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7960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960B1
KR102377960B1 KR1020170099060A KR20170099060A KR102377960B1 KR 102377960 B1 KR102377960 B1 KR 102377960B1 KR 1020170099060 A KR1020170099060 A KR 1020170099060A KR 20170099060 A KR20170099060 A KR 20170099060A KR 102377960 B1 KR102377960 B1 KR 102377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rner
area
common electrodes
link lin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926A (ko
Inventor
이준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9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960B1/ko
Priority to US16/052,417 priority patent/US10592031B2/en
Priority to CN201810870741.3A priority patent/CN109388277B/zh
Publication of KR20190014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926A/ko
Priority to US16/780,811 priority patent/US11402935B2/en
Priority to KR1020220034185A priority patent/KR102445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9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화면의 코너 영역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면서 우수한 터치 감도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코너 터치 영역을 갖는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의 교차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화소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공통 전극을 포함하며, 복수의 공통 전극 중 코너 터치 영역 상에 배치된 제 1 공통 전극들은 코너 터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터치 영역 상에 배치된 제 2 공통 전극들과 다른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출원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에서 시각 정보를 영상 또는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분야에서 관련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상에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 등을 접촉하거나 힘을 가하는 경우, 터치(Touch)가 발생한 위치와 터치 강도를 인식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을 갖는 터치 표시 장치가 있다. 터치 표시 장치는 사용자와 기계 간의 즉각적이고 상호적인 소통(Mutual Communication)을 위하여, 스마트 폰(smart phone),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모바일 폰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또는 가전 기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터치 표시 장치는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전극들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별도로 구비된 온-셀(On-Cell) 방식 또는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전극들을 포함하는 터치 구성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에 내장된 인-셀(In-Cell)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의 표시 장치는 하우징 및 커버 윈도우의 코너 영역이 곡선(또는 라운딩) 형태를 가짐으로써 코너 영역의 보다 자연스러운 형상으로 인해 디자인적으로 향상된 미감을 가질 수 있으며, 코너 영역의 화면이 보다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본 출원은 화면의 코너 영역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면서 우수한 터치 감도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코너 터치 영역을 갖는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의 교차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화소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공통 전극을 포함하며, 복수의 공통 전극 중 코너 터치 영역 상에 배치된 제 1 공통 전극들은 코너 터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터치 영역 상에 배치된 제 2 공통 전극들과 다른 형상을 갖는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코너 터치 영역을 갖는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의 교차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 영역, 적어도 하나의 화소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공통 전극, 및 복수의 공통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을 포함하며,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 중 코너 터치 영역 상에 배치된 제 1 공통 전극을 지나는 터치 링크 라인들 간의 제 1 간격은 코너 터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터치 영역 상에 배치된 제 2 공통 전극들을 지나는 터치 링크 라인들 간의 제 2 간격과 다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면의 코너 영역이 곡선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디자인적으로 향상된 미감을 가질 수 있고, 코너 영역의 화면이 보다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으며, 코너 영역뿐만 아니라 터치 영역 전체에 균일한 터치 감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들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화소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1 프레임 기간의 표시 기간과 터치 기간 동안 공통 전극들에 공급되는 공통 전압과 터치 구동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공통 전극들과 구동 회로부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공통 전극들과 구동 회로부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공통 전극들과 구동 회로부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들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화소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0), 게이트 구동부(30), 데이터 구동부(40), 메인 프로세서(50), 터치 구동부(60), 및 공통 전압 보상부(7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은 하부기판,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의 하부 기판에는 데이터 라인들(D1~Dm), 게이트 라인들(G1~Gn), 터치 링크 라인들(T1~Tp), 및 피드백 라인(FL)이 형성된다.
게이트 라인들(Gn~Gn)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 1 방향은 도 1에서 X축 방향으로 정의된다. 데이터 라인들(D1~Dm)은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 2 방향은 도 1에서 Y축 방향으로 정의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라인들(D1~Dm)은 게이트 라인들(G1~Gn)과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데이터 라인들(D1~Dm)과 게이트 라인들(G1~Gn)의 교차부들에는 화소(P)들이 형성될 수 있다. 화소(P)들은 데이터 라인(D1~Dm) 및 게이트 라인(G1~Gn)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링크 라인들(T1~Tp)은 제 1 방향(X) 또는 제 2 방향(Y)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 에서는 터치 링크 라인들(T1~Tp)이 제 2 방향(Y)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화소(P)들 각각은 트랜지스터(TFT), 화소 전극(11), 공통 전극(TE),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FT)는 제k(k는 1≤k≤n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게이트 라인(Gk)의 게이트 신호에 의해 턴-온(Turn-on) 되어 제j(j는 1≤j≤m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데이터 라인(Dj)의 데이터 전압을 화소 전극(11)에 공급한다.
공통 전극(TE)은 터치 구동부(60)에 연결된 터치 링크 라인들(T1~Tp)로부터 공통 전압(Vcom)을 공급받는다. 이로 인해, 화소(P)들 각각은 화소 전극(11)에 공급된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극(TE)에 공급된 공통 전압(Vcom)의 전위차에 의해 발생되는 전계에 의해 액정층(13)의 액정을 구동하여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투과량을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소(P)들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화소 전극(11)과 공통 전극(TE) 사이에 마련되어, 화소 전극(11)과 공통 전극(TE) 간의 전압 차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공통 전극(TE)은 적어도 하나의 화소와 중첩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센서 또는 터치 전극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전극(TE)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공통 전극(TE)은 복수의 화소들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공통 전극(TE)은 게이트 라인(G1~Gn)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 1 방향(X)으로 40개의 화소 및 데이터 라인(D1~Dm)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 2 방향(Y)으로 12개 화소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공통 전극(TE)은 480개의 화소 영역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통 전극들(TE) 각각의 크기는 표시 패널의 크기(또는 해상도) 및 터치 해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피드백 라인(FL)은 공통 전압 보상부(70)와 화소(P)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화소를 연결한다. 피드백 라인(FL)은 적어도 하나의 화소(P)에 공급되는 공통 전압(Vcom)을 공통 전압 보상부(70)로 피드백한다.
표시 패널(10)의 상부 기판에는 화소(P)들에서 방출된 빛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화소(P)들 각각을 구분하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와 컬러 필터(color filter)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표시 패널(10)이 COT(Color filter On TFT)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블랙 매트릭스와 컬러 필터는 표시 패널(10)의 하부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각각에는 편광판이 부착되고 액정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표시 패널(10)의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는 액정 셀의 셀 갭(cell gap)을 유지하기 위한 컬럼 스페이서(column spacer)가 형성된다.
표시 패널(10)은 복수의 회소(P)들로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표시 영역의 각 코너부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하부 기판의 배면 아래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에지형(Edge type) 또는 직하형(Direct type)으로 구현되어 표시 패널(10)에 빛을 조사한다.
타이밍 컨트롤러(20)는 메인 프로세서(50)로부터 타이밍 신호들(timing signal, TS)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를 입력받는다. 타이밍 신호들(TS)은 수직 동기 신호(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수평 동기 신호(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 도트 클럭(dot clo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동기 신호는 1 프레임 기간(1 frame period)을 정의하는 신호이다. 수평 동기 신호는 표시 패널(10)의 게이트 라인들(G1~Gn)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하나의 화소열에 데이터 전압들을 동시에 공급하는 1 수평 기간을 정의하는 신호이다. 화소열 상에 배치된 화소들은 동일한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는 유효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가 공급되는 기간을 정의하는 신호이다. 도트 클럭은 타이밍 컨트롤러(20) 내부의 타이머에 의해 미리 설정된 주기로 반복되는 클럭 신호이다.
타이밍 컨트롤러(20)는 수직 동기 신호를 기반으로 표시 모드와 터치 모드를 구분하기 위해 모드 신호(MODE)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밍 컨트롤러(20)는 수직 동기 신호에 따른 1 프레임 기간을 표시 구간과 터치 구간으로 구분하고, 표시 기간 동안 제 1 로직 레벨 전압의 모드 신호(MODE)를 출력하고, 터치 기간 동안 제 2 로직 레벨 전압의 모드 신호(MODE)를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0)는 타이밍 신호들(TS)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제어 신호(GCS)와 데이터 구동부(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DCS)를 생성한다. 타이밍 컨트롤러(20)는 터치 구동부(6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제어 신호(TCS)를 생성한다. 타이밍 컨트롤러(20)는 표시 기간 동안 게이트 구동부(30)에 게이트 구동 제어 신호(GCS)를 출력하고, 데이터 구동부(40)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DCS)를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0)는 터치 구동부(60)에 터치 제어 신호(TCS)와 모드 신호(MODE)를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30)는 표시 기간 동안 타이밍 컨트롤러(2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GCS)에 따라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게이트 구동부(30)는 표시 기간 동안 게이트 신호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게이트 라인들(G1~Gn)에 공급한다. 미리 정해진 순서는 순차적인 순서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부(30)는 트랜지스터(TFT)의 제조 공정과 함께 표시 패널(10)의 일측 비표시 영역에 집적(또는 내장)되어 게이트 라인들(G1~Gn)들과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게이트 구동부(30)는 집적 회로로 이루어져 표시 패널(10)에 실장되어 게이트 라인들(G1~Gn)들과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40)는 표시 기간 동안 타이밍 컨트롤러(20)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DCS)를 공급받는다. 데이터 구동부(40)는 표시 기간 동안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DCS)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한다. 데이터 구동부(40)는 표시 기간 동안 데이터 전압들을 데이터 라인들(D1~Dm)에 공급한다.
메인 프로세서(50)는 표시 장치의 메인 보드에 실장된 중앙처리장치(CPU), 호스트 프로세서(host processor),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처리장치(GPU)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50)는 디지털 비디오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TS)을 표시 패널(10)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타이밍 컨트롤러(20)에 전송한다.
메인 프로세서(50)는 터치 구동부(60)로부터 터치 좌표 데이터(CD)를 입력받을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50)는 터치 좌표 데이터(CD)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발생한 좌표와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50)는 실행 프로그램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TS)을 타이밍 컨트롤러(2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60)는 타이밍 컨트롤러(20)로부터 터치 제어 신호(TCS)와 모드 신호(MODE)를 입력받는다. 터치 구동부(60)는 공통 전압 보상부(70)로부터 공통 전압(Vcom)을 입력받는다.
터치 구동부(60)는 타이밍 컨트롤러(20)로부터의 모드 신호(MODE)에 따라 표시 기간과 터치 기간을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60)는 공통 전압 보상부(70)로부터 공급되는 공통 전압(Vcom)을 수신하고, 표시 기간 동안 공통 전압(Vcom)을 공통 전극들(TE)에 동시에 공급한다.
터치 구동부(60)는 터치 기간 동안 터치 제어 신호(TCS)에 따라 터치 구동 신호(TDS)를 생성한다. 터치 구동부(60)는 터치 구동 신호(TDS)를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터치 링크 라인들(T1~Tp)에 공급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순서가 순차적인 순서인 경우, 터치 구동부(60)는 제 1 내지 제 p 터치 링크 라인들(T1~Tp)에 터치 구동 신호(TDS)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60)는 터치 링크 라인들(T1~Tp)을 통해 공통 전극(TE) 각각의 정전 용량 변화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들을 수신한다. 터치 구동부(60)는 터치 센싱 신호들을 소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산하여 터치가 발생한 터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60)는 터치 좌표를 포함하는 터치 좌표 데이터(CD)를 메인 프로세서(50)로 공급한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50)는 터치 좌표 데이터(CD)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발생한 좌표와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실행 프로그램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타이밍 컨트롤러(20)로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터치 구동부(60)는 터치 센싱 신호들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터치 로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로우 데이터를 메인 프로세서(5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50)는 터치 구동부(60)로부터 제공되는 터치 로우 데이터들을 소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산하여 터치가 발생한 터치 좌표를 산출하고, 터치 좌표와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공통 전압 보상부(70)는 피드백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통 전압(Vcom)의 전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보상하고, 일정한 전위를 갖는 공통 전압(Vcom)을 터치 구동부(60)에 공급한다. 즉, 공통 전압 보상부(70)는 피드백 라인(FL)을 통해서 공통 전극에 공급되는 공통 전압(Vcom)을 피드백 받아, 공통 전압(Vcom)의 전위를 조절함으로써 표시 기간 동안 공통 전극에 공급되는 공통 전압의 전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일 예에 따른 공통 전압 보상부(70)는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공통 전압을 기반으로, 피드백 라인(FL)으로부터 공통 전극(TE)들의 공통 전압 변화량을 보상한다. 이때, 공통 전압 보상부(70)는 표시 기간과 터치 기간으로 구분되어 동작하고, 표시 기간 동안에만 피드백 라인(FL)의 전압 변화량에 따라 공통 전압(Vcom)을 보상한다. 예를 들어, 공통 전압 보상부(70)는 기준 공통 전압 레벨에서 피드백 라인(FL)에 반영된 공통 전압 변화량을 반전 증폭함으로써 표시 패널(10)에서 발생한 불특정 노이즈(noise)에 따른 공통 전압 변화량을 보상한 공통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타이밍 컨트롤러(20), 데이터 구동부(40), 터치 구동부(60), 및 공통 전압 보상부(70)는 하나의 집적 회로로 구현된 구동 회로부(또는 통합 구동 집적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게이트 구동부(30)는 표시 패널(10)에 내장되지 않고 구동 회로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에 마련된 공통 전극(TE)을 터치 전극으로 사용하는 인-셀(In-Cell) 터치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터치 패널이 필요 없어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터치 전극들과 터치 라우팅 라인들을 갖는 별도의 터치 패널이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온-셀(On-Cell) 터치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1 프레임 기간의 표시 기간과 터치 기간 동안 공통 전극들에 공급되는 공통 전압과 터치 구동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와 터치 센싱을 모두 수행하기 위해, 1 프레임 기간(1 frame period)을 표시 기간(DP)과 터치 기간(TP)으로 시분할하여 구동한다. 타이밍 컨트롤러(20)는 본 출원에 따른 인셀 터치 표시 장치를 1 프레임 기간(1 frame period)의 표시 기간(DP) 동안 표시 모드로 동작시키고, 터치 기간(TP) 동안 터치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예로, 1 프레임 기간(1 frame period)이 16.7ms인 경우, 1 프레임 기간(1 frame period) 내에서 표시 기간(DP)을 10.7ms, 터치 기간을 6ms로 분리하여 구동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구동부(60)는 표시 기간(DP) 동안 터치 링크 라인들(T1~Tp)을 통해서 공통 전극(TE)들에 공통 전압(Vcom)을 공급한다. 그리고, 터치 구동부(60)는 터치 기간(TP) 동안 터치 링크 라인들(T1~Tp)을 통해서 공통 전극(TE)들에 터치 구동 신호(TDS)를 공급하고, 터치 링크 라인들(T1~Tp)을 통해서 공통 전극(TE)들의 정전 용량 변화를 센싱한다. 이에 따라, 공통 전극(TE)은 터치 기간(TP) 동안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전극으로 사용된다.
도 4에서는 1 프레임 기간(1 frame period)이 하나의 표시 기간(DP)과 하나의 터치 기간(TP)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1 프레임 기간(1 frame period)은 복수의 표시 기간(DP)과 복수의 터치 기간(TP)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구동 신호(TDS)는 복수 개의 펄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터치 구동 신호(TDS)가 공통 전압(Vcom)보다 높은 레벨의 전압을 갖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터치 구동 신호(TDS)는 공통 전압(Vcom)보다 낮은 레벨의 전압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커버 윈도우(300) 및 하우징(500)을 포함한다.
커버 윈도우(300)는 표시 패널의 전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하우징(500)에 지지되거나 표시 패널(10)의 전면 전체에 부착되어 하우징(500)에 지지된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300)는 강화 글라스(Glass), 투명 플라스틱, 또는 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는 투명 영역(TA), 데코 영역(DA), 및 라운딩 코너부(CP)를 포함한다.
투명 영역(TA)은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또는 터치 영역)과 중첩되도록 커버 윈도우(300)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는 것으로,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이 투과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투명 영역(TA)은 각 코너부에 마련된 라운딩부(RP1, RP2, RP3, RP4)를 포함할 수 있고, 라운딩부(RP1, RP2, RP3, RP4)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데코 영역(DA)은 투명 영역(TA)을 제외한 나머지 커버 윈도우(3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되는 것으로,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덮는다. 데코 영역(DA)은 소정의 색상을 가지도록 커버 윈도우에 인쇄된 인쇄층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데코 영역(DA)은 카메라 홀, 센서 홀, 카메라 프래쉬 홀, 및 스피커 홀 등을 포함한다.
라운딩 코너부(CP)는 커버 윈도우(300)의 각 코너부에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로 형성된다.하우징(500)은 표시 패널(10)을 수납하면서 커버 윈도우(300)를 지지한다. 하우징(500)은 커버 윈도우(300)에 부착된 표시 패널(10)을 후면과 각 측면을 직접적으로 감싼다. 하우징(500)의 각 코너부는 커버 윈도우(300)의 라운딩 코너부(CP)와 대응되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로 라운딩된다.
이와 같은,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커버 윈도우(300) 및 하우징(500) 각각의 코너부들(CP)이 직각 형태를 가지지 않고 곡선 형태로 라운딩됨으로써 코너 영역의 보다 자연스러운 형상으로 인해 디자인적으로 향상된 미감을 가질 수 있으며, 코너 영역의 화면이 보다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공통 전극들과 구동 회로부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에 정의된 터치 영역(TA) 상에 배치된 복수의 공통 전극(TE), 복수의 공통 전극(TE)과 일대일로 연결된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 및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과 연결된 구동 회로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영역(TA)은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과 중첩되도록 정의된다. 터치 영역(TA)의 각 코너부(TAa)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로 라운딩된다. 이러한 터치 영역(TA)은 각 코너부(TAa)에 인접한 코너 터치 영역들(CTA), 및 코너 터치 영역들(CTA)을 제외한 나머지 비코너 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 터치 영역들(CTA)은 평면을 기준으로, 터치 영역(TA)의 좌상측, 우상측, 좌하측, 및 우하측 코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비코너 터치 영역은 평면을 기준으로, 터치 영역(TA)의 좌상측, 우상측, 좌하측, 및 우하측 코너 영역 각각을 제외한 터치 영역(TA)의 중앙 영역, 중앙 영역의 좌측 가장자리 영역, 중앙 영역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 중앙 영역의 상측 가장자리 영역, 및 중앙 영역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통 전극(TE)은 표시 패널 상에 정의된 터치 영역(TA)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공통 전극 중 코너 터치 영역(CTA) 상에 배치된 코너 공통 전극들(TE1)은 코너 터치 영역(CTA)을 제외한 나머지 터치 영역(TA) 상에 배치된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과 다른 형상을 갖는다. 즉, 터치 영역(TA)의 코너 터치 영역(CAT) 상에 배치된 복수의 공통 전극(TE)은 코너 공통 전극들(TE1)(또는 제 1 공통 전극)로 정의될 수 있고, 터치 영역(TA)의 코너 터치 영역(CAT)을 제외한 나머지 터치 영역(TA) 상에 배치된 복수의 공통 전극(TE)은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또는 중앙 공통 전극이거나 제 2 공통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코너 공통 전극들(TE1)은 제 1 공통 전극으로 표현될 수도 있고,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은 제 2 공통 전극 또는 중앙 공통 전극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른 코너 공통 전극들(TE1)은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과 다른 형상(또는 다른 크기)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 공통 전극들(TE1)은 사각 형태를 가지되, 터치 영역(TA)의 코너부(TAa)에 인접한 일측 코너부에 사선 또는 직선 형태로 모따기 처리된 챔퍼부(Chamfer)(TE1a)를 포함한다.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은 사각 형태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은 복수의 공통 전극(TE)에 전기적으로 일대일 연결되고, 제 1 방향(X) 또는 제 2 방향(Y)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은 그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 각각은 컨택홀(CH)을 통하여 해당하는 공통 전극(T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예로, 제 2 방향(Y)을 따라 배치된 5개의 공통 전극(TE)과 중첩되도록 5개의 터치 링크 라인들(T1~T5, T6~T10, Tp-4~Tp)이 배치된 경우, 첫 번째 터치 링크 라인들(T1, T6, Tp-4)은 첫 번째 열에 배치된 공통 전극들(TE)에 각각 연결되고, 두 번째 터치 링크 라인들(T2, T7, Tp-3)은 두 번째 열에 배치된 공통 전극들(TE)에 각각 연결되고, 세 번째 터치 링크 라인들(T3, T8, Tp-2)은 세 번째 열에 배치된 공통 전극들(TE)에 각각 연결되고, 네 번째 터치 링크 라인들(T4, T9, Tp-1)은 네 번째 열에 배치된 공통 전극들(TE)에 각각 연결되며, 다섯 번째 터치 링크 라인들(T5, T10, Tp)은 다섯 번째 열에 배치된 공통 전극들(TE)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 각각은 공통 전극(TE)들보다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일 예에 따른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은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Ti),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Ti/Al/Ti),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메탈 물질로 이루어진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부(900)는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과 일대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동 회로부(900)는 표시 기간 동안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 각각을 통해 복수의 공통 전극(TE)에 공통 전압을 공급한다. 그리고, 구동 회로부(900)는 터치 기간 동안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 각각을 통해서 복수의 공통 전극(TE) 각각에 터치 구동 신호(TS)을 공급한 후, 다시 터치 링크 라인들(T1~Tp)을 통해서 공통 전극(TE)들의 정전 용량 변화를 센싱한다. 이러한 구동 회로부(9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타이밍 컨트롤러(20), 데이터 구동부(40), 터치 구동부(60), 및 공통 전압 보상부(70)를 포함하는 하나의 집적 회로 또는 통합 구동 집적 회로일 수 있다. 나아가, 구동 회로부(9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게이트 구동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일 예는 터치 영역(TA)의 코너부(TAa)를 마주하는 코너 공통 전극들(TE1)의 일측 코너부에 챔퍼부(TE1a)를 형성하고 터치 영역(TA)의 코너부(TAa)를 곡선 형태로 라운딩시킴으로써 표시 장치의 코너 영역을 보다 자연스러운 곡선 형태로 구현해 표시 장치의 디자인적으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공통 전극들과 구동 회로부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로서, 이들은 도 6에 도시된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의 배치를 변경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 및 이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나머지 다른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 각각은 복수의 컨택홀(CH)들을 통해서 복수의 공통 전극(TE)과 일대일로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 각각은 공통 전극(TE)들보다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은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Ti),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Ti/Al/Ti),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메탈 물질로 이루어진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 중 비코너 공통 전극(TE2)과 코너 공통 전극(TE1)을 지나는 터치 링크 라인들은 제 1 간격(D1)으로 배치되고, 비코너 공통 전극(TE2)만을 지나는 터치 링크 라인들은 제 1 간격(D1)과 다른 제 2 간격(D2)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간격(D1)은 제 2 간격(D2)보다 좁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T1~Tp)은 제 1 그룹(TLG1) 및 제 2 그룹(TLG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그룹(TLG1)은 제 2 방향(Y)과 평행하면서 제 1 방향(X)을 따라 제 1 간격(D1)으로 이격되면서, 비코너 공통 전극(TE2)과 코너 공통 전극(TE1)을 지나는 터치 링크 라인들(T1~T5, Tp-4~Tp)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그룹(TLG1)의 터치 링크 라인들(T1~T5, Tp-4~Tp)은 터치 영역(TA)의 코너 터치 영역(CAT)을 포함하는 터치 영역(TA)의 양 가장자리 부분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 1 그룹(TLG1)의 터치 링크 라인들(T1~T5, Tp-4~Tp)은, 제 2 방향(Y)을 기준으로, 2개의 코너 공통 전극들(TE1)과 복수의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 모두를 지나가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코너 공통 전극(TE1) 상에는 제 1 간격(D1)을 갖는 5개의 터치 링크 라인들(T1~T5, Tp-4~Tp)이 지나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그룹(TLG2)은 제 2 방향(Y)과 평행하면서 제 1 방향(X)을 따라 제 1 간격(D1)과 다른 제 2 간격(D2)으로 이격되면서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만을 지나는 터치 링크 라인들(T6~T10)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그룹(TLG2)의 터치 링크 라인들(T6~T10)은 터치 영역(TA)의 코너 터치 영역(CAT)을 포함하는 터치 영역(TA)의 양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터치 영역(TA)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 2 그룹(TLG2)의 터치 링크 라인들(T6~T10)은, 제 2 방향(Y)을 기준으로,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만을 지나가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비코너 공통 전극들(TE1) 상에는 제 2 간격(D2)을 갖는 5개의 터치 링크 라인들(T6~T10)이 지나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코너 공통 전극(TE1) 상에 배치되는 제 1 그룹(TLG1)의 터치 링크 라인들(T1~T5, Tp-4~Tp)은 코너 공통 전극(TE1)에 마련된 챔퍼부(TE1a)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중첩된다. 즉, 제 1 그룹(TLG1)의 터치 링크 라인들(T1~T5, Tp-4~Tp)은 코너 공통 전극(TE1)에 마련된 챔퍼부(TE1a)를 지나가지 않거나 챔퍼부(TE1a)와 중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 1 그룹(TLG1)의 터치 링크 라인들(T1~T5, Tp-4~Tp)은 챔퍼부(TE1a)로 이격된 코너 공통 전극(TE1)의 나머지 부분을 완전히 지나갈 수 있도록 제 2 간격(D2)보다 좁은 제 1 간격(D1)을 갖는다. 즉, 제 1 그룹(TLG1)의 터치 링크 라인들(T1~T5, Tp-4~Tp)는 코너 공통 전극(TE1)의 챔퍼부(TE1a)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제 2 그룹(TLG2)의 터치 링크 라인들(T6~T10)의 피치보다 좁은 피치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공통 전극들(TE) 각각과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들(T1~Tp)은 모두 동일한 개수의 컨택홀(CH)을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공통 전극들(TE) 각각과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들(T1~Tp)은 모두 3개의 컨택홀(CH)을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컨택홀(CH)을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그룹(TLG1)의 터치 링크 라인들(T1~T5, Tp-4~Tp) 중 첫 번째 터치 링크 라인들(T1, Tp-4)과 마지막 터치 링크 라인들(T5, Tp) 각각은 3개의 컨택홀(CH)을 통해서 해당하는 코너 공통 전극들(T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나머지 터치 링크 라인들(T2~T4, Tp-3~Tp-1)은 역시 3개의 컨택홀(CH)을 통해서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제 2 그룹(TLG2)의 터치 링크 라인들(T6~T10) 각각은 3개의 컨택홀(CH)을 통해서 해당하는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택홀(CH)은 터치 링크 라인(T1~T10)과 공통 전극(TE)의 교차 영역에 마련되어 터치 링크 라인(T1~T10)이 공통 전극(T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터치 링크 라인(T1~T10)과 공통 전극(TE)의 접촉 면적은 컨택홀(CH)의 개수에 의해 설정되고, 터치 링크 라인(T1~T10)과 공통 전극(TE)의 교차 영역에 마련되는 컨택홀(CH)의 개수가 증가할 수록 증가하게 된다. 터치 링크 라인(T1~T10)과 공통 전극(TE)의 접촉 면적이 증가할수록 터치 링크 라인(T1~T10)과 공통 전극(TE) 간의 접촉 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예는 코너 공통 전극들(TE1)에 마련된 챔퍼부(TE1a)의 폭(W1)을 기반으로, 코너 공통 전극들(T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그룹(TLG1)의 터치 링크 라인들(T1~T5, Tp-4~Tp)의 제 1 간격(D1)(또는 피치)을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그룹(TLG2)의 터치 링크 라인들(T6~T10)의 제 2 간격(D2)(또는 피치)보다 좁게 설정함으로써 코너 공통 전극들(TE1)과 터치 링크 라인들(T1~T5, Tp-4~Tp) 간의 접촉 면적(또는 컨택홀의 개수)과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과 터치 링크 라인들(T6~T10) 간의 접촉 면적(또는 컨택홀의 개수)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더미 라인(DTL)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더미 라인들(DTL) 각각은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 각각 상에 터치 링크 라인들(T6~T10)과 나란하면서, 인접한 2개의 터치 링크 라인들(T6~T1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인접한 2개의 터치 링크 라인들(T6~T1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라인(DTL)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라인들(DTL) 각각은 더미 컨택홀(DCH)을 통해서 해당하는 공통 전극(T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방향(Y)을 따라 인접한 2개의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 각각 상에 배치된 더미 라인들(DTL)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고 더미 라인들(DTL)끼리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즉, 더미 라인들(DTL)은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 상에만 배치된다.
일 예에 따른 더미 라인들(DTL) 각각은 코너 공통 전극들(TE1) 각각 상에 터치 링크 라인들(T6~T10)과 나란하도록 코너 공통 전극들(TE1)의 외측 가장자리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더미 라인들(DTL) 각각은 더미 컨택홀(DCH)을 통해서 해당하는 코너 공통 전극(T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코너 공통 전극들(TE1) 상에 배치된 더미 라인들(DTL) 각각은 제 2 방향(Y)을 따라 인접한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 각각 상에 배치된 더미 라인들(DTL)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일 예에 따른 더미 라인들(DTL)은 공통 전극(TE)들보다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더미 라인들(DTL)은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들(T1~Tp)과 동일한 메탈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더미 라인들(DTL)은 터치 링크 라인들(T6~T10)에 의해 공통 전극(TE)을 투과하는 영상에서 발생되는 칼라 쉬프트(Color Shift) 현상을 방지하고,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들(TE)의 면저항을 감소시켜 터치 감도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공통 전극들(TE)과 해당하는 터치 링크 라인들(T1~Tp) 간의 접촉 면적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형상(또는 다른 크기)를 갖는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과 코너 공통 전극들(TE1) 간의 터치 감도의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코너 터치 영역(CTA)에 대한 터치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공통 전극들과 구동 회로부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로서, 이들은 도 7에 도시된 코너 공통 전극들의 형상을 변경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코너 공통 전극 및 이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나머지 다른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코너 공통 전극들(TE1)은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과 다른 형상(또는 다른 크기)을 가질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코너 공통 전극들(TE1)은 사각 형태를 가지되, 터치 영역(TA)의 코너부(TAa)에 인접한 일측 코너부에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로 라운딩 처리된 라운딩부(TE1b)를 포함한다.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은 사각 형태를 갖는다.
상기 코너 공통 전극들(TE1)의 라운딩부(TE1b)는 제 1 곡률 반경(r1)을 가질 수 있으며, 터치 영역(TA)의 코너부(TAa)는 제 1 곡률 반경(r1)과 다른 제 2 곡률 반경(r2)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1 곡률 반경(r1)과 제 2 곡률 반경(r2) 각각의 중심점을 동일할 수 있다. 즉, 코너 공통 전극들(TE1)의 라운딩부(TE1b)와 터치 영역(TA)의 코너부(TAa)는 동심원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예는 터치 영역(TA)의 코너부(TAa)로 인하여 발생되는 코너 공통 전극들(TE1)와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 간의 크기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코너 공통 전극들(TE1)와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 간의 터치 감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공통 전극들(TE)과 해당하는 터치 링크 라인들(T1~Tp) 간의 접촉 면적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형상(또는 다른 크기)를 갖는 비코너 공통 전극들(TE2)과 코너 공통 전극들(TE1) 간의 터치 감도의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코너 터치 영역(CTA)에 대한 터치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표시 패널 11: 화소 전극
13: 액정층 20: 타이밍 컨트롤러
30: 게이트 구동부 40: 데이터 구동부
50: 메인 프로세서 60: 터치 구동부
70: 공통 전압 보상부 80: 터치 패널
P: 화소 PA: 표시 영역
TE: 공통 전극 G1~Gn: 게이트 라인들
D1~Dm: 데이터 라인들 T1~Tp: 터치 링크 라인들
FL: 피드백 라인 300: 커버 윈도우
500: 하우징 900: 구동 회로부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코너 터치 영역을 갖는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 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의 교차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 영역;
    적어도 하나의 화소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공통 전극; 및
    상기 복수의 공통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 중 상기 코너 터치 영역 상에 배치된 제 1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터치 영역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나는 제 1 그룹의 터치 링크 라인들 간의 제 1 간격은 상기 제 1 그룹의 터치 링크 라인들이 지나는 상기 터치 영역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터치 영역 상에 배치된 제 2 공통 전극들을 지나는 제 2 그룹의 터치 링크 라인들 간의 제 2 간격과 다르고,
    상기 제 1 그룹의 터치 링크 라인들과 상기 제 2 그룹의 터치 링크 라인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간격은 제 2 간격보다 좁은,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통 전극과 상기 제 2 공통 전극은 다른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통 전극과 상기 제 2 공통 전극은 다른 크기를 갖는, 표시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통 전극 각각과 상기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은 모두 동일한 개수의 컨택홀을 통해 연결된, 표시 장치.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통 전극은 챔퍼부 또는 라운딩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통 전극을 지나는 터치 링크 라인들은 상기 챔퍼부 또는 상기 라운딩부로부터 이격된,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영역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로 라운딩된 코너부를 포함하며,
    상기 챔퍼부 또는 상기 라운딩부는 상기 터치 영역의 코너부에 인접한 일측 코너부에 마련된,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통 전극은 상기 터치 영역의 코너부에 인접한 일측 코너부에 마련된 라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통 전극의 라운딩부는 상기 터치 영역의 코너부와 동심원 형태를 갖는, 표시 장치.
  13.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통 전극은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전극으로 사용되는, 표시 장치.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통 전극 각각과 상기 복수의 터치 링크 라인은 모두 동일한 컨택 면적을 갖는, 표시 장치.
KR1020170099060A 2017-08-04 2017-08-04 표시 장치 Active KR102377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060A KR102377960B1 (ko) 2017-08-04 2017-08-04 표시 장치
US16/052,417 US10592031B2 (en) 2017-08-04 2018-08-01 Display device
CN201810870741.3A CN109388277B (zh) 2017-08-04 2018-08-02 显示装置
US16/780,811 US11402935B2 (en) 2017-08-04 2020-02-03 Display device
KR1020220034185A KR102445687B1 (ko) 2017-08-04 2022-03-18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060A KR102377960B1 (ko) 2017-08-04 2017-08-04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185A Division KR102445687B1 (ko) 2017-08-04 2022-03-18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926A KR20190014926A (ko) 2019-02-13
KR102377960B1 true KR102377960B1 (ko) 2022-03-22

Family

ID=652302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060A Active KR102377960B1 (ko) 2017-08-04 2017-08-04 표시 장치
KR1020220034185A Active KR102445687B1 (ko) 2017-08-04 2022-03-18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185A Active KR102445687B1 (ko) 2017-08-04 2022-03-1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592031B2 (ko)
KR (2) KR102377960B1 (ko)
CN (1) CN1093882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8565B2 (ja) 2017-04-10 2021-11-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937191B2 (ja) * 2017-08-22 2021-09-22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センサおよび位置検出装置
CN109508106B (zh) * 2017-09-15 2020-08-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其制作方法及触摸屏
CN207473963U (zh) * 2017-10-31 2018-06-0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有效显示区具有倒角区域的显示屏及显示装置
CN108228004B (zh) * 2018-03-23 2022-10-04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102546769B1 (ko) * 2018-06-08 2023-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CN108897456B (zh) * 2018-07-10 2022-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8845714B (zh) * 2018-08-24 2021-10-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US10990219B2 (en) * 2018-12-05 2021-04-27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Integrated circuit and touch display apparatus to shorten a settle time of a common electrode of a touch display panel
KR102658438B1 (ko) * 2019-03-21 2024-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761169B1 (ko) * 2019-09-04 2025-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92389B1 (ko) * 2019-10-16 2024-08-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
CN111403437B (zh) * 2020-03-16 2023-04-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基板和显示装置
KR102754561B1 (ko) * 2020-12-24 2025-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표시 장치 및 그 터치 구동 회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8280A1 (en) * 2012-10-28 2014-05-01 Tpk Touch Systems (Xiamen) Inc. Touch pane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4242B2 (ja) * 2008-04-09 2013-07-03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表示装置用製造方法
KR20130107379A (ko) * 2012-03-21 2013-10-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9785292B2 (en) 2014-03-07 2017-10-10 Atmel Corporation Variable-pitch tracking for touch sensors
CN104020891A (zh) * 2014-05-30 2014-09-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CN106796468B (zh) * 2014-10-10 2019-10-15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2242108B1 (ko) 2015-01-23 2021-04-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CN104571768B (zh) * 2015-01-30 2018-03-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内嵌式触摸屏和显示装置
CN104731412B (zh) * 2015-04-01 2018-03-1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16467B1 (ko) 2015-07-30 2022-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표시 장치
US9864400B2 (en) * 2015-10-30 2018-01-09 Essential Products, Inc. Camera integrated into a display
KR102355653B1 (ko) * 2015-10-30 2022-0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표시패널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429122B1 (ko) * 2015-12-31 2022-08-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내장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01354B1 (ko) * 2015-12-31 2022-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내장형 표시장치
CN108255354B (zh) * 2016-12-29 2021-03-12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内嵌式触控显示面板
CN106775176B (zh) * 2017-02-14 2020-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自容式触摸显示模组、显示驱动方法和触摸显示装置
JP6968565B2 (ja) * 2017-04-10 2021-11-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322834B1 (ko) * 2017-06-28 2021-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8280A1 (en) * 2012-10-28 2014-05-01 Tpk Touch Systems (Xiamen) Inc. Touch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653A (ko) 2022-03-29
US20190042038A1 (en) 2019-02-07
KR20190014926A (ko) 2019-02-13
CN109388277B (zh) 2021-11-26
KR102445687B1 (ko) 2022-09-20
US10592031B2 (en) 2020-03-17
CN109388277A (zh) 2019-02-26
US11402935B2 (en) 2022-08-02
US20200174608A1 (en)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5687B1 (ko) 표시 장치
EP2990913B1 (en) Touch panel and apparatus for driving thereof
KR101570455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045809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EP2492783B1 (en) Touch integrated display device
KR102033614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045808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1710407B1 (ko) 터치 스크린이 내장된 액정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US10261625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display device
KR102657011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5881808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843462B1 (ko)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TWI614652B (zh) 具有內建觸控螢幕之顯示面板及包含該顯示面板的觸控顯示裝置
CN104536619A (zh) 触摸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1323044B1 (ko) 터치 센싱 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825686B1 (ko) 터치 스크린의 내장된 액정표시장치
KR102089317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2455829B (zh) 红外传感器模块及其自动校正方法和使用该红外传感器模块的触摸感测方法
KR101688428B1 (ko)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35195A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20140097889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40097886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030046845A (ko) 멀티스크린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노트북 컴퓨터 및데스크 타입 컴퓨터
KR20170046014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8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31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