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8217B1 -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217B1
KR102378217B1 KR1020210182564A KR20210182564A KR102378217B1 KR 102378217 B1 KR102378217 B1 KR 102378217B1 KR 1020210182564 A KR1020210182564 A KR 1020210182564A KR 20210182564 A KR20210182564 A KR 20210182564A KR 102378217 B1 KR102378217 B1 KR 10237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material
combustible
layer
drying
processing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은
Original Assignee
(주) 예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예다지 filed Critical (주) 예다지
Priority to KR1020210182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2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6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B05D7/53Base coat plus clear coat type
    • B05D7/536Base coat plus clear coat type each layer being cured, at least partially,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207Pretreatment of wood before impregnation
    • B27K3/021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4Combined bleaching or impregnating and dry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06Wooden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3/00Other substrates
    • B05D2203/20Wood or similar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연기능을 갖는 창호용 목자재로서, 목자재를 가공챔버에 투입한 후 밀폐시키는 가공챔버 밀폐단계와, 상기 가공챔버에 배치된 상기 목자재에 열기를 가해 건조시키는 목자재 건조단계와, 상기 가공챔버에 배치된 상기 목자재에 불연재를 도포하여 상기 목자재의 표면에 불연층을 형성시키는 목자재 불연층 형성단계와, 상기 가공챔버에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목자재에 도포된 불연층을 건조시키는 목자재 불연층 건조단계와, 상기 목자재 불연층 건조단계를 거친 목자재를 상기 가공챔버에서 인출하여 상기 목자재에 형성된 불연층 표면을 가공하는 불연층 표면처리단계와, 상기 표면처리단계를 거친 목자재를 물이 충진된 수조에 함침시키는 목자재 균일세척단계와, 상기 수조에 함침된 상기 목자재를 인출하여 건조시키는 마감건조단계로 이루어져, 창호용 목자재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불연층과 불연코팅층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불연기능을 향상시키게 되고, 표면에 이중구조로 층이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과 오염으로부터 목자재를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지지력과 강도를 향상시키게 되며 불연기능 및 불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 { Wood material for windows and doors with improved non-combusti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본 발명은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용 목자재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불연층과 불연코팅층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불연기능을 향상시키게 되고, 표면에 이중구조로 층이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과 오염으로부터 목자재를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지지력과 강도를 향상시키게 되며 불연기능 및 불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옥에 사용되는 목재 창호의 창살은 전통적인 완자형 창살 또는 격자형 창살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한옥용 목재창호에 관한 종래의 구조는, 목재로 문틀을 형성하고 문틀 내부에는 전통문양의 격자 창살을 고정하는 구조로서, 창살을 문틀에 고정하기 위해서 문틀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마다 개개의 창살을 끼워서 고정하는 구조를 사용하였다.
다른 구조로는 문틀에 창살을 대어주고 각 접속부를 못 또는 나사를 박아서 고정하는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목재창호는 재질이 목재로 이루어지며 원목자체를 사용하거나 목재의 표면를 페인팅하거나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목재창호는 화재발생시 유해가스와 화염의 발생 및 화염의 전이가 심하므로 근래에는 이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기피하는 등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에는 화재발생시에 대형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불연성 또는 난연성 내장재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37819호(2015. 07. 13.) '한옥형 목재창호의 조립구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용 목자재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불연층과 불연코팅층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불연기능을 향상시키게 되고, 표면에 이중구조로 층이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과 오염으로부터 목자재를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지지력과 강도를 향상시키게 되며 불연기능 및 불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불연기능을 갖는 창호용 목자재로서, 목자재를 가공챔버에 투입한 후 밀폐시키는 가공챔버 밀폐단계와, 상기 가공챔버에 배치된 상기 목자재에 열기를 가해 건조시키는 목자재 건조단계와, 상기 가공챔버에 배치된 상기 목자재에 불연재를 도포하여 상기 목자재의 표면에 불연층을 형성시키는 목자재 불연층 형성단계와, 상기 가공챔버에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목자재에 도포된 불연층을 건조시키는 목자재 불연층 건조단계와, 상기 목자재 불연층 건조단계를 거친 목자재를 상기 가공챔버에서 인출하여 상기 목자재에 형성된 불연층 표면을 가공하는 불연층 표면처리단계와, 상기 표면처리단계를 거친 목자재를 물이 충진된 수조에 함침시키는 목자재 균일세척단계와, 상기 수조에 함침된 상기 목자재를 인출하여 건조시키는 마감건조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자재 불연층 건조단계 이후에는, 상기 불연층이 형성된 상기 목자재에 불연코팅제를 도포하여 불연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목자재 불연코팅층 형성단계가 더 추가되며, 상기 목자재 불연코팅층 형성단계 이후에는, 상기 가공챔버에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목자재에 도포된 상기 불연코팅층을 건조시키는 목자재 불연코팅층 건조단계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불연기능을 갖는 창호용 목자재로서, 목자재와, 상기 목자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불연층와, 상기 불연층의 외면에 형성되는 불연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은 창호용 목자재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불연층과 불연코팅층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불연기능을 향상시키게 되고, 표면에 이중구조로 층이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과 오염으로부터 목자재를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지지력과 강도를 향상시키게 되며 불연기능 및 불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의 제조방법(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목자재 제조방법이라 명명함)는 불연기능을 갖는 창호용 목자재 제조방법로서, 이에 이와같은 창호용 목자재 제조방법은 가공챔버 밀폐단계(S1)와 목자재 건조단계(S2)와 목자재 불연층 형성단계(S3)와 목자재 불연층 건조단계(S4)와 표면처리단계와 균일세척단계와 마감건조단계(S7)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공챔버 밀폐단계(S1)는 목자재(20)를 가공챔버에 투입한 후 도어를 폐쇄하여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가공챔버는 내부에 가공공간이 마련되고 인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도어가 마련된다.
상기 가공챔버에는 내부를 진공시키도록 에어펌프를 마련하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내부환경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목자재 건조단계(S2)는 상기 가공챔버에 배치된 상기 목자재(20)에 열기를 가해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가공챔버에는 내부에 열선을 배치하여 상기 열선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상기 목자재(20)가 전조되도록 한다.
다르게는,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에 히터인 열풍기를 마련하여 상기 열풍기에서 발생되는 열풍에 의해 상기 목자재(20)의 습기 및 물기를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목자재 불연층 형성단계(S3)는 상기 가공챔버에 배치된 상기 목자재(20)에 불연재를 도포하여 상기 목자재(20)의 표면에 불연층(3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불연재는 액상의 멜라민수지이며, 도포 또는 분무하여 상기 목자재(20)의 표면에 불연층(30)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불연재는 색상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투명한 색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불연재는 무기질바인더에 무기질안료를 배합시켜 구성되는 무기계 내열불연재나, 유기·무기계 내열불연재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불연재를 사용함에 있어 VOC(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이 없는 불연재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으로 제작하도록 하는것은 자명하다.
또 다르게는, 상기 불연재를 폴리스티렌(PS)이나 페놀 수지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르게는, 상기 불연재를 액상의 실리콘으로 대체하여 상기 불연층(30)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목자재 불연층 건조단계(S4)는 상기 가공챔버에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목자재(20)에 도포된 불연층(30)을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목자재 불연층 건조단계(S4)에서는 상기 가공챔버의 에어노즐을 통해 에어를 공급하여 불연층(30)을 건조시키게 되며, 상기 가공챔버 내부에 송풍기를 마련하여 상기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상기 목자재(20)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신속한 건조를 위해 열풍기를 이용하여 상기 목자재(20)에 열풍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불연층 표면처리단계(S5)는 상기 목자재 불연층 건조단계(S4)를 거친 목자재(20)를 상기 가공챔버에서 인출하여 상기 목자재(20)에 형성된 불연층(30) 표면을 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불연층 표면처리단계(S5)에서는 그라인더 또는 표면처리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불연층(30) 표면의 돌출된 부분이나 불연층(30)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절삭하거나 갈아 평편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목자재 균일세척단계(S6)는 상기 표면처리단계를 거친 목자재(20)를 물이 충진된 수조에 함침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목자재 균일세척단계(S6)는 수조에 물을 충진시킨 후 상기 표면처리단계를 거친 목자재(20)를 수조에 일정시간 함침시키거나 함침시킨 상태에서 솔이나 천을 이용하여 상기 목자재(20)의 표면을 닦아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조의 내부에 순환펌프를 마련하여 상기 순환펌프로 충진되는 물이 유입된 후 배출되어, 상기 수조의 물이 이동(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조 내부에 함침된 목자재(20)의 세척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감건조단계(S7)는 상기 수조에 함침된 상기 목자재(20)를 인출하여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마감건조단계(S7)에서는 상기 목자재(20)의 표면에 형성되는 물기를 자연건조시키거나 천을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자연건조시키게 되며, 송풍기를 통해 공급되는 바람으로 건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목자재 불연층 건조단계(S4) 이후에는 상기 불연층(30)이 형성된 상기 목자재(20)에 불연코팅제를 도포하여 불연코팅층(40)을 형성시키는 목자재 불연코팅층 형성단계(S4-1)가 더 추가된다.
상기 불연코팅제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수성 폴리우레탄, 표면처리제, 및 기타 잔량으로서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연코팅제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10 중량부, 수성 폴리 우레탄 12 중량부, 표면처리제 8 중량부 및 물 7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불연코팅제는 액상의 멜라민수지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불연코팅제를 폴리스티렌(PS)이나 페놀 수지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상기 불연코팅제를 액상의 실리콘으로 대체하여 상기 불연층(30)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목자재 불연코팅층 형성단계(S4-1) 이후에는 상기 가공챔버에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목자재(20)에 도포된 상기 불연코팅층(40)을 건조시키는 목자재 불연코팅층 건조단계(S4-2)가 더 추가된다.
상기 목자재 불연코팅층 건조단계(S4-2)에서는 상기 가공챔버의 에어노즐을 통해 에어를 공급하여 불연코팅층(40)을 건조시키게 되며, 상기 가공챔버 내부에 송풍기를 마련하여 상기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상기 목자재(20)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신속한 건조를 위해 열풍기를 이용하여 상기 목자재(20)에 열풍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공챔버 밀폐단계(S1)이전에는 목자재(20)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표면의 균일하게 형성시키는 목자재 표면가압처리단계(S1-1)가 더 추가되며, 상기 목자재 표면가압처리단계(S1-1)를 통해 가압된 목재의 표면은 돌출된 부분없이 균일하고 평편한 표면을 형성할 수 있어, 이후 상기 목자재(20)에 형성되는 불연층(30)의 두께를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목자재 표면가압처리단계(S1-1) 이후에는 상기 프레스에 의해 가압되어 표면처리된 상기 목자재(20)를 가압돌기들이 형성된 금형이 설치된 상기 프레스로 재차 가압하여 상기 목자재(20)의 표면이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안착홈들을 형성하는 목자재 표면안착홈 형성단계(S1-2)가 더 추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목자재 불연층 형성단계(S3)를 통해 도포되는 불연재의 일부가 상기 안착홈(21)에 인입된다
이후, 상기 불연재가 건조되어 불연층(30)이 형성되면, 상기 안착홈(21)에 내부에 배치되는 불연층(30)이 상기 안착홈(21)에 걸림되어, 외력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불연층(30)이 상기 목자재(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목자재 표면안착홈 형성단계(S1-2) 이후에는 상기 목자재(20)에 성형공구를 이용하여 나선의 홈을 형성하는 나선홈형성단계를 추가하여, 나선의 홈에 불연재가 인입된 후 건조되어 불연층(30)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목자재 표면가압처리단계(S1-1) 이후에는 상기 목자재(20)에 타공구를 이용하여 중공의 타공홀을 형성하는 목자재 타공홀 형성단계를 더 추가하여 상기 목자재 불연층 형성단계(S3)에서 형성되는 불연층(30)이 상기 목자재(20)에 형성된 타공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제조방법를 통해 형성되는 창호용 목자재(10)는 목자재(20)와, 상기 목자재(20)의 외면에 형성되는 불연층(30)과, 상기 불연층(30)의 외면에 형성되는 불연코팅층(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불연층(30)과 불연코팅층(40)이 형성된 창호용 목자재는 불연성과 난연성이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목재자(20)에 불연층(30)과 불연코팅층(40)을 균일한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되며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창호용 목자재 20 : 목자재
21 : 안착홈 30 : 불연층
40 : 불연코팅층 S1 : 가공챔버 밀폐단계
S1-1 : 목자재 표면가압처리단계 S1-2 : 목자재 표면안착홈 형성단계
S2 : 목자재 건조단계 S3 : 목자재 불연층 형성단계
S4 : 목자재 불연층 건조단계 S4-1 : 목자재 불연코팅층 형성단계
S4-2 : 목자재 불연코팅층 건조단계 S5 : 불연층 표면처리단계
S6 : 목자재 균일세척단계 S7 : 마감건조단계

Claims (3)

  1. 불연기능을 갖는 창호용 목자재로서,
    목자재를 가공챔버에 투입한 후 밀폐시키는 가공챔버 밀폐단계;
    상기 가공챔버에 배치된 상기 목자재에 열기를 가해 건조시키는 목자재 건조단계;
    상기 가공챔버에 배치된 상기 목자재에 불연재를 도포하여 상기 목자재의 표면에 불연층을 형성시키는 목자재 불연층 형성단계;
    상기 가공챔버에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목자재에 도포된 불연층을 건조시키는 목자재 불연층 건조단계;
    상기 목자재 불연층 건조단계를 거친 목자재를 상기 가공챔버에서 인출하여 상기 목자재에 형성된 불연층 표면을 가공하는 불연층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를 거친 목자재를 물이 충진된 수조에 함침시키는 목자재 균일세척단계; 및
    상기 수조에 함침된 상기 목자재를 인출하여 건조시키는 마감건조단계로 이루어진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목자재 불연층 건조단계 이후에는,
    상기 불연층이 형성된 상기 목자재에 불연코팅제를 도포하여 불연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목자재 불연코팅층 형성단계가 더 추가되며,
    상기 목자재 불연코팅층 형성단계 이후에는,
    상기 가공챔버에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목자재에 도포된 상기 불연코팅층을 건조시키는 목자재 불연코팅층 건조단계가 더 추가되고,
    상기 가공챔버 밀폐단계이전에는 목자재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표면의 균일하게 형성시키는 목자재 표면가압처리단계가 더 추가되며,
    상기 목자재 표면가압처리단계 이후에는 상기 프레스에 의해 가압되어 표면처리된 상기 목자재를 가압돌기들이 형성된 금형이 설치된 상기 프레스로 재차 가압하여 상기 목자재의 표면이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안착홈들을 형성하는 목자재 표면안착홈 형성단계가 더 추가되고,
    상기 목자재 표면안착홈 형성단계 이후에는 상기 목자재에 성형공구를 이용하여 나선의 홈을 형성하는 나선홈형성단계를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10182564A 2021-12-20 2021-12-20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2378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564A KR102378217B1 (ko) 2021-12-20 2021-12-20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564A KR102378217B1 (ko) 2021-12-20 2021-12-20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217B1 true KR102378217B1 (ko) 2022-03-25

Family

ID=80935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564A Active KR102378217B1 (ko) 2021-12-20 2021-12-20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2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1412A (ja) * 2001-11-16 2003-07-29 Asano Mokuzai Kogyo Kk 不燃木材の製造方法
KR20090076148A (ko) * 2008-01-07 2009-07-13 현대불연 주식회사 불연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7632A (ko) * 2009-03-26 2010-10-06 김수해 톱밥과 목재칩을 이용한 불연내장 인테리어판넬의 제조방법
KR101537819B1 (ko) 2013-10-14 2015-07-17 (주)두린 한옥형 목재창호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1412A (ja) * 2001-11-16 2003-07-29 Asano Mokuzai Kogyo Kk 不燃木材の製造方法
KR20090076148A (ko) * 2008-01-07 2009-07-13 현대불연 주식회사 불연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7632A (ko) * 2009-03-26 2010-10-06 김수해 톱밥과 목재칩을 이용한 불연내장 인테리어판넬의 제조방법
KR101537819B1 (ko) 2013-10-14 2015-07-17 (주)두린 한옥형 목재창호의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87495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tablero de material derivado de la madera con emisión reducida de compuestos orgánicos volátiles (VOC)
CA1280938C (en) Window sash breather device
KR102378217B1 (ko) 불연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목자재 및 그 제조방법
US6387489B2 (en) Decorative sheet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sheets
KR101706226B1 (ko) 방염패널 제조방법
KR102219220B1 (ko) 케나프 부직포를 이용한 준불연 흡음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71974B1 (ko) 복합 건조 및 가열방식을 이용한 건축용 난연바닥재 제조장치
KR101654604B1 (ko) 섬유 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2507B1 (ko) 친환경 가구 패널 제조방법
KR100467195B1 (ko) 원적외선 조사 가열기와 원적외선 염착장치 및 원적외선을이용한 염착방법
CN107587678A (zh) 一种实木复合墙饰板
US7882668B2 (en) Wall shoe
CN210220427U (zh) 一种建材烘干装置
KR101256627B1 (ko) 목재 방화문 및 그 제작방법
KR200199100Y1 (ko) 목재 건조장치
KR20210149334A (ko) 태양전지 패널을 재활용한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 패널
Silva et al.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at treated OSB made of Pinus taeda
CN208633418U (zh) 一种防潮干燥室内装饰板
KR100973169B1 (ko) 건축용 단열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28723B1 (ko) 복합 건조 및 가열방식을 이용한 건축용 난연바닥재의 제조방법
KR200258875Y1 (ko) 섬유원단용 텀블러가공기의 열풍 공급장치
KR100869641B1 (ko) 난연성이 우수한 다공성 물품 및 그 제조방법
CN220750685U (zh) 一种纺织面料染色前清洗干燥机
KR101431439B1 (ko) 세탁기
KR100464993B1 (ko) 크랙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