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6842B1 -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 - Google Patents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842B1
KR102376842B1 KR1020200154714A KR20200154714A KR102376842B1 KR 102376842 B1 KR102376842 B1 KR 102376842B1 KR 1020200154714 A KR1020200154714 A KR 1020200154714A KR 20200154714 A KR20200154714 A KR 20200154714A KR 102376842 B1 KR102376842 B1 KR 102376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cleaning
unit
cleaning agent
was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일
안남희
Original Assignee
김태일
안남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일, 안남희 filed Critical 김태일
Priority to KR102020015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8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70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8Overflow-type cleaning, e.g. tanks in which the liquid flows over the tank in which the articles are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70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 A61B2090/701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for flexible tubular instruments, e.g. end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부수납부 내측으로부터 개수대 내부 일 측에 걸쳐 설치되는 세정제자동주입유닛, 개수대 전방과 양측에 대하여 구비되는 전면패널과 측면투명패널, 상부수납부 내측 하면 및 상면에 걸쳐 설치되는 배기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세정제를 자동으로 물에 공급시켜 세척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세척 작업시 오염수의 비산으로 인한 주변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척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세척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Sink cabinet for endoscopic cleaning}
본 발명은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수납부 내측으로부터 개수대 내부 일 측에 걸쳐 설치되는 세정제자동주입유닛, 개수대 전방과 양측에 대하여 구비되는 전면패널과 측면투명패널, 상부수납부 내측 하면 및 상면에 걸쳐 설치되는 배기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세정제를 자동으로 물에 공급시켜 세척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세척 작업시 오염수의 비산으로 인한 주변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척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세척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상부에 조리와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는 조리대 및 개수대 등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주방용구들을 보관하는 수납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진행되는 조리 및 세척작업을 바른 자세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주변환경을 청결하게 하여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싱크대는 지지다리에 의해 수납장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켜 설치하고, 상기 지지다리에 의해 형성된 수납장과 바닥면 사이 공간부를 차단판에 의해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병의원에서는 내시경 검사를 위한 내시경을 사용한 후에 내시경에 각종 병원균, 혈액, 타액 등이 묻어서, 다음에 검사를 받는 환자에게 2차 감염의 위험이 있고, 진료하는 의사와 간호사 등의 치료진의 건강을 위협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한번 환자를 검사한 이후에 반드시 세척을 해야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내시경 세척을 위한 종래의 내시경 세척기는 인체의 장기를 순차적으로 관찰하거나 환부를 시술할 수 있는 내과 의료기구의 하나로서, 내시경의 사용 후에는 반드시 세척 및 소독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내시경의 세척은 통상 병원용으로 사용되는 싱크 캐비닛의 개수대 상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시킨 후 수작업으로 세정제를 일정량 풀어서 세정수를 만들며, 만들어진 세정수로 내시경을 세척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내시경 세척을 위한 싱크 캐비닛은 세정수를 수작업으로 풀어 사용함에 따라 세척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세정을 위한 세척 작업시 오염수가 비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고, 아울러 세척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세척공간으로부터 배출시키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세정제를 자동으로 물에 공급시켜 세척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세척 작업시 오염수의 비산으로 인한 주변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척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세척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10634호 2006.03.02.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88410호 2007.08.2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101413호 2008.11.2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9-0049613호 2019.05.09.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수납부 내측으로부터 개수대 내부 일 측에 걸쳐 설치되는 세정제자동주입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세정제를 자동으로 물에 공급시켜 세척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개수대 전방과 양측에 대하여 구비되는 전면패널과 측면투명패널이 적용됨으로써 세척 작업시 오염수의 비산으로 인한 주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수납부 내측 하면 및 상면에 걸쳐 설치되는 배기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세척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세척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개수대 전방에 구비되는 전면패널 상부에 타공 패널이 구비됨으로써 세척을 위한 부자재 등을 수납하는 부자재바구니를 간편하게 타공 패널 상에 걸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척을 위한 부자재 등을 비치하여 세척작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은 하측 모서리부분에 받침다리가 구비되며, 전면에 개폐도어가 구비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하부수납부; 하부수납부의 상면에 하향 함몰되어 선택적으로 물을 저수하거나 하향 배수시키도록 하는 개수대가 형성되고 개수대의 전방측 상면 중앙에 수전이 구비되는 중앙세척부; 중앙세척부의 상부에 하부수납부와 대향되어 하단이 프레임 구조로 연결되면서 전면이 개폐도어에 의해 밀폐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는 상부수납부;를 포함하는 한편, 하부수납부의 내부 일 측으로부터 중앙세척부를 관통하여 개수대 내부 일 측에 걸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개수대 내부로 세정액을 일정량 공급시키는 세정제자동주입유닛 및 상부수납부의 내측 하면 및 상면에 걸쳐 설치되며, 중앙세척부에서 세척작업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상향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수단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세정제자동주입유닛은 하부수납부의 수납공간에 안착설치되며, 내부에 세정제가 일정량 수용되어 선택적인 조작을 통해 내설된 펌프를 통해 세정제를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 일 측으로부터 개수대 상부 일 측을 관통하여 개수대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지도록 관 형상으로 연장설치되며, 본체의 조작시 배출되는 세정제를 개수대 내부로 주입 안내하는 주입라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세정제자동주입유닛의 본체는 펌프를 작동시켜 세정제를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조작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조작스위치는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버튼스위치로 적용되거나 별도의 케이블에 의해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풋 스위치로 적용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배기수단은 상부수납부의 하면에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상향 오염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기경사안내판과, 배기경사안내판의 상단에 함체형상으로 구비되는 팬설치함과, 팬설치함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배기팬 및 상부수납부의 상면 중앙에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며, 배기팬과 상하방향으로 연통되어 선택적으로 배기팬을 통해 안내되는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세척부의 개수대 전방에는 하부수납부 상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에 걸쳐 전면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세척부의 개수대 양측에는 프레임 구조의 사이 부분을 밀폐시키도록 측면투명패널이 구비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전면패널 상부에는 전면패널 상단으로부터 상부수납부의 하단에 이르는 공간을 막으면서 부자재바구니를 걸고리로 걸 수 있도록 하는 타공 패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수납부의 하면 일 측에는 하향 조명을 비출 수 있도록 하는 조명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부수납부 내측으로부터 개수대 내부 일 측에 걸쳐 설치되는 세정제자동주입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세정제를 자동으로 물에 공급시켜 세척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개수대 전방과 양측에 대하여 구비되는 전면패널과 측면투명패널이 적용됨으로써 세척 작업시 오염수의 비산으로 인한 주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부수납부 내측 하면 및 상면에 걸쳐 설치되는 배기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세척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세척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넷째, 개수대 전방에 구비되는 전면패널 상부에 타공 패널이 구비됨으로써 세척을 위한 부자재 등을 수납하는 부자재바구니를 간편하게 타공 패널 상에 걸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척을 위한 부자재 등을 비치하여 세척작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을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을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을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을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을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을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100)은 하부수납부(110), 중앙세척부(120) 및 상부수납부(1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수납부(110)는 하측 모서리부분에 받침다리(113)가 구비되며, 전면에 개폐도어(111)가 구비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부수납부(11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에 개폐도어(111)가 구비되며, 모서리 부분에는 프레임 구조가 적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세척부(120)는 하부수납부(110)의 상면에 하향 함몰되어 선택적으로 물을 저수하거나 하향 배수시키도록 하는 개수대(121)가 형성되고 개수대(121)의 전방측 상면 중앙에 수전(123)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수납부(130)는 중앙세척부(120)의 상부에 하부수납부(110)와 대향되어 하단이 프레임 구조로 연결되면서 전면이 개폐도어(131)에 의해 밀폐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중앙세척부(120)는 세척을 위한 공간으로서, 상부수납부(130)와 하부수납부(110) 사이에 위치하여 개수대(121) 및 수전(123) 등을 포함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100)은 세정제자동주입유닛 및 배기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세정제자동주입유닛은 하부수납부(110)의 내부 일 측으로부터 중앙세척부(120)를 관통하여 개수대(121) 내부 일 측에 걸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개수대(121) 내부로 세정액을 일정량 공급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세정제자동주입유닛은 본체(141) 및 주입라인(143)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본체(141)는 하부수납부(110)의 수납공간에 안착설치되며, 내부에 세정제가 일정량 수용되어 선택적인 조작을 통해 내설된 펌프를 통해 세정제를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입라인(143)은 상기 본체(141)의 상부 일 측으로부터 개수대(121) 상부 일 측을 관통하여 개수대(121)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지도록 관 형상으로 연장설치되며, 본체(141)의 조작시 배출되는 세정제를 개수대(121) 내부로 주입 안내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세정제자동주입유닛의 본체(141)는 펌프를 작동시켜 세정제를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조작스위치(143)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작스위치(14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41)의 전면에 설치되는 버튼스위치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별도의 케이블에 의해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풋 스위치로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기수단은 상부수납부(130)의 내측 하면 및 상면에 걸쳐 설치되며, 중앙세척부(120)에서 세척작업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상향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배기수단은 배기경사안내판(151)과, 팬설치함(152)과, 배기팬(153) 및 배기구(15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배기경사안내판(151)은 상부수납부(130)의 하면에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상향 오염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팬설치함(152)은 배기경사안내판(151)의 상단에 함체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기팬(153)은 팬설치함(152)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기팬(153)은 전원연결라인을 통해 별도로 전원을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거나,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컨트롤박스(미도시)를 통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구(154)는 상부수납부(130)의 상면 중앙에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며, 배기팬(153)과 상하방향으로 연통되어 선택적으로 배기팬(153)을 통해 안내되는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100)에서, 특히 상기 중앙세척부(120)의 개수대(121) 전방에는 하부수납부(110) 상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에 걸쳐 전면패널(125)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세척부(120)의 개수대(121) 양측에는 프레임 구조의 사이 부분을 밀폐시키도록 측면투명패널(127)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면패널(125) 상부에는 전면패널(125) 상단으로부터 상부수납부(130)의 하단에 이르는 공간을 막으면서 부자재바구니(10)를 걸고리(11)로 걸 수 있도록 하는 타공 패널(126)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즉, 상기 전면패널(125)과 측면투명패널(127)을 통해 중앙세척부(120)의 세척공간에 대하여 전면과 양측에 대해 외부로 오염된 세정수 등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면패널(125) 상부에 대하여서는 타공 패널(126)을 통해 외부와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부자재바구니(10)를 걸고리(11)로 걸어 부자재를 간편하게 비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100)에서, 상기 상부수납부(130)의 하면 일 측에는 야간 등의 어두운 환경에서의 세척작업시 세척작업이 용이하도록, 하향 조명을 비출 수 있도록 하는 조명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100)은 세정제자동주입유닛 내에 수용되는 세정제를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하부수납부(110)의 수납공간 내에 세정제보관함(30)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세정제보관함(30)은 특히, 하부수납부(110)의 수납공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함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세정제 보충을 위한 리필용 세정제를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하부수납부(110), 중앙세척부(120) 및 상부수납부(130)에 대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한편, 개수대(121), 수전(123), 세정제자동주입유닛 및 배기수단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한 쌍, 즉 2개로 구비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말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세척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구비하면서 1차 및 2차의 세척작업을 병행할 수 있는 구조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부수납부 내측으로부터 개수대 내부 일 측에 걸쳐 설치되는 세정제자동주입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세정제를 자동으로 물에 공급시켜 세척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개수대 전방과 양측에 대하여 구비되는 전면패널과 측면투명패널이 적용됨으로써 세척 작업시 오염수의 비산으로 인한 주변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부수납부 내측 하면 및 상면에 걸쳐 설치되는 배기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세척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세척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개수대 전방에 구비되는 전면패널 상부에 타공 패널이 구비됨으로써 세척을 위한 부자재 등을 수납하는 부자재바구니를 간편하게 타공 패널 상에 걸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척을 위한 부자재 등을 비치하여 세척작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싱크 캐비닛
110: 하부수납부 111: 개폐도어
113: 받침다리
120: 중앙세척부 121: 개수대
123: 수전 125: 전면패널
126: 타공 패널 127: 측면투명패널
130: 상부수납부 131: 개폐도어
141: 본체 143: 주입라인
145: 조작스위치 151: 배기경사안내판
152: 팬설치함 153: 배기팬
154: 배기구
10: 부자재바구니
11: 걸고리
30: 세정제보관함

Claims (7)

  1. 하측 모서리부분에 받침다리(113)가 구비되며, 전면에 개폐도어(111)가 구비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하부수납부(110); 하부수납부(110)의 상면에 하향 함몰되어 선택적으로 물을 저수하거나 하향 배수시키도록 하는 개수대(121)가 형성되고 개수대(121)의 전방측 상면 중앙에 수전(123)이 구비되는 중앙세척부(120); 중앙세척부(120)의 상부에 하부수납부(110)와 대향되어 하단이 프레임 구조로 연결되면서 전면이 개폐도어(131)에 의해 밀폐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는 상부수납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세척부(120)의 개수대(121) 전방에는 세척수가 비산되어 주변의 오염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수납부(110) 상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에 걸쳐 전면패널(125)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세척부(120)의 개수대(121) 양측에는 세척수가 양측으로 비산되너 주변의 오염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 구조의 사이 부분을 밀폐시키도록 측면투명패널(127)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전면패널(125) 상부에는 전면패널(125) 상단으로부터 상부수납부(130)의 하단에 이르는 공간을 막으면서 부자재바구니(10)를 걸고리(11)로 걸 수 있도록 하는 타공 패널(126)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수납부(110)의 내부 일 측으로부터 중앙세척부(120)를 관통하여 개수대(121) 내부 일 측에 걸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개수대(121) 내부로 세정액을 일정량 공급시키는 세정제자동주입유닛 및
    상부수납부(130)의 내측 하면 및 상면에 걸쳐 설치되며, 중앙세척부(120)에서 세척작업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상향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자동주입유닛은 하부수납부(110)의 수납공간에 안착설치되며, 내부에 세정제가 일정량 수용되어 선택적인 조작을 통해 내설된 펌프를 통해 세정제를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본체(141) 및
    상기 본체(141)의 상부 일 측으로부터 개수대(121) 상부 일 측을 관통하여 개수대(121)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지도록 관 형상으로 연장설치되며, 본체(141)의 조작시 배출되는 세정제를 개수대(121) 내부로 주입 안내하는 주입라인(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자동주입유닛의 본체(141)는 펌프를 작동시켜 세정제를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조작스위치(143)를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조작스위치(143)는 본체(141)의 전면에 설치되는 버튼스위치로 적용되거나 별도의 케이블에 의해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풋 스위치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수단은 상부수납부(130)의 하면에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상향 오염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기경사안내판(151)과,
    배기경사안내판(151)의 상단에 함체형상으로 구비되는 팬설치함(152)과,
    팬설치함(152)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배기팬(153) 및
    상부수납부(130)의 상면 중앙에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며, 배기팬(153)과 상하방향으로 연통되어 선택적으로 배기팬(153)을 통해 안내되는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납부(130)의 하면 일 측에는 하향 조명을 비출 수 있도록 하는 조명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
KR1020200154714A 2020-11-18 2020-11-18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 Active KR102376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714A KR102376842B1 (ko) 2020-11-18 2020-11-18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714A KR102376842B1 (ko) 2020-11-18 2020-11-18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842B1 true KR102376842B1 (ko) 2022-03-21

Family

ID=8093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714A Active KR102376842B1 (ko) 2020-11-18 2020-11-18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8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5056B1 (ko) * 2023-10-30 2024-07-15 안병문 내시경 세척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634B1 (ko) 2001-09-17 2003-12-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누수방지 루프
KR20070088410A (ko) 2007-05-25 2007-08-29 류기석 의료기기 및 진료기구 살균 세척기
KR20080101413A (ko) 2007-05-18 2008-11-21 성호준 자동 내시경 세척기
JP2010115268A (ja) * 2008-11-11 2010-05-27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保管庫
KR20190049613A (ko) 2017-11-01 2019-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크 캐비닛 장치
KR20200013829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클린메디케어 내시경 튜브 세척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634B1 (ko) 2001-09-17 2003-12-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누수방지 루프
KR20080101413A (ko) 2007-05-18 2008-11-21 성호준 자동 내시경 세척기
KR20070088410A (ko) 2007-05-25 2007-08-29 류기석 의료기기 및 진료기구 살균 세척기
JP2010115268A (ja) * 2008-11-11 2010-05-27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保管庫
KR20190049613A (ko) 2017-11-01 2019-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크 캐비닛 장치
KR20200013829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클린메디케어 내시경 튜브 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5056B1 (ko) * 2023-10-30 2024-07-15 안병문 내시경 세척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220B1 (ko) 의료기구용 초음파 세척장치
CN105032794B (zh) 多用消毒清洗装置
KR102376842B1 (ko) 내시경 세척용 싱크 캐비닛
JP5231027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KR20150144633A (ko) 살균 세척되는 타구대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유닛트 체어
KR101468112B1 (ko) 화장솔 자동 세척장치
JP3208567U (ja) 電解水を利用した清拭タオル洗浄専用台車
KR20120007399A (ko) 싱크대
JP2006043332A (ja) 器具洗浄方法および装置
CN117258004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一体化手工清洗消毒机
CN216395054U (zh) 一种盆底康复治疗仪
CN211132281U (zh) 一种超声科探头消毒设备
CN213287796U (zh) 一种医疗设施清洗消毒设备
KR200440273Y1 (ko) 공기순환식 살균라커
JP5566494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CN212093421U (zh) 一种妇产科用辅助清洁装置
CN213191435U (zh) 一种医疗器械用多重消毒柜
KR100831098B1 (ko) 치과의자용 멀티 케이스
CN211156352U (zh) 一种手术室清洗消毒装置
CN210991420U (zh) 一种重症创伤创口冲洗护理装置
KR200446472Y1 (ko) 의료용 무균수 장치
KR20150144634A (ko) 살균 세척되는 타구대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유닛트 체어
KR20090107104A (ko) 치과용 바 세척 및 살균기
KR20010011734A (ko) 의료용 내시경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CN214318648U (zh) 一种多功能消毒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