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3124B1 - Apparatus for adding cleaning and rinsing agents into tableware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dding cleaning and rinsing agents into tableware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124B1
KR102373124B1 KR1020200081366A KR20200081366A KR102373124B1 KR 102373124 B1 KR102373124 B1 KR 102373124B1 KR 1020200081366 A KR1020200081366 A KR 1020200081366A KR 20200081366 A KR20200081366 A KR 20200081366A KR 102373124 B1 KR102373124 B1 KR 102373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tergent
dishwasher
cover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3756A (en
Inventor
김준식
Original Assignee
광동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동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124B1/en
Publication of KR2022000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12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47L15/449Metering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47L15/4436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in the form of a detergent solution made by gradually dissolving a powder detergent cake or a solid detergent block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2 유닛에 제1 유닛이 지지되고 제3 유닛은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에서 연결되고 제4 유닛은 제1 유닛으로부터 일정량만큼의 세제와 린스를 식기세척기측으로 이송시키는 구조로부터, 식기세척기와 연동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양만큼의 세제 및 린스를 일정하게 투입하여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rom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unit is supported on a second unit, a third unit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nd the fourth unit transfers a predetermined amount of detergent and rinse aid from the first unit to the dishwasher. , to an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for a dishwasher, which can increase washing efficiency by constantly injecting desired amounts of detergent and rinse aid in conjunction with the dishwasher.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APPARATUS FOR ADDING CLEANING AND RINSING AGENTS INTO TABLEWARE WASHING MACHINE}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detergent and rinse aid in the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와 연동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양만큼의 세제 및 린스를 일정하게 투입하여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detergent and rinse aid for a dishwa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tergent and rinse aid for a dishwasher, in which the amount of detergent and rinse aid to b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dishwasher can be constantly input to increase washing efficiency. and to a rinse aid automatic dispensing device.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로, 통상 예비 세척, 본 세척, 헹굼, 건조단계를 거친다. BACKGROUND ART In general, a dishwasher is a device for washing dishes by spraying high-pressure washing water onto the dishes, and generally undergoes preliminary washing, main washing, rinsing, and drying steps.

예비 세척 단계에서는 세제투입 없이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의 찌꺼기를 제거하고, 본 세척 과정에서는 세척수를 분사함과 동시에 세제공급장치에 의해 세제가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식기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e preliminary washing step, washing water is sprayed without detergent to remove dishware residues, and in the main washing process, washing water is sprayed and detergent is injected by the detergent supply device at the same time to wash the dishes.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는 식기를 세척할때 세제를 식기 세척기가 작동하기전 문을 열고 전용스푼을 사용하여 손으로 넣은 후 문을 닫고 식기 세척기를 작동하게 되어 있다.In a conventional dishwasher, when washing dishes, the dishwasher is operated by opening the door and inserting the detergent by hand using a dedicated spoon before the dishwasher operates, then closing the door and operating the dishwasher.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는 1회 사용하는 세제의 양도 사용자에 따라 투입량이 일정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식기 세척기의 작동중 사용자가 세제를 추가 투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식기 세척기의 작동을 멈춘 다음 문을 열고 세제를 추가 투입하고 다시 작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dishwasher, the amount of detergent used once is not constant depending on the user, and when the user wants to add detergent while the dishwasher is in operation, be sur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and then open the door to open the detergent. It was troublesome to add and operate again.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는 자동으로 식기를 세척하여 주는 식기 세척기에서 세제만을 수동으로 투입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를 사용할때마다 세제를 손에 묻혀야 하고 사용후에는 잔여세제의 보관도 안전하게 지정된 곳에 반드시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던 결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dishwasher, only the detergent has to be manually inserted in the dishwasher, which automatically washes the dishes, so whenever the user uses the dishwasher, the user has to put the detergent on his hand, and after use, the remaining detergent must be stored safely in a designated place. There was a drawback with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tore it.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공고실용신안 제20-1989-0004037호의 "식기 세척기의 세제 자동 투입 장치"(이하 선행기술)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Invented from the above point of view, there may be mentioned "automatic detergent input device for dishwash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of Public Notice Utility Model No. 20-1989-0004037.

선행기술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보관부(1), 세제출구(2)가 형성된 본체(3)의 고정구(4) (4')에 뚜껑(5)의 연결구(6) (6')가 결합되어 고정핀(7) (7')에 의해 고정되고 본체(3)의 중앙 내부에는 일측면에 고정된 모터고정대(8)에 장착되어진 직류모터(9)축이 관통 삽입되며 일정크기의 세제 용기부(10)가 성형된 회전로울러(11)가 설치된다.In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1, the connection port 6, 6 of the lid 5 to the fixture 4, 4' of the main body 3 in which the detergent storage unit 1 and the detergent outlet 2 are formed. ') is coupled and fixed by fixing pins (7) (7'), and in the center of the body (3), the shaft of the DC motor (9) mounted on the motor holder (8) fixed to one side is inserted through and fixed. The rotary roller 11 on which the detergent container part 10 of the size is molded is installed.

선행기술은 회전로울러(11)의 타측면에 걸림홈(12)이 형성된 캠(13)이 관통된 끝단부에 끼워져 고정와샤(14)에 의해 고정되고 캠(13)의 하부로 본체(3)면에 부착된 안내캡(23)내로는 링크(18)가 삽입되어지되 링크(18)의 하면에는 안내홈(15)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본체(3)면에 경사지게 고정핀(7")으로 결합된 작동판(16)을 작동시키는 안내핀(17)이 끼워고정된다.In the prior art, a cam 13 having a locking groove 1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roller 11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end portion and fixed by a fixing washer 14, and the main body 3 is lowered by the cam 13. The link 18 is inserted into the guide cap 23 attached to the surface, bu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nk 18, the fixing pin 7 " ), the guide pin 17 for operating the operating plate 16 coupled to the fitting is fixed.

또한, 선행기술은 작동판(16)의 하부로는 본체(3)면에 경사지게 부착된 보조판(19)에 설치된 스프링(20)밀착되고 그 상부로는 작동판(16)의 동작을 제어하는 지지판(21)이 경사지게 본체(3)면에 부착되어진 것으로 통상의 식기세척기의 일부분에 고정편(22)을 이용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a spring 20 installed on an auxiliary plate 19 oblique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ody 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plate 16 , and a support plat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late 16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plate 16 . (21)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3) obliquely, and it is used by using the fixing piece 22 in a part of a conventional dishwasher.

그러나, 선행기술은 뚜껑(5)을 열고 세제를 채워넣는 방식으로 되어 있지만, 세제를 채워넣는 과정에서 세제보관부(1) 가장자리에 세제의 일부가 흘러내리는 등의 사용상 번거로운 점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in the prior art, although the lid 5 is opened and the detergent is filled, there was a cumbersome point in use, such as a portion of the detergent flowing down to the edge of the detergent storage unit 1 in the process of filling the detergent.

공고실용신안 제20-1989-0004037호Announcement Utility Model No. 20-1989-000403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식기세척기와 연동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양만큼의 세제 및 린스를 일정하게 투입하여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s an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for a dishwasher that can increase washing efficiency by constantly injecting desired amounts of detergent and rinse aid in conjunction with the dishwasher.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형세제가 수용되며 제1 네크부를 가지는 제1 용기와, 농축린스가 수용되며 제2 네크부를 가지는 제2 용기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네크부를 수용하는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제2 네크부를 수용하는 제2 케이싱을 포함하는 제2 유닛; 상기 고형세제 또는 상기 농축린스가 식기세척기측으로 배출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케이싱 및 상기 제2 케이싱에 각각 내장되어 상기 제1 네크부 및 상기 제2 네크부 각각과 맞물리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3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고형세제를 물과 혼합하여 세척액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식기세척기측으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농축린스를 상기 식기세척기측으로 이송시키는 제4 유닛을 포함하며, 출고된 상기 고형세제의 제품용기 및 상기 농축린스의 제품용기의 체적은, 상기 제1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 각각의 체적의 적어도 1배(倍)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unit including a first container containing a solid detergent and having a first neck portion, and a second container in which a concentrated rinse is accommodated and having a second neck portion; a second unit including a first casing supporting the first container and accommodating the first neck part, and a second casing supporting the second container and accommodating the second neck part; a third unit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respectively, and engaged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necks, so that the solid detergent or the concentrated rinse is discharged and transferred to the dishwasher; and a fourth unit connected to the third unit and transferring the solid detergent to the dishwasher to form a washing solution by mixing the solid detergent with water or transferring the concentrated rinse to the dishwasher, The volume of the product container of the detergent and the product container of the concentrated rinse is at least one time or more of the volume of each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You can do it.

여기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네크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와 맞닿는 제1 접촉면이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제4 유닛의 일부와 연결되는 제1 접촉콘(first contacting cone)과, 상기 제1 접촉콘이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혼합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케이싱에 내장되고, 상기 제4 유닛의 일부와 연결되는 제1 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in the third unit, a first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neck portion, a first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ver is formed at an upper end portion, and a first portion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fourth unit at a lower end portion a first contacting cone and a mixed inclined surfac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which the first contacting con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and is embedded in the first casing and connected to a part of the fourth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hopper.

이때,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2 네크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2 커버와, 상기 제2 커버와 맞닿는 제2 접촉면이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제4 유닛의 일부와 연결되는 제2 접촉콘(second contacting cone)과, 상기 제2 접촉콘이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배출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케이싱에 내장되고, 상기 제4 유닛의 일부와 연결되는 제2 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third unit includes a second cov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neck portion,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ver is formed at an upper end, and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fourth unit at a lower end. A second contacting cone, the second contacting con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and has a discharge inclined surface extending upwardly inclinedly from the bottom surface, the second contacting cone is embedded in the second casing, and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fourth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hopper.

그리고,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제1 커버의 중심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제1 커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템과,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된 상기 제3 유닛에 연결되는 물 공급 배관상에 장착되어 상기 식기세척기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작동되며, 상기 제3 유닛에 상기 제1 커버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고형세제와 섞일 물을 일정량만큼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상기 섞일 물에 의한 압력으로 상기 스템을 상기 제1 커버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정량만큼의 상기 고형세제를 상기 제1 커버로부터 배출되게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unit includes a stem moun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cover and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ver,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third unit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It is mounted on the table and operated by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dishwasher, and supplie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o be mixed with the solid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first cover to the third unit,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by the supplied water to mix the and a solenoid valve for discharg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solid detergent from the first cover by moving the stem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first cover.

그리고,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제2 커버의 중심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제2 커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템과, 상기 제2 커버와 연결된 상기 제3 유닛에 연결되는 린스 공급 배관상에 장착되어 상기 식기세척기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작동되며, 상기 린스 공급 배관상에 채워진 상기 농축린스를 일정량만큼 상기 식기세척기측으로 이송시키는 정량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unit includes a stem moun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cover and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cover, and a rinse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third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cover. and a metering pump mounted on the top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dishwasher and operated to transfer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oncentrated rinse aid filled on the rinse supply pipe to the dishwasher.

또한,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물 공급 배관과 별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3 유닛과 연결되는 세제 공급 배관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식기세척기측으로 일정량만큼의 상기 섞일 물과 상기 고형세제의 혼합물인 세척액이 이송되게 하는 세제투입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urth uni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water supply pipe and is mounted at the distal end of a detergent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third unit, and the washing liquid is a mixture of the solid detergent and the water to be mixed by a predetermined amount toward the dishwas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tergent input port to be transferred.

아울러,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린스 공급 배관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식기세척기측으로 이송되는 일정량만큼의 상기 농축린스가 상기 정량펌프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urth unit may further include a check valve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rinse aid supply pipe to regulate a reverse flow of the concentrated rinse aid by a predetermined amount transferred to the dishwasher to the metering pump.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식기세척기와 연동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양만큼의 세제 및 린스를 일정하게 투입하여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washing efficiency by constantly injecting the desired amount of detergent and rinse aid in conjunction with the dishwas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과 제2 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 중 필터 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주요부인 제4 유닛 중 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 중 제1 커버 및 제2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주요부인 제4 유닛 중 노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주요부인 제4 유닛 중 노즐 인서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11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세제 자동 투입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n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first unit and a second unit, which are main parts of an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overall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n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overall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n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econd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n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ilter plate in a second unit that is a main part of an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stem of a fourth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n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of a third unit that is a main part of an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nozzle among a fourth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n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nozzle insert among a fourth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n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n automatic detergent input device of a conventional dish washing machin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erms used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nd elem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comprising (or hav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and operations. .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rst,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n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Her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which are main parts of the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At this time,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 개념도이다.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overall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unit 20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for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 중 필터 플레이트(25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filter plate 250 of the second unit 20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주요부인 제4 유닛(400) 중 스템(41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stem 410 of the fourth unit 40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300) 중 제1 커버(310) 및 제2 커버(32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And, FIG. 8 shows the structures of the first cover 310 and the second cover 320 among the third units 300 and 300, which are main parts of the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isometric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주요부인 제4 유닛(400) 중 노즐(46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Also,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nozzle 460 of the fourth unit 40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주요부인 제4 유닛(400) 중 노즐 인서트(47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In addi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nozzle insert 470 of the fourth unit 40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3에서 미설명 부호로 481은 세제액이 배출되는 세제 니플을, 482는 농축린스가 배출되는 린스 니플을 각각 가리킨다. For reference, in FIG. 3 , reference numeral 481 denotes a detergent nipple from which a detergent solution is discharged, and 482 denotes a rinse nipple from which a concentrated rinse is discharged, respectively.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닛(200)에 제1 유닛(100)이 지지되고 제3 유닛(300)은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사이에서 연결되고 제4 유닛(400)은 제1 유닛(100)으로부터 일정량만큼의 세제와 린스를 식기세척기(이하 미도시)측으로 이송시키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nit 100 is supported on the second unit 200 and the third unit 300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and the fourth unit It can be understood that 400 is a structure for transfer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detergent and rinse aid from the first unit 100 to the dishwasher (hereinafter not shown).

우선, 제1 유닛(100)은, 고형세제가 수용되며 제1 네크부(111)를 가지는 제1 용기(110)와, 농축린스가 수용되며 제2 네크부(121)를 가지는 제2 용기(120)를 포함하는 것이다.First, the first unit 100 includes a first container 110 in which a solid detergent is accommodated and having a first neck part 111, and a second container 110 in which a concentrated rinse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neck part 121 ( 120) is included.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1 용기(110)를 지지하며 제1 네크부(111)를 수용하는 제1 케이싱(210)과, 제2 용기(120)를 지지하며 제2 네크부(121)를 수용하는 제2 케이싱(220)을 포함하는 것이다.And, the second unit 200, supports the first container 110, the first casing 210 for accommodating the first neck portion 111, and supports the second container 120, the second neck portion It is to include a second casing 220 for accommodating (121).

또한, 제3 유닛(300)은, 고형세제 또는 농축린스가 식기세척기측으로 배출 이송되도록, 제1 케이싱(210) 및 제2 케이싱(220)에 각각 내장되어 제1 네크부(111) 및 제2 네크부(121) 각각과 맞물리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hird unit 300 is built into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210 and 220, respectively, so that the solid detergent or concentrated rinse is discharged and transferred to the dishwasher, and the first neck 111 and the second The neck portion 121 is engaged with each.

아울러, 제4 유닛(400)은, 제3 유닛(300)과 연결되며, 고형세제를 물과 혼합하여 세척액을 형성함으로써 식기세척기측으로 이송시키거나, 농축린스를 식기세척기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ourth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third unit 300 , and transfers the solid detergent to the dishwasher to form a washing solution by mixing the solid detergent with water, or transfers the concentrated rinse to the dishwasher.

여기서, 출고된 고형세제의 제품용기 및 농축린스의 제품용기의 체적은, 제1 용기(110) 및 제2 용기(120) 각각의 체적의 적어도 1배(倍)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olume of the product container of the shipped solid detergent and the product container of the concentrated rinse is at least one time or more of the volume of each of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

전술한 1배 이상의 의미는 대용량의 고형세제 제품용기와 농축린스 제품용기로부터 일정량만큼 덜어내어 사용하는 대신, 소포장된 제1 용기(110) 및 제2 용기(120)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The above-mentioned 1 times or more means that a small amount of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can be used instead of using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large-capacity solid detergent product container and the concentrated rinse product container.

물론, 대용량의 고형세제 제품용기와 농축린스 제품용기로부터 제1 용기(110) 및 제2 용기(120)에 일정량만큼 덜어내어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from the large-capacity solid detergent product container and the concentrated rinse product container.

통상, 18 내지 20리터 단위로 출시되는 대용량의 제품용기로부터 1리터 내외의 제1, 2 용기(110, 120)에 세제 또는 농축린스를 채워넣으려면 깔때기와 같은 별도의 도구가 필요한데, 본 발명은 이러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없이 일정량만큼 일정 주기마다 제1, 2 용기(110, 120)를 교체해주는 것만으로도 세제와 린스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general, a separate tool such as a funnel is required to fill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10 and 120 of about 1 liter from a large-capacity product container released in units of 18 to 20 liters, such as a funnel. Detergent and rinse aid can be conveniently used by simply replac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10 and 120 at regular intervals by a certain amount without the need for such a separate tool.

즉, 본 발명은 유지 관리의 측면에서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고자 마련된 것이라 하겠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ignificantly improve convenience in terms of maintena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also be applied to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우선, 제4 유닛(400)은, 도 1과 같이 물 공급 배관(421)과 별개로 구비되어 제3 유닛(300)과 연결되는 세제 공급 배관(422)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식기세척기측으로 일정량만큼의 섞일 물과 고형세제의 혼합물인 세척액이 이송되게 하는 세제투입 포트(423)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 the fourth unit 40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water supply pipe 421 and is mounted at the distal end of the detergent supply pipe 422 connected to the third unit 300 by a certain amount toward the dishwasher. It may further include a detergent input port 423 through which the washing liquid, which is a mixture of water to be mixed with and solid detergent, is transferred.

또한, 제4 유닛(400)은, 린스 공급 배관(431)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식기세척기측으로 이송되는 일정량만큼의 농축린스가 정량펌프(430)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43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unit 400 includes a check valve 432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rinse aid supply pipe 431 and regulating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concentrated rinse aid transferred to the dishwasher side flows back to the metering pump 430 side. may be provided.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5와 같이 상하 양단 관통인 제1 케이싱(210) 및 제2 케이싱(220) 각각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림 형상의 단부 캡(260)과, 단부 캡(260)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제1 용기(110) 및 제2 용기(120)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 사면(26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unit 200 is a rim-shaped end cap 260 mounted on the upper edg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asing 220 and the first casing 210 and the second casing 220 that penetrate both upper and lower ends, as shown in FIG. 5, and the end cap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slope 261 extend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260 to support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

지지 사면(261)은 제1, 2 용기(110, 120)의 외측면과 맞닿는 하단부 가장자리를 가지며 세제와 린스가 식기세척기측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유체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으로 흔들리는 제1, 2 용기(110, 120)의 요동을 일정 정도 저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The support slope 261 has a lower end edg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10 and 120 and is shaken by pressu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flow of fluid while detergent and rinse aid are discharged to the dishwasher. It may serve to reduce the fluctuation of the containers (110, 120) to a certain extent.

또한, 지지 사면(261)은 최초 제1, 2 용기(110, 120)를 제1, 2 케이싱(210, 220)에 삽입하는데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upport slope 261 may also serve to guide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10 and 120 into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210 and 220 to the correct position to be inserted.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케이싱(210) 및 제2 케이싱(220) 각각의 전면에 형성되어 제1 용기(110)로부터 배출되는 고형세제 및 제2 용기(120)로부터 배출되는 농축린스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점검창(2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unit 200, referring to FIGS. 1 to 3,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casing 210 and the second casing 220, the solid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first container (110) and an inspection window 270 capable of visually recognizing the remaining amount of concentrated rinse discharged from the second container 120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제2 유닛(200)은 제1 케이싱(210) 및 제2 케이싱(220) 각각의 후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편(280)과, 설치 대상면에 고정되어 걸림편(280)이 걸림 고정되는 후크편(291)을 구비한 설치 브라켓(29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second unit 200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engaging pieces 280 formed on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casing 210 and the second casing 220, respectively, and the engaging pieces 280 fixed to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n installation bracket 290 having a hook piece 291 to be caught.

여기서, 걸림편(280)은, 제1 케이싱(210) 및 제2 케이싱(220) 각각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편(281)과, 한 쌍의 돌출편(281) 각각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편(282)과, 제1 케이싱(210) 및 제2 케이싱(220) 각각의 후면으로부터 한 쌍의 돌출편(281)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어 한 쌍의 돌출편(281)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편(283)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ocking piece 280 includes a pair of protruding pieces 281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210 and 220, respectively, and the ends of each of the pair of protruding pieces 281 . Connecting pieces 282 interconnecting, and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casing 210 and the second casing 220 to a height lower than the pair of protrusion pieces 281, between the pair of protrusion pieces 281 It may include a pair of rail pieces 283 arranged in parallel.

이때, 걸림편(280)은 제1 케이싱(210) 및 제2 케이싱(220) 각각의 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 설치 브라켓(290)의 후크편(291)은 한 쌍의 레일편(283) 사이에 안내 고정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engaging pieces 280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casing 210 and the second casing 2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ok pieces 291 of the installation bracket 290 are a pair of rail pieces ( 283), it can be seen that the guide is fixed between.

또한, 설치 브라켓(290)은, 설치 대상면에 고정되는 버팀편(292)과, 버팀편(292)으로부터 돌출되는 후크 지지편(293)을 포함하며, 후크편(291)은 후크 지지편(293)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버팀편(292)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bracket 290 includes a support piece 292 fixed to the installation target surface, and a hook support piece 293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iece 292, and the hook piece 291 is a hook support piece ( It can be seen that it extends from the distal end of 293 and is disposed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brace piece 292 .

아울러, 설치 브라켓(290)의 후크 지지편(293)은, 걸림편(280)의 갯수에 대응하여, 버팀편(292)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of course, the hook support piece 293 of the installation bracket 290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upport piece 292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the engaging pieces 280 .

한편, 제3 유닛(300)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네크부(111)에 탈착 결합되는 제1 커버(310)와, 제1 커버(310)와 맞닿는 제1 접촉면(331)이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단부에 제4 유닛(400)의 일부와 연결되는 제1 접촉콘(330)(first contacting cone)과, 제1 호퍼(35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unit 300, looking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first cover 310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neck 111 and the first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ver 310 . 331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a first contacting cone 330 (first contacting cone) connected to a part of the fourth unit 400 at the lower end, and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including a first hopper 350 will be applicable.

제1 호퍼(350)는 제1 접촉콘(330)이 바닥면에 형성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혼합 경사면(351)을 구비하며 제1 케이싱(210)에 내장되고, 제4 유닛(400)의 일부와 연결되는 것이다.The first hopper 350 is provided with a mixing inclined surface 351 in which the first contact cone 33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is formed to extend obliquely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is built into the first casing 210, and the fourth unit ( 400) is connected to a part of it.

또한, 제3 유닛(300)은, 제2 네크부(121)에 탈착 결합되는 제2 커버(320)와, 제2 커버(320)와 맞닿는 제2 접촉면(341)이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단부에 제4 유닛(400)의 일부와 연결되는 제2 접촉콘(340)(second contacting cone)과, 제2 호퍼(36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third unit 300, the second cover 320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neck portion 12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341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ver 320 are formed at the upper end, the lower end A second contacting cone 340 (second contacting cone) connected to a part of the fourth unit 400 and the second hopper 360 may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제2 호퍼(360)는 제2 접촉콘(340)이 바닥면에 형성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배출 경사면(361)을 구비하며 제2 케이싱(220)에 내장되고, 제4 유닛(400)의 일부와 연결되는 것이다.The second hopper 360 has a second contact cone 34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inclined surface 361 formed to extend obliquely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is built into the second casing 220, and a fourth unit ( 400) is connected to a part of it.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하 양단 관통인 제1 케이싱(210) 및 제2 케이싱(220) 각각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림(rim) 형상의 연장 리브(2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unit 200 is, as shown in FIGS. 4 and 5 , a rim-shaped extension rib extend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asings 210 and 220 penetrating both upper and lower ends. (230) may be further provided.

여기서, 제1 호퍼(350) 및 제2 호퍼(360) 각각의 상단부 가장자리는 연장 리브(230)의 하면과 마주보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Here,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edge of each of the first hopper 350 and the second hopper 360 faces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rib 230 .

이때, 제2 유닛(200)은, 제1 호퍼(350) 및 제2 호퍼(360) 각각의 상단부 가장자리와, 연장 리브(23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이너 씰(240)(inner seal)을 더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unit 2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dge of each of the first hopper 350 and the second hopper 36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rib 230 to maintain the airtight inner seal 240 ( inner seal) may be further provided.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연장 리브(230)의 상면에 걸림 고정되어 제1 접촉콘(330) 및 제2 접촉콘(340)이 관통되는 연통관(251)이 형성되며, 연통관(251)의 주변부에 일정 크기의 슬롯(252)이 복수로 형성되는 필터 플레이트(2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And, the second unit 200 is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rib 230 to form a communication pipe 251 through which the first contact cone 330 and the second contact cone 340 pass, and the communication pipe 251 is formed. )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plate 250 in which a plurality of slots 252 of a certain size are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

그리고, 제1 커버(310) 및 제2 커버(320)의 말단부 중심은 연통관(251)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도 도 4를 통하여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distal end of the first cover 310 and the second cover 320 may be clearly identified through FIG. 4 to be disposed on a straight line with the communication tube 251 .

또한, 제2 유닛(200)은, 도 4 및 도 6과 같이 연통관(251)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필터 플레이트(250)의 하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 리브(253)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253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tube 251 and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plate 250 as shown in FIGS. 4 and 6 .

이러한 복수의 보강 리브(253)는 연통관(251)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도 도 6(b)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The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253 may also be radially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tube 251 through FIG. 6(b) .

한편, 제4 유닛(400)은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커버(310)의 중심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제1 커버(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템(410)과, 솔레노이드 밸브(42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ourth unit 400 is again referring to FIG. 1 , a stem 410 moun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cover 310 and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ver 310 , It may include a solenoid valve 420 .

솔레노이드 밸브(420)는 제1 커버(310)와 연결된 제3 유닛(300)에 연결되는 물 공급 배관(421)상에 장착되어 식기세척기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작동되는 것이다.The solenoid valve 420 is mounted on the water supply pipe 421 connected to the third unit 300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310 and is operated by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dishwasher.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420)는, 제3 유닛(300)에 제1 커버(310)로부터 배출되는 고형세제와 섞일 물을 일정량만큼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섞일 물에 의한 압력으로 스템(410)을 제1 커버(3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정량만큼의 고형세제를 제1 커버(310)로부터 배출되게 한다.This solenoid valve 420 supplie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o be mixed with the solid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first cover 310 to the third unit 300, and at the same time, removes the stem 410 with pressure by the supplied water to be mixed. 1 It mov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over 310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solid detergent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cover 310 .

한편, 제4 유닛(400)은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2 커버(320)의 중심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제2 커버(3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템(410)과, 정량펌프(43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 again, the fourth unit 400 includes a stem 410 moun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cover 320 and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cover 320, It may include a metering pump 430 .

이러한 정량펌프(430)는 제2 커버(320)와 연결된 제3 유닛(300)에 연결되는 린스 공급 배관(431)상에 장착되어 식기세척기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작동되며, 린스 공급 배관(431)상에 채워진 농축린스를 일정량만큼 식기세척기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The metering pump 430 is mounted on the rinse supply pipe 431 connected to the third unit 300 connected to the second cover 320 and is operated by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dishwasher. It is to transfer a certain amount of the concentrated rinse aid filled on the top to the dishwasher.

한편, 도 3 내지 도 5와 함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커버(310) 및 제2 커버(3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연통허용 통(37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7 and 8 along with FIGS. 3 to 5 , a communication allowing tube 37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cover 310 and the second cover 320 may be further provided.

연통허용 통(370)의 내주면으로부터 복수의 걸림 리브(371)들이 교차되게 연장된다.A plurality of engaging ribs 371 exten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munication-allowing tube 370 to cross each other.

복수의 걸림 리브(371)가 교차하는 지점에는 스템 지지편(372)이 형성되어 스템(410)의 관통을 허용하고 지지하게 된다.A stem support piece 372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plurality of locking ribs 371 intersect to allow and support the passage of the stem 410 .

한편, 스템(410)을 구성하는 것으로, 제1 용기(110) 및 제2 용기(120)측에 수용되는 스템(410)의 일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411)과, 제1 접촉콘(330) 및 제2 접촉콘(340)과 마주보는 스템(410)의 타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스템 지지편(372)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블록(4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constituting the stem 410 , the installation groove 411 is reces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stem 410 accommod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 and the first The contact cone 330 and the second contact cone 34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block 412 that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tem 410 facing the contact cone 330 and is hooked and fixed to the stem support piece 372 .

또한, 걸림 블록(412)과 스템 지지편(372) 사이에는 스프링(440)이 배치되어 스템(41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지며, 스템(410)을 제1 접촉콘(330) 및 제2 접촉콘(340)측으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In addition, a spring 440 is disposed between the locking block 412 and the stem support piece 372 to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m 410 , and the stem 410 to the first contact cone 330 and the first contact cone 330 . 2, an elastic forc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contact cone 340 side.

아울러, 제4 유닛(400)은 설치홈(411)에 끼움 결합되는 설치통(451)과, 설치통(451)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컵 또는 캡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상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부(452)를 포함하는 다이어프램(4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unit 400 includes an installation tube 451 fitt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411 and a deformable portion 452 extending from the end edge of the installation tube 451 in a cup or cap shape to allow shape deformation. ) may further include a diaphragm 450 including.

다이어프램(450)은 세제 및 린스의 배출 이송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출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The diaphragm 450 adjusts the discharge pressure so that the discharge and transport of the detergent and the rinse aid can be made uniformly.

도 3 및 도 4와 함께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접촉콘(330)의 제1 접촉면(331) 및 제2 접촉콘(340)의 제2 접촉면(341)에는 체결홈(380)이 각각 함몰 형성되어 이러한 체결홈(380)의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산이 형성된다.Looking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9 together with FIGS. 3 and 4 , the first contact surface 331 of the first contact cone 330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341 of the second contact cone 340 have a fastening groove ( 380) are respectively recessed to form a female threa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380.

체결홈(380)의 암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산을 형성하며 제1 접촉면(331) 및 제2 접촉면(341)에 안착 고정되어 걸림 블록(412)의 하면과 맞닿는 상면을 가지는 노즐(46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A nozzle 460 having an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block 412 that forms a male thread screw-coupled to the female thread of the fastening groove 380 and is seated and fixed on the first contact surface 33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341. More may be provided.

이러한 노즐(460)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제1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 유로(461)와, 제1 유로(461)의 하단부로부터 제1 직경보다 더 큰 제2 직경으로 점차 커지게 연장되는 확경부(462)와, 확경부(462)의 하단부로부터 제2 직경으로 노즐(460)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배출 챔버(463)를 구비할 수 있다.A first flow path 461 that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nozzle 460 and is formed with a first diameter, and an expansion extending gradu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flow path 461 to a second diameter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A neck 462 and a discharge chamber 463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enlarged diameter 462 to the lower end of the nozzle 460 with a second diameter may be provided.

또한, 확경부(462) 및 배출 챔버(463)에는 노즐 인서트(470)가 내장되어 제1 용기(110) 및 제2 용기(120)로부터 고형세제 및 농축린스가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nozzle insert 470 is built in the enlarged diameter part 462 and the discharge chamber 463 to induce the solid detergent and concentrated rinse to be uniformly discharged from the first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container 120 .

한편, 노즐 인서트(470)는, 도 4와 함께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유로(461)의 하단부와 확경부(46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상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첨두편(471)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ozzle insert 470, referring to FIG. 10 together with FIG. 4 in more detail,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flow path 461 and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462, gradually narrowing toward the upper side. It may include a tip piece 471 of the shape.

그리고, 노즐 인서트(470)는, 확경부(46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첨두편(471)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폭으로 연장되는 구획편(47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zzle insert 470 may include a partition piece 472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lower end of the tip piece 471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462 .

그리고, 노즐 인서트(470)는, 구획편(472)의 하단부 일측으로부터 구획편(472)의 상부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473)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zzle insert 470 may include a cutout 473 that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piece 472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piece 472 .

또한, 노즐 인서트(470)는, 구획편(472)의 양면 중 일면에 배치되며, 절개부(473)의 가장자리를 따라 확경부(462)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지는 제1 안내편(474)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zzle insert 470 is disposed on one side of both surfaces of the partition piece 472 , and along the edge of the cutout 473 , a first guide piece 474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462 . ) may be included.

아울러, 노즐 인서트(470)는, 구획편(472)의 양면 중 타면에 배치되며, 제1 안내편(474)과 교차되게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확경부(462)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지는 제2 안내편(475)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ozzle insert 470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both surfaces of the partition piece 472, is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intersect the first guide piece 474, and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462. Two guide pieces 475 may be included.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우선, 사용자는 식기세척기에 수용된 식기(이하 미도시)들의 세척을 위하여 투입되는 세제의 양을 식기세척기의 조작 패널(이하 미도시)을 통하여 설정한다.First, the user sets the amount of detergent input for washing dishes (hereinafter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dishwasher through the operation panel (hereinafter not shown) of the dishwasher.

이후, 조작 패널을 통해 입력된 양만큼 세제가 투입될 수 있게 식기세척기의 전기적 신호는 솔레노이드 밸브(420)를 개방시켜 일정량만큼의 물이 제1 호퍼(350)에 유입되도록 한다.Thereafter, the electric signal of the dishwasher opens the solenoid valve 420 so that the amount of detergent input through the operation panel can be input,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flows into the first hopper 350 .

계속하여, 제1 용기(110)로부터 배출된 고형세제는 물과 혼합됨으로써, 세제는 세제투입 포트(423)를 통하여 식기세척기측으로 이송되어 세척에 사용되게 된다.Subsequently, the solid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first container 110 is mixed with water, so that the detergent is transferred to the dishwasher through the detergent input port 423 to be used for washing.

한편, 사용자는 세제에 의하여 1차 세척된 식기들에 린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린스의 양을 식기세척기의 조작 패널을 통하여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sets the amount of rinse aid to be supplied to the dishes first washed by the detergent through the operation panel of the dishwasher.

이후, 조작 패널을 통해 입력된 양만큼 세제가 투입될 수 있게 식기세척기의 전기적 신호는 정량 펌프(430)를 작동시켜 일정량만큼의 린스가 제2 호퍼(360)로부터 린스 공급 배관(431)을 거쳐 체크 밸브(432)를 통해 식기세척기측으로 이송되게 한다.Thereafter,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dishwasher operates the metering pump 430 so that the amount of detergent input through the operation panel can be input,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rinse is passed from the second hopper 360 through the rinse supply pipe 431 . It is transferred to the dishwasher through the check valve 432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와 연동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양만큼의 세제 및 린스를 일정하게 투입하여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ic technical idea to provide an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put device for a dishwasher capable of increasing washing efficiency by constantly injecting the desired amount of detergent and rinse aid in conjunction with the dishwasher,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And,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also possible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제1 유닛
110...제1 용기
111...제1 네크부
120...제2 용기
121...제2 네크부
200...제2 유닛
210...제1 케이싱
220...제2 케이싱
230...연장 리브
240...이너 씰
250...필터 플레이트
251...연통관
252...슬롯
253...보강 리브
260...단부 캡
261...지지 사면
270...점검창
280...걸림편
281...돌출편
282...연결편
283...레일편
290...설치 브라켓
291...후크편
292...버팀편
293...후크 지지편
300...제3 유닛
310...제1 커버
320...제2 커버
330...제1 접촉콘
331...제1 접촉면
340...제2 접촉콘
341...제2 접촉면
350...제1 호퍼
351...혼합 경사면
360...제2 호퍼
361...배출 경사면
370...연통허용 통
371...걸림 리브
372...스템 지지편
380...체결홈
400...제4 유닛
410...스템
411...설치홈
412...걸림 블록
420...솔레노이드 밸브
421...물 공급 배관
422...세제 공급 배관
423...세제투입 포트
430...정량펌프
431...린스 공급 배관
432...체크 밸브
440...스프링
450...다이어프램
451...설치통
452...변형부
460...노즐
461...제1 유로
462...확경부
463...배출 챔버
470...노즐 인서트
471...첨두편
472...구획편
473...절개부
474...제1 안내편
475...제2 안내편
481...세제 니플
482...린스 니플
100...first unit
110...first vessel
111... first neck
120...Second Vessel
121...Second neck
200...2nd unit
210...first casing
220...second casing
230...extended ribs
240...Inner seal
250...Filter plate
251...Communication pipe
252...slot
253...reinforcement ribs
260...end cap
261... support pardon
270...Check window
280... jamming
281...Protrusion
282...connection
283...Rail Edition
290...Mounting bracket
291... the hook
292...
293...Hook support piece
300...3rd unit
310...first cover
320...Second cover
330...first contact cone
331...first contact surface
340...second contact cone
341...second contact surface
350...first hopper
351...mixed slopes
360...Second Hopper
361...exhaust slope
370...Cong to allow communication
371... jamming ribs
372...Stem Support
380... fastening groove
400...4th unit
410...stem
411...Installation Home
412... jam block
420...Solenoid valve
421...water supply piping
422...detergent supply pipe
423...Detergent input port
430...metering pump
431...Rinse supply pipe
432...check valve
440...spring
450...diaphragm
451...Mounting barrel
452...deformation
460...nozzle
461...1 Euro
462...
463...discharge chamber
470...nozzle insert
471...
472... compartment
473...incision
474...First Guide
475...Second Guide
481...Detergent nipple
482...Rinse nipple

Claims (7)

고형세제가 수용되며 제1 네크부를 가지는 제1 용기와, 농축린스가 수용되며 제2 네크부를 가지는 제2 용기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네크부를 수용하는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제2 네크부를 수용하는 제2 케이싱을 포함하는 제2 유닛;
상기 고형세제 또는 상기 농축린스가 식기세척기측으로 배출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케이싱 및 상기 제2 케이싱에 각각 내장되어 상기 제1 네크부 및 상기 제2 네크부 각각과 맞물리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3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고형세제를 물과 혼합하여 세척액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식기세척기측으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농축린스를 상기 식기세척기측으로 이송시키는 제4 유닛을 포함하며,
출고된 상기 고형세제의 제품용기 및 상기 농축린스의 제품용기의 체적은, 상기 제1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 각각의 체적의 적어도 1배(倍) 이상이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네크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와 맞닿는 제1 접촉면이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제4 유닛의 일부와 연결되는 제1 접촉콘(first contacting cone)과,
상기 제1 접촉콘이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혼합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케이싱에 내장되고, 상기 제4 유닛의 일부와 연결되는 제1 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제1 커버의 중심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제1 커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템과,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된 상기 제3 유닛에 연결되는 물 공급 배관상에 장착되어 상기 식기세척기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작동되며, 상기 제3 유닛에 상기 제1 커버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고형세제와 섞일 물을 일정량만큼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상기 섞일 물에 의한 압력으로 상기 스템을 상기 제1 커버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정량만큼의 상기 고형세제를 상기 제1 커버로부터 배출되게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

a first unit including a first container in which the solid detergent is accommodated and having a first neck, and a second container in which the concentrated rinse is accommodated and having a second neck;
a second unit including a first casing supporting the first container and accommodating the first neck part, and a second casing supporting the second container and accommodating the second neck part;
a third unit installed in the first casing and the second casing, respectively, and engaged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neck portions, so that the solid detergent or the concentrated rinse is discharged and transferred to the dishwasher; and
a fourth unit connected to the third unit and transferring the solid detergent to the dishwasher to form a washing solution by mixing the solid detergent with water or transferring the concentrated rinse to the dishwasher;
The volume of the product container of the solid detergent and the product container of the concentrated rinse that has been shipped out is at least one or more times the volume of each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The third unit is
a first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neck portion;
a first contacting cone having a first contact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ver formed at an upper end and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fourth unit at a lower end;
The first contact con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has a mixed inclined surface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is built in the first ca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hopper connected to a part of the fourth unit with
The fourth unit is
a stem moun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cover and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ver;
It is mounted on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third unit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and operated by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dishwasher, and water to be mixed with the solid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first cover is supplied to the third unit. A solenoid valve for supplying a certain amount and simultaneously discharging a certain amount of the solid detergent from the first cover by moving the stem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first cover by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water to be mixed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dispenser for the dishwash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2 네크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2 커버와,
상기 제2 커버와 맞닿는 제2 접촉면이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제4 유닛의 일부와 연결되는 제2 접촉콘(second contacting cone)과,
상기 제2 접촉콘이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배출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케이싱에 내장되고, 상기 제4 유닛의 일부와 연결되는 제2 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unit is
a second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neck portion;
a second contacting cone having a second contact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ver formed at an upper end and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fourth unit at a lower end;
The second contact con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has a discharge inclined surface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is built in the second casing, and comprises a second hopper connected to a part of the fourth unit 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detergent and rinse aid in dishwash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물 공급 배관과 별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3 유닛과 연결되는 세제 공급 배관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식기세척기측으로 일정량만큼의 상기 섞일 물과 상기 고형세제의 혼합물인 세척액이 이송되게 하는 세제투입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세제 및 린스 자동 투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urth unit is
A detergent input port tha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water supply pipe and is mounted at the end of a detergent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third unit to transfer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washing solution, which is a mixture of the water to be mixed and the solid detergent, toward the dishwasher. Automatic detergent and rinse aid in the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KR1020200081366A 2020-07-02 2020-07-02 Apparatus for adding cleaning and rinsing agents into tableware washing machine Active KR1023731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366A KR102373124B1 (en) 2020-07-02 2020-07-02 Apparatus for adding cleaning and rinsing agents into tableware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366A KR102373124B1 (en) 2020-07-02 2020-07-02 Apparatus for adding cleaning and rinsing agents into tableware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756A KR20220003756A (en) 2022-01-11
KR102373124B1 true KR102373124B1 (en) 2022-03-11

Family

ID=7935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366A Active KR102373124B1 (en) 2020-07-02 2020-07-02 Apparatus for adding cleaning and rinsing agents into tableware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12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2681A (en) * 2004-12-09 2008-07-03 イーコラブ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Detergent dispenser
WO2015165733A2 (en) * 2014-04-30 2015-11-05 Hans Georg Hagleitner Metering system for the dosed delivery of chemical substances stored in containers to a dishwashing machine or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163Y1 (en) 1987-07-31 1990-03-15 주식회사금성사 Microwave uniform he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2681A (en) * 2004-12-09 2008-07-03 イーコラブ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Detergent dispenser
WO2015165733A2 (en) * 2014-04-30 2015-11-05 Hans Georg Hagleitner Metering system for the dosed delivery of chemical substances stored in containers to a dishwashing machine or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756A (en)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1734B2 (en) Self-flush toilet assembly and system
US7464718B2 (en) Dishwasher liquid delivery systems
US8074476B2 (en) Washer extractor with improved chemical dispenser
EP1319360A1 (en) Domestic dishwasher with a front loading door having a recessed panel and a detergent measurer/dispenser supported by the upper rack
CN108625103A (en) The method of the washings of washing machine, microfoam generator and supply comprising microfoam
US7571734B2 (en) Fluid dispensing system for a washing device
US20140224286A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70844B1 (en) Dish washing apparatus of sink attachment type
JP2018534451A (en) Self-cleaning toilet assembly and system
EP1847209A1 (en) Dispenser rinse system for a drawer-type dishwasher
KR20220011896A (en) Dishwasher
KR102373124B1 (en) Apparatus for adding cleaning and rinsing agents into tableware washing machine
US12137860B2 (en) Dishwasher with improved detergent dispenser
US11174584B2 (en) Integrated cap cleaner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CN214048713U (en) Dish washing machine
KR200464781Y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feeding device
CN211961962U (en) Dish washer spray set who possesses disinfection function
KR102736197B1 (en) Dish Washer
KR20230040717A (en) A Nano bubble dishwasher
KR20230028021A (en) A Nano bubble device for dishwasher
EP4143376B1 (en) Auto-dosing device and container
CN220800952U (en) Dish washer and salt chamber module thereof
WO2011047451A1 (en) Cleaning supply dispenser for clothes washing machines
KR0165041B1 (en) Dish-washer
KR200237844Y1 (en) suppling water device of wash wings for washer of bo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