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317B1 - Bowling glo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bowling gloves - Google Patents
Bowling glo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bowling glov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6317B1 KR102376317B1 KR1020210012079A KR20210012079A KR102376317B1 KR 102376317 B1 KR102376317 B1 KR 102376317B1 KR 1020210012079 A KR1020210012079 A KR 1020210012079A KR 20210012079 A KR20210012079 A KR 20210012079A KR 102376317 B1 KR102376317 B1 KR 1023763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uminum plate
- fiber
- bowling
- cut
- protruding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97 gene knockdow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8—Gloves for bowling and other ball gam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링을 플레이할 때, 손과 손목을 받쳐줌으로써 안정적으로 볼링공을 굴릴 수 있는 볼링용 장갑 및 스크레치를 방지할 수 있는 볼링용 장갑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장갑을 제조하는 방법은 알루미늄판을 기 설정된 형태로 절단하는 단계와, 우레탄을 섬유에 도포하는 단계와, 절단된 알루미늄판의 일면에 접착물질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알루미늄판과 상기 섬유를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알루미늄판과 상기 섬유의 접착면 사이에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알루미늄판과 접착되지 않은 상기 섬유의 돌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섬유의 돌출면을 상기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알루미늄판을 기 설정된 형태로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wling glove capable of stably rolling a bowling ball by supporting hands and wrists when playing bowl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owling glove capable of preventing scratche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glove for bow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utting an aluminum plate in a predetermined shape, applying urethane to the fiber,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to one side of the cut aluminum plate, , Adhering the cut aluminum plate to the fiber, removing air between the cut aluminum plate and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b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that is not adhered to the aluminum plate cutting the fiber, adhering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and bending the aluminum plate to a predetermined shape.
Description
본 발명은 볼링용 장갑 및 볼링용 장갑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볼링을 플레이할 때, 손과 손목을 받쳐줌으로써 안정적으로 볼링공을 굴릴 수 있는 볼링용 장갑 및 스크레치를 방지할 수 있는 볼링용 장갑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ove for bowl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ove for bowling, and more particularly, when playing bowling, by supporting hands and wrists, a glove for bowling that can stably roll a bowling ball, and bowling that can prevent scratches It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gloves for use.
볼링은 규정된 길이와 너비를 가진 레인 끝에 볼링핀을 세워놓고, 레인 위로 볼링공을 굴려서 볼링핀을 쓰러뜨리는 실내경기이다.Bowling is an indoor game in which a bowling pin is placed at the end of a lane of specified length and width, and a bowling ball is rolled over the lane to knock down the bowling pins.
볼링공은 다른 구기의 공과는 달리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볼링공을 굴리는 동작시 손목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기 위해 볼링용 손목보호대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Since a bowling ball has a heavy weight unlike other ball games, a wrist protector for bowling has been devised and used to reduce the impact on the wrist during the rolling operation of the bowling ball.
한편, 볼링을 할 때에는 볼링공에 스핀을 주는 등 손목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이를 위해 착용자가 팔목에 대하여 손을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볼링용 손목보호대가 제작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bowling, the wrist is often used, such as giving a spin to a bowling ball, and for this purpose, a wrist protector for bowling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wearer can rotate the h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rist is being manufactured. .
이러한 손목보호대는 주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손목을 받쳐주게 되어 있다. 손목보호대의 제조사들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에 색을 도색하여 판매하고 있는데, 손목보호대를 떨어뜨리거나, 장애물에 부딪치는 경우 손목보호대 외관에 스크레치가 나게 되어 외관상으로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These wrist guards are mainly made of metal or plastic to support the wrist. Manufacturers of wrist protectors are selling colored metal or plastic, but if the wrist protector is dropped or collided with an obstacle, the exterior of the wrist protector may be scratched, resulting in a bad appearan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볼링을 플레이할 때, 손과 손목을 받쳐줌으로써 안정적으로 볼링공을 굴릴 수 있는 볼링용 장갑 및 볼링용 장갑의 스크레치를 방지할 수 있는 볼링용 장갑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wling glove capable of stably rolling a bowling ball by supporting hands and wrists when playing bowling, and a bowling glove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prevent scratches on the bowling glove will b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장갑 제조 방법은 알루미늄판을 기 설정된 형태로 절단하는 단계와, 우레탄을 섬유에 도포하는 단계와, 절단된 알루미늄판의 일면에 접착물질을 도포하는 단계와, 절단된 알루미늄판과 상기 섬유를 접착하는 단계와, 절단된 알루미늄판과 섬유의 접착면 사이에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와, 알루미늄판과 접착되지 않은 섬유의 돌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와, 섬유의 돌출면을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접착하는 단계와, 알루미늄판을 기 설정된 형태로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bowling glov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the steps of cutting an aluminum plate in a preset shape, applying urethane to the fibers, and an adhesive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cut aluminum plate The steps of applying, bonding the cut aluminum plate and the fiber, removing air betwee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cut aluminum plate and the fib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that is not bonded to the aluminum plate It may include the steps of cutting the fiber, adhering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and bending the aluminum plate to a predetermined shape.
또한, 돌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는, 알루미늄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설정된 길이만큼의 여분을 두고 돌출면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cut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ding surface may include cutting the protruding surface with an excess of a set length from the edge of the aluminum plate.
또한, 돌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는, 돌출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알루미늄판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복수의 절단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cut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ding surface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plurality of cut lines from the edge of the protruding surface toward the edge of the aluminum plate.
또한,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는, 몰드 내에 섬유가 접착된 상기 알루미늄판을 안착하는 단계와, 몰드 내부를 음압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알루미늄판을 안착하는 단계는 섬유가 몰드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removing the air includes the steps of seating the aluminum plate to which the fiber is adhered in the mold, and changing the inside of the mold to negative pressure, and the step of seating the aluminum plate is that the fiber is in contact with the mold can be characterized.
또한, 섬유의 돌출면을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접착하는 단계는, 절단된 알루미늄판의 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물질을 도포하는 단계와, 절단된 돌출면을 알루미늄판의 타면을 향하여 접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adhering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includes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along the edg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cut aluminum plate, and folding the cut protruding surface toward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can do.
또한, 섬유의 돌출면을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접착하는 단계는, 돌출면이 접착된 알루미늄판의 타면을 압착하는 단계와,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열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adhering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may further include pressing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to which the protruding surface is attached, and applying heat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링을 플레이할 때 착용하는 볼링용 장갑은 착용자의 손을 지지하는 손지지부와, 착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지지부와, 손지지부 및 팔지지부에 각각 연결되어 손지지부 및 팔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손지지부, 팔지지부 및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접착되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A bowling glove to be worn when playing bow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hand support for supporting the wearer's hand, an arm support for supporting the wearer's arm, and a hand support and arm support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each of the hand support part and the arm support part, and a fiber adher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hand support part, the arm support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또한, 손지지부는, 손바디부와, 손바디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손가락바디부와, 손바디부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팔지지부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팔바디부와,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팔바디부의 제1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고리부를 포함하고, 연결부는, 손지지부 및 팔지지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중앙부와, 중앙부가 부착되는 중앙바디부와, 중앙바디부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측면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 support portion includes a hand body portion, a finger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hand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respectively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hand body portion, and the arm support portion includes an arm including an insertion hole The body portion, formed in a ring shape, comprising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provided on the first side of the arm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 central portion for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hand support portion and the arm support portion, and the central body to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attached It may include a part and a plurality of side body part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entral body part.
또한, 제1돌출부의 및 제2돌출부의 끝 단에는 제1연결홀이 형성되고, 팔바디부는 제2연결홀을 포함하고, 중앙바디부는 제3연결홀을 포함하고, 측면바디부의 각 끝 단에는 제4연결홀이 형성되고, 제1연결홀 및 제4연결홀에 나사가 관통되어 손지지부 및 연결부가 연결되고, 제2연결홀 및 제3연결홀에 나사가 관통되어 팔지지부 및 연결부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onnection hole is formed at the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the arm body part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hole, the central body part includes a third connection hole, and each end of the side body part A fourth connection hole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hole and the fourth connection hole, a screw is penetrated to connect the hand support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nd a screw is penetrat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hole and the third connection hole, so that the arm support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can be connected
또한, 중앙부의 상측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손바디부의 하측에 손바디부와 수직이 되도록 스토퍼부가 형성되고, 손지지부가 연결부에 대하여 회전할 때, 스토퍼부와 지지대가 접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part is provided with a movably adjustable support base, a stopper par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 body part to be perpendicular to the hand body part, and when the hand support par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art, the stopper part and the support part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contactable.
또한, 스토퍼부의 일면 또는 지지대의 끝 단 중 적어도 하나에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 is further included in at least one of one surface of the stopper or the end of the support.
또한, 지지대는, 지지대 끝 단에 형성되는 스토퍼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스토퍼 가이드부는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리 형상 내부에 스토퍼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ay include a stopper guide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the stopper guide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the stopper may be movably provided inside the ring shape.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은 볼링을 플레이할 때, 손과 손목을 받쳐줌으로써 안정적으로 볼링공을 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tably rolling the bowling ball by supporting the hand and wrist when playing bowling.
또한, 보호대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각도조절이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수행되고, 보호대의 신속한 탈착이 가능하면서 밀착력조절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볼링용 장갑의 각도조절 및 풀림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스페어 처리시에도 신속한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gle adjustment is easy and quick even when the protector is worn on the wrist, the quick detachment of the protector is possible and the adhesion can be adjusted, and the angle adjustment and release of the bowling glove is made quickly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 quick operation may be possible even when a spare is processed.
또한, 볼링용 장갑의 외관에 우레탄이 도포된 섬유를 접착함으로써, 볼링용 장갑이 떨어지거나 장애물에 부딪치는 경우 외관에 스크레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dhering the fiber coated with urethane to the exterior of the bowling gl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scratches on the exterior when the bowling glove falls or collides with an obstacl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장갑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판에 접착물질을 도포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된 알루미늄판과 섬유를 접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섬유의 돌출면을 절단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섬유에 절단선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섬유의 돌출면이 알루미늄판에 접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장갑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팔지지부 및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 및 스토퍼부가 접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 및 스토퍼부 사이의 스프링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에 스토퍼 가이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love for bow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at an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to an aluminum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bonding of the fiber and the cut aluminum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ut-out of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at a cut line is formed on the 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at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hered to the aluminum plate.
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love for bow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rm support and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illustrating contact between a support and a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at a spring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to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topper guy formed on the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of the other component.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장갑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love for bow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알루미늄판을 기 설정된 형태로 절단할 수 있다(S100). 기 설정된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장갑의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하기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할 손지지부, 팔지지부 및 연결부의 형태로 알루미늄판을 절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luminum plate may be cut in a preset shape (S100). The preset shape may be the shape of a bowling gl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aluminum plate may be cut in the form of a hand support part, an arm support part, and a connection part to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below.
우레탄을 섬유에 도포할 수 있다(S200). 우레탄은 섬유의 일면 또는 타면에 도포될 수 있다. 우레탄의 성질 상 장애물 등에 긁히거나 찍히더라도 스크래치가 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우레탄을 도포한 섬유를 볼링용 장갑의 외관에 접착함으로써, 스크래치나 도색이 벗겨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레탄이 도포된 섬유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다른 섬유로 교체할 수 있다. 즉, 볼링용 장갑의 핵심 뼈대가 되는 알루미늄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Urethane may be applied to the fiber (S200). Urethane may be appli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fiber. Due to the nature of urethane, even if it is scratched or stamped on obstacles, it may not be scratched. Thus, by adhering the fiber coated with urethane to the exterior of the bowling gl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scratches or peeling of the paint. In addition, even if a scratch occurs on the urethane-coated fiber, i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nother fiber. That 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damage to the aluminum plate, which is the core skeleton of the bowling glove.
절단된 알루미늄판의 일면에 접착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S300). 예컨대, 접착물질은 본드, 실리콘, 에폭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An adhesive material may be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cut aluminum plate (S300). For example, the adhesive material may include a bond, silicone, epoxy, or the like.
도 2를 참조하면, 기 설정된 모양에 따라 절단된 알루미늄판(10)에 접착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물질은 알루미늄판(10)의 일면 전체에 도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판에 접착물질을 도포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2 , an adhesive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절단된 알루미늄판과 섬유를 접착할 수 있다(S400). 접착물질이 도포된 알루미늄판의 일면에 섬유를 접착할 수 있다. 이때, 섬유는 우레탄이 도포되지 않은 타면이 알루미늄판과 접착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cut aluminum plate and the fiber may be adhered ( S400 ). Fibers can be adhered to one side of the aluminum plate coated with an adhesive material. At this time, the fiber may be adhered to the aluminum plate and the other surface is not coated with urethane.
도 3을 참조하면, 접착물질이 도포된 알루미늄판(10)에 섬유(20)를 접착할 수 있다. 접착물질이 도포된 알루미늄판(10)의 일면 및 우레탄이 도포되지 않은 섬유(20)의 타면이 접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단된 알루미늄판과 섬유를 접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3 , th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절단된 알루미늄판과 섬유의 접착면 사이에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S500). 몰드내에 섬유가 몰드와 접촉하도록 섬유가 접착된 알루미늄판을 안착할 수 있다. 이후, 몰드 내부를 음압으로 변경하여 알루미늄판과 섬유의 접착면 사이에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몰드 내부를 음압으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알루미늄판과 섬유가 분리되지 않도록 알루미늄판을 압박할 수도 있다. 알루미늄판에서 섬유의 방향으로 알루미늄판을 압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알루미늄판과 섬유가 분리되지 않고 단단하게 접착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air may be removed between the cut aluminum plate and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iber (S500). An aluminum plate to which fibers are adhered may be seated in the mold so that the fibers contact the mold. Thereafter, by changing the inside of the mold to negative pressure, it is possible to remove air between the aluminum plate and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iber.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inside of the mold to negative pressure, the aluminum plate may be pressed so that the aluminum plate and the fibers are not separated. The aluminum plate can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bers from the aluminum plate, and accordingly, the aluminum plate and the fibers can be firmly adhered without being separated.
알루미늄판과 접착되지 않은 섬유의 돌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할 수 있다(S600). 섬유가 알루미늄판의 일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알루미늄판과 접착되지 않은 섬유의 일부를 절단할 수 있다. 예컨대, 알루미늄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설정된 길이만큼의 여분을 두고 돌출면을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길이는 알루미늄판의 높이보다 길 수 있다. 즉, 섬유의 여분은 알루미늄판을 감싸서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접착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일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that is not adhered to the aluminum plate may be cut ( S600 ). In a state in which the fiber is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a portion of the fiber that is not adhered to the aluminum plate may be cut. For example, the protruding surface may be cut with an extra amount of length set from the edge of the aluminum plate. Here, the set length may be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aluminum plate. That is, the excess of the fiber may be long enough to wrap the aluminum plate and adhere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또한, 절단된 돌출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알루미늄판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복수의 절단선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절단선은 섬유가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더 잘 접착될 수 있도록 특정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알루미늄판의 가장자리가 곡선인 경우 섬유를 알루미늄판에 붙일 때 들뜸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특정 위치에서 절단선을 형성함으로써, 들뜸없이 섬유를 알루미늄판에 접착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ut lines may be formed from the edge of the cut protruding surface toward the edge of the aluminum plate. A plurality of cutting lines may be formed at specific positions so that the fibers can be better adher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For example, if the edge of the aluminum plate is curved, lifting may occur when the fiber is attached to the aluminum plate.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by forming a cut line at a specific position, the fiber can be adhered to the aluminum plate without floating.
도 4를 참조하면, 알루미늄판(10)과 접착되지 않은 섬유(20)의 돌출면을 절달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알루미늄판(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정된 길이만큼의 여분을 두고 섬유(20)의 돌출면을 절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섬유의 돌출면을 절단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4 ,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알루미늄판(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정된 길이만큼의 여분을 두고 절단된 섬유(20)에 절단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절단선은 특정 위치에서 절단된 돌출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알루미늄판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섬유에 절단선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5 , a cut line may be formed on th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섬유의 돌출면을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접착할 수 있다(S700). 절단된 알루미늄판의 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예컨대, 접착물질은 본드, 실리콘, 에폭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섬유의 절단된 돌출면을 알루미늄판의 타면을 향하여 접을 수 있고, 접착물질이 도포된 알루미늄의 타면의 가장자리에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섬유의 돌출면이 접착된 알루미늄판의 타면을 압착하고,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열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섬유는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단단하게 접착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may be adher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S700). An adhesive material may be applied along the edg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cut aluminum plate. For example, the adhesive material may include a bond, silicone, epoxy, or the like. Thereafter, the cut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may be folded toward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and may be adhered to the edg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coated with an adhesive material. In addition,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to which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is adhered may be pressed, and heat may be appli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Accordingly, the fiber may be firmly adher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한편,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접착된 돌출면 위에 고정부재를 접착시킬 수 있다. 외부 충격 등이 섬유에 인가될 경우 돌출면이 다수개의 조각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알루미늄판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가능성이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면 상에 고정부재를 추가로 접착시켜 돌출면이 알루미늄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adhere the fixing member on the protruding surface adher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When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is applied to the fiber, since the protruding surfac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it is highly likely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aluminum plate. In order to prevent this, a fixing member is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protruding surface to prevent the protruding surfac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luminum plate.
상기 고정부재는 알루미늄판과 같은 소재일 수 있으며, 표면에 작은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절단선으로 인해 다수개로 분리된 돌출면끼리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돌기는 고정부재와 돌출면 사이의 접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n aluminum plate, and may further include small protrusions on the surface. The fixing member serve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protruding surfaces separated by the cutting line to each other, and the protrusion may further increas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protruding surface.
도 6을 참조하면, 섬유(20)의 절단된 돌출면을 알루미늄판(10)의 타면을 향하여 접을 수 있다. 이때, 알루미늄판(10)의 타면에 가장자리에는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고, 알루미늄판(10)의 타면을 향하여 접혀진 섬유(20)는 타면에 접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섬유의 돌출면이 알루미늄판에 접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6 , the cut protruding surface of the
알루미늄 판을 기 설정된 형태로 구부릴 수 있다(S800). 우레탄이 도포된 섬유가 접착된 알루미늄판을 볼링용 장갑의 형태로 구부릴 수 있다. 볼링용 장갑의 형태에 따라 구부러진 알루미늄판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볼링용 장갑이 제조될 수 있다.The aluminum plate may be bent into a preset shape (S800). The aluminum plate to which the urethane-coated fiber is adhered can be bent in the form of a bowling glove. Bowling gloves can be manufactured by connecting each bent aluminum plat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wling glov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 장갑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love for bow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링용장갑(100)은 손지지부(100), 팔지지부(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손지지부(100)는 착용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고, 팔지지부(200)는 착용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00)는 손지지부(100) 및 팔지지부(200)에 각각 연결되어 손지지부(100) 및 팔지지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The
손지지부(100), 팔지지부(200) 및 연결부(300)의 일면에는 섬유가 접착되어 있을 수 있고, 접착된 섬유는 우레탄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볼링용 장갑의 외관은 우레탄이 도포된 섬유가 접착된 형태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볼링용 장갑의 외관이 장애물에 긁히거나 찍히더라도 스크래치가 나거나 도색이 벗겨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A fiber may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지지부(100)는 손바디부(110), 손가락바디부(120), 돌출부(130) 및 스토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8 and 9 , the
손바디부(110)는 손등을 에워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바디부(110)는 손등을 에워쌀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손등의 곡률을 따라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다. 손바디부(110)의 일면에는 우레탄이 도포된 섬유가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손가락바디부(120)는 손바디부(11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손가락바디부(120)는 손바디부(110)의 제1측면 및 상측의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손바디부(110)와 손가락바디부(120)의 형상은 손을 주먹 쥔 상태에서 검지손가락만 편 상태의 손모양과 유사할 수 있다. 손가락바디부(120)는 검지손가락을 에워쌀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손가락의 곡률을 따라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다. 손가락바디부(120)의 일면에는 우레탄이 도포된 섬유가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돌출부(130)는 손바디부(110)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130)는 손바디부(110)와 멀어지는 방향의 사선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0)는 손바디부(110)의 측면에 연결되어 손바디부(110)가 구부러지는 곡률을 따라 동일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손바디부(110) 및 돌출부(130)는 안정적으로 착용자의 손을 지지해줄 수 있다. 돌출부(130)의 일면에는 우레탄이 도포된 섬유가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돌출부(130)의 끝 단에는 제1연결홀(1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홀(140)은 연결부(300)와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제1연결홀(140)에는 나사가 관통될 수 있고, 나사에 의해 손지지부(100) 및 연결부(300)가 고정될 수 있다.A
스토퍼부(150)는 손바디부(110)의 하측에 형성되며, 손바디부(110)와 수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150)는 손바디부(110)의 일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손바디부(110)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부(150)는 손바디부(110)의 타면으로부터 일면으로 삽입되어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팔지지부 및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rm support and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팔지지부(200)는 팔바디부(210) 및 고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300)는 중앙부(310), 중앙바디부(320) 및 측면바디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팔바디부(210)는 삽입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홀(230)은 팔바디부(210)의 제2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삽입홀(230)에는 팔지지부(200)와 착용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팔고정부(미도시)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팔바디부(210)는 제2연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홀은 팔바디부(2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연결부(300)와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제2연결홀에는 나사가 관통될 수 있고, 나사에 의해 팔지지부(100) 및 연결부(30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팔바디부(210)의 일면에는 우레탄이 도포된 섬유가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고리부(220)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팔바디부(210)의 제1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고리부(22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팔고정부(미도시)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리부(220)의 일면에는 우레탄이 도포된 섬유가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중앙부(310)는 손지지부(100) 및 팔지지부(2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중앙부(310)는 손지지부(100) 및 팔지지부(200) 사이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중앙바디부(320)에는 중앙부(310)가 부착될 수 있다. 중앙바디부(320)는 제3연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연결홀은 중앙바디부(32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팔지지부(200)와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2연결홀 및 제3연결홀에는 하나의 나사가 관통될 수 있고, 나사에 의해 팔지지부(200) 및 연결부(30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중앙바디부(320)의 일면에는 우레탄이 도포된 섬유가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측면바디부(330)는 중앙바디부(320)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되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측면바디부(330)의 끝 단에는 제4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4연결홀은 손지지부(100)와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연결홀(140) 및 제4연결홀에는 하나의 나사가 관통될 수 있고, 나사에 의해 손지지부(100) 및 연결부(30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측면바디부(330)의 일면에는 우레탄이 도포된 섬유가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결과적으로, 제1연결홀 및 제4연결홀에 하나의 나사가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손지지부(100) 및 연결부(300)가 연결되고, 제2연결홀 및 제3연결홀에 하나의 나사가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팔지지부(200) 및 연결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As a result, as one screw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hole and the fourth connection hole,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 및 스토퍼부가 접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illustrating contact between a support and a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중앙부(310)의 상측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312)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312)는 중앙부(310)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고, 중앙부(310)에 구비된 버튼이나 롤러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a length-
손지지부(100)가 연결부(300)에 대하여 회전할 때, 스토퍼부(150)와 지지대(312)는 접촉가능할 수 있고, 스토퍼부(150)와 지지대(312)의 접촉에 의해 손지지부(100)와 팔지지부(2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스토퍼부(150)는 지지대(312)에 접촉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When the
손지지부(100)는 팔지지부(200)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는데, 스토퍼부(150)와 지지대(312)가 접촉함에 따라 손지지부(100)가 더 이상 종방향으로 이동이 불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지지부(100)와 팔지지부(2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지지대(312)의 길이에 따라 스토퍼부(150)와 지지대(312)가 접촉하는 각도가 상이할 수 있다.The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 및 스토퍼부 사이의 스프링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that a spring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to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스토퍼부(150)의 일면 또는 지지대(312)의 끝 단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부재(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314)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314)는 탄성력을 가지므로, 손지지부(100)가 팔지지부(200)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더 편하게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착용자가 볼링용 장갑을 착용한 채로 손목을 앞으로 구부렸다가 제자리로 돌아올 때, 탄성부재(314)의 탄성력에 의해 손목에 무리없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at least one of one surface of the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에 스토퍼 가이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 stopper guy formed on the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대(312) 끝 단에는 스토퍼 가이드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가이드부(316)는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리 형상 내부에 스토퍼부(15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 가이드부(316)는 손지지부(100)가 팔지지부(200)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스토퍼부(150)는 스토퍼 가이드부(316)의 고리 형상 내부에서 이동하므로, 스토퍼부(150)가 스토퍼 가이드부(316)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 스토퍼부(150)는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손지지부(100)가 팔지지부(200)에 대해 이동하는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착용자가 볼링용 장갑을 착용한 채로 손목을 앞으로 구부릴 때, 손목이 일정 각도까지만 구부려질 수 있도록 제한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볼링공을 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토퍼 가이드부(316)는 지지대(312)와 마찬가지로 중앙부(310)로부터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중앙부(310)는 지지대(312)와 별도로 스토퍼 가이드부(316)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a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볼링을 플레이할 때, 손과 손목을 받쳐줌으로써 안정적으로 볼링공을 굴릴 수 있는 볼링용 장갑 및 스크레치를 방지할 수 있는 볼링용 장갑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owling glove capable of stably rolling a bowling ball by supporting hands and wrists when playing bowl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owling glove capable of preventing scratche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손지지부 110: 손바디부
120: 손가락바디부 130: 돌출부
140: 제1연결홀 150: 스토퍼부
200: 팔지지부 210: 팔바디부
220: 고리부 230: 삽입홀
300: 연결부 310: 중앙부
320: 중앙바디부 330: 측면바디부
312: 지지대 314: 탄성부재
316: 스토퍼 가이드부100: hand support part 110: hand body part
120: finger body part 130: protrusion
140: first connection hole 150: stopper part
200: arm support 210: arm body part
220: hook 230: insertion hole
300: connection part 310: central part
320: central body part 330: side body part
312: support 314: elastic member
316: stopper guide unit
Claims (12)
알루미늄판을 기 설정된 형태로 절단하는 단계;
우레탄을 섬유에 도포하는 단계;
절단된 알루미늄판의 일면에 접착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알루미늄판과 상기 섬유를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알루미늄판과 상기 섬유의 접착면 사이에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판과 접착되지 않은 상기 섬유의 돌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섬유의 돌출면을 상기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판을 기 설정된 형태로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볼링용 장갑 제조 방법.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glove for bowling,
Cutting the aluminum plate into a predetermined shape;
applying urethane to the fibers;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to one surface of the cut aluminum plate;
bonding the cut aluminum plate and the fiber;
removing air between the cut aluminum plate and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iber;
cut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that is not adhered to the aluminum plate;
adhering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and
Bowling glov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bending the aluminum plate to a predetermined shape.
상기 돌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알루미늄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설정된 길이만큼의 여분을 두고 상기 돌출면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볼링용 장갑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ut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ding surface comprises:
Bowling glov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cutting the protruding surface with an extra amount of length set from the edge of the aluminum plate.
상기 돌출면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돌출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알루미늄판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복수의 절단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볼링용 장갑 제조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Cut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ding surface comprises:
Forming a plurality of cut lines from the edge of the protruding surface toward the edge of the aluminum plate; Bowling glove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상기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는,
몰드 내에 상기 섬유가 접착된 상기 알루미늄판을 안착하는 단계; 및
상기 몰드 내부를 음압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판을 안착하는 단계는 상기 섬유가 상기 몰드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용 장갑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moving the air,
seating the aluminum plate to which the fibers are adhered in a mold; and
Including; changing the inside of the mold to negative pressure;
The step of seating the aluminum plate is a bowling glove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ber is in contact with the mold.
상기 섬유의 돌출면을 상기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절단된 알루미늄판의 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절단된 상기 돌출면을 상기 알루미늄판의 타면을 향하여 접는 단계;를 포함하는 볼링용 장갑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dhering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comprises: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along the edg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cut aluminum pla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gloves for bowling comprising; folding the cut protruding surface toward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상기 섬유의 돌출면을 상기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돌출면이 접착된 상기 알루미늄판의 타면을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알루미늄판의 타면에 열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볼링용 장갑 제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dhering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fiber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comprises:
compressing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to which the protruding surface is adhered; and
Bowling glove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pplying heat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2079A KR102376317B1 (en) | 2021-01-28 | 2021-01-28 | Bowling glo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bowling gloves |
PCT/KR2022/001478 WO2022164223A1 (en) | 2021-01-28 | 2022-01-27 | Bowling glo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KR1020220032062A KR20220109356A (en) | 2021-01-28 | 2022-03-15 | Bowling glo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bowling glov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2079A KR102376317B1 (en) | 2021-01-28 | 2021-01-28 | Bowling glo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bowling glove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2062A Division KR20220109356A (en) | 2021-01-28 | 2022-03-15 | Bowling glo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bowling glov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6317B1 true KR102376317B1 (en) | 2022-03-18 |
Family
ID=809366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2079A Active KR102376317B1 (en) | 2021-01-28 | 2021-01-28 | Bowling glo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bowling gloves |
KR1020220032062A Withdrawn KR20220109356A (en) | 2021-01-28 | 2022-03-15 | Bowling glo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bowling gloves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2062A Withdrawn KR20220109356A (en) | 2021-01-28 | 2022-03-15 | Bowling glo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bowling glove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2376317B1 (en) |
WO (1) | WO2022164223A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7054A (en) * | 2000-04-19 | 2001-11-08 | 조경래 | Angle regulator in wrist protector for bowling |
KR200400773Y1 (en) * | 2005-08-08 | 2005-11-09 | 가부시기가이샤 하이스포츠샤 | Wrist support for bowling |
KR20060080207A (en) * | 2003-09-19 | 2006-07-07 |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 Coated paper |
KR20120008658A (en) * | 2010-07-19 | 2012-02-01 | 배성환 | Bowling Wrist Guards |
KR101644007B1 (en) * | 2014-05-12 | 2016-07-29 | 박종우 | Auxiliary pad of wrist safeguard for bowling |
KR20160102870A (en) * | 2015-02-23 | 2016-08-31 | 조현우 | Bowling hand and wrist support device |
-
2021
- 2021-01-28 KR KR1020210012079A patent/KR102376317B1/en active Active
-
2022
- 2022-01-27 WO PCT/KR2022/001478 patent/WO202216422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3-15 KR KR1020220032062A patent/KR20220109356A/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7054A (en) * | 2000-04-19 | 2001-11-08 | 조경래 | Angle regulator in wrist protector for bowling |
KR20060080207A (en) * | 2003-09-19 | 2006-07-07 |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 Coated paper |
KR200400773Y1 (en) * | 2005-08-08 | 2005-11-09 | 가부시기가이샤 하이스포츠샤 | Wrist support for bowling |
KR20120008658A (en) * | 2010-07-19 | 2012-02-01 | 배성환 | Bowling Wrist Guards |
KR101644007B1 (en) * | 2014-05-12 | 2016-07-29 | 박종우 | Auxiliary pad of wrist safeguard for bowling |
KR20160102870A (en) * | 2015-02-23 | 2016-08-31 | 조현우 | Bowling hand and wrist support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9356A (en) | 2022-08-04 |
WO2022164223A1 (en) | 2022-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53129B1 (en) | Safety eyewear | |
US5671926A (en) | Tennis racket with enhanced hand grip | |
US5483303A (en) | Spectacles having adjustable temples and ear engaging members | |
US8556413B2 (en) | Protective eyewear | |
US20120297522A1 (en) | Lenses and viso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
US20140013480A1 (en) | Lenses and viso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
US20100212065A1 (en) | Foldable mask with temples | |
US6223353B1 (en) |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a person's control of their non-dominant hand | |
KR102376317B1 (en) | Bowling glov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bowling gloves | |
EP2669731A1 (en) | Glasses | |
JPH0710720U (en) | Nose pad support spring for eyeglass frame | |
US6758562B1 (en) | Eyewear with frames having flexible earstems | |
US20210386585A1 (en) | Portable device for attaching contact lens to the eye | |
TWM288827U (en) | Structure of swimming goggles | |
US20080272161A1 (en) | Supporting Means | |
JP2002300918A (en) | Stand for temporal placement of false eyelash and clip for false eyelash | |
JP3300777B2 (en) | Glasses for facial armor | |
JP2526364B2 (en) | Wrist holder gloves | |
TWM599918U (en) | Spectacle frame and goggles with the spectacle frame | |
JP655990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olf practice | |
CA2585387A1 (en) | Ergonomic weight brearing glove | |
JP3238163U (en) | Golf swing braces | |
JPH0750732Y2 (en) | Nose pad of glasses frame | |
CN111065958A (en) | Paper glass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910004873Y1 (en) | Swing posture corrector for gol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12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0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31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