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6726B1 -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726B1
KR102376726B1 KR1020220007107A KR20220007107A KR102376726B1 KR 102376726 B1 KR102376726 B1 KR 102376726B1 KR 1020220007107 A KR1020220007107 A KR 1020220007107A KR 20220007107 A KR20220007107 A KR 20220007107A KR 102376726 B1 KR102376726 B1 KR 102376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et food
mix
mixture
mushroo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호
조한형
박기환
Original Assignee
몸엔용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몸엔용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몸엔용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7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7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6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30Oligo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육 사슴고기, 동애등에 분말, 완두단백, 가수분해 연어단백, 타피오카 전분, 양고기 분말, 고구마 분말, 황태 분말, 바나나 분말, 및 비트펄프를 포함하는 주원료; 야채믹스, 비타민 믹스, 미네랄 믹스, 유카추출물, 인산칼슘(MCP), 메티오닌, 및 L-라이신을 포함하는 부원료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원료에 기능성첨가조성물의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추가로 첨가하여 영양기능성, 소화기능성, 기호성을 향상시켜주고, 더욱이 피부상태 개선을 통해 가려움증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개선 기능성이 뛰어난 고품질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Health functional pet food using deer me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생육 사슴고기, 동애등에 분말, 완두단백, 가수분해 연어단백, 타피오카 전분, 양고기 분말, 고구마 분말, 황태 분말, 바나나 분말, 및 비트펄프를 포함하는 주원료; 야채믹스, 비타민 믹스, 미네랄 믹스, 유카추출물, 인산칼슘(MCP), 메티오닌, 및 L-라이신을 포함하는 부원료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원료에 기능성첨가조성물의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추가로 첨가하여 영양기능성, 소화기능성, 기호성을 향상시켜주고, 더욱이 피부상태 개선을 통해 가려움증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개선 기능성이 뛰어난 고품질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출산과 고령화,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해마다 늘어나면서, 반려동물과 연관된 경제활동의 펫코노미는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성장에 맞춰 반려동물에 대한 애정과 관심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여기는 생각은 사료 구매 활동에 변화를 주고 있으며, 이와 같은 변화는 사료를 식품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사료를 식품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저렴한 사료에서 반려동물에게 영양가가 풍부한 고급 사료를 먹이는 풍조가 생겨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10-0733906(등록일자 2007년06월25일)에는 채소류 및 과일류를 세척하고 분쇄하여 채소류 및 과일류 분쇄물을 얻는 단계; 상기 채소류 및 과일류 분쇄물 100중량부에 달걀 6.5 내지 40중량부, 빵가루, 다시마가루, 청국장가루, 치즈가루 및 현미미숫가루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분말성분 7 내지 23중량부 및 식물성 또는 동물성 오일 10 내지 30중량부를 배합하여 채소 및 과일함유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뼈를 포함하는 육류를 식용식초에 침지하여 소독하는 단계; 소독된 육류를 분쇄하여 육류 분쇄물을 얻는 단계; 상기 육류 분쇄물 75 내지 90중량%와 상기 채소 및 과일함유 혼합물 10 내지 25중량%를 배합하여 페이스트 상의 배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페이스트상의 배합물을 소정량으로 진공포장하는 단계; 및 진공포장된 배합물을 -30 내지 -50℃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급속냉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연식 사료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로서, 상기 뼈를 포함하는 여러 육류 중에 하나로서 사슴고기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반려동물은 습관이나 생활환경에 따라 습진 또는 피부염 등의 피부트러블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피부트러블이 발생하게 되면 가려움증과 통증이 유발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애완동물들은 해당 부위를 긁거나 핥는 행위를 반복함으로써 피부에 상처가 발생하기 쉽다.
반려동물, 더 구체적으로 반려견은 표피의 두께가 사람의 약 3배 정도가 얇고 중성의 pH를 유지하고 있어 세균 저항력이 약하다. 그리고 체온이 높아 세균 증식에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반려동물들의 피부 건강을 위해 사용하던 종래 제품들은 대부분 화학 합성제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오히려 이러한 화학성분에 의해 알레르기, 발진 등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사료를 제공하되, 영양기능성, 소화기능성, 기호성을 향상시켜주면서, 추가로 피부 개선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건강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고품질의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33906(등록일자 2007년06월25일)
본 발명은 생육 사슴고기, 동애등에 분말, 완두단백, 가수분해 연어단백, 타피오카 전분, 양고기 분말, 고구마 분말, 황태 분말, 바나나 분말, 및 비트펄프를 포함하는 주원료; 야채믹스, 비타민 믹스, 미네랄 믹스, 유카추출물, 인산칼슘(MCP), 메티오닌, 및 L-라이신을 포함하는 부원료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원료에 기능성첨가조성물의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추가로 첨가하여 영양기능성, 소화기능성, 기호성을 향상시켜주고, 더욱이 피부상태 개선을 통해 가려움증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개선 기능성이 뛰어난 고품질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육 사슴고기 15.0~30.0 wt%,
동애등에 분말 13.0~28.0 wt%,
완두단백 10.0~25.0 wt%,
가수분해 연어단백 5.0~20.0 wt%,
타피오카 전분 5.0~20.0 wt%,
양고기 분말 2.0~12.0 wt%,
고구마 분말 2.0~12.0 wt%,
황태 분말 1.0~10.0 wt%,
바나나 분말 1.0~10.0 wt%,
비트펄프 0.5~8.0 wt%,
야채믹스 0.05~0.5 wt%,
비타민 믹스 0.06~0.6 wt%,
미네랄 믹스 0.06~0.6 wt%,
유카추출물 0.05~0.5 wt%,
인산칼슘(MCP) 0.06~0.6 wt%,
메티오닌 0.05~0.5 wt%,
L-라이신 0.01~0.1 wt%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펫푸드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기 제시한 건강기능성 펫푸드에 피부개선용 조성물 0.5~5.0 wt%를 더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펫푸드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건강기능성 펫푸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생육 사슴고기, 동애등에 분말, 완두단백, 가수분해 연어단백, 타피오카 전분, 양고기 분말, 고구마 분말, 황태 분말, 바나나 분말, 및 비트펄프를 포함하는 주원료와,
야채믹스, 비타민 믹스, 미네랄믹스, 유카추출물, 인산칼슘(MCP), 메티오닌, 및 L-라이신 포함하는 부원료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S10)와,
상기 단계(S10)를 거친 혼합물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5~15 mm로 분쇄하는 1차분쇄단계(S20)와,
상기 1차 분쇄과정을 거친 후 미분말로 분쇄하는 2차분쇄단계(S30)와,
상기 2차 분쇄과정을 거친 미분말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정선단계(S40)와,
상기 1차정선단계(S40)를 거친 혼합물을 150~165 ℃에서 5~7 kg/㎤으로 압출성형으로 사료를 펠렛화하는 펠렛제조단계(S50)와,
상기 펠렛제조단계(S50)를 거쳐 제조된 펠렛사료를 수분함량 5.0~9.0 wt%가 되도록 조정하는 건조단계(S60)와,
상기 건조과정을 거친 압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정선단계(S70)와,
상기 2차정선단계(S70)를 거친 압출물을 냉각하는 쿨링단계(S80)와,
상기 쿨링단계(S80)를 거친 압출물을 동애등에오일; 향미제 또는 감미료의 혼합으로 구성된 코팅제를 이용하는 코팅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펫푸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성 펫푸드는 고품질의 천연물질 및 기능성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영양 기능성을 강화하고, 소화기능성을 강화함과 더불어, 최종적인 폣푸드 제조공정에 있어, 동애등에오일 및 향미제, 감미료를 포함한 코팅제를 이용하여 펫푸드의 표면을 코팅처리함으로써, 강아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들의 펫푸드에 대한 기호성를 높여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오메가3와, 복합기능성 조성물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은 애완동물의 피부개선에 효과를 줌으로써, 반려동물의 습관 또는 환경에 따라 발생하는 습진, 피부염 등에 의한 가려움증과 통증에 의한 긁거나 핥아 피부에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반려동물의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건강유지에 유용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펫푸드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 내용을 실시예와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성 펫푸드는
생육 사슴고기 15.0~30.0 wt%,
동애등에 분말 13.0~28.0 wt%,
완두단백 10.0~25.0 wt%,
가수분해 연어단백 5.0~20.0 wt%,
타피오카 전분 5.0~20.0 wt%,
양고기 분말 2.0~12.0 wt%,
고구마 분말 2.0~12.0 wt%,
황태 분말 1.0~10.0 wt%,
바나나 분말 1.0~10.0 wt%,
비트펄프 0.5~8.0 wt%,
야채믹스 0.05~0.5 wt%,
비타민 믹스 0.06~0.6 wt%,
미네랄 믹스 0.06~0.6 wt%,
유카추출물 0.05~0.5 wt%,
인산칼슘(MCP) 0.06~0.6 wt%,
메티오닌 0.05~0.5 wt%,
L-라이신 0.01~0.1 wt%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제시된 성분에 피부개선용 조성물 0.5~5.0 wt%를 더 첨가하여 구성한다.
상기 피부개선용 조성물은
오메가3 45.0~55.0 wt%;
감초 5.0~30.0 wt%, 우방자 5.0~30.0 wt%, 감태 5.0~30.0 wt%, 홍삼 5.0~30.0 wt%, 황금 5.0~30.0 wt%, 어성초 5.0~30.0 wt%, 알로에 0.5~10.5 wt%, 녹차 0.5~10.5 wt%, 프로폴리스 0.5~10.5 wt%, 상황버섯 0.5~5.5 wt%, 치마버섯 0.5~5.5 wt%, 영지버섯 0.5~5.5 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100.0 wt%의 복합기능성 조성물 45.0~55.0 wt%;의 혼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오메가3 45.0~55.0 wt%;
감초 5.0~30.0 wt%, 우방자 5.0~30.0 wt%, 감태 5.0~30.0 wt%, 홍삼 5.0~30.0 wt%, 황금 5.0~30.0 wt%, 어성초 5.0~30.0 wt%, 상황버섯 0.5~5.5 wt%, 치마버섯 0.5~5.5 wt%, 영지버섯 0.5~5.5 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100.0 wt%의 복합기능성 조성물 45.0~55.0 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100.0 wt%의 복합기능성 조성물 45.0~55.0 wt%;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 건강기능성 펫푸드를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생육 사슴고기는 단백질 함량이 우육보다 높고, 지방의 함량은 우육보다 현저히 낮다. 단백질, 비타민 B 및 미네랄은 다른 가축의 식육에 비하여 높은 반면 지방, 포화지방산 및 콜레스테롤은 비교적 낮은 편이다.
상기 사슴고기는 펫푸드에 사용되어 기력증진과 피부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15.0 wt% 미만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기능성의 미미하고, 3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조단가의 상승으로 인한 가격경쟁력 저하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사슴고기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15.0~3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애등에 유충의 영양성분은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각각 40 %와 30 %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수 아미노산(arginine, methionine, lysine)이 풍부하다.
곤충 단백질은 육류 단백질 대비 알러지 발생율은 현저히 낮으며 미네랄과 비타민, 섬유질 등의 영양성분은 월등하게 더 풍부하여 미래의 지속가능한 신 단백질로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동애등에는 유충 및 번데기를 건조 후, 이를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가공된 것을 사용한다.
동애등에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1.반려견에게 필요한 10가지 필수아미노산 풍부하다.
2.고단백, 고칼슘, 오메가3지방산 풍부하다.
3.천연 항생제인 항균 펩타이드 풍부하다.
4.라우르산, 불포화지방산 다량 함유되어 있다.
5.면역력 강화 & 콜레스테롤 제거에 도움이 된다.
6.높은 신체 에너지 전환 효율(소고기 10%, 곤충 20~40%)이 좋다.
7.비타민B 복합체와 미네랄의 좋은 공급원이다.
8.20여 가지의 높은 면역기능을 하는 아미노산 풍부하다.
9.식욕을 돋우고 기호성을 높여주는 천연 글루탐산 풍부하다.
10.신체 에너지 공급 및 근육 기능 유지된다.
11.환경 친화적 & 지속가능성이 뛰어나다.
상기 특징을 갖는 동애등에는 본 발명에서 분말형태로 사용한다. 상기 동애등에 분말은 알러지 발생 우려가 없어 안전하게 애완동물에게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량이 13.0 wt%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시된 동애등에 특징을 충분히 발현하기 어렵고, 28.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과의 균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균형잡인 영양공급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동애등에 분말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13.0~28.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두단백(Pea Protein)은 콩의 종류 중 가장 많은 식이섬유를 가지고 있는 완두콩에서 추출한 식물성 단백질 성분이다. 대두 다음으로 많은 단백질 함량을 가지고 있다. 단백질을 보충하고 근력유지에 도움을 준다.
소화율이 우수하고 알러지 유발이 낮으며 부작용이 없어 매우 안전한 식물성 단백질로 분류된다. 섬유질, 비타민K, 미네랄, 비타민C,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건강식품의 단백질 공급원으로도 사용된다.
상기 원두단백의 사용량이 10.0 wt% 미만인 경우에는 알러지 유발을 낮추면서 단백질 보충 및 근력유지 효과의 발현이 미미하고, 25.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사용 함량이 줄어들어, 사료를 통해 균형잡인 영양분을 공급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완두단백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10.0~25.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수분해 연어단백은 가수분해되는 단백질로서 아미노산 수준까지 분해된다. 알러지 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고 소화도 잘된다는 장점이 있다.
연어는 세포재생 및 관절염에 효과가 있는 원료로서, 지방산, 오메가-3 및 단백질이 풍부하다.
상기 가수분해 연어단백의 사용량이 5.0 wt%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연어의 고유의 효과가 발현되는 것이 미미하고, 2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과의 영양 균형이 제대로 잡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가수분해 연어단백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5.0~2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피오카는 등대풀과 목본인 카사바(cassava)의 뿌리에서 식용으로 추출한 식용전분이다. 카사바 뿌리에서 추출되기 때문에 주성분의 80% 이상이 전분으로 단백질 함량이 매우 낮다.
카사바 전분인 타피오카는 아밀로오스(amylose)와 아밀로펙틴(amylopecti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영양성분이 들어가 있다.
상기 타피오카 전분는 일정량의 당분을 포함하고 있어 애완동물들의 사료 기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5.0 wt% 미만인 경우에는 애완동물들의 사료 기호도 상승을 크게 기대하기 어렵고, 2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해 다른 성분함량이 줄어들어 균형잡힌 영양을 공급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타피오카 전분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5.0~2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고기는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달아 음을 보하며, 신체를 풍성하게 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 등 보양식 으로도 손색이 없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영양성분은 가식부 100g당, 열량 144kcal, 수분 23.2g, 단백질 20.3g, 지질 6.2g, 회분 1.0g, 칼슘 12mg, 인 188mg, 철 1.6mg, 나트륨 83mg, 칼륨 320mg, 비타민B1 0.15mg, 비타민B2 0.29mg, 나이아신 5.6mg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양고기는 분말 형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2.0 wt%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시하고 있는 양고기 섭취를 통해 발현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2.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한 제조단가의 상승 및 전체적으로 균형잡인 영양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양고기 분말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2.0~12.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구마의 영양성분은 대부분이 전분이고, 그 외에 β-carotene,vitamin C,무기질 및 식이섬유가 함량이 많다. 고구마의 주요 기능성은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변비해소, 혈압강하, 출혈방지, 골다공증 예방, 간보호기능 등이 보고되고 있다.
고구마 표면의 흙과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외부를 세척한 후, 적자색을 나타내는 외피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한 고구마 분말(SPP)을 제조한다. 완성된 고구마 분말은 500mesh 채에 걸러 균일한 입자만을 사용한다.
상기 고구마 분말은 열을 가하지 않은 동결건조로 인해 영양소 파괴를 최소한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2.0 wt% 미만인 경우에는 고구마 고유의 영양성분을 충분히 공급하기 어렵고, 12.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과의 균일한 영양균형을 잡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고구마 분말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2.0~12.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태를 장기간 보존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자연적인 동결건조의 과정을 거쳐 숙성되면 물리적,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서 노란색깔로 변하여 만들어진 건조생선(stockfish)을 황태라고 한다.
상기 황태에는 간을 보호해주는 메티오닌, 리신, 트립토판과 같은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포함돼 있고, 심혈관계의 조절과 항산화 효과, 혈중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다.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는 타우린과 베타인 성분도 풍부하게 들어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황태를 분말 형태로 사용하며, 머리, 꼬리, 껍질 및 뼈를 제거한 후, 소정의 크기로 쪼갠 후에 분쇄기를 이용하여 파우더 형태로 분쇄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황태 분말은 애완동물들에게 풍부한 영양을 공급하는 재료로서, 그 사용량이 1.0 wt% 미만인 경우에는 황태 분말로부터 제공할 수 있는 영양분의 공급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1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과의 배합균형이 맞지 않아 균형잡힌 영양을 공급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황태 분말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1.0~1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숙한 바나나의 탄수화물은 거의 전분이며, 후숙이 되면 전분이 당화되어 대부분 과당, 포도당, 설탕 등으로 분해된다. 사과산은 약 0.2% 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신맛이 거의 없고 과육의 노란색은 카로틴과 크산토필류이다. 바나나의 독특한 향기는 초산에틸이나 초산이소아밀 등의 에스텔류와 알코올류이며, 바나나에는 지방과 나트륨이 적기 때문에 간경변, 신장병, 심장병 등 나트륨을 주의해야 하는 환자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다.
바나나에 함유되어 있는 당질은 소화 흡수가 잘되므로 위장 장애나 설사 또는 위하수 증세가 있는 사람에게도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바나나는 칼륨과 같은 무기질과 비타민 A1, B1, B₂및 C와 같은 다양한 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안익은 바나나에 들어있는 폴리페놀 성분은 항산화성이 높아 암, 류마티스 관절염 및 심혈관 질환과 같은 특정 질병에 대하여 예방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나나를 분말 형태로 사용한다. 상기 바나나 분말의 사용량이 1.0 wt% 미만인 경우에는 무기질, 에너지원으로서의 제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1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어 균형잡인 영양분을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바나나 분말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1.0~1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트펄프(Beet pulps)는 사탕무에서 설탕을 추출하고 남은 찌꺼기로서 압축 및 건조 처리를 통해 가축의 사료로 이용한다.
비트펄프에는 람노스, 아리비노스, 갈락토오스 및 섬유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세포독성, 지질과산화작용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혈당량이 낮은 경우 포도당 흡수를 증진시키는 작용 및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다.
상기 비트펄프의 사용량이 0.5 wt%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시하고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8.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애완동물의 변을 굳게 하여 변비를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비트펄프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0.5~8.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시된 생육 사슴고기, 동애등에 분말, 완두단백, 가수분해 연어단백, 타피오카 전분, 양고기 분말, 고구마 분말, 황태 분말, 바나나 분말 및 비트펄프는 본 발명의 펫푸드를 구성하는 주원료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부원료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펫푸드 내의 많은 배합비를 차지한다.
상기 주원료는 애완동물들의 기호성을 높여주는 배합구성으로, 강아지들의 성장성을 고려하여 영양가가 풍부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부원료와의 전체 조합을 통해서는 지방과 탄수화물 그리고 고품질 단백질, 미네랄 성분으로 보강됨으로써 성장기에 있는 애완동물 사료, 특히 강아지 사료로서의 기능과 소형견과 대형견에 적합한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펫푸드를 구성하는 부원료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부원료는 야채믹스, 비타민 믹스, 미네랄 믹스, 유카추출물, 인산칼슘(MCP), 메티오닌, 및 L-라이신을 포함한다.
상기 야채믹스의 사용량이 0.05 wt% 미만인 경우에는 야채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하기 어려워 영양불균형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0.5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애완동물들의 사료 기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야채믹스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0.05~0.5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타민 믹스는 영양 균형과 면역력 강화를 위해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체내 합성이 가능한 비타민 뿐만 아니라 음식물로 섭취를 해야하는 비타민을 골고루 혼합하여 만든 것을 사용한다.
상기 비타민 믹스의 사용량이 0.06 wt% 미만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0.6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공급에 의한 효과증진을 기대하기 어려워 무의미하므로, 상기 비타민 믹스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0.06~0.6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네랄은 체내에서 골격을 형성하고 또 대사과정 중에서 중요한 영양소로서 이용되는 것으로서,
마그네슘, 칼슘, 칼륨, 인, 나트륨, 염소, 유황, 철, 아연, 요오드, 구리, 셀레늄, 망간, 코발트, 크롬, 불소, 몰리브덴을 혼합하여 미네랄 믹스로 만든 것을 사용한다. 그 사용량이 0.06 wt% 미만인 경우에는 미네랄의 고유 기능을 발현되기 어렵고, 0.6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해 다른 성분들과의 배합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미네랄믹스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0.06~0.6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카추출물은 사료에 사용되어 애완동물의 입 냄새와 변 냄새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유카에 포함되어 있는 사포닌 성분이 악취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기 때문이다.
상기 유카추출물은 유카분말과 에탄올을 1:5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68 ℃에서 20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추출물을 동결건조 후 분말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그 사용량이 0.05 wt% 미만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0.5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무의미하므로, 상기 유카추출물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0.05~0.5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산칼슘(MCP)은 동물의 뼈나 이빨의 주성분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동물의 뼈 건강과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한다. 그 사용량이 0.06 wt%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시한 효과가 미미하고, 0.6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과의 균형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인산칼슘(MCP)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0.06~0.6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티오닌은 세포 물질대사에 필수성분으로서,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으므로 음식물로 섭취하여야 한다. 상기 메티오닌은 식품 보충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0.05 wt% 미만인 경우에는 메티오닌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알레르기 예방 류마티스성 열 등의 예방기능성이 미미하고, 0.5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해 다른 성분들과의 균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메티오닌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0.05~0.5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라이신의 동물 영양의 기준이 되는 아미노산으로 가축의 성장과 발육을 위해 사료에 첨가해야 하는 필수 아미노산으로서, 그 사용량이 0.01 wt% 미만인 경우에는 적정 함량을 제공하기 어렵고, 0.1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해 무의미하므로, 상기 L-라이신의 사용량은 펫푸드 전체 중량에 대해 0.01~0.1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시하고 있는 주원료와 부원료의 혼합을 통해 구성되는 건강기능성 펫푸드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생육 사슴고기 21.5 wt% 18.5 wt% 20.7 wt% 26.0 wt% 30.0 wt%
동애등에 분말 16.5 wt% 15.0 wt% 13.0 wt% 13.5 wt% 17.5 wt%
완두단백 15.0 wt% 12.5 wt% 11.6 wt% 13.8 wt% 14.2 wt%
가수분해 연어단백 10.0 wt% 12.6 wt% 12.8 wt% 8.3 wt% 5.1 wt%
타피오카 전분 10.0 wt% 13.4 wt% 16.5 wt% 6.2 wt% 5.2 wt%
양고기 분말 6.0 wt% 7.5 wt% 8.3 wt% 5.3 wt% 3.4 wt%
고구마 분말 6.0 wt% 4.4 wt% 2.2 wt% 8.2 wt% 8.3 wt%
황태 분말 5.0 wt% 4.5 wt% 3.7 wt% 7.1 wt% 8.3 wt%
바나나 분말 5.0 wt% 8.1 wt% 6.5 wt% 4.1 wt% 3.8 wt%
비트펄프 4.0 wt% 2.5 wt% 3.7 wt% 6.5 wt% 3.2 wt%
야채믹스 0.1 wt% 0.09 wt% 0.08 wt% 0.07 wt% 0.06 wt%
비타민 믹스 0.2 wt% 0.19 wt% 0.16 wt% 0.18 wt% 0.17 wt%
미네랄믹스 0.2 wt% 0.17 wt% 0.18 wt% 0.19 wt% 0.19 wt%
유카추출물 0.1 wt% 0.04 wt% 0.06 wt% 0.08 wt% 0.09 wt%
인산칼슘(MCP) 0.2 wt% 0.19 wt% 0.1 wt% 0.3 wt% 0.14 wt%
메티오닌 0.15 wt% 0.24 wt% 0.33 wt% 0.14 wt% 0.32 wt%
L-라이신 0.05 wt% 0.08 wt% 0.09 wt% 0.04 wt% 0.03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제시하고 있는 부원료 외에 애완동물들의 습관이나 생활환경에 따라 습진 또는 피부염 등의 피부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피부상태를 개선해줄 수 있는 상기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더 포함하여 사료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피부개선용 조성물은 오메가3와 복합기능성 조성물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메가3 45.0~55.0 wt%와 복합기능성 조성물 45.0~55.0 wt%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혼합으로 구성된 상기 피부개선용 조성물은 사료 전체 중량에 대해 0.5~5.0 wt%의 범위 내에서 사용된다.
상기 피부개선용 조성물은 더욱 구체적으로,
오메가3 45.0~55.0 wt%;
감초 5.0~30.0 wt%, 우방자 5.0~30.0 wt%, 감태 5.0~30.0 wt%, 홍삼 5.0~30.0 wt%, 황금 5.0~30.0 wt%, 어성초 5.0~30.0 wt%, 알로에 0.5~10.5 wt%, 녹차 0.5~10.5 wt%, 프로폴리스 0.5~10.5 wt%, 상황버섯 0.5~5.5 wt%, 치마버섯 0.5~5.5 wt%, 영지버섯 0.5~5.5 wt%의 혼합으로 구성된 100 wt%의 복합기능성 조성물 45.0~55.0 wt%;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또는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기 복합기능성 조성물에 제시된 성분들 중 알로에, 녹차, 프로폴리스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들만으로 구성된 것을 피부개선용 조성물로 사용한다.
즉, 오메가3 45.0~55.0 wt%;
감초 5.0~30.0 wt%, 우방자 5.0~30.0 wt%, 감태 5.0~30.0 wt%, 홍삼 5.0~30.0 wt%, 황금 5.0~30.0 wt%, 어성초 5.0~30.0 wt%, 상황버섯 0.5~5.5 wt%, 치마버섯 0.5~5.5 wt%, 영지버섯 0.5~5.5 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100.0 wt%의 복합기능성 조성물 45.0~55.0 wt%;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피부개선용 조성물은 오메가3와 피부에 도움을 주는 한방재료 성분들로 구성됨으로써 항산화 효과, 항균활성 등의 기능성 강화로 인해, 반려동물들의 피부상태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제시된 성분들로 구성되는 사료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의 표 2에 제시된 실시예 6 내지 10과 같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생육 사슴고기 20.0 wt% 16.5 wt% 17.7 wt% 22.0 wt% 25.0 wt%
동애등에 분말 16.5 wt% 15.0 wt% 13.0 wt% 13.5 wt% 17.5 wt%
완두단백 15.0 wt% 12.5 wt% 11.6 wt% 13.8 wt% 14.2 wt%
가수분해 연어단백 10.0 wt% 12.6 wt% 12.8 wt% 8.3 wt% 5.1 wt%
타피오카 전분 10.0 wt% 13.4 wt% 16.5 wt% 6.2 wt% 5.2 wt%
양고기 분말 6.0 wt% 7.5 wt% 8.3 wt% 5.3 wt% 3.4 wt%
고구마 분말 6.0 wt% 4.4 wt% 2.2 wt% 8.2 wt% 8.3 wt%
황태 분말 5.0 wt% 4.5 wt% 3.7 wt% 7.1 wt% 8.3 wt%
바나나 분말 5.0 wt% 8.1 wt% 6.5 wt% 4.1 wt% 3.8 wt%
비트펄프 4.0 wt% 2.5 wt% 3.7 wt% 6.5 wt% 3.2 wt%
야채믹스 0.1 wt% 0.09 wt% 0.08 wt% 0.07 wt% 0.06 wt%
비타민 믹스 0.2 wt% 0.19 wt% 0.16 wt% 0.18 wt% 0.17 wt%
미네랄믹스 0.2 wt% 0.17 wt% 0.18 wt% 0.19 wt% 0.19 wt%
유카추출물 0.1 wt% 0.04 wt% 0.06 wt% 0.08 wt% 0.09 wt%
인산칼슘(MCP) 0.2 wt% 0.19 wt% 0.1 wt% 0.3 wt% 0.14 wt%
메티오닌 0.15 wt% 0.24 wt% 0.33 wt% 0.14 wt% 0.32 wt%
L-라이신 0.05 wt% 0.08 wt% 0.09 wt% 0.04 wt% 0.03 wt%
피부개선용
조성물
1.5 wt% 2.0 wt% 3.0 wt% 4.0 wt% 5.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오메가3와 복합기능성 조성물의 배합예는 다음의 표 3에 제시된 배합예 1 내지 배합예 5와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오메가3 45.0 wt% 48.0 wt% 50.0 wt% 53.0 wt% 55.0 wt%
복합기능성
조성물
55.0 wt% 52.0 wt% 50.0 wt% 47.0 wt% 45.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피부개선용 조성물의 복합기능성 조성물의 배합예는 감초 5.0~30.0 wt%, 우방자 5.0~30.0 wt%, 감태 5.0~30.0 wt%, 홍삼 5.0~30.0 wt%, 황금 5.0~30.0 wt%, 어성초 5.0~30.0 wt%, 알로에 0.5~10.5 wt%, 녹차 0.5~10.5 wt%, 프로폴리스 0.5~10.5 wt%, 상황버섯 0.5~5.5 wt%, 치마버섯 0.5~5.5 wt%, 영지버섯 0.5~5.5 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그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4에 제시된 배합예 6 내지 배합예 10과 같다.
배합예 6 배합예 7 배합예 8 배합예 9 배합예 10
감초 15.5 wt% 14.0 wt% 12.5 wt% 12.0 wt% 11.5 wt%
우방자 15.5 wt% 14.0 wt% 12.5 wt% 12.0 wt% 11.5 wt%
감태 15.5 wt% 14.0 wt% 12.5 wt% 12.0 wt% 11.5 wt%
홍삼 13.5 wt% 12.0 wt% 13.0 wt% 12.0 wt% 11.7 wt%
황금 14.3 wt% 13.0 wt% 13.3 wt% 14.0 wt% 13.3 wt%
어성초 11.2 wt% 12.5 wt% 12.3 wt% 14.0 wt% 13.0 wt%
알로에 3.5 wt% 4.6 wt% 4.3 wt% 5.4 wt% 8.0 wt%
녹차 2.3 wt% 3.0 wt% 4.4 wt% 4.0 wt% 5.5 wt%
프로폴리스 1.5 wt% 3.0 wt% 4.5 wt% 5.3 wt% 6.5 wt%
상황버섯 1.2 wt% 3.1 wt% 4.7 wt% 5.0 wt% 5.0 wt%
치마버섯 5.0 wt% 5.5 wt% 4.7 wt% 3.0 wt% 1.2 wt%
영지버섯 1.0 wt% 1.3 wt% 1.3 wt% 1.3 wt% 1.3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감초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여러 플라보노이드(flavonoids)계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주요 성분인 glycyrrhizin은 감초의 지표성분으로서 2.5% 이상을 함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뇨작용,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등의 효능 외에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광 노화를 유발하는 효소의 발현을 억제시켜 항노화 효과와 더불어 주름 생성 억제와 피부탄력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우방자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한 2년생인 초본식물인 우엉(Arctium lappa Linne)의 잘 여문 씨앗이다. 약리작용으로는 혈당강하 작용, 항균작용, 항암작용, 신장염에 대한 억제작용, 칼슘에 대한 길항작용 등이 있다.
주요 성분은 Arctiin인데 가수분해되면 Arctigenin이 되고 Arcttin이 3분자 결합하게 되면 Lappaol A~H가 생성된다. 이 외에 Isoarctigenin, Matairesinol, Diarctigenin, 지방유 25~30%, 비타민A, 비타민B₁, Gobostenin 등의 성분이 있다. MMP-1은 Collagen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Protease로서 MMP-1의 활성을 억제하여 Collagen의 분해를 감소시키면, 피부조직의 탄력을 유지하고 주름생성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감태는 식용 해조류로 갈조식물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Alariaceae)의 식물이다. 알긴산, 후코이단 등의 다당류 이외에 감태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은 phlorotannin이며 이들에 대한 생리활성은 HIV-1 역전사효소 저해활성, xanthin oxidase 저해활성, tyrosinase 활성억제효과, elastase 활성억제효과, 혈전생성 저해활성, 항산화활성, 심혈관 보호효과, 항바이러스 활성 등의 결과들이 연구 보고된 바 있다.
상기 홍삼과 관련하여, 인삼에 포함되어 있는 많은 약리 성분인 인삼사포닌(ginsenoside)은 크게 protopanaxadiol(PPD)계 진세노사이드(Rb₁,Rb₂,Rb₃,Rc,Rd)와 protopanaxatriol(PPT)계 진세노사이드(Re,Rf,Rg₁,Rg₂)로 나눌 수 있다. PPD계에 속하는 진세노사이드는 중추신경 진정효과, 진정작용, 항염 및 진통 등에 효과가 있고, PPT계 진세노사이드는 피로회복, 운동 근력 증진 및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홍삼의 효능은 노화에 따른 과산화지질 억제 및 활성산소 제거를 위한 항산화 효소의 활성 촉진 유도), 자연살해 세포의 활성도를 증가하는 면역기능 강화,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 항염 및 항종양 작용,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부드럽게 해주는 작용,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적혈구 손상 억제, SOD의 활성 등 다양하다.
상기 황금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주요성분으로는 baicalin, baicalein, wogonin등이 알려져 있으며 그 밖에도 wogonoside, chrysin, scullcapflavoneⅠ,등의 flavonoids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황금의 약리작용으로는 항 알러지작용, 담즙분비촉진작용, 항균작용, 혈압강하작용등의 약리작용들이 알려져 있다.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능력이나 H2O2에 의해 손상이 나타난 심근세포에 대한 회복 능력이 적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나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보다도 높다.
상기 어성초는 항균 활성이 있는 천연물질로써,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Decatnoil acetaldehyd), 메톤(Methyln-nonylketone), 미르센(Myrcene), 로우릭 알데히드(Lauricaldehyde), 캐프릭드(Capricaldehyde)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중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Decatnoilacetaldehyd) 성분은‘설파민’항생제의 40,000배의 역가를 지녀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항균제로 사용 되고 있으며, 혈압과 혈당 강하 및 기관지염, 폐렴, 편도선염 등의 호흡기 염증성 질환, 만성 피부 질환, 이뇨, 소염 등의 목적으로 한의학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알로에는 알로 인, 알로에 에모 딘, 알로에 신, 아보나사이드, 알로 미친, 알로에 울신, 알로에 친, 사포나린, 육탄당인 고분자 다 당체, 비타민류, 치유 호르몬, 사포닌 프로테인, 철분, 인 등 약 60 여종에 이르는 주요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피부 미용과 영양공급, 상처 치료 등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음용 할 경우 위, 장 등의 기능을 향상시켜 면역력을 높여주고 알레르기를 억제해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녹차의 카테킨 성분은 피부노화를 예방하고 지친 피부에 수렴작용과 진정작용을 하며, 비타민 A와 토코페롤은 주름을 방지하고 윤기를 주어 피부를 젊고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해 준다.
상기 프로폴리스(Propolis)는 꿀벌이 유해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보금자리를 보호하고 청결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수목에서 얻은 수액에 봉납이나 타액을 혼합시켜 만든 점착성 있는 수액상의 천연물질로서 황갈색의 천연 화합물이다.
상기 수지(50~55%), 밀랍(30%), 정유(8~10%), 화분(5%), 각종 유기성분, 미네랄 등이 함유되어 있어 여러가지 약리 효과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플라보노이드 작용은 세포막을 강화하고 세포작용을 활성화 하며, 콜라겐의 합성을 돕고, 결합조직이나 혈관, 피부 등을 튼튼히 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기 상황버섯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소나무비늘버섯과의 진흙버섯속의 버섯으로, 부인과 질환과 피부 질환에 사용되어 왔다. 상황버섯에 대한 연구로는 열수추출물의 체액성 면역기능, 항암활성, 아토피 피부염 증상개선, 항보체 활성, 혈중 젖산 농도 감소,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nitric oxide(NO) 억제에 대한 연구, 메탄올 추출물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효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노화능, 항염증, 항알레르기, 주름제거능 등이 있다.
상기 치마버섯은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치마버섯과의 바섯으로, 나무에 붙어 기생하여 산다. 상기 치마버섯 유래 베타글루칸은 세포활성촉진, 면역증강, 항암, 노화방지 등의 효과를 갖고 있다.
상기 영지버섯은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로 전세계에서 널리 서식하며 자실체가 옻칠을 한 것처럼 광택이 나는 1년생 버섯이다. 혈압조절, 혈장 및 간 콜레스테롤억제, 혈당강화, 면역 증강, 노화억제, 생리활성, 세포활성, 항염, 항균, 항알레르기, 해독, 이뇨작용을 한다.
[시험예]
본 시험예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펫푸드의 피부병 감염 회복에 대해 반려견(시츄)을 대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반려견의 피부는 중성의 pH를 유지한다. 중성의 pH는 약산성일 때보다 세균 저항력이 약하여 세균 증식이 쉽다. 또한 피부의 온도가 높아 세균 증식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본 실험을 위하여 감초, 우방자, 감태, 홍삼, 황금, 어성초, 알로에, 녹차, 프로폴리스, 상황버섯, 치마버섯, 영지버섯의 각 소재를 각각 잘게 파쇄하여 미세분말로 만든 뒤, 15배 중량의 50%의 에탄올에 넣고 86 ℃에서 추출하고 여과한 후에 60 ℃에서 감압 농축 후 건조하여 각각 분말을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한 분말을 이용하여, 표 4의 배합예 6에 제시된 혼합비율에 따라 복합기능성 조성물을 구성한 후, 표 3의 배합예 1에 제시된 혼합비율에 따라 조성된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구성하였으며, 상기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펠렛형태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A사에서 판매하는 사료 100 g의 전체 중량의 5.0 wt%를 상기 피부개선용 조성물로 대체한 사료, 즉 A사에서 판매하는 사료 95g, 피부개선용 조성물 5g을 혼합한 사료를 시험예 1로 하고,
상기 시험예 1에 대한 대조군으로서, A사에서 판매하는 사료 100 g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애견종은 피부병 질환이 앓고 있는 시츄 5마리를 그 대상으로 하되, 1일 2회 3주간 급이하였다.
시험예 2는 상기 조건과 동일하되, 표 4의 배합예 7에 제시된 혼합비율로 조성된 복합기능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표 3의 배합예 2에 제시된 혼합비율로 조성된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예 3은 상기 조건과 동일하되, 표 4의 배합예 8에 제시된 혼합비율로 조성된 복합기능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표 3의 배합예 3에 제시된 혼합비율로 조성된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예 4는 상기 조건과 동일하되, 표 4의 배합예 9에 제시된 혼합비율로 조성된 복합기능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표 3의 배합예 4에 제시된 혼합비율로 조성된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예 5는 상기 조건과 동일하되, 표 4의 배합예 10에 제시된 혼합비율로 조성된 복합기능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표 3의 배합예 5에 제시된 혼합비율로 조성된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시험예 1 내지 5와 비교예 1에 대해 0주 ~ 3주간 시츄의 초기 감염부위 영역을 100 %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감염부위는 표피미세확대경을 통한 관능적검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비교예 1은 감염부위가 크게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영역이 넓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시험예 1 내지 시험예 5는 영역이 계속 줄어들어 3주차에는 평균 57%의 감염부위 영역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다만 이때 감염부위 영역 감소 효과는 시험예 1>시험예 2>시험예 3>시험예4>시험예 5순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해, 상기 제시된 복합기능성 조성물의 피부개선 기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건강기능성 펫푸드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성 펫푸드 제조과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육 사슴고기, 동애등에 분말, 완두단백, 가수분해 연어단백, 타피오카 전분, 양고기 분말, 고구마 분말, 황태 분말, 바나나 분말, 및 비트펄프를 포함하는 주원료와,
야채믹스, 비타민 믹스, 미네랄믹스, 유카추출물, 인산칼슘(MCP), 메티오닌, 및 L-라이신 포함하는 부원료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S10)와,
상기 단계(S10)를 거친 혼합물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5~15 mm로 분쇄하는 1차분쇄단계(S20)와,
상기 1차 분쇄과정을 거친 후 미분말로 분쇄하는 2차분쇄단계(S30)와,
상기 2차 분쇄과정을 거친 미분말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정선단계(S40)와,
상기 1차정선단계(S40)를 거친 혼합물을 150~165 ℃에서 5~7 kg/㎤으로 압출성형으로 사료를 펠렛화하는 펠렛제조단계(S50)와,
상기 펠렛제조단계(S50)를 거쳐 제조된 펠렛사료를 수분함량 5.0~9.0 wt%가 되도록 조정하는 건조단계(S60)와,
상기 건조과정을 거친 압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정선단계(S70)와,
상기 2차정선단계(S70)를 거친 압출물을 냉각하는 쿨링단계(S80)와,
상기 쿨링단계(S80)를 거친 압출물을 동애등에오일; 향미제 또는 감미료의 혼합으로 구성된 천연코팅액을 이용하는 코팅단계(S90)를 포함한다.
상기 원료혼합단계(10)에 투입되는 원료는 생육 사슴고기 15.0~30.0 wt%, 동애등에 분말 13.0~28.0 wt%, 완두단백 10.0~25.0 wt%, 가수분해 연어단백 5.0~20.0 wt%, 타피오카 전분 5.0~20.0 wt%, 양고기 분말 2.0~12.0 wt%, 고구마 분말 2.0~12.0 wt%, 황태 분말 1.0~10.0 wt%, 바나나 분말 1.0~10.0 wt%, 비트펄프 0.5~8.0 wt%, 야채믹스 0.05~0.5 wt%, 비타민 믹스 0.06~0.6 wt%, 미네랄 믹스 0.06~0.6 wt%, 유카추출물 0.05~0.5 wt%, 인산칼슘(MCP) 0.06~0.6 wt%, 메티오닌 0.05~0.5 wt%, L-라이신 0.01~0.1 wt%을 포함한 것,
또는 생육 사슴고기 15.0~30.0 wt%, 동애등에 분말 13.0~28.0 wt%, 완두단백 10.0~25.0 wt%, 가수분해 연어단백 5.0~20.0 wt%, 타피오카 전분 5.0~20.0 wt%, 양고기 분말 2.0~12.0 wt%, 고구마 분말 2.0~12.0 wt%, 황태 분말 1.0~10.0 wt%, 바나나 분말 1.0~10.0 wt%, 비트펄프 0.5~8.0 wt%, 야채믹스 0.05~0.5 wt%, 비타민 믹스 0.06~0.6 wt%, 미네랄 믹스 0.06~0.6 wt%, 유카추출물 0.05~0.5 wt%, 인산칼슘(MCP) 0.06~0.6 wt%, 메티오닌 0.05~0.5 wt%, L-라이신 0.01~0.1 wt%, 피부개선용 조성물 0.5~5.0 wt%를 포함하는 것 중에 선택한다.
상기 피부개선용 조성물 0.5~5.0 wt%은
오메가3 45.0~55.0 wt%;
감초 5.0~30.0 wt%, 우방자 5.0~30.0 wt%, 감태 5.0~30.0 wt%, 홍삼 5.0~30.0 wt%, 황금 5.0~30.0 wt%, 어성초 5.0~30.0 wt%, 알로에 0.5~10.5 wt%, 녹차 0.5~10.5 wt%, 프로폴리스 0.5~10.5 wt%, 상황버섯 0.5~5.5 wt%, 치마버섯 0.5~5.5 wt%, 영지버섯 0.5~5.5 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100.0 wt%의 복합기능성 조성물 45.0~55.0 wt%;로 이루어진 것,
또는
오메가3 45.0~55.0 wt%;
감초 5.0~30.0 wt%, 우방자 5.0~30.0 wt%, 감태 5.0~30.0 wt%, 홍삼 5.0~30.0 wt%, 황금 5.0~30.0 wt%, 어성초 5.0~30.0 wt%, 상황버섯 0.5~5.5 wt%, 치마버섯 0.5~5.5 wt%, 영지버섯 0.5~5.5 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100.0 wt%의 복합기능성 조성물 45.0~55.0 wt%;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2차 분쇄과정을 거쳐 일정 입도 크기로 분쇄함으로써, 이후 과정의 불순물 제거가 용이하고 압출성형시 스팀을 제공하면서 펠렛으로 성형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1차 및 2차 정선과정은 체(Sieve)를 통과하여 분쇄물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펠렛과 함께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을 취하나, 특별히 방법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상기 천연코팅액은 1~3 mm 크기로 압출성형하여 펠렛으로 성형된 사료의 표면 코팅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동애등에 오일과; 향미제 또는 감미료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의 첨가제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애등에 오일 58.0~65.0 wt%와
향미제 또는 감미료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의 첨가제 35.0~42.0 wt%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코팅처리를 함으로써, 펠렛형태의 건사료 급이시 분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코팅처리시 향미제와 감미료를 함께 첨가함으로써 애완동물의 기호성을 월등히 높여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성 펫푸드는 고품질의 천연물질 및 기능성 물질을 사용하여 영양 기능성을 강화하고, 소화기능성을 강화함과 더불어 강아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들의 펫푸드에 대한 기호성를 높여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반려동물의 습관 또는 환경에 따라 발생하는 습진, 피부염 등에 의한 가려움증과 통증에 의한 긁거나 핥아 피부에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반려동물의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건강유지에 유용하다는 장점을 가짐으로써,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7)

  1. 생육 사슴고기 15.0~30.0 wt%,
    동애등에 분말 13.0~28.0 wt%,
    완두단백 10.0~25.0 wt%,
    가수분해 연어단백 5.0~20.0 wt%,
    타피오카 전분 5.0~20.0 wt%,
    양고기 분말 2.0~12.0 wt%,
    고구마 분말 2.0~12.0 wt%,
    황태 분말 1.0~10.0 wt%,
    바나나 분말 1.0~10.0 wt%,
    비트펄프 0.5~8.0 wt%,
    야채믹스 0.05~0.5 wt%,
    비타민 믹스 0.06~0.6 wt%,
    미네랄 믹스 0.06~0.6 wt%,
    유카추출물 0.05~0.5 wt%,
    인산칼슘(MCP) 0.06~0.6 wt%,
    메티오닌 0.05~0.5 wt%,
    L-라이신 0.01~0.1 w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펫푸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부개선용 조성물 0.5~5.0 wt%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피부개선용 조성물은
    (i) 오메가3 45.0~55.0 wt%;
    (ii) 감초 5.0~30.0 wt%, 우방자 5.0~30.0 wt%, 감태 5.0~30.0 wt%, 홍삼 5.0~30.0 wt%, 황금 5.0~30.0 wt%, 어성초 5.0~30.0 wt%, 알로에 0.5~10.5 wt%, 녹차 0.5~10.5 wt%, 프로폴리스 0.5~10.5 wt%, 상황버섯 0.5~5.5 wt%, 치마버섯 0.5~5.5 wt%, 영지버섯 0.5~5.5 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복합기능성 조성물 45.0~55.0 wt%;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펫푸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부개선용 조성물 0.5~5.0 wt%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피부개선용 조성물은
    (i) 오메가3 45.0~55.0 wt%;
    (ii) 감초 5.0~30.0 wt%, 우방자 5.0~30.0 wt%, 감태 5.0~30.0 wt%, 홍삼 5.0~30.0 wt%, 황금 5.0~30.0 wt%, 어성초 5.0~30.0 wt%, 상황버섯 0.5~5.5 wt%, 치마버섯 0.5~5.5 wt%, 영지버섯 0.5~5.5 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복합기능성 조성물 45.0~55.0 wt%;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펫푸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펫푸드는 1~3 mm 크기로 압출성형하여 펠렛으로 성형한 후, 그 표면을 동애등에 오일과; 향미제 또는 감미료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의 첨가제의 혼합으로 조성된 천연코팅액으로 코팅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펫푸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천연코팅액은 동애등에 오일 58.0~65.0 wt%와
    향미제 또는 감미료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의 첨가제 35.0~42.0 wt%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펫푸드.
  6. 생육 사슴고기, 동애등에 분말, 완두단백, 가수분해 연어단백, 타피오카 전분, 양고기 분말, 고구마 분말, 황태 분말, 바나나 분말, 및 비트펄프를 포함하는 주원료와,
    야채믹스, 비타민 믹스, 미네랄믹스, 유카추출물, 인산칼슘(MCP), 메티오닌, 및 L-라이신 포함하는 부원료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S10)와,
    상기 단계(S10)를 거친 혼합물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5~15 mm로 분쇄하는 1차분쇄단계(S20)와,
    상기 1차 분쇄과정을 거친 후 미분말로 분쇄하는 2차분쇄단계(S30)와,
    상기 2차 분쇄과정을 거친 미분말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정선단계(S40)와,
    상기 1차정선단계(S40)를 거친 혼합물을 150~165 ℃에서 5~7 kg/㎤으로 압출성형으로 사료를 펠렛화하는 펠렛제조단계(S50)와,
    상기 펠렛제조단계(S50)를 거쳐 제조된 펠렛사료를 수분함량 5.0~9.0 wt%가 되도록 조정하는 건조단계(S60)와,
    상기 건조과정을 거친 압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정선단계(S70)와,
    상기 2차정선단계(S70)를 거친 압출물을 냉각하는 쿨링단계(S80)와,
    상기 쿨링단계(S80)를 거친 압출물을 동애등에오일; 향미제 또는 감미료의 혼합으로 구성된 코팅제를 이용하는 코팅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펫푸드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원료혼합단계(S10)에 투입하는 원료는
    (i) 생육 사슴고기, 동애등에 분말, 완두단백, 가수분해 연어단백, 타피오카 전분, 양고기 분말, 고구마 분말, 황태 분말, 바나나 분말, 및 비트펄프를 포함하는 주원료와,
    (ii) 야채믹스, 비타민 믹스, 미네랄믹스, 유카추출물, 인산칼슘(MCP), 메티오닌, 및 L-라이신 포함하는 부원료와,
    (iii) (a) 오메가3 45.0~55.0 wt%;
    (b) 감초 5.0~30.0 wt%, 우방자 5.0~30.0 wt%, 감태 5.0~30.0 wt%, 홍삼 5.0~30.0 wt%, 황금 5.0~30.0 wt%, 어성초 5.0~30.0 wt%, 알로에 0.5~10.5 wt%, 녹차 0.5~10.5 wt%, 프로폴리스 0.5~10.5 wt%, 상황버섯 0.5~5.5 wt%, 치마버섯 0.5~5.5 wt%, 영지버섯 0.5~5.5 wt%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복합기능성 조성물 45.0~55.0 wt%;의 혼합으로 구성된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펫푸드 제조방법.




KR1020220007107A 2022-01-18 2022-01-18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376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107A KR102376726B1 (ko) 2022-01-18 2022-01-18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107A KR102376726B1 (ko) 2022-01-18 2022-01-18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726B1 true KR102376726B1 (ko) 2022-03-22

Family

ID=8099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107A Active KR102376726B1 (ko) 2022-01-18 2022-01-18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7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816B1 (ko) * 2022-12-15 2023-12-05 백덕 반려동물 냄새 저감을 위한 유산균 발효 간식 조성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06B1 (ko) 2006-03-24 2007-07-02 (주)홀리케어바프 자연식 사료의 제조방법
EP3262958A1 (en) * 2016-06-27 2018-01-03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Preparation made from insect larv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190027434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알파벳 기호성 및 보존안정성이 개선된 반려동물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2070700B1 (ko) * 2019-05-09 2020-01-29 주식회사 친한에프앤비 식용곤충을 이용한 반려동물용 건강 간식
KR102080413B1 (ko) * 2018-11-27 2020-02-21 박명자 애완동물용 기능식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애완동물용 기능식
KR102133815B1 (ko) * 2020-02-14 2020-07-14 이혜경 애완동물의 건강관리를 위한 곤충 분말을 포함하는 간식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EP3858148A1 (en) * 2020-02-03 2021-08-04 Hey Planet ApS Insect-based meat substitutes
KR20210132766A (ko) * 2020-04-27 2021-11-05 주식회사 셀틱 반려동물 간식용 인스턴트 컵면
KR20210132975A (ko) * 2020-04-28 2021-11-05 이영철 항균성을 높인 반려동물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06B1 (ko) 2006-03-24 2007-07-02 (주)홀리케어바프 자연식 사료의 제조방법
EP3262958A1 (en) * 2016-06-27 2018-01-03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Preparation made from insect larv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190027434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알파벳 기호성 및 보존안정성이 개선된 반려동물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2080413B1 (ko) * 2018-11-27 2020-02-21 박명자 애완동물용 기능식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애완동물용 기능식
KR102070700B1 (ko) * 2019-05-09 2020-01-29 주식회사 친한에프앤비 식용곤충을 이용한 반려동물용 건강 간식
EP3858148A1 (en) * 2020-02-03 2021-08-04 Hey Planet ApS Insect-based meat substitutes
KR102133815B1 (ko) * 2020-02-14 2020-07-14 이혜경 애완동물의 건강관리를 위한 곤충 분말을 포함하는 간식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32766A (ko) * 2020-04-27 2021-11-05 주식회사 셀틱 반려동물 간식용 인스턴트 컵면
KR20210132975A (ko) * 2020-04-28 2021-11-05 이영철 항균성을 높인 반려동물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816B1 (ko) * 2022-12-15 2023-12-05 백덕 반려동물 냄새 저감을 위한 유산균 발효 간식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1723206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8461B1 (ko) 식품 첨가물
KR101497050B1 (ko)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102020586B1 (ko) 동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령친화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98447A (ko) 새싹, 식물성 생약재 및 홍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102376726B1 (ko)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4702B1 (ko) 면역 증강용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ani et al. Natural antioxidants and their intrinsic worth for wellbeing
KR20200023054A (ko) 치커리 추출분말, 크랜베리 분말, 그린커피 추출분말, 브로멜라인 분말, 아세로라 추출분말, 인삼 추출분말 및 옥타코사놀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종합영양보조식품
KR20160092631A (ko) 아로니아 분말이 포함된 아로니아 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102197395B1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매생이 발효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숙취 해소 복합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00023053A (ko) 베타글루칸 분말, 키토산 분말, 아세로라 추출분말, 영지버섯자실체 추출분말, 잎새버섯 분말, 표고버섯균사체 분말, 구기자 분말, 알로에 분말, 당귀 추출분말 및 인삼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종합영양보조식품
KR101909581B1 (ko) 꽃벵이를 이용한 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539641B1 (ko) 천연 산야초를 이용한 칼국수와 그의 제조방법
CN108902603A (zh) 一种黑小麦青汁饮品及其制备方法
KR10208211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190118720A (ko) 사철쑥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및 친환경성 돼지사료용 보조제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돼지사육방법 및 그 돈육
KR102267942B1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24319A (ko) 비파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11296709A (zh) 一种香菇黑豆粉及其制备方法
KR20200057243A (ko) 집중력 및 기억력 향상에 효과적인 학습 능력 증진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00787B1 (ko) 홍삼 시래기밥의 제조방법
KR102748901B1 (ko) 유선증식 및 지방축적을 억제하고, 지방분해 및 체중조절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