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4009B1 -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009B1
KR102374009B1 KR1020210114359A KR20210114359A KR102374009B1 KR 102374009 B1 KR102374009 B1 KR 102374009B1 KR 1020210114359 A KR1020210114359 A KR 1020210114359A KR 20210114359 A KR20210114359 A KR 20210114359A KR 102374009 B1 KR102374009 B1 KR 10237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reen
fermented
coffee
b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권
이정수
김영주
이경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사천시친환경미생물발효연구재단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사천시친환경미생물발효연구재단, 이정수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사천시친환경미생물발효연구재단
Priority to KR1020210114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0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0Reducing or removing alkaloid conten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23F5/204Reducing or removing alkaloid conten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us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2Treating green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6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A23F5/163Removing unwanted substances us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6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발명은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두, 동아추출물, 종균 및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생두 혼합물을 발효하는 단계;
상기 발효된 생두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발효 생두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발효 생두를 로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커피는 커피의 풍미가 개선되며, 또한, 종균이 생두의 로스팅 후에도 여전히 살아있어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Fermented coffee manufacturing method using Donga extract}
본 발명은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의 생두를 종균으로 발효함으로써,커피 고유의 풍미를 더욱 개선하는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기호식품중에서도 선호도가 높은 식품이며, 식감과 풍미 그리고 영양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종류로 개발되어 왔고, 종래특허기술의 일례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114253호에는 천연식물재료를 손질한 뒤 열탕 추출하여 천연식물추출액을 얻는 천연식물추출액제조단계;
상기 천연식물추출액제조단계와 동시에 또는 전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커피 생두를 건조시키는 생두건조단계;
상기 천연식물추출액제조단계에서 추출된 천연식물추출액을 생두건조단계에서 건조시킨 커피 생두에 흡습시켜 천연식물추출액이 포함된 커피 생두인 홍생두를 제조하는 홍생두제조단계;
상기 홍생두제조단계에서 제조한 천연식물추출액이 포함된 커피 생두인 홍생두를 건조하는 홍생두건조단계;
상기 홍생두건조단계에서 건조된 홍생두를 다단발효과정을 거쳐 발효시키는 다단발효단계; 및 상기 다단발효단계에서 충분히 발효된 홍생두를 로스팅하는 로스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추출액이 함유된 발효커피의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121244호에는 커피원두 분말과, 누룩과, 천일염과, 물을 2 : 3 : 1 : 4 부피비로 배합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배합한 배합물을 소독한 용기에 넣고 20~30℃의 온도에서 7~10일 발효시켜서 커피누룩소금을 만드는 과정;
커피원두 분말 80g 당 상기 커피누룩소금 2~5g을 첨가하고, 냉수 또는 상온의 물을 부어서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과정에서 추출한 커피를 2~3일 냉장보관하여 숙성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커피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카페인 저감효율이 떨어지고 커피의 풍미와 항산화기능이 개선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피의 풍미를 향상시키는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두, 동아추출물, 종균 및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생두 혼합물을 발효하는 단계;
상기 발효된 생두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발효 생두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발효 생두를 로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커피는 커피의 풍미가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 공정도
본발명은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두, 동아추출물, 종균 및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생두 혼합물을 발효하는 단계;
상기 발효된 생두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발효 생두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발효 생두를 로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는 건조온도 25~30℃에서 20~30시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재료는 과일 또는 홍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균은 고초균, 유산균, 효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 단계에서, 상기 생두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0~50중량부, 동아추출물 1 ~ 5중량부, 종균 1~5중량부, 부재료 3~5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 단계는 생두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0~50중량부,
종균 1~5중량부, 부재료 3~50중량부, 벌노랑이 추출물 10~2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스팅 단계 전 상기 건조된 발효 생두에 벌노랑이 추출물을 분무하여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은 본발명의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발효 커피의 제조방법은, 생두, 박과인 동아 액상추출물,종균 및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생두 혼합물을 25~30℃에서 20~30시간 발효하는 단계와, 상기 발효된 생두를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발효 생두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발효 생두를 로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료는 과일,홍삼,식물 등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혼합한다.
상기 종균은 고초균, 유산균, 효모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 단계에서, 상기 생두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0~50중량부, 동아추출물 1 ~ 5중량부, 종균 1~5중량부 및 부재료 3~50중량부를 혼합한다.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혼합 단계에서, 벌노랑이 추출물을 더 혼합하는 것으로, 생두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0~50중량부, 동아추출물 1 ~ 5중량부, 종균 1~5중량부 및 부재료 3~50중량부, 벌노랑이 추출물 10~20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로스팅 단계 전 상기 건조된 발효 생두에 벌노랑이 추출물을 분무하여 로스팅하는 것이다.
상기 종균은 커피 생두를 발효시켜, 카페인 함량을 낮추고, 유기산류, 알데
히드류, 에스트레 화합물 등의 생산량을 증진시켜 기능성을 향상시키면서도,
풍미 역시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효된 생두를 세척하는 단계에서는 발효가 완료된 커피 생두를 분리하여 깨끗한 물로 세척한다. 상기 세척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세척된 커피 생두를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는 20~60℃에서 함수율이 9~14%가 되도록 하는 것인바, 커피 생두
의 함수율이 높을 경우 커피의 풍미가 좋지 못함은 물론, 부패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건조된 생두를 관용의 방법에 의해 로스팅한다. 커피의 로스팅의 방식에는 직화식, 열풍식, 반열풍식,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방식등이 있다.
관용의 로스팅방법의 사례들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78431호에는
(a) 커피콩이 30 내지 50 Lu의 로스트 색상으로 로스팅될 때까지 그린 커피콩을 가열된 로스팅 가스와 5 내지 15 분의 시간 동안 접촉시키는 제1 단계,
(b) 제1 단계에서 로스팅된 커피콩을 가열된 로스팅 가스와 0.5 내지 3.5 분의 시간 동안 접촉시켜 4 내지 19 Lu의 로스트색상을 갖는 로스팅된 커피를 생성하는 제2 단계, 및 (c) 로스팅된 커피를 신속하게 냉각시켜 로스팅을 종결하여 0.27 내지 0.38의 밀도 및 4 내지 19 Lu의 로스트 색상을 갖는 로스팅된 커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로스팅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132682호에는 1) 생두를 전처리하는 단계;2) 상기 전처리된 생두는 회전 유동층 로스터(rotating fluidized bed roaster)에 넣고 95℃까지 1차 가열하는 단계; 및 3) 상기 1차 가열 온도에 도달 후, 10 내지 60초 동안 95℃로 유지 후, 227℃까지 2차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로스팅된 콩은 수분의 함량이 2 중량% 내외이고, 상기 생두를 전처리 단계는, a) 생두, 고광나무 잎, 난티나무 잎 및 개새비나무 잎을 넣고 덖음 공정을 진행하는 덖음 단계; b) 상기 덖음 단계에서 메꽃 추출물을 혼합하는 추출물 혼합단계; 및 c) 상기 덖음 단계를 종료하고, 전처리된 생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커피 콩의 로스팅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로스팅 방법은 본발명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된 방법을 따르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발효 커피는
커피의 풍미가 개선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생두, 동아추출물, 종균 및 부재료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혼합된 생두 혼합물을 발효하는 발효단계;
    상기 발효된 생두를 로스팅하는 로스팅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효단계는 혼합된 생두 혼합물을 발효한 후, 발효된 생두를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발효 생두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부재료는 과일 또는 홍삼인 것으로,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종균은 고초균, 유산균, 효모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며,
    상기 혼합 단계는, 벌노랑이 추출물을 더 혼합하는 것으로, 생두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0~50중량부, 동아추출물 1 ~ 5중량부, 종균 1~5중량부, 부재료 3~50중량부, 및 벌노랑이 추출물 10~2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며, 상기 벌노랑이 추출물이 더 혼합된 발효생두가 세척, 건조된 후 로스팅 단계 전에 벌노랑이 추출물을 분무한 후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10114359A 2021-08-30 2021-08-30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 Active KR102374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359A KR102374009B1 (ko) 2021-08-30 2021-08-30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359A KR102374009B1 (ko) 2021-08-30 2021-08-30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009B1 true KR102374009B1 (ko) 2022-03-11

Family

ID=8081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359A Active KR102374009B1 (ko) 2021-08-30 2021-08-30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0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349A (ko) * 2015-05-28 2016-12-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미생물 이용한 고체 발효커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 발효커피
KR20210101506A (ko) * 2020-02-10 2021-08-19 박경원 커피 숙성 과정이 필요 없는 효모를 활용한 발효 커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349A (ko) * 2015-05-28 2016-12-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미생물 이용한 고체 발효커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 발효커피
KR20210101506A (ko) * 2020-02-10 2021-08-19 박경원 커피 숙성 과정이 필요 없는 효모를 활용한 발효 커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013B1 (ko) 쌀가루 마카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쌀가루 마카롱
CN104351709A (zh) 一种酸豆角的制备方法
KR101565742B1 (ko) 황칠건강액상차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24781B1 (ko) 새싹보리 마카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새싹보리 마카롱
KR20090003779A (ko) 녹차성분을 함유하는 영지버섯 또는 표고버섯 균사체배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CN105580901A (zh) 一种杏鲍菇果粒蓝莓酸奶及其制备方法
KR102374009B1 (ko) 동아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 커피 제조방법
KR101212718B1 (ko) 고압 열수추출 함초 분말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KR20100006459A (ko) 비타민나무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된장
Lee et al. Cereal fermentation by fungi
KR101853848B1 (ko) 참외 주박 소금 제조방법 및 그 참외 주박 소금
KR101211075B1 (ko) 고압 열수추출 함초 분말을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KR102145510B1 (ko) 장식용 초콜릿 크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식용 초콜릿 크림
CN105053870A (zh) 一种豉油膏的制备方法
KR101614142B1 (ko) 산방풍 앙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1594C (zh) 绞股蓝纯品茶制作方法
KR101199878B1 (ko) 곰보배추 메주 제조방법
CN113080279A (zh) 一种复合抹茶及其制备方法
CN105747165A (zh) 一种润肤养颜番茄果酱
KR101951483B1 (ko) 산양삼을 이용한 메주 제조방법
KR101827602B1 (ko) 홀몬촉진과 치매에 효능을 보이는 진세노사이드가 다량 함유된 인삼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231364B (zh) 红糟酸刀豆的制备方法
KR101774974B1 (ko) 증포된 발효홍무를 이용한 다선가락채의 제조방법
KR101755119B1 (ko) 발효쌀 모시잎떡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효쌀 모시잎떡
KR101593087B1 (ko) 벤조피렌 생성이 저감된 볶음 참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