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4581B1 - 수동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고전압 래칭 릴레이 - Google Patents

수동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고전압 래칭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581B1
KR102374581B1 KR1020200037939A KR20200037939A KR102374581B1 KR 102374581 B1 KR102374581 B1 KR 102374581B1 KR 1020200037939 A KR1020200037939 A KR 1020200037939A KR 20200037939 A KR20200037939 A KR 20200037939A KR 102374581 B1 KR102374581 B1 KR 102374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tact
plunger
latching relay
comm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660A (ko
Inventor
파사노 마이켈
Original Assignee
칼링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링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칼링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14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5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54Mechanisms for coupling or uncoupling operating parts, driving mechanisms, or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12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both directions due to the energisation of one or the other of two electromagnets without the storage of energy to effect the return movement
    • H01H51/14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both directions due to the energisation of one or the other of two electromagnets without the storage of energy to effect the return movement without intermediate neutral position of re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9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ensuring operation of the switch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AC cycle
    • H01H33/596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ensuring operation of the switch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AC cycle for interrupting D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01H50/326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with manual intervention, e.g. for testing, resetting or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1Auxiliary conta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01H50/58Driv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therewith; Mounting of driving arrangements on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1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3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otating or pivoting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12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both directions due to the energisation of one or the other of two electromagnets without the storage of energy to effect the return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44High voltage appl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래칭 릴레이는 제1 및 제2 코일 그리고 이들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공통 플런저를 포함하여, 제1 코일이 활성화되면 플런저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코일이 활성화되면 플런저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및 제2 방향은 제1 평면에 놓여 있다. 리미트 스위치는 공통 접점과 제1 및 제2 코일 접점을 포함하며, 여기서 공통 접점의 위치는 플런저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또는 제2 코일 접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기적 연결 사이에서 교대로 전환된다.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슬라이드 토글은 플런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플런저와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여, 사용자에 의한 슬라이드 토글의 작동이 플런저의 수동 작동을 야기한다. 슬라이드 토글은 제1 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Description

수동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고전압 래칭 릴레이{HIGH VOLTAGE LATCHING RELAY WITH MANUAL ACTUATOR}
본 발명은 고전압 분야에 사용되는 래칭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전압 회로 차단 능력을 포함하는 래칭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는 다년간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다. 릴레이는 일반적으로 코일과, 연결된 장치에 스위치부 전원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접점 세트를 포함하는 원격으로 작동하는 스위칭 장치이다. 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접점은 상태를 변경하여 연결된 장치의 전원을 켜거나 끈다.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면 접점이 활성화된 상태(이는 개방 또는 폐쇄일 수 있음)로 이동하고, 코일에서 전원이 제거되면 접점이 기본 상태(이 또한, 개방 또는 폐쇄일 수 있음)로 이동한다.
래칭 릴레이는 역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특정 유형의 릴레이이다. 래칭 릴레이는 일단 릴레이 상태가 변경되면 전원이 제거되더라도 접점이 마지막 위치를 유지한다는 점에서 위에서 설명한 "표준" 릴레이와 다르게 작동한다. 그래서, 예를 들어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면, 접점의 상태(개방이든 폐쇄이든)가 변경된다. 코일에서 전원을 제거하면 기본 상태로 되돌리지 않고, 래칭 릴레이는 마지막 상태를 유지한다. 접점 상태를 다시 변경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해야만 래칭 릴레이가 작동한다.
전통적인 래칭 릴레이는 일반적으로 코일과 함께 영구자석을 포함했다. 래칭 릴레이에서 접점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변경해서 영구자석에 의해 생성된 플럭스를 상쇄시켜야 했다. 이러한 유형의 전통적인 래칭 릴레이는 또한 일반적으로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었다.
종래의 래칭 릴레이의 문제점 중 하나는 고전압 응용분야에서의 제한된 응용능력이었다. 고전압 응용분야는 일반적으로 고전력 전송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응용분야에 사용되는 스위칭 장치는 부하 상태에서도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스위칭할 수 있어야 한다. 전술한 구조(코일과 함께 사용되는 영구자석)는 제한된 고전압 차단 능력을 제공하였다.
이 문제는 발명의 명칭이 "고전압 DC 릴레이"인 본 출원인의 이전 미국 특허 제10,276,335호에 개시된 릴레이에 의해 제거되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이전 미국 특허 제10,276,335호에 개시된 모든 이점을 달성하는 한편 동시에 전자적 작동 이외에도 릴레이의 수동 작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훨씬 더 유리한 설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전압 응용분야에 사용되며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도 스위칭을 허용할 수 있는 래칭 릴레이를 제공한다. 달리 말해, 본 발명은 높은 전류차단 용량을 제공한다. 본 응용의 목적상, "고전압"이란 용어는 배전에 사용되는 것보다 높은 전압이 사용되는 응용분야에 적용된다. 그 하한은 국가전기안전규정(NFPA 70)에 따라 일반적으로 8,700V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들 전압은 청구된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으며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래칭 릴레이는 제1 코일, 제2 코일 및 공통 플런저를 포함하되, 공통 플런저는 제1 코일과 제2 코일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코일이 활성화되면 플런저가 제1 방향으로 제1 위치까지 이동하고 제2 코일이 활성화되면 플런저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제2 위치까지 이동하며, 이때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제1 평면에 놓여 있다.
래칭 릴레이는 또한 공통 접점, 제1 코일 접점 및 제2 코일 접점을 포함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공통 접점의 위치는 플런저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코일 접점 또는 제2 코일 접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기적 연결 사이에서 교대로 전환된다. 제1 코일 접점은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코일 접점은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공통 접점에 전력이 인가될 때, 공통 접점의 위치에 따라 전력이 제1 코일 또는 제2 코일 중 어느 하나에 교대로 인가된다.
또한, 래칭 릴레이는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슬라이드 토글을 포함하며, 슬라이드 토글은 공통 플런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공통 플런저와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여, 사용자에 의한 슬라이드 토글의 작동이 공통 플런저의 수동 작동을 야기한다. 슬라이드 토글은 제1 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래칭 릴레이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슬라이드 토글은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이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슬라이드 토글의 일 부분이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돌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핀이 공통 플런저로부터 돌출되고, 슬라이드 토글에는 연장된 슬롯이 형성되며, 연장된 슬롯은 핀과 협력작동한다. 이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연장된 슬롯은 제1 평면 및 제2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래칭 릴레이는 전력이 부하로 공급되는 폐쇄 위치와 부하로의 전력이 차단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부하 접점을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플런저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부하 접점은 폐쇄 위치에 있고, 플런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부하 접점은 개방 위치에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한 쌍의 부하 접점은 고정 부하 접점과 가동 부하 접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동 부하 접점 암이 플런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동 부하 접점은 가동 부하 접점 암 상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플런저, 가동 부하 접점 암 및 리미트 스위치 사이에 링크장치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플런저의 이동은 링크장치에 의해 가동 접점 암 및 리미트 스위치의 공통 접점 양쪽 모두의 동시 이동을 야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핀이 공통 플런저로부터 돌출되고, 링크장치에는 연장된 슬롯이 형성되며, 연장된 슬롯은 핀과 협력작동한다. 이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슬라이드 토글에는 연장된 슬롯이 형성되고, 연장된 슬롯은 핀과 협력작동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토글에 형성된 연장된 슬롯은 제1 평면 및 제2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래칭 릴레이는 한 쌍의 부하 접점에 인접하여 위치된 아크 소호기를 더 포함하며, 아크 소호기는 한 쌍의 부하 접점 사이에 생성된 아크의 소호를 촉진시키기에 적합하다. 이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아크 소호기는 복수의 아크 소호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래칭 릴레이는 적어도 한 쌍의 부하 접점과 아크 소호기가 배치된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하우징에는 가스 및/또는 부스러기가 하우징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기 구멍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기 구멍은 아크 소호기에 인접하여 위치된 복수의 통기 구멍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코일, 제2 코일 및 리미트 스위치는 모두 공통 회로기판 상에 장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미트 스위치의 공통 접점은 제1 코일 접점 또는 제2 코일 접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기적 연결 쪽으로 바이어스되지만, 플런저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코일 접점 또는 제2 코일 접점 중 다른 하나와의 전기적 연결 쪽으로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래칭 릴레이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제1 코일,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제2 코일, 및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 코일과 제2 코일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공통 플런저를 포함한다. 제1 코일이 활성화되면 플런저가 제1 방향으로 제1 위치까지 이동하고, 제2 코일이 활성화되면 플런저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제2 위치까지 이동하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제1 평면에 놓여 있다. 공통 플런저에는 핀이 돌출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공통 접점, 제1 코일 접점 및 제2 코일 접점을 포함한다. 공통 접점의 위치는 플런저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코일 접점 또는 제2 코일 접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기적 연결 사이에서 교대로 전환된다. 제1 코일 접점은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코일 접점은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공통 접점에 전력이 인가될 때, 공통 접점의 위치에 따라 전력이 제1 코일 또는 제2 코일 중 어느 하나에 교대로 인가된다.
슬라이드 토글은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고, 슬라이드 토글은 공통 플런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공통 플런저와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여 사용자에 의한 슬라이드 토글의 작동은 공통 플런저의 수동 작동을 야기한다. 슬라이드 토글은 제1 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연장된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된 슬롯은 제1 평면 및 제2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공통 플런저로부터 돌출된 핀과 협력작동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토글의 일 부분이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돌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다음 도면을 고려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래칭 릴레이의 예시적인 구성의 측면 절개도이다.
도 2는 제1 및 제2 코일과 리미트 스위치 사이의 전기적 상호 연결을 도시 한 도 1의 래칭 릴레이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1은 제1 코일(12), 제2 코일(14), 및 제1 및 제2 코일(12, 14)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공통 플런저(16)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칭 릴레이(10)의 예시적인 구성의 도시이다. 릴레이 코일 단자(18)는 스위치부 전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20)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및 제2 코일(12, 14)은 모두 회로기판(22) 상에 위치되고, 회로기판(22)은 다시 하우징 (20) 내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24) 또한 회로기판(22) 상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기계적 위치 표시기(26)가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플런저(16)와 리미트 스위치(24)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말단부에 위치된 가동 접점(30)을 갖는 가동 접점 암(28)이 래칭 릴레이 하우징(20)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고정 접점(32)에 대한 개방 상태(점선으로 도시됨)와 폐쇄 상태(실선으로 도시됨)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2개의 부하 전력 단자(34, 36)가 하나는 가동 접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우징(20)의 좌측에, 그리고 하나는 고정 접점(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우징(20)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아크 플레이트(38) 형태의 아크 소호기가 하우징(20)의 하부에 위치되고 개폐시 가동 접점 암(28)의 이동 경로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아크 소호기는 부하 접점들(30, 32) 사이에 생성된 아크의 소호를 촉진시키기에 적합하다. 벤트 개구부(40)가 하우징(20)의 하부에 아크 플레이트 (38)에 인접하게 그리고 가동 접점 암(28)의 이동 경로를 따라 위치됨으로써, 가스 및 부스러기가 벤트 개구부(40)를 향해 가압되어 방출이 촉진된다.
이제 래칭 릴레이(10)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1 코일(12), 제2 코일(14) 및 이들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공통 플런저(16)는 제1 코일(12)이 활성화되면, 도 1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6)가 제1 방향으로 제1 위치까지(즉, 제1 코일(12)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 코일(14)이 활성화되면 플런저(16)는,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제2 위치까지(즉, 제2 코일(14)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래칭 릴레이 회로(10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24)는 공통 접점(42), 제1 코일 접점(44) 및 제2 코일 접점(46)을 갖는다. 공통 접점(42)의 위치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플런저(16)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코일 접점(44) 또는 제2 코일 접점(46)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기적 연결 사이에서 교대로 전환된다. 제1 코일 접점(44)은 제1 코일(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코일 접점(46)은 제2 코일(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이 코일 단자(18)를 거쳐 공통 접점(42)에 인가될 때, 전력은 공통 접점(42)의 위치에 따라 제1 코일(12) 또는 제2 코일(14) 중 어느 하나에 교대로 인가된다.
예를 들어, 공통 접점(42)이 도 2에 나타낸 위치에 있다면, 코일 단자(18)에 전력을 인가할 때, 전력은 제2 코일(14)에 인가될 것이고, 제2 코일(14)은 다시 플런저(16)가 제2 코일(14)을 향해 끌어 당겨지도록 하여 부하 접점(30, 32)을 개방시킬 것이다. 이는 또한, 이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24) 내의 접점 연결을 변경하는 기능을 할 것이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래칭 릴레이(10)는 플런저(16), 가동 부하 접점 암(28) 및 리미트 스위치(24)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장치(48)를 더 포함하여, 플런저(16)의 이동이 링크장치(48)를 통해 가동 접점 암(28)과 리미트 스위치(24)의 공통 접점(42) 양쪽 모두의 동시 이동을 야기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링크장치(48)는 선회 점(50)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링크장치(48)의 일 단부에는 플런저(16) 상에 배치된 핀(5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슬롯(52)이 구비되어, 플런저(16)의 슬라이딩 운동이 링크장치(48)의 선회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한다.
선회 점(50)의 반대쪽에는 스프링(58)에 연결된 핀(56) 등이 있다. 스프링 (58)의 타단부는 가동 부하 접점 암(28)에 연결된다. 따라서, 플런저(16)가 어느 방향으로든 슬라이딩함에 따라, 링크장치(48)는 선회하여 스프링(58)을 신장시킨다. 특정 지점에 도달하면, 신장된 스프링(58)의 힘은 가동 부하 접점 암(28)의 빠른 이동을 야기하여 부하 접점(30, 32)이 빠르게 열리거나 닫히게 한다. 스프링(58)의 힘은 또한 부하 접점(30, 32)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장한다.
또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링크장치(48)의 단부(60)는 기계식 위치 표시기(26)와 접촉하고, 기계식 위치 표시기(26)는 다시 리미트 스위치(2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기계적 위치 표시기(26)는 도 1에 도시된 방향에 대하여 기계적 위치 표시기(26)를 좌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6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 위치 표시기(2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장치(48)의 단부(60)와의 접촉에 의해 바이어스에 대항하여(즉,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강제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알아차릴 테지만, 기계적 위치 표시기(26)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될 때, 공통 접점(4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코일 접점(46)과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반면, 기계적 위치 표시기(26)가 좌측에 위치될 때에는, 공통 접점(42)은 제1 코일 접점(44)과 전기적으로 연통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실선으로 도시된 구성 요소의 위치(즉, 부하가 고전압 전력을 받도록 부하 접점(30, 32)이 폐쇄된 상태)로부터 시작하면, 코일 단자(18)에 전력을 인가할 때, 전력은 제2 코일(14)에 인가될 것이고, 제2 코일(14)은 다시 플런저(16)가 제2 코일(14)을 향해 끌어 당겨지도록 하여 부하 접점(30, 32)을 개방시킬 것이다. 이는 동시에 기계적 위치 표시기(26)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하여, 리미트 스위치(24)의 공통 접점(42)이 제1 코일 접점(44)과 전기적으로 연통되게 되도록 할 것이다.
따라서, 다음 번에 전력이 코일 단자(18)에 인가될 때, 전력은 제1 코일(12)에 인가될 것이며, 이는 플런저(16)를 제1 코일(12)을 향해 당겨서 고전압 접점(30, 32)을 닫는 기능을 할 것이다. 이는 또한 리미트 스위치(24)의 접점 연결을 변경하여 도 2에 표시된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래칭 릴레이(10)는 코일 단자(18)에 전력이 인가될 때 상태를 변경하지만, 전력이 코일 단자(18)에 다시 인가되기 전에는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이 구성은 하나의 코일에서 다른 하나의 코일까지 플런저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력의 인가를 필요로 한다. 이 구동력은 부하 상태에서도 고전압 접점을 여는 데 필요한 동력을 제공한다. 달리 말해,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플런저의 구동은 높은 전류차단 용량을 허용한다.
상기 논의된 전기적 작동에 더하여, 래칭 릴레이(10)는 하우징(20)에 제공된 개구부(66)를 통해 접근 가능한 슬라이드 토글(64)을 통해 로컬 수동 작동을 또한 제공하며, 이 슬라이드 토글은 공통 플런저(16)와 함께 및 공통 플런저(16)에 평행하게 앞뒤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토글(64)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구부(66)를 통해 돌출되지만, 이는 엄격히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토글(64)은 슬라이드 토글(64)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개구부(66)를 통해 스크루 드라이버 등을 삽입할 필요가 있도록 함으로써, 우발적 작동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토글(64)에는 슬롯(68)이 형성되며, 슬롯(68)은 슬라이드 토글(24)과 공통 플런저(16)가 왕복 운동하는 평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슬라이드 토글(24)과 공통 플런저(16)의 운동을 함께 수용하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롯(68)은 링크장치(48)에 제공된 슬롯(52)이 협력작동하는 것과 같이 동일한 핀(54)과 협력작동하지만, 원하는 경우 별도의 핀 등이 슬롯(68)과 협력작동하도록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토글(64)은 공통 플런저(16)가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는 제1 및 제2 코일(12, 14)을 통해 전자적으로 왕복 운동하는 방법과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수동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이 부품, 특징 등의 특정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모든 가능한 구성 또는 특징을 소진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제로 많은 다른 수정 및 변형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확인 가능할 것이다.

Claims (15)

  1. 제1 코일;
    제2 코일;
    공통 플런저로서,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코일이 활성화되면 상기 플런저가 제1 방향으로 제1 위치까지 이동하고 상기 제2 코일이 활성화되면 상기 플런저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제2 위치까지 이동하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제1 평면에 놓여 있는 공통 플런저;
    리미트 스위치로서, 공통 접점, 제1 코일 접점 및 제2 코일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접점의 위치는 상기 플런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일 접점 또는 상기 제2 코일 접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기적 연결 사이에서 교대로 전환되는 리미트 스위치;
    상기 제1 코일 접점은 상기 제1 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코일 접점은 상기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공통 접점에 전력이 인가될 때, 상기 공통 접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력이 상기 제1 코일 또는 상기 제2 코일 중 어느 하나에 교대로 인가되고; 및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슬라이드 토글로서, 상기 공통 플런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공통 플런저와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여, 사용자에 의한 슬라이드 토글의 작동이 상기 공통 플런저의 수동 작동을 야기하며, 상기 제1 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드 토글을 포함하는, 래칭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토글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접근 가능한 래칭 릴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토글의 일 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는 래칭 릴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플런저로부터 돌출된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토글에는 연장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된 슬롯은 상기 핀과 협력작동하는 래칭 릴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슬롯은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칭 릴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전력이 부하로 공급되는 폐쇄 위치와 부하로의 전력이 차단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부하 접점을 더 포함하는 래칭 릴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부하 접점은 폐쇄 위치에 있고, 상기 플런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부하 접점은 개방 위치에 있는 래칭 릴레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하 접점은 고정 부하 접점과 가동 부하 접점을 포함하는 래칭 릴레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 부하 접점 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하 접점은 상기 가동 부하 접점 암 상에 배치되는 래칭 릴레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상기 가동 부하 접점 암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이동은 상기 링크장치에 의해 상기 가동 접점 암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상기 공통 접점 양쪽 모두의 동시 이동을 야기하는 래칭 릴레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플런저로부터 돌출된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장치에는 연장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된 슬롯은 상기 핀과 협력작동하는 래칭 릴레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토글에는 연장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된 슬롯은 상기 핀과 협력작동하는 래칭 릴레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토글에 형성된 연장된 슬롯은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에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칭 릴레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상기 제2 코일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모두 공통 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래칭 릴레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공통 접점은 제1 코일 접점 또는 제2 코일 접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기적 연결 쪽으로 바이어스되지만, 상기 플런저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코일 접점 또는 제2 코일 접점 중 다른 하나와의 전기적 연결 쪽으로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한 래칭 릴레이.
KR1020200037939A 2019-06-21 2020-03-30 수동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고전압 래칭 릴레이 Active KR102374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48,279 US11232923B2 (en) 2019-06-21 2019-06-21 High voltage latching relay with manual actuator
US16/448,279 2019-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660A KR20200145660A (ko) 2020-12-30
KR102374581B1 true KR102374581B1 (ko) 2022-03-14

Family

ID=6952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939A Active KR102374581B1 (ko) 2019-06-21 2020-03-30 수동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고전압 래칭 릴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32923B2 (ko)
EP (1) EP3754688B1 (ko)
JP (1) JP6956828B2 (ko)
KR (1) KR102374581B1 (ko)
CN (1) CN1121171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5115B2 (en) * 2019-11-27 2022-11-2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hunt trip assembly
JP7088275B2 (ja) * 2020-12-14 2022-06-21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CN113539750A (zh) * 2021-08-25 2021-10-22 济南瑞明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可自动和手动开闭的大功率磁保持继电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0562A1 (de) * 1982-08-17 1984-02-23 Sds-Elektro Gmbh, 8024 Deisenhofen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aet zur steuerung drehrichtungsumkehrbarer elektromotorischer antrieb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346A (en) * 1909-12-20 1911-01-24 Peabody A Brown Electrically-operated automatic cut-out.
US1447917A (en) 1921-07-20 1923-03-06 Ernest M Wilson Electric switch
US1916942A (en) 1928-01-31 1933-07-04 Wright Leonard Kay Circuit breaker and changer
DE607862C (de) 1930-04-18 1935-01-09 Siemens Schuckertwerke Akt Ges Kipprelais mit einem oder mehreren Kontakttraegern, welche nach UEberschreiten einerlabilen Gleichgewichtslage selbsttaetig in die neue Schaltstellung gefuehrt werden
US2530194A (en) * 1947-02-24 1950-11-14 Paul F Ferry Latch-in relay
US2878338A (en) 1954-01-07 1959-03-17 Rotax Ltd Electric switches
US3201544A (en) 1962-12-14 1965-08-17 Singer Inc H R B Compact latching relay employing an improved latching machanism
US3566320A (en) 1969-06-05 1971-02-23 Heinemann Electric Co Electromagnetic device having a dual coil for independent tripping thereof
JPS5139172Y1 (ko) * 1970-05-25 1976-09-25
JPS5139172A (ko) 1974-09-30 1976-04-01 Mitsubishi Heavy Ind Ltd
GB2030368B (en) 1978-08-22 1983-04-27 Picchia Walter Del Electromagnetic cut-out device used as a relay or for short circuit protection
JPS6278802A (ja) 1985-10-01 1987-04-11 ヤマハ株式会社 スライド式電気部品
US5072328A (en) 1990-09-27 1991-12-10 Square D Company Power control relay for electrical outlets which maintains position in absence of solenoid energization
DE20020549U1 (de) * 2000-12-04 2001-01-18 Yu, Tsung-Mou, Pan-Chiao, Taipeh Grundeinheit von Sicherheitsschalter
US6714106B1 (en) * 2002-01-04 2004-03-30 Reliance Controls Corporation Switch having integral remote actuating device
JP4889587B2 (ja) 2007-07-20 2012-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リレー
US8803640B2 (en) 2012-08-29 2014-08-12 Carling Technologies, Inc. Remote operated circuit breaker
EP2940708A1 (en) 2014-04-30 2015-11-04 Abb Ag Tripping mechanism and electrical installation device
US10276335B2 (en) 2017-01-27 2019-04-30 Carling Technologies, Inc. High voltage DC relay
CN106971914A (zh) * 2017-05-11 2017-07-21 嘉灵开关制造(中山)有限公司 高分断继电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0562A1 (de) * 1982-08-17 1984-02-23 Sds-Elektro Gmbh, 8024 Deisenhofen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aet zur steuerung drehrichtungsumkehrbarer elektromotorischer antrie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4688B1 (en) 2024-06-26
JP6956828B2 (ja) 2021-11-02
JP2021002516A (ja) 2021-01-07
US11232923B2 (en) 2022-01-25
KR20200145660A (ko) 2020-12-30
US20200402754A1 (en) 2020-12-24
CN112117141A (zh) 2020-12-22
EP3754688A1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212B1 (ko) 마이크로 스위치
JP6744339B2 (ja) 高電圧直流リレー
KR102374581B1 (ko) 수동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고전압 래칭 릴레이
EP0148745B1 (en) Molded-case circuit breaker with single solenoid operator for rectilinear handle movement
GB2394602A (en) Relay
JPH08148072A (ja) ブレーカ内蔵スイッチ
US6133812A (en) Switching relay with magnetically resettable actuator mechanism
KR940007432B1 (ko) 리모콘릴레이
KR20020060590A (ko) 슬라이더 작동 스위치
US5200723A (en) Remotely-controlled relay
KR100798340B1 (ko) 한류기능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US3611219A (en) Electric snap switch
CN113972112B (zh) 一种电磁操作机构及断路器
CN113711324B (zh) 按钮开关
US5181001A (en) Remotely-controlled relay
JP2007149528A (ja) 回路遮断器
JP6300681B2 (ja) 開閉装置
RU220603U1 (ru)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JPH05266778A (ja) 部分接触作用多極スイッチ装置
CN118571672A (zh) 用于控制开关装置的控制设备
KR20200099031A (ko)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JPH0115964B2 (ko)
JPH08264098A (ja) 回路遮断器
JPH03266330A (ja) 回路しゃ断器
KR19990025103U (ko) 전자접촉기용 사이드 보조접점유닛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