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502B1 -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face-plate for hearing aid - Google Patents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face-plate for hearing ai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7502B1 KR102377502B1 KR1020200108823A KR20200108823A KR102377502B1 KR 102377502 B1 KR102377502 B1 KR 102377502B1 KR 1020200108823 A KR1020200108823 A KR 1020200108823A KR 20200108823 A KR20200108823 A KR 20200108823A KR 102377502 B1 KR102377502 B1 KR 1023775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terminal
- terminal
- insert
- battery
- contact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1878 Dea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70 hearing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88 hearing loss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08000016354 hearing los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0—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04R25/402—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using contructional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2—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batte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7—Aspects of electrical interconnection between hearing ai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청기용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포켓의 양측면에 배터리의 - 및 + 단자에 각각 접촉하도록 사출로 인서트 연결되어 노출되는 제1 연결단자 및 제2 연결단자; 배터리포켓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단자와 접촉면를 형성하도록 사출로 인서트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접촉부; 제1 연결단자의 종단에서 하방향으로 통전되도록 연장되어 하방향으로 연장된 종단이 배터리포켓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사출로 인서트 결합되는 제2 접촉부; 및 제2 연결단자의 종단에서 하방향으로 종단 통전되도록 연장되어 하방향으로 연장된 종단이 배터리포켓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사출로 인서트 결합되는 제3 접촉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a faceplate for a hearing aid, comprising: a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which are exposed by being inserted through injection molding so as to contact - and + terminals of a battery on both sides of a battery pocket; At least one first contact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pocket and insert-coupled by injection molding to form a contact surface with an external terminal; a second contact portion that is extended so as to be energized at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is insert-coupled by injection such that the end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battery pocket; and a third contact part that is inserted through injection molding so that the terminal extending from the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to the terminal is energized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terminal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battery pocke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청기용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페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단자가 인서트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여 연결단자의 견고한 구조를 제공하며 외부의 입력단자와 손쉬운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보청기용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a face plate for a hearing aid,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rigid structure of the connection terminal by coupling the connection terminal to the face plate in an insert structure, and to provide an easy connection with an external input terminal. It relates to an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a face plate for a hearing aid.
보청기는 일종의 확성장치로서 난청을 보충하기 위해 귀에 장착하는 기구로서, 음파를 마이크로폰으로 받아 전기진동으로 변환한 후 난청인 각각의 주파수별 청력에 따라 증폭기로 확대하여 리시버를 통해 음파로 출력한다.Hearing aid is a type of loudspeaker device that is attached to the ear to compensate for hearing loss. It receives sound waves through a microphone, converts them into electric vibrations, expands them with an amplifier according to the hearing loss for each frequency, and outputs them as sound waves through a receiver.
이러한 보청기는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입력받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소리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및 증폭된 소리를 내보내는 리시버로 이루어진다.The hearing aid includes a microphone for converting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a controller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an input electrical signal, an amplifier for amplifying sound, and a receiver for outputting the amplified sound.
보청기의 종류로는 그 모양 및 크기에 따라 몸에 부착하는 포켓형, 귀 뒤로 거는 귀걸이형, 외이도 입구를 일부 채우는 외이도형 및 외이도 내로 완전히 넣어 타인의 눈에 잘 뛰지 않는 고막형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보청기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있다.Hearing aids can be divided into pocket type that attaches to the body according to their shape and size, earring type that hangs behind the ear, external auditory meatus type that partially fills the entrance to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and tympanic type that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and is difficult to see by others. There are various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these hearing aids.
한편, 종전에는 보청기를 연결하는 각종 단자들을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결합시키면서 납땜하는 구조를 제공하였는데, 이는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보청기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 단자들이 정밀하게 연결되지 않아서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st, the operator provided a structure for soldering various terminals for connecting hearing aids while individually combining them. This causes the price of hearing aids to rise because productivity is very low, and the terminals are not precisely connected during operation. This may cause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product quality.
본 발명의 목적은 페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단자가 인서트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여 연결단자의 견고한 구조를 제공하며 외부 입력단자와 손쉬운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보청기용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a face plate for a hearing aid that can provide a solid structure of the connection terminal by coupling the connection terminal to the face plate in an insert structure and provide easy connection with an external input terminal.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bject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쉘의 내주면을 따라 탈부착 결합되는 쉘의 내주면을 따라 탈부착 결합되는 쉘고정구와, 쉘고정구의 타측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플레이트와 쉘고정구와 노출 플레이트의 내주면을 따라 기설정된 형상의 홀로 형성되어 배터리를 고정 배치할 수 있는 배터리포켓을 구비하는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는 배터리포켓의 양측면에 배터리의 - 및 + 단자에 각각 접촉하도록 사출로 인서트 연결되어 노출되는 제1 연결단자 및 제2 연결단자; 배터리포켓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단자와 접촉면를 형성하도록 사출로 인서트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접촉부; 제1 연결단자의 종단에서 하방향으로 통전되도록 연장되어 하방향으로 연장된 종단이 배터리포켓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사출로 인서트 결합되는 제2 접촉부; 및 제2 연결단자의 종단에서 하방향으로 종단 통전되도록 연장되어 하방향으로 연장된 종단이 배터리포켓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사출로 인서트 결합되는 제3 접촉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hell fixture that is detachably coupled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ell, and an exposed plat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ll fixture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e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ace plate, which is formed with a hole of a predetermined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fixture and the exposed plate, and has a battery pocket capable of fixing and disposing the battery, is formed so that both sides of the battery pocket are in contact with the - and + terminals of the battery, respectively. a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which are expos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jection path; At least one first contact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pocket and insert-coupled by injection molding to form a contact surface with an external terminal; a second contact portion that is extended so as to be energized at the terminal end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is insert-coupled by injection such that the end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battery pocket; and a third contact part that is inserted through injection molding so that the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energiz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terminal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battery pocket.
여기서, 제1 연결단자는 제2 접촉부가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단영역에서 쉘 고정구의 일영역을 감싸면서 보청기의 스트립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제1 연결단자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선과 납땜을 제공하는 제1 연장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제2 연결단자는 제3 접촉부가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단영역에서 쉘 고정구의 일영역을 감싸면서 보청기의 스트립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제2 연결단자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선과 납땜을 제공하는 제2 연장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제3 연결단자는 종단이 쉘 고정구의 하측 일영역을 감싸면서 보청기의 스트립을 향하여 연장되어 전선과 납땜을 제공하는 제3 연장플레이트를 구비한다.Her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so as to extend toward the strip of the hearing aid while enclosing a region of the shell fixture in the terminal region where the second contact portion extends downward to provide wires and soldering. A first extension plate is provided,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so as to extend toward the strip of the hearing aid while enclosing a region of the shell fixture in the terminal region where the third contact portion extends downward. A second extension plate is provided for providing wires and soldering, and the third connection terminal has a third extension plate extending toward the strip of the hearing aid while enclosing a lower region of the shell fixture to provide wires and soldering. .
여기서, 제1 연결단자와 제2 연결단자는 배터리와 접촉하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may be formed to have a convex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attery.
본 발명에 의한 보청기용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는 페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단자가 인서트 구조로 결합시켜 손쉬운 연결을 통한 연결단자의 견고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어 단자를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복잡한 공정을 제거할 수 있어 제작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분리 등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ace plate for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obust structure of the connection terminal through easy connection by coupling the connection terminal to the face plate in an insert structure, thereby eliminating the complicated process of individually connecting the termina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eatly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to improve productivity, and to improve product quality by preventing short-circuit separation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erminal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가 적용된 보청기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단자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플레이트에 인서트 연결구조가 적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연결구조가 적용된 페이스 플레이트와 외부단자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of a hearing aid to which an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a face plat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of a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an insert connection structure is applied to a fac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ace plate to which an insert connection structure is applied and an external terminal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n"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art,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o be located above the gravitational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가 적용된 보청기의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단자의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플레이트에 인서트 연결구조가 적용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연결구조가 적용된 페이스 플레이트와 외부단자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of a hearing aid to which an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a fac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view of a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an insert connection structure is applied to a plate,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ce plate to which the insert connection structur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n external terminal are connect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용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는 페이스 플레이트(130)에 연결단자(140)가 인서트 결합으로 형성된다.1 to 4 , in the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ace plate for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쉘(120)은 도 1과 같이 대략적인 형상이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귀에 꽂아지는 방향을 향하여 외경이 작아지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표준형 타입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사용자 개별맞춤형을 적용하는 경우 쉘의 형상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쉘(120)의 종단에는 이어팁(110)을 고정시키는 고정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121)는 전면의 중앙영역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이격된 위치에 이어팁(110)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쉘(120) 구조와 편심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구(121)에 이어팁(110)의 결합구조를 형성하면 좌측 귀 또는 우측 귀 모두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페이스 플레이트(130)는 일측면이 쉘(12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쉘고정구(131), 노출 플레이트(132), 도어(133) 및 배터리포켓(1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쉘고정구(131)는 외주면이 쉘(131)의 내주면을 따라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안정적인 결합과 더불어 손쉬운 탈부착을 유도한다. 이때, 쉘고정구(131)와 노출 플레이트(132) 사이에는 링홈(1311)이 형성된다. 링홈(1311)은 쉘(120)에 형성되는 결합구를 통하여 탈부착 가능한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쉘(120)과 페이스 플레이트(130)의 결합구조는 앞서 설명한 결합구조와 반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이때, 쉘고정구(131)는 둘레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제1 연장플레이트(1411), 제2 연장플레이트(1431), 제3 연장플레이트(1421)를 안내할 수 있는 안내홈(131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홈(1312)을 따라 제1 연장플레이트(1411), 제2 연장플레이트(1431), 제3 연장플레이트(1421)가 내측으로 매립되면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납땜을 할때에 전선들이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안정적인 전선배치를 제공하여 전선들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노출 플레이트(132)는 쉘고정구(131)의 타측면에 배치된다. 배터리포켓(134)은 쉘고정구(131)와 노출 플레이트(132)의 내주면을 따라 기설정된 형상의 홀로 형성되어 배터리(B)를 고정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포켓(134)은 그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배터리를 배치할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B)는 교체 가능한 원형타입의 수은전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배터리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배터리(B)가 원형타입으로 형성되면, 후술하는 인서트 결합되는 제1 연결단자(141)와 제1 접촉부(142) 사이에 배치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배터리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The exposed
노출 플레이트(132)는 쉘고정구(131)의 타측면에 배치되어 도어(133)가 회동하여 결합될 수 있는 회동축(135)을 구비한다. 도어(133)는 배터리포켓(134)의 내측에 배치되는 배터리(B)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회동축(135)에 결합되는 도어(133)를 회동시켜 손쉽게 배터리(B)를 교체할 수 있다.The exposed
연결단자(140)는 페이스 플레이트(130)에 사출로 인서트 결합으로 성형될 수 있다. 연결단자(140)는 사출로 인서트 페이스 플레이트(130)와 결합되기 때문에 단자를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복잡한 공정을 제거할 수 있어 제작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분리 등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연결단자(141), 제1 접촉부(142), 제2 연결단자(143), 제2 접촉부(144) 및 제3 접촉부(145)를 구비한다.The
제1 연결단자(141) 및 제2 연결단자(143)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페이스 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배터리포켓(134)의 양측면을 따라 사출로 인서트 되어 양측 상측에서 하측으로 각각 연장된다. 이때, 제1 연결단자(141) 및 제2 연결단자(143)는 배터리포켓(134)의 양측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제1 연결단자와 제2 연결단자는 배터리와 접촉하는 면이 볼록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결단자(141) 및 제2 연결단자(143)는 페이스 플레이트(130)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배터리(B)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각각 연결된다.The
이때, 제1 연결단자(141) 및 제2 연결단자(143)는 일방향으로 길쭉한 구조를 형성하면서, 종단에서 볼록한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볼록한 구조의 서로 이웃하는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배터리를 삽입하게 되면 볼록한 구조가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안정적으로 배터리와 접촉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제1 접촉부(142)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포켓(134)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 중앙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단자(C)와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인서트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외부단자(C)와 접촉면을 형성하는 면이 하나로 형성된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갯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접촉부(142)는 하방향으로 더욱 연장되어 인서트가 완료된 후에 도 2 (b)와 같이 쉘고정구(131)의 하단에 형성된 안내홈(1312)을 감싼 후에 이어팁(110)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3 연장플레이트(1421)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연장플레이트(1421)는 안내홈(1312)을 통해 안정적인 절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결합되는 전선들과 납땜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전선배치를 제공하여 전선들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The
제2 접촉부(144)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연결단자(141)의 종단에서 하방향 내측방향으로 곡률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단자와 접촉면을 형성한다. 제2 접촉부(144)는 배터리 포켓(134)의 내주면에 사출로 인서트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제2 접촉부(144)는 제1 연결단자(141)에 전기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통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표시된 것과 같이 반드시 곡률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The
제3 접촉부(145)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연결단자(143) 종단에서 하방향 내측방향으로 곡률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단자와 접촉면을 형성한다. 제3 접촉부(145)는 배터리 포켓(134)의 내주면에 사출로 인서트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제3 접촉부(145)는 제2 연결단자(143)에 전기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통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표시된 것과 같이 반드시 곡률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The
이를 통하여, 제1 접촉부(142), 제2 접촉부(144) 및 제3 접촉부(145)의 상측 종단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 채로 배터리 포켓(134)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외부단자(C)와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하여 외부단자(C)를 통하여 사용자의 청력 조건에 따라 적합한 피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the upper ends of the
그리고, 제1 연결단자(141) 및 제2 연결단자(143)의 하측 종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플레이트(1411) 및 제2 연장플레이트(1431)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제1 연장플레이트(1411) 및 제2 연장플레이트(1431)는 인서트가 완료된 후에 쉘고정구(131)에 형성된 안내홈(1312)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제1 연장플레이트(1411) 및 제2 연장플레이트(1431)는 안내홈(1312)을 통해 안정적인 절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결합되는 전선들과 납땜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전선배치를 제공하여 전선들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The
또한, 도어(133)가 페이스 플레이트(130)에 결합될 때에, 연결단자(140)는 하방향으로 회동축(135)의 하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입력단자는 간극(G)을 따라 삽입되면서 제1 접촉부(142), 제2 접촉부(144) 및 제3 접촉부(145)의 상면과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Also,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는 제1 연결단자(141), 제1 접촉부(142), 제2 연결단자(143), 제2 접촉부(144) 및 제3 접촉부(145)를 페이스 플레이트에 사출을 통한 인서트 공정으로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손쉬운 연결을 통한 연결단자의 견고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어 단자를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복잡한 공정을 제거할 수 있어 제조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분리 등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ac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본 발명에 의한 보청기용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는 페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단자가 인서트 구조로 결합시켜 손쉬운 연결을 통한 연결단자의 견고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어 단자를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복잡한 공정을 제거할 수 있어 제작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분리 등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ace plate for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obust structure of the connection terminal through easy connection by coupling the connection terminal to the face plate in an insert structure, thereby eliminating the complicated process of individually connecting the termina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eatly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to improve productivity, and to improve product quality by preventing short-circuit separation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erminals.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presented as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10 : 이어팁120 : 쉘
130 : 페이스 플레이트131 : 쉘고정구
132 : 노출 플레이트133 : 도어
134 : 배터리포켓140 : 연결단자
141 : 제1 연결단자142 : 제1 접촉부
143 : 제2 연결단자144 : 제2 접촉부
145 : 제3 접촉부110: ear tip 120: shell
130: face plate 131: shell fixture
132: exposed plate 133: door
134: battery pocket 140: connection terminal
141: first connection terminal 142: first contact
143: second connection terminal 144: second contact portion
145: third contact part
Claims (3)
상기 배터리포켓의 양측면에 상기 배터리의 - 및 + 단자에 각각 접촉하도록 사출로 인서트 연결되어 노출되는 제1 연결단자 및 제2 연결단자;
상기 배터리포켓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단자와 접촉면를 형성하도록 사출로 인서트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접촉부;
상기 제1 연결단자의 종단에서 하방향으로 통전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하방향으로 연장된 종단이 상기 배터리포켓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사출로 인서트 결합되는 제2 접촉부; 및
상기 제2 연결단자의 종단에서 하방향으로 종단 통전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하방향으로 연장된 종단이 상기 배터리포켓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사출로 인서트 결합되는 제3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용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
A shell fixture that is detachably coupl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an exposed plat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ll fixture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hole of a predetermined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fixture and the exposed plate to fix the battery In the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ace plate having a battery pocket that can be
a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which are inserted and exposed by injection molding so as to contact the - and + terminals of the battery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pocket;
at least one first contact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pocket and insert-coupled by injection molding to form a contact surface with an external terminal;
a second contact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terminal end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to be insert-coupled by injection such that the downwardly extending end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battery pocket; and
a third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so as to be energiz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insert-coupled by injection molding so that the downwardly extending terminal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battery pocket;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face plate.
상기 제1 연결단자는,
상기 제2 접촉부가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단영역에서 상기 쉘 고정구의 일영역을 감싸면서 보청기의 스트립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제1 연결단자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선과 납땜을 제공하는 제1 연장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단자는,
상기 제3 접촉부가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단영역에서 상기 쉘 고정구의 일영역을 감싸면서 보청기의 스트립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제2 연결단자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선과 납땜을 제공하는 제2 연장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촉부는,
종단이 상기 쉘 고정구의 하측 일영역을 감싸면서 보청기의 스트립을 향하여 연장되어 전선과 납땜을 제공하는 제3 연장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용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 first extension plat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to provide wires and soldering so as to extend toward a strip of a hearing aid while enclosing a region of the shell fixture in a terminal region where the second contact portion extends downward to provide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 second extension plat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to provide wires and soldering so as to extend toward a strip of a hearing aid while enclosing a region of the shell fixture in a terminal region where the third contact portion extends downward to provide
The first contact portion,
The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a face plate for a hear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extension plate is extended toward the strip of the hearing aid while enclosing a lower portion of the shell fixture at the end thereof to provide wires and soldering.
상기 제1 연결단자와 제2 연결단자는,
상기 배터리와 접촉하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용 페이스 플레이트의 인서트 연결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The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ace plate for a hear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attery is formed to be convex.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8823A KR102377502B1 (en) | 2020-08-27 | 2020-08-27 |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face-plate for hearing ai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8823A KR102377502B1 (en) | 2020-08-27 | 2020-08-27 |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face-plate for hearing ai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7671A KR20220027671A (en) | 2022-03-08 |
KR102377502B1 true KR102377502B1 (en) | 2022-03-23 |
Family
ID=8081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8823A Active KR102377502B1 (en) | 2020-08-27 | 2020-08-27 |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face-plate for hearing ai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750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5670Y1 (en) | 2003-09-04 | 2003-12-11 |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 Combination structure of case and terminal |
KR101748168B1 (en) | 2016-05-11 | 2017-06-16 | 박관식 | Bearing aids with dual microphone for easy-detachment of shell and silicon sleeve tip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92711A (en) * | 2007-04-13 | 2008-10-16 | 에스텍 주식회사 | How to connect terminal board for speaker and tinsel wire for speaker |
KR200453131Y1 (en) * | 2008-09-18 | 2011-04-08 | 주식회사 씨엔텍 | Battery connection terminal |
US20130089755A1 (en) * | 2011-10-11 | 2013-04-11 | In-Soo Park | Battery Pack |
KR101585793B1 (en) | 2014-09-30 | 2016-01-15 | 정금필 | Smart Hearing Aid Device |
-
2020
- 2020-08-27 KR KR1020200108823A patent/KR1023775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5670Y1 (en) | 2003-09-04 | 2003-12-11 |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 Combination structure of case and terminal |
KR101748168B1 (en) | 2016-05-11 | 2017-06-16 | 박관식 | Bearing aids with dual microphone for easy-detachment of shell and silicon sleeve ti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7671A (en) | 2022-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K2071866T3 (en) | Removable earpiece sound system with spring control | |
US2148477A (en) | Bone conduction audiphone | |
US20110286616A1 (en) | Hearing device with a passive unit seated deep in the auditory canal | |
US9049526B2 (en) | Compact programming block connector for hearing assistance devices | |
US20100208927A1 (en) | Microphone module for a hearing device | |
CN108076423B (en) | Hearing aid with electronics frame and antenna integrated therein | |
US8098866B2 (en) | Receiver device with manipulable sound outlet direction | |
US3098127A (en) | Hearing aid | |
US8270650B2 (en) | Hearing aid | |
KR102377502B1 (en) | Insert connection structure of face-plate for hearing aid | |
JPS58162200A (en) | Hearing aid | |
CN105122842B (en) | Ear-level hearing aid | |
CN108496373B (en) | Sound output device | |
US9485594B2 (en) | Connector arrangement in hearing instruments | |
EP3123743A1 (en) | Ite hearing ai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6625776B1 (en) | Cartilage conduction earphone and cartilage conduction hearing device | |
US20140193013A1 (en) | Hearing aid with an in-the-ear component | |
KR102331494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inserting electrical terminals into face plates forming hearing aids | |
KR102100845B1 (en) | Compensating a hearing impairment apparatus with external microphone | |
KR101155114B1 (en) | Bone conduction speaker | |
KR102443165B1 (en) | Customized hearing aids with adjustable wearing angle | |
KR101476401B1 (en) | Hearing aid with electronic components module using flexcible printed circuit board | |
JPH01117598A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 |
JP2010268038A (en) | Hearing aid | |
JP4392419B2 (en) | Small speaker unit and small speaker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