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273B1 - Manufacturing system for solid fuel having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bad odor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system for solid fuel having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bad odor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8273B1 KR102378273B1 KR1020210115876A KR20210115876A KR102378273B1 KR 102378273 B1 KR102378273 B1 KR 102378273B1 KR 1020210115876 A KR1020210115876 A KR 1020210115876A KR 20210115876 A KR20210115876 A KR 20210115876A KR 102378273 B1 KR102378273 B1 KR 1023782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id fuel
- heat treatment
- treatment device
- heat
- sewage slud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449 solid propella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7 bulk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78 bio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63 carbo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4 co-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32 intermediate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39 volatil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6—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26—After-treatment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0—Cooling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9/0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 C10L9/08—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by heat treatments, e.g. calcin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2—Combustion or pyroly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4—Mixing, stirring of fuel compon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0—Screws or pistons for moving along sol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4—Specific separation steps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8—Control or regulation of the fuel preparation of upgrading proces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60—Measuring or analys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or process condition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또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생산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로부터 공급되는 1차 혼합물을 제1 함수율이 되도록 1차 건조하는 제1 건조기와; 상기 제1 함수율의 1차 혼합물을 가열 건조하여 제2 함수율의 건조 혼합물을 생산하는 제2 건조기와; 상기 건조 혼합물을 가압 성형하여 고형연료를 성형하는 성형기; 및 상기 성형기에서 성형된 상기 고형연료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성형이 완료된 후에 내부로 투입되는 상기 고형연료를 열처리하는 열처리 장치를; 포함한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고형연료에 열을 공급하여 내, 외부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악취물질은 휘발시켜 제거함으로써 고형연료의 이송 및 보관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패 및 악취 발생을 억제하여 고형연료의 내구성과 저장성을 개선시키며 발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고형연료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er for producing a primary mixture by mixing sludge or additives; a first dryer for drying the first mixture supplied from the mixer to a first moisture content; a second dryer for producing a dry mixture of a second moisture content by heating and drying the first mixture of the first moisture content; a molding machine for molding a solid fuel by pressure molding the dry mixture; and a heat treatment device for heat-treating the solid fuel injected into the inside after molding is completed so as to remove odors generated from the solid fuel molded in the molding machine. By providing a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equipped with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bad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including, heat is supplied to the solid fuel to evaporate internal and external moisture, and odorous substances are removed by volatilization dur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solid fuel.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storage of solid fuel 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possible decay and odor, and producing a solid fuel capable of increasing calorific value.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슬러지 고형연료에 열을 공급하여 내, 외부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악취물질은 휘발시켜 제거함으로써 고형연료의 이송 및 보관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패 및 악취 발생을 억제하여 고형연료의 내구성과 저장성을 개선시키며 발열량을 증가시킨 고형연료를 제조할 수 있는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having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and more particularly, to supply heat to sewage sludge solid fuel to evaporate internal and external moisture and volatilize and remove odorous substances By doing so, it is equipped with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bad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that can produce solid fuel with increased calorific value and improved durability and storage properties of solid fuel 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decay and odor that may occur during transport and storage of solid fuel. It relates to a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슬러지란 정수 및 하, 폐수 처리를 함으로써 수중의 부유물이 액체로부터 분리되어 발생되는 침전물을 말하며, 하수슬러지 고형연료란 하수슬러지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연료화한 것을 말한다. Sludge refers to the sediment that is generated by separating floating substances from the liquid by treating water purification,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Sewage sludge solid fuel refers to a fuel produced by using sewage sludge.
일반적으로 하수슬러지는 토양에 매립하거나 해양에 투기하여 처리하였으나 해양오염방지에 관한 국제협약이 발효됨에 따라 하, 폐수 슬러지의 해양투기가 금지되어 퇴비화, 연료화, 고화 등과 같이 처리하고 있으며 그 중 연료화 처리 방식은 2018년 48.2%를 차지하며, 추진중인 건조연료화 시설까지 가동시 연료화 비율이 58.7%로 증가하여 가장 비중있는 처리방식이다. In general, sewage sludge is disposed of by burying it in soil or dumping it in the sea, but as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came into effect, the dumping of sewage and wastewater sludge at sea is prohibited. The method accounted for 48.2% in 2018,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treatment method as the fuel conversion ratio increases to 58.7% when operating the dry fuel conversion facility being promoted.
하수슬러지 고형연료는 발전소에서 혼소용 연료로 사용하는 우드펫릿과 품질과 특성이 유사하여 수입에 의존하는 우드펠릿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연료로서 하수슬러지 고형연료의 발전량은 2015년 282,542 MWh에서 2019년 338,143MWh로 증가한 바와 같이 발전소에서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사용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Sewage sludge solid fuel is an alternative fuel that can replace wood pellets that depend on imports because the quality and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wood pellets used as fuel for co-firing in power plants. As it increased to 338,143MWh, the use of sewage sludge solid fuel in power plants is expanding.
또한, 탄소중입 추진전략에 따르면 에너지 주공급원을 화석연료에서 신, 재생에너지로 전환 추진으로 신, 재생에너지의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며 신,재생에너지 중 생산의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이 큰 태양광, 풍력 등과 대비하여 하수슬러지 고형연료는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arbon loading promotion strategy, the demand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is expected to increase by promoting the conversion of the main energy source from fossil fuels to new and renewable energy. In contrast to others, sewage sludge solid fuel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a stable supply.
종래의 경우 하수슬러지의 보관, 건조 등의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여 대기오염, 민원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어 하수슬러지의 건조, 연료화 등 공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 기술이 선행되어 있다. In the conventional case, there are 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and civil complaints due to the generation of odors during storage and drying of sewage sludge.
그러나, 하수슬러지 고형연료에서 발생하는 악취 저감에 대한 기술은 적용된 사례가 없으며 악취로인한 민원 발생, 대기오염 등의 문제점이 있어 사용이 위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he technology for reducing odors generated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has not been applied,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civil complaints and air pollution due to bad odors, so its use is shrinking.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for solving these problems.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형연료에 열을 공급하여 내, 외부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악취물질은 휘발시켜 제거함으로써 고형연료의 이송 및 보관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패 및 악취 발생을 억제하여 고형연료의 내구성과 저장성을 개선시키며 발열량을 증가시킨 고형연료를 제조할 수 있는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is to supply heat to solid fuel to evaporate internal and external moisture, and volatilize and remove odorous substances, thereby generating decay and odor that may occur during transport and storage of solid fue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equipped with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capable of manufacturing solid fuel with increased calorific value and improved durability and storability of the solid fuel by suppressing i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은, 슬러지 또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생산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로부터 공급되는 1차 혼합물을 제1 함수율이 되도록 1차 건조하는 제1 건조기와; 상기 제1 함수율의 1차 혼합물을 가열 건조하여 제2 함수율의 건조 혼합물을 생산하는 제2 건조기와; 상기 건조 혼합물을 가압 성형하여 고형연료를 성형하는 성형기; 및 상기 성형기에서 성형된 상기 고형연료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성형이 완료된 후에 내부로 투입되는 상기 고형연료를 열처리하는 열처리 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provided a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having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comprising: a mixer for producing a primary mixture by mixing sludge or additives; a first dryer for drying the first mixture supplied from the mixer to a first moisture content; a second dryer for producing a dry mixture of a second moisture content by heating and drying the first mixture of the first moisture content; a molding machine for molding a solid fuel by pressure molding the dry mixture; and a heat treatment device for heat-treating the solid fuel injected into the inside after molding is completed so as to remove odors generated from the solid fuel molded in the molding machine. characterized by including.
여기서, 상기 열처리 장치는 상부 일측에 고형연료 투입구가 구비되고 상부 타측에 가스 배출구가 구비되며, 하부 일측에 열처리 완료된 상기 고형연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고형연료 배출구가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고형연료 투입구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고형연료를 열처리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고 폭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열매체 공급관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고형연료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열매체 공급관과 열매체 공급관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형연료가 안착되는 메쉬컨베이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solid fuel inlet at one upper side, a gas outlet at the other upper side, and a solid fuel outlet at one lower side for discharging the heat-treated solid fuel to the outside; The solid fuel injec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solid fuel inlet is heat-treated to remove odors, stacked inside the body in the height direction, arranged in a zigzag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formed to extend along the length direction a heating medium supply pipe; The solid fuel injected into the body part is stack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ody part and install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olid fuel can be transferred along the space between the heating medium supply pipe and the heating medium supply pi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A mesh conveyor on which solid fuel is seated; characterized by including.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열매체 공급관에 의하여 상기 고형연료가 열처리시에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기가스 배출관이 상기 가스 배출구와 연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exhaust gas discharge pipe capable of discharging gas generated during heat treatment of the solid fuel to the outside by the heating medium supply pipe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in communication with the gas outlet.
또한, 상기 메쉬컨베이어의 하측에는 상기 메쉬컨베이어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고형연료로부터 이탈되는 타르 성분을 1차적으로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1차 타르제거부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imary tar removal units may be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mesh conveyor to primarily collect tar components separated from the solid fuel that are seated on the mesh conveyor and transferred to the outside.
아울러, 상기 몸체부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과 연통되며 상기 몸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직립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타르 성분을 2차적으로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2차 타르제거부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ary tar removal that communicates with the exhaust gas discharge pipe and is installed upright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ody part at one external side of the body part to collect and discharge the tar component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to the outside Additional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구비된 상기 고형연료 투입구의 내부에는 상기 고형원료를 일정량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ransfer screw for transfer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solid raw material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olid fuel inle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고형연료 투입구의 근접한 상기 몸체부의 상부 내면과 상기 메쉬컨베이어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상부 내면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메쉬컨베이어의 상면과 일정 길이 이격되어 상기 메쉬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고형연료가 상기 컨베이어 상면에 일정량 적층되도록 하는 균등분배 조절판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betwee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djacent to the solid fuel inlet and the mesh conveyor,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extend downward, and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esh conveyor by a certain length to form the mesh conveyor. An equal distribution control plate may be provided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solid fuel transferred along the conveyor i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아울러, 상기 이송스크류의 후단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이나 혹은 순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상기 고형연료의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반송스크류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ransfer screw may be optionally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screw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solid fuel supplied by selectively rotating the transfer screw in a reverse or forward direction.
그리고, 상기 몸체부 외면 일측에는 상기 열매체 공급관에 의하여 상승된 상기 몸체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몸체부 내부의 온도에 의하여 상기 고형연료가 열처리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가 구비될 수 있다. An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part raised by the heating medium supply pipe, and a timer for measur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solid fuel is heat treated by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part are provided. can
또한, 상기 열처리 장치에서 열처리가 완료된 상기 고형연료는 별도의 냉각기로 투입되어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lid fuel that has been heat-treated in the heat treatment device may be fed into a separate cooler to be cool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은 고형연료에 열을 공급하여 내, 외부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악취물질은 휘발시켜 제거함으로써 제조된 고형연료의 이송 및 보관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패 및 악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having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supplying heat to solid fuel to evaporate internal and external moisture and volatilizing and removing odorous substances. I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decay and odors that may occur during the transport and storage of solid fuels.
그리고, 고형연료 표면의 자유수, 물리적 결합수 및 불연성 가스, 저열량의 휘발분 일부를 제거하여 산소함량을 감소를 통하여 제조된 고형연료의 발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calorific value of the manufactured solid fuel by reducing the oxygen content by removing some of the free water, physically bound water, incombustible gas, and low-calorie volatiles on the surface of the solid fuel.
또한, 고형연료 표면의 친수성수산화기 제거로 수분에 의한 구조 변형 저감효과와 표면코팅에 따른 수분 흡수 방지효과로 제조된 고형연료의 내구성과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storability of the manufactured solid fuel by the effect of reducing the structural deformation caused by moisture by removing the hydrophilic hydroxyl group on the surface of the solid fuel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moisture absorption according to the surface coa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내려다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의 투입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having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sid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looking down at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let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having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bad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내려다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의 투입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having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wage slu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odors from solid fuels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sid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let.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10)은 슬러지(11) 또는 첨가제(12)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생산하는 혼합기(20)와; 상기 혼합기로(20)부터 공급되는 1차 혼합물을 제1 함수율이 되도록 1차 건조하는 제1 건조기(30)와; 상기 제1 함수율의 1차 혼합물을 가열 건조하여 제2 함수율의 건조 혼합물을 생산하는 제2 건조기(40)와; 상기 건조 혼합물을 가압 성형하여 고형연료를 성형하는 성형기(50); 및 상기 성형기(50)에서 성형된 상기 고형연료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성형이 완료된 후에 내부로 투입되는 상기 고형연료를 열처리하는 열처리 장치(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solid
이하에서는 발명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요한 구성만을 설명한다. Hereinafter, only the necessary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구축시 저장을 위한 호퍼, 가열을 위한 보일러, 스팀 배관, 공기 펌프, 호이스트와 같은 장치들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생략된 구성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택 적용할 수 있는 사항들로, 기재되지 않은 구성이 불필요한 구성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at is, when constructing a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having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devices such as a hopper for storage, a boiler for heating, a steam pipe, an air pump, and a hoist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However, the omitted configuration is matters that can be easily selected and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does not mean that the configuration not described is an unnecessary configuration.
우선, 혼합기(20)는 슬러지(11) 또는 첨가제(12)를 치대거나 반죽하여 1차 혼합물을 생성한다. 여기서, 슬러지(11)의 뭉침 현상과, 첨가제(12)의 작은 밀도로 인한 부유 현상으로 인해 슬러지(11)와 첨가제(12)의 혼합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혼합기(20)는 슬러지(11)와 첨가제(12)의 입자가 최대한 접촉하고, 슬러지(11)의 뭉침을 해소하여 혼합한다. First, the
이러한 혼합기(20)에 의해 1차 혼합물의 혼합율과 혼합균일도가 높아지며, 혼합된 입자의 크기가 작고 고르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혼합기(20)는 슬러지(11)의 함수율을 1차적으로 낮출 수 있다.By this
이를 위해, 혼합기(20)는 용기 내부에 혼합물을 뒤섞으면서 치댈 수 있는 형태의 혼합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혼합수단은 스크류 형태의 날이 축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패들이 복수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To this end, the
예를 들어, 첨가제(12)는 함수율이 10% 이상 15% 이하인 건조 상태의 것으로, 입자의 크기가 5mm 이하로 제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러한 첨가제(12)는 슬러지(11)의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양을 늘려주는 평화제(또는 증량제, bulking agent)와 보완제(amendment)를 포함할 수 있다.The
슬러지(11)는 함수율 75% 이상 85% 이하인 것일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제시되는 함수율은 실제 공정에서 제시된 수치에 가깝게 조정된 것으로, 정확하게 지정 수치를 갖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제시된 수치들은 최적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수치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uch, the moisture content presented in this embodiment is adjusted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presented in the actual process, and may not have an accurately designated numerical valu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erical values presented in this embodiment be understood as numerical values capable of deriving an optimal result.
제1 건조기(30)는 혼합기(20)에 의해 생성되는 1차 혼합물을 공급받아 건조를 진행한다. 즉, 제1 건조기(30)는 1차 혼합물의 함수율을 제1 함수율로 낮추기 위한 건조과정이 진행된다. The
이러한 제1 건조기(3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1차 혼합물을 건조하여 1차 함수율이 되게 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제1 건조기(30)는 가스, 석유와 같은 연료를 연소한 열에 의해 건조할 수 있고, 자연광을 이용하여 건조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건조기(30)는 1차 혼합물 내의 유기물을 미생물 또는 산소와 반응시키는 과정에서 분해 또는 산화되는 열에 의해 건조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또한, 제1 건조기(30)는 열적 건조기를 제1 건조기(30)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1 건조기(30)와 제2 건조기(40)를 모두 열적 건조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건조기(30)는 미생물에 의해 건조를 진행하는 바이오 드라잉(Bio-Drying) 장치이고, 제2 건조기(40)는 열적 건조 장치인 것으로 설명한다.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그래서, 제1 건조기(30)는 공기 중의 산소(O2)를 제1 건조기(30) 내부에 공급하여 호기성 미생물의 대사 작용을 유도하고, 대사 작용에 의해 유기물이 이산화탄소(CO2), 물(H2O) 및 암모니아(NH3)로 분해될 때 발생하는 대사열을 이용하여 1차 혼합물을 건조한다. 이를 통해, 제1 건조기(30)는 75% 내지 85% 정도인 슬러지(11)의 함수율을 제1 함수율인 35% 이상 40% 이하의 함수율이 되도록 건조한다. Thus, the
상기 제1 함수율은 실험적으로 산출되는 것으로, 제1 건조기(30)의 규모, 건조 효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first moisture content is experimentally calculated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cale and drying efficiency of the
만약, 제1 함수율이 40% 이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2 건조기(40)에 의한 건조 과정에서 효율이 저하되고, 건조 기간이 증가할 수 있다. 즉, 제2 건조기(40)의 가열 건조를 위해 이용되는 연료의 소비가 증대될 수 있다. If the first moisture content is set to 40% or more, the efficiency may decrease in the drying process by the
반면, 제1 함수율이 35% 미만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1 건조기(30)의 크기가 증대되거나, 1차 혼합물이 제1 건조기(30)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증대되어 건조 효율이 저하된다. 즉, 제1 함수율의 조정에 따라 건조를 위한 연료 소비 또는 건조기의 제작 및 운영을 위한 비용 증가에 따른 경제성 저하 또는 제1 건조기(30)에서의 체류시간 증가에 따라 효율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moisture content is set to less than 35%, the size of the
이에 따라, 제1 함수율은 슬러지 연료화 시스템(10)에서의 건조기 구성에 따라 조절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반드시 35% 이상 40% 이하의 함수율로 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first moisture content is a matter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ryer in the sludge
제2 건조기(40)는 제1 건조기(30)로부터 공급되는 1차 혼합물을 2차 건조하여 연료로 성형 가능한 함수율인 제2 함수율이 되도록 건조해서 건조혼합물을 생성한다. The
이를 위해, 제2 건조기(40)는 내부에는 1차 혼합물을 가열 건조하기 위한 열전달수단이 마련된다. 또한, 제2 건조기(40)는 가열 과정에서 1차 혼합물이 슬러지(11)와 첨가제(12)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혼합상태를 유지하고, 열전달 수단과 혼합물의 접촉률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혼합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제2 건조기(40)는 제1 함수율의 1차 혼합물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탄화 또는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열원에 의한 간접 가열을 방법을 이용한다. The
이를 위해, 제2 건조기(40)는 보일러 또는 가열기와 같은 가열장치로부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열매체를 제2건조기(40) 내부로 통과시켜 혼합물을 가열 건조한다. 그리고 제2 건조기(40)는 가열 건조에 의해 발생되는 제2 건조기(40) 내부의 수분과 혼합물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제2 건조기(40)는 1차 혼합물이 건조시켜 제2 함수율의 건조 혼합물을 생성하고, 건조 혼합물을 성형기(50)에 공급한다. 이러한 제2 건조기(40)는 제1 건조기(30)와 같이 연속투입 및 연속배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여기서, 연속투입 및 연속배출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 제2 건조기(40)의 크기 증대, 연료 사용량 증가로 건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그래서 제2 건조기(40)는 효율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 용량 단위의 건조를 수행하고, 건조 혼합물을 모두 배출하는 뒤, 다시 1차 혼합물을 공급받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다만, 설정 용량 단위의 건조 방식이 건조에 더 유리할 뿐, 연속투입 및 연속배출 방식을 이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니며, 이로써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 또한 아니다.Here, in the case of a continuous input and continuous discharge method, the drying efficiency may be reduced due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이를 위해, 제1 건조기(30)와 제2 건조기(40) 사이에는 제1 건조기(30)에서 배출된 1차 혼합물이 1차적으로 보관되는 중간 저장조(도면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To this end, an intermediate storage tank (not shown) in which the primary mixture discharged from the
성형기(50)는 제2 건조기(40)로부터 공급되는 건조혼합물을 가압 성형하여 고형연료를 생산한다. 여기서, 생산되는 고형연료는 펠릿 연료일 수 있다. The molding
이러한 성형기(50)는 가압 성형을 위한 사출 성형기일 수 있으며, 사출툴, 상기 사출툴에 건조혼합물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사출틀 사이에 건조혼합물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lding
물론, 성형기(50)는 건조혼합물을 작은 크기의 덩어리인 펠릿(pellet) 외에도 하나의 큰 덩어리인 압축탄 형태로 가압하여 고형연료를 생산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molding
한편, 열처리 장치(1)는, 상부 일측에 고형연료 투입구(110)가 구비되고 상부 타측에 가스 배출구(120)가 구비되며, 하부 일측에 열처리 완료된 상기 고형연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고형연료 배출구(130)가 구비된 몸체부(100)와; 상기 고형연료 투입구(110)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고형연료를 열처리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고 폭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열매체 공급관(200)과;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고형연료가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열매체 공급관(200)과 열매체 공급관(20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형연료가 안착되는 메쉬컨베이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a
몸체부(100)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장방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공간에 고형연료가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열매체 공급관(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고형연료를 열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이러한 몸체부(100)의 상부 일측에는 열처리 대상이 되는 고형연료가 투입되는 고형연료 투입구(110)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 타측에는 고형연료를 열처리시에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가스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A
고형연료 투입구(110)는 몸체부(100) 상부의 가장자리에 단일개가 형성되고, 가스 배출구(120)는 발생되는 가스의 신속한 배출을 위하여 몸체부(100) 상면의 복수의 개소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되어 있다. A single
몸체부(100)의 하부 일측에는 열처리 완료되어 악취가 제거된 고형연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고형연료 배출구(130)가 구비되어 있다. A solid fuel outlet 130 for discharging solid fuel from which odor has been removed after heat treatment has been completed is provided on one lower side of the
열매체 공급관(200)은 고형연료 투입구(110)를 통하여 몸체부(100)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고형연료를 열처리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고 폭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부재이다. The heating
열매체 공급관(200)은 몸체부(100)의 내부에 적층된 형태로 배치되며 몸체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된 관상의 부재로서, 열매체 공급관(200)을 통과하는 열매체에 의하여 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신속하게 높일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e heating
열매체 공급관(200)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열매체를 공급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입구와 출구가 개구 형성되어 있으며, 입구를 통하여 공급되어 열매체 공급관(2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열을 방출한 후에 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후에 열매체 보일러로 주입되어 가열된 후에 재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An inlet and an outlet ar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ing
메쉬컨베이어(300)는 몸체부(100)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고형연료가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매체 공급관(200)과 열매체 공급관(20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면에 상기 고형연료가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메쉬컨베이어(300)는 판면에 다공이 형성된 메쉬 형태를 갖는 판상의 부재로서 일측면에 구비된 메쉬컨베이어 모터(310)의 구동에 의하여 일정 궤적을 형성하면서 순환 이동하여 상면에 안착된 고형연료를 이송시키게 된다. The
그리고, 메쉬컨베이어(300)가 판면에 다공이 형성된 메쉬 형태로 형성됨은 고형연료가 메쉬컨베이어(3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되면서 고형연료에 함유된 타르 성분이 이탈되면서 다공을 통하여 후술할 1차 타르제거부(500)로 수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And, the
한편,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열매체 공급관(200)에 의하여 상기 고형연료가 열처리시에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기가스 배출관(400)이 가스 배출구(120)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on one side of the
배기가스 배출관(400)은 일단이 가스 배출구(120)와 직접적으로 연통되는 복수의 보조관과, 지관의 타단과 복수의 개소에서 연통되는 단일개의 메인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exhaust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고형연료가 열처리되면서 몸체부(100) 내부에 생성된 가스가 복수의 지관에 의하여 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된 후에 상기 지관과 연결되어 있는 메인관을 통하여 한꺼번에 탈취설비 측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As the solid fuel is heat-treated by this structure,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메쉬컨베이어(300)의 하측에는 메쉬컨베이어(300)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고형연료로부터 이탈되는 타르 성분을 1차적으로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1차 타르제거부(500)가 구비되어 있다. At the lower side of the
이러한 1차 타르제거부(500)는 메쉬컨베이어(3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중앙 영역이 가장자리 영역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판면이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수집플레이트(510)와, 수집플레이트(510)의 중앙 영역의 하부에 연결되어 몸체부(100)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거관(520)으로 구성되어 있다. This primary
수집플레이트(510)의 상면은 완전 개구 형성되어 메쉬컨베이어(300)의 상면에 안착된 고형연료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되어 메쉬컨베이어(300)의 판면에 형성된 다공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하는 타르 성분이 수집플레이트(510)에 안착된 후에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중앙 영역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수집플레이트(510)의 중앙 영역으로 모인 타르 성분은 제거관(520)을 통하여 몸체부(100)의 외부로 흡입되어 배출되도록 하여 1차적으로 타르 성분이 제거되도록 한다. The tar component collec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ollecting
몸체부(100)의 외부 일측에는 배기가스 배출관(400)과 연통되며 몸체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직립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타르 성분을 2차적으로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2차 타르제거부(600)가 구비되어 있다. The external one side of the
2차 타르제거부(600)는 고형연료가 열처리시에 발생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타른 성분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ary
이러한 2차 타르제거부(600)는 배기가스 배출관(400)과 연통되어 직립되게 설치되어 타르가 배기가스에서 분리된 타르 성분이 유입되는 타르 분리관(610)과, 타르 분리관(6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어 타르 분리관(610)을 통하여 이동하는 타르 성분이 수집되는 타르 수집판(620)으로 구성되어 있다. This secondary
한편, 몸체부(100)의 상측에 구비된 고형연료 투입구(110)의 내부에는 상기 고형원료를 일정량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7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스크류(700)의 후단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이송스크류(700)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이나 혹은 순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상기 고형연료의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반송스크류(900)가 구비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이송스크류(700)는 일측에 구비된 이송스크류 모터(710)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고형연료 투입구(110)를 통하여 내부로 투입된 고형연료가 이송되어 메쉬컨베이어(300) 측으로 낙하하도록 한다. The
이송스크류(700)의 후단에 구비된 반송스크류(900)는 이송스크류(700)를 통하여 이송된 고형연료의 양을 과다할 경우에 이송스크류(70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된 고형연료를 다시 이송스크류(700) 측으로 반송하는 역할을 한다. The conveying
이송스크류(700)에 의하여 이송되는 고형연료의 양이 적당할 경우에 반송스크류(900)는 이송스크류(70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된 고형연료가 낙하하여 메쉬컨베이어(30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When the amount of solid fuel transferred by the
그리고, 고형연료 투입구(110)의 근접한 몸체부(100)의 상부 내면과 메쉬컨베이어(300) 사이에는 일단이 몸체부(100)의 상부 내면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단이 메쉬컨베이어(300)의 상면과 일정 길이 이격되어 메쉬컨베이어(300)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고형연료가 메쉬컨베이어(300) 상면에 일정량 적층되도록 하는 균등분배 조절판(800)이 구비되어 있다. And, betwee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균등분배 조절판(800)은 메쉬컨베이어(300)의 상면에 안착된 고형연료가 균등분배 조절판(800)을 통과하면서 균등분배 조절판(800)의 단부와 메쉬컨베이어(300) 상면의 이격 간격만큼 적층 높이가 균일하게 조절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되는 고형연료가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equal
이러한 균등분배 조절판(800)은 단부와 메쉬컨베이어(300) 상면과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형연료의 적층 높이를 조절하여 공급되어야 하는 고형연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It is effective to control the amount of solid fuel to be supplied by adjusting the stacking height of the solid fuel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몸체부(100) 외면 일측에는 열매체 공급관(200)에 의하여 상승된 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몸체부(100) 내부의 온도에 의하여 상기 고형연료가 열처리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가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몸체부(100)의 내부를 필요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타이머를 이용하여 고형연료를 열처리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고형연료의 정확한 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By allowing the temperature sensor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그리고, 고형연료의 열처리가 완료되어 악취가 제거된 후에는 고형연료를 별도의 냉각기(60)로 투입되도록 하여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heat treatment of the solid fuel is completed and the odor is removed, the solid fuel may be fed into a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 완료된 고형연료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고형연료를 열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olid fuel is heat-treated in order to remove the odor generated from the solid fuel manufactured by using the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having the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odors from the sewage sludge solid fu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is explained as follows.
우선, 몸체부(100)의 일측에 구비된 고형연료 투입구(110)를 통하여 열처리해야 할 고형연료를 투입하면, 이송스크류(700)의 회전에 의하여 고형연료가 반송스크류(900) 측으로 이송되고, 반송스크류(900)가 이송스크류(7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형연료가 메쉬컨베이어(300)의 상면에 안착되어 메쉬컨베이어(300)를 따라 적층된 형태로 이송된다. First, when the solid fuel to be heat-treated is input through the
메쉬컨베이어(300)에 의하여 적층된 고형연료가 이송되면서 균등분배 조절판(800)을 통과하게 되면 적층된 높이가 동일하게 조절되어 고형연료는 일정량만큼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When the solid fuel stacked by the
그리고, 열매체 공급관(200)을 통하여 열매체를 통과시키면 몸체부(100)의 내부공간은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는데, 이때 내부공간의 온도는 200 ℃ ~ 250 ℃가 형성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230 ℃로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And, when the heating medium passes through the heating
가열된 몸체부(100)의 내부를 메쉬컨베이어(300)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고형연료는 열처리되는데, 이때 열처리되는 시간은 30분 정도가 가장 효과적이다. While the inside of the
고형연료가 메쉬컨베이어(300)를 따라 이송되면서 표면에 부착된 타르 성분이 이탈되고, 이탈된 타르 성분은 1차 타르제거부(500)에 의하여 제거되며,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배출관(4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As the solid fuel is transported along the
그리고, 배기가스에 포함된 타르 성분은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배기가스 배출관(400)을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2차 타르제거부(600)에 수집되어 추가적인 제거가 이루어도록 하여 고형연료의 열처리가 완료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ar component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is collected in the secondary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열처리가 이루어져 악취 제거가 완료된 고형연료는 별도의 냉각기(60)로 투입되어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고형연료의 제조가 완료된다. The solid fuel that has been subjected to heat treatment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o remove odors is fed into a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은 고형연료에 열을 공급하여 내, 외부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악취물질은 휘발시켜 제거함으로써 제조된 고형연료의 이송 및 보관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패 및 악취 발생을 억제하여 제조된 고형연료의 내구성과 저장성을 개선시키며 발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The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having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 solid fuel manufactured by supplying heat to the solid fuel to evaporate internal and external moisture and volatilizing and removing odorous substanc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storability of the manufactured solid fuel 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decay and odor that may occur during transport and storage, and increase the calorific valu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has only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note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with the root are all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열처리 장치 10 :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20 : 혼합기 30 : 제1 건조기
40 : 제2 건조기 50 : 성형기
60 : 냉각기 100 : 몸체부
110 : 고형연료 투입구 120 : 가스 배출구
130 : 고형연료 배출구 200 : 열매체 공급관
300 : 메쉬컨베이어 400 : 배기가스 배출관
500 : 1차 타르제거부 600 : 2차 타르제거부
700 : 이송스크류 800 : 균등분배 조절판
900 : 반송스크류1: heat treatment device 10: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20: mixer 30: first dryer
40: second dryer 50: molding machine
60: cooler 100: body part
110: solid fuel inlet 120: gas outlet
130: solid fuel outlet 200: heating medium supply pipe
300: mesh conveyor 400: exhaust gas exhaust pipe
500: primary tar removal unit 600: secondary tar removal unit
700: transfer screw 800: equal distribution control plate
900: transfer screw
Claims (10)
상기 혼합기로(20)부터 공급되는 1차 혼합물을 제1 함수율이 되도록 1차 건조하는 제1 건조기(30)와;
상기 제1 함수율의 1차 혼합물을 가열 건조하여 제2 함수율의 건조 혼합물을 생산하는 제2 건조기(40)와;
상기 건조 혼합물을 가압 성형하여 고형연료를 성형하는 성형기(50); 및
상기 성형기(50)에서 성형된 상기 고형연료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성형이 완료된 후에 내부로 투입되는 상기 고형연료를 열처리하는 열처리 장치(1)를;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 장치(1)는, 상부 일측에 고형연료 투입구(110)가 구비되고 상부 타측에 가스 배출구(120)가 구비되며, 하부 일측에 열처리 완료된 상기 고형연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고형연료 배출구(130)가 구비된 몸체부(100)와; 상기 고형연료 투입구(110)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고형연료를 열처리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고 폭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열매체 공급관(200)과;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고형연료가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열매체 공급관(200)과 열매체 공급관(20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형연료가 안착되는 메쉬컨베이어(30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상기 열매체 공급관(200)에 의하여 상기 고형연료가 열처리시에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기가스 배출관(400)이 상기 가스 배출구(120)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메쉬컨베이어(300)의 하측에는 상기 메쉬컨베이어(300)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고형연료로부터 이탈되는 타르 성분을 1차적으로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1차 타르제거부(50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400)과 연통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직립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타르 성분을 2차적으로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2차 타르제거부(6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a mixer 20 for producing a primary mixture by mixing sludge or additives;
a first dryer 30 for primary drying the primary mixture supplied from the mixer 20 to a first moisture content;
a second dryer 40 for producing a dry mixture of a second moisture content by heating and drying the first mixture of the first moisture content;
a molding machine 50 for molding a solid fuel by pressure molding the dry mixture; and
a heat treatment device (1) for heat-treating the solid fuel injected into the mold after the molding is completed so as to remove the odor generated from the solid fuel molded in the molding machine (50); including,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a solid fuel inlet 110 at one upper side, a gas outlet 120 at the other upper side, and a solid fuel outlet 130 for discharging the heat-treated solid fuel to the outside at one lower side. ) provided with a body portion 100 and; The solid fuel injected into the body 100 through the solid fuel inlet 110 is heat-treated to remove the odor, and is stack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side the body unit 100 and zigzag along the width direction. a heating medium supply pipe 200 which is disposed as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ody part ( 100) stack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install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esh conveyor 300 on which the solid fuel is seated; includes,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an exhaust gas discharge pipe 400 capable of discharging gas generated during heat treatment of the solid fuel to the outside by the heating medium supply pipe 200 communicates with the gas outlet 120 installed,
A plurality of primary tar removal units 500 for primarily collecting and discharging tar components separated from the solid fuel that are seated on the mesh conveyor 300 and transferred to the lower side of the mesh conveyor 300 are provided. becomes,
The external one side of the body part 100 communicates with the exhaust gas discharge pipe 400 and is installed upright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to collect the tar component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secondary to the outside. A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having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ary tar removal units (600) discharged to the furnace.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에 구비된 상기 고형연료 투입구(110)의 내부에는 상기 고형원료를 일정량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7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bad odor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characterized in that a transfer screw 700 for transfer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solid raw material is installed inside the solid fuel inlet 11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A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equipped with
상기 고형연료 투입구(110)의 근접한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 내면과 상기 메쉬컨베이어(300)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 내면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메쉬컨베이어(300)의 상면과 일정 길이 이격되어 상기 메쉬컨베이어(300)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고형연료가 상기 메쉬컨베이어(300) 상면에 일정량 적층되도록 하는 균등분배 조절판(8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7. The method of claim 6,
Betwee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djacent to the solid fuel inlet 110 and the mesh conveyor 300,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to extend downward, and the other end is the mesh An equal distribution control plate 800 is provided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solid fuel transported along the mesh conveyor 300 is stacked on the top surface of the mesh conveyor 300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300 by a certain length,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equipped with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상기 이송스크류(700)의 후단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이송스크류(700)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이나 혹은 순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상기 고형연료의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반송스크류(9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7. The method of claim 6,
At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screw 700, the transfer screw 900 is selectively driven to rotate in the reverse or forward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ransfer screw 700 to adjust the amount of the solid fuel supplied. A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equipped with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상기 몸체부(100) 외면 일측에는 상기 열매체 공급관(200)에 의하여 상승된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온도에 의하여 상기 고형연료가 열처리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part 100 raised by the heating medium supply pipe 200, and the solid fuel by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part 100 A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having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characterized in that a timer for measuring the time to be heat treated is provided.
상기 열처리 장치(1)에서 열처리가 완료된 상기 고형연료는 별도의 냉각기(60)로 투입되어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1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6 to 9,
The solid fuel production system having a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odors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id fuel that has been heat treated in the heat treatment device (1) is fed into a separate cooler (60) to cool it.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5876A KR102378273B1 (en) | 2021-08-31 | 2021-08-31 | Manufacturing system for solid fuel having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bad odor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
CN202210669348.4A CN115725351A (en) | 2021-08-31 | 2022-06-14 | Solid fuel preparation system with heat treatment device for solid fuel deodoriz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5876A KR102378273B1 (en) | 2021-08-31 | 2021-08-31 | Manufacturing system for solid fuel having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bad odor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8273B1 true KR102378273B1 (en) | 2022-03-25 |
Family
ID=8093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5876A Active KR102378273B1 (en) | 2021-08-31 | 2021-08-31 | Manufacturing system for solid fuel having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bad odor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8273B1 (en) |
CN (1) | CN115725351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9626B1 (en) * | 2022-03-25 | 2023-07-28 | (주) 케이피 | An apparatus for drying organic sludge, a system for converting organic sludge into solid fuel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eparing solid fuel from organic sludg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095866A1 (en) * | 2000-12-04 | 2002-07-25 | Hassett Scott E. | Multi-faceted gasifier and related methods |
KR20110128392A (en) * | 2010-05-24 | 2011-11-30 | 유한회사 쓰리이 | Chaff carbonization and drying device |
KR101275192B1 (en) * | 2013-03-18 | 2013-06-18 | 서흥인테크(주) | A selecting equipment of waste for being solidified fuel using combustible waste and forming method using the equipment |
KR20130097919A (en) * | 2012-02-27 | 2013-09-04 | 코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A coal briquette,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610751B1 (en) * | 2014-03-25 | 2016-04-08 | (주)드림엔지니어링 | The resource system of the sludge and resource method |
WO2019166873A1 (en) * | 2018-02-27 | 2019-09-06 | University of Maribor | Method and apparatus for biomass torrefaction |
KR102168289B1 (en) * | 2020-02-19 | 2020-10-21 | (주)진에너텍 | Slurry fueling system comprising bio-drying device |
-
2021
- 2021-08-31 KR KR1020210115876A patent/KR102378273B1/en active Active
-
2022
- 2022-06-14 CN CN202210669348.4A patent/CN115725351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095866A1 (en) * | 2000-12-04 | 2002-07-25 | Hassett Scott E. | Multi-faceted gasifier and related methods |
KR20110128392A (en) * | 2010-05-24 | 2011-11-30 | 유한회사 쓰리이 | Chaff carbonization and drying device |
KR20130097919A (en) * | 2012-02-27 | 2013-09-04 | 코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A coal briquette,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275192B1 (en) * | 2013-03-18 | 2013-06-18 | 서흥인테크(주) | A selecting equipment of waste for being solidified fuel using combustible waste and forming method using the equipment |
KR101610751B1 (en) * | 2014-03-25 | 2016-04-08 | (주)드림엔지니어링 | The resource system of the sludge and resource method |
WO2019166873A1 (en) * | 2018-02-27 | 2019-09-06 | University of Maribor | Method and apparatus for biomass torrefaction |
KR102168289B1 (en) * | 2020-02-19 | 2020-10-21 | (주)진에너텍 | Slurry fueling system comprising bio-drying device |
Non-Patent Citations (8)
Title |
---|
internet site, DW SERIES MESH-BELT DRYER, http://www.jf-granulator.com/en/product/?4_55.html * |
YouTube video, [2020 International Green Energy Expo] Jin Enertech to introduce Sewage Sludge Pellet... Development of low fuel eco-friendly drying technology, https://www.youtube.com/watch?v=zGKTjg8LR1k (2020.07.17.) * |
youtube video, continous belt dryer for vegetable fruit or herbal, https://www.youtube.com/watch?v=tjp74TZgtz8(2020.10.20.) * |
YouTube video, multipurpose, Mesh Belt Dryer, https://www.youtube.com/watch?v=_N_TJuTFpAA (2019.09.07.) * |
유튜브영상, [2020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진에너텍, 하수슬러지연료탄(Sewage Sludge Pellet) 소개... 저연료 친환경 건조기술 개발, https://www.youtube.com/watch?v=zGKTjg8LR1k (2020.07.17.) |
유튜브영상, continous belt dryer for vegetable fruit or herbal, https://www.youtube.com/watch?v=tjp74TZgtz8(2020.10.20.) |
유튜브영상, 다용도 Mesh Belt Dryer, https://www.youtube.com/watch?v=_N_TJuTFpAA (2019.09.07.) |
인터넷사이트, DW SERIES MESH-BELT DRYER, http://www.jf-granulator.com/en/product/?4_55.htm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9626B1 (en) * | 2022-03-25 | 2023-07-28 | (주) 케이피 | An apparatus for drying organic sludge, a system for converting organic sludge into solid fuel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eparing solid fuel from organic slud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725351A (en) | 2023-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05088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converting waste into energy | |
US796016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organic material | |
KR102378265B1 (en) |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bad odor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 |
KR102168289B1 (en) | Slurry fueling system comprising bio-drying device | |
KR102168292B1 (en) | Slurry fueling system comprising thermal drying apparatus | |
KR102347101B1 (en) | Hybrid wet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and slurry fueling system with the same | |
KR102168293B1 (en) | Thermal drying apparatus for slurry | |
CN204006029U (en) | The comprehensive drying and incineration system of a kind of built-in mud | |
CN105090993A (en) | Built-in comprehensive drying and incinerating system for sludge and drying and incinerating method for sludge | |
KR102378273B1 (en) | Manufacturing system for solid fuel having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bad odor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 |
KR20220082341A (en) | Continuous biomass carbonization device | |
KR102384242B1 (en) | Heat treatment method for removing bad odor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and heat treatment solid fuel manufactured using the same | |
KR102168291B1 (en) | Bio-drying device for slurry | |
KR100845131B1 (en) | Wast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by batch drying and granular carbonization | |
KR101306083B1 (en) | System for drying sludge using superheated vapor | |
CN101464092A (en) | Wax shale vibration turn-back pre-heating dryer | |
WO2015087568A1 (en) | Poultry manure treatment method and poultry manure treatment system | |
KR102378261B1 (en) | Heat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bad odor from sewage sludge solid fuel | |
KR102315717B1 (en) | Waste sludge fueling facility system | |
KR102354457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ludge fuel coal using waste mushroom medium and rice husk | |
CN211999417U (en) | A sludge dryer with transport function | |
KR20200012232A (en) | Sludge drying apparatus | |
KR101005194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decomposed soil of sewage and livestock waste | |
JP2024520746A (en) | Livestock manure sterilization and drying system and method using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 |
KR102347105B1 (en) | Hybrid wet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with dischar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0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