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72904B1 - 스노우 멜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노우 멜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904B1
KR102372904B1 KR1020210135449A KR20210135449A KR102372904B1 KR 102372904 B1 KR102372904 B1 KR 102372904B1 KR 1020210135449 A KR1020210135449 A KR 1020210135449A KR 20210135449 A KR20210135449 A KR 20210135449A KR 102372904 B1 KR102372904 B1 KR 102372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eating cable
snow
pressing
ratch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안
박종일
Original Assignee
(주)우신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신이앤씨 filed Critical (주)우신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135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9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겨울철 도로 위의 눈이나 얼음을 녹이는 스노우 멜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와 습도 등의 환경 정보에 더하여 기상예보 정보를 기초로 히팅케이블의 가열 여부를 제어하여 노면과 히팅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줄이고, 강설 상황에 따라 히팅케이블이 델타결선이나 와이결선 되도록 하여 소비전력 대비 눈 녹음의 효율을 높인 스노우 멜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 멜팅 시스템은 제설구역에 매설되는 히팅케이블; 상기 히팅케이블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 주변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환경센서; 기상예보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모듈; 상기 환경센서의 환경 정보와 상기 수집모듈의 기상예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파워서플라이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노우 멜팅 시스템{Snow melting system}
본 발명은 겨울철 도로 위의 눈이나 얼음을 녹이는 스노우 멜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와 습도 등의 환경 정보에 더하여 기상예보 정보를 기초로 히팅케이블의 가열 여부를 제어하여 노면과 히팅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줄이고, 강설 상황에 따라 히팅케이블이 델타결선이나 와이결선 되도록 하여 소비전력 대비 눈 녹음의 효율을 높인 스노우 멜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 도로 위에 눈이 쌓이게 되면, 주행 중인 차량이나 보행자가 눈길에 미끄러져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염화칼슘 등을 뿌려서 눈을 녹이거나, 제설용 차량 등을 이용하여 직접 눈을 치우는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염화칼슘을 이용하는 경우 도로의 포장면이나 교량의 강재 등을 심하게 부식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설용 차량의 경우 도입비용, 유지 및 관리비용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스노우 멜팅 시스템(Snow melting system)이다.
스노우 멜팅 시스템은 각종 도로나 지면의 바로 아래에 열선(히팅케이블)을 매설하고, 눈이 내리거나 결빙이 발생하는 경우 열선을 이용하여 눈이나 얼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스노우 멜팅 시스템은 각종 도로, 주차장, 활주로, 주택의 지붕, 욕실, 계단, 골프장 및 야구장 등의 스포츠 공간, 농작물 재배지 등에 설치되어, 눈 또는 결빙에 의한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방지, 동파방지, 겨울철 난방, 잔디보호, 농작물 재배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스노우 멜팅 시스템으로 등록특허 10-1772513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노우 멜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하였다.
상기 등록특허 10-1772513에 따른 스노우 멜팅 시스템은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기반으로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측정된 외기온도 및 외기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지중에 매설된 히팅케이블(Heating cable)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스노우 멜팅용 컨트롤러; 및 IoT기반으로 상기 스노우 멜팅용 컨트롤러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스노우 멜팅용 컨트롤러를 등록, 관리 및 모니터링하고, 상기 스노우 멜팅용 컨트롤러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노우 멜팅 시스템은 원격으로 제어시 강설이 시작된 이후에 가동을 시작하거나, 노면의 온도가 높아져서 가동이 필요하지 않음에도 가동을 중단하지 않아서, 제설작업이 제때 행해지지 않거나, 히팅케이블이 손상되고 노면이 파손되고,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비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그래서 상기 등록특허 10-1772513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노우 멜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측정된 외기온도 및 외기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지중에 매설된 히팅케이블(Heating cable)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함으로써, 관리자에 의한 원격제어가 없더라도 외기온도나 외기습도에 기초하여 가동되거나 가동이 중단되도록 한다.
그러나 외기온도와 외기습도를 이용해 강설의 시작이나 중단, 노면에 쌓인 눈이나 얼음의 해빙을 판단하는 것은 그 정확성이 높지 않아서, 스노우 멜팅 시스템을 자동으로 가동시키거나 중단시키기는 것에 대한 유효성에 문제가 있다.
히팅케이블을 이용해 노면을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전력은 상당하다. 그래서 강설이 시작되기 전에 노면을 예열하는 단계와, 강설 중이더라도 그 양이 많지 않은 시기와 같은 경우에는 소비전력을 줄여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스노우 멜팅 시스템은 소비전력을 줄이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스노우 멜팅 시스템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외기온도나 외기습도와 같은 환경 정보에 추가로 일기예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히팅케이블이 가동과 중단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적기에 제설작업이 행해지고 불필요한 가동을 방지하여 히팅케이블과 노면의 손상을 예방하고 소비전력을 줄여주고, 강설 상황에 따라 히팅케이블의 결선을 변경하여 전력 소비를 최적화한 스노우 멜팅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히팅케이블이 고정단자대에 풀림없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스노우 멜팅 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 멜팅 시스템은
제설구역에 매설되는 히팅케이블;
상기 히팅케이블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
주변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환경센서;
기상예보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모듈;
상기 환경센서의 환경 정보와 상기 수집모듈의 기상예보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파워서플라이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로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분석하여 눈 내림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파워서플라이와 상기 히팅케이블을 델타결선 또는 와이결선으로 연결시키는 결선변경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강설 상황에 따라 상기 적설변경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히팅케이블의 일부를 감싸는 베이스와, 상기 히팅케이블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을 상기 베이스에 체결하여 상기 히팅케이블을 가압고정시키는 볼트(B) 및 너트(N)를 포함하는 고정단자대;
상기 너트(N)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나사공(C3)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C32)의 바닥에 형성된 래칫 톱니부(C3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되,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출몰하는 결속부(N11)와, 상기 결속부(N11)의 후방으로 연장 연결되며 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캠홈(N12)을 구비한 밀림부(N13)로 구성된 래칫바(N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를 향해 탄성 지지되되, 육각면으로 출몰하는 눌림부(N21)와, 상기 눌림부(N21)의 하부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밀림부(N13)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하며 타면에 상기 캠홈(N12)에 끼워지는 가압돌기(N22)를 구비한 가압부(N23)로 구성된 누름바(N2)를 포함하고,
상기 래칫 톱니부(C31)는 상기 너트(N)의 조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톱니들이 나사공(C3)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면서 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래칫바(N1)는 상기 너트(N)의 전면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밀림부(N13)의 후단이 제1 스프링(N3)으로 지지되어,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누름바(N2)는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가압부(N23)의 하단이 제2 스프링(N4)으로 지지되어, 상기 눌림부(N21)가 상기 너트(N)의 육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눌림부(N21)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너트(N)를 상기 볼트(B)에 조여서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접촉될 때 상기 래칫바(N1)가 전후로 출몰하면서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를 지나 완전하게 조여진 후, 상기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의 톱니들 중 하나에 걸림에 따라 상기 너트(N)는 풀리지 않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 멜팅 시스템은 환경 정보와 기상예보 정보를 기초로 히팅케이블의 가동과 그 중단을 제어함으로써, 적절한 시기에 제설작업이 행해지고 불피요한 시기의 가동에 의한 히팅케이블의 손상과 노면의 파손 그리고 전력소비를 방지하고, 눈이 많은 오는 중에서 히팅케이블을 델타결선으로 운용하고, 예열시가나 눈이 적게 오는 중에서는 히팅케이블을 와이결선으로 운용하여 제설작업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소비전력을 최적화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히팅케이블은 풀림방지수단을 갖는 볼트와 너트를 통해 고정단자대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시스템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 멜팅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컨트롤러와 그 주변의 구성도.
도 3 은 히팅케이블의 결선변경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4 는 히팅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고정단자대와, 너트의 풀림방지수단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 멜팅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 멜팅 시스템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 멜팅 시스템은 히팅케이블(10), 파워서플라이(20), 환경센서(S1, S2, S3), 수집모듈(30), 카메라(40), 분석모듈(50), 컨트롤러(60), 사용자단말기(70), 관제센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히팅케이블(10)은 제설구역에 매설되어서, 제설구역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녹인다.
여기서, 제설구역은 보통 사람이나 차량이 다니는 도로가 될 것이나, 주차장, 활주로, 운동장, 지붕 등도 제설구역이 될 수 있다.
상기 히팅케이블(10)은 발열체(열선)를 중심으로 절연체, 편조제, 자켓 등이 피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워서플라이(20)는 상기 히팅케이블(10)에 전원을 공급하여 히팅케이블(10)이 발열되도록 한다.
상기 파워서플라이(20)는 상기 컨트롤러(60)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용전원이 상기 히팅케이블(10)에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온오프스위치(21), 누전발생시 전원을 차단하여 전기사고를 예방하는 누전차단기(23), 히팅케이블(10)의 결선을 델타결선이나 와이결선으로 변경시키는 결선변경스위치(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파워서플라이(20)는 필요한 경우 상용전원을 히팅케이블(10)을 발열시키는 효율적인 발열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센서(S1, S2, S3)는 제설구역의 환경 정보를 감지한다.
상기 환경센서(S1, S2, S3)에는 제설구역의 공중이나 히팅케이블(10)이 매설된 노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S1), 제설구역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S2), 노면에 눈이나 얼음이 쌓여있는지 감지하는 적설감지센서(S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집모듈(30)은 제설구역에 대한 기상예보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수집모듈(30)은 통상 인터넷망을 통해 기상청에 접속하여 기상예보 정보를 수집한다. 기상청 이외에도 공신력 있는 기상예보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으로부터 수집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40)는 제설구역의 촬영하여, 눈이 오는지 여부, 노면에 눈이 쌓였거나 얼음이 결빙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석모듈(50)은 상기 카메라(40)가 촬영하는 영상을 분석하여 눈이 오는지, 노면에 눈이나 얼음이 쌓였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분석모듈(50)의 판별은 AI 신경망(예; YOLOv3)을 이용하여 정확성을 높인다.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환경센서(S1, S2, S3), 수집모듈(30), 카메라(40), 분석모듈(5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파워서플라이(20)를 제어하여 상기 히팅케이블(10)을 발열시키거나 발열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기(70)와 관세센터와 통신하여 사용자단말기(70)를 소지한 관리자와 관제센터(80)의 관리자가 제설구역의 상황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고, 히팅케이블(10)의 발열이나 그 중단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60)는 현장 관리자의 조작을 위한 입력부(61)와 디스플레이부(62), 상기 환경센서(S1, S2, S3)의 환경 정보와 상기 수집모듈(30)의 기상예보 정보와 상기 분석모듈(50)의 분석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63)와, 상기 저장부(63)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히팅시스템의 발열 또는 발열의 중단이 필요한지 분석하는 분석부(64)와, 상기 분석부(64)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파워서플라이(20)를 제어하는 드라이버(65)와, 상기 사용자단말기(70)나 관제센터(80)와 통신하는 통신부(66)와, 컨트롤러(6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67)는 상기 입력부(61)나 통신부(66)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드라이버(65)가 상기 파워서플라이(20)를 제어하여 히팅케이블(10)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분석모듈(50)의 분석 정보나 적설감지센서(S3)에 의해 눈이 오거나 노면에 눈이나 얼음이 쌓여 있으면 상기 히팅케이블(10)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수집모듈(30)의 기상예보 정보에 따라 강설이 시작되기 일정 시간 전(예; 2시간 전)에 상기 히팅케이블(10)에 전원이 공급되어 예열되도록 하되, 이때 온도센서(S1)에 의한 온도가 기준온도(예; 5도) 이상이거나 습도센서(S2)에 의한 습도가 기준습도(예; 40%) 이하인 경우에는 강설의 가능성이 현저히 낮으므로 예열을 하지 않고, 상기 분석모듈(50)의 분석 정보에 의해 강설이 멈추고 상기 온도센서(S1)에 의한 도면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 경우에는 발열 중인 히팅케이블(10)의 발열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7)는 상기 히팅케이블(10)을 발열시키는 중에, 상기 분석모듈(50)의 분석정보에 의해 눈이 많이 오거나 노면에 기준치 이상으로 눈이 쌓인 경우에 상기 파워서플라이(20)를 제어하여 상기 히팅케이블(10)이 와이결선으로 운용되어서 많은 양의 눈을 무리 없이 녹일 수 있도록 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상기 히팅케이블(10)이 델타결선으로 운용되어서 적은 양의 눈을 녹이는데 과다한 전력이 소비되지 않도록 한다. 와이결선은 델타결선보다 약 34% 소비전력이 증가하고 그만큼 발열량이 많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파워서플라이(20)는 온오프스위치(21), 누전차단기(23) 및 결선변경스위치(25)로 구성된다. 상기 온오프스위치(21)와 누전차단기(23)에는 상용전원이 입력되는 삼상 R,S,T 3선이 연결되고, R,S,T 3선은 각각 3개의 히팅케이블(10)에 연결된다. 상기 결선변경스위치(25)에는 중성선이 연결되고 중성선(N)은 3개의 히팅케이블(10) 각각의 중간에 연결된다.
상기 결선변경스위치(25)를 오프시키면 도3의 [A]와 같이 히팅케이블(10)은 델타결선이 되고, 상기 결선변경스위치(25)를 온시키키면 도3의 [B]와 같이 히팅케이블(10)은 와이결선이 된다.
상기 히팅케이블(10)들은 고정단자대(90)에 고정설치되고, 히팅케이블(10)의 단부는 커넥터를 통해 삼상 R,S,T의 전선에 접속된다.
고정단자대(90)는 상기 히팅케이블(10)의 일부를 감싸는 오목홈(92)이 다수 형성된 베이스(91)와, 상기 히팅케이블(10)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는 역오목홈(97)이 형성된 고정편(96)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96)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91)에 구비되는 결합날개(93)에 볼트(B) 및 너트(N)로 체결된다. 볼트(B)와 너트(N)의 체결로 상기 베이스(91)와 고정편(96)이 히팅케이블(10)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히팅케이블(10)은 매설된 노면 위를 지나가는 차량이나 사람들에 의한 충격을 받으면서 흔들리게 되고, 히팅케이블(10)의 흔들림은 고정단자대(90)에 전달되어서, 상기 너트(N)는 볼트(B)에서 풀리게 되고, 그러면 고정단자대(90)는 상기 히팅케이블(10)을 견고하지 잡아주지 못하게 되면서, 히팅케이블(10)의 흔들림은 강해진다. 히팅케이블(10)의 흔들림이 강해지면 커넥터를 통한 삼상 R,S,T의 전선과의 접속이 불안정해지게 되어서, 히팅케이블(10)에 전원공급이 불안정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너트(N) 풀림방지수단을 도입하여 너트(N)가 볼트(B)에서 풀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너트 풀림 방지수단은,
상기 베이스(91) 결합날개(93)의 나사공(C3)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C32)의 바닥에 형성된 래칫 톱니부(C3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되,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너트(N)의 전면(도4b 기준으로 상부)으로 출몰하는 결속부(N11)와, 상기 결속부(N11)의 후방(도4b 기준으로 하부)으로 연장 연결되며 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캠홈(N12)을 구비한 밀림부(N13)로 구성된 래칫바(N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를 향해 탄성 지지되되, 육각면으로 출몰하는 눌림부(N21)와, 상기 눌림부(N21)의 하부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밀림부(N13)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하며 타면에 상기 캠홈(N12)에 끼워지는 가압돌기(N22)를 구비한 가압부(N23)로 구성된 누름바(N2)를 포함한다.
상기 래칫 톱니부(C31)는 상기 너트(N)의 조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톱니들이 나사공(C3)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면서 후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래칫바(N1)는 상기 너트(N)의 전면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밀림부(N13)의 후단이 제1 스프링(N3)으로 지지되어,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누름바(N2)는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가압부(N23)의 하단이 제2 스프링(N4)으로 지지되어, 상기 눌림부(N21)가 상기 너트(N)의 육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눌림부(N21)는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N)를 상기 볼트(B)에 조여서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접촉될 때 상기 래칫바(N1)가 전후로 출몰하면서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를 지나 완전하게 조여진 후, 상기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의 톱니들 중 하나에 걸림에 따라 상기 너트(N)는 진동 등에 의해서 풀리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너트(N)를 풀기 위해 스패너를 상기 누름바(N2)가 있는 육각면에 맞춰서 끼우면, 스패너에 의해 상기 눌림부(N21)가 눌리면서 상기 누름바(N2)가 삽입하며, 이때 상기 가압부(N23)가 수직으로 하강함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N22)가 하강하면서 상기 캠홈(N12)의 경사면을 밀어서 상기 밀림부(N13)를 후방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상기 래칫바(N1)가 후진하여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서 이탈하여, 스패너로 상기 너트(N)를 쉽게 풀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스노우 멜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히팅케이블 20 : 파워서플라이
21 : 온오프스위치 23 : 누전차단기
25 : 결선변경스위치 30 : 수집모듈
40 : 카메라 50 : 분석모듈
60 : 컨트롤러 70 : 사용자단말기
80 : 과제센터 90 : 고정단자대

Claims (4)

  1. 제설구역에 매설되는 히팅케이블;
    상기 히팅케이블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
    주변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환경센서;
    기상예보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모듈;
    상기 환경센서의 환경 정보와 상기 수집모듈의 기상예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파워서플라이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노우 멜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워서플라이와 상기 히팅케이블을 델타결선 또는 와이결선으로 연결시키는 결선변경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강설 상황에 따라 상기 결선변경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히팅케이블의 일부를 감싸는 베이스와, 상기 히팅케이블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을 상기 베이스에 체결하여 상기 히팅케이블을 가압고정시키는 볼트(B) 및 너트(N)를 포함하는 고정단자대;
    상기 너트(N)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나사공(C3)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C32)의 바닥에 형성된 래칫 톱니부(C3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되,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출몰하는 결속부(N11)와, 상기 결속부(N11)의 후방으로 연장 연결되며 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캠홈(N12)을 구비한 밀림부(N13)로 구성된 래칫바(N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를 향해 탄성 지지되되, 육각면으로 출몰하는 눌림부(N21)와, 상기 눌림부(N21)의 하부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밀림부(N13)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하며 타면에 상기 캠홈(N12)에 끼워지는 가압돌기(N22)를 구비한 가압부(N23)로 구성된 누름바(N2)를 포함하고,

    상기 래칫 톱니부(C31)는 상기 너트(N)의 조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톱니들이 나사공(C3)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면서 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래칫바(N1)는 상기 너트(N)의 전면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밀림부(N13)의 후단이 제1 스프링(N3)으로 지지되어,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누름바(N2)는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가압부(N23)의 하단이 제2 스프링(N4)으로 지지되어, 상기 눌림부(N21)가 상기 너트(N)의 육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눌림부(N21)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너트(N)를 상기 볼트(B)에 조여서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접촉될 때 상기 래칫바(N1)가 전후로 출몰하면서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를 지나 완전하게 조여진 후, 상기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의 톱니들 중 하나에 걸림에 따라 상기 너트(N)는 풀리지 않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멜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도로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분석하여 눈 내림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멜팅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35449A 2021-10-13 2021-10-13 스노우 멜팅 시스템 Active KR102372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449A KR102372904B1 (ko) 2021-10-13 2021-10-13 스노우 멜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449A KR102372904B1 (ko) 2021-10-13 2021-10-13 스노우 멜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904B1 true KR102372904B1 (ko) 2022-03-11

Family

ID=8081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449A Active KR102372904B1 (ko) 2021-10-13 2021-10-13 스노우 멜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9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741B1 (ko) * 2022-03-30 2022-08-31 씨이에스 주식회사 환경 정보를 이용해 도로의 결빙을 방지하는 도로 결빙 방지 시스템
KR102441815B1 (ko) * 2022-05-02 2022-09-08 주식회사 이엘 도로 결빙 방지 시설물의 모듈 타입 운영 및 관리 시스템
CN117474213A (zh) * 2023-12-27 2024-01-30 深圳市拓安科技有限公司 应用于除冰融雪下的场景管理系统及方法
KR20240050085A (ko) * 2022-10-11 2024-04-18 이은정 발열 보도 블록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KR102797120B1 (ko) 2024-09-03 2025-04-22 주식회사 에너피아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제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639A (ko) * 2014-12-31 2016-07-08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경사도로 결빙 예방 시스템
KR101772513B1 (ko) * 2016-10-31 2017-08-29 (주)우신이앤씨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노우 멜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37456A (ko) * 2017-09-29 2019-04-0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및 빅데이터 기반의 스노우 멜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7761B1 (ko) * 2020-05-12 2021-01-05 이종승 전기발열선을 활용한 포장도로의 상향열 집중식 융설시스템 및 그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639A (ko) * 2014-12-31 2016-07-08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경사도로 결빙 예방 시스템
KR101772513B1 (ko) * 2016-10-31 2017-08-29 (주)우신이앤씨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노우 멜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37456A (ko) * 2017-09-29 2019-04-0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및 빅데이터 기반의 스노우 멜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7761B1 (ko) * 2020-05-12 2021-01-05 이종승 전기발열선을 활용한 포장도로의 상향열 집중식 융설시스템 및 그의 설치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741B1 (ko) * 2022-03-30 2022-08-31 씨이에스 주식회사 환경 정보를 이용해 도로의 결빙을 방지하는 도로 결빙 방지 시스템
KR102441815B1 (ko) * 2022-05-02 2022-09-08 주식회사 이엘 도로 결빙 방지 시설물의 모듈 타입 운영 및 관리 시스템
KR20240050085A (ko) * 2022-10-11 2024-04-18 이은정 발열 보도 블록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KR102779160B1 (ko) * 2022-10-11 2025-03-11 주식회사 에코플랜 발열 보도 블록 및 그에 대한 제어 방법
CN117474213A (zh) * 2023-12-27 2024-01-30 深圳市拓安科技有限公司 应用于除冰融雪下的场景管理系统及方法
CN117474213B (zh) * 2023-12-27 2024-04-12 深圳市拓安科技有限公司 应用于除冰融雪下的场景管理系统及方法
KR102797120B1 (ko) 2024-09-03 2025-04-22 주식회사 에너피아 스노우멜팅 시스템의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904B1 (ko) 스노우 멜팅 시스템
KR102136131B1 (ko) 도로결빙 예측 자동 감시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238341B1 (ko) 블랙아이스 제거를 위한 탄소나노튜브 발열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IoT 도로 융설 시스템
KR101365634B1 (ko) 눈이 내리거나 도로 결빙시 자동으로 살포재를 살포하는 무인 살포시스템
KR102199732B1 (ko) 레이더 감지에 의한 제설제 자동 살포로 블랙아이스 제거 및 제설 기능을 수행하는 제설제 살포 시스템
KR102438741B1 (ko) 환경 정보를 이용해 도로의 결빙을 방지하는 도로 결빙 방지 시스템
KR20100057441A (ko) 노면 가열 장치
KR102380853B1 (ko) 자율작업 기능을 갖춘 도로의 제설용액 분사시스템
KR102714167B1 (ko) 도로 노면의 결빙(블랙아이스/살얼음/동결)이나 강설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초절전 스노우멜팅 시스템
KR100955863B1 (ko) 고드름방지 신축이음장치
KR102075684B1 (ko) 액상 제설제를 원격으로 살포하는 살포 시스템
JP2003114283A (ja) 積雪監視装置および融氷雪システム
CN213062662U (zh) 一种新型天沟融雪系统
KR102122807B1 (ko) LoRa 통신을 이용한 염수살포원격제어시스템
KR101570511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노면 결빙 예방 및 제거 장치
KR20080034597A (ko) 원격제어 결빙방지 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
KR102594323B1 (ko) 제설 장치 자동 제어 시스템
KR101772513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노우 멜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47008B1 (ko) 지능형 강설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설용액 자동살포시스템
KR101017437B1 (ko) 노면결빙감지기를 이용한 해빙액 살포장치
KR101770645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노우 멜팅용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
KR101326251B1 (ko)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융설 시스템
KR20160081639A (ko) 경사도로 결빙 예방 시스템
KR101561577B1 (ko) 도로 유지 관리 미끄럼 방지장치
KR20220111157A (ko) 강설 감지센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