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597B1 - Boiler - Google Patents
Boi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8597B1 KR102378597B1 KR1020210006002A KR20210006002A KR102378597B1 KR 102378597 B1 KR102378597 B1 KR 102378597B1 KR 1020210006002 A KR1020210006002 A KR 1020210006002A KR 20210006002 A KR20210006002 A KR 20210006002A KR 102378597 B1 KR102378597 B1 KR 1023785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eating tube
- inlet
- heating
- heat sour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6—Portable or mobile, e.g. collapsi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4—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the water under high pressure
- F24D3/06—Arrangements or devices for maintaining high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 활동 시 열원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난방을 유지하기 위한 침낭 등의 장비로 공급할 수 있는 무동력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입수관으로 들어온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가열에 의해 상승된 온수를 내보내도록 연결된 출수관을 갖는 가열관; 상기 가열관으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열원; 상기 열원으로 가열된 상기 가열관 내의 온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제1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류의 이동에 따라 가열관의 상부로 상승된 온수를 출수관을 통해 출수하여 야외 활동 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침낭 또는 매트리스 등의 장비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wered boiler capable of supplying hot water heated by a heat source during outdoor activities to equipment such as a sleeping bag for maintaining heating without using power.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that has entered the inlet pipe; a heating tube having an inlet formed to introduc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an outlet pipe flowing into the inlet and connected to discharge hot water raised by heating;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tube; It is a technical idea to include a; a first check valve that controls so that the hot water in the heating tube heated by the heat source does not flow back through the inle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upplying the hot water raised to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tub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convection through the water outlet pipe and supplying it to equipment such as a sleeping bag or mattress without using power during outdoor activities.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동력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 활동 시 열원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난방을 유지하기 위한 침낭, 매트리스 등의 장비로 공급할 수 있는 무동력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wered boi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powered boiler capable of supplying hot water heated by a heat source during outdoor activities to equipment such as a sleeping bag or mattress for maintaining heating without using power.
주지된 바와 같이, 보일러는 물을 가열하여 고온·고압의 증기나 온수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이러한 보일러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보일러와 온수를 만드는 온수 보일러로 대별된다.As is well known, a boiler is a device for generating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or hot water by heating water, and such boilers are roughly divided into a steam boiler for generating steam and a hot water boiler for making hot water.
이러한 보일러는 공급된 물을 버너로 가열하여 발생된 고온·고압의 증기나 온수를 수평 방향으로 내보내기 위해 반드시 펌프를 이용한다.In such a boiler, a pump must be used to horizontally discharg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or hot water generated by heating the supplied water with a burner.
그러나 상기 펌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기의 공급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캠핑 등의 야외 활동 시에는 상술한 보일러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supply of electricity is absolutely necessary to use the pum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bove-described boiler cannot be used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즉, 야외 활동 시에는 기온이 떨어지는 밤이나 추워지는 계절에 침낭 또는 매트리스의 난방을 위해 휴대성이 좋으며 전기의 공급 없이도 작동이 가능한 보일러가 요구되는데, 상술한 종래의 보일러는 가열된 고온·고압의 온수를 수평 방향으로 내보내는 과정에서 열 손실이 발생되고 부피도 커질 뿐만 아니라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의 공급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야외 활동 시 이용하기 어려운 것이다.That is, during outdoor activities, a boiler that has good portability and can operate without electricity supply is required for heating a sleeping bag or mattress at night when the temperature is dropping or in the cold season.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hot wa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eat loss occurs and the volume increases, as well as electricity to operate the pump is essential, so it is difficult to use it for outdoor activities.
부연하면, 종래의 보일러는 물의 열팽창·수축을 이용하기 위해 히터봉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일측에는 입수관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출수관이 구비되는 구성이므로 부피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conventional boiler, the heater rod is horizontally arranged to take advantage of the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water, so that an inlet pipe is provided on one side and an outlet pip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volume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야외 활동 시 열원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침낭 또는 매트리스 등의 장비로 공급할 수 있는 무동력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powered boiler capable of supplying hot water heated by a heat source during outdoor activities to equipment such as a sleeping bag or mattress without using power.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 방식과는 달리, 지속적인 온수 공급을 통하여 온수 매트리스 등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a hot water mattress, etc. through continuous hot water supply, unlike the steam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수관으로 들어온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가열에 의해 상승된 온수를 내보내도록 연결된 출수관을 갖는 가열관; 상기 가열관으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열원; 상기 열원으로 가열된 상기 가열관 내의 온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제1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that has entered the water intake pipe; a heating tube having an inlet formed to introduc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an outlet pipe flowing into the inlet and connected to discharge hot water raised by heating;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tube; It is a technical idea to include a; a first check valve for controlling so that the hot water in the heating tube heated by the heat source does not flow back through the inle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가열관의 상부에 연결된 바이패스 파이프, 상기 바이패스 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출수관의 막힘 시 상기 가열관 내에서 상승된 온수를 상기 물탱크로 배출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ypass pip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tube, a bypass valve installed on the bypass pipe to discharge hot water raised in the heating tube to the water tank when the water outlet tube is blocked may include mor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열원에서 발생된 열기를 상기 가열관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된 열기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t air guide provided to guide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source from the lower part of the heating tube to the upper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열원에서 발생된 열기를 상기 열기가이드의 내부로 확산시키도록 상기 가열관의 외경에 구비된 디퓨저 플레이트, 상기 디퓨저 플레이트로 확산된 열기를 상기 가열관의 중심으로 전향시키도록 상기 열기가이드의 내경에 구비된 디플렉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ffuser plate provid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ing tube to diffus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ource into the inside of the heat guide, and redirecting the heat diffused to the diffuser plate to the center of the heating tube It may further include a deflector plate provid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t air guid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열기가이드를 수용하도록 상기 가열관의 외경에 구비되어 상기 열원의 상부에 안치되는 안치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t cover provid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ing tube to accommodate the hot air guide and placed on top of the heat sour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유입구와 출수관 사이에 구비되어 가열관 내에서 상승된 온수를 출수관으로 배출시키도록 배출공이 형성된 격판, 상기 격판의 배출공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관 내의 온수가 상기 배출공을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제2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phragm provid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pipe and having an outlet hole to discharge the hot water raised in the heating tube to the outlet pipe, and installed in the outlet hole of the diaphragm so that the hot water in the heating tube is heated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heck valve that controls not to flow back through the discharge ho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입수관으로 들어온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흘러서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를 갖는 격실판으로 분리되어 하부로 물을 배수하는 배수격실; 상기 배수격실에서 배수된 물을 가열하여 상승된 온수를 내보내도록 출수관이 연결된 가열관; 상기 가열관으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열원; 상기 열원으로 가열된 상기 가열관 내의 온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제1 체크밸브;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that has entered the water inlet pipe; a drainage compartment separated by a partition plate having an inlet formed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flows and flows in and drains the water downward; a heating pipe to which the water outlet pipe is connected so as to heat the water drained from the drain compartment to discharge the raised hot water;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tube; A first check valve to control so that the hot water in the heating tube heated by the heat source does not flow back through the inlet; It is a technical idea to include.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대류의 이동에 따라 가열관의 상부로 상승된 온수를 출수관을 통해 출수하여 야외 활동 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침낭 또는 매트리스 등의 장비로 공급할 수 있으며, 입수관과 출수관이 상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bodied as the above-mentioned solution, hot water raised to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tub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convection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pipe and supplied to equipment such as a sleeping bag or mattress without using power during outdoor activities, ,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volu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Accordingly, the shape of the components expressed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보일러는, 입수관(110)으로 들어온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00), 물탱크(10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210)와 이 유입구(210)로 유입되어 가열에 의해 상승된 온수를 내보내도록 연결된 출수관(220)을 갖는 가열관(200), 가열관(200)으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열원(300), 열원(300)으로 가열된 가열관(200) 내의 온수가 유입구(210)를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제1 체크밸브(400)를 포함한다.The non-powered boi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물탱크(100)는 입수관(110)을 통해 들어온 물을 저장하는 구성이다.The
도 1을 참조하면, 물탱크(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판(120)을 갖는 원형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 the
물탱크(100)의 상부 일측에는 수평으로 배치된 입수관(110)이 연결되어 물이 들어오고, 바닥판(120) 중앙에는 상하로 연이어져 관통하도록 관통공(121)이 천공되어 가열관(200)의 상부가 관통된다.A
가열관(200)은 유입구(210)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상승된 온수를 출수관(220)을 통해 내보내는 구성이다.The
도 1을 참조하면, 가열관(200)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가 빈 원형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 가열관(200)의 상단에는 바이패스 파이프(230)가 수직으로 연결되고, 바이패스 파이프(230)에는 바이패스 밸브(231)가 설치되어 출수관(220)이 막혔을 경우 가열관(200)의 상단으로 상승된 온수를 물탱크(100)로 배출한다. 가열관(200)의 하단에는 원추형의 바닥이 형성된다. 가열관(200)의 상부는 물탱크(100)의 관통공(121)으로 관통되고 하부는 물탱크(100)의 외부로 노출된다.Referring to FIG. 1 , the
가열관(200)의 상부 일측에는 유입구(210)가 형성되어 물탱크(10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고, 이 유입구(210)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배치된 출수관(220)이 연결되어 가열에 의해 상승된 온수를 침낭 또는 매트리스 등으로 공급하게 된다.An
가열관(200)의 하부에는 열기가이드(250)가 구비되어 열원(300)에서 발생된 열기의 흐름을 가열관(20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안내한다.A
그리고 가열관(200)의 외경 하부에는 디퓨저 플레이트(240)가 구비되어 열원(300)에서 발생된 열기를 열기가이드(250)의 내부로 확산시키고, 열기가이드(250)의 내경에는 디플렉터 플레이트(251)가 구비되어 디퓨져 플레이트(240)로 확산된 열기를 가열관(200)의 중심으로 전향시킨다.And a
이때, 디퓨저 플레이트(240)의 외측 단부와 열기가이드(250)의 내경 사이에는 제1 간극이 형성되고, 디플렉터 플레이트(251)의 내측 단부와 가열관(200)의 외경 사이에는 제2 간극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first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이에 따라, 열원(300)에서 발생된 열기는 디퓨져 플레이트(240)에 부딪쳐 제1 간극(G1)을 통해 열기가이드(250)의 내부로 확산된 후 디플렉터 플레이트(251)에 의해 제2 간극(G2)으로 안내되어 가열관(200)의 중심으로 방향이 바뀌게 된다.Accordingl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또한, 가열관(200)의 외경 하부에는 ‘∩’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열기가이드(250)를 수용하는 안치커버(26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안치커버(260)는 열원(300)의 상부에 안치되어 열기가이드(250)를 통한 열기의 유출을 차단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여기서, 열기가이드(250)와 안치커버(260)에는 통풍공(H)이 형성되어 내외부로 바람이 통하게 된다.Here, a ventilation hole (H) is formed in the
열원(300)은 가열관(200)으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열원(300)은 야외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스토브(stove), 히터(heater), 버너(burner) 등을 포함한다.The
즉, 열원(300)이 스토브로 구현될 경우, 안치커버(260)를 스토브 상부에 안치하여 스토브에서 발생된 열기로 가열관(200)을 가열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제1 체크밸브(400)는 가열관(200) 내의 온수가 유입구(210)를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기능을 한다.The
도 1을 참조하면, 제1 체크밸브(400)는 가열관(200)의 유입구(210)에 설치되어, 물탱크(100)에 저장된 물이 가열관(200)으로 유입되도록 유입구(210)를 개방하고, 가열관(200) 내의 온수가 물탱크(100)로 출수되지 않도록 유입구(210)를 차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verall flo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먼저, 입수관(110)으로 들어온 물은 도 2의 실선 화살표와 같이 물탱크(100)에 저장된 후 제1 체크밸브(400)의 개방으로 유입구(210)를 통해 가열관(200)으로 유입된다.First, water entering the
이어서, 열원(300)의 상부에 안치커버(260)를 안치하면 열원(300)에서 발생된 열기가 가열관(200)으로 전달되어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온수는 팽창되어 대류의 이동에 따라 도 2의 점선 화살표와 같이 상승된다.Then, when the
다음, 가열관(200)의 상부로 상승된 온수는 출수관(220)을 통해 출수되어 침낭 또는 매트리스 따위로 공급된다.Next, the hot water raised to the upper part of the
이때, 가열관(200) 내에서 상승된 온수는 제1 체크밸브(400)의 단속으로 유입구(210)를 통해 물탱크(100)로 출수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hot water raised in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열원(300)에서 발생된 열기의 손실을 최대한 줄인 상태에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만들고, 온수는 대류의 이동에 따라 가열관(200)의 상부로 상승되어 출수관(220)을 통해 출수되므로, 야외 활동 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침낭 또는 매트리스 등의 장비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t water is heated to make hot water in a state in which the loss of heat generated from the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보일러는, 입수관(110)으로 들어온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00), 물탱크(10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210)와 이 유입구(210)로 유입되어 가열에 의해 상승된 온수를 내보내도록 연결된 출수관(220)을 갖는 가열관(200), 가열관(200)으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열원(300), 열원(300)으로 가열된 가열관(200) 내의 온수가 유입구(210)를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제1 체크밸브(40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non-powered boi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의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갈음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달라지는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mong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because it can be substituted for the above description, and hereinafter, a configuration tha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가열관(200)은 유입구(210)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상승된 온수를 출수관(220)을 통해 내보내는 구성이다.The
도 3을 참조하면, 가열관(200)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가 빈 원형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 가열관(200)의 상부 일측에는 바이패스 파이프(230)가 수직으로 연결되고, 바이패스 파이프(230)에는 바이패스 밸브(231)가 설치되어 출수관(220)이 막혔을 경우 가열관(200)의 상단으로 상승된 온수를 물탱크(100)로 배출한다. 가열관(200)의 하단에는 원추형의 바닥이 형성된다. 가열관(200)의 상부는 물탱크(100)의 관통공(121)으로 관통되고 하부는 물탱크(100)의 외부로 노출된다.Referring to FIG. 3 , the
가열관(200)의 상부 일측에는 유입구(210)가 형성되어 물탱크(10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고, 이 유입구(210)의 상부에는 출수관(220)이 연결되어 가열에 의해 가열관(200)의 상부로 상승된 온수를 침낭 또는 매트리스 등으로 공급하게 된다.An
여기서, 출수관(220)은 가열관(200)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온수의 출수를 원활히 도모하는데, 이러한 출수관(220)은 가열관(200)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물탱크(100)의 개방된 상부를 관통하는 제1 수직관(221)과, 제1 수직관(221)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가열관(200)의 상부로 상승된 온수를 출수하는 제1 수평관(222)을 포함한다.Here, the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보일러는, 입수관(110)으로 들어온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00), 물탱크(100)에 저장된 물이 흘러서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210)를 갖는 격실판(140)으로 분리되어 하부로 물을 배수하는 배수격실(130), 배수격실(130)에서 배수된 물을 가열하여 상승된 온수를 내보내도록 출수관(220)이 연결된 가열관(200), 가열관(200)으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열원(300), 열원(300)으로 가열된 가열관(200) 내의 온수가 유입구(210)를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제1 체크밸브(40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non-powered boil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의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갈음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달라지는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mong the description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because they can be substituted for the above description, and hereinafter,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A configuration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물탱크(100)는 입수관(110)을 통해 들어온 물을 저장하는 구성이다.The
도 1을 참조하면, 물탱크(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판(120)을 갖는 원형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 the
물탱크(100)의 상부 일측에는 수평으로 배치된 입수관(110)이 연결되어 물이 들어온다.A horizontally arranged
물탱크(100)의 하부에는 격실판(140)에 의해 분리된 배수격실(130)이 구비된다.A
도 3을 참조하면, 배수격실(130)은 물탱크(100)에 저장된 물이 흘러서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210)를 갖는 격실판(140)에 의해 분리되어 하부에 형성된 배수공(122)을 통해 가열관(200)으로 물을 배수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격실판(140)의 일측 상부에는 바이패스 파이프(230)가 수직으로 연결되고, 바이패스 파이프(230)에는 바이패스 밸브(231)가 설치되어 출수관(220)이 막혔을 경우 배수공(122)을 통해 배수격실(130)로 상승된 온수를 물탱크(100)로 배출한다.A
가열관(200)은 배수격실(130)에서 배수된 물을 가열하여 상승된 온수를 출수관(220)을 통해 내보내는 구성이다.The
도 3을 참조하면, 가열관(200)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가 빈 원형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 가열관(200)의 상단은 배수공(122)에 연결되고, 하단에는 원추형의 바닥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 the
가열관(200)의 상부 일측에는 출수관(220)이 수평으로 연결되어 가열에 의해 상승된 온수를 침낭 또는 매트리스 등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보일러는, 입수관(110)으로 들어온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00), 물탱크(10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210)와 이 유입구(210)로 유입되어 가열에 의해 상승된 온수를 내보내도록 연결된 출수관(220)을 갖는 가열관(200), 가열관(200)으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열원(300), 열원(300)으로 가열된 가열관(200) 내의 온수가 유입구(210)를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제1 체크밸브(40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non-powered boil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의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갈음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달라지는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mong the descriptions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because they can be substituted for the above description, and hereinafter,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A configuration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물탱크(100)는 입수관(110)을 통해 들어온 물을 저장하는 구성이다.The
도 5를 참조하면, 물탱크(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판(120)을 갖는 원형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물탱크(100)의 상부 일측에는 수평으로 배치된 입수관(110)이 연결되어 물이 들어오고, 바닥판(120) 중앙에는 상하로 연이어져 관통하도록 관통공(121)이 천공되어 가열관(200)의 상부가 관통되며, 바닥판(120)의 가장자리 부근에는 통공(123)이 형성되어 출수관(220)이 관통된다.A
가열관(200)은 유입구(210)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상승된 온수를 출수관(220)을 통해 내보내는 구성이다.The
도 5를 참조하면, 가열관(200)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가 빈 원형 관 모양의 상부관(200a) 및 하부관(200b)을 포함하며, 상부관(200a) 및 하부관(200b)은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5, the
상부관(200a)의 상단에는 바이패스 파이프(230)가 수직으로 연결되고, 바이패스 파이프(230)에는 바이패스 밸브(231)가 설치되어 출수관(220)이 막혔을 경우 가열관(200)의 상단으로 상승된 온수를 물탱크(100)로 배출한다.A
하부관(200b)의 하단에는 원추형의 바닥이 형성된다.A conical bottom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상부관(200a)은 물탱크(100)에 수용되어 관통공(121)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하부관(200b)은 물탱크(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부관(200a)에 나사결합된다.The
상부관(200a)의 일측에는 유입구(210)가 형성되어 물탱크(10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고, 이 유입구(210)의 상부에는 출수관(220)이 연결되어 가열에 의해 상승된 온수를 침낭 또는 매트리스 등으로 공급하게 된다.An
여기서, 유입구(210)와 출수관(220) 사이에는 배출공(261)이 형성된 격판(260)이 구비되고, 배출공(261)에는 제2 체크밸브(500)가 설치되어 가열관(200) 내의 온수가 배출공(261)을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단속하게 된다.Here, a
출수관(220)은 가열관(200)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온수의 출수를 원활히 도모하는데, 이러한 출수관(220)은 가열관(200)의 상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가열된 온수를 출수하는 제2 수평관(223)과, 제2 수평관(223)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온수를 안치커버(260)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 수직관(224)과, 제2 수직관(224)의 단부에서 안치커버(260)의 외경을 감싸도록 나선으로 연결되어 온수를 재가열하는 나선관(225)을 포함한다.The
부연하면, 가열관(200)에서 가열되어 상승된 온수는 배출공을 통해 제2 수평관(223)과 제2 수직관(224)을 지나 나선관(225)에 이를 때에 열원(300)에서 발생된 열기로 가열된 안치커버(260)에 의해 다시 가열되므로, 열원(300)에서 발생된 열기의 손실을 낮추면서 더 뜨거운 온수를 출수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hot water heated and raised in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물탱크 110 : 입수관
200 : 가열관 210 : 유입구
220 : 출수관 230 : 바이패스 파이프
240 : 디퓨저 플레이트 250 : 열기가이드
260 : 안치커버 300 : 열원
400 : 제1 체크밸브 500 : 제2 체크밸브100: water tank 110: water inlet pipe
200: heating tube 210: inlet
220: water outlet pipe 230: bypass pipe
240: diffuser plate 250: heat guide
260: seat cover 300: heat source
400: first check valve 500: second check valve
Claims (7)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가열에 의해 상승된 온수를 내보내도록 연결된 출수관을 갖는 가열관;
상기 가열관으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열원;
상기 열원으로 가열된 상기 가열관 내의 온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제1 체크밸브;
상기 열원에서 발생된 열기를 상기 가열관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된 열기가이드;
상기 열원에서 발생된 열기를 상기 열기가이드의 내부로 확산시키도록 상기 가열관의 외경에 구비된 디퓨저 플레이트;
상기 디퓨저 플레이트로 확산된 열기를 상기 가열관의 중심으로 전향시키도록 상기 열기가이드의 내경에 구비된 디플렉터 플레이트;
상기 유입구와 출수관 사이에 구비되어 가열관 내에서 상승된 온수를 출수관으로 배출시키도록 배출공이 형성된 격판;
상기 격판의 배출공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관 내의 온수가 상기 배출공을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제2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 플레이트의 외측 단부와 상기 열기가이드의 내경 사이에는 제1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디플렉터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와 상기 가열관의 외경 사이에는 제2 간극이 형성되는 무동력 보일러.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entering the water inlet pipe;
a heating tube having an inlet formed to introduc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an outlet pipe flowing into the inlet and connected to discharge hot water raised by heating;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tube;
a first check valve for controlling so that the hot water in the heating tube heated by the heat source does not flow back through the inlet;
a hot air guide provided to guide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source from the lower part of the heating tube to the upper part;
a diffuser plate provided on an outer diameter of the heating tube to diffus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ource into the heat guide;
a deflector plate provided on an inner diameter of the hot air guide to redirect the heat diffused to the diffuser plate toward the center of the heating tube;
a diaphragm provid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pipe and having a discharge hole to discharge the hot water raised in the heating pipe to the outlet pipe;
A second check valve installed in the discharge hole of the diaphragm to control so that the hot water in the heating tube does not flow back through the discharge hole; includes;
A first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diffuser plat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hot air guide, and a second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deflector plat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ing tube.
상기 가열관의 상부에 연결된 바이패스 파이프, 상기 바이패스 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출수관의 막힘 시 상기 가열관 내에서 상승된 온수를 상기 물탱크로 배출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보일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ypass pip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tube, and a bypass valve installed on the bypass pipe to discharge the hot water raised in the heating tube to the water tank when the water outlet tube is blocked. unpowered boiler.
상기 열기가이드를 수용하도록 상기 가열관의 외경에 구비되어 상기 열원의 상부에 안치되는 안치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보일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n-powered boiler further comprises a seat cover provid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ing tube to accommodate the hot air guide and plac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eat source.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흘러서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를 갖는 격실판으로 분리되어 하부로 물을 배수하는 배수격실;
상기 배수격실에서 배수된 물을 가열하여 상승된 온수를 내보내도록 출수관이 연결된 가열관;
상기 가열관으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열원;
상기 열원으로 가열된 상기 가열관 내의 온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제1 체크밸브;
상기 열원에서 발생된 열기를 상기 가열관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된 열기가이드;
상기 열원에서 발생된 열기를 상기 열기가이드의 내부로 확산시키도록 상기 가열관의 외경에 구비된 디퓨저 플레이트;
상기 디퓨저 플레이트로 확산된 열기를 상기 가열관의 중심으로 전향시키도록 상기 열기가이드의 내경에 구비된 디플렉터 플레이트;
상기 유입구와 출수관 사이에 구비되어 가열관 내에서 상승된 온수를 출수관으로 배출시키도록 배출공이 형성된 격판;
상기 격판의 배출공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관 내의 온수가 상기 배출공을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제2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 플레이트의 외측 단부와 상기 열기가이드의 내경 사이에는 제1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디플렉터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와 상기 가열관의 외경 사이에는 제2 간극이 형성되는 무동력 보일러.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entering the water inlet pipe;
a drain compartment separated by a partition plate having an inlet formed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flows and flows in and drains water downward;
a heating pipe to which the water outlet pipe is connected so as to heat the water drained from the drain compartment and send out hot water;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tube;
a first check valve for controlling so that the hot water in the heating tube heated by the heat source does not flow back through the inlet;
a hot air guide provided to guide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source from the lower part of the heating tube to the upper part;
a diffuser plate provided on an outer diameter of the heating tube to diffus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ource into the heat guide;
a deflector plate provided on an inner diameter of the hot air guide to redirect the heat diffused to the diffuser plate toward the center of the heating tube;
a diaphragm provid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pipe and having a discharge hole to discharge the hot water raised in the heating pipe to the outlet pipe;
A second check valve installed in the discharge hole of the diaphragm to control so that the hot water in the heating tube does not flow back through the discharge hole; includes;
A first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diffuser plat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hot air guide, and a second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deflector plat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ing tub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6002A KR102378597B1 (en) | 2021-01-15 | 2021-01-15 | Boi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6002A KR102378597B1 (en) | 2021-01-15 | 2021-01-15 | Boil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8597B1 true KR102378597B1 (en) | 2022-03-25 |
Family
ID=8093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6002A Active KR102378597B1 (en) | 2021-01-15 | 2021-01-15 | Boi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8597B1 (en)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9145B1 (en) * | 2006-05-04 | 2007-03-09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Heat exchanger of boiler |
KR20120109146A (en) | 2011-03-28 | 2012-10-08 | 주식회사 해동에너텍 | Boiler for hot-water appratus without power |
KR101195436B1 (en) * | 2012-07-26 | 2012-10-30 | 박용감 | Hot water boiler |
KR101609986B1 (en) | 2015-08-10 | 2016-04-08 | 와이.엘산업주식회사 | Non-motorized water mat boiler improving compulsory circular and ceiling function |
KR20160089991A (en) | 2015-01-21 | 2016-07-29 | 최현용 | Hot water level control possible non-motorized water-heating boilers |
KR20160131376A (en) | 2015-05-07 | 2016-11-16 | 주식회사 명성이에스 | Hot water boiler without power using vapor pressure |
KR101955820B1 (en) * | 2017-11-02 | 2019-03-08 | 김정화 | Portable boiler for hot water and hot water mat device using the same |
KR102064702B1 (en) * | 2019-03-20 | 2020-01-10 | 주식회사 유랑생활 | Burner apparatus of fluid natural circulation type |
-
2021
- 2021-01-15 KR KR1020210006002A patent/KR10237859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9145B1 (en) * | 2006-05-04 | 2007-03-09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Heat exchanger of boiler |
KR20120109146A (en) | 2011-03-28 | 2012-10-08 | 주식회사 해동에너텍 | Boiler for hot-water appratus without power |
KR101195436B1 (en) * | 2012-07-26 | 2012-10-30 | 박용감 | Hot water boiler |
KR20160089991A (en) | 2015-01-21 | 2016-07-29 | 최현용 | Hot water level control possible non-motorized water-heating boilers |
KR20160131376A (en) | 2015-05-07 | 2016-11-16 | 주식회사 명성이에스 | Hot water boiler without power using vapor pressure |
KR101609986B1 (en) | 2015-08-10 | 2016-04-08 | 와이.엘산업주식회사 | Non-motorized water mat boiler improving compulsory circular and ceiling function |
KR101955820B1 (en) * | 2017-11-02 | 2019-03-08 | 김정화 | Portable boiler for hot water and hot water mat device using the same |
KR102064702B1 (en) * | 2019-03-20 | 2020-01-10 | 주식회사 유랑생활 | Burner apparatus of fluid natural circulation typ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121817A (en) | Heat exchanger having circulating guide | |
KR102064702B1 (en) | Burner apparatus of fluid natural circulation type | |
KR102378597B1 (en) | Boiler | |
KR20100102472A (en) | Hot water supplying boiler using firewood and electric heater | |
KR101955820B1 (en) | Portable boiler for hot water and hot water mat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512534B1 (en) |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 |
US20140003801A1 (en) | Water heating system | |
JP2018031520A (en) | Storage water heater | |
KR102402118B1 (en) | Portable hot-water boiler | |
KR102379071B1 (en) | Non-powered hot water boiler | |
BE1022708B1 (en) | Collective concentric flue | |
BE1024116B1 (en) | Mechanical one-way valve | |
KR101767152B1 (en) | Heat storage tank | |
KR200389074Y1 (en) | A hot-water equipment using heat of gas range | |
RU2737708C1 (en) | Boiler for hot water of accumulating type, having function of proportional control of amount of heat and function of prevention of reverse flow | |
KR20250009778A (en) | A steam trap | |
JP7307999B1 (en) | heating system | |
RU2460946C1 (en) | Water heating temperature-controlled tank with coaxial energy-efficient flue pipe (versions) | |
KR100604405B1 (en) | Portable boiler device | |
KR100723262B1 (en) | Portable Device to Supply Warm Water | |
KR102501785B1 (en) | Boiler with Water Discharge Function | |
KR100774151B1 (en) | Hot water distributor for heating system | |
JP2023011477A (en) | Storage hot water heater | |
KR102169709B1 (en) |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heater using the same | |
KR100648415B1 (en) | Flow opening / closing valve of hot water distributor for hea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4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9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203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