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7656B1 - 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Pneu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656B1
KR102377656B1 KR1020160081782A KR20160081782A KR102377656B1 KR 102377656 B1 KR102377656 B1 KR 102377656B1 KR 1020160081782 A KR1020160081782 A KR 1020160081782A KR 20160081782 A KR20160081782 A KR 20160081782A KR 102377656 B1 KR102377656 B1 KR 102377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main groove
tread
land portion
outer tr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2829A (en
Inventor
도시유키 나카노
게이타 나카노
가즈마 고다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2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8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65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4Asymmetric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60C11/03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by the void or net-to-gross ratios of the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1Tyres requiring an asymmetric or a special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트 성능, 내마모 성능 및 조종 안정 성능을 밸런스 좋게 향상시킨 공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측 트레드부(5)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제1 주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주홈(11)은, 타이어 적도(C)로부터 내측 트레드부(5)의 폭의 0.20배∼0.70배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를 이격시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외측 트레드부(6)에는, 홈 가장자리(26)가 타이어 적도(C) 및 외측 트레드단(Te2)의 어디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슬롯(25)과, 외측 트레드단(Te2)을 따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숄더 랜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tire in which wet performance, abrasion resistance performance, and steering stability performance are improved in a well-balanced manner.
A first main groove 11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inner tread portion 5 . The first main groove 11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ire equator C by a distanc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0.20 to 0.70 times the width of the inner tread 5 . The outer tread portion 6 has a plurality of slots 25 in which the groove edge 26 is not connected to either the tire equator C and the outer tread end Te2, and the tire circumference along the outer tread end Te2. A shoulder land portion 24 continuous in the direction is formed.

Description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pneumatic tire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웨트 성능, 내마모 성능 및 조종 안정성을 밸런스 좋게 향상시킨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in which wet performance, abrasion resistance performance and steering stability are improved in a good balance.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공도 주행 및 서킷 주행에 병용되는 공기 타이어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공기 타이어는, 공도 주행시의 웨트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타이어 적도와 외측 트레드단 사이의 외측 트레드부에, 외측 트레드단 또는 타이어 적도에 접속되는 경사홈이 형성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below, a pneumatic tire used in combination for road running and circuit running is proposed. In the pneumatic tire, an inclined groove connected to the outer tread end or the tire equator is formed in the outer tread portion between the tire equator and the outer tread end in order to ensure wet performance during road driving.

그러나, 이러한 경사홈은, 외측 트레드부의 강성을 작게 하고, 나아가서는 내마모 성능 및 조종 안정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공기 타이어는, 웨트 성능, 내마모 성능 및 조종 안정성의 향상에 대해, 한층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However, such an inclined groove may decrease the rigidity of the outer tread portion and further deteriorate the abrasion resistance performance and steering stability. For this reason, the pneumatic tire of patent document 1 had room for further improvement with respect to the improvement of wet performance, abrasion resistance performance, and handling stability.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38628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338628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측 트레드부에 형성된 주홈의 배치, 및 외측 트레드부에 형성된 슬롯의 배치 등을 개선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웨트 성능, 내마모 성능 및 조종 안정성을 밸런스 좋게 향상시킨 공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based on improving the arrangement of the main groove formed on the inner tread and the arrangement of the slots formed on the outer tread, wet performance, abrasion resistance performance and steering stability Its main object is to provide a pneumatic tire with improved balance.

본 발명은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이 지정됨으로써, 내측 트레드단과, 외측 트레드단이 정해진 트레드부를 갖는 공기 타이어로서, 상기 트레드부는, 타이어 적도와 상기 내측 트레드단 사이의 내측 트레드부와, 타이어 적도와 상기 외측 트레드단 사이의 외측 트레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트레드부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제1 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주홈은, 타이어 적도로부터 상기 내측 트레드부의 폭의 0.20배∼0.70배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를 이격시킨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트레드부에는, 홈 가장자리가 타이어 적도 및 상기 외측 트레드단의 어디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슬롯과, 상기 외측 트레드단을 따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숄더 랜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neumatic tire having a tread portion having an inner tread end and an outer tread end defined by a mounting direction specified for a vehicle, wherein the tread portion includes an inner tread portion between the tire equator and the inner tread end, the tire equator and the an outer tread portion between the ends of the outer tread, wherein a first main groove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is formed in the inner tread portion, the first main groove being 0.20 times to 0.20 times the width of the inner tread from the equator of the tire a plurality of slots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0.70 times the distanc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in the outer tread portion, along the outer tread end, the groove edge is not connected to either the tire equator or the outer tread e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houlder land portion continuou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트레드부에는, 타이어 적도와 상기 제1 주홈 사이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제2 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main groove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is formed between the tire equator and the first main groove in the inner tread portion.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트레드부는, 상기 슬롯만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neumatic tire of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only the said slot is formed in the said outer tread part.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길이 방향이 타이어 축 방향에 대해 0°∼45°의 각도로 연장되는 타원형의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t preferably includes an elliptical one whos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s at an angle of 0° to 45°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트레드부에는, 타이어 적도와 상기 제1 주홈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제2 주홈과, 상기 내측 트레드단과 상기 제1 주홈 사이의 제1 랜드부와, 타이어 적도와 상기 제2 주홈 사이의 제2 랜드부와, 상기 제1 주홈과 상기 제2 주홈 사이의 제3 랜드부가 형성되고, 타이어 회전축을 포함하는 자오선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드부, 상기 제2 랜드부 및 상기 제3 랜드부는, 각각, 트레드면과 상기 제1 주홈 또는 상기 제2 주홈의 홈 벽면 사이의 코너부에, 상기 트레드면에 대해 비스듬히 연속해 있는 모따기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ner tread portion, a second main groove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tire equator and the first main groove, and a first land portion between the inner tread end and the first main groove and a second land portion between the tire equator and the second main groove and a third land portion between the first main groove and the second main groove are formed, in a meridian cross section including a tire rotation shaft, the first land portion , the second land portion and the third land portion each having a chamfered portion obliquely continuous with respect to the tread surface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tread surface and the groove wall surface of the first main groove or the second main groove desirable.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드부, 상기 제2 랜드부 및 상기 제3 랜드부는, 각각, 홈 및 사이프의 어느 것도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슬릭형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and portion, the second land portion, and the third land portion are each of a slick type in which neither a groove nor a sipe is formed.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드부 및 상기 제2 랜드부의 상기 모따기부의 타이어 반경 방향에 대한 각도는, 상기 제3 랜드부의 상기 모따기부의 타이어 반경 방향에 대한 각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angle of the first land portion and the second lan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tire radial direction of the chamfer is larger than an angle of the third lan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tire radial direction of the chamfer. Do.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드부 및 상기 제2 랜드부의 상기 모따기부의 타이어 반경 방향에 대한 각도는, 60°∼75°이고, 상기 제3 랜드부의 상기 모따기부의 타이어 반경 방향에 대한 각도는, 45°∼55°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gle of the first land portion and the second lan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tire radial direction of the chamfer is 60° to 75°, and the third land portion in the tire radial direction of the chamfer portion The angle to is preferably 45° to 55°.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타이어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로 슬롯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lot consists only of a transverse slot extending along the tire axial direction.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타이어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로 슬롯과, 타이어 축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경사 슬롯을 포함하고, 이들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lots include a transverse slot extending along the tire axial direction and an inclined slot extending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these being alternately arrang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의 내측 트레드부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제1 주홈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주홈은, 타이어 적도로부터 내측 트레드부의 폭의 0.20배∼0.70배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를 이격시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주홈의 위치가 최적화되어, 타이어 적도 부근의 패턴 강성과, 내측 트레드단 부근의 패턴 강성이 밸런스 좋게 확보된다. 따라서, 우수한 내마모 성능 및 조종 안정성이 발휘된다. A first main groove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inner tread portion of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in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ire equator by a distanc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0.20 to 0.70 times the width of the inner tread. Thereby, the position of the first main groove is optimized, and the pattern rigidity in the vicinity of the tire equator and the pattern rigidity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tread end are ensured in a good balance. Accordingly, excellent wear resistance performance and steering stability are exhibited.

외측 트레드부에는, 홈 가장자리가 타이어 적도 및 외측 트레드단의 어디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롯은, 외측 트레드부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웨트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The outer tread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ots whose groove edges are not connected to either the tire equator or the outer tread end. These slots help to increase wet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the stiffness of the outer tread.

게다가, 외측 트레드부에는, 외측 트레드단을 따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숄더 랜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숄더 랜드부는, 코너링시에 큰 접지압이 작용하는 외측 트레드단 부근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우수한 조종 안정성이 발휘된다. Further, the outer tread portion is formed with a shoulder land portion continuou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tread end. Such a shoulder land portion can increase the rigidity in the vicinity of the outer tread end to which a large ground pressure acts at the time of cornering, and furthermore, excellent steering stability is exhibi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는, 웨트 성능, 내마모 성능 및 조종 안정성을 밸런스 좋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wet performance, the abrasion resistance performance, and the steering stability with good bal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측 트레드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외측 트레드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비교예의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전개도이다.
1 is an exploded view of a tread portion of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ner tread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outer tread of FIG. 1 .
5 is an exploded view of a tread portion of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view of a tread portion of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view of a tread portion of a pneumatic tire of a comparative 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이하, 간단히 「타이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1)의 트레드부(2)의 전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1)는, 예컨대, 승용차용으로서 사용되며, 특히 공도 주행과, 서킷 주행의 양방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한 고성능 타이어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1 is an exploded view of the tread portion 2 of a pneumatic tir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ir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neumatic tir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for example, for a passenger car, and is particularly suitably used as a high-performance tire premised on use in both public road driving and circuit driving.

트레드부(2)는,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이 지정된 트레드 패턴을 구비하고 있다.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은, 예컨대, 사이드월부(도시 생략) 등에 문자나 마크로 표시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타이어(1)가 차량에 장착된 경우, 도 1의 우측이 차량 내측에 대응하고, 도 1의 좌측이 차량 외측에 대응하고 있다. The tread portion 2 is provided with a tread pattern in which the mounting direction to the vehicle is specified. The mounting direction to the vehicle is indicated by characters or marks, for example, on a sidewall portion (not shown) or the like. In Fig. 1, when the tire 1 is mounted on a vehicle, the right side in Fig. 1 corresponds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nd the left side in Fig. 1 corresponds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이 지정됨으로써, 트레드부(2)는, 차량 장착시에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트레드단(Te1)과, 차량 장착시에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트레드단(Te2)을 갖고 있다. By designating the mounting direction to the vehicle, the tread portion 2 has an inner tread end Te1 located inside the vehicle when mounted on the vehicle, and an outer tread end Te2 located outside the vehicle when mounted to the vehicle, there is.

각 트레드단(Te1, Te2)은, 정규 림(도시하지 않음)에 림 조립되며 또한 정규 내압이 충전되고, 게다가 무부하인 정규 상태의 타이어(1)에, 정규 하중을 부하하여 캠버각 0°로 평면에 접지시켰을 때의 가장 타이어 축 방향 외측의 접지 위치이다. Each of the tread ends Te1 and Te2 is rim-assembled on a regular rim (not shown), and a regular load is applied to the tire 1 in a regular state, filled with a regular internal pressure, and in a no-load state to achieve a camber angle of 0°. This is the grounding position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tire in the axial direction when grounded on a flat surface.

「정규 림」은, 타이어가 기초하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상기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림이며, 예컨대 JATMA이면 "표준 림", TRA이면 "Design Rim", ETRTO이면 "Measuring Rim"이다.A "regular rim" is a rim that is set for each tire in the standard system including the standard on which the tire is based, for example, "standard rim" for JATMA, "Design rim" for TRA, and "Measuring rim" for ETRTO. "am.

「정규 내압」은, 타이어가 기초하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각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공기압이며, JATMA이면 "최고 공기압", TRA이면 표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대값, ETRTO이면 "INFLATION PRESSURE"이다. "Normal internal pressure" is the air pressure determined for each tire by each standard in the standard system including the standard on which the tire is based. "Maximum air pressure" for JATMA,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 for TRA If it is the maximum value described in ETRTO, it is "INFLATION PRESSURE".

「정규 하중」은, 타이어가 기초하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각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하중이며, JATMA이면 "최대 부하 능력", TRA이면 표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대값, ETRTO이면 "LOAD CAPACITY"이다. "Normal load" is the load that each standard determines for each tire in the standard system including the standard on which the tire is based. "Maximum load capacity" for JATMA,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 for TRA The maximum value described in ", if ETRTO is "LOAD CAPACITY".

트레드부(2)는, 타이어 적도(C)와 내측 트레드단(Te1) 사이의 내측 트레드부(5)와, 타이어 적도(C)와 외측 트레드단(Te2) 사이의 외측 트레드부(6)를 포함하고 있다. The tread portion 2 includes an inner tread portion 5 between the tire equator C and the inner tread end Te1, and an outer tread portion 6 between the tire equator C and the outer tread end Te2. contains

도 2에는, 도 1의 내측 트레드부(5)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트레드부(5)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주홈(1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주홈(10)은, 예컨대,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의 주홈(10)은, 예컨대, 일정한 홈 폭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 주홈(10)은,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그재그형 또는 물결형으로 연장되는 양태, 혹은, 홈 폭이 증감하면서 연장되는 양태여도 좋다. FIG. 2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inner tread 5 of FIG. 1 . As shown in FIG. 2 , a main groove 10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inner tread portion 5 . The main groove 10 of this embodiment extends linearly along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example. Moreover, the main groove 10 of this embodiment is extended with a fixed groove width, for example. However, the main groove 10 is not limited to this aspect, The aspect extended in a zigzag shape or a wave shape, or the aspect extended while increasing and decreasing a groove|channel width may be sufficient.

주홈(10)은, 제1 주홈(11)과, 제1 주홈(11)과 타이어 적도(C) 사이에 형성된 제2 주홈(12)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1 주홈(11) 및 제2 주홈(12)은, 웨트 주행시, 내측 트레드부(5)와 노면 사이의 수막(水膜)을 효과적으로 타이어 외측으로 배출하여, 우수한 웨트 성능을 발휘한다.The main groove 10 includes a first main groove 11 and a second main groove 12 formed between the first main groove 11 and the tire equator (C). The first main groove 11 and the second main groove 12 effectively discharge the water film between the inner tread 5 and the road surface to the outside of the tire during wet driving, thereby exhibiting excellent wet performance.

제1 주홈(11)은, 타이어 적도(C)로부터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L1)를 이격시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리(L1)는, 내측 트레드부(5)의 폭(W1)의 0.20배∼0.70배이다. 이에 의해, 제1 주홈(11)의 위치가 최적화되어, 타이어 적도(C) 부근의 패턴 강성과, 내측 트레드단(Te1) 부근의 패턴 강성이 밸런스 좋게 확보된다. 따라서, 우수한 내마모 성능 및 조종 안정성이 발휘된다. The first main groove 11 is form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tire equator C by a distance L1 in the tire axial direction. The distance L1 is 0.20 to 0.70 times the width W1 of the inner tread 5 . Thereby, the position of the 1st main groove 11 is optimized, and the pattern rigidity in the vicinity of the tire equator C and the pattern rigidity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tread end Te1 are ensured in a good balance. Accordingly, excellent wear resistance performance and steering stability are exhibited.

전술한 효과를 더 발휘시키기 위해서, 상기 거리(L1)는, 바람직하게는 내측 트레드부(5)의 폭(W1)의 0.35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배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55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배 이하이다. In order to further exhibit the above-described effect, the distance L1 is preferably 0.35 times or more, more preferably 0.40 times or more, and preferably 0.55 times or less of the width W1 of the inner tread portion 5. , more preferably 0.50 times or less.

제2 주홈(12)은, 예컨대, 타이어 적도(C)로부터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L2)를 이격시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리(L2)는, 예컨대, 내측 트레드부(5)의 폭(W1)의 0.10배∼0.2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주홈(12)은, 타이어 적도(C) 부근의 패턴 강성을 유지하면서, 웨트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The 2nd main groove 12 is formed in the position which separated the distance L2 of the tire axial direction from the tire equator C, for example. The distance L2 is, for example, preferably 0.10 to 0.20 times the width W1 of the inner tread 5 . This second main groove 12 helps to increase the wet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the pattern rigidity in the vicinity of the tire equator C.

웨트 성능과 내마모 성능을 양립시키기 위해서, 각 주홈(10)의 홈 폭(W3)은, 예컨대, 9.0 ㎜∼1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주홈(10)의 홈 깊이는, 예컨대, 5.0 ㎜∼6.0 ㎜가 바람직하다. 단, 각 주홈(10)의 홈 폭(W3) 및 홈 깊이는, 이러한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order to make wet performance and abrasion resistance compati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groove width W3 of each main groove 10 is 9.0 mm - 15.0 mm, for example. The groove depth of each main groove 10 is, for example, preferably 5.0 mm to 6.0 mm. However, the groove width W3 and the groove depth of each main groove 10 are not limited to these ranges.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트레드부(5)에, 전술한 제1 주홈(11) 및 제2 주홈(12)이 형성됨으로써, 제1 랜드부(16), 제2 랜드부(17) 및 제3 랜드부(18)가 구분되어 있다. 제1 랜드부(16)는, 내측 트레드단(Te1)과 제1 주홈(1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랜드부(17)는, 타이어 적도(C)와 제2 주홈(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3 랜드부(18)는, 제1 주홈(11)과 제2 주홈(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1st main groove 11 and the 2nd main groove 12 mentioned above are formed in the inner tread part 5, The 1st land part 16, the 2nd land part 17, and the 3rd The land portion 18 is separated. The first land portion 16 is formed between the inner tread end Te1 and the first main groove 11 . The second land portion 17 is formed between the tire equator C and the second main groove 12 . The third land portion 18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ain groove 11 and the second main groove 12 .

제1 랜드부(16), 제2 랜드부(17) 및 제3 랜드부(18)는, 각각, 홈 및 사이프의 어느 것도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슬릭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 랜드부(16, 17, 18)는, 내측 트레드부(5)의 강성을 높여, 내마모 성능 및 조종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land portion 16, the second land portion 17, and the third land portion 18 is preferably of a slick type in which neither a groove nor a sipe is formed. Each of these land portions 16 , 17 , 18 can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inner tread portion 5 to effectively increase the wear resistance performance and the steering stability.

도 3에는, 도 2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3은 타이어 회전축을 포함하는 자오선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 랜드부(16), 제2 랜드부(17) 및 제3 랜드부(18)는, 각각, 트레드면(2s)과 제1 주홈(11) 또는 제2 주홈(12)의 홈 벽면(13) 사이의 코너부(19)에, 트레드면(2s)에 대해 비스듬히 연속해 있는 모따기부(20)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따기부(20)는, 각 랜드부의 단 가장자리의 편마모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Meanwhile,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a meridian including a tire rotation shaft. As shown in FIG. 3, the 1st land part 16, the 2nd land part 17, and the 3rd land part 18 of this embodiment, respectively, the tread surface 2s and the 1st main groove 11 ) or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chamfered part 20 diagonally continuous with respect to the tread surface 2s in the corner part 19 between the groove wall surfaces 13 of the 2nd main groove 12. As shown in FIG. Such a chamfer 20 is helpful in suppressing the uneven abrasion of the end edge of each land part.

제1 랜드부(16)의 모따기부(20a)의 타이어 반경 방향에 대한 각도(θ1), 및 제2 랜드부(17)의 모따기부(20b)의 타이어 반경 방향에 대한 각도(θ2)는, 예컨대, 제3 랜드부(18)의 모따기부(20c)의 타이어 반경 방향에 대한 각도(θ3)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주홈(11, 12) 사이의 제3 랜드부(18)의 강성이 높아지고, 각 랜드부의 강성차가 작아진다. 이에 의해, 각 랜드부가 균일하게 마모되기 때문에, 내마모 성능이 높아진다. The angle θ1 of the chamfer 20a of the first land portion 16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the angle θ2 of the chamfer 20b of the second land portion 17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are,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θ3 of the chamfered portion 20c of the third land portion 18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is greater than 3 . Thereby, the rigidity of the 3rd land part 18 between the main grooves 11 and 12 becomes high, and the rigidity difference of each land part becomes small. Thereby, since each land part is worn uniformly, abrasion resistance performance becomes high.

제1 랜드부(16)의 모따기부(20a)의 상기 각도(θ1), 및 제2 랜드부(17)의 모따기부(20b)의 상기 각도(θ2)는, 바람직하게는 6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75°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다. 이러한 모따기부(20a, 20b)는, 각 랜드부의 단 가장자리의 편마모를 억제하면서, 웨트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The angle θ1 of the chamfered portion 20a of the first land portion 16 and the angle θ2 of the chamfered portion 20b of the second land portion 17 are preferably 60°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65 degrees or more, Preferably it is 75 degrees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70 degrees or less. These chamfers 20a and 20b are helpful in improving wet performance while suppressing uneven abrasion at the edge of each land portion.

제3 랜드부(18)의 모따기부(20c)의 상기 각도(θ3)는, 바람직하게는 45°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8°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5°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2° 이하이다. 이러한 모따기부(20c)는, 제3 랜드부(18)의 강성을 유지하고, 나아가서는 제1 랜드부(16) 및 제2 랜드부(17)와 제3 랜드부(18)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다. The angle θ3 of the chamfered portion 20c of the third land portion 18 is preferably 45° or more, more preferably 48° or more, preferably 55° or less, more preferably 52° or more. is below. The chamfered portion 20c maintains the rigidity of the third land portion 18, and further reduces the difference in stiffness between the first land portion 16 and the second land portion 17 and the third land portion 18. can be made small

도 4에는, 외측 트레드부(6)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트레드부(6)에는, 복수의 슬롯(25)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25)은, 홈 가장자리(26)가 타이어 적도(C) 및 외측 트레드단(Te2)의 어디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슬롯(25)은, 외측 트레드부(6)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웨트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4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outer tread 6 . As shown in FIG. 4 , a plurality of slots 25 are formed in the outer tread portion 6 . In the slot 25, the groove edge 26 is not connected to either the tire equator C or the outer tread end Te2. These slots 25 help to increase the wet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outer tread 6 .

전술한 바와 같은 슬롯(25)의 배치에 의해, 외측 트레드부(6)에는, 외측 트레드단(Te2)을 따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숄더 랜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숄더 랜드부(24)는, 코너링시에 큰 접지압이 작용하는 외측 트레드단(Te2) 부근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우수한 조종 안정성이 발휘된다. By the arrangement of the slots 25 as described above, the shoulder land portion 24 is formed in the outer tread portion 6 along the outer tread end Te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Such a shoulder land portion 24 can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vicinity of the outer tread end Te2 to which a large ground pressure acts at the time of cornering, and furthermore, excellent steering stability is exhibited.

전술한 효과를 더 발휘시키기 위해서, 숄더 랜드부(24)의 폭(W4)은, 바람직하게는 외측 트레드단(Te2)의 폭(W2)의 0.15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8배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25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2배 이하이다. 한편, 숄더 랜드부(24)의 폭(W4)이란, 가장 외측 트레드단(Te2)측에 형성된 슬롯(25)의 홈 가장자리(26)로부터 외측 트레드단(Te2)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In order to further exhibit the above-described effect, the width W4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24 is preferably 0.15 times or more, more preferably 0.18 times or more, the width W2 of the outer tread end Te2, Preferably it is 0.25 times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0.22 times or less. On the other hand, the width W4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24 means the distance from the groove edge 26 of the slot 25 formed on the outermost tread end Te2 side to the outer tread end Te2.

슬롯(25)은, 예컨대, 타원형의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롯(25)은, 예컨대, 그 길이 방향이 타이어 축 방향에 대해 0°∼45°의 각도(θ4)(도시 생략)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양태로서, 본 실시형태의 슬롯(25)은, 타이어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로 슬롯(27)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롯(25)의 배치는, 외측 트레드부(6)의 타이어 축 방향의 강성을 유지하고, 나아가서는 우수한 조종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The slot 25 preferably comprises, for example, an elliptical one. The slot 25 preferably extends, for example,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angle θ4 (not shown) of 0° to 45°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Moreover, as a preferable aspect, the slot 25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only with the transverse slot 27 extended along the tire axial direction. This arrangement of the slots 25 maintains the rigidity of the outer tread portion 6 in the tire axial direction,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obtain excellent steering stability.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 슬롯(27)이 타이어 축 방향으로 2개 늘어선 가로 슬롯쌍(30)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가로 슬롯쌍(30, 30) 사이에는, 하나의 가로 슬롯(27)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이 가로 슬롯(27)은, 예컨대, 외측 트레드부(6)의 타이어 축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로 슬롯(27)의 배치는, 웨트 성능을 높이고, 게다가, 외측 트레드부(6)의 방열성도 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transverse slot pairs 30 in which two transverse slots 27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one transverse slot 27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transverse slots 30 and 30 adjacent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is transverse slot 27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outer tread part 6, for example. This arrangement of the transverse slots 27 can improve the wet performance and, moreover,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properties of the outer tread portion 6 .

또한 바람직한 양태로서, 본 실시형태의 외측 트레드부(6)는, 슬롯(25)만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외측 트레드부(6)는, 다른 홈에 의한 강성의 저하가 억제되어, 우수한 내마모 성능 및 조종 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다. Moreover, as a preferable aspect, in the outer tread part 6 of this embodiment, only the slot 25 is formed, and the other groove|channel is not formed. In such an outer tread portion 6, a decrease in rigidity due to other grooves is suppressed, and excellent wear resistance performance and steering stability can be exhibited.

도 5 및 도 6에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부(2)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 있다.5 and 6, respectively, the developed view of the tread part 2 of the pneumatic ti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shown. In Figs. 5 and 6,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components comm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5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트레드부(6)에 배치된 슬롯(25)이,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슬롯(28)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세로 슬롯(28)은, 웨트 주행시, 슬롯 내의 물을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배출하기 때문에, 전술한 가로 슬롯에 비해, 높은 배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slots 25 arranged in the outer tread portion 6 are formed only by the longitudinal slots 28 extending along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Since the vertical slot 28 discharges water in the slot along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during wet driv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high drainage properties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horizontal slot.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트레드부(6)에 배치된 슬롯(25)이, 타이어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로 슬롯(27)과, 타이어 축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경사 슬롯(29)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경사 슬롯(29)은, 외측 트레드부(6)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웨트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 the slots 25 arranged in the outer tread portion 6 include a transverse slot 27 extending along the tire axial direction and an inclined slot 29 extending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 is included. This inclined slot 29 helps to increase the wet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outer tread 6 .

가로 슬롯(27)과 경사 슬롯(29)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양태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 슬롯(27)이 타이어 축 방향으로 2개 늘어선 가로 슬롯쌍(30)과, 경사 슬롯(29)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롯(25)의 배치는, 경사 슬롯(29)에 의한 외측 트레드부(6)의 타이어 축 방향의 강성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웨트 성능과 조종 안정성이 밸런스 좋게 높아진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verse slots 27 and the inclined slots 29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Moreover, as a preferable aspect, in this embodiment, the horizontal slot pair 30 in which two horizontal slots 27 lined up in the tire axial direction, and the inclined slot 29 are formed alternately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Such an arrangement of the slots 25 can minimize a decrease in the stiffness of the outer tread portion 6 in the tire axial direction due to the inclined slots 29, and the wet performance and steering stability are improved in a well-balanced manner.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가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양태로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neumatic tir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and may be practic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실시예][Example]

도 1, 도 5 및 도 6 중 어느 하나의 기본 트레드 패턴을 갖는 사이즈205/55R16의 공기 타이어가, 표 1의 사양에 기초하여 시험 제작되었다. 비교예 1로서, 도 7에 도시된 타이어가 시험 제작되었다. 비교예 1의 타이어는, 타이어 적도로부터 제1 주홈까지의 거리가, 내측 트레드부의 폭의 0.78배이고, 게다가, 외측 트레드단(Te2)에 접속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비교예 2로서, 도 1의 기본 트레드 패턴을 가지며, 타이어 적도로부터 제1 주홈까지의 거리가, 내측 트레드부의 폭의 0.78배인 타이어가 시험 제작되었다. 비교예 3으로서, 도 1의 기본 트레드 패턴을 가지며, 타이어 적도로부터 제1 주홈까지의 거리가, 내측 트레드부의 폭의 0.15배이고, 게다가, 제2 주홈이 타이어 적도 상에 형성된 타이어가 시험 제작되었다. 각 테스트 타이어의 웨트 성능, 내마모 성능 및 조종 안정성이 테스트되었다. 각 테스트 타이어의 공통 사양이나 테스트 방법은, 이하와 같다. A pneumatic tire of size 205/55R16 having the basic tread pattern of any one of Figs. 1, 5 and 6 was tested based on the specifications in Table 1. As Comparative Example 1, the tire shown in Fig. 7 was tested. In the tire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distance from the tire equator to the first main groove was 0.78 times the width of the inner tread portion, and a slit connected to the outer tread end Te2 was formed. As Comparative Example 2, a tire having the basic tread pattern of FIG. 1 and having a distance from the tire equator to the first main groove of 0.78 times the width of the inner tread was tested. As Comparative Example 3, a tire having the basic tread pattern of Fig. 1,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tire equator to the first main groove was 0.15 times the width of the inner tread, and further, a tire in which the second main groove was formed on the tire equator was tested. Each test tire was tested for wet performance, abrasion resistance and handling stability. The common specifications and test methods of each test tire are as follows.

림: 16×7.0 JJRim: 16×7.0 JJ

타이어 내압: 200 ㎪Tire pressure: 200 kPa

<웨트 성능><Wet performance>

인사이드 드럼 시험기가 이용되며, 각 테스트 타이어가 하기의 조건으로 수심 5.0 ㎜의 드럼면 상을 주행했을 때의 하이드로플레이닝 현상의 발생 속도가 측정되었다. 결과는, 비교예 1을 100으로 하는 지수이며, 수치가 클수록, 상기 발생 속도가 높고, 웨트 성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An inside drum tester was used, and the rate of occurrence of the hydroplaning phenomenon when each test tire ran on a drum surface having a depth of 5.0 mm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was measured. The result is an index with Comparative Example 1 being 100, and the larger the numerical value, the higher the generation rate and the better the wet performance.

슬립각: 1.0° Slip angle: 1.0°

종하중: 4.2 kNLongitudinal load: 4.2 kN

<내마모 성능><Abrasion resistance performance>

상기 테스트 차량으로 일정 거리 주행 후, 타이어 적도에서의 랜드부의 마모량과, 외측 트레드단에서의 랜드부의 마모량의 차이가 측정되었다. 결과는, 비교예 1을 100으로 하는 지수이며, 수치가 작을수록, 타이어 적도 및 외측 트레드단에서의 마모량이 균일하여, 내편마모 성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After driving the test vehicle for a certain dista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ar amount of the land portion at the equator of the tire and the amount of wear of the land portion at the outer tread end was measured. The result is an index with Comparative Example 1 being 100, and the smaller the numerical value, the more uniform the amount of wear at the tire equator and the outer tread end, indicating that the anti-uniform wear performance is excellent.

<조종 안정성><Steering Stability>

상기 테스트 타이어를 전륜(全輪)에 장착한 배기량 2000 ㏄의 FR 차량으로 아스팔트의 주회(周回) 코스를 주행했을 때의 조종 안정성이, 운전자의 관능에 의해 평가되었다. 결과는, 비교예 1을 100으로 하는 평점이며, 수치가 클수록, 조종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The steering stability when the FR vehicle having a displacement of 2000 cc in which the test tires were mounted on all wheels was run on an asphalt circling course was evaluated by the driver's sensuality. A result is a rating which makes Comparative Example 1 100, and it shows that it is excellent in handling stability, so that a numerical value is large.

테스트 결과가 표 1에 나타난다. 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igure 112016063066215-pat00001
Figure 112016063066215-pat00001

테스트 결과, 실시예의 공기 타이어는, 웨트 성능, 내마모 성능 및 조종 안정성이 밸런스 좋게 향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wet performance, the abrasion resistance performance, and the steering stability of the pneumatic tire of the Example were improved in a good balance.

2: 트레드부 5: 내측 트레드부
6: 외측 트레드부 11: 제1 주홈
24: 숄더 랜드부 25: 슬롯
26: 홈 가장자리 Te1: 내측 트레드단
Te2: 외측 트레드단
2: tread part 5: inner tread part
6: Outer tread part 11: First main groove
24: shoulder land part 25: slot
26: groove edge Te1: inner tread end
Te2: outer tread end

Claims (10)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이 지정됨으로써, 내측 트레드단과, 외측 트레드단이 정해진 트레드부를 갖는 공기 타이어로서,
상기 트레드부는, 타이어 적도와 상기 내측 트레드단 사이의 내측 트레드부와, 타이어 적도와 상기 외측 트레드단 사이의 외측 트레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트레드부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제1 주홈과, 타이어 적도와 상기 제1 주홈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제2 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주홈은, 타이어 적도로부터 상기 내측 트레드부의 폭의 0.20배∼0.70배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를 이격시킨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트레드부에는, 홈 가장자리가 타이어 적도 및 상기 외측 트레드단의 어디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슬롯과, 상기 외측 트레드단을 따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숄더 랜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트레드부에는, 상기 제1 주홈과 상기 제2 주홈 사이의 제3 랜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랜드부는, 홈 및 사이프의 어느 것도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슬릭형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A pneumatic tire having a tread portion in which an inner tread end and an outer tread end are determined by designating a mounting direction for a vehicle, the pneumatic tire comprising:
The tread portion includes an inner tread portion between the tire equator and the inner tread end, and an outer tread portion between the tire equator and the outer tread end,
A first main groove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econd main groove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tire equator and the first main groove are formed in the inner tread portion;
The first main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ire equator by a distanc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0.20 to 0.70 times the width of the inner tread,
A plurality of slots whose groove edges are not connected to either the tire equator or the outer tread end are formed in the outer tread portion, and a shoulder land portion continuou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tread end is formed;
A third land portion between the first main groove and the second main groove is formed in the inner tread portion,
The third land portion is of a slick type in which neither groove nor sipe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트레드부는, 상기 슬롯만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 타이어.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ly the slot is formed in the outer tread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길이 방향이 타이어 축 방향에 대해 0°∼45°의 각도로 연장되는 타원형의 것을 포함하는 공기 타이어.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lot includes an elliptical one whos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s at an angle of 0° to 45°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트레드부에는, 상기 내측 트레드단과 상기 제1 주홈 사이의 제1 랜드부와, 타이어 적도와 상기 제2 주홈 사이의 제2 랜드부가 형성되고,
타이어 회전축을 포함하는 자오선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드부, 상기 제2 랜드부 및 상기 제3 랜드부는, 각각, 트레드면과 상기 제1 주홈 또는 상기 제2 주홈의 홈 벽면 사이의 코너부에, 상기 트레드면에 대해 비스듬히 연속해 있는 모따기부를 갖고 있는 공기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first land portion between the inner tread end and the first main groove and a second land portion between the tire equator and the second main groove are formed in the inner tread portion,
In a meridian cross section including a tire rotation axis,
The first land portion, the second land portion and the third land portion are, respectively, at a corner portion between a tread surface and a groove wall surface of the first main groove or the second main groove, obliquely continuous with respect to the tread surface A pneumatic tire with a chamf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드부 및 상기 제2 랜드부는, 각각, 홈 및 사이프의 어느 것도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슬릭형인 공기 타이어.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rst land portion and the second land portion are each of a slick type in which neither a groove nor a sipe is 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드부 및 상기 제2 랜드부의 상기 모따기부의 타이어 반경 방향에 대한 각도는, 상기 제3 랜드부의 상기 모따기부의 타이어 반경 방향에 대한 각도보다 큰 공기 타이어. 5.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n angle of the first land portion and the second lan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tire radial direction of the chamfer is greater than an angle of the chamfere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tire radial direction of the third land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랜드부 및 상기 제2 랜드부의 상기 모따기부의 타이어 반경 방향에 대한 각도는, 60°∼75°이고,
상기 제3 랜드부의 상기 모따기부의 타이어 반경 방향에 대한 각도는, 45°∼55°인 공기 타이어.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angle of the first land portion and the second lan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tire radial direction of the chamfer is 60° to 75°,
An angle of the third lan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tire radial direction of the chamfer is 45° to 5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타이어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로 슬롯만으로 이루어지는 공기 타이어.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lot consists only of a transverse slot extending along the tire axial direction.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이 지정됨으로써, 내측 트레드단과, 외측 트레드단이 정해진 트레드부를 갖는 공기 타이어로서,
상기 트레드부는, 타이어 적도와 상기 내측 트레드단 사이의 내측 트레드부와, 타이어 적도와 상기 외측 트레드단 사이의 외측 트레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트레드부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제1 주홈과, 타이어 적도와 상기 제1 주홈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제2 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주홈은, 타이어 적도로부터 상기 내측 트레드부의 폭의 0.20배∼0.70배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를 이격시킨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트레드부에는, 홈 가장자리가 타이어 적도 및 상기 외측 트레드단의 어디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슬롯과, 상기 외측 트레드단을 따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숄더 랜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롯은, 타이어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로 슬롯과, 타이어 축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경사 슬롯을 포함하고, 이들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공기 타이어.
A pneumatic tire having a tread portion in which an inner tread end and an outer tread end are determined by designating a mounting direction for a vehicle, the pneumatic tire comprising:
The tread portion includes an inner tread portion between the tire equator and the inner tread end, and an outer tread portion between the tire equator and the outer tread end,
A first main groove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econd main groove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tire equator and the first main groove are formed in the inner tread portion;
The first main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ire equator by a distanc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0.20 to 0.70 times the width of the inner tread,
A plurality of slots whose groove edges are not connected to either the tire equator or the outer tread end are formed in the outer tread portion, and a shoulder land portion continuou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tread end is formed;
The slot includes a transverse slot extending along a tire axial direction and an oblique slot extending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the pneumatic tire being alternately arrang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삭제delete
KR1020160081782A 2015-09-15 2016-06-29 Pneumatic tire Active KR10237765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1852 2015-09-15
JP2015181852A JP6575254B2 (en) 2015-09-15 2015-09-15 Pneumatic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829A KR20170032829A (en) 2017-03-23
KR102377656B1 true KR102377656B1 (en) 2022-03-24

Family

ID=5834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782A Active KR102377656B1 (en) 2015-09-15 2016-06-29 Pneumatic tir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75254B2 (en)
KR (1) KR102377656B1 (en)
CN (1) CN10651531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4377B2 (en) * 2017-03-30 2021-03-1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tire
JP7001437B2 (en) * 2017-11-17 2022-01-19 Toyo Tire株式会社 Pneumatic tires
JP7056392B2 (en) * 2018-06-13 2022-04-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tire
JP7099063B2 (en) * 2018-06-13 2022-07-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tire
CN112046205B (en) * 2019-06-05 2023-12-01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Tire with a tire body
JP7400429B2 (en) * 2019-06-05 2023-12-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tire
JP6927362B1 (en) * 2020-04-28 2021-08-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tire
JP6901025B1 (en) * 2020-05-01 2021-07-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tire
JP7502929B2 (en) 2020-08-17 2024-06-19 Toyo Tire株式会社 Pneumatic tires
JP7651872B2 (en) * 2021-02-04 2025-03-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ti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0470A (en) * 2014-02-26 2015-09-07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585B2 (en) * 1990-10-02 2000-12-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Pneumatic radial tire
EP1541380B1 (en) * 2002-08-30 2013-10-30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with asymmetric tread pattern and method of mounting the tire
JP4282370B2 (en) * 2003-05-16 2009-06-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JP4098668B2 (en) 2003-05-16 2008-06-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
US7140410B2 (en) * 2004-07-09 2006-11-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symmetric truck racing tire
JP4280297B2 (en) * 2007-10-03 2009-06-1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
JP5249993B2 (en) * 2010-06-18 2013-07-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
JP5337201B2 (en) * 2011-06-20 2013-11-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
FR2984233B1 (en) * 2011-12-20 2014-05-16 Michelin Soc Tech SUMMIT FOR TIRE AIRCRAFT
JP5667617B2 (en) * 2012-11-20 2015-02-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
US9033011B1 (en) * 2013-12-09 2015-05-1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comprising a tread with asymmetric groove profiles
JP6044561B2 (en) * 2014-02-26 2016-12-14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0470A (en) * 2014-02-26 2015-09-07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56782A (en) 2017-03-23
KR20170032829A (en) 2017-03-23
CN106515316B (en) 2020-01-21
JP6575254B2 (en) 2019-09-18
CN106515316A (en)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656B1 (en) Pneumatic tire
US9783005B2 (en) Pneumatic tire
US10384491B2 (en) Pneumatic tire
US10471776B2 (en) Pneumatic tire
EP2610085B1 (en) Pneumatic tire
JP5658728B2 (en) Pneumatic tire
KR102565115B1 (en) Pneumatic tire
US9302548B2 (en) Pneumatic tire
EP2907677B1 (en) Pneumatic tire
EP3147139A1 (en) Pneumatic tire
EP3015286A1 (en) Pneumatic tire
KR102383918B1 (en) Pneumatic tire
US20140283967A1 (en) Pneumatic tire
WO2013137193A1 (en) Pneumatic tire
KR102569782B1 (en) Tire
EP3501852A1 (en) Tyre
JP2005186850A (en) Pneumatic tire
KR102554146B1 (en) Pneumatic tire
EP2821257B1 (en) Pneumatic tire
CN110588250B (en) Tyre for vehicle whe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6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