 본 출원의 개시 내용에, 즉 또한 이들 문헌들의 특징들을 본 출원의 청구항에 통합할 목적으로 완전히 포함된다. 종속 청구항의 특징적인 구성들은, 특히 이들 청구항들에 기초하여 분할 출원들을 제출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독립적인 발명적 개선을 특징으로 한다.
1: 휴대 디바이스
2: 전기 모터
3: 유압 매체 저장소
4: 이동부
5: 고정부
6: 유압 챔버
7: 복귀 라인
8: 복귀 밸브
9: 스위치
10: 압력 스프링
11: 나사
12: 스크류-인 부분
13: 유동-통과 보어
14: 밸브 니들
15: 복귀 밸브 피스톤
16: 스프링
17: 하부 표면
18: 유출 개구
19: 차단 수단
20: 차단 피스톤
21: 작동 자석
22: 제1 라인 섹션
23: 제2 라인 섹션
24: 복귀 스프링
25: 복귀 밸브
26: 수축부
27: 조정 디바이스
28: 버튼
29: 압력 센서
29': 압력 센서
30: 잠금 핑거
31: 하우징 섹션
32: 압력 스프링
33: 구동 섹션
K: 디바이스 본체

Claims (16)

  1.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hydraulically operated handheld device)(1)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디바이스(1)는 유압 펌프, 이동부(4), 고정부(5), 및 관련 밸브 시트를 갖는 복귀 밸브(8)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4)는 유압 펌프의 도움으로 저장소(3)로부터의 유압 매체로 유압 챔버(6)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유압의 증강으로 인해 작동 위치로 이동되며, 그리고 상기 이동부(4)는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에 도달할 때 상기 복귀 밸브(8)를 개방함으로써 다시 작동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4)의 상기 종료 위치로의 이동을 촉발하기 위해 상기 복귀 밸브(8)에 작용하는 상기 유압은 별도로 촉발 가능한 압력 증가에 의해 증가되고, 이에 의해, 상기 종료 위치로의 상기 이동 동안에 상기 유압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귀 밸브(8)의 상류에 위치된 유압 매체 체적에서, 상기 복귀 밸브(8)의 개방이 초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밸브(8)에 작용하는 상기 유압이 별도로 촉발 가능한 압력 감소에 의해 감소되고, 이에 의해, 상기 종료 위치로의 상기 이동 동안에 상기 유압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귀 밸브(8)의 상류에 위치된 유압 매체 체적에서, 복귀 밸브(8)의 폐쇄가 초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압력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귀 밸브(8)의 상류의 라인 섹션이 차단 또는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방법.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귀 밸브(8)의 상류의 라인 섹션이 차단 또는 제한되고, 압력 증가를 달성하기 위해, 유압 매체가 이와 같이 차단 또는 제한된 라인 섹션으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방법.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펌프가 상기 유압 매체를 제2 라인 섹션(23)으로 전달하고, 이를 통해 상기 복귀 밸브(8)의 개방 상태에서 유동하는 상기 유압 매체가 또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압력 증가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라인 섹션(23)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방법.
  7.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1)로서,
    상기 휴대 디바이스(1)는 유압 펌프, 이동부(4), 고정부(5), 및 관련 밸브 시트를 갖는 복귀 밸브(8)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4)는 유압 펌프의 도움으로 저장소(3)로부터의 유압 매체로 유압 챔버(6)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유압의 증강으로 인해 작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이동부(4)는 미리 정해진 작동 압력에 도달할 때 상기 복귀 밸브(8)를 개방함으로써 다시 작동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4)의 종료 위치로의 이동을 촉발하기 위해 상기 복귀 밸브(8)에 작용하는 유압이 별도로 촉발 가능한 압력 증가에 의해 증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종료 위치로의 상기 이동 동안에 상기 유압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귀 밸브(8)의 상류에 위치된 유압 매체 체적에서, 상기 복귀 밸브(8)의 개방이 초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밸브(8)에 작용하는 상기 유압이 별도로 촉발 가능한 압력 감소에 의해 감소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종료 위치로의 상기 이동 동안에 유압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귀 밸브(8)의 상류에 위치된 유압 매체 체적에서, 상기 복귀 밸브(8)의 폐쇄가 초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9. 제7 항에 있어서,
    압력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귀 밸브(8)의 상류의 라인 섹션이 차단 수단(19)에 의해 차단 또는 제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10. 제7 항에 있어서,
    압력 증가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귀 밸브(8)의 상류의 라인 섹션이 차단 수단(19)에 의해 차단 또는 제한될 수 있고 유압 매체가 이와 같이 차단 또는 제한된 라인 섹션으로 도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11. 제7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펌프가 상기 유압 매체를 제2 라인 섹션(23)으로 전달하고, 이를 통해 상기 복귀 밸브(8)의 개방 상태에서 유동하는 유압 매체가 또한 유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압력 증가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라인 섹션(23)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13. 제9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수단(19)이 개방 위치로 프리스트레싱되는(prestress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14. 제9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수단(19)이 자석-구동식 폐쇄 수단(magnet-actuated closing means)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1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프레싱 디바이스(pressing device) 또는 펀칭 디바이스(punching device)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인,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방법.
  16.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1)는, 프레싱 디바이스 또는 펀칭 디바이스인,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KR1020197002783A 2016-06-29 2017-06-08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의 작동 방법 및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Active KR102380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1874.5 2016-06-29
DE102016111874.5A DE102016111874A1 (de) 2016-06-29 2016-06-29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draulisch betriebenen Handgerätes sowie hydraulisch betriebenes Handgerät
PCT/EP2017/063895 WO2018001691A1 (de) 2016-06-29 2017-06-08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draulisch betriebenen handgerätes sowie hydraulisch betriebenes hand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823A KR20190022823A (ko) 2019-03-06
KR102380705B1 true KR102380705B1 (ko) 2022-03-29

Family

ID=5907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783A Active KR102380705B1 (ko) 2016-06-29 2017-06-08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의 작동 방법 및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12990B2 (ko)
EP (1) EP3478452B1 (ko)
KR (1) KR102380705B1 (ko)
CN (1) CN109562508B (ko)
AU (1) AU2017290411B2 (ko)
DE (1) DE102016111874A1 (ko)
WO (1) WO2018001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2481A1 (de) 2016-10-07 2018-04-12 Gustav Klauk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torisch betätigten Hand-Verpressgerätes
KR101966010B1 (ko) * 2018-07-10 2019-04-04 도규태 케이블트레이용 충전식 유압펀칭기
FR3084269B1 (fr) * 2018-07-25 2020-10-23 Airbus Operations Sas Outil portatif avec une tete demontable
NL2021527B1 (en) * 2018-08-30 2020-04-24 Holmatro B V Tool having a pump and a motor on a common axis
WO2022200543A1 (de) * 2021-03-25 2022-09-29 Gustav Klauke Gmbh Werkzeugkopf für ein werkzeug
USD1042068S1 (en) * 2021-05-19 2024-09-17 Gustav Klauke Gmbh Hydraulic press tool
CN113858332B (zh) * 2021-10-22 2024-01-26 广东喜珍电路科技有限公司 一种成型大排版尺寸pcb自动上销钉的方法
WO2023237777A1 (en) 2022-06-10 2023-12-14 Gustav Klauke Gmbh Method for operating a motor-actuated tool and motor-actuated tool
TWI820886B (zh) * 2022-08-31 2023-11-01 科頡工業股份有限公司 活塞泵自動回油結構
WO2024112516A1 (en) * 2022-11-23 2024-05-30 Hubbell Incorporated Member for adjusting force application in reciprocating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451B1 (ko) * 2006-06-08 2014-12-05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유압 프레싱 유닛의 작동 방법, 그리고 유압 펌프를 갖춘 유압 프레싱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29879B1 (ko) 1971-03-18 1974-10-11 Viron Michel
DE3710863C2 (de) * 1987-04-01 1995-12-14 Bosch Gmbh Robert Hydraulisches, entsperrbares Rückschlagventil
US5727417A (en) 1995-09-22 1998-03-17 Greenlee Textron Inc. Portable battery powered crimper
DK0944937T3 (da) 1997-10-15 2002-07-22 Klauke Gmbh Gustav Hydraulisk presseindretning
DE20106511U1 (de) 2001-04-14 2001-08-02 FESTO AG & Co., 73734 Esslingen Ventileinheit mit entsperrbarem Rückschlagventil und damit ausgestatteter fluidbetätigter Antrieb
DE20120204U1 (de) 2001-12-13 2003-04-17 Gustav Klauke GmbH, 42855 Remscheid Hydraulisches Verpressgerät
US6990888B2 (en) 2003-07-25 2006-01-31 Greenlee Textron Inc. Mechanism for switching between closed and open center hydraulic systems
US7032296B2 (en) 2003-11-21 2006-04-25 Newfrey Llc Self-piercing fastening system
KR20050081058A (ko) 2004-02-12 2005-08-18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릴리프 밸브
US20050235730A1 (en) 2004-04-26 2005-10-27 Brailovskiy Aleksandr M Closed circuit hydraulic compression device with stroke-consistent pump intake
US7383709B2 (en) 2005-08-04 2008-06-10 Custom Machining Services, Inc. System and process for crimping a fitting to a fluid conduit
JP5090018B2 (ja) * 2007-03-06 2012-12-05 株式会社マキタ ねじ打ち込み機
PL2722133T3 (pl) 2007-05-16 2018-07-31 Gustav Klauke Gmbh Sposób używania ręcznego urządzenia prasującego z napędem silnikowym oraz ręczne urządzenie z napędem silnikowym
WO2009138075A1 (de) * 2008-05-14 2009-11-19 Robert Bosch Gmbh Hydraulische bremsanlage
DE102008028957A1 (de) 2008-06-18 2009-12-24 Gustav Klauk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draulischen Verpressgerätes und hydraulisches Verpressgerät
US8375984B2 (en) 2009-04-24 2013-02-19 Alcoa Inc. Multiple preset indexing pressure relief valve
DE102009026273A1 (de) * 2009-07-02 2011-01-05 Gustav Klauke Gmbh Hydraulisches Pressgerät
DE202009015515U1 (de) 2009-11-17 2011-04-07 Novopress Gmbh Pressen Und Presswerkzeuge & Co. Kommanditgesellschaft Handgeführtes Pressgerät
DE102010049946B4 (de) 2010-10-28 2013-04-18 Novopress Gmbh Pressen Und Presswerkzeuge & Co. Kg Hydraulik-Presswerkzeug sowie Verfahren zum Steuern eines Hydraulik-Presswerkzeugs
DE102012001562A1 (de) * 2012-01-27 2013-08-01 Robert Bosch Gmbh Ventilanordnung für eine mobile Arbeitsmaschine
DE102013100183A1 (de) 2013-01-09 2014-07-10 Gustav Klauke Gmbh Hydraulisch betätigbare Pressvorrichtung,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r Verpress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 leitfähigen Pressverbindung, elektrisch leitfähig verpresste Presshülse, Verfahren zum Klemmen eines Werkstücks und hydraulische Vorrichtung
CN105350127B (zh) * 2015-09-08 2017-09-01 河南二纺机股份有限公司 带背压保持、迷宫挂花滤油、多逻辑控制无绳锭子清洗加油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451B1 (ko) * 2006-06-08 2014-12-05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유압 프레싱 유닛의 작동 방법, 그리고 유압 펌프를 갖춘 유압 프레싱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62508A (zh) 2019-04-02
AU2017290411B2 (en) 2022-07-07
US11612990B2 (en) 2023-03-28
EP3478452B1 (de) 2020-07-29
EP3478452A1 (de) 2019-05-08
AU2017290411A1 (en) 2019-01-17
CN109562508B (zh) 2021-03-16
DE102016111874A1 (de) 2018-01-04
KR20190022823A (ko) 2019-03-06
US20200147772A1 (en) 2020-05-14
WO2018001691A1 (de)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705B1 (ko)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의 작동 방법 및 유압 작동식 휴대 디바이스
US1068864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hydraulically operated hand-held device and hydraulically operated hand-held device
US10471578B2 (en) Hydrodynamic compression or cutting tool
KR101467828B1 (ko) 모터 작동식 휴대용 프레싱 유닛 및 그 작동 방법
CN108883523B (zh) 运行工作设备的方法和工作设备
US9016317B2 (en) Multi-operational valve
US10012575B2 (en) Specimen holder with actuation unit
CN111225769B (zh) 具有安全调节元件的气动钉枪
EP3578304A1 (en) Pneumatic tool
US4844114A (en) Pressure-drop sensor valve
AU2017286166B2 (en) Pneumatic nailer having individual triggering and contact triggering
US2980064A (en) Control units for hydraulic rams
WO202323777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actuated tool and motor-actuated tool
JPH08210316A (ja) 流体アクチュエータ作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5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